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070B1 -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 Google Patents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070B1
KR102454070B1 KR1020200183083A KR20200183083A KR102454070B1 KR 102454070 B1 KR102454070 B1 KR 102454070B1 KR 1020200183083 A KR1020200183083 A KR 1020200183083A KR 20200183083 A KR20200183083 A KR 20200183083A KR 102454070 B1 KR102454070 B1 KR 10245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housing
unit housing
butt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887A (ko
Inventor
김수창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0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방향에서 힌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고정부재 측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 하우징; 외부 회전부재 측에 장착되고, 고정부 하우징과 힌지축 조립나사를 통해서 결합되어서 힌지축 조립나사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회전부 하우징; 회전부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누름 압력을 통해서 회전부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 버튼; 회전 버튼과 버튼 고정나사로 체결되고, 회전부 하우징 내에 포함되어서 회전 버튼의 누름 압력시 후방으로 밀리도록 설계된 회전부 버튼핀; 및 회전부 버튼핀과 일측 끝단이 맞닿아 있고, 회전부 버튼핀의 밀리는 압력으로 회전부 접촉면을 통과하여 내부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내부 고정핀을 포함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고정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가능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회전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2-WAY FIXED SWING HING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방향에서 힌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힌지는 상자와 뚜껑의 결합부분에 붙여서 뚜껑이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하는 기구물을 의미한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도어, 가구, 컴퓨터, 휴대기기 등, 힌지는 거의 모든 제품에 사용되어진다.
일반적인 힌지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힌지는 회전이 필요한 구조물에 사용된다. 일 예로 도어에 사용되는 힌지는, 일측이 벽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되고, 힌지의 다른 일측은 도어에 고정되어진다. 그리고 도어의 열림과 닫힘은 힌지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힌지 구조물의 고정 방식은 핀 타입의 구조물이 홈이나 구멍에 끼워져서 회전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한 축 방향으로만 고정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제품일수록 힌지에 의한 회전운동시, 외력과 마모에 의해서 힌지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 경우 힌지의 파손으로 인한 고정기능이 상실되고, 회전 구조물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 반경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면서 해당 장비의 운용, 안전 등과 같은 이차적인 문제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 자체의 강건한 고정구조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두 방향에서 고정부를 적용한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축 고정부의 파손으로 고정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 추가적인 외부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회전 구조물의 운용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군 운용에 이용되는 콘솔 하우징에 적용되어 콘솔 하우징의 사용을 위한 데스크 하우징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는 외부 고정부재 측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 하우징; 외부 회전부재 측에 장착되고, 고정부 하우징과 힌지축 조립나사를 통해서 결합되어서 힌지축 조립나사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회전부 하우징; 회전부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누름 압력을 통해서 회전부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 버튼; 회전 버튼과 버튼 고정나사로 체결되고, 회전부 하우징 내에 포함되어서 회전 버튼의 누름 압력시 후방으로 밀리도록 설계된 회전부 버튼핀; 및 회전부 버튼핀과 일측 끝단이 맞닿아 있고, 회전부 버튼핀의 밀리는 압력으로 회전부 접촉면을 통과하여 내부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내부 고정핀을 포함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고정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가능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회전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 하우징의 외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ㄴ"자 형상 홈부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외부 고정핀; 홈부 내에서 외부 고정핀에 탄성력을 지지하는 외부 스프링; 및 회전부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구속 홈부를 포함하고, 외부 고정핀의 끝단 일부가 구속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부 하우징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 범위 내에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하우징은 외부 고정핀의 구속이 풀린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고정핀은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하우징은 앞이 오픈된 ⊃ 형상으로 구성되어, 뒷판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관통홈을 형성하고,
회전부 버튼핀은 중심부분이 관통된 원형 부재에 다리 형상의 다수개의 삽입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회전부 하우징의 뒷판에 형성된 관통홈에 삽입되고,
회전부 버튼핀의 삽입부재는 회전버튼의 누름 압력이 가해지면, 내부 고정핀에 밀림 압력을 가하여 내부 고정핀을 회전부 하우징 내에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버튼핀의 삽입부재와 회전부 하우징의 뒷판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관통홈은 30도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관통홈과 같은 각도에 형성하되,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머리 부분에서 일정 수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 하우징은 원형 부재와 사각형 부재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고정부 하우징의 원형 부재 측 중심부에서 통공상태의 연장부가 구성되어, 힌지축 조립나사가 회전부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부의 통공홈에 삽입되어서 조립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 하우징의 원형 부재는 뒤가 오픈된 ⊂ 형상으로 구성되고, 고정부 하우징의 원형 부재 가장자리에는 내부 고정핀의 이동을 위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고정핀과 내부 스프링의 조합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스프링은 회전부 접촉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는 콘솔 하우징 측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 하우징; 콘솔 하우징의 운용을 위한 컴퓨터 기능을 갖춘 데스크 하우징 측에 장착되고, 고정부 하우징과 힌지축 조립나사를 통해서 결합되어서 힌지축 조립나사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회전부 하우징; 회전부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누름 압력을 통해서 회전부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 버튼; 회전 버튼과 버튼 고정나사로 체결되고, 회전부 하우징 내에 포함되어서 회전 버튼의 누름 압력시 후방으로 밀리도록 설계된 회전부 버튼핀; 및 회전부 버튼핀과 일측 끝단이 맞닿아 있고, 회전부 버튼핀의 밀리는 압력으로 회전부 접촉면을 통과하여 내부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내부 고정핀을 포함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고정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가능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회전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 하우징의 외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ㄴ"자 형상 홈부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외부 고정핀; 홈부 내에서 외부 고정핀에 탄성력을 지지하는 외부 스프링; 및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구속 홈부를 포함하고, 외부 고정핀의 끝단 일부가 구속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부 하우징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 범위 내에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하우징은 외부 고정핀의 구속이 풀린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고정핀은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하우징은 앞이 오픈된 ⊃ 형상으로 구성되어, 뒷판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관통홈을 형성하고,
회전부 버튼핀은 중심부분이 관통된 원형 부재에 다리 형상의 다수개의 삽입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회전부 하우징의 뒷판에 형성된 관통홈에 삽입되고,
회전부 버튼핀의 삽입부재는 회전버튼의 누름 압력이 가해지면, 내부 고정핀에 밀림 압력을 가하여 내부 고정핀을 회전부 하우징 내에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버튼핀의 삽입부재와 회전부 하우징의 뒷판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관통홈은 30도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관통홈과 같은 각도에 형성하되,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머리 부분에서 일정 수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 하우징은 원형 부재와 사각형 부재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고정부 하우징의 원형 부재 측 중심부에서 통공상태의 연장부가 구성되어, 힌지축 조립나사가 회전부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부의 통공홈에 삽입되어서 조립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 하우징의 원형 부재는 뒤가 오픈된 ⊂ 형상으로 구성되고, 고정부 하우징의 원형 부재 가장자리에는 내부 고정핀의 이동을 위한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고정핀과 내부 스프링의 조합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스프링은 회전부 접촉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 하우징의 사각형 부재의 일측에는 콘솔 하우징과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회전부 하우징의 사각형 부재의 일측에는 데스크 하우징과 결합을 위한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는 서로 다른 두 방향에서 고정부를 적용하고, 힌지 자체의 강건한 고정구조와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주축 고정부의 파손으로 고정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 추가적인 외부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회전 구조물의 운용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장시간 특정 각도에서의 고정이 필요한 구조물에, 2방향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회전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군 운용에 이용되는 콘솔 하우징에 적용되어 콘솔 하우징의 운용을 위해 사용되는 데스크 하우징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즉, 콘솔 장비의 데스크 틸팅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 등의 도어 회전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힌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2b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주축 고정부의 고정시 내부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주축 고정부의 회전시 내부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외부 고정부의 고정시 내부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외부 고정부의 회전시 내부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 버튼핀의 구성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축 고정부와 외부 고정부를 일치시킨 상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동작에 따른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가 적용되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가 콘솔 하우징/데스크 하우징에 적용시킨 상태를 확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가 데스크 하우징에 결합 형상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와 "기", "모듈"과 "부", "유닛"과 "부", "장치"와 "시스템", "단말"과 "노드"와 "디지털 무전기"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2b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100)는 고정부 하우징(10)과 회전부 하우징(20)을 포함한다. 고정부 하우징(10)은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100)를 전체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이고, 회전부 하우징(20)은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100)에 결합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재이다.
고정부 하우징(10)은 원형과 사각형이 일체로 결합된 형상(
Figure 112020140913060-pat00001
)을 하고 있고, 회전부 하우징(10)도 원형과 사각형이 일체로 결합된 형상(
Figure 112020140913060-pat00002
)을 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부 하우징(10)과 회전부 하우징(20)은 원형 부분에서 두 하우징이 결합한 형상을 갖고, 고정부 하우징(10)과 회전부 하우징(20)의 사각형 부분은 각각 콘솔 하우징(또는 외부 고정 부재)과 데스크 하우징(또는 외부 회전 부재)에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고정부 하우징(10)과 회전부 하우징(20)의 원형 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되고 있다. 즉, 고정부 하우징(10)과 회전부 하우징(20)의 각 사각형 부재는 외부 부재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에 해당한다. 그리고 고정부 하우징(10)과 회전부 하우징(20)의 원형 부재는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고, 고정부 하우징(10)의 원형 부재 측은 고정된 반면에 회전부 하우징(20)의 원형 부재 측은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고정부 하우징(10)의 원형 부재 부분과 회전부 하우징(20)의 원형 부재 부분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되고 있는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우측 부분(고정부 하우징 측)과 좌측부분(회전부 하우징 측)에 해당된다. 그리고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고정부 하우징(10)은 회전부 하우징(20)과 비교하여 단차(고정부 하우징 측이 낮게 구성됨)를 갖으며, 이는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체결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고정부 하우징(10)의 원형 부재(12)와 회전부 하우징(20)의 원형 부재(22)는 힌지축 조립나사(60)와 너트(62)를 통해서 체결된다. 고정부 하우징(10)의 원형 부재(12)와 회전부 하우징(20)의 원형 부재(22) 중심부분에는 통공된 홈(13,26)이 형성된다. 즉, 회전부 하우징(20)의 중심에 통공된 홈(26)을 통과한 힌지축 조립나사(60)의 끝단부가 연장부(15)의 홈(13)을 통과해서 평와셔(64)와 힌지축 조립너트(62)에 의해서 체결된다.
그리고 회전부 하우징(20)의 원형 부재(22)는 앞부분이 오픈되어 회전부 버튼핀(25)을 삽입할 수 있도록 ⊃ 형상을 가지고 있고, 원형 부재(22)의 뒷판 가장자리에는 회전부 버튼핀(25)의 다수개의 삽입부재(27)를 삽입하는 다수개의 홈부(24)이 형성된다. 회전부 하우징(20)에 형성된 홈부(24)는 회전부 버튼핀(25)의 삽입부재(27)와 동일각도, 동일한 숫자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 하우징(10)의 원형 부재(12)는 뒷부분이 오픈된 ⊂ 형상을 가지고 있고, 원형 부재(12)의 앞판 가장자리에는 내부 고정핀(52)을 삽입하고, 앞/뒤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개의 홈(14)이 형성된다. 홈(14)은 회전부 버튼핀(25)의 삽입부재(27)와 동일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지만, 내부 고정핀(52)은 삽입부재(27) 갯수 보다는 작은 수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되는 홈(14)도 내부 고정핀(52)과 같은 숫자로 구성한다.
따라서 회전부 하우징(20)에 삽입된 회전부 버튼핀(25)의 삽입부재(27)는 내부 고정핀(52)과 맞닿아서 내부 고정핀(52)을 회전부 하우징(22)의 영역 내에서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회전부 하우징(20)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내부 고정핀(52)는 고정부 하우징(10)에 장착된 내부 스프링(54)의 탄성력을 지지받도록 구성된다. 즉, 회전부 버튼핀(25)의 삽입부재(27)가 내부 고정핀(52)에 가해지는 밀림 압력이 없을 때는 내부 스프링(54)의 탄성력으로 내부 고정핀(52)은 회전부 하우징(20)의 홈부(24)에 삽입되어서, 회전부 하우징(20)의 회전을 구속시킨다.
내부 고정핀(52)의 갯수는 회전부 하우징(20)과 고정부 하우징(10)의 회전과 고정에 적절한 양으로, 실험치에 의해 결정된 양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고정핀(52)과 내부 스프링의 조합은 항상 함께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내부 스프링과 내부 고정핀의 조합을 통해서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을 구속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6개의 내부 스프링과 내부 고정핀의 조합을 구성하였다.
회전부 버튼핀(25)은 ◎ 형상으로 이루어진 중심부분이 관통된 원형 부재(29)와, 원형 부재의 가장자리에 다리 형상의 다수개의 삽입부재(27)를 연결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부재(27)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30도의 간격으로 12개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은 회전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속 홈부(65)와 동일 각도로 형성되고, 이는 주축 고정부와 외부 고정부의 각도를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그러나 구속 홈부(65)는 도 4a, 도 4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회전부 하우징(20)의 머리 부분(원형 부재의 중심에서 위쪽 부분)에 일정 수 미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부 하우징(20)의 회전 가능 범위와 연계되어진다. 즉, 회전부 하우징(20)의 회전 가능 범위 내에서 외주면에 구속 홈부(65)를 형성하고 있다.
회전부 버튼핀(25)의 중심에는 힌지축 조립나사가 삽입되고, 회전부 버튼핀(25)과 회전 버튼(40)이 버튼 고정나사(50)에 의해서 체결된다. 회전버튼(40)은 회전부 버튼핀 방향으로 중심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회전 버튼(40)에 회전과 누름 압력이 제공하면, 회전부 버튼핀(25)에 누름 압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가 적용되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시되고 있는 콘솔(console) 하우징은 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 지휘 통제를 수행하는 장비로서, 군용 함정, 차량, 지상 통제소 등에 장착되거나 민간 선박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솔 하우징은, 컴퓨터 기능을 갖춘 데스크 하우징을 통해서 콘솔 하우징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최근 대다수의 방위산업 선진국에서는 개발한 다기능 콘솔을 군사용 지상체, 해양체 등에 실전 배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다기능 콘솔의 일 예로서, 함정 운용 콘솔은 레이더 또는 소나 등의 센서를 통제하기 위한 센서통제용 콘솔, 미사일 또는 함포 등의 무장을 제어하기 위한 무장통제용 콘솔, 지휘관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지휘통제용 콘솔 등의 기능을 통합한 다기능 콘솔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를 콘솔 하우징에 적용하면, 콘솔은 데스크 하우징의 회전을 통해서 운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그 사용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콘솔 하우징과 데스크 하우징 사이에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를 적용하고, 데스크 하우징을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데스크 하우징의 상부에는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콘솔 하우징을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100)에서 고정부 하우징(10)의 사각형 부재 일단이 콘솔 하우징 측(고정된 부재)에 결합되고, 회전부 하우징(20)의 사각형 부재 일단이 데스크 하우징 측(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부재)에 결합되어진다. 따라서 고정부 하우징(10)의 사각형 부재 일측면에는 콘솔 하우징에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서 결합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회전부 하우징(20)의 사각형 부재 일측면에는 데스크 하우징에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 홈부(23)가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는 특정 각도마다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서 도 5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축 고정부의 고정각도와 외부 고정부의 고정각도를 일치시켜야 한다. 주축 고정부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고 내부 고정핀을 이용하여 1차 고정시키는 구성이고, 외부 고정부는 외부 고정핀(30)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회전부 버튼핀(25)을 일정 각도에서 2차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주축 고정부는 도 3a, 도3b에서 자세하게 후술하고, 외부 고정부는 도 4a, 도4b에서 자세하게 후술한다.
고정부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추가적으로 외부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회전 구조물의 운용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고정시키는 외부 고정핀(30)이 설치된다. 외부 고정핀(30)은 고정부 하우징(10)의 사각형 부재 외부 일측면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홈부(35)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외부 고정핀(30)에 의해서 회전부 버튼핀(25)이 고정 또는 회전되도록 조절된다.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100)는 외부 고정핀(30)의 구속이 풀린 상황에서만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부 하우징(20)은 외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 버튼(40)을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 버튼(40)은 버튼 고정나사(50)를 통해서 회전부 버튼핀(25)과 체결된다. 회전 버튼(40)은 누름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원하는 만큼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회전 버튼(4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내부 연결 구성들에 의해서 고정 상태가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주축 고정부의 고정시 내부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주축 고정부의 회전시 내부 단면도이다.
고정부 하우징(10)의 원형 부재(12) 측에는 힌지축 조립너트(62), 평와셔(64), 내부 고정핀(52), 내부 스프링(54)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고정부 하우징(10)은 원형 부재의 중심부분에서 일정 길이 돌출된 연장부(15)를 포함한다. 연장부(15)는 관통된 형상을 갖으며, 연장부(15)를 통과하여 힌지 축 조립나사(60)가 삽입 체결된다.
힌지축 조립나사(60)의 일측 끝단은 힌지축 조립너트(62)와 평와셔(64)가 결합되어서 고정부 하우징(10)에 고정 장착되고, 힌지축 조립나사(50)의 타측 끝단에는 회전버튼(40)이 결합된다. 그리고 힌지축 조립나사(60)는 부싱(56)에 삽입되어서 회전부 하우징(20)의 회전시에 회전부 버튼핀(25)과 힌지축 조립나사(60)의 회전 마찰을 줄이도록 한다. 너트와 평와셔는 힌지축 조립나사의 고정 장착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성이다.
내부 고정핀(52)과 내부 스프링(54)은 고정부 하우징(10)의 원형 부재(12) 측에 형성된 홈부(14)에 삽입되어 있고, 내부 고정핀(52)의 밀림 이동으로 내부 스프링(54)을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고정핀(52)과 내부 스프링(54)의 조합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고, 회전 버튼(40)이 일정 각도 회전 후 힌지를 1차적으로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고정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가능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회전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구속되는 상태가 된다.
회전부 하우징(20) 측에는 회전 버튼(40), 회전부 버튼핀(25), 버튼 고정나사(50)가 위치한다. 외부에서 회전버튼(40)의 회전 동작으로, 회전부 버튼핀(25)이 삽입된 회전부 하우징(20)이 회전된다. 즉,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한 회전부 하우징이 회전 또는 고정되고,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한 고정부 하우징은 고정상태를 갖는다.
이 경우 회전부 하우징(20)과 고정부 하우징(10)을 결합하고 있는 힌지축 조립나사(6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회전부 하우징(20)은 힌지축 조립나사(60)를 중심으로 그 외부에서 회전하는 상태를 갖는다. 버튼 고정나사(50)는 적어도 2개 이상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는 도 2a에서는 4개의 버튼 고정나사를 적용하였다.
고정부 하우징(10)의 연장부(15)의 외주면로 회전부 하우징(20)이 감싸고 있고, 힌지(100)의 전방 일단에 회전 버튼(40)이 장착된다. 회전버튼(40)은 버튼 고정나사(50)를 통해서 회전부 버튼핀(25)과 체결된다. 회전부 버튼핀(25)의 삽입부재(27) 일측 끝단부는 내부 고정핀(52)의 일측 끝단과 맞닿는 상태로 홈부(24)를 관통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부 하우징(10)의 원형부재 측에 형성된 홈부(14)에는 내부 고정핀(52)과 내부 스프링(54)이 장착되고 있다.
내부 고정핀(52)은 내부 스프링(54)에 의해서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즉, 회전 버튼(40)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될 때, 회전부 버튼핀(25)의 삽입부재(27) 끝단부가 내부 고정핀(52)을 밀어내면서 내부 스프링(54)을 압축시키게 된다. 내부 스프링(54)은 일측은 고정부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측은 내부 고정핀에 연결되어서 회전부 접촉면 방향으로 내부 고정핀을 밀어내는 탄성력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주축 고정부는 도 3a에 도시된 상태가 고정이 된 상태이고, 도 3b와 같은 상태가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다.
즉,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100)의 회전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외부 고정핀(30)이 회전부 버튼핀(25)의 구속을 해제한 상태로 조절한다. 이는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100)는 외부 고정부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모든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 회전 버튼(40)을 누른다. 회전 버튼(40)에 누름 압력을 가하면, 회전 버튼(40)과 버튼 고정나사(50)로 체결된 회전부 버튼핀(25)의 삽입부재(27)가 도 3b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 고정핀(52)을 홈부(24)에서 밀어내고, 내부 스프링(54)은 압축상태가 된다.
즉, 도 3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회전부 하우징(20)에 끼워져 있던 내부 고정핀(52)이 회전 버튼(40)의 누름 압력으로 도 3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회전부 접촉면까지 밀려나면서 회전부 하우징(20)은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회전 버튼(40)을 누른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의 회전부 하우징(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회전부 하우징(20)이 원하는 각도에 도달하면, 회전 버튼(40)의 누름 압력을 해제한다. 회전 버튼(40)의 누름 압력을 해제하면, 내부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내부 고정핀(52)을 밀어내고, 내부 고정핀(52)은 회전부 접촉면을 지나 회전부 하우징(20)의 홈부(24)에 삽입되어 회전부 하우징(20)의 회전을 구속한다.
즉, 도 3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축 고정부의 회전과 고정은 회전 버튼(40)의 누름 압력에 기반해서 회전부 버튼핀(25)의 삽입부재(27)가 내부 고정핀(52)을 밀어내어(회전버튼 기준으로 뒤쪽 방향)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원하는 각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면, 회전 버튼(40)의 누름 압력을 해제한다. 이때 회전부 버튼핀(25)의 밀림 이동으로 내부 고정핀(52)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면서 내부 스프링(54)은 갖고 있는 탄성력으로 내부 고정핀(52)을 회전부 하우징(20) 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회전부 버튼핀(25)은 회전버튼 기준으로 앞쪽 방향으로 이동되고, 내부 고정핀(52)은 홈부(24)에 삽입된다. 이 동작으로 도 3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축 고정부가 고정된다.
한편, 힌지의 특성 상, 잦은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힌지의 일부가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주축 고정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긴급하게 힌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적인 수단이 필요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힌지가 특정 각도에서 오랜 시간 유지해야 할 경우, 외부 고정부를 이용한 고정 상태를 이중으로 할 필요성이 있다.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외부 고정부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하고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외부 고정부의 고정시 내부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외부 고정부의 회전시 내부 단면도이다.
외부 고정부는 외부 고정핀(30)에 의하여 회전부 버튼핀(25)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부 하우징(10)의 사각형 부재 일측에는 "ㄴ"자 형상의 홈부(35)가 형성되고 있고, 홈부(35)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외부 고정핀(30)이 장착된다. 외부 고정핀(30)은 홈부(35) 내에서 외부 스프링(37)의 탄성력을 지지받도록 구성되고, 외부 고정핀(30)은 도 2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부에 돌출된 손잡이(33)를 이용해서 홈부(35) 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진다.
도 2a에 도시되고 있는 외부 고정핀(30)의 형상은 회전부 버튼핀(25)을 고정시킨 상태의 외부 형상이다. 그리고 회전부 하우징(20)에는 외부 고정핀(30)의 끝단 일부를 삽입할 수 있는 구속 홈부(65)가 다수개 형성된다. 구속 홈부(65)는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 범위 내에서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힌지가 고정상태에서는 외부 고정핀(30)의 끝단 일부가 회전부 하우징(20)에 특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구속 홈부(65)에 끼워진 상태이다. 이때 회전부 하우징(20)의 구속 홈부(65)가 형성된 각도는 주축 고정부의 고정 가능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즉, 주축 고정부의 고정 각도와 외부 고정부의 고정각도는 도 5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힌지의 회전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 외부 고정핀(30)의 손잡이(33)를 통해서 외부 스프링(37)을 압축하고, 손잡이 부분을 홈(65)의 상부(
Figure 112020140913060-pat00003
: 원으로 표시된 부분)에 끼워 넣는다. 외부 고정핀(30)의 손잡이가 홈(65)의 상부에 끼워졌을 때, 외부 고정핀(30)의 끝단 일부는 회전부 하우징(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속 홈부(65)에서 분리되어 회전부 버튼핀(25)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이 동작에 의해서 힌지는 도 4b에 도시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전부 버튼핀(25)은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원하는 만큼 회전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회전부 버튼핀(25)의 회전 동작 원리는 주축 고정부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부 버튼핀(25)의 일정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고, 다시 고정을 필요로 할 때, 외부 고정핀(30)의 손잡이를 아래로 눌러서 홈(65)의 상부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외부 고정핀(30)은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지지받게 되고, 외부 고정핀(30)의 끝단부가 회전부 하우징(20)의 특정 각도에 형성된 구속 홈부(65)에 삽입되면서, 회전부 하우징을 구속한다. 외부 스프링(33)은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 고정핀에 연결되어서 회전부 하우징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지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 버튼핀의 구성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축 고정부와 외부 고정부를 일치시킨 상태도이다.
즉, 본 발명은 주축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회전부 버튼핀(25)의 삽입부재(27)를 30도 각도로 형성하고 있고, 또한 외부 고정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회전부 하우징(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65)를 30도 각도로 형성하고 있다. 즉, 주축 고정부와 외부 고정부의 고정각도를 일치되도록 구성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의 동작에 따른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첫번째(1) 표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가 주축 고정부를 이용한 회전과 고정이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두번째(2) 표시된 구성은 (1)의 구성에서 회전 버튼에 누름 압력을 가하고 회전부 하우징을 회전시키고, 원하는 각도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회전 버튼에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여 세번째(3) 표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 고정부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고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세번째(3)와 네번째(4)에 표시된 구성과 같이, 외부 고정핀의 손잡이를 하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다섯번째(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고정핀의 손잡이가 이동되면서 여섯번째(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고정핀은 회전부 버튼핀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고정이 필요한 다양한 회전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는데, 도 7a와 도 7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콘솔 장비의 데스크 틸팅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 등의 도어 회전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가 콘솔 하우징/데스크 하우징에 적용시킨 상태를 확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8c는 본 발명의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가 데스크 하우징에 결합시의 체결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a에 도시되고 있는 힌지의 사각형 부재에는 나사 결합 홈부(23)이 형성되고 있다. 결합홈(23)에는 삽입기(헬리코일)이 삽입되어 데스크 중량에 따라 적절한 나사(M6,M8)를 사용해서 결합니다. 도시되고 있는 실시예는 KSD 1003 M6 나사를 이용한 실시예이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고정부 하우징, 12 ; 고정부 하우징 원형 부재, 13 : 중심 관통홈, 14: 홈부, 15 : 연장부, 20 : 회전부 하우징, 22 : 회전부 하우징 원형 부재, 23 : 홈부, 24 : 홈부, 25 : 회전부 버튼핀, 26 : 중심 관통홈, 30 : 외부 고정핀, 33 : 외부 고정핀 손잡이, 35 : 홈부, 37 : 외부 스프링, 40 : 회전 버튼, 50 : 버튼 고정나사, 52 : 내부 고정핀, 54 : 내부 스프링, 56 : 부싱, 60 : 힌지축 조립나사, 62 : 힌지축 조립너트, 64 : 평와셔, 65 : 구속 홈부

Claims (25)

  1. 외부 고정부재 측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 하우징;
    외부 회전부재 측에 장착되고, 고정부 하우징과 힌지축 조립나사를 통해서 결합되어서 힌지축 조립나사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회전부 하우징;
    회전부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누름 압력을 통해서 회전부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 버튼;
    회전 버튼과 버튼 고정나사로 체결되고, 회전부 하우징 내에 포함되어서 회전 버튼의 누름 압력시 후방으로 밀리도록 설계된 회전부 버튼핀; 및
    회전부 버튼핀과 일측 끝단이 맞닿아 있고, 회전부 버튼핀의 밀리는 압력으로 회전부 접촉면을 통과하여 내부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내부 고정핀을 포함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고정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가능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회전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구속되고,
    회전부 하우징은 앞이 오픈된 ⊃ 형상으로 구성되어, 뒷판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관통홈을 형성하고,
    회전부 버튼핀은 중심부분이 관통된 원형 부재에 다리 형상의 다수개의 삽입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회전부 하우징의 뒷판에 형성된 관통홈에 삽입되고,
    회전부 버튼핀의 삽입부재는 회전버튼의 누름 압력이 가해지면, 내부 고정핀에 밀림 압력을 가하여 내부 고정핀을 회전부 하우징 내에서 밀어내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 하우징의 외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ㄴ"자 형상 홈부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외부 고정핀;
    홈부 내에서 외부 고정핀에 탄성력을 지지하는 외부 스프링; 및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구속 홈부를 포함하고,
    외부 고정핀의 끝단 일부가 구속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부 하우징을 구속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 범위 내에서 다수개 형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회전부 하우징은 외부 고정핀의 구속이 풀린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외부 고정핀은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회전부 버튼핀의 삽입부재와 회전부 하우징의 뒷판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관통홈은 30도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8. 청구항 7에 있어서,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관통홈과 같은 각도에 형성하되,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머리 부분에서 일정 수 미만으로 형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9.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 하우징은 뒤가 오픈된 ⊂ 형상으로 구성되고, 앞판 중심부에 통공상태의 연장부가 구성되어,
    힌지축 조립나사가 회전부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부의 통공홈에 삽입되어서 조립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고정부 하우징의 앞판 가장자리에는 내부 고정핀의 이동을 위한 홈부가 형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내부 고정핀과 내부 스프링의 조합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내부 스프링은 회전부 접촉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지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13. 콘솔 하우징 측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 하우징;
    콘솔 하우징의 운용을 위한 컴퓨터 기능을 갖춘 데스크 하우징 측에 장착되고, 고정부 하우징과 힌지축 조립나사를 통해서 결합되어서 힌지축 조립나사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회전부 하우징;
    회전부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누름 압력을 통해서 회전부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 버튼;
    회전 버튼과 버튼 고정나사로 체결되고, 회전부 하우징 내에 포함되어서 회전 버튼의 누름 압력시 후방으로 밀리도록 설계된 회전부 버튼핀; 및
    회전부 버튼핀과 일측 끝단이 맞닿아 있고, 회전부 버튼핀의 밀리는 압력으로 회전부 접촉면을 통과하여 내부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내부 고정핀을 포함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고정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가능하고, 내부 고정핀의 일측 끝단부가 회전부 접촉면을 중심으로 회전부 하우징 측에 위치하면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이 구속되고,
    회전부 하우징은 앞이 오픈된 ⊃ 형상으로 구성되어, 뒷판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관통홈을 형성하고,
    회전부 버튼핀은 중심부분이 관통된 원형 부재에 다리 형상의 다수개의 삽입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회전부 하우징의 뒷판에 형성된 관통홈에 삽입되고,
    회전부 버튼핀의 삽입부재는 회전버튼의 누름 압력이 가해지면, 내부 고정핀에 밀림 압력을 가하여 내부 고정핀을 회전부 하우징 내에서 밀어내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고정부 하우징의 외부 일측면에 형성되고, "ㄴ"자 형상 홈부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외부 고정핀;
    홈부 내에서 외부 고정핀에 탄성력을 지지하는 외부 스프링; 및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구속 홈부를 포함하고,
    외부 고정핀의 끝단 일부가 구속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부 하우징을 구속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회전 범위 내에서 다수개 형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회전부 하우징은 외부 고정핀의 구속이 풀린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외부 고정핀은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18. 삭제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회전부 버튼핀의 삽입부재와 회전부 하우징의 뒷판에 일정 각도로 형성된 관통홈은 30도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회전부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관통홈과 같은 각도에 형성하되,
    구속 홈부는 회전부 하우징의 머리 부분에서 일정 수 미만으로 형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고정부 하우징은 뒤가 오픈된 ⊂ 형상으로 구성되고, 앞판 중심부에 통공상태의 연장부가 구성되어,
    힌지축 조립나사가 회전부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부의 통공홈에 삽입되어서 조립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고정부 하우징의 앞판 가장자리에는 내부 고정핀의 이동을 위한 홈부가 형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내부 고정핀과 내부 스프링의 조합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내부 스프링은 회전부 접촉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지지하는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25. 삭제
KR1020200183083A 2020-12-24 2020-12-24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KR102454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083A KR102454070B1 (ko) 2020-12-24 2020-12-24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083A KR102454070B1 (ko) 2020-12-24 2020-12-24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887A KR20220091887A (ko) 2022-07-01
KR102454070B1 true KR102454070B1 (ko) 2022-10-14

Family

ID=8239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083A KR102454070B1 (ko) 2020-12-24 2020-12-24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0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412B2 (ja) * 1991-09-06 2000-01-31 共和碍子株式会社 電磁誘導セラミックス発熱体
US20050188504A1 (en) * 2004-02-26 2005-09-01 Fih Co., Ltd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1788153B1 (ko) * 2015-10-19 2017-10-20 주식회사 한국미야마 90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게 기능하는 이음연결쇠 및 이의 이용방법
US20190383099A1 (en) 2018-06-14 2019-12-19 Kang-Shuo Yeh Ladder hinge with dual lock-pins
CN210300061U (zh) 2019-06-30 2020-04-14 江门职业技术学院 一种教学用书籍固定托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457Y2 (ko) * 1989-05-31 1993-10-20
JP3004412U (ja) * 1994-05-19 1994-11-15 進文 葉 折畳式梯子の関節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412B2 (ja) * 1991-09-06 2000-01-31 共和碍子株式会社 電磁誘導セラミックス発熱体
US20050188504A1 (en) * 2004-02-26 2005-09-01 Fih Co., Ltd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1788153B1 (ko) * 2015-10-19 2017-10-20 주식회사 한국미야마 90도 범위로 회동 가능하게 기능하는 이음연결쇠 및 이의 이용방법
US20190383099A1 (en) 2018-06-14 2019-12-19 Kang-Shuo Yeh Ladder hinge with dual lock-pins
CN210300061U (zh) 2019-06-30 2020-04-14 江门职业技术学院 一种教学用书籍固定托架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0441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887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1676A (en) Adjustable clutch hinge assembly for portable computer
US7634838B2 (en) Hinge and a mobile phone with the hinge
US5970819A (en) Operating device of opening-closing body
US5600868A (en) Deployment hinge
US7168668B2 (en) Damage resistant antenna mount
US6791501B2 (en) Vehicle roof mount antenna
US8418319B2 (en) Hinge mechanism
JP3303394B2 (ja) 携帯電話機
US6694569B2 (en) Hinge device
US4209807A (en) Projection type television set
WO2005099232A2 (en) Dual axis hinge for handheld device
US20180363349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and various opened and closed bodies having the same
US20040011835A1 (en) Sun visor having office work apparatus
EP3798400A2 (en) Hinge device for rotary door
KR102454070B1 (ko) 2방향 고정형 회전 힌지
US4988068A (en) Remote control mechanism
US20070192996A1 (en) Handle device for a modularized casing
US6708370B2 (en) Locking structure
CN109253153B (zh) 终端机器的自动站立开合装置及使用该装置的终端机器
CN215293228U (zh) 移动终端及其附属设备转轴
US725854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module thereof
CN110268360A (zh) 摇轮遥控器阻尼结构和摇轮遥控器
JP7085407B2 (ja) 開閉体の開閉装置並びに被開閉体
JP2590407Y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CN219910432U (zh) 铰链装置和折叠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