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335B1 -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335B1
KR102453335B1 KR1020200172494A KR20200172494A KR102453335B1 KR 102453335 B1 KR102453335 B1 KR 102453335B1 KR 1020200172494 A KR1020200172494 A KR 1020200172494A KR 20200172494 A KR20200172494 A KR 20200172494A KR 102453335 B1 KR102453335 B1 KR 102453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function
touch panel
panel screen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522A (ko
Inventor
김사엽
형준호
노종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3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사용하고 유저 인터페이스의 개선을 통하여 리클라이너 소파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은, 리클라이너 소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 화면으로부터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상기 터치 피널 화면의 접촉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접촉 영역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축을 기준축으로 하고,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수직축과 상기 기준축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왼손 및 오른손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축이 상기 수직축과 비교하여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손가락을 오른손으로 인식하고, 상기 기준축이 상기 수직축과 비교하여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손가락을 왼손으로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RECLINER}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리클라이너 소파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파는 앉아서 휴식을 취하도록 만든 가구로서 수세기 동안 모양의 큰 변화 없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었으나, 최근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 주거공간 내의 인테리어 기능, 기능성 가구화 등에 따라 개선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앉을 수 있는 소파에서 각도 조절 등받이, 높이 조절 헤드 레스트 및 길이 조절 풋 스툴을 적용한 리클라이너 소파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리클라이너 소파는 소파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부에 의해 조작되는데, 일반적으로 조작부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버튼으로 구성되는 조작부는 조작 기능이 제한되고 시인성이 좋지 않으며, 등받이가 젖혀진 경우에 손이 닿지 않거나 닿는 경우에도 화면이 제대로 보이지 않아 조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122607호(2011.11.10.)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소파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은, 리클라이너 소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 화면으로부터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접촉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접촉 영역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축을 기준축으로 하고,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수직축과 상기 기준축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왼손 및 오른손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축이 상기 수직축과 비교하여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손가락을 오른손으로 인식하고, 상기 기준축이 상기 수직축과 비교하여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손가락을 왼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가락을 오른손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리클라이너의 기능 아이콘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죄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의 상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상하 조작 휠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손가락을 왼손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리클라이너의 기능 아이콘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의 상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상하 조작 휠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 아이콘이 터치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의 터치 시간이 임계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기능 아이콘이 이동 모드로 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아이콘이 이동하며, 상기 기능 아이콘의 이동 중에 터치가 해제되는 위치에 상기 기능 아이콘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상기 기능 아이콘의 둘레에 원형의 기능 조작 휠이 생성되고, 상기 기능 조작 휠의 손가락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기능이 제어되며, 상기 기능 조작 휠의 조작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리클라이너의 기능 제어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가락과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접촉 영역 중 상기 기준축을 기준으로 하부의 접촉 영역이 상부의 접촉 영역보다 큰 경우에 상기 상하 조작 휠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손가락과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접촉 영역 중 상기 기준축을 기준으로 상부의 접촉 영역이 하부의 접촉 영역보다 큰 경우에 상기 상하 조작 휠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은, 터치 패널을 사용하고 유저 인터페이스의 개선을 통하여 리클라이너 소파를 대단히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화면의 터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화면의 손가락 접촉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사용자 양손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화면의 기능 아이콘 및 상하 조작 휠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화면의 기능 아이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화면의 기능 아이콘 고정 및 기능 조작 휠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의 손가락 터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의 손가락 터치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화면의 터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는 터치 패널부(200), 제어부(300) 및 리클라이너 소파(100)를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터치 패널부(200)의 터치 감지, 터치 영역 감지, 터치 패널 화면 표시 및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용량성 감지, 저항성 감지, 표면 탄성파 감지, 압력 감지, 광학 감지 중 어느 하나의 터치 감지 기술에 기초한 패널일 수 있다.
리클라이너 소파(100)는 소파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좌판, 팔걸이, 등받이, 헤드 레스트, 발받침부 그리고 리클라이너 소파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부를 포함하며, 대상 제품에 따라 기타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터치 패널부(200)에 대한 손가락 터치 제어와 휴대 단말기를 통한 무선 연결 제어가 가능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화면의 손가락 접촉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사용자 양손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 화면(201)에 손가락을 터치하면 제어부(300)는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패널 화면(201) 상에서의 터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 패널부(200)와 제어부(300)를 통하여 단일점과 다중점 접촉 및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고, 손가락과 터치 패널 화면(201) 간의 접촉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터치 패널 화면(201)의 접촉 영역(210)이 원형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벗어난 경우에는 손가락이 터치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인체 구조상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하는 경우에 원형(C)보다는 타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터치될 수 있으며, 타원형과 원형을 구별할 수 있도록 임계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임계값은 제조자에 의하여 실험적으로 구해지거나, 이미 알려진 임계값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접촉 영역(210)이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타원형이거나, 불규칙한 모양의 경우에는 곡률의 임계값 이상으로 간주하여 원형으로 인식하지 않으며, 이 경우 손가락이 터치 패널 화면(201)에 접촉된 것으로 인식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손가락과 터치 패널 화면(201)의 접촉 영역(210)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왼손 또는 오른손 손가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접촉 영역(210)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축을 기준축(211)으로 하고, 기준축(211)이 수직축(V)으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오른 손가락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축이 수직축으로부터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왼 손가락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할 때, 신체 구조 상 오른손은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왼손은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도 3b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화면의 기능 아이콘 및 상하 조작 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치 패널 화면(201)을 접촉한 손이 오른손으로 판단되는 경우 터치 패널 화면(201)의 좌측에 리클라이너 기능 아이콘(221)이 배치되고, 터치 패널 화면(201)의 우측에는 기능 아이콘(221)을 조작하기 위한 상하 조작 휠(220)이 생성된다. 사용자가 상하 조작 휠(220)을 손가락 터치하여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 기능 아이콘(221)들이 상하 이동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 화면(201)을 접촉한 손이 왼손으로 판단되는 경우 오른손으로 판단된 경우와 반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화면의 기능 아이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능 아이콘(221)은 손가락 터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데, 제어부(300)에 의해 기능 아이콘(221)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고 검출된 시점을 시작으로 임계 시간(예를 들어 1초)이 초과된 경우에 해당 기능 아이콘(221)이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기능 아이콘(221)이 이동 가능한 상태, 즉 이동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능 아이콘 색상 변화, 기능 아이콘 흔들림, 기능 아이콘 크기 변화, 효과음 또는 진동 등을 통하여 피드백 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이동 모드 상태에서 터치의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기능 아이콘(221)을 이동시키며, 이동 시 손가락이 터치 패널 화면(201)으로부터 떨어지는 경우에, 즉 터치 해제가 검출된 경우 터치 해제 시점의 위치에 기능 아이콘(221)을 고정시킨다.
또한, 기능 아이콘(211)의 이동 시 이동 시작 지점으로부터 이동된 거리에 비례하여 기능 아이콘(211)의 크기가 커질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아이콘의 기능을 알아보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화면의 기능 아이콘 고정 및 기능 조작 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능 아이콘(221)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면, 기능 아이콘(221)의 둘레에 원형의 기능 조작 휠(230)이 생성되고, 손가락 터치에 의한 기능 조작 휠(230)의 회전 조작에 의해 기능 아이콘(221)에 대응되는 리클라이너 소파의 기능이 조작된다.
또한, 기능 조작 휠(230)의 조작 시 회전 각도의 크기에 대응하여 리클라이너 소파의 조작 속도가 조절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위블 기능 아이콘의 기능 조작 휠(230)을 터치하여 이를 회전시키는 각도가 클수록 리클라이너 소파의 스위블 속도가 증가하는 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다양한 리클라이너 소파에 적용할 수 있으며, 리클라이너 소파의 스위블 기능, 등받이 조절 기능, 글라이딩 기능, 풋 스툴 기능 등 시중에 공개된 리클라이너 소파의 다양한 기능은 각각 기능 아이콘(221)에 대응하여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블 기능 아이콘의 기능 조작 휠(230) 조작을 통하여 리클라이너 소파(100)의 회전을 제어하거나, 풋 스툴 기능 아이콘의 기능 조작 휠 조작을 통하여 풋 스툴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한편, 기능 아이콘(221)은 각각 고유의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도식화된 아이콘이거나 한글이나 영어 등의 언어로서 기능이 나타난 아이콘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의 터치 패널 화면 손가락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손가락과 터치 패널 화면 상의 접촉 영역을 검출한다. 접촉 영역이 원으로 입력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곡률의 임계값을 넘어서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인식하고 접촉 영역의 기준축이 설정된다.
기준 축의 기울기가 좌측인지 아닌지에 따라 각각 오른손 및 왼손으로 인식하고, 오른손으로 인식되는 경우 리클라이너 기능 아이콘이 좌측 영역에 배치되고, 왼손으로 인식되는 경우 리클라이너 기능 아이콘이 우측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각 경우에서 상하 조작 휠은 기능 아이콘의 반대 영역에 배치된다.
상하 조작 휠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조작하면, 이에 대응하여 기능 아이콘들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기능 아이콘을 터치하고 터치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기능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터치한 상태로 기능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드래그). 기능 아이콘의 이동 중 터치가 해제되면, 터치 해제 위치에 기능 아이콘이 멈춰서 고정된다. 또한 기능 아이콘의 고정과 동시에 기능 아이콘 둘레에 기능 조작 휠이 생성되고 기능 조작휠의 조작에 의해 리클라이너가 제어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의 손가락 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손가락이 터치 패널 화면(201)을 터치할 때, 화면의 상부를 터치하는 경우 손가락의 단부가 상부를 향하게 되고 화면의 하부를 터치하는 경우 손가락의 단부가 하부를 향하게 된다. 이때, 손가락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손가락과 터치 패널 화면(201)의 접촉 영역(210)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기준축(211)을 기준으로 접촉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8b를 참조하면, 터치 패널 화면(201) 상에서 손가락이 상부를 향하는 경우 기준축(211)을 중심으로 기준축(211)의 하부가 강하게 눌리므로 기준축(211) 하부의 손가락 접촉 면적(L)이 기준축(211) 상부의 손가락 접촉 면적(U)보다 상대적으로 넓다. 또한, 도 8c를 참조하면, 반대로 터치 패널 화면(201) 상에서 손가락이 하부를 향하는 경우 기준축(211)을 중심으로 기준축(211)의 상부가 강하게 눌리므로 기준축(211) 상부의 손가락 접촉 면적(U)이 기준축(211) 하부의 손가락 접촉 면적(L)보다 상대적으로 넓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손가락과 터치 패널 화면(201)의 접촉 영역(210)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기준축(211)을 기준으로 기준축(211) 하부의 손가락 접촉 면적이 기준축(211) 상부의 손가락 접촉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 손가락이 터치 패널 화면(201)의 상부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기준축(211) 상부의 손가락 접촉 면적이 기준축(211) 하부의 손가락 접촉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 손가락이 터치 패널 화면(201)의 하부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손가락의 터치 패널 화면(201) 상하부 접촉 위치에 따라서, 생성되는 상하 조작 휠(220)의 배치 위치가 정해질 수 있는데, 손가락이 터치 패널 화면(201)의 상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하 조작 휠(220)은 터치 패널 화면(20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반대의 경우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 손가락이 터치 패널 화면(201)의 상부에 터치되는 경우 기능 아이콘(221)은 화면의 좌측에, 그리고 상하 조작휠(220)은 화면의 우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손가락이 터치되는 영역을 상하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의 손가락 터치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본적인 기능 조작을 위한 간편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리클라이너 소파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등받이와 발받침부의 기울기 조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기능은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능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 기능에 즉시 접근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최초 터치 패널 화면(201)을 두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경우에 등받이 조작 모드가 활성화되고, 두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에서 이들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최초 터치 패널 화면(201)을 세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경우에 발받침부 조작 모드가 활성화되고, 두 손가락이 접촉한 상태에서 이들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발받침부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통신부를 통하여 다양한 휴대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등에 블루투스 등을 통하여 무선 연결되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터치 패널부를 통한 조작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등받이 젖힘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널부를 조작하기 불편한 경우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리클라이너 소파를 조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리클라이너 소파 200: 터치 패널부
300: 제어부

Claims (5)

  1. 리클라이너 소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 화면으로부터 손가락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과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접촉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영역이 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곡률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손가락으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접촉 영역에서 가장 긴 직경을 지나는 축을 기준축으로 하고,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수직축과 상기 기준축을 비교하여 상기 터치 입력된 손가락을 왼손 및 오른손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축이 상기 수직축과 비교하여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손가락을 오른손으로 인식하고, 상기 기준축이 상기 수직축과 비교하여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손가락을 왼손으로 인식하며,
    상기 손가락을 오른손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리클라이너의 기능 아이콘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의 상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상하 조작 휠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손가락을 왼손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리클라이너의 기능 아이콘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의 상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상하 조작 휠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능 아이콘이 터치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의 터치 시간이 임계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기능 아이콘이 이동 모드로 되고, 상기 기능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아이콘이 이동하며, 상기 기능 아이콘의 이동 중에 터치가 해제되는 위치에 상기 기능 아이콘이 고정되되,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아이콘의 기능을 알아보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능 아이콘의 이동 시 이동 시작 지점으로부터 이동된 거리에 비례하여 기능 아이콘의 크기가 커지며,
    고정된 상기 기능 아이콘의 둘레에 원형의 기능 조작 휠이 생성되고, 상기 기능 조작 휠의 손가락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기능이 제어되며, 상기 기능 조작 휠의 회전 조작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리클라이너의 소파의 스위블 기능, 등받이 조절 기능, 글라이딩 기능 또는 풋 스툴 기능기능 제어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과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접촉 영역 중 상기 기준축을 기준으로 하부의 접촉 영역이 상부의 접촉 영역보다 큰 경우에 상기 상하 조작 휠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손가락과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접촉 영역 중 상기 기준축을 기준으로 상부의 접촉 영역이 하부의 접촉 영역보다 큰 경우에 상기 상하 조작 휠이 상기 터치 패널 화면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KR1020200172494A 2020-12-10 2020-12-10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KR102453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94A KR102453335B1 (ko) 2020-12-10 2020-12-10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494A KR102453335B1 (ko) 2020-12-10 2020-12-10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22A KR20220082522A (ko) 2022-06-17
KR102453335B1 true KR102453335B1 (ko) 2022-10-11

Family

ID=8226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494A KR102453335B1 (ko) 2020-12-10 2020-12-10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3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0321A (ja) * 2008-12-12 2010-06-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KR101660842B1 (ko) * 2009-11-05 201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238414B1 (ko) 2010-05-04 2013-02-28 김범진 전자동 리클라이너 소파
KR102182165B1 (ko) * 2014-07-03 202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0321A (ja) * 2008-12-12 2010-06-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522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8993A1 (en) Computer mouse
US11709592B2 (en) Handset for controlling a support device or a movable surface
US9086741B2 (en) User input device
US20160320924A1 (en) Controller And Massage Machine
JP2018081689A (ja) 調節可能なマウス
KR20170054423A (ko) 다-표면 컨트롤러
US20130038534A1 (en) Mouse with improved input mechanisms using touch sensors
US20150193023A1 (en) Devices for use with computers
SE530518C2 (sv) Biomekaniskt lågt belastande datormus
JP6194355B2 (ja) コンピュータと共に用いるデバイスの改良
JP2013150693A (ja) マッサージ機
KR20100121183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KR102453335B1 (ko) 리클라이너 소파 제어 방법
KR20210095778A (ko)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US6452587B1 (en) Cursor controller using speed position
US6680728B1 (en) Cursor control device for convenient and ergonomic hand-held or work-surface use
JP4432471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7029192A (ja) マッサージ機
DK176630B1 (da) Ergonomisk stol
US11798753B2 (en) Handset for controlling a surgical operating table
KR100648980B1 (ko) 컴퓨터용 입력 장치
KR102263514B1 (ko) 탄성체를 이용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JPH04309996A (ja) マンマシン装置
KR20060070891A (ko) 틸팅 마우스
KR20140070874A (ko) 동작 인식에 의한 차량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