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948A -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948A
KR20140121948A KR20130038146A KR20130038146A KR20140121948A KR 20140121948 A KR20140121948 A KR 20140121948A KR 20130038146 A KR20130038146 A KR 20130038146A KR 20130038146 A KR20130038146 A KR 20130038146A KR 20140121948 A KR20140121948 A KR 20140121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coupling
suppor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석
Original Assignee
김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석 filed Critical 김희석
Priority to KR20130038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1948A/ko
Publication of KR2014012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7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rolled up during non-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축산용지 상에 단동(單動)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되어 연동(連動)으로 구축되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단동 중 제1단동의 상부에 복수개의 절곡프레임들이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절곡프레임들의 각 용마루를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상부에서 각각의 상기 절곡프레임 상에 수직 상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단동의 상부 또는 측부를 차양시키는 제1차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GREEN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농축산용지에 차양막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농축산용지 상에 기둥 및 프레임 구조물을 설치하여 상부에 돔 형상의 비닐 필름을 씌우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근래에는 영농의 기업화와 대형화 추세에 힘입어 비닐하우스의 내부 면적이 넓어지도록 돔 형상의 단동 비닐하우스가 복수개 연결되는 연동 비닐하우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연동 비닐하우스는 돔 형상의 단동이 인접한 다른 단동과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골 부분에 물받이가 마련되고, 물받이 하측에는 단동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지지기둥이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기둥의 상측에는 물받이를 관통하여 차양막이 설치될 수 있도록 단동의 용마루 상부로 연장되는 추가적인 구조물이 요구된다.
상기 추가적인 구조물은 대개 골조 파이프를 상방으로 복수개 연장시ㅋ키는 구조로 형성되고, 이 골조 파이프 상측에 차양막을 설치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종래 기술은 출원번호 20-2005-0004204에 기재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동 비닐하우스는 차양막 설치를 위한 골조 파이프의 자재비가 증가하고, 물받이로부터 골조 파이프를 연장시키는 공사 과정에 공정상의 어려움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골조 파이프가 단동 용마루의 상측 높이보다 길게 연장되기 때문에, 제작 비용 뿐만아니라 구조물의 강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해야 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차양막 설치를 위한 구조물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조공정이 단순할 뿐만아니라, 구조물의 강성이 증대되는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축산용지 상에 단동(單動)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되어 연동(連動)으로 구축되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단동 중 제1단동의 상부에 복수개의 절곡프레임들이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절곡프레임들의 각 용마루를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상부에서 각각의 상기 절곡프레임 상에 수직 상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단동의 상부 또는 측부를 차양시키는 제1차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를 제공한다.
상기 단동 중 상기 제1단동의 측방향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단동의 상부에 다른 절곡프레임들의 각 용마루를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수직 상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프레임이 마련되며,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제1차양막과 선택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단동의 상부 또는 측부를 차양시키는 제2차양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수평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차양막 및 제2차양막의 상부 또는 하부를 지지하는 코팅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단을 각각 연결시키는 제1결합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단을 각각 연결시키는 제2결합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은 각각 일 단부를 상기 제1결합프레임 또는 제2결합프레임 상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 측 내부가 관통된 제1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타 단부에 상기 제1결합프레임 또는 제2결합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타 측 내부가 관통된 제2통공이 형성되며, 타 단부에 상기 제2통공의 상측에서 상기 코팅와이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프레임 및 제2결합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 또는 제2지지프레임의 타 단부 상에서 결합력 및 강성이 증대되도록 일 단면이 'C'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와이어는 상기 제1차양막 및 제2차양막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차양막 및 제2차양막을 지지하는 제1와이어와, 상기 제1차양막 및 제2차양막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차양막 및 제2차양막이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프레임 및 제2연결프레임은 내부에 절곡프레임들의 상부를 커버하는 비닐패드가 일부 삽입되고, 일부 삽입된 상기 비닐패드를 고정시키는 고정패드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용마루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닐하우스는 상기 절곡프레임들은 상기 제1단동 상에 설정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인접하여 상기 제2단동에 배치되는 다른 수직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절곡프레임들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호(好) 형상으로 상향 절곡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하우스는 상기 보강프레임 상에서 상기 절곡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절곡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에 따르면,
첫째, 단동의 용마루 상에 차양막 설치를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제작비용이 감소하고,
둘째, 지지프레임의 높이가 짧게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셋째, 단동의 용마루에 연결프레임이 배치됨으로써 누수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넷째, 차양막을 설치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설비제작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비닐하우스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제1지지프레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비닐하우스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100)는 농경지 또는 축산농지 상에 단동(單動)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되어 연동(連動)으로 구축되는 비닐하우스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닐하우스(100)는 도 1의 좌측부터 우측방향으로 차례대로 제1단동(110), 제2단동(130) 순으로 복수개의 단동들이 결합되는 연동형 비닐하우스로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단동들은 내부에 복수개의 절곡프레임(10)들이 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돔(Dome) 형상으로 용마루가 상향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상기 단동들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제1단동(110)과 제2단동(130)이 연결된 연동형 비닐하우스를 일 예로써 설명한다.
상기 제1단동(110)은 상기 절곡프레임(10)들의 상부에 형성된 용마루를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연결프레임(111)과,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의 상면에서 상기 절곡프레임(10)의 상부에 수직 상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프레임(112)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들의 상부에서 상기 제1단동(110)의 상부 또는 측부를 차양하는 제1차양막(1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절곡프레임(10)들은 상기 제1단동(110) 상에 설정 높이를 갖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20)과, 상기 수직프레임(20)과 인접하여 상기 제2단동(130)에 배치되는 다른 수직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절곡프레임들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호(好) 형상으로 상향 절곡되는 보강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프레임(120)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수평하게 형성되는 일반적인 보강프레임 보다 큰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절곡프레임(10) 하측에서 상기 절곡프레임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120)의 상측에는 상기 보강프레임(120)으로부터 상기 절곡프레임(10)을 연결하여 상기 절곡프레임(10)의 강성을 보조하는 보조프레임(121)이 마련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21)은 'V'자 형상 또는 'Y'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상기 보강프레임 상에서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호 형상의 상기 절곡프레임(10)을 보조한다.
상기 제2단동(130)은 상기 절곡프레임들의 상부에 형성된 용마루를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연결프레임(미도시)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절곡방향의 상부에 수직 상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프레임(미도시)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들의 상부에서 상기 제2단동의 상부 또는 측부를 차양하는 제2차양막(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 및 제1지지프레임(112)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단동(110)과 제2단동(130)은 서로 대향하는 구조를 이루며 내부 상세한 구성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비닐하우스(100)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제1지지프레임(112)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비닐하우스(100)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단동(110)과 제2단동(130)의 내부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제1단동(110)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은 상기 제1단동(110)의 용마루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의 길이방향 양 측에는 비닐패드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가이드홈(111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11a)은 상기 절곡프레임(10)의 상부 및 측부에 덮히는 상기 비닐패드의 상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111a)은 상기 제1단동(110)의 용마루를 중심으로 좌측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하는 비닐패드가 삽입되고, 우측 상부 및 측부를 커버하는 다른 비닐패드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비닐패드와 다른 비닐패드가 각각 펼쳐지면 상기 제1단동(110)의 상부 및 측부를 모두 커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은 상기 제1단동(110)의 절곡프레임(10) 상부에 상기 제1단동(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별도로 결합되는 추가 프레임을 대체하는 기능을 수반하고, 상기 제1단동(110)의 용마루를 외부로부터 커버하기 때문에 누수를 방지하며, 상기 절곡프레임(10)과의 결합력으로 인한 강성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물론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은 단위 길이로 나뉘어 복수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은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의 상면에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은 하부에 상기 절곡프레임(10)이 배치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정 간격으로 상기 절곡프레임(10)의 수보다 적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의 각 상단에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결합프레임(114)이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프레임(114)은 각각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의 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 상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의 강성 및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은 일 단부가 상기 제1결합프레임(114)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의 일 단부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 상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 측 내부가 관통된 제1통공(112a)이 형성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결합프레임(114)이 고정될 수 있도록 타 측 내부가 관통된 제2통공(1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의 타 단부에는 상기 제2통공(112b)의 상측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프레임(114)의 상측으로 코팅와이어(140)가 고정되는 후크(112c)가 마련된다.
상기 제1단동(110)에 대응하여, 상기 제2단동(130)의 용마루에는 상기 제1단동(110)의 용마루에 구비된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에 대응하는 제2연결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에 대응하는 제2지지프레임이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프레임들의 상부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들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제1결합프레임(114)에 대응하는 제2결합프레임이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프레임(114) 및 제2결합프레임은 각각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 또는 제2지지프레임의 타 단부 상에서 결합력 및 강성이 증대되도록 일 단면이 'C'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 제1지지프레임(112) 및 제1결합프레임(114)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과 제1결합프레임(114) 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사출성형으로 제작된다. 물론 상기 제2연결프레임, 제2지지프레임 및 제2결합프레임도 일체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일 단부가 상기 제2결합프레임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2연결프레임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구조와 형상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의 타 단부에 형성된 상기 후크(112c)에는 코팅와이어(140)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코팅와이어(140)는 상기 제1차양막(113) 및 제2차양막(133)의 상부 또는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타 단부에 형성된 다른 후크(미도시)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차양막(113)과 제2차양막(130)은 상기 코팅와이어(140)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단동(110) 또는 제2단동(13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와이어(140)는 상기 제1차양막(113) 및 제2차양막(133)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차양막(113) 및 제2차양막(133)을 지지하는 제1와이어(141)와, 상기 제1차양막(113) 및 제2차양막(133)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차양막(113) 및 제2차양막(133)이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와이어(14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와이어(141)와 제2와이어(142)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의 상부에 형성된 후크(112c)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다른 후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와이어(141)가 상기 제2와이어(142)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와이어(141)와 제2와이어(142) 사이에 상기 제1차양막(113) 및 제2차양막(133)이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제1차양막(113) 또는 제2차양막(133)을 펼치고 접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부는 공지된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제1단동(110)과 제2단동(130)의 상부 일부를 차폐하는 상기 제1차양막(113)과 제2차양막(133)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차양막들의 개폐정도를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1단동(110)과 제2단동(130) 및 이와 인접하는 다른 단동의 상부에도 각각 차양막들이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비닐하우스
110 : 제1단동 111 : 제1연결프레임
111a : 가이드홈 112 : 제1지지프레임
112a : 제1통공 112b : 제2통공
112c : 후크 113 : 제1차양막
114 : 제1결합프레임 130 : 제2단동
133 : 제2차양막 140 : 코팅와이어
141 : 제1와이어 142 : 제2와이어
10 : 절곡프레임 20 : 수직프레임

Claims (10)

  1. 농축산용지 상에 단동(單動)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되어 연동(連動)으로 구축되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단동 중 제1단동의 상부에 복수개의 절곡프레임들이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절곡프레임들의 각 용마루를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 제1연결프레임;
    상기 제1연결프레임의 상부에서 각각의 상기 절곡프레임 상에 수직 상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단동의 상부 또는 측부를 차양시키는 제1차양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동 중 상기 제1단동의 측방향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단동의 상부에 다른 절곡프레임들의 각 용마루를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수직 상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지지프레임이 마련되며,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제1차양막과 선택적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단동의 상부 또는 측부를 차양시키는 제2차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수평방향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차양막 및 제2차양막의 상부 또는 하부를 지지하는 코팅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단을 각각 연결시키는 제1결합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상단을 각각 연결시키는 제2결합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은,
    각각 일 단부를 상기 제1결합프레임 또는 제2결합프레임 상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 측 내부가 관통된 제1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타 단부에 상기 제1결합프레임 또는 제2결합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타 측 내부가 관통된 제2통공이 형성되며, 타 단부에 상기 제2통공의 상측에서 상기 코팅와이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프레임 및 제2결합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 또는 제2지지프레임의 타 단부 상에서 결합력 및 강성이 증대되도록 일 단면이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프레임, 제1지지프레임 및 제1결합프레임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팅와이어는,
    상기 제1차양막 및 제2차양막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차양막 및 제2차양막을 지지하는 제1와이어와, 상기 제1차양막 및 제2차양막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차양막 및 제2차양막이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 및 제2연결프레임은,
    내부에 절곡프레임들의 상부를 커버하는 비닐패드가 일부 삽입되고, 일부 삽입된 상기 비닐패드를 고정시키는 고정패드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용마루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곡프레임들은 상기 제1단동 상에 설정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인접하여 상기 제2단동에 배치되는 다른 수직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절곡프레임들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호(好) 형상으로 상향 절곡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 상에서 상기 절곡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절곡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KR20130038146A 2013-04-08 2013-04-08 비닐하우스 KR20140121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146A KR20140121948A (ko) 2013-04-08 2013-04-08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146A KR20140121948A (ko) 2013-04-08 2013-04-08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948A true KR20140121948A (ko) 2014-10-17

Family

ID=5199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146A KR20140121948A (ko) 2013-04-08 2013-04-08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19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063A (ko) * 2020-09-22 2021-03-31 송기종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CN112655435A (zh) * 2020-12-23 2021-04-16 浙江德利遮阳材料有限公司 一种农业种植遮阳网的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063A (ko) * 2020-09-22 2021-03-31 송기종 축사 상부 냉각시스템
CN112655435A (zh) * 2020-12-23 2021-04-16 浙江德利遮阳材料有限公司 一种农业种植遮阳网的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655435B (zh) * 2020-12-23 2022-07-08 浙江德利遮阳材料有限公司 一种农业种植遮阳网的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108681A3 (en) An improved ditch liner system
KR20140121948A (ko) 비닐하우스
CA1225218A (en) Patio enclosure
KR20140132914A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KR101967361B1 (ko) 차양 기둥의 보호커버
US20200352380A1 (en) Electric curtain track structure
KR200474866Y1 (ko) 메쉬휀스 설치구조
KR20190008033A (ko) 인접구역간의 경계가이드 구조체
CN204479812U (zh) 皮线光缆的固定装置
CN108019008B (zh) 柱板插扣式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200430587Y1 (ko) 차양막 골조
CN206620091U (zh) 带排水系统的太阳能芯片固定装置、芯片总成及汽车
KR20170000167A (ko) 조립식 천막
KR102233067B1 (ko) 가변형 조립식 비닐하우스
CN205546627U (zh) 双层加棉养菌棚
KR101474526B1 (ko) 온실용 파이프 지지유닛
KR101083692B1 (ko) 비닐하우스의 서까래 보강장치
KR101188618B1 (ko) 밴딩파이프를 이용한 옥외용차양과 이에 사용되는 마감장치
KR100629952B1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CN205755944U (zh) 一种拱门攀附架
CN205857520U (zh) 板材连接结构及板材
CN206409025U (zh) 篷布拉伸杆连接结构
CN205278010U (zh) 薄膜连接件
KR20130004587U (ko) 간이 비가림 장치용 활대
CN207626209U (zh) 双层塑料大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