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880B1 - 차량용 정션블록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880B1
KR102452880B1 KR1020210052021A KR20210052021A KR102452880B1 KR 102452880 B1 KR102452880 B1 KR 102452880B1 KR 1020210052021 A KR1020210052021 A KR 1020210052021A KR 20210052021 A KR20210052021 A KR 20210052021A KR 102452880 B1 KR102452880 B1 KR 102452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ircumferential surface
clamp ring
conductive member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05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차량용 정션블록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정션블록은: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통공되어 외부에서 와이어를 삽입 안내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부재, 및 와이어에 구비되어 도전부재에 대한 접속 신뢰성을 확보하고 삽입홀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차폐성을 갖는 러그 커넥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정션블록{JUNCTION-BLOC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정션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정션블록의 케이스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기존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거한 채 와이어에 러그 커넥팅유닛을 구비하여 러그 커넥팅유닛을 케이스에 삽입함에 따라 정션블록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러그 커넥팅유닛의 쉴드쉘을 와이어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하여 차폐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차량용 정션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용 정션블럭은 차량에 사용되는 배터리와 모터 구동 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그 연결을 담당하는 장치로 복수개의 릴레이 및 저항 등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릴레이 및 저항 등은 커버와 베이스로 나뉘어진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다.
특히, 오래전부터 차량의 기능이 계속해서 추가되고 다양해지면서 차량의 한정된 공간 내에 더 많은 자동차용 정션블럭을 배치하기 위한 자동차용 블럭의 소형화는 항상 중요한 이슈였다.
아울러, 외부의 전원과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터미널이 정션블록 내부에 접속된다. 즉, 터미널의 하우징의 정션블록의 케이스에 삽입 후 케이스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관련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3571호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용 정션블록은 소형화되는 추세이지만, 커넥터의 하우징이 케이스의 둘레면으로 삽입되어야 함에 따라, 소형화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커넥터의 하우징은 쉴드쉘과 커넥터씰과 와이어씰 및 리어커버 등을 구비함에 따라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정션블록의 케이스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기존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거한 채 와이어에 러그 커넥팅유닛을 구비하여 러그 커넥팅유닛을 케이스에 삽입함에 따라 정션블록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러그 커넥팅유닛의 쉴드쉘을 와이어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하여 차폐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차량용 정션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은: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통공되어 외부에서 와이어를 삽입 안내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부재; 및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전부재에 대한 접속 신뢰성을 확보하고, 상기 삽입홀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차폐성을 갖는 러그 커넥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도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을 갖는 도체; 상기 도체의 둘레면을 감싸고, 절연성을 갖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둘레면을 감싸고, 차폐성을 갖는 차폐전선; 및 상기 차폐전선의 둘레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절연재질의 외피를 포함한다.
상기 러그 커넥팅유닛은, 상기 도체에 연결된 채 상기 도전부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의 터미널; 상기 외피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차폐전선을 상기 외피의 표면에 접하도록 뒤집은 후, 상기 차폐전선을 상기 외피의 표면에 고정하는 제 1압착클램프링; 상기 제 1압착클램프링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이 상기 도전부재에 접속된 상태에서 금속재질의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에 접하여 차폐 신뢰성을 확보하는 쉴드쉘; 및 상기 제 1압착클램프링을 축 삽입한 후 상기 제 1압착클램프링의 둘레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쉴드쉘의 타측을 지지하는 상기 제 2압착클램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외피는 상기 삽입홀의 틈새를 막기 위해 둘레면에 밀봉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는 상기 삽입홀의 틈새를 막기 위해 둘레면에 리어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은 종래 기술과 달리 차량용 정션블록의 케이스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기존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제거한 채 와이어에 러그 커넥팅유닛을 구비하여 러그 커넥팅유닛을 케이스에 삽입함에 따라 정션블록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러그 커넥팅유닛의 쉴드쉘을 와이어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하여 차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에 접속되는 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에서 와이어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용 와이어에 구비되는 러그 커넥팅유닛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에 접속되는 와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에서 와이어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용 와이어에 구비되는 러그 커넥팅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100)은 케이스(110), 도전부재(120) 및 러그 커넥팅유닛(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블록(100)은 차량의 전장품이나 배터리에서 연장되는 와이어(10)를 접속하여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설비이다.
케이스(110)는 정션블록(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는 내부에 도전부재(120)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다. 이에 따라, 케이스(110)는 개방된 일측이 덮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폐된다.
특히, 케이스(110)는 정션블록(100)이 아닌 다양한 전기접속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0)는 접지[ground]를 위해 일부 또는 전체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케이스(110)는 둘레면에 삽입홀(112)을 내외측으로 개방되게 통공한다. 삽입홀(112)은 외부에서 케이스(110) 내부로 와이어(10)를 일대일 삽입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도전부재(12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 가닥의 와이어(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신호 및 전원의 전달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도전부재(120)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도전부재(120)는 금속성의 버스바(bus-bar)인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도전부재(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볼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케이스(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와이어(10)는 도체(20), 절연체(30), 차폐전선(40) 및 외피(50)를 포함한다.
도체(20)는 구리 등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체(20)는 도전부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절연체(30)는 도체(20)의 둘레면을 감싸서 도체(20)를 보호하고,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차폐전선(40)은 절연체(30)의 둘레면을 감싸고, 차폐성을 갖는다. 특히, 차폐전선(40)은 차폐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차폐전선(40)은 메쉬망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차폐전선(40)은 도체(20)와 도전부재(120)의 접속 부위에 전기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 및 접지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체(30)는 도체(20)와 차폐전선(40)이 접하지 않음으로써 상호 도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피(50)는 차폐전선(40)의 둘레면을 감싸서 보호하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피(50)는 와이어(10)의 최외층을 형성하고, 절연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러그 커넥팅유닛(130)은 와이어(10)에 구비되어, 도전부재(120)에 대한 접속 신뢰성을 확보하고, 삽입홀(112)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차폐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러그 커넥팅유닛(130)은 케이스(110)에 삽입되지 않고, 도전부재(120)에 접속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러그 커넥팅유닛(130)은 기존의 커넥터용 하우징이 적용되지 않음에 따라 구조(구성)가 간단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대물인 차량용 정션블록(100)의 케이스(11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세히, 러그 커넥팅유닛(130)은 터미널(132), 제 1압착클램프링(134), 쉴드쉘(136) 및 제 2압착클램프링(138)을 포함한다.
터미널(132)은 도체(20)에 연결된 채 도전부재(1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터미널(132)은 수용홈(131)을 형성하여 도체(20)의 일측을 수용한다. 이 후, 터미널(132)은 수용홈(131)에 해당되는 부위가 압착됨에 따라, 도체(20)가 임의적으로 터미널(132)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터미널(132)과 도체(20)의 연결부위는 절연 재질인 수축튜브(133)에 의해 감싸여져 보호된다.
물론, 터미널(132)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도전부재(120)에 접속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 1압착클램프링(134)은 링 또는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와이어(10)의 일측의 외피(50)가 일부 절단됨에 따라, 차폐전선(4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노출되는 차폐전선(40)은 뒤집혀진다.
아울러, 제 1압착클램프링(134)은 와이어(10)의 일측을 축 삽입한다. 그리고, 제 1압착클램프링(134)은 뒤집혀진 차폐전선(40)의 단부 둘레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 1압착클램프링(134)은 압착됨에 따라 차폐전선(40)을 외피(50)의 표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제 1압착클램프링(134)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쉴드쉘(136)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1압착클램프링(134)을 축 삽입한다. 이로 인해, 쉴드쉘(136)은 제 1압착클램프링(134)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이때, 제 1압착클램프링(134)은 쉴드쉘(136)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둘레면에 플랜지(135)를 구비한다. 밀봉씰(60)은 플랜지(135)에 접함으로써, 제 1압착클램프링(134)이 밀봉씰(6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쉴드쉘(136)은, 터미널(132)이 도전부재(120)에 접속되도록 와이어(10)가 삽입홀(112)에 설정만큼 삽입된 상태에서, 금속재질의 삽입홀(112)의 내측면에 접하여 차폐 신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쉴드쉘(136)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삽입홀(112)의 내측면과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압착클램프링(138)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 2압착클램프링(138)은 와이어(10)의 일측과 제 1압착클램프링(134)의 일측을 축 삽입한다. 그래서, 제 2압착클램프링(138)은 일측이 플랜지(135)에 접한 쉴드쉘(136)의 타측을 지지한다.
특히, 제 2압착클램프링(138)은 금속 재질 또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와이어(10)가 삽입홀(112)에 삽입시, 물기 등 외부에서 이물질이 와이어(10)를 따라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10)의 외피(50)는 삽입홀(112)의 틈새를 막기 위해 둘레면에 밀봉씰(60)을 구비한다. 밀봉씰(60)은 링 또는 튜브 타입으로 형성되어 와이어(10)를 축 삽입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밀봉씰(60)이 케이스(110)의 외측에 해당되는 삽입홀(112)의 내부 일측 가장자리에 억지 끼움됨에 따라, 이물질이 삽입홀(112)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외피(50)는 삽입홀(112)의 틈새를 막기 위해 둘레면에 리어캡(70)을 구비한다.
리어캡(70)은 와이어(10)를 축 삽입하고, 와이어(10)가 삽입홀(112)에 설정만큼 삽입시, 삽입홀(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접하게 된다.
리어캡(7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탄성 변형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밀봉씰(60)과 리어캡(70)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와이어 20: 도체
30: 절연체 40: 차폐전선
60: 밀봉씰 70: 리어캡
100: 정션블록 110: 케이스
112: 삽입홀 120: 도전부재
130: 러그 커넥팅유닛 132: 터미널
134: 제 1압착클램프링 136: 쉴드쉘
138: 제 2압착클램프링

Claims (5)

  1.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통공되어 외부에서 와이어를 삽입 안내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부재; 및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전부재에 대한 접속 신뢰성을 확보하고, 상기 삽입홀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차폐성을 갖는 러그 커넥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도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을 갖는 도체; 상기 도체의 둘레면을 감싸고, 절연성을 갖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의 둘레면을 감싸고, 차폐성을 갖는 차폐전선; 및 상기 차폐전선의 둘레면을 감싸서 보호하는 절연재질의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러그 커넥팅유닛은, 상기 도체에 연결된 채 상기 도전부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의 터미널; 상기 외피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차폐전선을 상기 외피의 표면에 접하도록 뒤집은 후, 상기 차폐전선을 상기 외피의 표면에 고정하는 제 1압착클램프링; 상기 제 1압착클램프링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이 상기 도전부재에 접속된 상태에서 금속재질의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에 접하여 차폐 신뢰성을 확보하는 쉴드쉘; 및 상기 제 1압착클램프링을 축 삽입한 후 상기 제 1압착클램프링의 둘레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쉴드쉘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압착클램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상기 삽입홀의 틈새를 막기 위해 둘레면에 밀봉씰을 구비하며,
    상기 제 1압착클램프링은 상기 쉴드쉘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둘레면에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밀봉씰은 상기 플랜지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 1압착클램프링이 상기 밀봉씰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하고,
    상기 제 2압착클램프링은 일측이 상기 플랜지에 접한 상기 쉴드쉘의 타측을 지지하며,
    상기 터미널은 수용홈을 형성하여 상기 도체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삽입홀의 틈새를 막기 위해 둘레면에 리어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블록.
KR1020210052021A 2021-04-21 2021-04-21 차량용 정션블록 KR102452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021A KR102452880B1 (ko) 2021-04-21 2021-04-21 차량용 정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021A KR102452880B1 (ko) 2021-04-21 2021-04-21 차량용 정션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880B1 true KR102452880B1 (ko) 2022-10-11

Family

ID=8359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021A KR102452880B1 (ko) 2021-04-21 2021-04-21 차량용 정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8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89B1 (ko) * 2006-11-08 2008-02-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 커넥터
KR20100053916A (ko) * 2008-11-13 2010-05-24 경신공업 주식회사 실드케이블의 전자파 차폐장치
KR101262006B1 (ko) * 2011-11-04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몰드단자의 수분차단장치
JP2019140007A (ja) * 2018-02-13 2019-08-22 日立金属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89B1 (ko) * 2006-11-08 2008-02-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 커넥터
KR20100053916A (ko) * 2008-11-13 2010-05-24 경신공업 주식회사 실드케이블의 전자파 차폐장치
KR101262006B1 (ko) * 2011-11-04 2013-05-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몰드단자의 수분차단장치
JP2019140007A (ja) * 2018-02-13 2019-08-22 日立金属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4215B2 (en) Connector assembly
US6595789B2 (en) Electronic unit, shield cable connecting structure, connecting method, wires waterproof-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US5399103A (en) Connector device for connecting batteries
US7249974B2 (en) Shielded jack assemblies and methods for forming a cable termination
US5170008A (en) External cable grommet for cable entry of EMI protected cabinets
WO2007113307A1 (en) Retention ferrule for cable connector
US20120231676A1 (en) Cas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RU2089985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экранированного кабел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абе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CN103477509A (zh) 屏蔽连接器
US6007384A (en) Casing for a plug for a cable having a drain wire
KR101276467B1 (ko) Fpcb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제작 방법 및 카메라 모듈용 케이블 연결구
US5536185A (en) Metallic connector housing
US6142829A (en) Ferrite block in a cable connector premold
US6734355B1 (en) Ground connector
JPH0722107A (ja) シールド電線用コネクタ構造
KR102452880B1 (ko) 차량용 정션블록
JPH08153545A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の接続方法
US20150064946A1 (en) Radio frequency subscriber drop equipment having high voltage protection circuits and related contact assemblies
JPH07161392A (ja) ケーブル導体用圧縮端子
JP2002238142A (ja) 電子ユニットと電線との防水接続構造及び方法
KR20140107773A (ko) 차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KR101782011B1 (ko) 플러그 커넥터 케이블 및 그 제작 방법
KR101439049B1 (ko) 쉴드 케이블 접속 장치
EP2581985B1 (en) Cable grounding system
JP2002042917A (ja) シールド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