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952B1 -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952B1
KR102454952B1 KR1020200122562A KR20200122562A KR102454952B1 KR 102454952 B1 KR102454952 B1 KR 102454952B1 KR 1020200122562 A KR1020200122562 A KR 1020200122562A KR 20200122562 A KR20200122562 A KR 20200122562A KR 102454952 B1 KR102454952 B1 KR 10245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ater
frame
barn
shield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063A (ko
Inventor
송기종
Original Assignee
송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종 filed Critical 송기종
Priority to KR102020012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95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 Y02P60/52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use of renewable energ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측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와 평행하고, 상기 바디의 좌측 상단에 설치되는 'ㄷ'형상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된 장방형의 베어링블럭과, 상기 베어링블럭의 베어링에 일측이 결합되며 회전이 가능한 축과, 일측은 상기 축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의 최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축에 권취되거나 상기 바디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펼쳐져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막과,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축의 타측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축의 회전에 따라 차광막이 펼쳐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일측에 바디의 상부와 평행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송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차광막을 이용하여 축사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바디의 하단에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관과, 상기 수관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바디 하단으로 흐르며, 흘러나온 물을 다시 상기 수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처마의 빗물받이와 연결되고 펌프를 구비하는 물탱크로 구성되어, 상기 차광막 아래의 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축사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THE COOLING SYSTEM AT THE TOP OF THE CATTLE SHED}
본 발명은 축사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측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와 평행하고, 상기 바디의 좌측 상단에 설치되는 'ㄷ'형상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된 장방형의 베어링블럭과, 상기 베어링블럭의 베어링에 일측이 결합되며 회전이 가능한 축과, 일측은 상기 축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의 최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축에 권취되거나 상기 바디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펼쳐져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막과,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축의 타측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축의 회전에 따라 차광막이 펼쳐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일측에 바디의 상부와 평행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송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차광막을 이용하여 축사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바디의 하단에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관과, 상기 수관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바디 하단으로 흐르며, 흘러나온 물을 다시 상기 수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처마의 빗물받이와 연결되고 펌프를 구비하는 물탱크로 구성되어, 상기 차광막 밑의 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축사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을 개시한다.
통상적으로 축사를 신축할 때 축사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축사 내부에 냉난방 설비를 설치하고, 환기시스템을 구비하여 외부 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농가의 시설작물의 재배시설이나 가축사육을 위한 축사는 작물,가축의 성장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돼지나 닭을 사육하기 위한 축사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사료 섭취율 저하, 분만율 저하, 집단폐사 등이 발생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특허 제0690078호에는 지하수를 이용한 농축산용 냉난방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 특허 제2002-0091611호에는 지열 및 배출공기의 열 에너지를 이용한 냉난방 및 공기정화 장치 겸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축사용 냉난방장치는 보조 열원으로 지하수를 이용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단위 축사단지에 설치하는데에 경제적 효율성 측면을 고려하여 설치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있어왔다.
특히 닭과 같은 가축을 사육하는 양계장과 같은 경우 약 25℃ 의 기온을 유지하여야 성장에 가장 적절하고, 여름철과 같이 온도가 높아지면 대량 폐사되어 축산농가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게 되므로, 축사에 냉방장치를 설치, 사용하여 실내 기온을 낮추어 주고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아지면 활동력과 식욕이 떨어지며 발육, 성장이늦어져 열풍기와 같은 난방장치를 사용하여 기온을 높혀 주어야 한다.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실내 공기를 적절한 온도로 낮추며 습도와 환기 등을 적합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온도 조절 특히 냉방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지하수를 이용한 수막시설 및 실내에 스프링 쿨러나 분무기로 물을 분사하여 축사 내부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방시설과, 대형 에어콘 또는 대형 선풍기 등을 가동하여 축사 내부를 냉방시키는 시설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지하수를 이용하는 수막시설 및 이를 이용한 스프링 쿨러, 분무기 분사 방식에 의해 축사 내부를 냉방시킬 경우, 습도가 상당하게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형 에어컨 또는 대형 선풍기를 이용하는 경우, 전기 사용료가 상당하여 축사 농가에 상당한 부담을 안겨주게 되는 등, 경제적 어려움과 시설면에서의 비효율성 문제가 대두 된다.
등록 특허 제0690078호 공개 특허 제10-2002-0091611호 공개 특허 제10-2017-012339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여러 시설물들에 적합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축사 내부의 냉방 효율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축사 냉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의 상부에서 물을 이용한 냉각 시스템을 통해 냉각 효과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축사 내 냉방시스템과 함께 냉방 효율성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의 상부에서 물을 이용한 냉각시스템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광막을 이용하여 축사 상부에 도달하는 햇빛 양을 조절하여 축사 냉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은 축사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측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와 평행하고, 상기 바디의 좌측 상단에 설치되는 'ㄷ'형상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된 장방형의 베어링블럭과; 상기 베어링블럭의 베어링에 일측이 결합되며 회전이 가능한 축과; 일측은 상기 축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의 최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축에 권취되거나 상기 바디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펼쳐져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막과;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축의 타측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축의 회전에 따라 차광막이 펼쳐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일측에 바디의 상부와 평행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송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차광막을 이용하여 축사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바디의 하단에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관과; 상기 수관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바디 하단으로 흐르며, 흘러나온 물을 다시 상기 수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처마의 빗물받이와 연결되고 펌프를 구비하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차광막 아래의 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축사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하단에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관과, 상기 수관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바디 하단으로 흐르며, 흘러나온 물을 다시 상기 수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처마의 빗물받이와 연결되고 펌프를 구비하는 물탱크로 구성되어, 상기 차광막 아래의 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축사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광막이 축에 완전히 감겨 상기 축이 상기 바디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와 상기 차광막이 펼쳐져 상기 바디 상단을 모두 덮은 경우, 센서에서 수신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이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축사의 상부에 복수 개의 파이프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프레임, 상기 각각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은, 가장 긴 프레임의 일부가 턴버클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광막은,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편물로 이루어져 햇빛을 차단하여 축사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관은, 일측은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은 밀폐되어, 상기 물탱크에서 상기 수관으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수관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ㄷ'형상의 수납프레임이 더 구비되어 상기 차광막에 상기 축에 권취되었을 때 상기 수납프레임에 수납되고, 상기 수납프레임과 상기 바디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차광막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와이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의 전체를 덮기 위하여 일정 두께의 철사가 격자형으로 용접된 용접철망이 더 구비되어, 상기 차광막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이용하여 축사 내 냉방 효율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되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축사 내부 냉방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한 냉방과 햇빛 차단을 통한 냉방의 복합적 냉방 시스템을 통해 냉방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사용되는 물과 햇빛 차단을 이용한 냉방 시스템으로, 유지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상부 냉각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3은 본 발명의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5는 본 발명의 차광막이 펼쳐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면도와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축사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측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상부와 평행하고, 상기 바디(10)의 좌측 상단에 설치되는 'ㄷ'형상의 가이드프레임(2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된 장방형의 베어링블럭(21)과, 상기 베어링블럭(21)의 베어링에 일측이 결합되며 회전이 가능한 축(22)과, 일측은 상기 축(22)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10)의 최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축(2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축(22)에 권취되거나 상기 바디(1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펼쳐져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막(30)과, 상기 축(22)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축(22)의 타측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구동장치(40)와, 상기 구동장치(40)가 상기 축(22)의 회전에 따라 차광막이 펼쳐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 일측에 바디의 상부와 평행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장치(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송프레임(41);으로 구성되어, 상기 차광막을 이용하여 축사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축사의 지붕 위에 설치된다.
일반적인 축사의 지붕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ㅅ'형상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구애받지 않도록 본 발명의 축사 상부 냉각 시스템의 상부가 일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디(10)의 측면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한다. 도 1에서는 축사는 일정부분 생략하여 일부만 도시하였다.
상기 바디(10)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10)를 이루는 프레임은 측면이 사각, 원형 등 다양한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앞에서 제시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디(10)는 크게 하부프레임(11), 상부프레임(12), 수직프레임(13)으로 나뉘어서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만을 도시한 도 2,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축사의 지붕에 붙는 복수 개의 하부프레임(11), 상기 하부프레임과 수직하게 결합되며, 복수 개의 길이가 서로 다른 프레임으로 되는 수직프레임(13), 상기 수직프레임(13)과 결합되어 상기 바디(10)의 기울어진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프레임(11)은 축사의 지붕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를 축사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13)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바디(10)의 상부가 일정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수직프레임(13)의 끝을 연결한 형태의 상기 상부프레임(12)은 도 2에서와 같이 바디의 상부를 구성한다.
즉, 상기 수직프레임(13)의 길이변화로 인해 상기 바디(10)의 측면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는 상기 바디의 상부가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좌측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ㄷ'형 프레임의 가이드프레임(2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내부에 직육면체 형태의 베어링블록(21)이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블록(21)은 짧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는 상기 'ㄷ'형 플레임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높이 및 너비를 가진다.
상기 베어링블록(21)의 중앙에는 회전축이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블록(21)에 연결되는 축(22)은 길이방향으로 차광막(30)이 연결되어 있어 도 4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상면을 이동하면서 상기 차광막(30)을 펼칠 수 있다.
상기 축(22)의 타측은 구동장치(4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40)가 제어됨에 따라 회전하여 외주면에 결합된 상기 차광막(30)이 권취되거나, 펼쳐진다.
상기 차광막(30)은 일측이 상기 축(22)의 길이방향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바디(10)의 최상단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바디(10)의 최상단에 수납프레임(70)을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축에 상기 차광막(30)이 권취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22)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40)는 일반적으로 전기모터를 사용하며,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수단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바디(10)의 오른편에서 상기 축(22)과 연결되어 상기 축(22)에 회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구동장치(4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10)의 오른쪽에 상기 바디의 상단과 같은 각도를 가지는 가이드프레임(41)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41)은 측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상기 구동장치(40)의 하부와 일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이 측면이 사각형인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장치(40)의 하부에는 좌측이 열린 역 'ㄷ'자 형태의 브라켓이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을 따라 상기 구동장치(40)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의 회전이 상기 축(22)에 연결된 차광막이 감기는 방향으로 가해지면 차광막이 축에 권취되면서 상기 구동장치(40) 및 축(22)이 상기 바디(10)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이 상기 축에 연결된 차광막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면 차광막이 상기 바디의 상단을 덮으면서 펼쳐져 상기 구동장치 및 축이 상기 바디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막을 펼치거나 걷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은 구동장치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베어링블럭에 연결되어있어 상기 차광막이 상기 축에 권취되고 풀리는 것에 따라 쉽게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2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차광막(30)이 축에 권취되거나 상기 바디 상단에 펼쳐질 때, 한계치를 설정하여 상기 차광막이 축에 지나치게 권취되거나 한계까지 펼쳐진 상태에서도 상기 축이 회전하여 상기 차광막과 축과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계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자치에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축이 바디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도달했을 때,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구비된 프레임과 거리를 감지하여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축(2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차광막이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 상단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축(22)에 감긴 차광막은 상기 축이 회전하여 차광막이 축에서 풀려나오면, 상기 축과 차광막의 자중에 의해 상기 축과 구동장치가 바디의 상부를 따라 내려오면서 상기 차광막이 바디의 상부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턴버클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 상부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수납프레임과 상기 바디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차광막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와이어(80) 또는 용접철망을 구비한다.
이는 상기 차광막(30)이 상기 바디(10) 상부에 펼쳐질 때, 바람이나 다른 외부 영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80) 또는 용접철망만을 구비하거나, 상기 와이어와 용접철망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접철망은 복수 개의 철사가 수직으로 결합되어 격자형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는 통과하면서 상부로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축사의 상부에서 상기 차광막(30)을 펼쳐 축사의 상부에 공급되는 햇빛을 차단하여 축사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차광막(30)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축사의 상부의 햇빛을 차단하거나, 반대로 햇빛이 축사의 상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하절기에는 상기 차광막을 펼쳐 햇빛을 차단하여 축사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 동절기에는 상기 차광막을 걷어 햇빛을 통해 축사 내부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간절기에는 온도 조건에 맞추어 상기 차광막을 펼치거나 걷어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구동장치(40)를 제어할 때 축사 내부의 온도를 입력받거나 타이머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대에만 상기 차광막을 펼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동장치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광막(30)뿐만 아니라, 축사의 지붕에서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온도조절이 가능하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하부에는 'ㄱ'자로 꺾여있는 파이프인 수관(60)이 거치되며, 상기 수관(60)은 지붕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수관(60)은 일측이 지붕의 상단에 위치하고, 타측이 축사의 아래쪽을 향한다. 상기 수관의 일측은 밀폐되어 있고, 상기 바디의 하부를 통과하는 부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 지붕을 향해 뚫린 통공(61)이 복수 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관(60)의 타측은 상기 수관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가 형성되는 물탱크(6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60)는 축사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축사의 지붕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저장하고, 펌프(61)를 이용하여 상기 수관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관으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통공을 통해 공급된 물이 흘러나오게 된다. 이렇게 흘러나온 물은 축사의 지붕위를 흘러 처마 끝의 빗물받이로 모인다.
이때, 상기 수관에서 빠져나온 물이 축사의 지붕 위를 지나면서 축사 지붕의 열을 빼앗아 축사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도 1에서 표시 물의 흐름과 같이 흘러나온 물이 축사의 지붕 끝에 구비되는 빗물받이로 모이고, 이는 다시 지면에 위치하는 상기 물탱크로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해주고 나면 추가로 물을 공급해줄 필요 없이 일정량의 물이 순환되면서 온도조절을 수행한다.
이처럼 비열이 높은 물을 축사의 지붕에 흘려보내는 것으로 축사 상부에서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10 : 바디 11 : 하부프레임 12 : 상부프레임
13 : 수직프레임
20 : 가이드프레임 21 : 베어링블록 22 : 축
30 : 차광막
40 : 구동장치 41 : 이송프레임
50 : 수관 51 : 통공
60 : 물탱크 61 : 펌프
70 : 수납프레임
80 : 와이어

Claims (9)

  1. 축사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측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상부와 평행하고, 상기 바디(10)의 좌측 상단에 설치되는 'ㄷ'형상의 가이드프레임(2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된 장방형의 베어링블럭(21)과;
    상기 베어링블럭(21)의 베어링에 일측이 결합되며 회전이 가능한 축(22)과;
    일측은 상기 축(22)의 외주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10)의 최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축(2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축(22)에 권취되거나 상기 바디(1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펼쳐져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막(30)과;
    상기 축(22)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축(22)의 타측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구동장치(40)와;
    상기 구동장치(40)가 상기 축(22)의 회전에 따라 차광막이 펼쳐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 일측에 바디의 상부와 평행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장치(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송프레임(41);을 포함하여, 상기 차광막을 이용하여 축사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바디(10)의 하단에서 다수 개의 통공(51)이 형성되어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관(50)과;
    상기 수관(50)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바디 하단으로 흐르며, 흘러나온 물을 다시 상기 수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처마의 빗물받이와 연결되고 펌프(61)를 구비하는 물탱크(60);를 포함하여, 상기 차광막 아래의 수관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축사의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30)이 축에 완전히 감겨 상기 축이 상기 바디(1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와 상기 차광막이 펼쳐져 상기 바디 상단을 모두 덮은 경우, 센서에서 수신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이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축사의 상부에 복수 개의 파이프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1);
    상기 하부프레임(11)과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프레임(12);
    상기 각각의 상부프레임(12)과 하부프레임(11)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11)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3)은,
    가장 긴 프레임의 일부가 턴버클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30)은,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편물로 이루어져 햇빛을 차단하여 축사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관(50)은,
    일측은 상기 물탱크(60)에 연결되고 타측은 밀폐되어, 상기 물탱크에서 상기 수관으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수관(50)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51)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ㄷ'형상의 수납프레임(7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차광막(30)에 상기 축(22)에 권취되었을 때 상기 수납프레임(70)에 수납되고, 상기 수납프레임(70)과 상기 바디(10)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차광막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와이어(8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80)의 상부에서 상기 바디의 전체를 덮기 위하여 일정 두께의 철사가 격자형으로 용접된 용접철망이 더 구비되어, 상기 차광막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상부 냉각 시스템.

KR1020200122562A 2020-09-22 2020-09-22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KR10245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562A KR102454952B1 (ko) 2020-09-22 2020-09-22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562A KR102454952B1 (ko) 2020-09-22 2020-09-22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063A KR20210035063A (ko) 2021-03-31
KR102454952B1 true KR102454952B1 (ko) 2022-10-13

Family

ID=7523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562A KR102454952B1 (ko) 2020-09-22 2020-09-22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9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51Y1 (ko) 2002-03-27 2002-06-20 신재호 농축산용 공기의 냉각장치
KR101066091B1 (ko) * 2011-07-14 2011-09-20 주식회사 그린포닉스 온실용 개폐식 외부차광장치
KR101455113B1 (ko) * 2013-07-31 2014-10-28 최원식 비닐하우스용 보온커튼의 개폐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611A (ko) 2001-05-31 2002-12-06 홍문표 지열 및 배출 공기의 열 에너지를 이용한 냉난방 및 공기정화 겸용 장치
KR100729180B1 (ko) * 2005-06-17 2007-06-15 김준호 가스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사 환기 공조 시스템
KR100690078B1 (ko) 2006-06-26 2007-03-09 김용직 농축산용 냉난방장치
KR101524826B1 (ko) * 2012-08-31 2015-06-03 대한민국 인삼재배용 차광막 시설
KR20140121948A (ko) * 2013-04-08 2014-10-17 김희석 비닐하우스
KR20170123393A (ko) 2016-04-28 2017-11-08 주식회사 부강냉열 지하수를 이용하는 축사 열교환 시스템
KR102039249B1 (ko) * 2018-03-16 2019-11-26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사육환경 조절 설비를 갖는 축사시설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51Y1 (ko) 2002-03-27 2002-06-20 신재호 농축산용 공기의 냉각장치
KR101066091B1 (ko) * 2011-07-14 2011-09-20 주식회사 그린포닉스 온실용 개폐식 외부차광장치
KR101455113B1 (ko) * 2013-07-31 2014-10-28 최원식 비닐하우스용 보온커튼의 개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063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2668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3807088A (en) Controlled environment hydroponic system
JP6256821B2 (ja) 農業用ハウス
EP3024316A1 (en) Greenhouse having an air mixing chamber which is equipped with a heating unit at an ambient air inlet
KR20190109085A (ko) 사육환경 조절 설비를 갖는 축사시설물
FI125104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maatilan tuotantorakennuksen ikkunajärjestelyssä
KR20150084103A (ko) 온실하우스의 하이브리드 냉난방시스템
KR20140040656A (ko)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Czarick III et al. Poultry housing for hot climates
KR102454952B1 (ko)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US11202439B2 (en) Evaporative cooling system for an animal barn
JP3690605B2 (ja) 温室
KR100967557B1 (ko) 집열장치가 구비된 비닐하우스
JP2010265709A (ja) グリーンカーテンを備えた体育館
KR20190039482A (ko)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KR20160115271A (ko) 에어 하우스
KR102137856B1 (ko) 축사에서 태양열 이용하는 실내환기장치
CN215223447U (zh) 一种高效蓄热调温装配式日光温室
KR20220072913A (ko) 수직 다층으로 적층되는 수경분무재배용 비닐하우스
KR100622455B1 (ko) 무지주 다층 비닐하우스의 환기장치
KR102209539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어류 양식 및 버섯 재배설비
CA2592674C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0440859Y1 (ko) 환기와 온도 조절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JP2013135625A (ja) 温室の暖房設備
KR102646214B1 (ko) 콘테이너형 밀폐식 육계사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