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785B1 - 3차원 프린터 - Google Patents

3차원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785B1
KR102454785B1 KR1020210050369A KR20210050369A KR102454785B1 KR 102454785 B1 KR102454785 B1 KR 102454785B1 KR 1020210050369 A KR1020210050369 A KR 1020210050369A KR 20210050369 A KR20210050369 A KR 20210050369A KR 102454785 B1 KR102454785 B1 KR 10245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panel
unit
water tank
panel modul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성욱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광경화성 액상 수지를 수용하는 수조부; 상기 광원부와 수조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특정 형태로 투과하여 상기 수조부로 제공하는 LCD 패널 모듈부; 상기 수조부 내에서 순차적으로 경화된 상기 광경화성 액상 수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조형대; 및 상기 LCD 패널 모듈부와 수조부를 지지하며, 자성체가 구비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LCD 패널 모듈부는 상기 자성체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와 탈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프린터{THREE DIMENSIONAL PRINTER}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CD 패널 모듈부의 교체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프린터는 밀링 또는 절삭이 아닌, 기존 잉크젯 프린터에서 쓰이는 것과 유사한 적층 방식으로 입체물로 제작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3차원 프린터는 컴퓨터로 제어되기 때문에 만들 수 있는 형태가 다양하고 다른 제조 기술에 비해 사용하기가 쉽다. 이와 같은, 3차원 프린팅 기술은 제3의 산업혁명으로 불리며, 산업 전반에 걸쳐 제조 기술의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3차원 프린팅 기술에는 크게 광경화 적층방식, 레이저 소결 적층방식, 수지 압출 적층방식, 잉크젯 적층방식, 폴리젯 적층방식 및 박막 적층방식의 6가지 정도가 있을 수 있다.
광경화 적층방식은 레이저 빔이나 강한 자외선(UV, Ultraviolet Ray)으로 광경화성 액상 수지(Photo Curing resin)를 경화시키며 입체물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광경화 적층방식에는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및 LCD 방식이 있다.
레이저 소결 적층방식은 레이저 빔으로부터 분말상태의 재료를 고압, 고온으로 소결시켜 입체물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레이저 소결 적층방식에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가 있다.
수지 압출 적층방식은 와이어 형태의 재료를 사출헤드로 압출하며 입체물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수지 압출 적층방식에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이 있다.
잉크젯 적층방식은 프린터 헤드 노즐에서 액체상태의 결합제를 재료에 분사하여 입체물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잉크젯 적층방식에는 CJP(Color Jetting Printing)가 있다.
폴리젯 적층방식은 광경화 방식과 잉크젯 방식의 혼합 형태로 프린터 헤드에서 재료를 분사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 경화시켜 입체물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폴리젯 적층방식에는 MJP(Multi Jet Printing), Polyjet이 있다.
박막 적층방식은 얇은 판모양의 재료를 정밀커터로 자른 후, 열을 가열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입체물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박막 적층방식에는 LOM(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PLT(Paper Lamination Technology)가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3차원 프린팅 기술 중 LCD 방식의 3차원 프린터를 살펴보면, LCD 방식의 3차원 프린터는 광경화성 액상 수지에 광을 선택적으로 투영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제작하고자 하는 형상의 입체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LCD 방식은 일반적으로 조형판이 하강하며 제품을 생산하는 것과 달리 조형판이 위로 상승하며 아래방향으로 제품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LCD 방식의 3차원 프린터에는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특정 형태로 투과하여 최종적인 입체물을 제조하도록 이루어진 LCD 패널이 구비된다. 이러한 LCD 패널은 사용 가능한 수명이 정해져 있어, 수명이 다한 LCD 패널은 교체를 해주어야 된다.
그러나 종래의 3차원 프린터는 LCD 패널을 교체함에 있어, 교체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LCD 패널은 베이스부에 볼트 결합이 이루어져 있기에, 사용자가 LCD 패널을 교체할 경우, 베이스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볼트를 모두 제거한 상태에서 LCD 패널을 교체해야 된다. 즉, LCD 패널의 교체를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볼트를 제거해야되기에, 교체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편하게 LCD 패널을 교체하도록 이루어진 3차원 프린터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8-0003333호(2018.01.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LCD 패널 모듈부의 교체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광경화성 액상 수지를 수용하는 수조부; 상기 광원부와 수조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특정 형태로 투과하여 상기 수조부로 제공하는 LCD 패널 모듈부; 상기 수조부 내에서 순차적으로 경화된 상기 광경화성 액상 수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조형대; 및 상기 LCD 패널 모듈부와 수조부를 지지하며, 자성체가 구비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LCD 패널 모듈부는 상기 자성체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와 탈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CD 패널 모듈부는, LCD 패널; 상기 LCD 패널이 안착 고정되는 패널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 케이싱; 상기 패널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LCD 패널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하부 케이싱과 결합되는 상부 케이싱; 및 상기 상부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LCD 패널을 보호하는 패널 보호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싱의 폭은 상기 하부 케이싱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조부의 하부 테두리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1 안착부와 단턱을 이루며, 상기 제1 안착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제2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2 안착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 케이싱과 대응되는 크기를 이루며 상기 하부 케이싱이 삽입되는 삽입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자성체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은 상기 자성체와 자석 결합이 가능한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LCD 패널 모듈부를 분리시키기 위한 파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 삽입홈의 하면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면보다 더 낮도록 배치되고, 상기 파지 삽입홈의 외측은 상기 제2 안착부를 형성하는 단턱부보다 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에 형성된 단자 배치홀에는 접속 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LCD 패널 모듈부에 구비된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에는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케이싱의 측면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광경화성 액상 수지를 수용하는 수조부; 상기 광원부와 수조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특정 형태로 투과하여 상기 수조부로 제공하는 LCD 패널 모듈부; 상기 수조부 내에서 순차적으로 경화된 상기 광경화성 액상 수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조형대; 및 상기 LCD 패널 모듈부와 수조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LCD 패널 모듈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탈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LCD 패널 모듈부는 베이스부에 구비된 자성체와의 자석 결합을 통해 베이스부에 고정되기에, 사용자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수명이 다한 LCD 패널 모듈부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에 안착된 수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LCD 패널 모듈부 및 수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에 안착된 LCD 패널 모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CD 패널 모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A-A 단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에 안착된 수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 LCD 패널 모듈부 및 수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에 안착된 LCD 패널 모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CD 패널 모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A-A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3차원 프린터(1000)는 광원부(100), LCD 패널 모듈부(200), 수조부(300), 조형대(400) 및 베이스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부(100)는 수조부(300) 내에 수용된 광경화성 액상 수지(1)로 조사되는 광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광원부(100)의 상부에 배치된 LCD 패널 모듈부(200)를 거쳐 수조부(300)로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원부(100)의 하부에는 방열부(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방열부(110)는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LCD 패널 모듈부(200)는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된 광을 특정 형태로 투과하여 LCD 패널 모듈부(200)의 상부에 배치된 수조부(300)로 광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LCD 패널 모듈부(200)는 3차원 입체물의 단면 층으로 분할한 슬라이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액상 수지(1)를 경화시킴으로써 3차원 입체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광경화성 액상 수지(1)의 경화가 이루어지는 3차원 입체물의 단면 층의 두께는 대개 100㎛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100㎛ 이외에 두께로 다양하게 제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조형대(400)는 3차원 입체물의 상부측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 조형 플레이트(41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경화되지 않은 광경화성 액상 수지(1)가 수조부(300)의 최하면으로 이동되어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조형 플레이트(410)에는 광경화성 액상 수지(1)가 슬라이스 단면 층마다 순차적으로 경화되며 3차원 입체물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500)는 수조부(300)와 LCD 패널 모듈부(200)를 지지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베이스부(500)에는 수조부(300)와 LCD 패널 모듈부(2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부(500)에는 제1 안착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안착부(510)는 수조부(300)의 하부 테두리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제1 안착부(510)에 안착된 수조부(300)는 흔들림없이 베이스부(50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500)에는 제2 안착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안착부(520)는 제1 안착부(510)와 단턱을 이룬다. 이와 같이, 제1 안착부(510)와 단턱을 이루는 제2 안착부(520)는 제1 안착부(510)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안착부(520)에는 LCD 패널 모듈부(200)에 구비된 상부 케이싱(230)의 테두리 하면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500)에는 제2 안착부(520)와 연결되며, LCD 패널 모듈부(200)에 구비된 하부 케이싱(220)이 삽입되는 삽입 결합홀(5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결합홀(501)은 하부 케이싱(220)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케이싱(230)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520)에는 자성체(521)가 수용되는 자성체 고정홈(5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성체(521)는 제2 안착부(5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안착부(520)에 3개의 자성체(521)가 구비된 형태를 예로 나타내고 있으나, 제2 안착부(520)에 결합되는 자성체(521)의 개수는 특정 개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자성체 고정홈(522)에 수용된 자성체(521)의 상면은 제2 안착부(520)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부 케이싱(230)이 제2 안착부(520)에 안착됨에 있어 기울어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부 케이싱(230)은 자성체(521)와 자석 결합이 가능한 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LCD 패널 모듈부(200)가 베이스부(500)에 설치됨에 있어, 하부 케이싱(220)은 삽입 결합홀(501)에 삽입되고, 상부 케이싱(230)은 자성체(521)에 자석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결합 구조가 단순하다.
따라서, 종래의 LCD 패널 모듈부를 베이스부에 결합함에 있어, 볼트 결합을 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이에, 사용자는 예를 들어, 수명이 다된 LCD 패널 모듈부(200)를 교체함에 있어, LCD 패널 모듈부(20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LCD 패널 모듈부(200)는 LCD 패널(210), 하부 케이싱(220), 상부 케이싱(230) 및 패널 보호필름(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케이싱(220)에는 LCD 패널(210)이 안착 고정되는 패널 안착홈(221)이 형성된다. 이에, LCD 패널(210)은 하부 케이싱(2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싱(230)은 패널 안착홈(221)에 LCD 패널(210)이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싱(220)과 결합되며, LCD 패널(21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케이싱(220)과 결합되는 상부 케이싱(230)의 폭은 하부 케이싱(220)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하부 케이싱(220)은 삽입 결합홀(501)에 삽입되고, 상부 케이싱(230)의 테두리는 제2 안착부(520)에 안착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보호필름(240)은 상부 케이싱(230)의 상부에 결합되며, LCD 패널(2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LCD 패널 모듈부(200)는 자성체(521)에 의해 베이스부(50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부(500)에는 파지 삽입홈(5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500)에는 파지 삽입홈(502)이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부(500)로부터 LCD 패널 모듈부(200)를 분리함에 있어, LCD 패널 모듈부(200)의 분리는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파지 삽입홈(502)은 LCD 패널 모듈부(200)를 베이스부(500)에 결합함에 있어, 사용자는 LCD 패널 모듈부(200)를 베이스부(5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지 삽입홈(502)은 한 쌍이 마주보도록 대칭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는 LCD 패널 모듈부(200)의 양측단을 잡은 상태에서 베이스부(500)로부터 LCD 패널 모듈부(200)를 분리하거나, LCD 패널 모듈부(200)를 베이스부(500)에 간편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파지 삽입홈(502)의 하면은 제2 안착부(520)에 안착된 상부 케이싱(230)의 하면보다 더 낮도록 배치된다. 이에, 파지 삽입홈(502)과 제2 안착부(520)에 안착된 상부 케이싱(230)의 하면 사이에는 손가락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부(50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파지 삽입홈(502)의 외측은 제2 안착부(520)에 형성된 단턱부(523)보다 더 외측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가 상부 케이싱(230)의 양측을 손가락으로 잡을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손가락은 파지 삽입홈(502)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파지 삽입홈(502)의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사용자는 LCD 패널 모듈부(200)의 양측단을 잡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베이스부(500)에 LCD 패널 모듈부(200)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2 안착부(520)에는 접속 단자부(530)가 설치되는 단자 배치홀(5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접속 단자부(530)는 LCD 패널(210)에 연결된 커넥터(211)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넥터(211)가 접속 단자부(530)가 연결될 시, 접속 단자부(530)와 커넥터(211)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LCD 패널(210)은 접속 단자부(5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접속 단자부(530)는 제2 안착부(520)의 단자 배치홀(524)에 노출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LCD 패널 모듈부(200)를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에서 커넥터(211)와 접속 단자부(530)의 결합 및 분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는 베이스부(500)에는 탄성부재(540)가 더 구비된 형태이다.
이러한 탄성부재(540)는 단턱부(523)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540)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탄성부재(54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540)는 예를 들어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안착부(520)에 안착되는 상부 케이싱(230)의 측면을 탄성 지지하여 상부 케이싱(230)이 베이스부(5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의 예시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1100)는 자성체(521')가 LCD 패널 모듈부(200')에 구비된 형태이다.
이러한 자성체(521')는 상부 케이싱(230')의 하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자성체(521')가 구비된 LCD 패널 모듈부(200')는 베이스부(500')와 자석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케이싱(230')의 하면에는 예를 들어 자성체(521')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자성체(521')는 상부 케이싱(23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성체(521')가 구비된 LCD 패널 모듈부(200')는 상부 케이싱(230')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520)와 자석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안착부(520)는 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1100)는 베이스부(500')가 아닌 LCD 패널 모듈부(200')에 자성체(521')가 구비됨에 따라 LCD 패널 모듈부(200')는 베이스부(500')와 자석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광경화성 액상 수지
100: 광원부
110: 방열부
200, 200': LCD 패널 모듈부
210: LCD 패널
211: 커넥터
220: 하부 케이싱
221: 패널 안착홈
230, 230': 상부 케이싱
240: 패널 보호필름
300: 수조부
400: 조형대
410: 조형 플레이트
500, 500': 베이스부
501: 삽입 결합홀
502: 파지 삽입홈
503: 삽입 공간부
510: 제1 안착부
520: 제2 안착부
521, 521': 자성체
522: 자성체 고정홈
523: 단턱부
524: 단자 배치홀
530: 접속 단자부
540: 탄성부재
1000, 1100: 3차원 프린터

Claims (10)

  1.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광경화성 액상 수지를 수용하는 수조부;
    상기 광원부와 수조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특정 형태로 투과하여 상기 수조부로 제공하는 LCD 패널 모듈부;
    상기 수조부 내에서 순차적으로 경화된 상기 광경화성 액상 수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조형대; 및
    상기 LCD 패널 모듈부와 수조부를 지지하며, 자성체가 구비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LCD 패널 모듈부는, LCD 패널; 상기 LCD 패널이 안착 고정되는 패널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 케이싱; 및 상기 패널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LCD 패널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하부 케이싱과 결합되는 상부 케이싱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LCD 패널 모듈부는 상기 자성체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와 탈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3차원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CD 패널 모듈부는 상기 상부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LCD 패널을 보호하는 패널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케이싱의 폭은 상기 하부 케이싱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조부의 하부 테두리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1 안착부와 단턱을 이루며, 상기 제1 안착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제2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제2 안착부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 케이싱과 대응되는 크기를 이루며 상기 하부 케이싱이 삽입되는 삽입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자성체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은 상기 자성체와 자석 결합이 가능한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LCD 패널 모듈부를 분리시키기 위한 파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 삽입홈의 하면은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면보다 더 낮도록 배치되고,
    상기 파지 삽입홈의 외측은 상기 제2 안착부를 형성하는 단턱부보다 더 외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에 형성된 단자 배치홀에는 접속 단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LCD 패널 모듈부에 구비된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에는 상기 제2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케이싱의 측면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10.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광경화성 액상 수지를 수용하는 수조부;
    상기 광원부와 수조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특정 형태로 투과하여 상기 수조부로 제공하는 LCD 패널 모듈부;
    상기 수조부 내에서 순차적으로 경화된 상기 광경화성 액상 수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조형대; 및
    상기 LCD 패널 모듈부와 수조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LCD 패널 모듈부는, LCD 패널; 상기 LCD 패널이 안착 고정되는 패널 안착홈이 형성된 하부 케이싱; 및 상기 패널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LCD 패널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하부 케이싱과 결합되는 상부 케이싱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LCD 패널 모듈부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탈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인 3차원 프린터.
KR1020210050369A 2021-04-19 2021-04-19 3차원 프린터 KR10245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69A KR102454785B1 (ko) 2021-04-19 2021-04-19 3차원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69A KR102454785B1 (ko) 2021-04-19 2021-04-19 3차원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785B1 true KR102454785B1 (ko) 2022-10-17

Family

ID=8380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369A KR102454785B1 (ko) 2021-04-19 2021-04-19 3차원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7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33A (ko) 2016-06-30 2018-01-09 (주)센트롤 3차원 프린터
KR102013289B1 (ko) * 2018-03-12 2019-08-22 주식회사 힉스 Sla 3d 프린터
WO2019164413A1 (en) * 2018-02-26 2019-08-29 CONTISSI, Janusz Chuptyś A printer for 3d printing
CN210820947U (zh) * 2019-08-27 2020-06-23 苏州铼赛智能科技有限公司 树脂槽及3d打印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33A (ko) 2016-06-30 2018-01-09 (주)센트롤 3차원 프린터
WO2019164413A1 (en) * 2018-02-26 2019-08-29 CONTISSI, Janusz Chuptyś A printer for 3d printing
KR102013289B1 (ko) * 2018-03-12 2019-08-22 주식회사 힉스 Sla 3d 프린터
CN210820947U (zh) * 2019-08-27 2020-06-23 苏州铼赛智能科技有限公司 树脂槽及3d打印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3347B (zh) 晶圓級相機子系統及用於晶圓級相機的晶圓間隔層之製造方法
JP5670198B2 (ja) 光学要素およびウェハスケール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20140085620A1 (en) 3d printer with self-leveling platform
CN1276916A (zh) 多个光学元件在晶片层的集成
JP6323238B2 (ja) 光照射装置および光硬化材料処理装置
KR102329150B1 (ko) 프린팅 유닛 및 프린팅 장치
JP6727782B2 (ja) 立体物の製造方法及び造形装置
WO2019164413A1 (en) A printer for 3d printing
US20240109251A1 (en) Irradiation systems and method for additive manufacturing
KR20160144837A (ko) 3차원 프린터 및 그의 작동방법
KR102454785B1 (ko) 3차원 프린터
US11230060B2 (en) Additive manufacturing with vibration-isolating interface
KR102171814B1 (ko) 분할 성형 지원형 광경화 3d 프린터
JP6036778B2 (ja) 光照射装置および光硬化材料処理装置
CN205009603U (zh) 三维全彩复合打印装置
KR101880845B1 (ko) 분말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KR102253316B1 (ko) 고점도 재료의 한계를 개선한 블레이드를 구비한 3d 프린팅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16867A (ko) 광경화 수지적층방식의 3차원 프린터
US9994045B2 (en) Light irradiation apparatus including a light shield
CN205009602U (zh) 三维全彩复合打印装置
KR101518406B1 (ko) 광투과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를 이용한 3차원 인쇄 장치
KR102428077B1 (ko) 고점도 재료를 컨트롤하도록 히팅 배트를 구비한 바텀업 방식의 3d 프린팅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086610B2 (en) Inkjet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kjet head
KR102408340B1 (ko) 3차원 프린터
JP2017024394A (ja) 金型装置及び樹脂成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