KR102456090B1 -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090B1
KR102456090B1 KR1020200176096A KR20200176096A KR102456090B1 KR 102456090 B1 KR102456090 B1 KR 102456090B1 KR 1020200176096 A KR1020200176096 A KR 1020200176096A KR 20200176096 A KR20200176096 A KR 20200176096A KR 102456090 B1 KR102456090 B1 KR 10245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balt
manganese oxide
mixture
oxide catalyst
manga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016A (ko
Inventor
김경주
장준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20017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0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009Use of binding agents; Moulding; Pressing; Powdering; Granulating;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catalyst
    • B01J37/0018Addition of a binding agent or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among others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e.g. forming of pores; protective layer, desintegrat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8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889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8892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4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6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증류수에 질산코발트 6수화물(Co(NO3)2·6H2O)이 용해된 용액의 산성도가 9 내지 11이 되도록 암모니아수를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취득하는 단계와, 증류수에 질산망간 6수화물(Mn(NO3)2·6H2O)이 용해된 용액에 상기 제1 혼합물에 투입하되, 코발트와 망간의 몰비가 2:1이 되도록 상기 용액에 상기 제1 혼합물을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180℃에서 8시간 동안 상기 제2 혼합물을 가열하여 코발트-망간 산화물(Co2MnO4)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통해 과황산염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발생되는 황산 라디칼(Sufate radical)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통해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산화, 분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응시 슬러지 발생량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2차 오염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약산성 조건에서도 산화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balt manganese oxide catalyst and contaminant treatment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하면서도 반응시 슬러지 발생량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2차 오염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다양화, 고도화로 인해 폐수배출업종 및 오염원이 다양해짐에 따라 응집, 침전, 모래여과, 생물학적 처리 등 종래 폐수처리 기술만으로는 처리가 어려운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처리가 난제로 부상하고 있다.
난분해성 오염물질 관리 강화를 위해 유기물질 측정지표가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에서 총유기탄소량(Total organic carbon, TOC)으로 변경되는 등 이에 대한 법적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추세이다.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분해에는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 라디칼(Radical)을 활용한 고도산화처리(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고도산화처리방법 중 펜톤산화법(Fenton oxidation process)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펜톤산화법(Fenton oxidation process)은 2가 철염의 펜톤시약과 과산화수소(H2O2)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반응 중 생성되는 OH 라디칼의 산화력으로 오폐수의 유기물을 산화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반응을 위해 강산성 조건이 요구될 뿐 아니라 반응 후 발생하는 다량의 슬러지 문제와 잔존하는 철 이온의 2차 오염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코발트나 망간을 수중에 용해시켜 과황산염을 활성화함으로써 오염물질을 분해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이 또한 반응 후 코발트나 망간 이온으로 인해 2차 오염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하면서도 반응시 슬러지 발생량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2차 오염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산화제와 교반하고, 이를 오염물질에 투입하여 상기 오염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에 있어서, 증류수에 질산코발트 6수화물(Co(NO3)2·6H2O)이 용해된 용액의 산성도가 9 내지 11이 되도록 암모니아수를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취득하는 단계와, 증류수에 질산망간 6수화물(Mn(NO3)2·6H2O)이 용해된 용액에 상기 제1 혼합물에 투입하되, 코발트와 망간의 몰비가 2:1이 되도록 상기 용액에 상기 제1 혼합물을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180℃에서 8시간 동안 상기 제2 혼합물을 가열하여 코발트-망간 산화물(Co2MnO4)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코발트-망간 산화물(Co2MnO4)을 결정화한 후 산화물을 증류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결정화된 상기 코발트-망간 산화물을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발트-망간 산화물을 80℃에서 12시간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염수에 청구항 제1항에서 제조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와, 산화제를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산화제는 과황산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통해 과황산염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발생되는 황산 라디칼(Sufate radical)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통해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산화, 분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응시 슬러지 발생량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2차 오염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약산성 조건에서도 산화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이용하여 Methyl Orange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실험1의 결과 그래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2의 결과 그래프,
도5는 실험1과 실험2의 결과 비교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촉매로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제공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을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제1 혼합물의 제조(S10)
먼저, 증류수 100ml에 질산코발트 6수화물(Co(NO3)2·6H2O) 5g~6g을 용해시켜 제1 용액을 준비하고, 준비된 혼합용액에 25wt%의 암모니아수를 한 방울씩 떨어뜨려가며 투입하되, pH가 대략 9 ~ 11이 되도록 투입한다.
그리고, 이를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분홍색의 혼합용액이 청록색에서 짙은 흑갈색으로 변화될 때까지 교반함으로써 입자를 생성한다.
2. 제2 혼합물의 제조(S20)
다음, 증류수 100ml에 질산망간 6수화물(Mn(NO3)2·6H2O) 5g~6g을 용해시켜 제2 용액을 준비하고, 위에서 제조된 제1 혼합물에 제2 용액을 투입한 후 이를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제1 용액에 제2 용액을 한방울씩 떨어뜨려가며 코발트와 망간의 몰비가 2:1이 되도록 제2 용액을 투입한다.
3. 제2 혼합물의 교반(S30)
이후, 제조된 제2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때, 제2 혼합물의 Co(NH3)6 3+가 MnOOH를 Mn2O13으로 산화시키면서 다시 Co(NH3)6 2+로 전환되며, 이러한 산화과정에서 제2 혼합물의 색이 점차 검붉은 빨간색으로 변한다.
4. 코발트-망간 산화물의 결정화(S40)
위 3단계 과정을 거친 제2 혼합물을 180℃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한다. 이 과정에서 제2 혼합물 내 존재하는 질산염(Nitrate)이 분해되고, 수분이 증발하면서 코발트-망간 산화물(Co2MnO4)이 결정화된다.
5. 코발트-망간 산화물의 세척(S50)
결정화된 코발트-망간 산화물은 세척단계를 거친다. 이러한 세척단계는 증류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코발트-망간 산화물을 수차례 세척함으로써 반응하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 화학물질을 제거한다.
6. 코발트-망간 산화물의 건조(S60)
세척이 완료된 코발트-망간 산화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Co2MnO4 catalyst)를 제조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이용하여 Methyl Orange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위에서 제조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은 오염물질에 산화제인 과황산염(persulfate:PMS)과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에 의해 과황산염이 활성화되어 황산 라디칼 및 활성산소종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오염물질을 산화, 분해하게 되는데, 본 출원인은 합성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과황산염(persulfate:PMS) 활성화 및 오염물질 처리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대표적인 난분해성 염료물질 중 하나인 Methyl Orange(MO)를 선정하여 산화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초기 MO 폐수의 pH는 고도산화반응으로 선호되는 조건인 약산성 조건(pH 5.0)으로 조절하였으며,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추가적인 pH 조절은 하지 않았다.
[실험 1]
이 실험에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와, 산화제인 과황산염(persulfate:PMS)의 농도가 각각 0.1g/L, 5mmol/L가 되도록 25mg/L MO에 투입하여 시간별로 제거된 농도를 관찰하였으며,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흡착에 의한 MO 제거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배제하기 위해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0.02g을 25mg/L MO 200mL에 투입하여 시간별로 제거된 농도를 관찰하였다.
이에 도3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0.1g/L) 단독투입 조건의 경우, MO 농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유의미한 농도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에 의한 MO 제거는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0.1g/L)와 산화제인 과황산염(5mmol/L)을 함께 투입한 경우 반응 초기부터 MO가 급격히 산화, 분해되어 5분 후 약 98%의 MO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에 의해 활성화된 과황산염이 황산 라디칼 및 활성산소종을 발생시켜 반응 60분 후에는 MO가 99.9% 제거되었다.
아울러, 과황산염의 농도는 50mmol/L까지 증가시켰을 경우에도 높은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0.1g/L 당 과황산염 5mmol/L 내지 50mmol/L에서 가장 효율적인 고도산화반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염료를 포함한 다양한 유기물질 제거에 널리 적용되는 흡착제인 Granular activated carbon(GAC) 0.5g을 25mg/L MO 200mL에 투입하여 위 실험과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2]
GAC(2.5g/L)의 경우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응 5분 후 약 3%의 MO가 제거되었으며, 60분 후에는 61%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위 실험의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와 과황산염 투입조건과 비교하였을 때,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투입량 대비 약 25배의 GAC를 투입하여 MO 제거실험을 재차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느린 제거 속도와 낮은 제거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도5의 결과 그래프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및 산화제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 방법의 경우 적은 투입량으로도 높은 제거효율과 짧은 반응시간(5분 내로 MO 약 98% 제거)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경우 난분해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산화,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고, 반응 후 슬러지 발생량이 적어 2차 오염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약산성 조건에서 충분한 산화 반응이 일어나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잇는 특징을 갖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1. 산화제와 교반하고, 이를 오염물질에 투입하여 상기 오염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에 있어서,
    증류수에 질산코발트 6수화물(Co(NO3)2·6H2O)이 용해된 용액의 산성도가 9 내지 11이 되도록 암모니아수를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취득하는 단계와;
    증류수에 질산망간 6수화물(Mn(NO3)2·6H2O)이 용해된 용액에 상기 제1 혼합물에 투입하되, 코발트와 망간의 몰비가 2:1이 되도록 상기 용액에 상기 제1 혼합물을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180℃에서 8시간 동안 상기 제2 혼합물을 가열하여 코발트-망간 산화물(Co2MnO4)을 결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망간 산화물(Co2MnO4)을 결정화한 후 산화물을 증류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결정화된 상기 코발트-망간 산화물을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망간 산화물을 80℃에서 12시간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 제조방법.
  4. 오염수에 청구항 제1항에서 제조된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와, 산화제를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과황산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
KR1020200176096A 2020-12-16 2020-12-16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 KR10245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96A KR102456090B1 (ko) 2020-12-16 2020-12-16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96A KR102456090B1 (ko) 2020-12-16 2020-12-16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16A KR20220086016A (ko) 2022-06-23
KR102456090B1 true KR102456090B1 (ko) 2022-10-17

Family

ID=8222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096A KR102456090B1 (ko) 2020-12-16 2020-12-16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09087B (zh) * 2022-11-28 2024-05-03 安徽精公检测检验中心有限公司 一种四氧化三钴负载磷酸锰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4408A (zh) 2020-07-24 2020-11-24 浙江大学 一种固载化非均相芬顿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872A (ko) * 2015-09-10 2017-03-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과황산염 활성화 촉매,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난분해성 유기 화합물의 분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4408A (zh) 2020-07-24 2020-11-24 浙江大学 一种固载化非均相芬顿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16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ng et al. Pivotal roles of MoS2 in boosting catalytic degradation of aqueous organic pollutants by Fe (II)/PMS
JP7177220B2 (ja) 同時に、高濃度のアンモニア態窒素と、有機構成物を含む廃水の処理方法
CN109721148B (zh) 一种异质结界面电子传递诱导的具有溴酸盐削减能力的臭氧催化氧化水处理方法
CN111995112B (zh) 一种采用臭氧和芬顿工艺协同处理焦化废水的方法
KR102456090B1 (ko) 코발트-망간 산화물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물질 처리방법
JP4382556B2 (ja) シアン含有廃水の処理方法
JP5945682B2 (ja) シアン含有廃水の処理方法
CN109368764B (zh) 一种强化过硫酸盐氧化的水处理方法
KR20190138129A (ko) 펜톤 산화 반응용 촉매 및 상기 촉매를 이용한 폐수 처리 방법
CN115321660A (zh) 一种过渡金属氧化物活化亚氯酸盐选择性去除有机污染物的方法
JP4639309B2 (ja) シアン含有廃水の処理方法
KR100440250B1 (ko) 펜톤-제올라이트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CN110252239B (zh) 一种高效控制水中有机胂污染的方法
KR100495765B1 (ko) 펜톤산화처리용 산화철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산화철 촉매의 용도
KR20210119755A (ko) 바이오매스 기반 펜톤산화용 자성유기촉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성유기 촉매 및 그 용도
KR100495764B1 (ko) 펜톤산화처리용 철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산화철 촉매의 용도
CN112978996A (zh) 一种深度处理钛白粉生产废水中有机物与氨氮的方法
CN114573088B (zh) 一种利用铁-单宁酸同步氧化/混凝处理废水的方法及应用
KR20100034816A (ko)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제 제조방법
CN110540321A (zh) 一种类芬顿试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220021B1 (ko) 폐수 처리용 광촉매와 그 제조방법 및 이 광촉매를 이용한 폐수 처리 방법
CN113307350B (zh) 一种电镀废水中重金属快速沉淀和cod高效去除的高级氧化工艺
RU2749105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промышле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варианты)
CN113559840B (zh) 自氧化催化剂、制备方法、去除高盐废水中有机物的方法
Sahinkaya et al. THE APPLICATION OF Fe^ sup 0^/H^ sub 2^ O^ sub 2^ FOR COLOR REMO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