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584B1 -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584B1
KR102451584B1 KR1020190112576A KR20190112576A KR102451584B1 KR 102451584 B1 KR102451584 B1 KR 102451584B1 KR 1020190112576 A KR1020190112576 A KR 1020190112576A KR 20190112576 A KR20190112576 A KR 20190112576A KR 102451584 B1 KR102451584 B1 KR 102451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leansing
weight
oi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078A (ko
Inventor
김승현
임현주
신병모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5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유상부를 포함하면서도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되었을 뿐 아니라, 우수한 세정력 및 보습력을 제공함으로써, 크림 타입의 메이크업 클렌징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ream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Cleansing comprising High content of Oil phas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깨끗한 메이크업 클렌징을 위해서는 2회차 이상의 세정을 통해 피부에 남아있는 노폐물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즉, 클렌징 오일, 클렌징 워터 등의 제품으로 1차 세정을 하고, 클렌징 폼, 클렌징 젤 등의 제품으로 2차 세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너무 잦은 세정은 유분마저 과도하게 씻기기 때문에 건조한 피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세정 효과와 보습 효과가 우수하여 이중 세안이 필요 없으며, 세정 후 피부의 보습을 유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흘러내리는 성상을 개선한 워시-오프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37859호
본 발명자들은 고함량의 유상을 함유하면서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된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오일, (지방)알코올 및 폴리머를 특정 함량비로 포함시켜 혼합하는 경우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면서도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되었을 뿐 아니라 우수한 세정력 및 보습력을 유지하는 크림(Cream)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의 유상부를 포함하는 크림 타입(Cream type)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림 타입(Cream type)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고함량의 유상을 함유하면서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된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오일, (지방)알코올 및 폴리머를 특정 함량비로 포함시켜 혼합하는 경우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면서도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되었을 뿐 아니라 우수한 세정력 및 보습력을 유지하는 크립(Cream)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은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의 유상부를 포함하는 크림 타입(Cream type)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상부는 오일, 지방알코올 및 버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상부는 동백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브라질넛씨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올리브오일, 포도씨오일, 목화씨오일, 사과씨오일, 옥수수오일, 코코넛야자오일, 잇꽃씨오일,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에칠헥실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스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쉐어버터, 망고씨드버터 및/또는 카카오씨드버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상부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상부가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크림 타입의 제형이 구현되지 않을 뿐 아니라, 메이크업 세정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유상부가 2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유상이 안정적으로 존재하지 못하여 석출되거나, 과도한 유상이 포함되면 세정 시 피지를 과도하게 제거함에 따라 세정 후 피부가 건조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자연 유래 계면활성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코코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포타슘코코에이트, 포타슘올리베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데실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또는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6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세정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가 6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피부를 과도하게 세정함에 따라 피부가 매우 건조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점증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카보머, 잔탄검,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및/또는 알지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가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유상과 수상이 분리되는 2층상의 조성물이 얻어지거나, 오일이 제형 밖으로 베어 나오는 문제가 있어, 안정한 크림 타입 제형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점증제가 6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제형 내에서 분산될 수 있는 함량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과포화) 점증제가 덩어리 지거나, 파우더가 녹지 않고 그대로 존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성분 외에 정제수, 보습제, pH 조절제, 방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예를 들어, 솔비톨,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으며, 이는 화장료 조성물에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과 담체 성분 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유상부,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60 내지 80 ℃에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호모믹서(Homo mixer)와 같은 혼합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혼합에서의 시간 및 속도(rpm) 등은 작업장의 주변온도 및 혼합기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혼합은 당업자에게는 경험적으로나 또는 혼합기의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한다.
본 발명은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유상부를 포함하면서도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되었을 뿐 아니라, 우수한 세정력 및 보습력을 제공함으로써, 크림 타입의 메이크업 클렌징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확인한 사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의 우수함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메이크업 세정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더스트 세정력을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비에 따라, 각 성분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70℃에서 3000rpm으로 5분 동안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정제수 43.3 35.3 27.3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0 15.0 15.0
코코베타인 15.0 15.0 15.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15.0 15.0 15.0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2.0 2.0 2.0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2 0.2 0.2
향료 0.5 0.5 0.5
동백오일 1.0 3.0 5.0
해바라기씨오일 1.0 3.0 5.0
스테아릴알코올 1.0 3.0 5.0
쉐어버터 1.0 3.0 5.0
솔비톨 2.0 2.0 2.0
글리세린 2.0 2.0 2.0
방부제 1.0 1.0 1.0
비교예. 일부 성분 변화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함량비에 따라, 각 성분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70℃에서 3000rpm으로 5분 동안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정제수 19.3 11.3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코코베타인 15 15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15 1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2.0 2.0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2 0.2
향료 0.5 0.5
동백오일 7.0 9.0
해바라기씨오일 7.0 9.0
스테아릴알코올 7.0 9.0
쉐어버터 7.0 9.0
솔비톨 2.0 2.0
글리세린 2.0 2.0
방부제 1.0 1.0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 평가
도 1a 및 1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매끈한 성상의 크림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도 1a의 좌측부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 해당). 반면, 비교예 1 및 2의 경우 부분적으로 석출된 성상의 매끈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유상이 다량 함유된 비교예 2가 석출양상이 보다 심하게 나타났다(도 1b의 좌측부터 비교예 1 및 비교예 2 해당).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 평가(관능 평가)
25-45세 여성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바디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보습감, 영양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점수는 각각 1~10점(높을수록 긍정적인 평가)까지 부여하도록 하고, 평균이 8점 이상인 평가자가 25명 이상인 경우 매우 양호, 17-24명인 경우 양호, 9-16명인 경우 보통, 8명 이하인 경우 나쁨으로 표기하였다.
이때, 보습감은 세정 후 느껴지는 촉촉한 정도를 의미하고, 영양감은 세정 후 피부에 영양과 보습을 부여하는 느낌을 의미하며, 전반적인 만족도는 상기 두 가지 기준을 포함하는 화장료로서의 사용 가치에 대한 느낌을 의미한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보습감
영양감
전반적인 만족도
◎: 매우양호, ○: 양호, △: 보통, X: 나쁨
상기 표 3에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이 보습감, 영양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에 있어 비교예(비교예 1 및 2)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상이 가장 많이 배합(20%)된 실시예 3이 전반적으로 사용감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상이 20% 초과 함유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보습감 및 영양감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비교예 2는 각각 보습감과 영양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대한 보습력을 추가로 평가하였다.
시험 30분 전 시험 부위(하박 내측, 2cm X 2cm)를 미온수로 세정하고 10분간 항온 항습실(22±2℃ 40~60% RH)에서 대기한 뒤, 시험 부위의 도포 전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각 8μl)을 시험 부위에 고루 펴발라 흡수시킨 후, 제품 도포 직후, 2시간 후, 4시간 후 및 8시간 후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고 평균을 이용하여 피부 수분도의 변화율을 산출한 후 도포 전 값과 비교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피부수분도(arbitraru units) 도포 전 도포 후
무도포 100.0 119.8
실시예 1 100.0 127.8
실시예 2 100.0 130.9
실시예 3 100.0 144.8
비교예 1 100.0 82.9
상기 표 4에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의 보습력은 우수한 반면, 유상이 20% 초과 함유된 비교예 1은 무도포 시와 비교하여도 보습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세정력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3)에 대하여, 메이크업 세정력 및 더스트 세정력을 측정하였다.
2-1. 메이크업 세정력
시험 부위에 시중 메이크업 제품(파운데이션)(8μl)을 바른 후 10분간 건조시킨 후, 실시예 1 내지 3을 각각 50회 롤링하여 미온수로 헹구고 육안 및 확대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메이크업 세정력은 오일의 함량에 비례하여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2-2. 더스트 세정력
시험 부위에 인공피지 및 먼지대체물질(Iron Oxide Black(Fe3O4), particle size: ~4.365μm) 혼합물(20μl)을 바른 후, 실시예 1 내지 3을 각각 50회 롤링하여 미온수로 헹구고 육안 및 확대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더스트 세정력은 오일의 함량에 비례하여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소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오일(1 내지 20 중량%)을 포함하면서도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되었을 뿐 아니라, 거품으로 수성 세안이 가능하고 오일로 메이크업 세정이 가능하여 한 번의 세안으로 이중 세안의 효과를 나타내며, 나아가 세안 후에도 우수한 보습력을 제공함으로써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기능 및 효과를 개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8)

  1. 동백오일, 해바라기씨오일, 스테아릴알코올 및 쉐어버터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포함하고, 계면활성제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코코베타인을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 포함하는 크림 타입(Cream type)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코코베타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포타슘코코에이트, 포타슘올리베이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데실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및 디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카보머, 잔탄검,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및 알지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7. 동백오일, 해바라기씨오일, 스테아릴알코올 및 쉐어버터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 계면활성제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코코베타인을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 및 점증제를 60 내지 80 ℃에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림 타입(Cream type)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90112576A 2019-09-11 2019-09-11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576A KR102451584B1 (ko) 2019-09-11 2019-09-11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576A KR102451584B1 (ko) 2019-09-11 2019-09-11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078A KR20210031078A (ko) 2021-03-19
KR102451584B1 true KR102451584B1 (ko) 2022-10-06

Family

ID=7526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576A KR102451584B1 (ko) 2019-09-11 2019-09-11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4193A (zh) * 2022-10-21 2023-01-03 广州环亚化妆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状的卸妆膏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6426B2 (ja) * 1994-06-17 1997-12-08 ロレアル 脂質粒子を含有する皮膚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2014114291A (ja)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KR101895875B1 (ko) * 2017-10-13 2018-09-06 (주)씨아이티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72B1 (ko) * 2008-04-30 2015-02-17 (주)아모레퍼시픽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KR102083282B1 (ko) * 2013-07-31 2020-03-02 (주)아모레퍼시픽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JP6733143B2 (ja) 2015-09-28 2020-07-29 味の素株式会社 クリーム状洗浄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24463A (ko) * 2016-08-30 2018-03-08 (주)아모레퍼시픽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4167B1 (ko) * 2017-06-05 2023-02-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6426B2 (ja) * 1994-06-17 1997-12-08 ロレアル 脂質粒子を含有する皮膚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2014114291A (ja)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KR101895875B1 (ko) * 2017-10-13 2018-09-06 (주)씨아이티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078A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97996B (zh) 一种双层洁面乳及其制备方法
KR101420599B1 (ko) 항여드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5165917A (en) Eye makeup remover with two separate phases
US5017367A (en) Skin treatment preparation
JP4459314B2 (ja) 二相化粧品組成物
US5431911A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
JP6183849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2083282B1 (ko)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CN107536748A (zh) 一种二合一滋润保湿沐浴组合物
US7977290B1 (en) Body cleansing composition
KR101508168B1 (ko)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
HU227318B1 (en) Cosmetical and dematolog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grooming of psoric skin and scalp
US8449895B1 (en) Conditioning cleansing cream
KR102342905B1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451584B1 (ko) 다량의 유상을 함유하는 크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197790A (zh) 一种三合一氨基酸净澈慕斯及其制备方法
JP4285699B2 (ja) 角栓除去用組成物
GB2455294A (en) Skin or hair wash formulation
WO2001001954A1 (en) Personal hygiene tablet composition
JP2001072573A (ja) 洗顔用の化粧料
KR102610349B1 (ko) 저자극의 모발 또는 두피 세정용 조성물
JP3479048B2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JP2001072574A5 (ko)
KR101966185B1 (ko)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2001072574A (ja) 洗顔用の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