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338B1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or noises of apartment houses - Google Patent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or noises of apartment hous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338B1
KR101308338B1 KR1020120018855A KR20120018855A KR101308338B1 KR 101308338 B1 KR101308338 B1 KR 101308338B1 KR 1020120018855 A KR1020120018855 A KR 1020120018855A KR 20120018855 A KR20120018855 A KR 20120018855A KR 101308338 B1 KR101308338 B1 KR 101308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ibration
display device
input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7306A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김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102012001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338B1/en
Publication of KR2013009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은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 또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 위층에 설치되어 소음 또는 진동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장치, 아래층에 설치되어 소음 또는 진동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장치, 위층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제2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입력장치, 아래층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제1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2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은 소음 또는 진동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영역 및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한다.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The inter-level noise management system is a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that measures the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 in real time, a first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to display information of the noise or vibration, and a noise or vibration information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The second display device to display, the first input device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pattern of the resident living on the upper floor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the input information for the living pattern of the resident living in the lower floor And a second input device having a first input unit for transmitting to a display device. The display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include a first display area for displaying noise or vibr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display area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living pattern of a resident.

Description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OR NOISES OF APARTMENT HOUSES}Floor no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OR NOISES OF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층간 소음을 관리할 수 있는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및 층간 소음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and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managing the interlayer noise generated in an apartment house.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건축물은 층간 바닥 슬래브에 의한 다층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는 상부층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하부층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주거생활이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최근에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저감 내지 차단하기 위한 각종 바닥구조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개발된 바닥구조는 대부분 바닥 슬래브 위에 흡차음이나 방진소재 등을 적층하고, 공기층을 적절히 형성하거나, 고무층과 섬유층, 흡음판 등을 여러 층으로 적층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 townhouse is composed of a multi-layered structure with floor floor slabs, and the floor structure of such a building causes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 to be transferred to the lower floor,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to living or work. It is often done.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between the floors,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various floor structures to reduce or block the inter-layer noise and vibration of the building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recent years, and most of the developed floor structures are sound absorbing or dust-proof materials on the floor slab. Etc. are laminated, and an air layer is formed suitably, or a rubber layer, a fiber layer, a sound absorption board, etc. are laminated | stacked in several layers.

그러나 최근까지 개발된 바닥구조만으로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어서, 여전히 층간소음 문제는 상/하부층 거주자들간의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층간소음을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이 층간소음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수단이지만, 층간소음을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은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용이하지 않다. However, the floor structure developed until recently cannot completely block the noise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s, and the problem of floor noise is still a cause of dispute between residents of upper and lower floors. While physically blocking interlayer noise completely is the most obvious means to solve the noise between layers, it is not easy in terms of technical as well as costly to physically block interlayer nois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층간 소음 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floor nois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the inter-floor noise problem that may occur between residents living in the apart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들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층간 소음 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층간 소음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an interlayer noise problem that may occur between residents living in an apartmen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은 공동 주택의 위층과 상기 위층의 하부에 위치한 아래층 사이의 층간 소음 문제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은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 제1 표시장치, 제2 표시장치, 제1 입력장치 및 제2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는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 또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장치는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아래층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장치는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표시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위층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상기 제2 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장치는 상기 아래층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아래층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상기 제1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은 상기 소음 또는 진동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loor noi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managing the inter-floor noise problem between the upper floor of the apartment house and the lower floor located below the upper floor. The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 first display device, a second display device, a first input device, and a second input device. The sound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and measure in real time the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nd display information on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ed by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The second display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lay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nd display information on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ed by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The first input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receive information on a living pattern of a resident living on the upper floor and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The second input device is provided on the lower flo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has a first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a living pattern of a resident living in the lower floor an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first display device. can do. The display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may include a first display area for displaying the noise or vibr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display area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resident.

상기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은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소음 또는 진동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level noise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level of the noise or vibrati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장치는 제2 입력부 및 전송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위층 거주자에 대한 상기 아래층 거주자의 경보 요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전송판단부는 상기 제2 입력부, 상기 제2 표시장치 및 상기 경보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소음 또는 진동의 레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2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경보 요구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경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경보장치가 경보음을 발생하게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put unit and a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The second input unit may receive an alarm request of the downstairs resident for the upstairs resident. The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unit,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alarm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provided when the level of the noise or vibration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alarm device may generate an alarm sound by transmi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larm request input to an input unit to the alarm device.

상기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은 신호처리장치 및 제어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소음 또는 진동과 간섭 반응이 일어나는 간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스피커는 상기 신호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간섭신호에 대응하는 간섭음을 방사할 수 있다. The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 control speaker.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to generate an interference signal in which an interference reaction occurs with the noise or vibration. The control speaker may be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to emit an interference sound corresponding to the interference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저비용으로 층간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interlayer noise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제2 입력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중앙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illustrated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input devic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4.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floo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having" is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elements, etc., and no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n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100)은 공동주택의 위층 및 이에 인접한 아래층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층간 소음 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100)은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110), 표시장치(120a, 120b), 입력장치(130a, 130b) 및 경보장치(140a, 140b)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inter-floor nois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managing the inter-floor noise problem that may occur between an upper floor of a multi-family house and a lower floor adjacent thereto. The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110, display devices 120a and 120b, input devices 130a and 130b, and alarm devices 140a and 140b. can do.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110)는 위층에 설치될 수 있다.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110)는 위층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110)는 위층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또는 위층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110)는 위층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위층의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sound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1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110 may measure the noise or vibration occurring in the upper floor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110 may include a microphone capable of measuring noise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 or a vibratio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110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ceiling, the wall or the bottom of the upper floor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stairs room.

표시장치(120a, 120b)는 위층에 설치된 제1 표시장치(120a) 및 아래층에 설치된 제2 표시장치(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장치(120a, 120b)는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110)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의 레벨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위층 거주자는 제1 표시장치(120a)에 표시되는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을 확인함으로써 스스로 소음 또는 진동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노력할 것이고, 아래층 거주자는 제2 표시장치(120b)에 표시되는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을 확인함으로써 현재 발생되는 소음 또는 진동에 대해 위층 거주자에게 주의를 줄 것인지 아니면 용인할 것인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isplay devices 120a and 120b may include a first display device 120a disposed on an upper layer and a second display device 120b disposed on a lower layer.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120a and 120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110 to display the level of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ed by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110 in real time. The occupant upstairs will try to reduce the occurrence of noise or vibration by checking the noise or vibration level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and the occupant downstairs can adjust the noise or vibration level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This will allow you to objectively determine whether to alert or tolerate upstairs residents for the current noise or vibration.

또한, 제1 표시장치(120a)는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장치(120b)는 위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위층 거주자는 제1 표시장치(120a)를 통하여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인지함으로써 특별히 소음을 감소시켜야 하는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고, 아래층 거주자는 제2 표시장치(120b)를 통하여 위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인지함으로써 미연에 위층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피해를 최소화하거나 위층 거주자의 상황을 이해함으로써 위층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보다 관대하게 용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 및 위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표시장치(120a)에 표시되는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는 아래층 거주자에 의해 직접 변경되거나 아래층 거주자에게 제공받은 정보를 기초로 관리자가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아래층 거주자는 후술될 입력장치(130a, 130b) 중 아래층에 설치된 제2 입력장치(130b)를 통하여 직접 자기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제1 표시장치(120a)는 제2 입력장치(130b)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아래층 거주자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관리자가 운영하는 관리서버(미도시)에 자신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자가 이를 기초로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제1 표시장치(120a)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표시장치(120b)에 표시되는 위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 역시 위층 거주자에 의해 직접 변경되거나 위층 거주자에게 제공받은 정보를 기초로 관리자가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위층 거주자는 입력장치(130a, 130b) 중 위층에 설치된 제1 입력장치(130a)를 통하여 직접 자기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제2 표시장치(120b)는 제1 입력장치(130a)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위층 거주자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관리자가 운영하는 관리서버에 자신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자는 이를 기초로 위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제2 표시장치(120b)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may further display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lower resident,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may further display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upper resident. Upstairs residents can set the time zone to reduce the noise in particular by recognizing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downstairs residents in advance through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the downstairs upstairs through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By knowing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ts' living patterns in advance, they will be able to tolerate the noise from upstairs more generously by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the noise from the upstairs. Information on the life patterns of the lower occupants and the life patterns of the upper occupants may change regularly or irregularly.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lower resident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may be directly changed by the lower resident or may be changed by the manager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lower resident. In detail, the resident of the lower floor directly inputs information on his / her living pattern through the second input device 130b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among the input devices 130a and 130b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is the second input dev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130b may be displayed. On the other hand, the downstairs residents input information about their living patterns on a management server (not shown) operated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manager displays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s of the downstairs residents bas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It may be displayed at 120a.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upstairs resident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may also be changed by the manager based on information directly provided by the upstairs resident or provided to the upstairs resident. Specifically, the upstairs occupant directly inputs information on his / her life pattern through the first input device 130a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among the input devices 130a and 130b,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uses the first input device 130a. You can display the information entered through). On the contrary, the upstairs resident inputs information on his or her life pattern to a management server operated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manager sends information on the upcoming resident's life pattern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Can also be displayed.

나아가, 제1 표시장치(120a)는 위층 거주자에 대한 아래층 거주자의 특별 요구사항을 더 표시할 수 있고, 제2 표시장치(120b)는 아래층 거주자에 대한 위층 거주자의 특별 양해사항을 더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시간대에 특별한 사정으로 인하여 평소보다 소음 발생을 줄여달라는 등과 같은 위층 거주자에 대한 아래층 거주자의 특별 요구사항을 제1 표시장치(120a)를 통하여 위층 거주자가 사전에 인지하고 아래층 거주자의 특별 요구사항에 부합하도록 소음을 줄인다면 아래층과 위층 사이의 층간 소음 문제는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층 거주자의 특별 요구사항은 입력장치(130a, 130b) 중 아래층에 설치된 제2 입력장치(130b)를 통하여 아래층 거주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위층 거주자의 사정으로 인하여 특정 시간대에 특별히 소음이 많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양해해 달라는 등과 같은 아래층 거주자에 대한 위층 거주자의 특별 양해사항을 제2 표시장치(120b)를 통하여 아래층 거주자가 사전에 인지하는 경우, 아래층 거주자는 스스로 소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므로 아래층과 위층 사이의 층간 소음 문제는 크게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위층 거주자의 특별 양해사항은 입력장치(130a, 130b) 중 위층에 설치된 제1 입력장치(130a)를 통하여 위층 거주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may further display the special requirements of the downstairs resident for the upstairs resident,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may further display the special understanding of the upstairs resident for the downstairs resident. have. The first-class display unit 120a recognizes the special requirements of the lower-class occupants for the upper-class occupants such as to reduce noise more than usual due to special circumstances at a certain time, and the upper-class occupant is informed in advance of the special requirements of the lower-class occupants. If the noise is reduced to match, the inter-layer noise problem between the lower and upper floors can be greatly improved. The special requirements of the lower occupants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lower occupants through the second input apparatus 130b installed on the lower one of the input apparatuses 130a and 130b. In addition, the noise of the upstairs residents may cause a lot of noise at a certain time du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upstairs residents. If perceived, the downstairs will be able to find ways to minimize noise damage on their own, so the inter-floor noise problem between the downstairs and the upstairs can be greatly improved. Special understanding of the upstairs residents can be directly input by the upstairs residents through the first input device 130a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of the input device (130a, 130b).

제1 표시장치(120a)가 소음 또는 진동의 실시간 레벨,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 및 아래층 거주자의 특별 요구사항을 표시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장치(120a)의 표시영역(121)은 소음 또는 진동의 실시간 레벨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121a),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121b) 및 아래층 거주자의 특별 요구사항을 표시하는 제3 표시영역(1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장치(120b) 역시 소음 또는 진동의 실시간 레벨, 위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 및 위층 거주자의 특별 양해사항을 표시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장치(120b)의 표시영역(121)은 소음 또는 진동의 실시간 레벨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121a), 위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121b) 및 위층 거주자의 특별 양해사항을 표시하는 제3 표시영역(121c)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displays a real-time level of noise or vibration,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lower occupant, and the special requirements of the lower occupant, as shown in FIG. The display area 121 displays a first display area 121a that displays a real-time level of noise or vibration, a second display area 121b that displays information about a living pattern of a lower resident, and special requirements of a lower resident. The third display area 121c may be included. When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also displays a real-time level of noise or vibration,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upper occupant, and the special understanding of the upper occupant, as shown in FIG. The display area 121 displays a first display area 121a that displays a real-time level of noise or vibration, a second display area 121b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upper resident, and special understandings of the upper resident. The third display area 121c may be included.

입력장치(130a, 130b)는 위층에 설치된 제1 입력장치(130a) 및 아래층에 설치된 제2 입력장치(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장치(130a)는 아래층에 설치된 제2 표시장치(120b)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위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 또는 위층 거주자의 특별 양해사항을 입력받아 이를 제2 표시장치(120b)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입력장치(130b)는 위층에 설치된 제1 표시장치(120a)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 또는 아래층 거주자의 특별 요구사항을 입력받아 이를 제1 표시장치(120a)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장치(130b)는 후술될 경보장치(140a, 140b) 중 위층에 설치된 제1 경보장치(140a)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아래층 거주자의 경보요구를 추가적으로 입력받아 위층에 설치된 제1 경보장치(140a)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s 130a and 130b may include a first input device 130a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and a second input device 130b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The first input device 130a is connected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upstairs residents or the special understanding of the upstairs residents,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 Can be sent. The second input device 130b is connected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lower resident or the special requirements of the lower resident. 120a). In addition, the second input device (130b) is connected to the first alarm device (140a)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of the alarm devices (140a, 140b) to be described later to further receive the alarm request of the resident of the lower floor, 1 Alarm device 140a can be operated.

도 3은 제2 입력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input device.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입력장치(140b)는 제1 표시장치(120a)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 및/또는 아래층 거주자의 특별 요구사항을 입력 받아 이를 제1 표시장치(120a)에 전송하는 제1 입력부(131), 아래층 거주자의 경보요구를 입력받는 제2 입력부(133), 제2 입력부(133)와 제2 표시장치(120b) 그리고 제1 경보장치(14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제2 입력부(133)에 입력된 경보요구에 따라 제1 경보장치(140a)가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작동하는 전송판단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전송판단부(135)는 제2 입력부(133)에 경보요구가 입력될 경우, 제2 표시장치(120b)로부터 제공되는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제1 경보장치(140a)가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즉, 전송판단부(135)는 제2 입력부(133)에 경보요구가 입력되더라도 제2 표시장치(120b)에 표시된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이를 제1 경보장치(140a)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전송판단부(135)에 의해 아래층 거주자에 의한 과도한 경보음 발생으로 인하여 위층 거주자가 피해를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층 거주자에 생성된 과도한 소음에 대해 소음 피해자인 아래층 거주자가 즉각적으로 소음 감소를 요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second input device 140b is connected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to input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 of the lower resident and / or the special requirements of the lower resident. A first input unit 131 which receives the first display unit 120a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display unit 120a, a second input unit 133 that receives an alarm request of a lower resident, a second input unit 133 and a second display unit 120b, and 1 is a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larm device 140a and operating so that the first alarm device 140a generates an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alarm request input to the second input unit 133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135). For example, when the alarm request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unit 133, the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135 may provide the first alarm device 140a only when the noise or vibration level provided from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 Can be activated to sound an alarm. That is, even if the alarm request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unit 133, the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135 does not transmit the noise or vibration level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120b to the first alarm device 140a when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Can be. The transmission judgment unit 135 not only prevents the upstairs residents from seeing damage due to excessive alarm sounds generated by the downstairs residents, but also promptly allows the downstairs who are the victims of noise to the excessive noise generated in the upstairs residents. May require noise reduction.

경보장치(140a, 140b)는 위층에 설치된 제1 경보장치(140a) 및 아래층에 설치된 제2 경보장치(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보장치(140a)는 제1 표시장치(120a) 및/또는 제2 입력장치(13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표시장치(120a)에 표시되는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경보장치(140a)는 제1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경보장치(140a)는 아래층 거주자의 경보요구로 인하여 제2 입력장치(130b)의 전송 판단부(135)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제2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경보음은 제1 경보음과 구별될 수 있는 다른 소리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경보음을 듣고 위층 거주자는 소음을 감소시키려 노력할 것이다.The alarm devices 140a and 140b may include a first alarm device 140a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and a second alarm device 140b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The first alarm device 140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and / or the second input device 130b to generate an alarm sound. For example, when the noise or vibration level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120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first alarm device 140a may generate a first alarm sound. In addition, the first alarm device 140a may generate a second alarm sound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135 of the second input device 130b due to an alarm request of a lower resident. The second alarm sound may be another sound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larm sound. Upon hearing these first and second alarm sounds, the upstairs occupants will try to reduce the noise.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100)은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을 능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장치(150) 및 간섭 신호에 따라 간섭음을 방출하는 제어 스피커(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장치(150)는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50)는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110)에 의해 측정된 소음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측정된 소음 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간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스피커(160)는 신호 처리 장치(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처리 장치(150)로부터 제공 받은 간섭 신호에 기초하여 소음과 간섭을 일으켜 소음을 소멸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간섭음을 방출할 수 있다.
The inter-level nois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device 150 for generating an interference signal for actively controlling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and a control speaker emitting the interference sound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signal. 160 may further include. The signal processor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nd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110. When the noise measured by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1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150 may generate an interference signal having a phase opposite to that of the measured noise signal. The control speaker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50 to emit interference sound that may cause noise and interference based on the interference signal provid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50 to dissipate or reduce the noise. have.

[실시예 2][Example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층에 2가구가 존재하는 3층짜리 공동주택이 도시되어 있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three-story apartment house in which two households exist on each floo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200)은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210), 모니터링 장치(230), 입력 장치(250) 및 중앙 처리 장치(2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floor noise manage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210, a monitoring device 230, an input device 250,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270. It may include.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210)는 공동주택 내의 각 집마다 설치된 복수의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210a, 210b, 210c, 210d, 210e, 210f)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들(210a, 210b, 210c, 210d, 210e, 210f)은 각각 해당 집의 실내 소음 또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들(210a, 210b, 210c, 210d, 210e, 210f) 각각은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및/또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들(210a, 210b, 210c, 210d, 210e, 210f)은 각각 해당 집의 실내 소음 또는 진동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해당 집의 천정, 벽면 또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sound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und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s 210a, 210b, 210c, 210d, 210e, and 210f installed in each house in the apartment house.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s 210a, 210b, 210c, 210d, 210e, and 210f may respectively measure indoor noise or vibration of the home in real time. In one example, each of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s 210a, 210b, 210c, 210d, 210e, and 210f may include a microphone capable of measuring noise and / or a vibratio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vibration.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s 210a, 210b, 210c, 210d, 210e, and 210f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ceiling, wall or floor of the home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indoor noise or vibration of the home. .

모니터링 장치(230)는 공동주택 내의 각 집마다 설치된 복수의 표시장치(230a, 230b, 230c, 230d, 230e, 230f)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들(230a, 230b, 230c, 230d, 230e, 230f) 각각은 해당 집에 설치된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210a, 210b, 210c, 210d, 210e, 210f)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210a, 210b, 210c, 210d, 210e, 210f)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의 레벨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들(230a, 230b, 230c, 230d, 230e, 230f)에 의하여 해당 집의 거주자는 자신의 집 실내 소음 또는 진동이 어느 정도인지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device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230a, 230b, 230c, 230d, 230e, and 230f installed in each house in the apartment house. Each of the display devices 230a, 230b, 230c, 230d, 230e, and 230f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s 210a, 210b, 210c, 210d, 210e, and 210f installed in the home, thereby providing a sound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 The levels of noise or vibration measured in 210a, 210b, 210c, 210d, 210e, and 210f may be displayed in real time. These display devices 230a, 230b, 230c, 230d, 230e, and 230f allow the residents of the home to objectively grasp how much noise or vibration is inside the house.

입력장치(250)는 공동주택 내의 각 집마다 설치된 복수의 입력기(250a, 250b, 250c, 250d, 250e, 250f)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기들(250a, 250b, 250c, 250d, 250e, 250f) 각각은 해당 집에 설치된 표시장치(230a, 230b, 230c, 230d, 230e, 230f) 및 후술될 중앙 처리 장치(270)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력기들(250a, 250b, 250c, 250d, 250e, 250f) 각각은 입력부(251) 및 전송판단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51)는 해당 집의 거주자의 경보요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례로, 입력부(251)는 입력 버턴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송판단부(253)는 입력부(251), 해당 집의 표시장치(230a, 230b, 230c, 230d, 230e, 230f) 및 중앙 처리 장치(270)에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되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입력부(251)에 입력된 경보요구에 해당하는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27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전송판단부(253)는 입력부(251)에 경보요구가 입력될 경우, 표시장치(230a, 230b, 230c, 230d, 230e, 230f)로부터 제공되는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입력부(251)에 입력된 경보요구에 대응하는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27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송판단부(253)는 입력부에 경보요구가 입력되더라도 표시장치(230a, 230b, 230c, 230d, 230e, 230f)에 표시되는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이를 중앙 처리 장치(270)로 전송하지 않는다. The input device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250a, 250b, 250c, 250d, 250e, and 250f installed in each house in the apartment house. Each of the input devices 250a, 250b, 250c, 250d, 250e, and 250f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s 230a, 230b, 230c, 230d, 230e, and 230f installed in the home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7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nnected. Each of the input devices 250a, 250b, 250c, 250d, 250e, and 250f may include an input unit 251 and a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253. The input unit 251 may receive an alarm request of a resident of the home. For example, the input unit 251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ch as an input button. The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253 is telecommunication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251, the display devices 230a, 230b, 230c, 230d, 230e, 230f,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70 of the home and satisfies a specific condition.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larm request input to the input unit 251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70. For example, when the alarm request is input to the input unit 251, the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253 is provided only when the noise or vibration level provided from the display devices 230a, 230b, 230c, 230d, 230e, and 230f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larm request input to the input unit 251 may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70. That is, even if an alarm request is input to the input unit, the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253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70 when the noise or vibration level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s 230a, 230b, 230c, 230d, 230e, and 230f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Do not send.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중앙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중앙 처리 장치(270)는 공동 주택의 관리실 또는 공동 주택 외부에 위치하는 관리자의 사무실에 설치될 수 있고, 각 집마다 설치된 표시장치들(230) 및 입력기들(250)과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270)는 메모리부(271), 판별부(273) 및 자료생성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271)는 각 집마다 설치된 표시장치(230)에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되고, 표시장치들(230)로부터 각 집의 실내소음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판별부(273)는 메모리부(2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각 집의 입력기(250)와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판별부(273)는 공동주택의 집들 중 특정 집으로부터 경보요구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경보 요구 신호를 받은 시간대에 해당 집의 실내 소음 신호 파형과 메모리부(271)에 저장된 다른 집들의 실내 소음 신호 파형들을 비교하여 해당 집의 실내 소음에 가장 영향을 미친 소음을 발생시키는 집을 판별할 수 있다. 자료생성부(275)는 메모리부(271) 및 판별부(27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부(271) 및 판별부(273)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각 집의 실내 소음에 관한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료생성부(275)는 메모리부(271)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기준값 이상의 소음을 발생시킨 횟수 및 시간대, 기준값 이상 소음의 주파수 특성 등의 자료를 생성할 수 있고, 판별부(273)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다른 집으로부터 경보요구를 받은 횟수 및 시간대 등에 대한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는 자료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자료를 기초로 공동 주택 거주자와 층간 소음에 대한 컨설팅 등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4 and 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70 may be installed in a management room of a multi-family house or an office of an administrator located outside the multi-family house, and display devices 230 and input devices installed in each house may be used. 250). The CPU 270 may include a memory 271, a determiner 273, and a data generator 275. The memory unit 27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230 installed in each house,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indoor noise of each house from the display devices 230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The determination unit 27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unit 271,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250 of each house. If the alarm unit 273 receives an alarm request signal from a specific house among the houses of the multi-family house, the indoor noise signal waveform of the house and the indoor noise signal of other houses stored in the memory unit 271 at the time when the alarm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waveforms can be compared to determine the house that produces the noise that most affected the indoor noise of the house. The data generating unit 27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unit 271 and the discriminating unit 273, and provides data on the indoor noise of each house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emory unit 271 and the determining unit 273. Can be generated. In detail, the data generation unit 275 may generate data such as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ng a noise above the reference value and the time perio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noise above the reference value, and the like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emory unit 271, and the determination unit 273.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data about the number of times an alarm request is received from another house and time zone can be generated. The manager will be able to consult with multi- dwellers and floor noise based on the data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on department.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은 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는 자료 생성부(275)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각각의 집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ter (not shown). The transmitter may periodically transmit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or 275 to each home.

층간 소음 관리 방법How to manage floor noise

[실시예 3][Example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층간 소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floor noise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층간 소음을 관리하기 위하여, 우선 공동주택의 위층 거주자와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아래층과 위층 거주자의 생활 정보는 소음 발생원에 대한 정보, 소음 발생 시간대에 대한 정보, 아래층과 위층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 위층 거주자에 대해 아래층 거주자가 요청하는 사항에 대한 정보, 아래층 거주자에 대해 위층 거주자가 요청하는 사항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층과 위층 거주자의 생활 정보는 전화상담 또는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정보를 중앙 관리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order to manage the noise between floor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living information of upper and lower residents of a multi-family house may be input. The living information of the downstairs and upstairs residents can be informed about the source of the noise, the time of the noise occurrence, information on the living patterns of the downstairs and the upstairs residents, information about the requirements of the downstairs for the upstairs, and about the downstairs.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request of the upstairs residents. The living information of the downstairs and upstairs residents can be grasped by telephone consultation or the Internet, and the grasped information can be input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이어서, 위층에 설치된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를 이용하여 위층에서 발생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sound or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floor may be measured in real time using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installed in the upper floor.

이어서, 위층에 설치되고 중앙 관리 시스템과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에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된 제1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 시스템에서 입력된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정보 및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을 표시하고, 아래층에 설치되고 중앙 관리 시스템과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에 전기통신적으로 연결된 제2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 시스템에서 입력된 위층 거주자의 생활정보 및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Then, using the first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and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ed by the living information and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of the lower floor occupant input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Levels are displayed and measured on the upper floor occupant's living information and noise or vibration meters input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using a second display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and the noise or vibration meter. The sound or vibration level can be displayed.

이어서, 제1 및 제2 표시장치를 통해 전송받은 소음 또는 진동 레벨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 시스템에서 위층 거주자의 생활 소음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위층 거주자의 생활 소음 자료는 소음 또는 진동의 세기를 나타내는 정보, 소음 또는 진동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 소음 또는 진동의 발생 시간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living noise data of the upstairs occupant may be generated by the central management system using information on the noise or vibration leve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devices. The living noise data of the upstairs occupant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tensity of noise or vibr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noise or vibration, and information on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noise or vibration.

관리자는 이러한 생활 소음 정보를 이용하여 위층 거주자 및 아래층 거주자에 대해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여 층간 소음 문제를 조정할 수 있다.Managers can use this noise information to provide tailored consulting for upstairs and downstairs residents to coordinate inter-floor noise issues.

[실시예 4]Example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라 층간 소음을 관리하기 위하여, 우선 공동 주택에 거주하는 피해 거주자의 층간 소음과 관련한 피해 상담을 접수할 수 있다. 피해 거주자의 상담 접수는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피해 거주자의 상담을 인터넷을 통하여 접수하는 경우, 상담 접수자의 인적사항 및 연락처, 공동 주택의 소음원에 대한 사항, 소음 발생 시간대, 상담 접수자의 피해상황, 상담 접수자의 현재 대처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order to manage the inter-floor nois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amage counseling relating to the inter-floor noise of the damage occupant living in the apartment house may be accepted. Consultation for victims can be done by telephone or via the Internet. For example, when the victim's consult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net, information on the counselor's personal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the noise source of the apartment house, the time of the noise occurrence, the damage situation of the counselor, the current countermeasures of the counselor, etc. Can be input.

거주자의 상담이 접수되면, 피해 거주자의 피해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피해 거주자의 피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우선 기초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기초자료는 위층 거주자의 생활 정보(출퇴근시간, 식사시간, 청소시간, 취침시간, 위층 거주자 자녀들의 노는 시간, 아래층 거주자에 바라는 사항, 관리소에 바라는 사항 등)와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정보(출퇴근시간, 휴식시간, 주요 소음발생시간대, 위층 거주자에 바라는 사항, 관리소에 바라는 사항 등)를 설문지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또다른 기초자료로서 실내 인테리어 사항, 예를 들면, 건물 구조, 슬라브 두께, 의자 스토프 사용 유무, 문 스토프 사용 유무, 소음방지매트 사용 유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또다른 기초자료로서 해당 공동 주택의 바닥충격음 측정 및 벽체 차음 성능 측정 등의 건물진단을 할 수 있다. 기초자료 파악 후, 피해 거주자의 생활소음을 측정할 수 있다. 피해 거주자의 생활소음은 층간소음이 주로 발생되는 시간대에 피해 거주자 집에 상주하여 실제 소음을 정밀소음계를 이용하여 3 내지 5회 측정하여 환경부 권고안(주간:55dBA 야간:45dBA)과 비교할 수 있다. 계속적인 소음 모니터링을 위하여, 아래층 집과 위층 집에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음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음기/진동센서, 표시장치, 경고장치 및 능동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기/진동기는 위층에 설치되어 위층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고, 표시장치는 소음기/진동기와 연결되고 아래층과 위층에 각각 설치되며 소음기/진동기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소음기/진동기는 위층 집의 천정, 벽, 바닥 등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소음기/진동기는 실내의 정확한 소음 또는 진동측정을 위해서 천정의 중앙등 주위에 설치된 이동장치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고, 측정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경보장치는 아래층과 위층에 각각 설치되고,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소음 또는 진동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이를 거주자에게 알려주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경보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능동소음제어장치는 소음기/진동기에 연결되고 소음기/진동기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와 소멸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소리 또는 진동을 생성하여 방사할 수 있다. When a resident's consultation is received, the damage of the victim can be measured. Basic data can be collect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damage to the affected residents. Basic data includes living information (commute time, meal time, cleaning time, bedtime, uptime, children's playtime, downstairs 'wishes, wishes for the resident's life), and downstairs' living information (commute time, The questionnaire can be used to identify break times, major noise generation periods, requirements for upstairs residents, and requirements for the station. As another basic data, it is possible to grasp the interior interior details, such as building structure, slab thickness, the use of chair stops, the use of door stops, the use of noise-proof mats, and so on. As another basic data, the building diagnosis such as floor impact sound measurement and wall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apartment can be performed. After grasping the basic data, the living noise of the victim can be measured. The living noise of the victims can be compared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recommendation (day: 55dBA night: 45dBA) by staying in the victim's house during the time when the floor noise is mainly generated and measuring the actual noise three to five times using a precision sound level meter. For continuous noise monitoring, noise monitoring systems can be installed in downstairs and upstairs homes. Specifically, the noise monitoring system may include a silencer / vibration sensor, a display device, a warning device and an active noise control device. The muffler / vibrator is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to measure the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upper floor, and th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muffler / vibrator and installed on the lower and upper floors respectively, and the noise or vibration level measured by the muffler / vibrator in real time I can display it. The muffler / vibrator can be installed on the ceiling, walls, or floor of an upper house. In addition, the silencer / vibrator can be moved through a mobile device installed around the center of the ceiling for accurate noise or vibration measurement in the room, it can be installed to adjust the measurement direction. The alarm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and the upper floor, respectively, and when the noise or vibr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may generate an alarm sound or notify the residents of the alarm. The active noise control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muffler / vibrator and generate and radiate sound or vibration that may cause extinction interference when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ed by the muffler / vibrator exceeds a reference value.

이어서, 측정된 거주자의 피해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소음 피해 측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된 위층 거주자 및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 정보를 기초로 위층 및 아래층 거주자의 생활패턴 시간표를 작성하고,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의 시간에 따른 레벨표를 작성하여, 생활소음 집중 자제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건물하자진단의 결과 및 측정된 생활소음을 기초로 소음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하여, 소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건물 마감재, 가구배치, 소음 방지 용품 등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damage of the measured occupants can then be analyzed.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life patterns of the upstairs and downstairs residents collected as basic data for noise damage measure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rive time to concentrate on living noise. In addition, by applying the noise simulation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building defect diagnosis and the measured living noise, it is possible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furniture arrangements, noise prevention products and the like that can reduce the noise damage.

이러한 피해정도 분석이 완료되면, 위층과 아래층 거주자의 피해정도 및 보완책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생활소음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제시된 해결책을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중재 아래 위층 거주자와 아래층 거주자의 협의가 필요할 것이다. When the damage analysis is completed, a report on the damage and supplementary measures of the upper and lower residents can be prepared, and based on this, a solution to solve the noise of living noise can be suggeste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roposed solution would require consultation between upstairs and downstairs under expert inter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저비용으로 층간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interlayer noise at low cos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Claims (8)

삭제delete 공동 주택의 위층과 상기 위층의 하부에 위치한 아래층 사이의 층간 소음 문제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 또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장치;
상기 아래층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장치;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표시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위층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제2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입력장치;
상기 아래층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아래층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제1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2 입력장치; 및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소음 또는 진동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inter-floor noise problem between the upper floor of the apartment house and the lower floor located below the upper floor,
A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and measuring the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in real time;
A first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ed by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 second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lower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ed by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 first input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a living pattern of a resident living in the upper floo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A second input device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having a first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a living pattern of a resident living in the lower floor and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And an alarm device disposed on the upper flo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level of the noise or vibrati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Noise management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장치는,
상기 위층 거주자에 대한 상기 아래층 거주자의 경보 요구를 입력받는 제2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 상기 제2 표시장치 및 상기 경보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소음 또는 진동의 레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2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경보 요구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경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경보장치가 경보음을 발생하게 하는 전송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input device,
A second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alarm request of the downstairs resident for the upstairs residen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unit,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alarm device, and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device only when the level of the noise or vibration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a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larm request to the alarm device to cause the alarm device to generate an alarm sound.
공동 주택의 위층과 상기 위층의 하부에 위치한 아래층 사이의 층간 소음 문제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 또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장치;
상기 아래층에 설치되고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소음 또는 진동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장치;
상기 위층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표시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위층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제2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입력장치;
상기 아래층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아래층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제1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2 입력장치;
상기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소음 또는 진동과 간섭 반응이 일어나는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장치; 및
상기 신호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간섭신호에 대응하는 간섭음을 방사하는 제어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inter-floor noise problem between the upper floor of the apartment house and the lower floor located below the upper floor,
A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and measuring the noise or vibration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in real time;
A first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ed by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 second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lower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ed by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A first input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flo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a living pattern of a resident living in the upper floo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A second input device installed on the lower flo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having a first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a living pattern of a resident living in the lower floor and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first display device;
A signal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to generate an interference signal having an interference reaction with the noise or vibration; And
And a control speaker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to emit an interference sound corresponding to the interference signal.
공동주택 내의 복수의 집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집의 소음 또는 진동을 측정하는 복수의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를 포함하는 소음 또는 진동 측정 장치;
상기 복수의 집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해당 집의 소음 또는 진동 레벨을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복수의 표시장치 또는 상기 복수의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소음 또는 진동 측정기들에 의해 측정된 실내 소음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실내 소음 정보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집 중 제1 집에서 측정된 실내 소음에 가장 영향을 미친 소음을 발생시킨 제2 집을 특정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A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houses in the apartment hous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devices for measuring the noise or vibration of the house;
A monitoring device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houses, the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units, respectively, to display the noise or vibration level of the corresponding house; And
A memor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or the plurality of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instruments to store indoor noi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noise or vibration measuring instruments, and the indoor nois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ing a discriminating unit to identify a second house that has generated a noise most affecting the indoor noise measured in the first house among the plurality of hou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집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판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입력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제1 집에 설치된 입력기를 통하여 경보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경보신호가 입력된 시간대에 상기 제1 집에서 측정된 소음에 가장 영향을 미친 소음을 발생시킨 상기 제2 집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further includes an input device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us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alarm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nstalled in the first house, the determination unit specifies the second house that generated the noise that most affected the noise measured in the first house in the time zone when the alarm signal was input.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판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집의 실내 소음에 관한 자료를 생성하는 자료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내 소음에 관한 자료는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소음을 발생시킨 횟수와 시간대, 상기 기준값 이상인 소음의 주파수 및 상기 판별부에 의해 다른 집 소음에 영향을 미친 집으로 특정된 횟수와 시간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data genera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unit and the determination unit to generate data regarding indoor noise of the plurality of houses.
The data on the indoor noise may include the number of times and time zones in which noise is generated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frequency of noise above the reference value, and the number of times and time zones specified as homes affected by other house noises by the determination unit.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실내 소음에 관한 자료를 상기 복수의 집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loor nois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on the indoor noise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on unit to the plurality of houses.


KR1020120018855A 2012-02-24 2012-02-24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or noises of apartment houses KR101308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855A KR101308338B1 (en) 2012-02-24 2012-02-24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or noises of apartment hou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855A KR101308338B1 (en) 2012-02-24 2012-02-24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or noises of apartment hou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06A KR20130097306A (en) 2013-09-03
KR101308338B1 true KR101308338B1 (en) 2013-09-17

Family

ID=4944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855A KR101308338B1 (en) 2012-02-24 2012-02-24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or noises of apartment hous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33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964A (en) * 2013-12-31 2015-07-08 가람전자(주)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Inter sound alerts
KR20150130176A (en) 2014-05-13 2015-11-23 (주)몽태랑인터내셔날 Cloud-based nois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716445B1 (en) 2015-11-20 2017-03-15 (주)화봉전기 The noise between floors real time treatment and reduction guiding system
KR101859282B1 (en) * 2016-09-06 2018-05-18 전성필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ice for Consideration Between Neighbors Over Noise
KR102014370B1 (en) 2018-11-28 2019-08-26 김준서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for an apartment house using repetitive noi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976B1 (en) * 2013-09-04 2015-01-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inter-floor noise
KR101965659B1 (en) * 2018-09-28 2019-08-13 한국토지주택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verting interlayer noise based on resident tendency
CN114650267A (en) * 2020-12-21 2022-06-21 全星泌 Interlayer neighbor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dispute
KR102522208B1 (en) * 2021-05-24 2023-04-14 홍정아 Method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in apartment houses by deducting pre-purchased mileage
KR102469970B1 (en) 2022-01-14 2022-11-23 이상철 System for having function alert floor noi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4500A (en) 2003-09-10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ctive type vibration noise controller
KR20090081560A (en) * 2008-01-24 2009-07-29 전찬배 Warning device of floor noise in the building
JP2011237856A (en) * 2010-05-06 2011-11-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Noise detection system and noise det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4500A (en) 2003-09-10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ctive type vibration noise controller
KR20090081560A (en) * 2008-01-24 2009-07-29 전찬배 Warning device of floor noise in the building
JP2011237856A (en) * 2010-05-06 2011-11-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Noise detection system and noise detection method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964A (en) * 2013-12-31 2015-07-08 가람전자(주)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Inter sound alerts
KR101630308B1 (en) * 2013-12-31 2016-06-14 가람전자(주)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Inter sound alerts
KR20150130176A (en) 2014-05-13 2015-11-23 (주)몽태랑인터내셔날 Cloud-based nois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716445B1 (en) 2015-11-20 2017-03-15 (주)화봉전기 The noise between floors real time treatment and reduction guiding system
KR101859282B1 (en) * 2016-09-06 2018-05-18 전성필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ice for Consideration Between Neighbors Over Noise
US10297118B2 (en) 2016-09-06 2019-05-21 Sungpil CHU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etween neighbors to prevent dispute over noise travelling between neighbors
US20190259252A1 (en) * 2016-09-06 2019-08-22 Sungpil CHU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etween neighbors to prevent dispute over noise travelling between neighbors
US10943443B2 (en) 2016-09-06 2021-03-09 Sungpil CHU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etween neighbors to prevent dispute over noise travelling between neighbors
KR102014370B1 (en) 2018-11-28 2019-08-26 김준서 An interlayer noise management system for an apartment house using repetitive no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06A (en)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33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oor noises of apartment houses
CA3127796C (en) Home emergency guidance and advisement system
US20200329057A1 (en) Cable assembly
KR101343345B1 (en) Generating system of information for noises between staris with preventing thief and complain of noises
KR101647704B1 (en) Real tim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for floor impact sound of apartment houses
KR20090081560A (en) Warning device of floor noise in the building
JP2012021969A (en) Room and wiring tool
KR101268318B1 (en) Interlayer vibration and noise measurement alarm device
KR20160146111A (en) Self-recognition Monitoring system of Interlayer noise and Interior Noise
KR20130080329A (en) Alarm system for noise and vibration between upper floor and lower floor
US201803241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disturbance on a physical transmission line
JP5116986B2 (en) Elev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0515091B1 (en) Digital Fire Detecting Device, Integrated Fir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
KR20220105239A (en)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KR102257683B1 (en) System for monitoring floor noise in multi story residential buildings
KR101716445B1 (en) The noise between floors real time treatment and reduction guiding system
JP2003207568A (en) Obstacle detection system and disaster prevention network
JP2019040282A (en) Use status management system
CN209416487U (en) A kind of tunnel protection door vibration monitor system that photoelectricity combines
WO2022046541A1 (en) Mapping acoustic properties in an enclosure
KR20160080522A (en) Interfloor Noise Prevention System
KR102008332B1 (en) Floor noise notice system
CN102795523B (en) Earthquake control running system for elevator
KR20200109185A (en) Interlayer noise monitoring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
KR202001144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