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316B1 -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316B1
KR102451316B1 KR1020200180116A KR20200180116A KR102451316B1 KR 102451316 B1 KR102451316 B1 KR 102451316B1 KR 1020200180116 A KR1020200180116 A KR 1020200180116A KR 20200180116 A KR20200180116 A KR 20200180116A KR 102451316 B1 KR102451316 B1 KR 102451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eage
points
virtual currency
customer
mileage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812A (ko
Inventor
한승수
김영군
이승홍
고최진석
타바쑴 나스린 하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지56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지56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지56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8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3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가상화폐와 교환되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발행하여 사용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하고,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마일리지 포인트가 결제되면 수수료 비율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지급받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위한 고객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하는 고객 등록부; 가맹점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위한 고객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하고, 마일리지 결제 비율을 등록하는 가맹점 등록부; 가상화폐와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환 비율을 설정하는 교환비율 설정부; 가상화폐에 의해 구매된 고객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충전하여, 해당 고객 계정에 누적하는 마일리지 충전부; 가맹점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요금에 대해 결제를 수행하되, 마일리지 결제 비율에 해당하는 요금을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하는 마일리지 결제부, 및, 고객 또는 가맹점의 요청에 따라,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교환해주는 가상화폐 교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가상화폐와 교환되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발행하여 사용자에게 사전에 지급함으로써, 서비스 가입을 유도할 수 있고, 보편적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 A offline mileage payment system using virtual currency }
본 발명은 가상화폐와 교환되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발행하여 사용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하고,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마일리지 포인트가 결제되면 수수료 비율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지급받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광 시장(렌터카, 숙박, 레저)은 관광객들이 코스별 여행 일정에 따른 교통편 예약(항공권 예약 등)과 숙소와 연계된 관광 상품 등을 제공받는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나 지역 상인회 등 각 관광지역 단체는 호텔/리조트/숙박 시설/펜션, 관광 자원과 문화재, 음식점, 여행객들의 레저 활동, 관광 지리학과 인문 지리학적 측면에서 지역 관광 자원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각 단체는 각종 회의나 전시회, 지역 문화관광 축제, 민속 행사, 지역 행사를 개최하여 주요 관광지에 여행객과 방문객들이 많이 방문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관광지와 연계하여 마일리지나 할인쿠폰 등을 활용하여, 여행객 등 고객을 유치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일례로서, 렌터카 대여 및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관광지의 숙박시설, 음식점, 레저시설, 쇼핑 타운 등의 요금을 할인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다른 예로서, 다양한 여행 상품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고객의 마일리지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또한, 여행지에서의 복수의 상품 아이템 코드를 하나의 코드로 그룹화 하여 멀티 할인 쿠폰을 만들어, 멀티 할인 쿠폰으로 보다 저렴하게 상품을 구매하게 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마일리지나 쿠폰 등을 특정 서비스에만 한정시켜, 여행객 등 고객에게 널리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마일리지나 쿠폰 등 보다 보편적인 사용을 가지는 여행상품과 관련된 할인 수단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6850호(2018.09.10.공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4858호(2008.01.10.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9260호(2015.12.21.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상화폐와 교환되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발행하여 사용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하고,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마일리지 포인트가 결제되면 수수료 비율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지급받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요금에 대한 마일리지 포인트에 의한 결제 비율이 각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설정되어 커스터마이징 되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에 지급되는 마일리지 포인트에 대해 가상화폐로의 교환 여부, 교환 비율, 사용기한 등을 제한하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객 단말과 가맹점 단말과 연결되고, 가상화폐 서버와 연결되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위한 고객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하는 고객 등록부; 가맹점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위한 고객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하고, 마일리지 결제 비율을 등록하는 가맹점 등록부; 가상화폐와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환 비율을 설정하는 교환비율 설정부; 가상화폐에 의해 구매된 고객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충전하여, 해당 고객 계정에 누적하는 마일리지 충전부; 가맹점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요금에 대해 결제를 수행하되, 마일리지 결제 비율에 해당하는 요금을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하는 마일리지 결제부, 및, 고객 또는 가맹점의 요청에 따라,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교환해주는 가상화폐 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비율 설정부는 법정화폐를 기준으로 가상화폐 대비 마일리지 포인트의 가치 비율이 적어도 50% 이하가 되는 기준 범위 내에 있도록 교환 비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범위의 하단은 5% 이상이고, 상기 기준 범위의 상단은 50%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비율 설정부는 사전에 정해진 일정한 기간 동안 고정하여 유지하되, 가치 비율이 기준 범위에 벗어나면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마일리지 포인트를 무상으로 선지급하여 각 고객 계정에 누적하는 마일리지 선지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일리지 선지급부는 정기적으로 마일리지 포인트를 선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 계정의 마일리지 포인트는 사용 제한을 가지는 제한 포인트와, 사용 제한을 가지지 않는 무제한 포인트로 구분되고, 상기 제한 포인트는 사용 기간 또는 가상화폐 교환 여부의 기능에 대하여 제한되고, 구매된 마일리지 포인트나 요금 결제되는 마일리지 포인트는 무제한 포인트로서 제공되고, 선지급되는 마일리지 포인트는 제한 포인트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의하면, 가상화폐와 교환되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발행하여 사용자에게 사전에 지급함으로써, 서비스 가입을 유도할 수 있고, 보편적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의하면, 각 오프라인 가맹점이 마일리지 포인트의 결제 비율을 결정하게 함으로써, 오프라인 가맹점의 상황에 맞도록 자율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여행객 등 고객이 사용하는 고객 단말(10), 고객 단말(10)에 설치된 고객 클라이언트(11), 가맹점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20), 마일리지를 관리하는 마일리지 서버(30), 및, 가상화폐의 거래 또는 가상화폐 망(60)을 관리하는 가상화폐 서버(50)로 구성된다. 또한, 마일리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10), 가맹점 단말(20), 마일리지 서버(30), 가상화폐 서버(50) 등은 네트워크(80)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먼저, 고객 단말(10)은 여행객 등 고객이 사용하는 컴퓨팅 단말로서,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이다. 특히, 고객 단말(1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다음으로, 고객 클라이언트(11)는 고객 단말(10)에 설치되어 수행되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으로서, 마일리지 서버(30) 또는 가상화폐 서버(50)와 연동하여, 마일리지 관리 또는 가상화폐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고객 클라이언트(11)는 고객 계정을 마일리지 서버(30)에 등록하고, 마일리지 서버(30)와 연동하여, 마일리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고객 클라이언트(11)와 마일리지 서버(30)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전체 시스템의 기능들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서버와 통신량 등에 따라 분담될 수 있다.
각 고객 계정에 대해 마일리지 포인트가 관리된다. 특히, 마일리지 포인트가 추가로 구입되면, 마일리지 포인트의 잔고가 구입량 만큼 증가되고, 결제로 사용되면 결제 금액 만큼 잔고에서 차감된다.
한편, 마일리지 포인트는 사용 제한을 가지는 제한 포인트(또는 제한 마일리지 포인트)와, 사용 제한을 가지지 않는 무제한 포이트(또는 무제한 마일리지 포인트)로 구분된다. 마일리지 서버(30)에 의해 무상으로 제공된 마일리지 포인트는 제한 포인트이고, 고객 클라이언트(11)가 직접 구매한 마일리지 포인트는 무제한 포인트이다.
고객 클라이언트(11)는 마일리지 서버(30)로부터 마일리지 포인트를 제공받거나, 마일리지 포인트를 이용하여 가맹점의 결제를 수행한다. 이때, 고객 클라이언트(11)는 해당 가맹점에 부여된 결제 비율에 따라, 전체 결제 금액 중에서 결제 비율만큼의 금액만을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한다.
또한, 고객 클라이언트(11)는 가상화폐 지갑을 구비하여 가상화폐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고객 클라이언트(11)는 가상화폐 서버(50) 또는 가상화폐 망(60)과 연동하여, 자신이 보유한 가상화폐로 마일리지 포인트를 구입할 수 있다.
또한, 고객 클라이언트(11)는 자신이 보유한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맹점 단말(20)은 가맹점에서 사용하는 컴퓨팅 단말로서, PC, 노트북,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단말이다. 특히, 가맹점 단말(20)은 어플리케이션(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또한, 가맹점 단말(20)에는 가맹점 클라이언트(미도시)가 설치되어, 마일리지 서버(30) 또는 가상화폐 서버(50)와 연동하여 가맹점을 위한 마일리지 관리 또는 가상화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맹점 단말(20)이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가맹점 단말(20)은 가맹점 계정을 마일리지 서버(30)에 등록한다. 가맹점 계정은 마일리지 포인트를 관리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20)은 자신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요금에 대한 마일리지 결제 비율을 설정하여 등록한다. 결제 비율은 전체 요금 중에서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할 수 있는 비율을 말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20)은 고객 클라이언트(11)와 연동하여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때, 마일리지 포인트의 결제 요금은 서비스 요금(또는 상품 요금) 중에서 결제 비율에 따른 요금으로 결정된다.
또한, 고객 클라이언트(11)에 의해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되면, 가맹점 단말(20)은 마일리지 서버(30)와 연동하여 해당 가맹점 계정에 마일리지 포인트를 누적한다.
또한, 가맹점 단말(20)은 누적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일리지 서버(30)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고객 클라이언트(11) 또는 가맹점 단말(20)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마일리지 서버(30)와 고객 클라이언트(11)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구성 방법에 따라 구축될 수 있다. 즉, 전체 시스템의 기능들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서버와 통신량 등에 따라 분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일리지 서버(30)는 고객 또는 가맹점을 회원으로 등록하여 관리하되, 각 고객 또는 각 가맹점에 대한 고객 계정 또는 가맹점 계정을 생성하여 관리한다. 고객 계정 또는 가맹점 계정은 마일리지 포인트를 관리하는 계정이다.
또한, 마일리지 서버(30)는 각 가맹점의 요청에 따라 각 가맹점의 결제 비율을 입력받아 등록한다. 결제 비율(또는 마일리지 결제 비율)은 결제 금액 중에서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되는 비율을 말한다. 즉, 가맹점의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결제 금액 중에서 결제 비율 만큼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되고, 나머지 금액은 현금, 신용카드 등 통상의 통화로 결제된다.
또한, 마일리지 서버(30)는 고객 클라이언트(11) 또는 가맹점 단말(20)의 요청을 수신하여 결제 트랜잭션을 처리한다. 결제 트랜잭션은 가맹점에서 결제 금액을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되는 거래를 말한다. 마일리지 서버(30)는 결제 트랜잭션에 따른 마일리지 포인트의 사용 내역에 따라, 해당 고객 또는 가맹점의 마일리지 계정에서 마일리지 포인트를 차감 또는 누적한다.
또한, 마일리지 서버(30)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발행하여, 고객 클라이언트(11)에 정기적으로 지급하거나 판매한다.
즉, 마일리지 서버(30)는 등록된 고객에게 마일리지 포인트를 정기적으로 무상으로 미리 지급(또는 선지급)할 수 있다.
또한, 마일리지 서버(30)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고객에게 판매한다. 이때, 가상화폐로 판매한다. 즉, 고객 클라이언트(11)는 고객 계정으로 마일리지 포인트를 구매하고, 마일리지 포인트의 구입 금액은 가상화폐 서버(50)를 통해, 고객의 가상화폐 계정에서 서버의 가상화폐 계정으로 지급된다.
또한, 마일리지 서버(30)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교환시켜준다. 즉, 마일리지 서버(30)는 고객 클라이언트(11) 또는 가맹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고객 계정 또는 가맹점 계정에 누적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교환해준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마일리서 서버(30)는 선지급된 마일리지 포인트에 대해서는, 가상화폐로의 교환이나, 사용 기한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상화폐 서버(50)는 가상화폐 망(60)을 기반으로 가상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상화폐 망(60)은 가상화폐 거래를 위한 블록체인망으로 구성된다. 특히, 가상화폐 망(60)은 통상의 가상화폐를 위한 블록체인망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40)는 고객 계정 등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정보DB(41), 가맹점 계정, 결제비율 등 가맹점 정보를 저장하는 가맹점DB(42), 각 가맹점에서 결제되는 거래를 저장하는 결제정보DB(4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은 앞서 고객 클라이언트(11)와 마일리지 서버(30)로 구성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30)은 고객을 등록하는 고객 등록부(31), 가맹점을 등록하는 가맹점 등록부(32), 가상화폐와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환비율을 설정하는 교환비율 설정부(33), 마일리지 포인트를 충전하는 마일리지 충전부(34),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를 처리하는 마일리지 결제부(35), 및,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교환해주는 가상화폐 교환부(36)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마일리지를 선지급하는 마일리지 선지급부(3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고객 등록부(31)는 고객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고객명, 연락처 등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한다. 또한, 고객 등록부(31)는 고객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위한 고객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한다.
한편, 고객 계정의 마일리지 포인트는 사용 제한을 가지는 제한 포인트(또는 제한 마일리지 포인트)와, 사용 제한을 가지지 않는 무제한 포이트(또는 무제한 마일리지 포인트)로 구분된다.
제한 포인트는 사용 기간 또는 가상화폐 교환 여부 등의 기능에 대하여 제한되는 마일리지 포인트이다. 사용 기간의 제한은 지급된 후 일정한 사기간(예를 들어, 1개월, 6개월, 1년 등) 내에 사용되어야 하고, 해당 사용 기간이 경과되면 해당 마일리지 포인트는 소멸된다.
또한, 제한 포인트의 사용 기간 제한은 각 제한 포인트 별로 사용 기간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상화폐 교환 제한은 해당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교환될 수 없는 제한을 말한다. 따라서 제한 포인트는 마일리지 포인트에 의한 요금 결제에만 사용되고, 가상화폐로 교환될 수 없다.
다음으로, 가맹점 등록부(32)는 가맹점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가맹점 이름, 연락처 등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한다.
또한, 가맹점 등록부(32)는 가맹점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위한 고객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한다. 또한, 가맹점 등록부(32)는 자신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요금에 대한 마일리지 결제 비율을 입력받아 등록한다. 즉, 마일리지 결제 비율은 각 가맹점 마다 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결제 비율은 전체 요금 중에서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할 수 있는 비율을 말한다.
한편, 상품 또는 서비스 요금은 법정화폐(원화 등)에 의한 금액으로 설정된다. 또한, 마일리지 포인트도 법정화폐 단위를 사용한다. 즉, 마일리지 포인트 k 점(포인트)은 원화 k 원에 해당한다.
일례로서, 1박의 숙박 요금이 100,000원으로 설정되고 마일리지 결제 비율이 30%로 설정되는 경우, 서비스 요금의 70%는 원화 70,000원으로 결제되고 나머지 30%는 마일리지 포인트 30,000 점(포인트)으로 결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교환비율 설정부(33)는 가상화폐와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환 비율을 설정한다.
특히, 법정화폐를 기준으로 마일리지 포인트의 가치가 가상화폐의 가치에 비해(즉, 가치 비율) 적어도 1/2 (50%) 이하가 되는 기준범위 내에 있도록 교환 비율을 설정한다. 즉, 가치 비율은 법정화폐를 기준으로 가상화폐 대비 마일리지 포인트의 가치 비율을 나타낸다. 기준 범위는 비율의 범위 인데, 그 비율의 범위는 50% 이하인 비율 내에서의 범위를 말한다. 즉, 2%-50% 범위, 5%-45% 범위 등은 모두 50% 이하인 비율 내에서의 범위들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치 비율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 범위 내에 있도록 설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준 범위의 하단은 1/20 (5%) 이상으로 설정하고, 기준범위의 상단은 1/2 (50%) 이하로 설정한다.
가치 비율이 낮아야 고객이 마일리지 포인트를 구매하는 동기가 부여된다. 즉, 숙박비 30%를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한다면, 마일리지 포인트를 법정화폐에 비해 50%로 싸게 구매하므로 실질적으로 숙박비 15% ( = 30% × 50%)를 절약할 수 있다. 이때, 가치 비율이 낮을수록 고객은 더 많은 절약을 할 수 있다.
일례로서, 마일리지 포인트는 법정화폐 단위를 사용하므로, 마일리지 포인트 10,000 점은 법정화폐 10,000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법정화폐 10,000원으로 가상화폐 10코인을 교환한다고 가정한다. 법정화폐와 가상화폐의 교환비율은 가상화폐 시장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가상화폐 5코인으로 마일리지 포인트 10,000 점을 교환한다면, 결과적으로, 법정화폐 5,000원으로 마일리지 포인트 10,000 점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법정화폐 기준으로, 마일리지 포인트의 가치는 가상화폐의 가치에 비해 1/2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마일리지 포인트의 가치 비율은 1/2 또는 50%이다. 또한, 가상화폐 1코인으로 마일리지 포인트 10,000점을 교환한다면, 법정화폐 1,000원으로 마일리지 포인트 10,000 점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마일리지 포인트의 가치는 가상화폐의 가치에 비해 1/10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가치 비율은 10%이다.
또한, 교환비율 설정부(33)는 교환 비율을 사전에 정해진 일정한 기간 동안 고정하여 유지하거나, 가치 비율이 기준 범위 내에 있을 때까지 고정하여 유지한다.
일례로서, 교환비율 설정부(33)는 1년 동안 교환 비율을 고정하여 유지하고 1년 마다 교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교환비율 설정부(33)는 1년이 경과되지 않더라도 가치 비율이 50%를 넘으면, 교환 비율을 재조정할 수 있다.
한편, 가상화폐와 법정화폐는 가상화폐 시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법정화폐를 기준으로 하는 가상화폐의 가치는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정화폐 10,000원으로 가상화폐 10코인을 교환할 수 있다가, 가상화폐의 가치가 올라가서 법정화폐 10,000원으로 가상화폐 5코인만 교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는 가상화폐의 가치는 법정화폐 기준으로 2배로 높아진 경우이다.
만약, 가상화폐 2코인으로 마일리지 포인트 10,000점을 교환하도록 교환 비율을 설정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초기에 법정화폐 10,000원으로 가상화폐 10코인을 교환한다면, 마일리지 포인트의 가치 비율은 20%이다. 그런데 가상화폐 가치가 올라서 법정화폐 10,000원으로 가상화폐 5코인을 교환한다면, 마일리지 포인트의 가치 비율은 40%로 높아진다.
즉, 가상화폐의 가치가 올라가면, 법정화폐 기준으로 마일리지 포인트의 가치도 상대적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가맹점 입장에서, 결제로 누적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오래 보유하여, 가상화폐 가치가 올라가면, 더 많은 수익을 남길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일리지 충전부(34)는 각 고객에 의해 마일리지 포인트가 구매되어, 구매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해당 고객 계정에 누적하여 충전한다. 이때, 마일리지 포인트는 가상화폐에 의해 구매된다. 이때, 앞서 설정된 교환 비율에 따라 가상화폐가 마일리지 포인트로 교환된다.
구체적으로, 각 고객 또는 각 고객 단말(10)과 마일리지 서버(30)는 가상화폐 계좌를 보유하여, 고객 단말(10)이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결제한다. 이때, 가상화폐에 의한 결제 대금은 각 고객의 가상화폐 계좌에서 마일리지 서버(30)의 가상화폐 게좌로 송금된다. 한편, 가상화폐에 의한 결제 또는 송금은 가상화폐 서버(50)에 의해 가상화폐망(60) 상에서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일리지 결제부(35)는 가맹점의 상품 또는 서비스 요금에 의한 결제를 수행하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요금 중에서 마일리지 결제 비율에 해당하는 요금을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한다.
즉, 마일리지 결제부(35)는 서비스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전체 요금을 수신하고, 전체 요금에 마일리지 결제 비율을 곱하여, 마일리지 포인트에 의해 결제될 결제 요금(마일리지 결제 요금)을 산정한다.
또한, 마일리지 결제부(35)는 마일리지 결제 요금 만큼, 고객의 고객 계정에서 마일리지 포인트를 차감하고, 가맹점의 가맹점 계정에서 마일리지 포인트를 증가시켜 누적한다. 즉, 마일리 결제 요금 만큼 고객 계정에서 가맹점 계정으로 송금된다.
다음으로, 가상화폐 교환부(36)는 고객 또는 가맹점의 요청에 따라,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교환한다. 이때, 앞서 설정된 교환 비율에 따라 마일리지 포인트가 가상화폐로 교환된다.
구체적으로, 가상화폐 교환부(36)는 고객 또는 가맹점의 요청에 따라, 고객 계정 또는 가맹점 계정에 누적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판매시켜, 해당 고객 계정 또는 가맹점 계정에서, 판매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차감한다. 이때, 구입 대금은 가상화폐로 고객 또는 가맹점으로 지급된다.
즉, 각 고객 또는 가맹점에 의해 마일리지 포인트가 서버로 판매되어, 해당 고객 계정 또는 가맹점 계정에서, 해당 마일리지 포인트 만큼 차감된다. 이때, 마일리지 포인트의 판매 대금은 가상화폐로 지급된다. 즉, 가상화폐의 판매 대금은 각 서버의 가상화폐 계좌에서 각 고객 또는 가맹점의 가상화폐 계좌로 송금된다. 한편, 가상화폐에 의한 지급 또는 송금은 가상화폐 서버(50)에 의해 가상화폐망(60) 상에서 수행된다.
다음으로, 마일리지 선지급부(37)는 각 고객 계정에 무상으로 마일리지 포인트를 선지급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마일리지 선지급부(37)는 정기적으로 마일리지 포인트를 선지급한다.
한편, 선지급된 마일리지 포인트는 해당 고객 계정의 마일리지 포인트에 누적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선지급된 마일리지 포인트는 제한 포인트 또는 제한된 마일리지 포인트이다. 즉, 선지급된 마일리지 포인트는 사용 기간의 제한을 가지거나, 가상화폐로의 교환될 수 없는 제한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고객 단말 11 : 고객 클라이언트
20 : 가맹점 단말
30 : 마일리지 서버 31 : 고객 등록부
32 : 가맹점 등록부 33 : 교환비율 설정부
34 : 마일리지 충전부 35 : 마일리지 결제부
36 : 가상화폐 교환부 37 : 마일리지 선지급부
40 : 데이터베이스
50 : 가상화폐 서버 60 : 가상화폐 망
80 : 네트워크

Claims (7)

  1. 고객 단말과 가맹점 단말과 연결되고, 가상화폐 서버와 연결되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위한 고객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하는 고객 등록부;
    가맹점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위한 고객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하고, 마일리지 결제 비율을 등록하는 가맹점 등록부;
    가상화폐와 마일리지 포인트의 교환 비율을 설정하는 교환비율 설정부;
    고객의 구매 요청에 따라, 가상화폐로 마일리지 포인트를 구매하여, 고객의 마일리지 포인트를 충전하여, 해당 고객 계정에 누적하는 마일리지 충전부;
    가맹점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요금에 대해 결제를 수행하되, 마일리지 결제 비율에 해당하는 요금을 마일리지 포인트로 결제하는 마일리지 결제부, 및,
    고객 또는 가맹점의 요청에 따라,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상화폐로 교환해주는 가상화폐 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요금은 법정화폐에 의한 금액으로 설정되고, 상기 마일리지 포인트는 법정화폐 단위로 사용되어 법정화폐 단위로 결제되고,
    상기 교환비율 설정부는 사전에 정해진 일정한 기간 마다 교환 비율을 조정하고, 조정이 되면 일정한 기간 동안 고정하여 유지하고,
    상기 교환비율 설정부는 법정화폐를 기준으로 가상화폐 대비 마일리지 포인트의 가치 비율이 적어도 50% 이하가 되는 기준 범위 내에 있도록 교환 비율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범위의 하단은 5% 이상이고, 상기 기준 범위의 상단은 50% 이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비율 설정부는 사전에 정해진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지 않더라도, 가치 비율이 기준 범위에 벗어나면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마일리지 포인트를 무상으로 선지급하여 각 고객 계정에 누적하는 마일리지 선지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일리지 선지급부는 정기적으로 마일리지 포인트를 선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계정의 마일리지 포인트는 사용 제한을 가지는 제한 포인트와, 사용 제한을 가지지 않는 무제한 포인트로 구분되고, 상기 제한 포인트는 사용 기간 또는 가상화폐 교환 여부의 기능에 대하여 제한되고,
    구매된 마일리지 포인트나 요금 결제되는 마일리지 포인트는 무제한 포인트로서 제공되고, 선지급되는 마일리지 포인트는 제한 포인트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KR1020200180116A 2020-12-21 2020-12-21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KR102451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16A KR102451316B1 (ko) 2020-12-21 2020-12-21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116A KR102451316B1 (ko) 2020-12-21 2020-12-21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12A KR20220089812A (ko) 2022-06-29
KR102451316B1 true KR102451316B1 (ko) 2022-10-07

Family

ID=8227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116A KR102451316B1 (ko) 2020-12-21 2020-12-21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0353B2 (en) * 2021-06-16 2023-10-17 Song Hwan KIM System and method for online/offline payment with virtual currency for nodes included in mobile-based blockchain distributed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895B1 (ko) * 2016-10-04 2018-02-19 최영림 컨텐츠 플랫폼 장치 및 그의 리워드 관리 방법
JP2019028885A (ja) * 2017-08-02 2019-02-21 株式会社Jikishin ポイント管理装置及び作動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858A (ko) 2006-07-07 2008-01-10 최동일 통합 마일리지를 이용한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79260B1 (ko) 2015-06-01 2015-12-21 김영덕 여행지 쇼핑 정보 및 멀티 할인 쿠폰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KR101886850B1 (ko) 2018-04-18 2018-09-10 아이작에스엔씨 주식회사 관광지에서 포인트와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렌터카 대여 및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1220A (ko) *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가즈아랩스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 가격 안정화 방법 및 장치
KR20200069194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아이디어컴즈 블록체인 기반 전자 상거래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895B1 (ko) * 2016-10-04 2018-02-19 최영림 컨텐츠 플랫폼 장치 및 그의 리워드 관리 방법
JP2019028885A (ja) * 2017-08-02 2019-02-21 株式会社Jikishin ポイント管理装置及び作動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12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94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redeeming loyalty incentives
US6732922B2 (en) System enablement of automatic fare collection devices using a network
Pachpande et al. Study of e-wallet awareness and its usage in Mumbai
RU243969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воначального и повторного зачисления средств на портативные потребительские устройства
US20090318211A1 (en) Lottery System and Method Using a Settlement Data
JP6689782B2 (ja) トランジット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いて使用される記憶値カードを提供し、リロードし、兌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4170741A2 (en) Payback payment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the same
AU2002309828A1 (en) System enablement of automatic fare collection devices using a network
US20190108546A1 (en) Providing targeted communications based on travel related data
US6786402B2 (en) Method and system of usage charging by presentation of a personalized electronic storage device at an access point to a facility
CN101120369A (zh) 支付网络
US20110125568A1 (en) Shared-Benefit Reward System and Method
KR102451316B1 (ko) 가상화폐 기반 오프라인 마일리지 결제 시스템
US82908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fundraising and contributions program using fundraising cards redeemable for branded stored-value cards
JP2004151911A (ja) 運賃精算方法
US8396809B1 (en) Method for reducing purchase time
KR20090120129A (ko) 가상지갑의 충전 및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JP3983724B2 (ja) 料金後払いカードシステム、料金後払いカードの清算金額算出方法および料金後払いカードシステム用センターサーバ
KR20090016352A (ko) 온라인상에서 선구매권의 판매를 통한 운영방법 및 시스템
WO2023157877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装置
KR20190048314A (ko) 로또 당첨번호 예측 이벤트 서비스를 이용한 가맹점 온라인 공동 프로모션 시스템
US20110276520A1 (en) Promotional and transactional hotel keycard
BR102017021598A2 (pt) Sistema e método gerenciador de troco
AU709830B3 (en) Cash card funds transfer method and means
KR20140091132A (ko) 충전식 주유상품권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