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601B1 -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601B1
KR102449601B1 KR1020177010202A KR20177010202A KR102449601B1 KR 102449601 B1 KR102449601 B1 KR 102449601B1 KR 1020177010202 A KR1020177010202 A KR 1020177010202A KR 20177010202 A KR20177010202 A KR 20177010202A KR 102449601 B1 KR102449601 B1 KR 102449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graphic object
input device
graphical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355A (ko
Inventor
에릭 씨. 피터슨
애슐리 채프먼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7005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66B2201/4646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호출 입력 디바이스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다수의 그래픽 객체로부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다수의 그래픽 객체로부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9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050,606호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기초 출원의 전체 내용은 그의 전문이 본 개시 내용에 편입된다.
개시된 실시형태의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도어에 도착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잠재적으로 준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원격으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는 것은 적절한 소스 및 목적지 랜딩(destination landing)을 스크롤 및/또는 입력하도록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고; 그런 다음, 만들어진 선택이 정확한지를 가능하게 확인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불편하고 성가신 프로세스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는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며 신속한 방법이 필요하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호출 입력 디바이스(call input devic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호출 입력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호출 입력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다수의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한다. 프로그램은 다수의 그래픽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호출을 개시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그래픽 객체 중 적어도 하나는 플로어 그래픽 객체(floor graphical object)이다. 일 실시예에서, 플로어 그래픽 객체는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그래픽 객체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trip graphical object)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상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호출 입력 디바이스에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그래픽 객체로부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물체로 제1 플로어 아이콘을 적어도 한번 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호출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음성 명령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는 사용자의 소스 랜딩(source landing)을 지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이동력(travel history) 및/또는 예상된 이동에 기초하여 선택을 위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제안할 수 있다.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의 선택 후에, 상기 방법은 다수의 그래픽 객체로부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는 사용자의 필요한 목적지 랜딩을 지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가 필요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중첩하도록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물체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적어도 한번 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호출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음성 명령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이동력 및/또는 예상된 이동에 기초하여 선택을 위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제안할 수 있다.
방법은 다수의 그래픽 객체로부터 트립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는 복귀 트립 그래픽 객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이동력 및/또는 예상된 이동에 기초하여 선택을 위한 트립 그래픽 객체를 제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이 또한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예 및 다른 특징부, 이점 및 개시, 이를 달성하는 방식은 자명해질 것이며, 본 개시 내용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 흐름도; 및
도 3A 내지 도 3C는 호출 입력 디바이스의 개략도.
본 개시 내용의 원리의 이해를 촉진하는 목적을 위해, 도면들에 예시된 실시예들이 참조되며, 특정 언어가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사용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의 제한이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대체로 도면부호 10으로 지시된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시스템(10)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2),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12)과 통신하는 호출 입력 디바이스(1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호출 입력 디바이스(14)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호출 입력 디바이스(14)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특별히 적합한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태블릿 디바이스 또는 소수의 비제한적인 예들을 명명하도록 집 밖에 있는 사람들이 지닐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것이 예측될 것이다. 통신 모듈(도시되지 않음)이 엘리베이터 시스템(12)과 호출 입력 디바이스(14)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12)과 호출 입력 디바이스(14)의 각각 내에 위치되는 것이 예측될 것이다. 호출 입력 디바이스(14)는 프로세서(16), 메모리(18),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메모리(18)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 상에 다수의 그래픽 객체(22)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한다. 다수의 그래픽 객체(22)가 스크린의 한 페이지에 맞춰질 필요가 없고 디스플레이 상에 다수의 페이지들을 점유할 수 있다는 것이 예측될 것이다. 다수의 그래픽 객체(22)가 현재 페이지에 있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에서 스크롤 작용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는 것이 또한 예측될 것이다. 프로그램은 다수의 그래픽 객체(22)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의해 도 2의 방법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12)에 대한 호출을 개시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그래픽 객체(22) 중 적어도 하나는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는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그래픽 객체(22)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26)를 포함한다.
시스템(10)은 전통적인 랜딩 호출(landing call)들의 입력을 위해 통상 사용되는 업-다운 호출 버튼(도시되지 않음)들과,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카 호출 버튼(car call button)들을 또한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호출 입력 디바이스(14)를 가지는 이러한 승객들은 사용자가 위치된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고 다른 랜딩에 통화를 신청하도록 호출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다른 승객들은 카 동작 패널을 통해 업-다운 호출 버튼들과 카 호출을 누르는 것에 의해 전통적인 방식으로 랜딩 호출을 한다.
호출 입력 디바이스(14)를 지닌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할 때, 호출 입력 디바이스(14)와 엘리베이터 시스템(12)은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는 연결을 수립한다. 사용자가 호출을 개시할 때, 도 2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통신 사이클은 호출 입력 디바이스(14)와 엘리베이터 시스템(12) 사이에서 시작된다.
도 2는 시스템(10)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기 위한 방법(100)을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그래픽 객체(22)로부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선택하는 단계(10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선택하는 단계는 물체(도시되지 않음)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D)를 적어도 한번 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선택하는 단계는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D)를 선택하도록 호출 입력 디바이스(14)를 사용하여 음성 명령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물체가 2개의 비제한적인 예들을 명명하도록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0)에 의해 검출 가능할 수 있는 임의의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예측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는 사용자의 소스 랜딩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도록 호출 입력 디바이스(14)에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된 소스 플로어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빌딩의 4층에 위치하고 있으면, 사용자는 4층을 지정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 상에 디스플레이된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이동력 및/또는 예상되는 이동에 기초하여 선택을 위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형적으로 오전 8시 경에 제1 플로어로부터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면, 프로그램은 비제한적인 예들의 커플을 명명하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42)를 예시하거나 또는 음영법으로 제1 랜딩으로서 지정된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제안할 수 있다.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선택한 후에, 상기 방법은 다수의 그래픽 객체(22)로부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선택하는 단계(104)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는 사용자의 필요한 목적지 랜딩을 지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선택하는 단계는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가 필요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중첩하도록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4층으로부터 9층으로 움직이는 것을 원하면, 사용자는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D)가 9층에 대해 지정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I)를 중첩할 때까지 4층에 대해 지정된 플로어 그래픽 객체(24D)를 움직인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선택하는 단계는 물체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적어도 한번 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선택하는 단계는 호출 입력 디바이스(14)를 사용하여 음성 명령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이동력 및/또는 예상된 이동에 기초하여 선택을 위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형적으로 오후 12시경에 1층으로 이동하도록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면, 프로그램은 비제한적인 예들의 커플을 명명하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예시하거나 또는 음영법으로 제1 랜딩으로서 지정된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제안할 수 있다.
방법(100)은 다수의 그래픽 객체(22)로부터 트립 그래픽 객체(26)를 선택하는 단계(106)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의 선택 후에,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26)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26)는 사용자의 이동력에 대한 신속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사용자의 최근의 선택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4층을 지정하는 제1 플로어 아이콘(24D)과 9층을 지정하는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I)를 선택하였으면, 프로그램은 4층으로부터 9층으로 상승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정하는 트립 그래픽 객체(26)를 생성한다. 소스 플로어가 필요한 목적지 랜딩보다 높으면 프로그램이 하강 방향으로 트립 그래픽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 예측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트립 아이콘(26)은 복귀 트립 그래픽 객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4층을 지정하는 제1 플로어 아이콘(24D)과 9층을 지정하는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I)를 선택하였으면, 프로그램은 필요한 목적지 랜딩으로서 4층으로의 하강 방향 호출과 함께 소스 랜딩으로부터 9층을 지정하는 복귀 트립 그래픽 객체(26)를 생성한다. 이러한 것은 사용자가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와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할 필요없이 보다 신속한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이동력 및/또는 예상된 이동에 기초하여 선택을 위한 트립 그래픽 객체(26)를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오전 8시경에 하루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1층으로부터 5층으로 이동하도록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면, 프로그램은 1층으로서 지정된 랜딩으로부터 5층으로서 지정된 랜딩으로 상향 이동으로 트립 그래픽 객체(26)를 제안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0)에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그래픽 객체(22)로부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24)와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24)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호출 입력 디바이스(14)로부터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편리하게 개시할 수 있다는 것이 예측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이 도면 및 상기 설명에서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되며, 단지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며, 모든 변형 및 변경들이 본 개시 내용의 사상 내에서 보호되어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1)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호출 입력 디바이스에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그래픽 객체로부터 제1 플로어 그래픽 아이콘(floor graphical icon)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로어 그래픽 아이콘을 제안하는 단계; 및
    상기 제안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그래픽 객체로부터 제2 플로어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래픽 객체의 각각은 움직일 수 있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trip graphical object)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소스 랜딩(source landing)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및
    물체로 상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적어도 한번 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음성 명령을 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필요한 목적지 랜딩을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중첩하도록 상기 제1 플로어 그래픽 아이콘을 움직이는 단계; 및
    물체로 상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적어도 한번 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음성 명령을 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는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제안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suggested first floor graphical object)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는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제안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방법.
  10. 엘리베이터 호출을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시스템;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통신하는 호출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다수의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수의 그래픽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는 것은,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제안하는 단계, 및 상기 제안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그래픽 객체로부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그래픽 객체의 각각은 움직일 수 있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그래픽 객체로부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와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호출을 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는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제안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는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제안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것에 기초하거나;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제안 트립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거나;
    복귀 트립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물체로 상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적어도 한번 터치하거나;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음성 명령을 개시하도록 허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의 선택을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물체로 상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적어도 한번 터치하거나;
    상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중첩하도록 상기 제1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움직이도록 허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의 선택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물체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를 적어도 한번 터치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도록 음성 명령을 개시하도록 허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트립 그래픽 객체의 선택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립 그래픽 객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플로어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것에 기초하거나;
    상기 호출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제안된 제안 트립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거나;
    복귀 트립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10202A 2014-09-15 2015-09-10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49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50606P 2014-09-15 2014-09-15
US62/050,606 2014-09-15
PCT/US2015/049452 WO2016044061A1 (en) 2014-09-15 2015-09-10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355A KR20170057355A (ko) 2017-05-24
KR102449601B1 true KR102449601B1 (ko) 2022-10-04

Family

ID=55533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202A KR102449601B1 (ko) 2014-09-15 2015-09-10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51386B2 (ko)
EP (1) EP3194316B1 (ko)
KR (1) KR102449601B1 (ko)
CN (1) CN106715304B (ko)
AU (1) AU2015318227B2 (ko)
WO (1) WO2016044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2144A1 (en) * 2014-06-03 2017-04-12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determination of elevator user's current location and next destination with mobile device technology
US20170355556A1 (en) * 2014-11-03 2017-12-14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WO2016099713A1 (en) * 2014-12-16 2016-06-23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US10384910B2 (en) * 2015-05-28 2019-08-20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graphical objects
CN107735348B (zh) * 2015-07-08 2020-02-14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提供指示附加楼层信息的选项的电梯操作面板
CN108349687B (zh) * 2015-11-06 2020-06-09 奥的斯电梯公司 用于通过输入电梯呼叫来起始电梯服务的系统和方法
WO2017175023A1 (en) * 2016-04-06 2017-10-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ssignment to mobile devices and fixed displays
US10294069B2 (en) * 2016-04-28 2019-05-21 Thyssenkrupp Elevator Ag Multimodal user interface for destination call request of elevator systems using route and car selection methods
US10497164B2 (en) 2017-03-31 2019-12-03 Otis Elevator Company Animation for representing elevator car movement
US10875742B2 (en) 2017-11-09 2020-12-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rvice request using user device with filtered destination floor selection
US11345566B2 (en) * 2018-07-30 2022-05-3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route selector
CN111977475A (zh) * 2020-07-08 2020-11-24 三洋电梯(珠海)有限公司 智能呼梯方法、系统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678A (ja) 2004-08-20 2006-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214B2 (en) 1999-05-19 2008-07-29 Digimarc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employing optical sensors and/or steganography
JP2005231755A (ja) 2004-02-17 2005-09-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FI115521B (fi) 2004-06-28 2005-05-31 Kone Corp Hissijärjestely
WO2006011876A1 (en) * 2004-06-29 2006-02-02 Otis Elevator Company Programmable adaptable touch screen elevator call devices
KR20070003471A (ko) * 2005-07-02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방법
ES2352035T3 (es) 2005-08-04 2011-02-15 Inventio Ag Procedimiento para asignar un usuario a una instalación de ascensores.
CN101401197B (zh) 2006-03-08 2011-05-18 株式会社东芝 电子元器件模块
FI121010B (fi) 2009-02-16 2010-06-15 Kone Corp Kutsupaneeli
US8884872B2 (en) 2009-11-20 2014-11-11 Nuance Communications, Inc. Gesture-based repetition of key activations on a virtual keyboard
KR20110096269A (ko) 2010-02-22 2011-08-30 성기수 엘리베이터 위치 파악 및 호출이 가능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048655A1 (en) 2010-08-30 2012-03-01 Inventec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s of multi-storey building by utilizing mobile phone
CN102381593B (zh) 2010-08-30 2014-03-2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用移动电话操控大楼电梯的方法
CN102452591A (zh) 2010-10-19 2012-05-16 由田新技股份有限公司 电梯操控系统
KR101145739B1 (ko) 2011-03-02 2012-05-16 이관우 엘리베이터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FI122844B (fi) 2011-04-21 2012-07-31 Kone Corp Kutsunantolaite sekä menetelmä hissikutsun antamiseksi
US20120305340A1 (en) * 2011-05-31 2012-12-06 Ming-Yuan Wu Elevator, floor, and door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171139B2 (en) 2011-08-05 2015-10-27 Vmware, Inc. Lock screens to access work environments on a personal mobile device
US8768249B2 (en) 2011-09-29 2014-07-01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Mobile communication-device-controlled operations
US8949745B2 (en) 2011-10-21 2015-02-03 Konntech In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on of options by motion gestures
KR101661327B1 (ko) * 2012-01-24 2016-09-29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부가적인 공간 할당을 요청하기 위한 이미지들을 포함한 승강기 승객 인터페이스
KR101374206B1 (ko) * 2012-05-24 2014-03-13 박주봉 엘리베이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JP2014015318A (ja) * 2012-07-11 2014-01-3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行先階登録装置
FI123870B (fi) 2012-11-12 2013-11-29 Kone Corp Menetelmä, kutsunantolaite, hissijärjestelmä ja tietokoneohjelmatuote
FI124013B (fi) * 2012-11-14 2014-01-31 Kone Corp Menetelmä, järjestely ja hissijärjestelmä
CA2892005C (en) 2012-12-06 2020-10-13 Inventio Ag Inputting lock commands using gestures
WO2014116182A1 (en) * 2013-01-25 2014-07-31 Hitachi Elevator Asia Pte Ltd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ft acces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lift access
US20170355556A1 (en) * 2014-11-03 2017-12-14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AU2016277598A1 (en) * 2015-12-22 2017-07-06 Otis Elevator Company User-customized elevator floor selection
US10294069B2 (en) * 2016-04-28 2019-05-21 Thyssenkrupp Elevator Ag Multimodal user interface for destination call request of elevator systems using route and car selection methods
US20180121072A1 (en) * 2016-10-28 2018-05-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rvice request using user device
US10124989B2 (en) * 2016-10-28 2018-11-13 Otis Elevator Complany Elevator car arrival indication on a mobile device
US10294071B2 (en) * 2016-10-28 2019-05-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ctivity level management of mobile device acc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678A (ja) 2004-08-20 2006-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51386B2 (en) 2019-07-16
CN106715304B (zh) 2019-09-20
AU2015318227A1 (en) 2017-04-06
WO2016044061A1 (en) 2016-03-24
CN106715304A (zh) 2017-05-24
AU2015318227B2 (en) 2019-09-19
EP3194316B1 (en) 2021-06-30
KR20170057355A (ko) 2017-05-24
EP3194316A1 (en) 2017-07-26
US20170305716A1 (en)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601B1 (ko)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000972B (zh) 通过键入电梯呼叫来启动电梯服务的系统和方法
KR101889059B1 (ko)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여 엘리베이터 서비스를 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55556A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US10252880B2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US20170284813A1 (en) Navig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taking elevator
CN104750351A (zh) 移动终端及其退回至桌面的方法和装置
CN105700763A (zh) 终端界面窗口的移动方法及装置
CN105867831A (zh) 一种触摸屏的操作方法及系统
KR20140110384A (ko) 웹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936161B2 (en) Method for adapting the presentation and use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643872A (zh) 多模块页面控制方法和装置
KR101762329B1 (ko) 단축 사용자패턴 인식에 의한 스마트 디바이스 앱 신속 실행방법
KR20140077732A (ko) 패턴 인식 기반의 기능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