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276B1 -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 Google Patents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9276B1 KR102449276B1 KR1020220052047A KR20220052047A KR102449276B1 KR 102449276 B1 KR102449276 B1 KR 102449276B1 KR 1020220052047 A KR1020220052047 A KR 1020220052047A KR 20220052047 A KR20220052047 A KR 20220052047A KR 102449276 B1 KR102449276 B1 KR 1024492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ge pulse
- pulse
- stage
- propellant
- resistant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6—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0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 F02K9/2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having two or more propellant charges with the propulsion gases exhausting through a common nozz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08—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olid propellants
- F02K9/32—Constructional parts;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5—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starting or ignition means or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7—Rocket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1단 펄스 추진제가 삽입된 1단 펄스 구조체, 하단부가 상기 1단 펄스 구조체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2단 펄스 추진제가 삽입된 2단 펄스 구조체, 상기 1단 펄스 구조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노즐 구조체 및 상기 2단 펄스 추진제의 내측면 및 하단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1단 펄스 추진제와 상기 2단 펄스 추진제를 격리시키는 펄스 분리 내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에는 원주를 따라 주변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펄스 분리 내열재 파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와 동일한 구조 및 특성으로 구성된 2단 펄스 추진 기관에 대하여 고고도 환경을 모사하여 펄스 분리 내열재의 팽창거동을 구현하고 연소시험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 기관, 일명 2단 펄스 로켓 모터에 관한 것으로, 지상에서 2단 펄스 로켓 모터의 고고도 모의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시험용 추진기관에 관한 것이다.
2단 펄스 로켓 모터는 하나의 충전체를 1단 펄스와 2단 펄스로 추진제를 완전히 격리시키는 방식으로 각 펄스 간의 연소시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유도탄의 사거리를 연장시키고 종말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추진제를 분리시키는 방법에 따라 크게 격벽형과 격막형으로 구별된다.
격벽형은 1단 펄스 추진제와 2단 펄스 추진제 사이에 벌크헤드(bulk head)를 설치하여 추진제를 완전히 격리시키는 형태이다. 1단 펄스 추진제와 2단 펄스 추진제가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추진제 그레인 형상 설계가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1단 펄스 연소관의 과도한 열 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두꺼운 내열재 및 보강 구조 설계가 필요하여, 무게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격막형은 1단 펄스 추진제와 2단 펄스 추진제 사이에 펄스분리 내열재를 설치하여 추진제를 완전히 격리시키는 형태이며, 1단 펄스와 2단 펄스 사이에 별도의 점화기가 설치된다. 격벽형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비교적 가볍고, 충전율 측면에서 더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격막형 2단 펄스 추진 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격막형 펄스분리 내열재는 1단 펄스 연소시 2단 펄스 추진제를 보호하고, 2단 펄스 연소 시 펄스 분리 내열재가 파열되어 내부 연소가스를 노즐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인 점화장치는 추진제 전 표면을 정상적으로 점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점화지연, 연소 불안정 및 안전성 저하가 발생되지 않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 점화기에 사용되는 점화알약 및 추진제의 경우 진공환경에서 대기압 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화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고자 점화알약, 점화 추진제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점화에너지 공급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진공점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고도 진공환경에서 작동하는 2단 펄스 로켓 모터는 높은 확장비의 노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상에서 연소시험을 수행할 경우, 노즐 유동의 비대칭 박리현상이 발생하여 측면 하중에 의한 구조물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 절삭 노즐을 적용하여 비대칭 박리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2단 펄스 모터는 고고도 환경에서 연소관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압력차에 의한 펄스 분리 내열재의 팽창 거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지상에서 연소시험을 수행할 경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점화특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점화 전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고고도 모사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시험용 모터가 필요하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실제와 동일한 구조 및 특성으로 구성된 2단 펄스 추진 기관에 대하여 고고도 환경을 모사하여 펄스 분리 내열재의 팽창거동을 구현하고 연소시험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은, 내측에 1단 펄스 추진제가 삽입된 1단 펄스 구조체, 하단부가 상기 1단 펄스 구조체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2단 펄스 추진제가 삽입된 2단 펄스 구조체, 상기 1단 펄스 구조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노즐 구조체 및 상기 2단 펄스 추진제의 내측면 및 하단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1단 펄스 추진제와 상기 2단 펄스 추진제를 격리시키는 펄스 분리 내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에는 원주를 따라 주변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펄스 분리 내열재 파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2단 펄스 추진제 내측의 중공 형태의 연소관의 상단을 덮는 형태로 상기 2단 펄스 구조체 상단부에 결합되는 점화기 헤드 구조체, 상기 점화기 헤드 구조체의 후면 중앙부에 장착된 1단 펄스 점화기 및 상기 점화기 헤드 구조체의 내부에 장착된 2단 펄스 점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단 펄스 점화기의 측면에 형성된 분사 홀에 결합되며, 2단 펄스 점화 유로가 형성된 2단 펄스 점화기 마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에는 상기 2단 펄스 점화 유로에 대응되는 부분에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2단 펄스 점화유로는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단면적이 줄어들다가 증가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단 펄스 점화기로부터의 화염은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을 통해 상기 2단 펄스 추진제 표면으로 분사되고,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에 대응되는 상기 2단 펄스 추진제에는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와 이격되도록 파여진 2단 펄스 추진제 완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의 전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2단 펄스 구조체와 체결되는 전방 링 및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의 후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1단 펄스 구조체 및 상기 2단 펄스 구조체와 체결되는 후방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2단 펄스 점화기의 후면과 상기 전방 링 간에는 이격된 공간인 2단 펄스 압력 완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노즐 구조체 후단으로부터 결합되며, 상기 노즐 구조체 후단보다 확장된 직경의 확장 구조체, 상기 확장 구조체 후단에 장착되는 후방 고정용 구조체 및 상기 후방 고정용 구조체 후단을 막는 후방 노즐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구조체 내측면에는 노즐 내열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 고정용 구조체에는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진공펌프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고도 진공 환경에서 운용되는 추진기관은 지상에서와 다른 점화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유도탄의 정확한 비행성능 예측을 위해서 실제와 동일한 로켓 모터를 사용한 지상연소시험을 통해 결과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펄스 분리 내열재가 적용된 2단 펄스 로켓 모터의 경우, 고고도 진공 환경에서 내부 압력 차이에 의한 펄스 분리 내열재 거동이 발생하여 점화조건이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모사한 고고도 연소시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고고도 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을 이용할 경우 실제 추진기관에서 노즐부에 고고도 시험용 구조체를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설계로 고고도 모사 시험이 가능하다. 즉, 고고도 진공 환경에서 펄스 분리 내열재의 팽창 거동을 구현하여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단 펄스 점화기 마개를 적용하여 점화 유로를 통해 점화 화염의 질식(Chocking)이 발생하여 점화에너지를 빠르게 추진제 표면에 공급함으로써 점화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펄스 분리 내열재에 위치한 펄스 분리 내열재 파단부를 통해, 2단 펄스 연소 시 일정한 범위의 압력에서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파열되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2단 펄스 추진제 완화부를 통해 연소 시 초음속으로 공급되는 점화 가스에 의해 추진제 표면에 균열 발생을 방지하여 추진제 그레인의 구조 안전성 및 점화 유로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2단 펄스 압력 완화부를 통해 펄스 분리 내열재 수축 거동 시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2단 펄스부의 압력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최종적으로는 고고도 환경에서 작동하는 2단 펄스 로켓 추진기관에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탄도탄의 진공점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의 측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일 부분을 별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일 부분을 별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의 측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일 부분을 별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은 2단 펄스에 의해 추진하는 추진기관에 관한 것이며, 이중 펄스의 격리를 위해 펄스 분리 내열재를 이용한 격막형 구조의 추진기관에서 고고도 연소시 펄스 분리 내열재 팽창 거동 등의 상황을 모사하여 시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이다.
이를 위해, 1단 펄스 구조체(110), 2단 펄스 구조체(120), 펄스 분리 내열재(130), 점화기 헤드 구조체(140), 1단 펄스 점화기(150), 2단 펄스 점화기(160)를 포함하여 실제 모터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노즐 구조체(170), 확장 구조체(181), 후방 고정용 구조체(182) 등이 부가되어 시험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2단 펄스 구조체(120)가 전방, 1단 펄스 구조체(110)가 2단 펄스 구조체(120)의 후방에 구성되며, 2단 펄스 구조체(120)의 하단부와 1단 펄스 구조체(110)의 상단부가 결합된다.
2단 펄스 구조체(120)와 1단 펄스 구조체(110) 내측에는 각각 2단 펄스 추진제(121)와 1단 펄스 추진제(111)가 삽입되며, 2단 펄스 추진제(121)와 1단 펄스 추진제(111) 내측으로 중공의 연소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2단 펄스 추진제(121)와 1단 펄스 추진제(111)의 격리를 위해서 펄스 분리 내열재(130)가 구비된다.
펄스 분리 내열재(130)는 2단 펄스 추진제(121) 내측면과 하단면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연소관과 분리되게 하고 2단 펄스 추진제(121)와 1단 펄스 추진제(111)가 분리되게 한다.
펄스 분리 내열재(13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금속 지지 링의 전방 링(133)과 후방 링(134)이 부착된다.
후방 링(134)은 1단 펄스 구조체(110), 2단 펄스 구조체(120)와 함께 전단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전방 링(133)은 2단 펄스 구조체(120)와 볼트로 체결된다.
펄스 분리 내열재(130)의 2단 펄스 추진제(121)의 내측면에 접하는 원통부의 하단부에는 펄스 분리 내열재 파단부(132)가 형성된다.
펄스 분리 내열재 파단부(132)는 상대적으로 주변보다 얇은 두께로 원주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2단 펄스 연소 시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파열되어 내부 연소가스를 노즐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점화기 헤드 구조체(140)는 연소관 상단을 덮는 형태로 구성되며, 점화기 헤드 구조체(140)의 후면 중앙부에 1단 펄스 점화기(150)가 장착되고, 2단 펄스 점화기(160)는 점화기 헤드 구조체(140) 내부에 구성된다.
2단 펄스 점화기(160)의 측면에 형성된 분사 홀에 2단 펄스 점화기 마개(161)가 스레드 타입 형태로 결합되고, 2단 펄스 점화기 마개(161)와 점화기 내부 사이에 기밀용 필름과 구조 보완재가 위치하여 진공기밀을 유지하다가 점화기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단 펄스 점화기(160)로부터의 화염은 2단 펄스 점화기 마개(161)에 형성된 2단 펄스 점화 유로(162)를 통해 분사된다.
그리고, 2단 펄스 점화 유로(162)에 대응되는 부분의 펄스 분리 내열재(130)에는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131)이 형성되어,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131)을 통해 2단 펄스 점화기(160)의 화염이 2단 펄스 추진제(121) 표면으로 분사가 된다.
2단 펄스 점화유로(162)는 작은 노즐과 같이 단면적이 줄어들다가 다시 증가하는 형태로, 점화기 화염이 2단 펄스 점화기 마개(161) 입구에서 질식(Chocking) 상태가 되었다가 이후에 유로를 따라 초음속 상태로 추진제 표면에 전달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점화유로 입구에 해당하는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131)에 대응되는 부분인 2단 펄스 추진제(121)의 전단부 내측면은 도시와 같이 펄스 분리 내열재(130)와 이격되도록 파여진 2단 펄스 추진제 완화부(12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연소 시 초음속으로 공급되는 점화 가스에 의해 추진제 표면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점화유로의 흐름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2단 펄스 점화기(160)의 후면과 전방 링(133) 간에는 이격된 공간인 2단 펄스 압력 완화부(141)가 형성된다.
즉, 1단 펄스 추진제(111) 연소 시 펄스 분리 내열재(130)는 수축하는 방향으로 강한 압력을 받게 되는데, 이로 인해 2단 펄스 추진제(121)와 펄스 분리 내열재(130) 사이 빈 공간의 압력이 급격하게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2단 펄스 압력 완화부(141)는 펄스 분리 내열재(130) 수축 거동 시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2단 펄스부의 압력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 노즐 구조체(170)가 1단 펄스 구조체(110)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노즐 구조체(170) 내측면에 고고도 시험용 노즐 내열재(171)가 구비된다.
노즐 구조체(170) 후단으로부터 확장된 직경의 확장 구조체(181)가 결합되고, 확장 구조체(181)의 후단에 후방 고정용 구조체(182)가 장착된다.
그리고, 후방 고정용 구조체(182)에는 진공펌프 연결부(184)가 원주 방향 90ㅀ 간격으로 위치하여 이를 통해 진공펌프를 연결하여 1단 펄스 구조체(1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모사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후방 고정용 구조체(182) 끝단에는 후방 노즐 마개(183)가 결합되어 후단을 막고, 진공모의 시 기밀을 유지하고 1단 펄스 추진제(111) 연소 시 연소압에 의해 자동으로 이탈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고고도 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을 이용할 경우 실제 추진기관에서 노즐부에 고고도 시험용 구조체를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설계로 고고도 모사 시험이 가능하다. 즉, 고고도 진공 환경에서 펄스 분리 내열재의 팽창 거동을 구현하여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2단 펄스 점화기 마개를 적용하여 점화 유로를 통해 점화 화염의 질식(Chocking)이 발생하여 점화에너지를 빠르게 추진제 표면에 공급함으로써 점화성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펄스 분리 내열재에 위치한 펄스 분리 내열재 파단부를 통해, 2단 펄스 연소 시 일정한 범위의 압력에서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파열되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2단 펄스 추진제 완화부를 통해 연소 시 초음속으로 공급되는 점화 가스에 의해 추진제 표면에 균열 발생을 방지하여 추진제 그레인의 구조 안전성 및 점화 유로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2단 펄스 압력 완화부를 통해 펄스 분리 내열재 수축 거동 시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여 2단 펄스부의 압력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최종적으로는 고고도 환경에서 작동하는 2단 펄스 로켓 추진기관에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탄도탄의 진공점화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1단 펄스 구조체
111 : 1단 펄스 추진제
120 : 2단 펄스 구조체
121 : 2단 펄스 추진제
122 : 2단 펄스 추진제 완화부
130 : 펄스 분리 내열재
131 :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
132 : 펄스 분리 내열재 파단부
133 : 전방 링 134 : 후방 링
140 : 점화기 헤드 구조체
141 : 2단 펄스 압력 완화부
150 : 1단 펄스 점화기
160 : 2단 펄스 점화기
161 : 2단 펄스 점화기 마개
162 : 2단 펄스 점화 유로
170 : 노즐 구조체
171 : 노즐 내열재
181 : 확장 구조체 182 : 후방 고정용 구조체
183 : 후방 노즐마개 184 : 진공펌프 연결부
111 : 1단 펄스 추진제
120 : 2단 펄스 구조체
121 : 2단 펄스 추진제
122 : 2단 펄스 추진제 완화부
130 : 펄스 분리 내열재
131 :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
132 : 펄스 분리 내열재 파단부
133 : 전방 링 134 : 후방 링
140 : 점화기 헤드 구조체
141 : 2단 펄스 압력 완화부
150 : 1단 펄스 점화기
160 : 2단 펄스 점화기
161 : 2단 펄스 점화기 마개
162 : 2단 펄스 점화 유로
170 : 노즐 구조체
171 : 노즐 내열재
181 : 확장 구조체 182 : 후방 고정용 구조체
183 : 후방 노즐마개 184 : 진공펌프 연결부
Claims (9)
- 삭제
- 삭제
- 삭제
- 내측에 1단 펄스 추진제가 삽입된 1단 펄스 구조체;
하단부가 상기 1단 펄스 구조체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2단 펄스 추진제가 삽입된 2단 펄스 구조체;
상기 1단 펄스 구조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노즐 구조체;
상기 2단 펄스 추진제의 내측면 및 하단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1단 펄스 추진제와 상기 2단 펄스 추진제를 격리시키는 펄스 분리 내열재;
상기 2단 펄스 추진제 내측의 중공 형태의 연소관의 상단을 덮는 형태로 상기 2단 펄스 구조체 상단부에 결합되는 점화기 헤드 구조체;
상기 점화기 헤드 구조체의 후면 중앙부에 장착된 1단 펄스 점화기;
상기 점화기 헤드 구조체의 내부에 장착된 2단 펄스 점화기; 및
상기 2단 펄스 점화기의 측면에 형성된 분사 홀에 결합되며, 2단 펄스 점화 유로가 형성된 2단 펄스 점화기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에는 원주를 따라 주변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펄스 분리 내열재 파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에는 상기 2단 펄스 점화 유로에 대응되는 부분에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단 펄스 점화유로는 입구로부터 출구까지 단면적이 줄어들다가 증가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 내측에 1단 펄스 추진제가 삽입된 1단 펄스 구조체;
하단부가 상기 1단 펄스 구조체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내측에 2단 펄스 추진제가 삽입된 2단 펄스 구조체;
상기 1단 펄스 구조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노즐 구조체;
상기 2단 펄스 추진제의 내측면 및 하단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1단 펄스 추진제와 상기 2단 펄스 추진제를 격리시키는 펄스 분리 내열재;
상기 2단 펄스 추진제 내측의 중공 형태의 연소관의 상단을 덮는 형태로 상기 2단 펄스 구조체 상단부에 결합되는 점화기 헤드 구조체;
상기 점화기 헤드 구조체의 후면 중앙부에 장착된 1단 펄스 점화기;
상기 점화기 헤드 구조체의 내부에 장착된 2단 펄스 점화기; 및
상기 2단 펄스 점화기의 측면에 형성된 분사 홀에 결합되며, 2단 펄스 점화 유로가 형성된 2단 펄스 점화기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에는 원주를 따라 주변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 펄스 분리 내열재 파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에는 상기 2단 펄스 점화 유로에 대응되는 부분에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단 펄스 점화기로부터의 화염은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을 통해 상기 2단 펄스 추진제 표면으로 분사되고,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 관통홀에 대응되는 상기 2단 펄스 추진제에는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와 이격되도록 파여진 2단 펄스 추진제 완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의 전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2단 펄스 구조체와 체결되는 전방 링; 및
상기 펄스 분리 내열재의 후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1단 펄스 구조체 및 상기 2단 펄스 구조체와 체결되는 후방 링을 더 포함하는,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단 펄스 점화기의 후면과 상기 전방 링 간에는 이격된 공간인 2단 펄스 압력 완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조체 후단으로부터 결합되며, 상기 노즐 구조체 후단보다 확장된 직경의 확장 구조체;
상기 확장 구조체 후단에 장착되는 후방 고정용 구조체; 및
상기 후방 고정용 구조체 후단을 막는 후방 노즐 마개를 더 포함하는,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노즐 구조체 내측면에는 노즐 내열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 고정용 구조체에는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진공펌프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2047A KR102449276B1 (ko) | 2022-04-27 | 2022-04-27 |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2047A KR102449276B1 (ko) | 2022-04-27 | 2022-04-27 |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9276B1 true KR102449276B1 (ko) | 2022-09-28 |
Family
ID=8346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2047A KR102449276B1 (ko) | 2022-04-27 | 2022-04-27 |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9276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79157B2 (ja) | 2003-12-15 | 2008-11-12 | 日油株式会社 | 2段推力型ロケットモータ |
JP2010528212A (ja) * | 2007-05-21 | 2010-08-19 |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 一体型複合ロケットモータドーム/ノズル構造 |
JP2012144999A (ja) * | 2011-01-07 | 2012-08-02 | Toshiba Corp | 2パルス飛翔体 |
JP2013060915A (ja) * | 2011-09-14 | 2013-04-04 | Ihi Aerospace Co Ltd | 固体ロケットモータ |
JP2020033968A (ja) * | 2018-08-31 | 2020-03-05 |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 固体ロケットモータ |
KR102380171B1 (ko) * | 2021-12-13 | 2022-03-29 | 국방과학연구소 | 이중펄스 추진기관의 격막형 펄스분리장치 고고도 진공점화성능 시험장치 |
-
2022
- 2022-04-27 KR KR1020220052047A patent/KR1024492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79157B2 (ja) | 2003-12-15 | 2008-11-12 | 日油株式会社 | 2段推力型ロケットモータ |
JP2010528212A (ja) * | 2007-05-21 | 2010-08-19 |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 一体型複合ロケットモータドーム/ノズル構造 |
JP2012144999A (ja) * | 2011-01-07 | 2012-08-02 | Toshiba Corp | 2パルス飛翔体 |
JP2013060915A (ja) * | 2011-09-14 | 2013-04-04 | Ihi Aerospace Co Ltd | 固体ロケットモータ |
JP2020033968A (ja) * | 2018-08-31 | 2020-03-05 |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 固体ロケットモータ |
KR102380171B1 (ko) * | 2021-12-13 | 2022-03-29 | 국방과학연구소 | 이중펄스 추진기관의 격막형 펄스분리장치 고고도 진공점화성능 시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56971A (en) | Solid propellant canister loaded multiple pulsed or staged rocket motor | |
US3038303A (en) | Thrust termination in solid propellant rockets | |
US6619029B2 (en) | Rocket motors with insensitive munitions systems | |
US3167016A (en) | Rocket propelled missile | |
US4972673A (en) | Solid rocket motor with dual interrupted thrust | |
US3196610A (en) | Solid propellant rocket motor having reverse thrust generating means | |
KR102380171B1 (ko) | 이중펄스 추진기관의 격막형 펄스분리장치 고고도 진공점화성능 시험장치 | |
US4964339A (en) | Multiple stage rocket propelled missile system | |
KR102449276B1 (ko) | 고고도 연소시험용 2단 펄스 추진기관 | |
JPS5914720B2 (ja) | 反動推進式ビ−クル用発射組立体 | |
US7328571B2 (en) | Semi-axisymmetric scramjet flowpath with conformal nozzle | |
US4154141A (en) | Ultrafast, linearly-deflagration ignition system | |
US4028886A (en) | Passive chamber wall fragmenter | |
US3290681A (en) | Device for jamming radar detection and interception of ballistic missiles | |
US3262266A (en) | Rocket interstage adapter | |
US3721196A (en) | Chaff dispensing system | |
US6029932A (en) | Detonating valve for releasing openings of air bag landing systems | |
JP3062598B1 (ja) | 連結分離装置を構成品とする飛しょう体 | |
US4738099A (en) | Bulkhead rupture disc for solid propellant missiles | |
RU2372513C1 (ru) | Заглушка сопла ракетного двигателя | |
JP2691084B2 (ja) | ラムジェットエンジンのポートカバー | |
RU212932U1 (ru) | Сопловая заглушка ракетного двигател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 |
US3461672A (en) | Aft end igniter | |
KR101875733B1 (ko) | 후방 점화용 노즐 기밀 시스템 | |
Stadler et al. | The dual pulse motor for LFK 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