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203B1 -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203B1
KR102453203B1 KR1020200056029A KR20200056029A KR102453203B1 KR 102453203 B1 KR102453203 B1 KR 102453203B1 KR 1020200056029 A KR1020200056029 A KR 1020200056029A KR 20200056029 A KR20200056029 A KR 20200056029A KR 102453203 B1 KR102453203 B1 KR 102453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alignment
sensor
receiver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766A (ko
Inventor
박재윤
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레이
Priority to KR1020200056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203B1/ko
Priority to US17/919,602 priority patent/US20230172578A1/en
Priority to PCT/KR2021/005865 priority patent/WO2021230612A1/ko
Publication of KR2021013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5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61B6/145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by intraor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5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detecto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52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87Alignment of source unit to detector un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Abstract

본 발명은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는 엑스레이를 발생시켜 조사하기 위한 엑스레이튜브 및 제1 자이로센서, 제1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모서리에 자력을 형성하는 자석이 설치되며, 엑스레이튜브에서 발생하는 엑스레이를 수신하여 구강 내 대상물의 엑스레이데이터를 획득하는 엑스레이수신부를 포함하며, 엑스레이튜브는 제2 자이로센서와, 자석에서 형성되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와, 초음파를 발생시켜 엑스레이수신부를 감지하여 위치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및 엑스레이튜브 및 엑스레이수신부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oral X-ray device with alignment function}
본 발명은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엑스레이튜브 및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 자이로센서가 장착되고, 엑스레이튜브에 홀센서, 초음파센서 및 근접센서가 장착되어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의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엑스레이 촬영을 하기 위한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등에서 피검자의 구강 내 X선 촬영을 위해서는 흔히 센서홀더라 불리는 소정의 기구물에 인트라오럴 X선 센서를 고정시켜 피검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한 후 구강 외부의 X선 조사장치로부터 인트라오럴 X선 센서에 X선을 조사함으로써 X선 조사장치와 인트라오럴 X선 센서 사이의 구강 내 구조물을 X선 촬영한다.
여기서 인트라오럴 X선 센서는 촬영대상을 투과한 X선을 감지하여 촬영대상의 투영 데이터가 반영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이고, 센서홀더는 구강 내부의 인트라오럴 X선 센서를 목적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한편 필요 시 구강 외부의 X선 조사장치가 구강 내부의 인트라오럴 X선 센서와 일직선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보조기구이며, (특허문헌 1)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인트라오럴 X선 센서의 센서홀더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X선을 수광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편인 후면을 갖고, 상기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X선 센서의 센서홀더로서, 상기 체결부의 측면이 끼워져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 감싸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X선 센서의 배면 및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면서 상기 인트라오럴 X선 센서의 전방을 향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X선 센서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인트라오럴 X선 센서 및 엑스레이튜브사이의 수평, 좌우 및 거리정렬을 하기 위해서는 진료자가 육안으로 튜브와 센서 사이의 수평, 좌우 및 거리상태를 확인하고 수작업으로 센서 또는 튜브를 움직여서 정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육안으로 그리고 수작업으로 수평, 좌우 및 거리정렬이 이루어질 경우, 결과적으로 영상의 상하, 좌우 또는 대각의 영상 확대율이 달라지게 되고 또 최종적인 영상이 원래의 치아와 달리 왜곡되어 생성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영상으로 기초로하여 진료를 하는 진료자가 오진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68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엑스레이튜브 및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에 자이로센서가 장착되고, 엑스레이튜브에 홀센서, 초음파센서 및 근접센서가 장착되어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의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엑스레이 촬영을 하기 위한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는 엑스레이를 발생시켜 조사하기 위한 엑스레이튜브; 및
제1 자이로센서, 제1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모서리에 자력을 형성하는 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엑스레이튜브에서 발생하는 엑스레이를 수신하여 구강 내 대상물의 엑스레이데이터를 획득하는 엑스레이수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엑스레이튜브는 제2 자이로센서;
상기 자석에서 형성되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엑스레이수신부를 감지하여 위치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상기 엑스레이튜브 및 엑스레이수신부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튜브는 상기 제1 통신모듈과 쌍방향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모듈 및 제2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근거리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튜브는 상기 엑스레이수신부 간의 위치, 좌우, 거리 및 수평을 정렬하는 정렬확인부; 및
상기 엑스레이튜브 및 엑스레이수신부 간의 위치, 좌우, 거리 및 수평정렬의 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확인부는 상기 제1 자이로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엑스레이수신부 및 엑스레이튜브 간의 수평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확인부는 상기 엑스레이수신부의 모서리에 설치된 자석에서 생성된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엑스레이수신부의 좌우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확인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로부터 발산하는 초음파를 통해 상기 엑스레이수신부를 감지하여 상기 엑스레이수신부의 위치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확인부는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상기 엑스레이수신부 간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엑스레이수신부의 거리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엑스레이수신부에 제1 자이로센서, 자석을 설치하고, 엑스레이튜브에 제2 자이로센서, 홀센서, 초음파센서 및 근접센서를 설치하여 엑스레이수신부의 수평, 좌우, 위치 및 거리정렬여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엑스레이수신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엑스레이영상을 촬영함으로써 확대율이 일정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반복되는 재촬영을 사전에 방지하여 수신자의 피폭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를 나타내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는 엑스레이수신부(100) 및 엑스레이튜브(200)를 포함한다.
엑스레이튜브(200)는 엑스레이를 발생시켜 엑스레이수신부(100)에 조사하는 장치이며, 센서부, 제2 통신모듈(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정렬확인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레이수신부(100)는 엑스레이튜브(200)에서 발생하는 엑스레이를 수신하여 구강 내 대상물의 엑스레이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엑스레이데이터를 제2 통신모듈(210)을 통하여 엑스레이튜브(200) 또는 별도의 의료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모듈(102) 및 제2 통신모듈(210)은 쌍방향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 통신모듈(102) 및 제2 통신모듈(210)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근거리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쌍방향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 제2 통신모듈(210)은 상기한 의료서버와 무선근거리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추가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엑스레이수신부(100)는 다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모서리에 자석(103)을 설치하여 자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서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자석(103)은 엑스레이튜브(200)에 설치된 홀센서(202)를 통해 자력을 감지함으로써, 엑스레이튜브(200)가 엑스레이수신부(100)의 좌우를 감지할 수 있다.
엑스레이튜브(200)는 엑스레이수신부(100)의 수평, 거리, 위치 및 좌우정렬을 할 수 있도록 엑스레이수신부(100)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센서부(201,202,203,204)와, 센서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하여 정렬여부를 확인하는 정렬확인부(230) 및 정렬확인부(230)의 정렬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제1 자이로센서(101), 홀센서(202), 초음파센서 및 근접센서(2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수평, 거리 위치 및 좌우정렬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제1 자이로센서(101)는 엑스레이수신부(100)에 설치된 제2 자이로센서(201)와 함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정렬확인부(230)에 전송할 수 있다.
정렬확인부(230)는 제1 자이로센서(101) 및 제2 자이로센서(201)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하여 엑스레이수신부(100) 및 엑스레이튜브(200) 간의 수평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홀센서(202)는 엑스레이수신부(100)의 모서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자석(103)에서 생성되는 자력을 감지하여 엑스레이수신부(100)의 좌우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모서리에 설치된 자석(103)의 자력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도록 구성되거나, 자석(103)의 형상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자력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정렬확인부(230)에서 엑스레이수신부(100)의 좌우정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초음파센서(203)는 엑스레이튜브(200)로부터 발산하는 초음파를 통해 엑스레이튜브(200)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하여 정렬확인부(230)에서 엑스레이튜브(200)의 위치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엑스레이튜브(200)는 초음파를 생성하여 이를 발산하는 초음파 생성기(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204)는 엑스레이튜브(200) 및 엑스레이수신부(100)간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하여 정렬확인부(230)에서 엑스레이튜브(200) 및 엑스레이수신부(100) 간의 거리가 적정선에 위치하는 거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거리정렬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엑스레이튜브(200)는 제1 자이로센서(101), 홀센서(202), 초음파센서(203) 및 근접센서(204)를 이용하여 엑스레이수신부(100) 간의 수평, 위치, 거리 및 좌우정렬에 필요한 정보를 정렬확인부(230)에 제공하고, 정렬확인부(230)에서 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정렬확인부(230)에서 판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추가로 엑스레이수신부(100)가 수평, 위치, 거리 및 좌우정렬의 정보 중 정렬이 완료된 정보 및 정렬이 완료되지 않은 정보를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는 수평, 위치, 거리 및 좌우정렬이 모두 완료된 경우, 엑스레이 촬영을 해도 된다는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한 4가지의 정렬기준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은 경우, 엑스레이 촬영을 시도한 경우 정렬이 완료되지 않은 메세지를 표시하여 정렬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정렬완료 또는 정렬불일치에 관련된 메세지는 정렬확인부(230)에서 제어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엑스레이튜브(200)는 수평, 위치, 거리 및 좌우 즉, 4가지의 정렬기준을 모두 충족되어야만 엑스레이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안내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4가지의 정렬기준 중에서 적어도 어느하나의 정렬기준을 선택하여 엑스레이수신부(100)를 정렬하도록 안내받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엑스레이수신부 101 - 제1 자이로센서
102 - 제1 통신모듈 103 - 자석
200 - 엑스레이튜브 201 - 제2 자이로센서
202 - 홀센서 203 - 초음파센서
204 - 근접센서 210 - 제2 통신모듈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정렬확인부

Claims (7)

  1. 엑스레이를 발생시켜 조사하기 위한 엑스레이튜브; 및
    제1 자이로센서, 제1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모서리에 자력을 형성하는 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엑스레이튜브에서 발생하는 엑스레이를 수신하여 구강 내 대상물의 엑스레이데이터를 획득하는 엑스레이수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엑스레이튜브는 제2 자이로센서;
    상기 자석에서 형성되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엑스레이수신부를 감지하여 위치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상기 엑스레이튜브 및 엑스레이수신부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레이튜브는 상기 엑스레이수신부 간의 위치, 좌우, 거리 및 수평을 정렬하는 정렬확인부; 및
    상기 엑스레이튜브 및 엑스레이수신부 간의 위치, 좌우, 거리 및 수평정렬의 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정렬확인부는 상기 엑스레이수신부의 모서리에 설치된 자석에서 생성된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엑스레이수신부의 좌우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서리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정렬확인부에서 상기 엑스레이수신부의 좌우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튜브는 상기 제1 통신모듈과 쌍방향통신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모듈 및 제2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근거리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확인부는 상기 제1 자이로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엑스레이수신부 및 엑스레이튜브 간의 수평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확인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로부터 발산하는 초음파를 통해 상기 엑스레이수신부를 감지하여 상기 엑스레이수신부의 위치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확인부는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상기 엑스레이수신부 간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엑스레이수신부의 거리정렬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KR1020200056029A 2020-05-11 2020-05-11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KR102453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029A KR102453203B1 (ko) 2020-05-11 2020-05-11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US17/919,602 US20230172578A1 (en) 2020-05-11 2021-05-11 Oral x-ray device having alignment function
PCT/KR2021/005865 WO2021230612A1 (ko) 2020-05-11 2021-05-11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029A KR102453203B1 (ko) 2020-05-11 2020-05-11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66A KR20210137766A (ko) 2021-11-18
KR102453203B1 true KR102453203B1 (ko) 2022-10-12

Family

ID=7852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029A KR102453203B1 (ko) 2020-05-11 2020-05-11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72578A1 (ko)
KR (1) KR102453203B1 (ko)
WO (1) WO2021230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881B1 (ko) 2022-09-02 2023-03-27 주식회사 화이트홀랩스 치과용 엑스레이 튜브 정렬장치
KR102555564B1 (ko) * 2022-12-30 2023-07-19 남완현 치과용 엑스레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엑스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0564A (ja) 2010-12-06 2012-06-28 Shimadzu Corp X線撮影装置
US20120307965A1 (en) 2011-06-02 2012-12-06 Sylvie Bothorel Method for generating an intraoral volume imag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213B1 (ko) * 2013-06-21 2016-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x 선 장치의 x 선 튜브와 디텍터를 정렬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장치, 및 무선 디텍터
KR20190014097A (ko) * 2014-05-14 2019-02-11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KR20170115328A (ko) * 2016-04-07 2017-10-17 주식회사바텍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JP2017192412A (ja) * 2016-04-18 2017-10-26 株式会社ニックス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の撮影部、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KR20180033106A (ko) * 2016-09-23 2018-04-02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구강 내 x선 센서와 연동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강 내 x선 촬영장치
KR101925425B1 (ko) 2017-01-24 2019-02-27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럴 x선 센서의 센서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0564A (ja) 2010-12-06 2012-06-28 Shimadzu Corp X線撮影装置
US20120307965A1 (en) 2011-06-02 2012-12-06 Sylvie Bothorel Method for generating an intraoral volume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66A (ko) 2021-11-18
US20230172578A1 (en) 2023-06-08
WO2021230612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528B1 (ko) 치과 구강-내 라디오그래피용 정렬 장치
KR101360380B1 (ko) 이동 방사선 설비의 포지션 조절
US9986964B2 (en) Intraoral sensor position detection for full mouth image
KR102453203B1 (ko)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KR100807855B1 (ko) 치아 화상 진찰 장치
US20090041201A1 (en) Alignment apparatus for imaging system
CA2370151C (en) Position detector with auxiliary means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the gravity vector
US7632015B2 (en) CT scanner including device to visually indicate area of CT scan
KR20130057991A (ko) 이동식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위한 튜브 정렬
CN108463171B (zh) 放射组件及对准该组件的方法
CN107874768A (zh) 移动辐射成像系统及其对齐方法
US20140086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re accurate positioning of dental imaging equipment
JP2008132033A (ja) X線撮像装置
KR101137516B1 (ko) 구강용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공물 제조 시스템
EP3072448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dental three-dimensional surface image
KR20150070170A (ko) 컴퓨터 라디오그래피 포지셔닝 방법 및 시스템
KR102453213B1 (ko) 정렬기능을 갖는 핸드그립방식의 구강엑스레이 장치
KR20220106753A (ko) 센서 홀더 및 구강내 이미징 동안의 최적의 포지셔닝 방법
KR20170115328A (ko) 3d 포토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엑스레이 장치
JP3745149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170060456A (ko) 착탈 가능한 엑스선 촬영 위치 정렬장치
KR102635528B1 (ko) 자동정렬이 가능한 스탠다드 엑스레이장치
US20060133579A1 (en) Distortion corrector for digital radiograph
JP2001305233A (ja) ガンマ線源撮像装置
US20210121137A1 (en) Positioning Guidance System For X-ray Ex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