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520B1 -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 Google Patents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520B1
KR102450520B1 KR1020200094777A KR20200094777A KR102450520B1 KR 102450520 B1 KR102450520 B1 KR 102450520B1 KR 1020200094777 A KR1020200094777 A KR 1020200094777A KR 20200094777 A KR20200094777 A KR 20200094777A KR 102450520 B1 KR102450520 B1 KR 10245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laser
optical fiber
blood vessel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520A (ko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박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범 filed Critical 박용범
Publication of KR2021014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18/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with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31Type of occlusion complete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8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formed by fluidized, gelatinous or cellular remodelable materials, e.g. embolic liquids, foams or extracellular matrices
    • A61B17/12186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formed by fluidized, gelatinous or cellular remodelable materials, e.g. embolic liquids, foams or extracellular matrices liquid materials adapted to be injec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61B2017/00504Tissue welding
    • A61B2017/00508Tissue welding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404Blood vessels other than those in or around the heart
    • A61B2018/00422Angi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05Characteristics of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025/0166Sensors, electrod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catheter to a target zone, e.g. image guided or magnetically gui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을 주입하는 카테터와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사 광섬유 조합에 의해 하지정맥류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및 이의 사용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제 1, 2루멘(11)(11')이 형성되고, 일단에 카테터 팁(12)과, 반대측에 제 1, 2포트(14)(16)가 구비되는 카테터(10); 상기 제 1포트(14)를 통하여 제 1루멘(11) 내에 삽입되고, 레이저발생부(21)에 연결되어, 단부에 외주면의 360° 방향으로 레이저를 출력하는 라디얼 팁(22)이 구비되는 방사 광섬유(20); 및 상기 제 2포트(16)에 연결되어 제 2루멘(11')으로 약물을 공급하는 실린지부(32)가 설치되고, 약물을 혈관 내벽으로 투여하는 분사 팁(34)이 형성되어, 혈관에 화학적 손상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화학적 혈관 폐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환자의 안전을 위해 한 번의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의 농도와 투여량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본 발명은 약물을 주입하는 화학적 혈관 폐색부와 360°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사 광섬유 조합에 의해 약물 저농도의 약물을 정량으로 균일하게 투여할 수 있게 되므로, 한 번의 시술로 최대한 많은 혈관을 시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Varicose vein surgery kit}
본 발명은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약물을 주입하는 카테터와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사 광섬유 조합에 의해 하지정맥류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하지정맥류는 다리에 있는 표재정맥(겉정맥)이 늘어나서 밖으로 드러나 보이는 것으로, 병이 진행될수록 판막 부전이 진행되므로 만성 정맥부전증이 발생하게 되어 계속되는 악순환이 반복고, 만성정맥부전증은 만성적으로 하지의 부종, 하지피부의 섬유화, 하지 정맥성궤양 등의 합병증이 동반되므로 빠른 치료가 요구된다.
그리고, 하지정맥류 치료 방법에는 의료용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는 방법, 혈관 경화제를 주사하여 혈관을 퇴화시키는 혈관 경화 요법, 혈관 내로 고주파 기구를 삽입하고 그 기구에 열을 가하여 혈관을 손상시키는 고주파열 폐쇄술, 혈관 내로 레이저 기구를 넣어 레이저 광선으로 혈관을 손상시키는 레이저 치료법, 수술을 통해 직접 정맥을 제거하는 정맥 발거술 등이 있다.
하지만, 압박스타킹을 착용하는 치료 방법은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고 회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혈관 경화 요법은 근본적인 치료가 불가능하고 보조적인 치료 방법으로만 사용되며, 고주파 열 폐쇄술은 열에 의한 화상, 신경 손상 등의 부작용이 남는 문제점이 있으며, 레이저 치료법 또한 상처가 남고 부작용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정맥 발거술은 전신마취를 해야 하고 큰 상처가 남으며 수술에 대한 피로도가 높은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 등록번호 10-1995043호에서,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리셉터클(receptacle)을 규정하는(define) 핸들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접근 부위로부터 상기 정맥 내로 전진하는 세장형(elongated) 관내 부재; 및 교란 부재를 갖는 상기 세장형 관내 부재 내에 포함된 와이어(wire); 를 포함하는, 핸들; 상기 와이어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수단; 및 상기 관내 부재와 유체 연통하는 정맥 폐색 물질의 소스(source);를 포함하고, 상기 교란 부재는 와이어의 팁(tip)이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팁이 회전할 때 혈관 내에서 혈액의 역류를 발생하는 블레이드 구성을 포함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와이어의 외상팁(traumatic tip)이 회전할 때 내부 혈관 벽과 접촉하여 내부 혈관 벽을 손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기술이나, 외상팁의 회전반경이 조절불가능하여 수술가능한 혈관 굵기가 제한되고, 손상된 혈관 내막이 휘감기면서 작동불량 및 혈관을 1cm 시술하는데 8초이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시술효율이 크게 떨어지며, 특히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치료 키트 가격이 100만원 이상 고가로 형성되어 시술비용부담이 큰 폐단이 따랐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2080330호에서, 팽창액이 이동되는 제 1루멘과, 약물이 이동되는 제 2루멘으로 구성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 단부에 설치되어 제 1루멘과 연결되고, 팽창액 주입압력에 의해 확장되어 혈관을 손상시키도록 구비되는 벌룬; 상기 제 1루멘에 연결되어 팽창액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인플레이터부; 및 상기 제 2루멘에 연결되어 벌룬에 의해 손상된 혈관 내부로 약물공급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실린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을 선 등록받은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수술할 정맥의 내경이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어 수술할 혈관의 직경에 맞는 다양한 크기의 벌룬을 구비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그로 인해 수술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KR 10-1995043 B1 (2019.06.25) KR 10-2080330 B1 (2020.02.17.)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약물을 주입하는 카테터와 360°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사 광섬유 조합에 의해 약물의 농도와 사용량은 줄일 수 있고, 약물이 막힘없이 균일하게 투여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레이저 출력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혈관에 범용으로 적용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는, 내부에 제 1, 2루멘(11)(11')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수술 시 혈관 속에 내입되는 카테터 팁(12)과, 반대측에는 제 1루멘(11)과 연결되는 제 1포트(14)와 제 2루멘(11‘과 연결되는 제 2포트(16)가 구비되는 카테터(10); 상기 제 1포트(14)를 통하여 제 1루멘(11) 내에 삽입되고, 레이저발생부(21)에 연결되어 단부에 외주면의 360°방향으로 레이저를 출력하는 라디얼 팁(22)이 구비되는 방사 광섬유(20); 및 상기 제 2포트(16)에 연결되어 제 2루멘(11')으로 약물을 공급하는 실린지부(32)와, 제 2루멘(11‘의 일단에서 약물이 투여되는 분사 팁(34)이 형성되어 혈관에 화학적 손상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화학적 혈관 폐색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테터(10)를 혈관 내에 삽입한 후, 실린지부(32)에 의해 일정량의 약물을 공급하고 레이저발생부(21)를 on 작동시켜 라디얼 팁(22)에 레이저가 출력시킨 다음, 카테터(10)와 방사 광섬유(20)가 설정된 속도로 인출되며, 상기 분사 팁(34)을 혈관 시술 시작점(P) 부근까지 삽입한 후, 라디얼 팁(22)은 혈관 내에서 카테터팁(12)으로 부터 30~70mm 돌출시키고, 레이저는 약물의 공급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10~25초경과 후에 4~12 w의 출력으로 조사되고, 약물 주입량은 0.1 ~ 0.3cc/cm로 설정되며, 라디얼 팁(22)과 분사 팁(34) 인출 속도 1~5mm/sec로 설정되어 인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는, 일단이 레이저발생부(21)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외주면의 360°방향으로 레이저를 출력하여 혈관에 물리적 손상을 가하도록 라디얼 팁(22)이 구비되는 방사 광섬유(20); 상기 방사 광섬유(20) 외주면에서 방사 광섬유(20)와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약물유로(31)와, 약물유로(31) 단부에 연결되는 실린지부(32)를 통하여 공급되는 약물을 혈관 내벽으로 투여하기 위해 방사 광섬유(2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분사구(36)로 구성되는 화학적 폐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방사 광섬유(20)를 혈관 내에 삽입한 후, 실린지부(32)에 의해 일정량의 약물을 공급하고 레이저발생부(21)를 on 작동시켜 라디얼 팁(22)에 레이저가 출력시킨 다음, 방사 광섬유(20)가 설정된 속도로 인출되며, 상기 방사 광섬유(20)의 라디얼 팁(22)은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의 분사구(36) 대비 30~70mm의 범위로 더 돌출 구성되며, 레이저는 약물의 공급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10~25초경과 후에 4~12 w의 출력으로 조사되고, 약물 주입량은 0.1 ~ 0.3 cc/cm로 설정되며, 라디얼 팁(22)의 인출 속도 1~5mm/sec로 설정되어 인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환자의 안전을 위해 한 번의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의 농도와 투여량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본 발명은 약물을 주입하는 화학적 혈관 폐색부와 360°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사 광섬유 조합에 의해 약물 저농도의 약물을 정량으로 균일하게 투여할 수 있게 되므로, 한 번의 시술로 최대한 많은 혈관을 시술할 수 있다.
또한, 농도가 낮은 약물을 사용하면서 저출력의 레이저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 하지정맥류 시술방법들이 갖는 흉터나 색소침착과 같은 부작용 및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레이저 출력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치료할 혈관 직경에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사이즈의 혈관을 수술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고, 시술자의 편의성도 높으며, 수술 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또한, 혈관에 열적, 물리적, 화학적 방식으로 복합적인 손상을 가함으로써 약물과 에너지의 사용을 줄여 부작용이 없고, 혈관의 폐색율을 높여 재발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화학적 혈관 폐색부가 방사 광섬유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수술키트를 콤팩트한 사이즈로 구성 가능하므로 수술 가능한 혈관 최소 사이즈 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A는 도 1의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사용법을, 도 3B는 도 2의 수술키트 사용법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의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카테터에 눈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1의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의 스톱퍼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1, 2의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의 신호모듈을 이용한 라디얼 팁 인입 위치 검출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를 이용한 수술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를 이용한 수술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는 약물을 주입하는 카테터와 360°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사 광섬유 조합에 의해 약물의 농도와 사용량은 줄일 수 있고, 약물이 막힘없이 균일하게 투여할 수 있고, 특히 레이저 출력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혈관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 키트는, 카테터(10), 방사 광섬유(20), 혈관 폐색부(30)를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10)는 내부에 제 1, 2루멘(11)(11')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혈관속에 내입되는 카테터(10)의 단부에는 카테터 팁(12)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 카테터(10)에는 제 1루멘(11)과 연결되는 제 1포트(14)와 제 2루멘(11')과 연결되는 제 2포트(16)가 구비된다.
상기 제 1포트(14)로는 방사 광섬유(20)가 삽입되어 제 1루멘(11)을 관통하여 카테터 팁(12)을 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 2포트(16)는 제 2루멘(11')과 연결되도록 카테터(10)로부터 분기된 관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의 실린지부(32)가 결합되어 약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카테터 팁(12)을 포함하는 카테터(10)의 단부는 일정 길이만큼 유연한 소재로 구성한 연질 튜브(13)를 결합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 (a)처럼 카테터 팁(12)의 유연성으로 인해 카테터(10)가 혈관 내에서 혈관의 자체 굴곡 라인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여, 혈관 시술 시작점(P)까지 도달 시간 단축되는 효과가 있고, 이동 중 혈관을 손상시키거나 혹은 뚫고 외부로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 광섬유(20)는 상기 제 1포트(14)를 통하여 제 1루멘(11) 내에 삽입되고, 레이저발생부(21)에 연결되어, 단부에 광섬유 외주면의 360° 방향으로 레이저를 출력하는 라디얼 팁(2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방사 광섬유(20)는 광섬유 끝을 레이저가 수직방향으로 굴절되어 혈관벽을 향해 조사되도록 가공한 라디얼 팁(22)을 형성하는 파이버로서, 레이저가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360° 방향으로 굴절되고, 혈관벽에 고르게 조사되어 혈관 내벽에 둘레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물리적 손상을 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적 혈관 폐색부(30)는 혈관에 화학적 손상을 가하기 위해 상기 제 2포트(16)에 연결되어 제 2루멘(11')으로 약물을 공급하는 실린지부(32)와, 제 2루멘(11')의 일단에서 약물이 투여되는 분사 팁(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화학적 혈관 폐색부(30)는 제 2루멘(11')으로 약물을 공급하여 시술할 혈관 안으로 약물을 막힘없이 안정적으로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제 2루멘(11')은 지름이 2mm 이하의 미세관으로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진원 또는 장공형으로 1개소에 형성되거나,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방사 광섬유(2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실시예 1에서의 상기 분사 팁(34)은 약물을 혈관 내벽으로 투여하는 제 2루멘(11')의 끝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술한 카테터 팁(12)과 동일한 소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응고된 혈액 등에 의해 막힘이 발생하지 않기 위한 이종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와 연결되는 제 2루멘(11')이 제 1루멘(11)과 구분된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됨에 따라 약물을 정량으로 균일하게 투여 가능하고, 막힘이 발생이 일어나지 않아 약물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특히 제 2루멘(11')은 전용 약물유로로만 활용되므로 컴팩트한 규격으로 설계되어 수술 종료 후 제 2루멘(11') 내에 잔류한 상태로 버려지는 약물 손실이 최소화되어 경제적이다.
실세 수술은 상기 카테터(10)를 혈관 내에 삽입한 후, 라디얼 팁(22)을 분사 팁(34) 대비 돌출시킨 상태에서 실린지부(32)를 통해 일정량의 약물을 공급하고 레이저발생부(21)를 on 작동시켜 라디얼 팁(22)에 레이저가 출력되도록 다음, 카테터(10)와 방사 광섬유(20)가 설정된 정속의 속도로 인출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 팁(34)이 혈관 시술 시작점(P)에 일치되도록 혈관 내에 카테터(10)를 인입시킨 후, 라디얼 팁(22)은 혈관 내에서 분사 팁(34)으로부터 30~70mm 돌출 시키고 레이저는 약물의 공급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10~25초경과 후에 4~12 w의 출력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이처럼 라디얼 팁(22)이 돌출된 상태에서 약물을 혈관내에 먼저 공급하여 일정시간 경과 후 레이저를 조사하게 되면 레이저는 약물이 먼저 작용하여 혈관이 수축된 상태에서 조사되므로 혈관폐색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약물 주입량은 0.1 ~ 0.3 cc/cm로 설정되며, 라디얼 팁(22)과 분사 팁(34) 인출 속도 1~5mm/sec로 설정되어 인출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의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이를 통해 본원의 수술키트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도 3 (a)와 같이 먼저 카테터(10)를 수술할 혈관 내에 시술 시작점(P)까지 삽입한 후, 도 3 (b)처럼 라디얼 팁을 돌출시키고 실린지부(32)에 의해 일정량의 약물을 먼저 공급한다.
레이저를 조사하기 전 약물을 먼저 공급하는 것은 약물의 효과에 의해 혈관을 수축시킨 상태에서 이후 레이저를 이용하면 물리적 폐쇄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혈관 내 약물을 공급 한 다음 라디얼 팁(22)과 분사 팁(34)을 설정된 속도로 정속 인출시키되, 라디얼 팁(22)가 시술 시작점(P)에 위치하는 순간 도 3 (c)와 같이 레이저발생부(21)를 on 작동시켜 라디얼 팁(22)에 레이저를 출력시킨 상태로 라디얼 팁(22)과 분사 팁(34)이 설정된 속도로 정속 인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실린지부(32)는 주사기형태로 형성되어 수동으로 약물을 공급하거나 펌프를 이용하여 정량 자동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 라디얼 팁(22)과 분사 팁(34)의 인출 속도는 카테터(10) 외주면에 표시된 눈금(10a)을 기준으로 수동 제어하거나 피딩기를 이용하여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카테터(10)에 눈금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카테터(10)는 외주면에 눈금(10a)이 표시되고, 눈금(10a)은 제 1포트(14)가 형성되는 단부 측에서부터 영점(10b)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길이단위 치수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카테터(10)가 인입되는 혈관 인입 지점(P1)을 기준으로 시술 시작점(P)까지 혈관길이와 일치되도록 카테터(10)를 커팅하고, 눈금(10a)의 영점(10b)과 혈관 인입 지점(P1)이 일치되도록 카테터(10)를 혈관 내에 인입하여 시술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카테터(10) 외부에 오름차순으로 눈금(10a)을 표시할 경우, 시술할 혈관 내로 카테터(10)의 인입 길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더불어 혈관 수술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에 대응되도록 카테터(10)를 최소 길이(L)로 커팅하여 사용하므로, 카테터(10) 길이에 비례하게 화학적 혈관 폐색부(30)를 통한 약물 잔류 공간이 축소되면서 미사용 약물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의 스톱퍼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제 1포트(14)에 기준세팅부(14a)가 형성되고, 기준세팅부(14a)와 대응하는 방사 광섬유(20) 외주면에 스톱퍼(24)가 구비되며, 스톱퍼(24)는 방사 광섬유(20) 외주면을 타고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방사 광섬유(20)에 설치되는 스톱퍼(24)는 상기 기준세팅부(14a)에 충돌되어 광섬유(20)의 인입깊이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카테터 팁(12)은 도 5(a)와 같이 유연성 소재의 연질 튜브(13)로 형성될 수 있고, 튜브(13)의 유연성으로 인해 카테터(10)의 혈관 내에서 굴곡 라인을 따라 변형되어 카테터(10)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라디얼 팁(22)은 카테터(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혈관 시술 시작점(P)까지 이동된다.
그 다음, 도 5 (b)처럼 스톱퍼(24)가 기준세팅부(14a)에 의해 걸려 이동이 정지되는 위치까지 방사 광섬유(20)를 인입하여 라디얼 팁(22) 돌출길이를 정밀하게 세팅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혈관 내에서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 라디얼 팁(22)의 돌출 길이가 스톱퍼(24)와 기준세팅부(14a)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 세팅되어 비숙련자도 안정적으로 수술가능하고, 따라서 수술의 안정성과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6은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의 신호모듈을 이용한 라디얼 팁 인입 위치 검출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레이저발생부(21)에는 라디얼 팁(22)을 통해 레이저를 출력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모듈(2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신호모듈(21a)은 라디얼 팁(22)을 통한 레이저가 점멸 신호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면서 인입 이송 중 혈관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카테터(10)를 혈관 내에 삽입하는 중에 라디얼 팁(22)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광원을 혈관 외측(피부 외측)에서 육안으로 식별하여 라디얼 팁(22) 인입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 확인하므로 비숙련자도 쉽게 혈관 시술 시작점(P)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는 약물을 주입하는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와 360°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사 광섬유(20) 조합으로 저농도의 약물과 저출력 레이저를 사용하여 부작용(흉터, 환자 고통) 없고, 저농도의 약물 사용으로 인해 한 번의 수술로 최대한 많은 혈관을 수술할 수 있으며, 특히 레이저 출력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혈관에 범용으로 적용되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 상기 카테터(10)의 전방측 외면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1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8)는 끝단이 뾰족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날(18b)의 기울기가 전측날(18a)의 기울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혈관 안으로 인입 시에는 용이하게 삽입되고, 인출 시에는 돌기의 끝이 내벽에 걸림되어 돌기(18)의 첨단(尖端)부에 의해 혈관 내벽이 손상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카테터(10)는 카테터(1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먼저 혈관내벽에 물리적 손상을 가하게 되고, 따라서 두 번째로 약물유로(31)를 통해 카테터팁(12)에서 공급되는 약물이 이 손상부위를 통해 침투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마지막으로 레이저의 열적 효과가 더해져 혈관을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폐색시킬 수 있다.
이처럼 수술할 혈관에 물리적, 열적, 화학적 순서로 다단계의 손상을 가할 수 있게 되면, 약물의 양과 레이저의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면서도 혈관의 폐쇄율을 높여 환자가 겪을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재발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를 이용한 수술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를 이용한 수술방법은, 혈관 내 카테터 삽입단계(S1)와, 라디얼 팁 돌출단계(S2)와, 약물공급 및 레이저 출력단계(S3)와, 혈관폐색단계(S4)로 이루어진다.
1. 혈관 내 카테터 삽입단계(S1)
상기 카테터(10)에 방사 광섬유(20)를 삽입한 상태로 카테터 팁(12)이 혈관 시술 시작점(P)에 일치되도록 혈관 내에 삽입한다. 이때 신호모듈(21a)에 의해 라디얼 팁(22)으로 점멸신호를 출력하여 혈관 시술 시작점(P)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2. 라디얼 팁 돌출 및 약물공급 단계(S2)
상기 단계에서 카테터를 혈관 시술 시작점(P)에 위치하면 폐색시킬 혈관에 레이저를 조사하기 위해 방사 광섬유(20)만 더 인입하여 라디얼 팁(22)이 카테터 팁(12)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더 돌출시킨다.
상기 라디얼 팁(22) 돌출길이는 약물이 도포된 후 레이저에 노출되기까지 시간을 결정하며, 이는 곧 약물이 혈관에 작용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라디얼 팁(22)은 혈관 내에서 카테터 팁(12)으로 부터 30~70mm 돌출되도록 한다.
이 때 실린지부(32)에 의해 일정량의 약물을 화학적 혈관 폐색부(30)를 통해 분사 팁(34)으로 공급하며, 약물공급과 라디얼 팁 돌출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3. 레이저 출력단계(S3)
혈관 내 약물을 공급 한 다음 라디얼 팁(22)과 분사 팁(34)을 설정된 속도로 정속 인출시키며, 라디얼 팁(22)의 위치가 시술 시작점(P)에 도달하는 순간 레이저발생부(21)를 on 작동시켜 라디얼 팁(22)으로 레이저를 출력시킨다.
혈관 내 약물을 공급 시점으로부터 라디얼 팁(22)의 위치가 시술 시작점(P)에 도달하는데 까지 10~25초가 소요될 때 약물의 효과가 혈관에 충분히 전달된다. 약물이 공급된 혈관은 수축되며, 따라서 혈관과 카테터 외경 사이가 근접되므로 혈액이 묽어지는 효과(레이저 빛이 투과되어야 하는 혈액층의 두께가 얇아지는 효과)와 함께, 레이저가 조사되는 라디얼 팁(22)이 혈관 내벽과 가까워져 저출력의 레이저 빛으로도 손쉽게 혈관 내벽을 손상시켜 혈관의 폐색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레이저는 4~12 w로 출력시키고, 약물 주입량은 0.1 ~ 0.3 cc/cm로 설정하되, 여기서 약물은 1% 이하의 저농도를 사용한다. 이는 약물(경화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부작용(간 손상, 흉터, 통증)의 위험이 커지고, 농도에 비례하여 색소침착발생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혈관의 폐색을 약물로만 이루어지게 하지 않고, 약물 공급 후 수축된 혈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물리적인 손상을 함께 작용시킴으로써 낮은 농도의 약물을 사용하더라도 효과적인 혈관의 폐색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4. 혈관폐색단계(S4)
약물공급 중인 카테터(10)와 레이저가 출력중인 방사 광섬유(20)를 동시에 설정된 속도로 정속 인출 이송하여 혈관을 폐색시킨다.
카테터(10) 인출 속도는 1~5mm/sec로 설정되며, 카테터(10) 인출 속도와 레이저 출력은 정비례하도록 설정된다.
카테터 인출 속도가 1mm/sec 미만으로 유지되면 수술 시간이 지체되고, 5mm/sec를 초과하면 약물 및 레이저에 의한 혈관 폐색 효율이 저하됨과 더불어 레이저가 충분히 조사되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되어 재수술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카테터 인출 속도는 1~5mm/sec로 설정하고, 혈관 사이즈에 따라 레이저 출력은 혈관의 직경에 따라 4~12 w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는, 일단이 레이저발생부(21)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외주면의 360° 방향으로 레이저를 출력하여 혈관에 물리적 손상을 가하도록 라디얼 팁(22)이 구비되는 방사 광섬유(20)와, 상기 방사 광섬유(20) 외주면 일측에서 방사 광섬유(20)와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약물유로(31)와, 약물유로(31) 단부에 연결되는 실린지부(32)를 통하여 공급되는 약물을 혈관 내벽으로 투여하기 위해 방사 광섬유(2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분사구(36)로 구성되는 화학적 폐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방사 광섬유(20)의 라디얼 팁(22)은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의 분사구(36) 대비 일정 길이만큼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라디얼 팁(22) 돌출길이는 약물이 도포된 후 레이저에 노출되기까지 시간을 결정하고, 이는 곧 약물이 혈관에 작용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상기 라디얼 팁(22)은 혈관 내에서 분사구(36)로부터 30~70mm 의 범위로 돌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라디얼 팁(22)이 더 돌출됨에 따라 도 3B에서와 같이 약물의 효과에 의해 혈관이 수축되어 라디얼 팁(22)에 근접된 상태의 혈관에 레이저가 조사됨에 따라 레이저에 의한 혈관의 물리적 손상 효과가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사 광섬유(20)는 광섬유 끝을 레이저가 수직방향으로 굴절되어 혈관벽을 향해 조사되도록 가공한 라디얼 팁(22)을 형성하는 파이버로서, 레이저가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360° 방향으로 굴절되고, 혈관벽에 고르게 조사되어 혈관 내벽을 전체적으로 물리적 손상을 가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약물유로(31)는 방사 광섬유(20)에 일체로 형성되고, 약물유로(31) 일단에 실린지부(32)가 장착되는 포트가 구비되며, 다른 일단에 약물을 혈관 내벽으로 투여하는 분사구(36)가 형성된다. 이때 약물유로(31)는 지름이 2mm 이하의 미세관으로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진원 또는 장공형의 유로가 방사 광섬유(20)의 외측에 1개소 이상 형성되며, 이 때 약물 유로(31)는 방사 광섬유(20)의 외면 상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광섬유(20) 내부에 매립되게 구성될 수 도 있다.
이처럼, 방사 광섬유(20) 외부에 약물 유로(31)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혈관내에 삽입 시 저항이 적어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에 의한 약물 투여전용 약물유로(31)를 별도로 형성하므로 약물을 정량으로 균일하게 투여 가능하고, 막힘이 발생이 일어나지 않아 약물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의 약물 유로 자체를 컴팩트한 규격으로 설계함으로써 수술 종료 후 약물유로 내에 잔류한 상태로 버려지는 약물 손실이 최소화된다.
또 상기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의 약물유로(31)가 방사 광섬유(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혈관 내 삽입되는 수술키트를 콤팩트한 사이즈로 구성 가능하므로 작은 혈관에도 수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실세 수술은 상기 방사 광섬유(20)를 혈관 내에 삽입한 후, 실린지부(32)에 의해 일정량의 약물을 공급하고 레이저발생부(21)를 on 작동시켜 라디얼 팁(22)에 레이저가 출력되도록 한 다음, 방사 광섬유(20)가 설정된 속도로 정속 인출 이송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구(36)를 혈관 시술 시작점(P)에 일치되도록 혈관 내에 인입시킨 후, 먼저 약물유로(31)을 통해 수술할 혈관 내에 약물 공급한 다음 라디얼 팁(22)을 정속으로 인출시키되, 라디얼 팁(22)가 시술 시작점(P)에 위치하는 순간 (약물 공급 후 약 10~25초 후) 레이저를 4~12 w의 출력으로 조사한다. 또한 약물 주입량은 0.1 ~ 0.3 cc/cm로 설정되며, 라디얼 팁(22)과 분사 팁(34) 인출 속도 1~5mm/sec로 설정되어 인출 작동시킨다.
도 3B는 본 발명의 하지정맥류 수술키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이를 통해 본원의 수술키트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a)와 같이 먼저 방사 광섬유(20)을 수술할 혈관 내에 삽입한 후, (b)처럼 실린지부(32)에 의해 일정량의 약물을 공급한다. 이는 약물의 효과에 의해 혈관을 수축시킨 상태에서 이후 레이저를 이용하면 물리적 폐쇄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혈관 내 약물을 공급 한 다음 라디얼 팁(22)을 설정된 속도로 정속 인출시키되, 라디얼 팁(22)가 시술 시작점(P)에 위치하는 순간 (c)와 같이 레이저발생부(21)를 on 작동시켜 라디얼 팁(22)에 레이저를 출력시킨 상태로 라디얼 팁(22)을 설정된 속도로 정속 인출 이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지부(32)는 주사기형태로 형성되어 수동 공급하거나 펌프를 이용하여 정량 자동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 라디얼 팁(22)과 분사 팁(34)의 인출 속도는 방사 광섬유(20) 또는 화학적 혈관 폐색부(30) 외주면에 표시된 눈금(10a)을 기준으로 수동 제어하거나 피딩기를 이용하여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1에서 도 6과 도 7을 통해 설명한 구성과 작용은 실시예 2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는 약물을 주입하는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와 360°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사 광섬유(20) 조합으로 저농도의 약물과 저출력 레이저를 사용하여 부작용(흉터, 환자 고통) 없고, 저농도의 약물 사용으로 인해 한 번의 수술로 최대한 많은 혈관을 수술할 수 있으며, 특히 레이저 출력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혈관에 범용으로 적용되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를 이용한 수술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키트를 이용한 수술방법은, 혈관 내 방사 광섬유 삽입단계(S10)와, 약물공급 및 레이저 출력단계(S20)와, 혈관폐색단계(S30)로 이루어진다.
1. 혈관 내 방사 광섬유 삽입단계(S10)
상기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의 분사 팁(34)이 혈관 시술 시작점(P)에 일치되도록 방사 광섬유(20)를 혈관 내에 삽입한다. 이때 신호모듈(21a)에 의해 라디얼 팁(22)으로 점멸신호를 출력하여 혈관 시술 시작점(P)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2. 약물공급 단계(S20)
혈관 폐색부(30)의 실린지부(32)에 의해 일정량의 약물을 약물 유로(31)을 거쳐 분사구(36)로 공급하여 우선 혈관을 수축시킨다.
3. 레이저 출력단계(S30)
혈관 내 약물을 공급 한 다음 라디얼 팁(22)을 설정된 속도로 정속 인출시키며, 라디얼 팁(22)의 위치가 시술 시작점(P)에 도달하는 순간 레이저발생부(21)를 on 작동시켜 라디얼 팁(22)으로 레이저를 출력시킨다.
혈관 내 약물을 공급한 시점으로부터 라디얼 팁(22)의 위치가 시술 시작점(P)에 도달하는데 까지 10~25초가 소요될 때 약물의 효과가 혈관에 충분히 전달된다.
약물이 공급된 혈관은 수축되며, 따라서 혈관과 방사 광섬유(20) 외경 사이가 근접되므로 혈액이 묽어지는 효과(레이저 빛이 투과되어야 하는 혈액층의 두께가 얇아지는 효과)와 함께, 레이저가 조사되는 라디얼 팁(22)이 혈관 내벽과 가까워져 저출력의 레이저 빛으로도 손쉽게 혈관 내벽을 손상시켜 혈관의 폐색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레이저는 4~12 w로 출력시키고, 약물 주입량은 0.1 ~ 0.3 cc/cm로 설정하되, 여기서 약물은 1% 이하의 저농도를 사용한다. 이는 약물(경화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부작용(간 손상, 흉터, 통증)의 위험이 커지고, 농도에 비례하여 색소침착발생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혈관의 폐색을 약물로만 이루어지게 하지 않고, 약물 공급 후 수축된 혈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물리적인 손상을 함께 작용시킴으로써 낮은 농도의 약물을 사용하더라도 효과적인 혈관의 폐색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4. 혈관폐색단계(S30)
레이저가 출력중이며 분사구(36)를 통해 약물이 공급 중인 방사 광섬유(20)를 설정된 속도로 정속 인출 이송하여 혈관을 폐색시킨다.
방사 광섬유(20)의 인출 속도는 1~5mm/sec로 설정되며, 방사 광섬유(20) 인출 속도와 레이저 출력은 정비례하도록 설정된다.
방사 광섬유(20) 인출 속도가 1mm/sec 미만으로 유지되면 수술 시간이 지체되고, 5mm/sec를 초과하면 약물 및 레이저에 의한 혈관 폐색 효율이 저하됨과 더불어 레이저가 충분히 조사되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되어 재수술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방사 광섬유(20) 인출 속도는 1~5mm/sec로 설정하고, 혈관 사이즈에 따라 레이저 출력은 혈관의 직경에 따라 4~12 w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카테터 10a: 눈금 10b: 영점
11, 11': 제 1, 2루멘 12: 카테터 팁 13: 연질 튜브
14: 제 1포트 14a: 기준세팅부 16: 제 2포트 18: 돌기
20: 방사 광섬유 21: 레이저발생부 21a: 신호모듈
22: 라디얼 팁 24: 스톱퍼
30: 화학적 혈관 폐색부 31: 약물 유로 32: 실린지부
34: 분사팁 36: 분사구
P: 혈관 시술 시작점 P1: 혈관 인입 지점

Claims (10)

  1. 내부에 제 1, 2루멘(11)(11')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수술 시 혈관 속에 내입되는 카테터 팁(12)과, 반대측에는 제 1루멘(11)과 연결되는 제 1포트(14)와 제 2루멘(11‘과 연결되는 제 2포트(16)가 구비되는 카테터(10);
    상기 제 1포트(14)를 통하여 제 1루멘(11) 내에 삽입되고, 레이저발생부(21)에 연결되어 단부에 외주면의 360°방향으로 레이저를 출력하는 라디얼 팁(22)이 구비되는 방사 광섬유(20); 및
    상기 제 2포트(16)에 연결되어 제 2루멘(11')으로 약물을 공급하는 실린지부(32)와, 제 2루멘(11‘의 일단에서 약물이 투여되는 분사 팁(34)이 형성되어 혈관에 화학적 손상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화학적 혈관 폐색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테터(10)를 혈관 내에 삽입한 후, 실린지부(32)에 의해 일정량의 약물을 공급하고 레이저발생부(21)를 on 작동시켜 라디얼 팁(22)에 레이저가 출력시킨 다음, 카테터(10)와 방사 광섬유(20)가 설정된 속도로 인출되며,
    상기 분사 팁(34)을 혈관 시술 시작점(P) 부근까지 삽입한 후, 라디얼 팁(22)은 혈관 내에서 카테터팁(12)으로 부터 30~70mm 돌출시키고, 레이저는 약물의 공급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10~25초경과 후에 4~12 w의 출력으로 조사되고, 약물 주입량은 0.1 ~ 0.3cc/cm로 설정되며, 라디얼 팁(22)과 분사 팁(34) 인출 속도 1~5mm/sec로 설정되어 인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2. 일단이 레이저발생부(21)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외주면의 360°방향으로 레이저를 출력하여 혈관에 물리적 손상을 가하도록 라디얼 팁(22)이 구비되는 방사 광섬유(20);
    상기 방사 광섬유(20) 외주면에서 방사 광섬유(20)와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약물유로(31)와, 약물유로(31) 단부에 연결되는 실린지부(32)를 통하여 공급되는 약물을 혈관 내벽으로 투여하기 위해 방사 광섬유(2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분사구(36)로 구성되는 화학적 폐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방사 광섬유(20)를 혈관 내에 삽입한 후, 실린지부(32)에 의해 일정량의 약물을 공급하고 레이저발생부(21)를 on 작동시켜 라디얼 팁(22)에 레이저가 출력시킨 다음, 방사 광섬유(20)가 설정된 속도로 인출되며,
    상기 방사 광섬유(20)의 라디얼 팁(22)은 화학적 혈관 폐색부(30)의 분사구(36) 대비 30~70mm의 범위로 더 돌출 구성되며, 레이저는 약물의 공급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10~25초경과 후에 4~12 w의 출력으로 조사되고, 약물 주입량은 0.1 ~ 0.3 cc/cm로 설정되며, 라디얼 팁(22)의 인출 속도 1~5mm/sec로 설정되어 인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10)의 전방측 외면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18)를 더 형성하여 카테터(10)를 인출할 때 혈관내벽에 물리적 손상을 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포트(14)에 기준세팅부(14a)가 형성되고, 기준세팅부(14a)와 대응하는 방사 광섬유(20) 외주면에 스톱퍼(24)가 형성되며, 상기 라디얼 팁(22)은 카테터(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혈관 시술 지점까지 이동한 후에 스톱퍼(24)가 기준세팅부(14a)에 의해 이동이 정지되는 위치까지 방사 광섬유(20)를 인입하여 라디얼 팁(22) 돌출길이를 세팅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팁(12)을 포함하는 카테터(10)의 단부는 일정 길이만큼 유연한 소재로 구성한 연질 튜브(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94777A 2020-05-22 2020-07-29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KR102450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31 2020-05-22
KR20200061831 2020-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520A KR20210144520A (ko) 2021-11-30
KR102450520B1 true KR102450520B1 (ko) 2022-10-05

Family

ID=7872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777A KR102450520B1 (ko) 2020-05-22 2020-07-29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835B1 (ko) * 2020-11-24 2023-03-30 이경용 하지정맥 시술용 카테터 장치
CN115429346A (zh) * 2022-09-26 2022-12-06 上海畅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双定位静脉曲张闭合手术输送装置、手术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3471A (ja) 2003-02-05 2006-10-19 ベインアールエ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血管の内部を治療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080330B1 (ko) * 2019-07-18 2020-02-24 박용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및 이를 이용한 수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7347B2 (en) * 2006-09-12 2012-09-04 Biolitec Pharma Marketing Ltd. Vein treatment device and method
US20120109191A1 (en) 2011-12-13 2012-05-03 Vascular Insights Llc Adhesive-based varicose vein treatment
KR101605080B1 (ko) * 2013-12-27 2016-03-21 아이메디컴(주) 고주파 전기 치료기 제작방법
US11458286B2 (en) * 2014-03-31 2022-10-04 Clearstream Technologies Limited Catheter structures for reducing fluoroscopy usage during endovascular proced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3471A (ja) 2003-02-05 2006-10-19 ベインアールエ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血管の内部を治療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080330B1 (ko) * 2019-07-18 2020-02-24 박용범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및 이를 이용한 수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520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7545B2 (ja) 血管腔内治療装置
US85454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pider veins
US6398777B1 (en) Endovascular laser device and treatment of varicose veins
KR101470877B1 (ko) 정맥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2080330B1 (ko)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및 이를 이용한 수술방법
US6458098B1 (en) Vascular therapy device
KR102450520B1 (ko)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US20130261540A1 (en) High-pressure pneumatic injection system and method
CN107106237B (zh) 用于治疗有缺陷的血管、体腔和体管的医疗装置
US200902707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nlarged migration channels for therapeutic agents within the endothelium
KR102417202B1 (ko) 열화학적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및 이의 사용방법
KR102202701B1 (ko) 하지정맥류 수술기구
US10328213B2 (en) Cell injection needle
KR102178934B1 (ko)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및 이를 이용한 수술방법
US201101785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nal tissue removal
WO2021215604A1 (ko) 하지정맥류 수술키트 및 이를 이용한 수술방법
US87090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vascular treatment
US20020107503A1 (en) Intermittent drug delivery method and system
US11911630B1 (en) Small profile light therapy probe
KR20210141797A (ko) 전자적 제어로 약액을 주입하는 정맥 질환 치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