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194B1 - 파이프의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배관연결 접속구 - Google Patents
파이프의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배관연결 접속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2194B1 KR102452194B1 KR1020210168730A KR20210168730A KR102452194B1 KR 102452194 B1 KR102452194 B1 KR 102452194B1 KR 1020210168730 A KR1020210168730 A KR 1020210168730A KR 20210168730 A KR20210168730 A KR 20210168730A KR 102452194 B1 KR102452194 B1 KR 1024521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tip
- circumferential surface
- elastic means
- close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는,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 구비되어 파이프 삽입방향의 반대쪽으로 탄발하는 탄성수단(110)을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수용부(A)가 상기 외관부(30)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120)을 상기 외관부(30)에 형성하고; 한쪽 면은 삽입되는 파이프의 선단에 밀착되고 반대쪽 면은 상기 탄성수단(110)의 선단에 밀착되는 밀착부(132)와, 상기 밀착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0)을 통과하는 연결부(134)와, 상기 외관부(3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확인부(136)로 이루어지는 삽입확인부재(1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10)와 상기 삽입확인부재(1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육안으로 또는 촉감만으로도 확인함에 의해, 어두운 설치 환경에서도 그리고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의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파이프 선단의 삽입위치를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 구비되어 파이프 삽입방향의 반대쪽으로 탄발하는 탄성수단(110)을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수용부(A)가 상기 외관부(30)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120)을 상기 외관부(30)에 형성하고; 한쪽 면은 삽입되는 파이프의 선단에 밀착되고 반대쪽 면은 상기 탄성수단(110)의 선단에 밀착되는 밀착부(132)와, 상기 밀착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0)을 통과하는 연결부(134)와, 상기 외관부(3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확인부(136)로 이루어지는 삽입확인부재(1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10)와 상기 삽입확인부재(1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육안으로 또는 촉감만으로도 확인함에 의해, 어두운 설치 환경에서도 그리고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의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파이프 선단의 삽입위치를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급수용, 급탕용, 냉난방용 또는 공조용 배관(이하 '파이프'라 한다)를 밸브체의 접속구 또는 배관연결체의 접속구에 삽입시켜 견고하게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특히, 작업자가 파이프 선단을 밸브체의 접속구 또는 배관연결체의 접속구(이하 '배관연결 접속구'라 한다)에 삽입시킬 때에 파이프 선단이 상기 배관연결 접속구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누수나 파이프의 이탈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관연결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배관연결 접속구는 다양한 용도와 형태를 갖는다. 두 파이프를 연결하는 배관연결 접속구는 각각의 파이프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두개의 소켓을 구비하여, 두 파이프를 연결하여 연장시키는 용도로 쓰이며, 밸브 몸체와 일체로 구성되는 배관연결 접속구는 밸브의 개폐에 의해 파이프 내부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용도로 쓰인다. 또 다른 형태의 배관연결 접속구는 파이프 선단이 삽입되는 소켓이 일단에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가 타단에 형성되어, 더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배관연결 접속구는 파이프의 선단과의 결속을 견고하게 체결하지 않으면 접속 부위에서 유체의 누수 및 누출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배관연결 접속구는 연결성과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배관의 접속부를 용접하거나 또는 나사 등의 별도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1565호에는 직선형, 곡선형, 절곡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슬리브 본체의 양단에 체결수단이 형성된 슬리브의 양측에 파이프의 단부에 각각 삽입하여 결합시켜 파이프를 직선 및 다양한 각도로 연결시킬 수 있고, 각 파이프에 고무패킹과 압륜체 및 접속관 이탈방지클립을 끼운 상태에서 파이프에 각각 삽입하고 슬리브의 각 단부와 압륜체 및 접속관이탈방지클립을 볼트/결합너트로 체결하여 파이프를 견실하게 압착 억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관연결 접속구가 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33511호(2019. 10. 17.)에는 양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배관이나 파이프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된 각 끼움구 및 상기 각 끼움구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갖는 플랜지, 및 상기 각 끼움구의 내주로 삽입된 배관들을 압착 유도하기 위해 상기 각 끼움구의 외주로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의 방향으로 강제 슬라이드 되며 상기 각 끼움구들을 상기 배관 방향으로 압착하며 상기 스토퍼에서 정지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걸림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 말기가압부가 더 구성되는 배관연결 접속구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를 이용하여 유체가 이송되는 파이프를 연결할 때, 체결 대상의 파이프를 상기 배관연결 접속구에 형성되는 체결구에 깊게 삽입한 후 견고하게 체결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연결 접속구는 작업자가 상기 파이프가 필요한 부분까지 깊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파이프가 정확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관연결 접속구를 결합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관연결 접속구와 파이프 선단부 사이에서 유체가 누수되거나, 파이프가 상기 배관연결 접속구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이 일본 공개특허 제2001-324071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가 중공(中空)의 내관부(內管部, 33)로 삽입되면서, 상기 파이프(1)가 삽입확인부재(8) 하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스프링(82)이 압축되면서 상기 삽입확인부재(8)가 관통공(38)상부로 상승하여 몸체부(3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1)의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에서 삽입확인부재(8)의 이동방향은 파이프 삽입방향에 대해 직각의 방향이기 때문에 삽입확인부재(8)가 파이프 선단의 삽입에 오히려 장애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82)의 조립 등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실용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한국 특허등록 제10-2154466호(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에는 배관연결 접속구로 삽입되는 배관 삽입길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배관연결 접속구의 외측관형부(3)에 장방형의 관통공(5)을 여러 개 형성시킴으로써, 파이프(4)를 상기 외측관형부(3)와 내측관형부(2) 사이로 끼울 때 파이프(4)의 삽입 정도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2는 어두운 설치 환경일 경우 또는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의 좁은 작업공간에서는 삽입되는 파이프 선단의 삽입위치를 관통공(5)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속할 파이프의 선단이 배관연결 접속구에 충분한 깊이로 삽입이 되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연결 접속구와 파이프 선단 사이에서 유체가 누수되거나, 파이프가 상기 배관연결 접속구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 선단을 배관연결 접속구에 삽입할 때 삽입확인부재(8)가 삽입작업의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종래기술1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간단한 구조 및 조립 편의성 등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관연결 접속구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는, 어두운 설치 환경에서도 그리고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의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파이프 선단의 삽입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는,
파이프(1)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파이프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내관부(20)와, 상기 내관부에 끼워지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외주면에 체결나사부(34)가 형성되는 외관부(30)와, 상기 내관부(20)와 외관부(30)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파이프수용부(A)를 구비하며;
상기 외관부(30)의 체결나사부(34)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너트(70); 및
직경이 축소될 수 있게 하는 절개부(65)가 구비되어, 상기 외관부(30)의 선단(30a)과 상기 결합너트(70)의 돌출경사면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수록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파이프수용부(A)에 삽입된 파이프(1)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조임링(60);을 구비하여,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흐르는 유체가 상기 내관부(20)를 거쳐 상기 파이프(1)로 연결되도록 하는 배관연결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 구비되어 파이프 삽입방향의 반대쪽으로 탄발하는 탄성수단(110)을 구비하며;
상기 파이프수용부(A)가 상기 외관부(30)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120)을 상기 외관부(30)에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120)은 상기 파이프(1) 삽입방향으로 상기 탄성수단(110)의 변위 범위 이내의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구성되며;
한쪽 면은 삽입되는 파이프의 선단에 밀착되고 반대쪽 면은 상기 탄성수단(110)의 가변부 선단에 밀착되는 밀착부(132)와, 상기 밀착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0)을 통과하는 연결부(134)와, 상기 외관부(3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확인부(136)로 이루어지는 삽입확인부재(1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선단이 상기 파이프수용부(A)로 삽입될 때 상기 파이프 선단이 상기 삽입확인부재(130)를 이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서 상기 파이프 선단의 삽입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확인부(136)는 직경의 축소 또는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분리부(133)가 형성된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밀착부(132)는 상기 연결부(134)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돌출편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조립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밀착부(132)를 절개분리부(133)가 형성된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34)를 상기 외관부(30) 외주면보다 높게 연장시켜서 상기 확인부(136)를 형성하는 것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 및 이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도면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는, 접속할 파이프의 선단이 배관연결 접속구에 충분한 깊이로 삽입이 되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연결 접속구와 파이프 선단 사이에서 유체가 누수되거나, 파이프가 상기 배관연결 접속구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는, 어두운 설치 환경에서도 그리고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의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파이프 선단의 삽입위치를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므로, 파이프(1)를 견고하게 체결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1) 연결을 위한 조립 작업의 용이성 및 편의성을 제고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누수 또는 파이프(1) 체결이 해제되는 등의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1에 개시된 배관연결 접속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종래기술2에 개시된 배관연결 접속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가 삽입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 삽입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 삽입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2에 개시된 배관연결 접속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가 삽입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 삽입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 삽입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를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함에 있어서, 편의를 위하여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 및 도 5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파이프(1) 및 배관연결 접속구 두 부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즉, 파이프(1)가 배관연결 접속구에 삽입되는 방향 및 상기 배관연결 접속구가 파이프(1)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삽입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파이프(1) 및 배관연결 접속구 두 부재의 삽입방향의 끝단부를 '선단' 또는 '선단부'라 지칭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단' 또는 '후단부'라 지칭한다.
그리고, 파이프 및 배관연결 접속구의 중심축선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또는 '안쪽방향'으로, 상기 중심축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 또는 '바깥방향'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가 삽입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배관연결 접속구의 몸체(10)는, 파이프(1)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파이프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내관부(20)와, 상기 내관부에 끼워지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외주면에 체결나사부(34)가 형성되는 외관부(30)와, 상기 내관부(20)와 외관부(30)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파이프수용부(A)를 구비한다.
상기 내관부(20)와 외관부(30)는 접속구 몸체(10)에서 선단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삽입되는 파이프(1)가 수용되는 공간인 파이프 수용부(A)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구 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관부(20)와 상기 내관부(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관부(3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돌출됨으로써, 파이프(1)가 삽입 수용되는 공간인 파이프수용부(A)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후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11)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나, 상기 몸체의 후단부는 밸브체와 한 몸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10)의 외관부(30)에는 체결나사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나사부(34)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너트(7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수용부(A)에 삽입된 파이프(1)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조임링(60);을 구비한다. 상기 조임링(60)에는 직경이 축소될 수 있게 하는 절개부(65)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너트(70)를 죄면 상기 외관부(30)의 선단(30a)과 상기 결합너트(70)의 돌출경사면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고, 상기 돌출경사면에 의해 상기 조임링(60)이 압박을 받으면서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파이프수용부(A)에 삽입된 파이프(1)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면부호 50은 상기 조임링(60)의 선단과 후단에 균일하게 압박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링을 나타낸다. 상기 가이드링(50)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너트(70)의 내면으로 돌출된 돌출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서 도면부호 40은,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O링을 도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22는 내관부(20)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관부(20)의 외주면에는 파이프(1)의 내면과 상기 내관부(20)의 외주면 사이로 유체가 누수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무링(25)이 수용되는 요홈(24)이 형성된다. 상기 고무링(25) 및 요홈(24)은 복수 개로 구비됨으로써, 유체의 누수및 누출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는,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 구비되어 파이프 삽입방향의 반대쪽으로 탄발하는 탄성수단(110)을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수용부(A)가 상기 외관부(30)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120)을 상기 외관부(30)에 형성하고;
상기 외관부(3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외관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관부(3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확인부(136)와, 상기 확인부(136)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0)을 통과하는 연결부(134)와, 상기 연결부(134)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돌출편 형상을 가지며 한쪽 면은 삽입 파이프의 선단에 밀착되고 반대쪽 면은 상기 탄성수단(110)의 선단에 밀착되는 밀착부(132)로 이루어지는 삽입확인부재(1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수단(110)의 후단은 상기 파이프수용부(A) 후단부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수단(110)의 선단은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밀착부(132)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20)을 관통하는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연결부(134)는 상기 관통공(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 삽입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성이므로 상기 탄성수단(110)의 변위 범위 이내의 길이를 갖는 장공(長空)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삽입확인부재(130)가 상기 탄성수단(110)의 변위 범위 이내에서 상기 관통공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연결부(134)는 상기 관통공(12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관연결 접속구의 중심축선을 기준할 때 120도 각도의 위치에 형성된 3개의 연결부(134)와 상기 각 연결부(134)를 수용하는 3개의 관통공(12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연결부(134)와 관통공(120)의 갯수는 2개 또는 4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132)는 상기 연결부(134)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돌출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확인부(136)는 탄성을 갖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하되, 상기 확인부(136)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밀착부(132)를 상기 관통공(120) 속으로 삽입시켜 조립하기 위해서는 직경의 확장이 가능해야 하므로, 원형의 링 형상의 어느 한 위치에서 절개분리부(133)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밀착부(132)를 상기 관통공(120) 속으로 삽입시키기 위해, 우선 상기 절개분리부(133)를 벌려서 링 형상의 확인부(136) 직경을 확장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관통공(120) 속으로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밀착부(132)를 삽입시킨 후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확인부(136)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간단히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는,
상기 파이프의 선단이 상기 파이프수용부(A)로 삽입될 때 상기 파이프 선단이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밀착부(132)를 후단으로 밀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132)가 후단으로 밀리면서 상기 탄성부재(110)가 압축되고, 연결부(134)에 의해 상기 밀착부(132)와 일체로 구성된 상기 확인부(136)도 후단으로 밀리게 되므로,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확인부(136) 위치를 육안으로 또는 촉감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서 상기 파이프 선단의 삽입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 삽입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만약, 파이프(1)가 배관연결 접속구로부터 완전히 빠지거나 또는 일정 길이만큼 빠지게 되면, 상기 탄성수단(11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삽입확인부재(130)는 상기 관통공(120)의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선단 방향으로 밀려나서 멈추게 되므로, 상기 몸체(10)와 상기 삽입확인부재(1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육안으로 또는 촉감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서 상기 파이프 선단이 충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삽입확인부재(1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 삽입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변형 예는, 상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삽입확인부재(130)와 대비할 때,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밀착부(132)를 탄성을 갖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 배치시킨 구성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상기 밀착부(132)의 한쪽 면은 삽입되는 파이프의 선단에 밀착되고 반대쪽 면은 상기 탄성수단(110)의 가변부 선단에 밀착되는 구성이라는 점과, 상기 연결부(134)가 상기 밀착부(132)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0)을 통과하는 구성이라는 점, 그리고 상기 외관부(3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확인부(136)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목적 및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삽입확인부재(130)의 밀착부(132)를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직경의 축소가 가능하도록 링 형상의 어느 한 위치에서 절개분리부(13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출편 형상의 상기 확인부(136)을 상기 관통공(120)을 통과시켜 몸체 외측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확인부(136)를 탄성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삽입확인부재(13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변형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 접속구의 삽입확인부재(13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소정 위치에 보조확인부재(139)를 더 추가하고, 보조확인부재(139)의 외주면과 삽입확인부재(130)의 외주면에 발광도료를 칠함으로써 상기 두 확인부재(130)(139) 사이의 이격거리를 육안으로 확인이 용이하게 하거나, 보조확인부재(139)의 외주면과 삽입확인부재(130)의 외주면을 널링(knurling)가공함으로써 상기 두 확인부재(130)(139) 사이의 이격거리를 촉감으로 확인이 용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상기 보조확인부재(139)는 절개부가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조확인부재(139)를 상기 몸체(10)에 고정 및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삽입확인부재(130)가 파이프 삽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탄성수단(110)을 최대로 가압한 상태일 때에 상기 삽입확인부재(130)가 상기 보조확인부재(139)와 밀착되는 위치에 상기 보조확인부재(13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파이프 외주면에 밀착되는 O링(40)과 가이드링(50)을 생략하고, 조임링(60)만으로 파이프(1) 외주면을 가압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파이프 선단이 상기 파이프수용부(A)로 삽입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파이프(1)가 배관연결 접속구로부터 빠지는 경우 상기 탄성수단(110) 및 삽입확인부재(130)의 작용관계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파이프 10: 몸체
20: 내관부 30: 외관부
60: 조임링 70: 체결너트
70a: 돌출경사면
110: 탄성수단 120: 관통공
130: 삽입확인부재 132: 밀착부
133: 절개분리부 134: 연결부
136: 확인부 139: 확인보조부재
20: 내관부 30: 외관부
60: 조임링 70: 체결너트
70a: 돌출경사면
110: 탄성수단 120: 관통공
130: 삽입확인부재 132: 밀착부
133: 절개분리부 134: 연결부
136: 확인부 139: 확인보조부재
Claims (4)
- 삭제
- 삭제
- 파이프(1)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파이프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의 내관부(20)와, 상기 내관부에 끼워지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외주면에 체결나사부(34)가 형성되는 외관부(30)와, 상기 내관부(20)와 외관부(30)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파이프수용부(A)를 구비하는 몸체(10)와;
상기 외관부(30)의 체결나사부(34)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너트(70); 및
직경이 축소될 수 있게 하는 절개부(65)가 구비되어, 상기 외관부(30)의 선단(30a)과 상기 결합너트(70)의 돌출경사면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수록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파이프수용부(A)에 삽입된 파이프(1)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조임링(60);을 구비하여,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흐르는 유체가 상기 내관부(20)를 거쳐 상기 파이프(1)로 연결되도록 하는 배관연결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 구비되어 파이프 삽입방향의 반대쪽으로 탄발하는 탄성수단(110)을 구비하며;
상기 파이프수용부(A)가 상기 외관부(30)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120)을 상기 외관부(30)에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120)은 상기 파이프(1) 삽입방향으로 상기 탄성수단(110)의 변위 범위 이내의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관부(3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외관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관부(3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확인부(136)와, 상기 확인부(136)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120)을 통과하는 연결부(134)와, 상기 연결부(134)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돌출편 형상을 가지며 한쪽 면은 삽입 파이프의 선단에 밀착되고 반대쪽 면은 상기 탄성수단(110)의 선단에 밀착되는 밀착부(132)로 이루어지는 삽입확인부재(130)를 구비하되,
상기 확인부(136)는 직경의 축소 또는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분리부(133)가 형성된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의 선단이 상기 파이프수용부(A)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파이프 선단이 상기 탄성수단(110)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삽입확인부재(130)가 이동되고,
상기 파이프(1)가 배관연결 접속구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빠지게 될 때에는 상기 탄성수단(11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삽입확인부재(130)가 상기 관통공(120)의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파이프 삽입방향의 반대쪽으로 밀려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삽입확인부재(130)의 확인부(136) 위치를 육안으로 또는 촉감으로 인지함에 의해 상기 파이프수용부(A) 내에서 상기 파이프 선단의 삽입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 접속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8730A KR102452194B1 (ko) | 2021-11-30 | 2021-11-30 | 파이프의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배관연결 접속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8730A KR102452194B1 (ko) | 2021-11-30 | 2021-11-30 | 파이프의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배관연결 접속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2194B1 true KR102452194B1 (ko) | 2022-10-11 |
Family
ID=8359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8730A KR102452194B1 (ko) | 2021-11-30 | 2021-11-30 | 파이프의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배관연결 접속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219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3718B1 (ko) | 2023-01-11 | 2024-05-10 | 최준호 | 파이프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탈착식 배관연결 접속구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24071A (ja) | 2000-05-17 | 2001-11-22 | Katsuyoshi Sato | 管体の接続具 |
JP2008157437A (ja) * | 2006-11-28 | 2008-07-10 | Kvk Corp | 管継手 |
JP2010065769A (ja) * | 2008-09-11 | 2010-03-25 | Tabuchi Corp | 管継手 |
JP2011089564A (ja) * | 2009-10-21 | 2011-05-06 | Aron Kasei Co Ltd | 管継手 |
KR20190002256A (ko) | 2017-06-29 | 2019-01-08 | 홍석기 | 플라스틱 배관의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는 조임링이 구비된 유니언죠인트 |
KR20190007178A (ko) | 2017-07-12 | 2019-01-22 | (주)태양테크 | 배관조립이 용이한 배관 유니언 |
KR102154466B1 (ko) | 2020-04-22 | 2020-09-09 | 홍석기 | 체결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파이프 조인트 |
-
2021
- 2021-11-30 KR KR1020210168730A patent/KR1024521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24071A (ja) | 2000-05-17 | 2001-11-22 | Katsuyoshi Sato | 管体の接続具 |
JP2008157437A (ja) * | 2006-11-28 | 2008-07-10 | Kvk Corp | 管継手 |
JP2010065769A (ja) * | 2008-09-11 | 2010-03-25 | Tabuchi Corp | 管継手 |
JP2011089564A (ja) * | 2009-10-21 | 2011-05-06 | Aron Kasei Co Ltd | 管継手 |
KR20190002256A (ko) | 2017-06-29 | 2019-01-08 | 홍석기 | 플라스틱 배관의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는 조임링이 구비된 유니언죠인트 |
KR20190007178A (ko) | 2017-07-12 | 2019-01-22 | (주)태양테크 | 배관조립이 용이한 배관 유니언 |
KR102154466B1 (ko) | 2020-04-22 | 2020-09-09 | 홍석기 | 체결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파이프 조인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3718B1 (ko) | 2023-01-11 | 2024-05-10 | 최준호 | 파이프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탈착식 배관연결 접속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719951B2 (ja) | 管連結装置 | |
US6869109B2 (en) | Pipe joint | |
US7581763B2 (en) | Connector device for pipes | |
KR920000663B1 (ko) |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 |
US4697832A (en) | Snap lock connector | |
US7922215B2 (en) | Plug connector for fluid conduits | |
JP4746388B2 (ja) | 高圧用途用のクイックコネクタ | |
US20100219629A1 (en) | Quick connector with seal assembly retainer | |
US5131691A (en) | Snap-fit connector for connecting slender piping members at end portions | |
KR20060041657A (ko) | 고압력 적용가능 급속 커넥터 | |
JPH028591A (ja) | 管継手 | |
CN108843867B (zh) | 一种车辆管路系统用快插接头组件 | |
KR102452194B1 (ko) | 파이프의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배관연결 접속구 | |
US5100182A (en) | Fluid connector | |
CN105637277A (zh) | 快接夹式连接器 | |
US8056939B2 (en) | Plug connector for piping | |
JP2005529300A (ja) | 高圧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 | |
KR101773751B1 (ko) | 파이프 연결소켓 | |
CN111336298B (zh) | 一种阀装置、管路连接结构 | |
KR101638835B1 (ko) | 파이프 연결구 | |
US10648601B2 (en) | Quick connect system for a fluid coupling | |
KR100537777B1 (ko) | 원터치 튜브커넥터 | |
CN220204958U (zh) | 连接接头、快速接头组件及喷水枪 | |
CN112955688A (zh) | 流体耦接系统 | |
CN220205013U (zh) | 连接接头及快速接头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