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962B1 -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962B1
KR102454962B1 KR1020210007536A KR20210007536A KR102454962B1 KR 102454962 B1 KR102454962 B1 KR 102454962B1 KR 1020210007536 A KR1020210007536 A KR 1020210007536A KR 20210007536 A KR20210007536 A KR 20210007536A KR 102454962 B1 KR102454962 B1 KR 10245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sensor
level
sensor assembly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5239A (en
KR102454962B9 (en
Inventor
구본수
최영락
정민호
류종렬
오건
홍성신
송현의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962B1/en
Publication of KR2022010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2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962B1/en
Publication of KR10245496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962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01H1/16Amplitu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세대 내 바닥 슬래브 또는 벽체 일측에 설치되는 진동센서어셈블리의 진동센서에서 측정된 진동데이터를 월패드의 분석모듈에서 기준값과 비교하여 진동레벨을 분류하고 표시부에 출력함으로써, 거주자 스스로 층간소음레벨 수준을 인지하여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고 거주자의 활동에 지나친 제약을 피할 수 있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세대 내 바닥 슬래브 또는 벽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골조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 골조 내에 사전 형성된 아웃렛 내부에 매립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센서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어 세대 내로 노출되는 커버플레이트 및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하우징 후방 측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골조 면에 밀착되는 ㄷ자 형상의 접촉부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인 진동전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센서어셈블리; 및 세대 내에 설치되는 월패드에 구비되는 것으로 진동센서에서 수신된 진동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진동레벨을 분류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신호를 받아 진동레벨에 따라 월패드의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vibration data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loor slab or wall in the apartment house with the reference value in the analysis module of the wall pad to classify the vibration level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unit, It is about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that can prevent disputes due to inter-floor noise by recognizing the level of noise level and avoid excessive restrictions on residents' activiti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bration sensor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floor slab or wall in an apartment house to measure the vibration of a frame, a housing that is embedded in an outlet pre-formed in the frame, a housing in which the vibration sensor is accommodated, and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housing A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which is an elastic member composed of a cover plate exposed into the household and a U-shaped body portion that is formed in a U-shape and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and a U-shaped contact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surface. A vibration sensor assembly comprising; and an analysis module for classifying the vibration level by comparing the vibration data received from the vibration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s provided in the wall pad installed in the household, and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of the wall pad according to the vibration level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analysis module a data processing unit including a main sign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Description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공동주택 세대 내 바닥 슬래브 또는 벽체 일측에 설치되는 진동센서어셈블리의 진동센서에서 측정된 진동데이터를 월패드의 분석모듈에서 기준값과 비교하여 진동레벨을 분류하고 표시부에 출력함으로써, 거주자 스스로 층간소음레벨 수준을 인지하여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고 거주자의 활동에 지나친 제약을 피할 수 있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vibration data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loor slab or wall in the apartment house with the reference value in the analysis module of the wall pad to classify the vibration level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unit, It is about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that can prevent disputes due to inter-floor noise by recognizing the level of noise level and avoid excessive restrictions on residents' activities.

주거용 건물로서 공동주택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세대 간 층간소음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As the use of multi-unit housing as a residential building is common, the damage caused by inter-floor noise between generations is increasing, which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층간소음은 공동주택에서 사람의 활동 등으로 인해 발생하여 다른 입주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소음을 말한다.Inter-floor noise refers to noise that is caused by human activities in an apartment building and causes damage to other occupants.

공동주택 건설에 사용되는 주재료인 콘크리트는 무겁고 밀실한 재료의 특성상, 동일한 두께의 다른 재료보다 말소리나 TV 소리 등과 같이 공기를 매개로 전달되는 소음인 공기전달음에 대해 차단성이 양호하다. Concrete, the main material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has better barrier properties against airborne noise, which is noise transmitted through air, such as speech or TV, than other materials of the same thickness due to the nature of the heavy and tight material.

반면, 아이들이 뛰는 소리, 물건이 떨어지는 소리, 가구의 이동으로 인한 소리, 어른의 발소리, 운동기구로 인한 소리 등 콘크리트 골조 면에 직접 가진되어 발생하는 충격음인 고체전달음은 인접 세대에 쉽게 전달되는 특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벽식 구조는 충격음이 벽을 타고 쉽게 전달되고, 하부 세대뿐 아니라 옆 세대나 대각선 세대 등 다른 인접 세대에도 소음을 유발한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of children running, the sound of falling objects, the sound of moving furniture, the sound of an adult's footsteps, and the sound of exercise equipment, etc., which are impact sounds generated by direct excitation on the concrete frame surface,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adjacent generations. There ar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wall-type structure, which constitutes most of the apartment houses in Korea, allows the impact sound to be easily transmitted through the wall, and causes noise not only in the lower household but also in other adjacent households such as the next generation or the diagonal generation.

이에 따라 바닥충격음을 차단하기 위한 일환으로 바닥 두께를 벽식 구조나 무량판 구조에서는 210㎜ 이상, 라멘 구조에서는 150㎜ 이상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해 바닥 구조체 위에 설치되는 완충재의 성능을 경량충격음에 대해 58dB 이하, 중량충격음에 대해 50dB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Accordingly, as a part of blocking the impact sound, the thickness of the floor is limited to 210 mm or more for wall-type structures or weightless plate structures, and 150 mm or more for ramen structures. 58 dB or less for impact sound and 50 dB or less for heavy impact sound.

그러나 이와 같은 바닥충격음 차단 구조에도 불구하고,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을 줄이기 위해서는 세대 사용자의 주의와 배려가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However, in spite of the floor impact sound blocking structure, it can be said that the attention and consideration of household user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 order to reduce disputes due to noise between floors.

이에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에서는 '공동주택의 입주자 및 사용자는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을 아래 [표 1] 에 따른 기준 이하가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Accordingly, in Article 3 of the "Rules on the Scope and Standards for Noise Between Floors in Apartment Houses", 'The occupants and users of an apartment house shall endeavor to keep the noise between floors in the apartment house below the standards according to [Table 1] below.' it is stipulated

층간소음의 기준Standard for noise between floors
층간소음의 구분

Classification of noise between floors
층간소음의 기준Standard for noise between floors
주간
06시~22시
weekly
06:00 to 22:00
야간
22시~06시
Nighttime
22:00 - 06:00
직접충격 소음direct impact noise 1분간 등가소음도1 minute equivalent noise level 4343 3838 최고소음도highest noise level 5757 5252 공기전달 소음airborne noise 5분간 등가소음도Equivalent noise level for 5 minutes 4545 4040

그러나 세대 내에서 어느 정도의 진동이 인접 세대에 불편을 야기할 정도의 소음을 유발하는지는 사용자가 객관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렵다. 이에 경우에 따라 일상적인 활동에도 불필요한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고, 세대 내 활동과 인접 세대 소음 발생 간 인과 관계가 명확하지 않아 분쟁 해결이 원활하지 못한 현실이다.However,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objectively determine how much vibration within a household causes noise enough to cause inconvenience to adjacent households. As a result, in some cases, daily activities are often subject to unnecessary restriction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within a household and noise generation in adjacent households is not clear, making it difficult to resolve disputes.

KRUS 10-126831810-1268318 B1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주자에게 세대 내 활동으로 인한 층간소음레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인접 세대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스스로 주의를 기울일 수 있어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sidents with information on the noise level between floors due to activities within the household, so that they can pay attention to themselves not to cause damage to adjacent households, thereby preventing disputes due to noise between floors in advance. We would like to provide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인접 세대에 소음 피해를 끼칠 것을 우려하여 세대 내 활동에 지나친 제약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that can prevent excessive restrictions on activities within a household for fear of causing noise damage to adjacent households.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공동주택 세대 내 바닥 슬래브 또는 벽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골조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 골조 내에 사전 형성된 아웃렛 내부에 매립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센서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어 세대 내로 노출되는 커버플레이트 및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하우징 후방 측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골조 면에 밀착되는 ㄷ자 형상의 접촉부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인 진동전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센서어셈블리; 및 세대 내에 설치되는 월패드에 구비되는 것으로 진동센서에서 수신된 진동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진동레벨을 분류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로부터 신호를 받아 진동레벨에 따라 월패드의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a vibration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a floor slab or wall in a multi-family house to measure the vibration of a frame, a housing that is embedded in an outlet pre-formed in the frame, a housing in which the vibration sensor is accommodated, the housing A cover plat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nit and exposed into the household, a body portion formed in a U-shape, both end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and a U-shaped contact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surface. a vibration sensor assembly including a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as a member; and an analysis module for classifying the vibration level by comparing the vibration data received from the vibration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s provided in the wall pad installed in the household, and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of the wall pad according to the vibration level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analysis module a data processing unit including a main sign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 It provides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에는 데이터처리부의 메인신호출력모듈로부터 신호를 받아 진동레벨에 따라 진동센서어셈블리의 표시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유닛신호출력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places, and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receives a signal from the main signal output module of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sends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according to the vibration level. It provides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unit signal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하우징의 사이에는 흡음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sound-absorbing pad is provided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housing.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분석모듈은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진동레벨을 인접 세대의 기준 지점에서의 소음레벨인 환산진동레벨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analysis module of the data processing unit converts the vibration level into a converted vibration level that is the noise level 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adjac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A monitoring system is provided.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분석모듈은 각 진동센서에서 측정된 진동데이터의 상관관계에 따라 가진 위치를 추적하고, 가진 위치에 따라 하부층 세대 내 기준 지점의 소음레벨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places, and the analysis module of the data processing unit tracks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the vibration data measured by each vibration sensor, and the position with It provides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cts the noise level of the reference point in the lower-floor household according to the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 세대 내 바닥 슬래브 또는 벽체 일측에 설치되는 진동센서어셈블리의 진동센서에서 측정된 진동데이터를 월패드의 데이터처리부에 구비된 분석모듈에서 기준값과 비교하여 진동레벨을 분류하고 이를 월패드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data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loor slab or wall in the apartment house is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in the analysis module provided in the data processing unit of the wall pad to classify the vibration level,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that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pad.

이에 따라 거주자는 세대 내 활동으로 인한 층간소음레벨 수준을 인지하여 인접 세대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스스로 주의를 기울여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을 방지하고, 세대 내 활동에 지나친 제약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residents can recognize the level of noise level between floors due to activities within the household and take care not to damage adjacent households, prevent disputes due to noise between floors, and prevent excessive restrictions on activities within the household. .

도 1은 본 발명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된 공동주택 세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진동센서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진동센서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진동센서어셈블리가 설치된 바닥 슬래브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진동센서어셈블리가 설치된 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진동전달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진동센서어셈블리의 설치 위치 및 가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도 16은 각 하중에 따른 해당층 진동레벨 및 하부층 소음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
1 is a plan view showing an apartment hous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is installe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sensor assembly;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vibration sensor assembly;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or slab on which a vibration sensor assembly is install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ll on which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is installe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8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and an excitation method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9 to 16 are graphs showing a corresponding floor vibration level and a lower floor noise level according to each load.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된 공동주택 세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n apartment house in which the noise monitoring system between flo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noise monitoring system between floo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동주택 세대(1) 내 바닥 슬래브(11) 또는 벽체(12)의 일측에 설치되어 골조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21)를 포함하는 진동센서어셈블리(2); 및 세대(1) 내에 설치되는 월패드(3)에 구비되는 것으로 진동센서(21)에서 수신된 진동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진동레벨을 분류하는 분석모듈(311) 및 상기 분석모듈(311)로부터 신호를 받아 진동레벨에 따라 월패드(3)의 표시부(30)로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신호출력모듈(312)을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31);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loor slab 11 or wall 12 in the apartment house 1, and a vibration sensor 21 for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frame. ) including a vibration sensor assembly (2); and an analysis module 311 and the analysis module 311 for classifying the vibration level by comparing the vibration data received from the vibration sensor 21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be provided in the wall pad 3 installed in the household 1 ) a data processing unit 31 including a main signal output module 312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nd outputting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30 of the wall pad 3 according to the vibration lev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 거주자에게 각 세대 내 활동으로 인한 층간소음레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인접 세대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스스로 주의를 기울여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고, 인접 세대에 소음 피해 끼칠 것을 우려하여 세대 내 활동에 지나친 제약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sidents, such as apartment houses, with information on the noise level between floors due to activities within each household, so as not to cause damage to adjacent households, to prevent disputes due to noise between floors in advance, and to prevent noise damage to adjacent households. We would like to provide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that can prevent excessive restrictions on activities within the household due to concerns.

본 발명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진동센서어셈블리(2)와 월패드(3)에 구비되는 데이터처리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vibration sensor assembly (2) and a data processing unit (31) provided in the wall pad (3).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공동주택 세대(1) 내 바닥 슬래브(11) 또는 바닥 슬래브(11)근처의 벽체(12) 일측에 설치된다.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loor slab 11 or the wall 12 near the floor slab 11 in the apartment house 1 .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바닥 슬래브(11)나 벽체(12)의 내부에 매립 가능한 것으로, 가진시 소음 및 진동 유발 영향이 가장 큰 거실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can be embedded in the floor slab 11 or the wall 12, and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where the noise and vibration inducement effect during excitation is the greatest.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세대(1) 내 사용자의 활동으로 인한 골조의 미세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21)가 내부에 탑재된다.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has a vibration sensor (21) for measuring the fine vibration of the frame due to the user's activity in the household (1) is mounted therein.

상기 진동센서(21)는 초소형화가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한 MEMS 진동센서를 사용 가능하다.The vibration sensor 21 can be miniaturized and a low-cost MEMS vibration sensor can be used.

상기 진동센서(21)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전처리모듈에서 FFT(Fast Fourier Transform) 함수에 의해 주파수로 변환되어 진동 분석에 사용된다.The data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21 is converted into a frequency by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function in the preprocessing module and used for vibration analysis.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진동센서(21)에서 측정된 진동데이터를 세대(1) 내에 설치된 월패드(3)에 내장된 데이터처리부(31)로 송신한다.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transmits the vibration data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21 to the data processing unit 31 built in the wall pad 3 installed in the household 1 .

상기 데이터처리부(31)는 세대(1) 내에 설치되는 월패드(3)에 구비된다. The data processing unit 31 is provided in the wall pad 3 installed in the household 1 .

상기 데이터처리부(31)는 분석모듈(311)과 메인신호출력모듈(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ata processing unit 31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nalysis module 311 and a main signal output module 312 .

상기 분석모듈(311)은 진동센서(21)에서 수신된 진동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진동레벨을 분류한다.The analysis module 311 classifies the vibration level by comparing the vibration data received from the vibration sensor 21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기준값은 복수 개로 설정하여 진동레벨을 구간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레벨은 무소음 수준, 일상 소음 수준, 경고 수준(법적 수준 초과시) 등으로 분류 가능하다.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in plurality to classify the vibration level for each section. For example, the vibration level can be classified into a silent level, a daily noise level, and a warning level (when the legal level is exceeded).

상기 진동레벨은 진동의 크기뿐 아니라 단위 시간당 허용 진동레벨 초과 횟수, 진동의 지속 시간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분류 가능하다.The vibration level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the number of times the allowable vibration level is exceeded per unit time, and the duration of the vibration, as well as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처리부(31)에서 진동레벨 수준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 안함, 둔감, 보통, 민감 등으로 조정 가능하다.A user or an administrator may arbitrarily adjust the vibration level level in the data processing unit 31 . For example, it can be adjusted to Off, Insensitive, Normal, Sensitive, etc.

상기 메인신호출력모듈(312)은 분석모듈(311)로부터 신호를 받아 진동레벨 분류에 따라 월패드(3)의 표시부(30)로 신호를 출력한다. The main signal output module 312 receives a signal from the analysis module 311 and outputs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30 of the wall pad 3 according to the vibration level classification.

진동레벨 등 출력되는 신호는 색상 변경을 통한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등일 수 있다.The output signal such as the vibration level may be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through color chang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대(1) 내 진동 수준을 스스로 인지하여 진동 유발 행위를 스스로 자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self-recognize the level of vibration within the household 1 and self-restraint the vibration-inducing behavior.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에는 데이터처리부(31)의 메인신호출력모듈(312)로부터 신호를 받아 진동레벨에 따라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표시부(20)로 신호를 출력하는 유닛신호출력모듈(271)이 포함될 수 있다.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places, and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receives a signal from the main signal output module 312 of the data processing unit 31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according to the vibration level. ) may include a unit signal output module 271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20 .

인접 세대에 층간소음 유발 정도는 가진점의 위치에 따라 다르므로,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복수 개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Since the degree of inducing inter-floor noise in adjacent households var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excitation point,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may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이 경우 각 진동센서어셈블리(2)에 표시부(20)를 설치하고, 유닛데이터처리부(27)의 유닛신호출력모듈(271)이 월패드(3)의 데이터처리부(31)에 구비된 메인신호출력모듈(312)로부터 신호를 받아 해당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진동레벨 신호를 표시부(20)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20 is installed in each vibration sensor assembly 2 , and the unit signal output module 271 of the unit data processing unit 27 outputs the main signal provided in the data processing unit 31 of the wall pad 3 . It is possible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module 312 and output a vibration level signal of the corresponding vibration sensor assembly 2 to the display unit 20 .

각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가진점에 가까울수록 측정되는 진동값이 크게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각 진동센서어셈블리(2)에서 개별적으로 진동레벨을 표시하여, 가진점에 근접하면 보다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In each vibration sensor assembly (2), the closer to the excitation point, the larger the measured vibration value appears. Therefore, by individually displaying the vibration level in each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t is possible to display a warning signal to the user more directly when the vibration level is close to the excitation point.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와 월패드(3)는 상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and the wall pad 3 may be connected by wire to transmit/receive signals to each other, or may us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Low Energy (BLE), which is a low-pow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도 3은 진동센서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진동센서어셈블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진동센서어셈블리가 설치된 바닥 슬래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진동센서어셈블리가 설치된 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ibration sensor assembly,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or slab on which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is installed,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ll on which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is installed.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상기 진동센서(21), 골조 내에 사전 형성된 아웃렛 내부에 매립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센서(21)가 수용되는 하우징(22) 및 상기 하우징(22)의 전면에 결합되어 세대(1) 내로 노출되는 커버플레이트(23)로 구성될 수 있다. 3 to 6 ,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embedded in the vibration sensor 21, an outlet pre-formed in the frame, and the vibration sensor 21 is accommodated in a housing 22 and It may be composed of a cover plate 23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2 and exposed into the household (1).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하우징(22) 내에 진동센서(21)를 내장하고, 전면에 커버플레이트(23)를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may be configured by embedding the vibration sensor 21 in the housing 22 and coupling the cover plate 23 to the front surface.

상기 하우징(22)은 골조 내에 박스아웃되어 사전 형성된 아웃렛(outlet) 내부에 매립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3)는 하우징(22)의 전면에 결합되어 골조 면 전면에 고정되는 부분이다.The housing 22 is a part that is boxed out in the frame and embedded in a pre-formed outlet. The cover plate 23 is a part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2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표시부(20)는 커버플레이트(23)가 세대(1) 내로 노출되는 면에 구비되어 진동레벨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where the cover plate 23 is exposed into the household 1 to display the vibration level.

도 5와 도 6에는 진동센서어셈블리(2)가 각각 골조인 바닥 슬래브(11)와 벽체(12) 내에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5 and 6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installed in the floor slab 11 and the wall 12, each of which is a frame.

바닥 슬래브(11)는 슬래브 골조(111), 완충재(112) 및 마감모르타르(113)가 차례대로 적층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마감모르타르(113)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loor slab 11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slab frame 111, the cushioning material 112, and the finishing mortar 113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may be located inside the finishing mortar 113. have.

아울러 상기 하우징(22)에는 진동센서(21)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월패드(3)의 데이터처리부(31)로 송신하고, 데이터처리부(31)의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부(20)로 진동레벨을 출력하기 위한 유닛데이터처리부(27)가 탑재된 PCB(26)가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22 processes the data of the vibration sensor 21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processing unit 31 of the wall pad 3 ,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31 and transmits the vibration level to the display unit 20 . The PCB 26 on which the unit data processing unit 27 for output is mounted may be accommodated.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플레이트(23)와 하우징(22)의 사이에는 흡음패드(24)가 구비될 수 있다. 3 and 4 , a sound absorbing pad 2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ver plate 23 and the housing 22 .

직접적인 골조 충격에 의한 충격음과 달리, 공기전달음은 인접 세대에 진동 소음을 유발하는 영향이 매우 작다. 따라서 공기전달음에 의한 진동 측정값의 변화를 차단하고 충격음에 의한 골조 진동만을 측정하기 위해, 커버플레이트(23)의 배면에 흡음판 등 흡음패드(24)를 설치할 수 있다. Unlike the impact sound caused by the direct frame impact, the airborne sound has very little effect on causing vibration noise to neighboring households. Therefore, in order to block the change in the vibration measurement value due to the air transmission sound and measure only the frame vibration due to the impact sound, a sound-absorbing pad 24 such as a sound-absorbing plate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late 23 .

이에 따라 세대(1) 내로 노출되는 커버플레이트(23)에 외부 소리가 전달된다 하더라도 흡음패드(24)의 흡음에 의해 내부의 진동센서(21)에는 외부 소리에 의한 영향이 차단된다. Accordingly, even if an external sound is transmitted to the cover plate 23 exposed into the household 1,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sound is blocked on the vibration sensor 21 inside by the sound absorption of the sound-absorbing pad 24.

상기 흡음패드(24)의 측면에는 표시부인 LED 모듈을 탑재하여, 커버플레이트(23)의 테두리 배면에서 진동레벨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side of the sound-absorbing pad 24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vibration level on the rear surface of the edge of the cover plate 23 by mounting an LED module as a display unit.

도 7은 진동전달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2)에는 일측이 골조에 접촉되는 진동전달플레이트(25)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and the like, the housing 22 may be provided with a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25 having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frame.

골조 내에 형성된 아웃렛에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하우징(22)을 삽입할 경우, 시공 오차 등으로 인해 하우징(22)이 아웃렛의 내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22) 내의 진동센서(21)가 골조의 진동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할 수 있다.When the housing 22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inserted into the outlet formed in the frame, the housing 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let due to a construction error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vibration sensor 21 in the housing 22 may not properly measure the vibration of the frame.

따라서 골조의 진동을 하우징(22)에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진동센서(21)에서 정확한 진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골조 면에 일측이 밀착되는 진동전달플레이트(25)를 하우징(22)에 구비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transmit the vibration of the frame directly to the housing 22 so that the vibration sensor 21 can accurately measure the vibration, a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25 having one sid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rame is provided in the housing 22. can

상기 진동전달플레이트(25)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하우징(22) 후방 측에 결합되는 본체부(251) 및 상기 본체부(251)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골조 면에 밀착되는 ㄷ자 형상의 접촉부(252)로 구성할 수 있다.The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25 is formed in a U-shape as a whole so th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51 are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22, and the C-shape protrudes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5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as a contact portion 252 having a shape.

상기 진동전달플레이트(25)는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하여 하우징(22)과 골조 면의 거리 유격에 대응하여 변형 가능하여, 접촉부(252)가 골조 면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25 is composed of a member having elasticity and can be deformed in response to the distance gap between the housing 22 and the frame surface, so that the contact portion 252 can be configured to always mainta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surface. have.

상기 데이터처리부(31)의 분석모듈(311)은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진동레벨을 인접 세대의 기준 지점에서의 소음레벨인 환산진동레벨로 환산할 수 있다. The analysis module 311 of the data processing unit 31 may convert the vibration level into a converted vibration level that is a noise level at a reference point of an adjac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

동일한 크기의 충격음이라 하더라도 가진점의 위치에 따라 인접 세대에 유발되는 진동 및 소음의 발생 양상은 상이하다.Even in the case of an impact sound of the same size, the generation of vibration and noise induced in adjacent household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excitation point.

이에 상기 데이터처리부(31)의 분석모듈(311)은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진동레벨을 실질적으로 인접 세대에서 예상되는 진동레벨인 환산진동레벨로 환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nalysis module 311 of the data processing unit 31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the vibration level into a converted vibration level that is a vibration level expected in an adjacent gen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

이를 위해 각 가진점에 따른 인접 세대 기준점의 진동레벨을 실측하여 진동DB에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분석모듈(311)은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위치에 따른 기준점의 진동레벨 값을 진동DB에서 탐색함으로써 최종 진동레벨인 환산진동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vibration level of the reference point of the adjacent generation according to each excitation point is measured and stored separately in the vibration DB, and the analysis module 311 searches the vibration level value of the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n the vibration DB.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converted vibration level, which is the final vibration level.

여기에서 상기 인접 세대는 충격음 발생 세대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하부층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djacent generation be set as the lower layer most affected by the impact sound generation generation.

도 8은 진동센서어셈블리의 설치 위치 및 가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6은 각 하중에 따른 해당층 진동레벨 및 하부층 소음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8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and an excitation method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and FIGS. 9 to 16 are graphs showing a corresponding floor vibration level and a lower floor noise level according to each load.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처리부(31)의 분석모듈(311)은 각 진동센서(21)에서 측정된 진동데이터의 상관관계에 따라 가진 위치를 추적하고, 가진 위치에 따라 하부층 세대(1) 내 기준 지점의 소음레벨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places, and the analysis module 311 of the data processing unit 31 tracks the position it ha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the vibration data measured by each vibration sensor 21 and , can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noise level of the reference point in the lower floor household (1) according to the position.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반면, 충격음 가진 위치는 세대(1) 내 다양한 지점에 위치할 뿐 아니라 충격음이 이동하면서 발생할 수도 있고, 세대 평면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 세대에 유발되는 진동이나 소음은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fixedly install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with the impact sound is not only located at various points in the household 1, but also may occur while the impact sound moves, and the plane of the household is also arranged in various shapes. Therefore, the vibrations or noises caused by neighboring households are affected by these various factors.

그러나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를 세대(1) 내 모든 위치에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actical difficulty in installing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at all positions in the household (1).

이에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를 2개소 이상 위치에 이격되도록 설치하면 가진점의 위치나 가진점의 이동 여부에 따라 각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진동데이터가 다양한 조합으로 생성되며, 이를 통해 가진점의 위치와 가진점의 이동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을 이용하여 인접 세대의 소음레벨을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wo or more positions, the vibration data of each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generated in various combina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excitation point or whether the excitation point moves,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point and whether the excitation point mov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noise level of an adjacent household using this combination.

도 8에는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설치 위치와 가진 위치 및 방식이 도시된다.8 show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and the position and method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

도 8에서 각 번호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가진 위치와 방식을 나타낸다. In FIG. 8, each number indicates various excitation positions and methods as follows.

①, ③: 벽체 하부 세로 방향 직진 뜀 하중, ①, ③: vertical running load on the lower part of the wall,

②: 거실 중앙부 세로 방향 직진 뜀 하중,②: The load of straight jum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living room,

④: 거실 중앙부 가로 방향 직진 뜀 하중,④: load of straight jumping in the central part of the living room,

⑤: 세대 내 최대 거리(주방-거실) 뜀 하중,⑤: Maximum distance within the household (kitchen-living room) jumping load,

⑥, ⑦: 진동어셈블리 근처 제자리 뛰기,⑥, ⑦: run in place near the vibrating assembly,

⑧: 거실 중앙부 제자리 뛰기.⑧: Jump in place in the center of the living room.

도 8의 ① 내지 ⑧과 같이 다양한 하중에 대해 2개의 지점에서 진동을 측정한 결과가 도 9 내지 도 16에 차례대로 도시된다. As shown in ① to ⑧ of FIG. 8 , the results of measuring vibrations at two points for various loads are sequentially shown in FIGS. 9 to 16 .

도 9 내지 도 16에서 (a)와 (b)는 각각 해당층 진동레벨과 하부층 소음레벨을 나타낸다. 9 to 16, (a) and (b) represent the corresponding floor vibration level and the lower floor noise level, respectively.

상기 해당층 진동레벨은 각 하중마다 2개의 진동센서 측정값이 상이한 결과와 조합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하부층 소음레벨 역시 다르게 발생함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corresponding floor vibration level shows different results and combinations of two vibration sensor measurement values for each load, and accordingly, the lower floor noise level also occurs differently.

이러한 실제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진동값-소음레벨, 진동값-가진 위치 및 방식의 상호 관련성을 추출하고, 이를 진동DB에 저장할 수 있다. Based on these actual measurement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vibration value-noise level, vibration value-with location and method can be extracted and stored in the vibration DB.

상기 데이터처리부(31)의 분석모듈(311)은 복수의 진동센서어셈블리(2)에서 측정된 진동데이터에 대해 해당 진동레벨에 매칭되는 소음레벨 데이터를 진동DB에서 조회하여 매칭하고, 산정된 예상 소음레벨을 기준으로 메인신호출력모듈(312)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The analysis module 311 of the data processing unit 31 searches the vibration DB for noise level data matching the corresponding vibration level with respect to the vibration data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 assemblies 2, and matches the calculated expected noise A warning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main signal output module 312 based on the level.

이에 따라 더욱 정밀한 소음레벨 추정이 가능하다. 즉, 2개의 진동센서 측정값으로부터 가진 위치 및 방식과 하부층 소음레벨을 산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more precise noise level estimation is possible. That is, the position and method and the noise level of the lower floor can be calculated from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two vibration sensors.

각 세대(1)의 데이터처리부(31)는 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31 of each generation 1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이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각 세대(1)의 진동데이터를 수집하여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 발생에 대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can prepare for the occurrence of disputes due to noise between floors by collecting vibration data of each household (1).

뿐만 아니라 지진 발생시 이로 인한 진동데이터는 각 세대(1)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값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고, 각 세대(1) 내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충격음과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In addition, the vibration data resulting from an earthquake has a certain correlation with the vibration values generated within each household (1), and the pattern is different from the impact sound individually generated within each household (1).

따라서 관리서버는 각 세대(1)의 진동데이터를 취합하여 지진 발생을 여부를 판단하고, 선제적인 조치를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management server may collect the vibration data of each household (1), determine whether an earthquake occurs, and use it as basic data for preemptive measures.

1: 세대 11: 슬래브
111: 슬래브 골조 112: 완충재
113: 마감모르타르 12: 벽체
2: 진동센서어셈블리 20: 표시부
21: 진동센서 22: 하우징
23: 커버플레이트 24: 흡음패드
25: 진동전달플레이트 251: 본체부
252: 접촉부 26: PCB
27: 유닛데이터처리부 271: 유닛신호출력모듈
3: 월패드 30: 표시부
31: 데이터처리부 311: 분석모듈
312: 메인신호출력모듈
1: Generation 11: Slab
111: slab frame 112: cushioning material
113: finishing mortar 12: wall
2: vibration sensor assembly 20: display part
21: vibration sensor 22: housing
23: cover plate 24: sound absorption pad
25: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251: body part
252: contact 26: PCB
27: unit data processing unit 271: unit signal output module
3: wall pad 30: display
31: data processing unit 311: analysis module
312: main signal output module

Claims (7)

공동주택 세대(1) 내 바닥 슬래브(11) 또는 벽체(12)의 일측에 설치되어 골조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21), 골조 내에 사전 형성된 아웃렛 내부에 매립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센서(21)가 수용되는 하우징(22), 상기 하우징(22)의 전면에 결합되어 세대(1) 내로 노출되는 커버플레이트(23) 및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하우징(22) 후방 측에 결합되는 본체부(251)와 상기 본체부(251)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골조 면에 밀착되는 ㄷ자 형상의 접촉부(252)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인 진동전달플레이트(25)를 포함하는 진동센서어셈블리(2); 및
세대(1) 내에 설치되는 월패드(3)에 구비되는 것으로 진동센서(21)에서 수신된 진동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진동레벨을 분류하는 분석모듈(311) 및 상기 분석모듈(311)로부터 신호를 받아 진동레벨에 따라 월패드(3)의 표시부(30)로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신호출력모듈(312)을 포함하는 데이터처리부(31);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The vibration sensor 2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loor slab 11 or the wall 12 in the apartment house (1) to measure the vibration of the frame, the vibration sensor 21 to be embedded in the outlet pre-formed in the frame A housing 22 in which is accommodated, a cover plate 23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2 and exposed into the household 1, and a body portion formed in a U-shape, both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22 ( 251) and a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ncluding a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25 which is an elastic member composed of a U-shaped contact portion 252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5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surface; and
An analysis module 311 and the analysis module 311 for classifying the vibration level by comparing the vibration data received from the vibration sensor 21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s provided in the wall pad 3 installed in the household 1 a data processing unit 31 including a main signal output module 312 that receives a signal from and outputs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30 of the wall pad 3 according to the vibration level;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제1항에서,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에는 데이터처리부(31)의 메인신호출력모듈(312)로부터 신호를 받아 진동레벨에 따라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표시부(20)로 신호를 출력하는 유닛신호출력모듈(271)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In claim 1,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places, and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receives a signal from the main signal output module 312 of the data processing unit 31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according to the vibration level. ) of the unit signal output module (271)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20),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23)와 하우징(22)의 사이에는 흡음패드(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In claim 1,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sound-absorbing pad (24) is provided between the cover plate (23) and the housing (22).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처리부(31)의 분석모듈(311)은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진동레벨을 인접 세대의 기준 지점에서의 소음레벨인 환산진동레벨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In claim 1,
Interfloor nois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ysis module 311 of the data processing unit 31 converts the vibration level into a converted vibration level that is the noise level 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adjacent househol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monitoring system.
제6항에서,
상기 진동센서어셈블리(2)는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처리부(31)의 분석모듈(311)은 각 진동센서(21)에서 측정된 진동데이터의 상관관계에 따라 가진 위치를 추적하고, 가진 위치에 따라 하부층 세대(1) 내 기준 지점의 소음레벨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모니터링 시스템.
In claim 6,
The vibration sensor assembly 2 is installed in at least two places, and the analysis module 311 of the data processing unit 31 tracks the position it ha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the vibration data measured by each vibration sensor 21 and , an inter-floor nois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cts the noise level of a reference point in the lower-floor household (1) according to the position.
KR1020210007536A 2021-01-19 2021-01-19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KR1024549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536A KR102454962B1 (en) 2021-01-19 2021-01-19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536A KR102454962B1 (en) 2021-01-19 2021-01-19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239A KR20220105239A (en) 2022-07-27
KR102454962B1 true KR102454962B1 (en) 2022-10-14
KR102454962B9 KR102454962B9 (en) 2023-07-13

Family

ID=8270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536A KR102454962B1 (en) 2021-01-19 2021-01-19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9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339A (en) 2022-10-27 2024-05-0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Inter-floor noise notify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759B1 (en) * 2022-09-29 2023-03-17 삼성물산 주식회사 Inter floor noise monitoring device
KR20240052262A (en)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노이즈프리 Apartment interfloor noise monitoring method for prevention and solution between noisy neighb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61B1 (en) * 2013-05-08 2013-07-22 동하정보기술 주식회사 A lamp switch diciding noise bewteen floor and system using it
KR102019824B1 (en) * 2018-08-24 2019-09-10 김재하 The apparatus of measuring for noise between floo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noise between floors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318B1 (en) 2011-07-15 2013-05-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rlayer vibration and noise measurement alarm device
KR101701594B1 (en) * 2015-02-09 2017-02-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Floor Impact Sounds in Multi-Story Residential Buildings
KR102185163B1 (en) * 2019-03-28 2020-12-01 (주)대우건설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61B1 (en) * 2013-05-08 2013-07-22 동하정보기술 주식회사 A lamp switch diciding noise bewteen floor and system using it
KR102019824B1 (en) * 2018-08-24 2019-09-10 김재하 The apparatus of measuring for noise between floor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noise between floors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339A (en) 2022-10-27 2024-05-0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Inter-floor noise notify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239A (en) 2022-07-27
KR102454962B9 (en)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962B1 (en)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Jeon et al. Review of the impact ball in evaluating floor impact sound
Lee et al. Effects of apartment building façade and balcony design on the reduction of exterior noise
Ljunggren et al. Correlation between sound insulation and occupants’ perception–Proposal of alternative single number rating of impact sound
Jakobsen Danish guidelines on environmental low frequency noise, infrasound and vibration
KR101647704B1 (en) Real tim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for floor impact sound of apartment houses
KR101268318B1 (en) Interlayer vibration and noise measurement alarm device
KR101795765B1 (en) Self-recognition Monitoring system of Interlayer noise and Interior Noise
KR101690006B1 (en) floor noise and floor vibration sensing system
KR10130833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or noises of apartment houses
Kuppelwieser et al. A tool for predicting vibration and structure-borne noise immissions caused by railways
JP2012021969A (en) Room and wiring tool
KR2018012331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Schöpfer et al. Measurement of transmission functions in lightweight buildings for the prediction of structure-borne sound transmission from machinery
KR102257683B1 (en) System for monitoring floor noise in multi story residential buildings
US10520356B2 (en) Apparatus,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Griefahn Noise control during the night
KR1021851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KR102510759B1 (en) Inter floor noise monitoring device
Scholl et al. Revision of ISO 717: why not use impact sound reduction indices instead of impact sound pressure levels? Part 2: application to different impact sources
KR1025652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Ljunggren et al. How to match building acoustic measurements with subjective judgments
Eom et al. Comparison in sound energy and spatial properties between direct and flanking transmitted floor impact sound in apartment house
Golubovic-Bugarski Assessment of human exposure to vibration and noise in residential buildings
KR101561849B1 (en) Device and system for tracing floor no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