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496B1 -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 Google Patents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496B1
KR102448496B1 KR1020210003306A KR20210003306A KR102448496B1 KR 102448496 B1 KR102448496 B1 KR 102448496B1 KR 1020210003306 A KR1020210003306 A KR 1020210003306A KR 20210003306 A KR20210003306 A KR 20210003306A KR 102448496 B1 KR102448496 B1 KR 10244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refrigeration
humidity
exchange uni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1366A (ko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이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환 filed Critical 이영환
Priority to KR102021000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4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0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in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25D2317/04131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팬;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전달받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를 경유한 바람이 저장고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에 계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 상기 열교환부로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관에 마련되는 팽창밸브; 및 상기 열교환부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와 상기 열교환부 및 상기 팽창밸브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HIGH HUMIDITY EVAPORATOR FOR REFRIGERATION}
본 발명은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저온 저장고를 냉동, 일반 냉장, 고습도 냉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을 보관하는 저장고는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서 습도가 조절될 필요성이 있다. 예컨대, 농산물의 함수율이나 농산물이 입고된 기간에 따라서 상대 습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저장고는, 단순히 냉기를 방출하는 증발기에 의해 저온을 유지하기 때문에, 저장되고자 하는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기타 가공식품 등에 따라서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냉동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냉동 전용의 증발기를 별도로 장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하나의 공간을 냉동시키거나 냉장시키기 위하여 증발기를 복수개로 설치하거나, 또는, 냉동이 가능한 저장고와 냉장이 가능한 저장고를 별도로 운영해야하기 때문에 저장 물품의 관리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5144호의 '저온저장고에 사용되는 저고습도 겸용 유닛쿨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장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나 저장 기간에 대응하여 저장고를 냉동, 저습도 냉장, 고습도 냉장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증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팬;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전달받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를 경유한 바람이 저장고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에 계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 상기 열교환부로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관에 마련되는 팽창밸브; 및 상기 열교환부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와 상기 열교환부 및 상기 팽창밸브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과 상기 댐퍼와 상기 팽창밸브 및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18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냉동모드; 상기 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5도~5도로 유지시키는 냉장모드; 및 상기 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3도~3도로 유지하고 습도를 90%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고습도 냉장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에 발생된 적상을 제거하는 제상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모드에서는, 상기 댐퍼와 상기 열교환부 및 상기 팽창밸브가 다수개로 마련되었을 경우, 상기 다수개의 댐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댐퍼만를 개방시키고, 또한, 상기 개방된 댐퍼 측에 배치된 상기 열교환부로 냉매가 전달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팽창밸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모드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댐퍼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다수개의 댐퍼 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부로 냉매가 전달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팽창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습도 냉장모드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댐퍼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다수개의 댐퍼 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부로 냉매가 전달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팽창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팽창밸브가 개방된 정도는 상대적으로 상기 냉장모드에서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상모드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댐퍼를 닫힘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팽창밸브도 닫힘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밸브는, 냉매량의 조절 범위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넓히기 위하여 전자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열교환부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는, 하나의 저장고에서 냉동 기능, 냉장 기능, 고습도 냉장 기능, 건조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저장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에 대응되어 저장고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는, 농수산물, 축산물, 기타 물품을 단일 기능을 하는 저장고로 운반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보관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는, 풍량, 전열 면적, 냉매량의 제어를 통하여 농작물을 90%이상의 저온 고습도 조건에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농작물의 신선도를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여 고습도 저장 농작물 또는 저습도 저장 농작물의 저장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가 저장고의 중앙부에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100)는,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팬(120); 상기팬(120)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전달받는 열교환부(130); 상기 열교환부(130)를 경유한 바람이 저장고(10)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110)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140); 상기 열교환부(130)로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관(131)에 마련되는 팽창밸브(150); 및 상기 열교환부(130)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케이싱(110)은 팬(120), 열교환부(130)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저장고(10)의 상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팬(120)은 케이싱(110)의 내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케이싱(110)의 내부 중앙부에 하나의 팬(120)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중앙에 다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부(130)는, 냉매관(131)을 통하여 전달되는 액체 냉매를 기체로 변화시키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팬(120)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전달받을 수 있다. 참고로, 냉매관(131)은 열교환부(13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댐퍼(140)는, 열교환부(130)를 경유한 바람을 저장고(1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댐퍼(140)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개폐될 수 있다.
예컨대, 댐퍼(140)는, 저장고(10)의 내부 공간과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개방되거나, 또는 저장고(10)의 내부 공간과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격리되도록 닫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댐퍼(140)는, 열교환부(130)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댐퍼(140)는, 열교환부(130)보다 케이싱(110)의 둘레변부 측으로 더 치우쳐 배치된다.
상기 팽창밸브(150)는 냉매관(131)을 따라 유동되는 액체 냉매가 증발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까지 감압하는 역할을 하며, 열교환부(130)로 전달되는 냉매량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팽창밸브(150)는, 냉매량의 조절 범위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넓히기 위하여 전자식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부(160)는, 케이싱(110) 내부 온도를 높여 열교환부(130)에 발생된 적상을 제거하는 역할과 외기온도가 겨울철 0도 이하일 때 저장고(10)의 내부 온도를 냉장온도대로 맞추기 위한 가열 역할을 한다. 참고로, 히터부(160)는 열선이나 핫가스와 같은 가열수단으로 구현되어 열교환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부(130)와 댐퍼(140) 및 팽창밸브(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한 쌍의 열교환부(130)가 상기 팬(120)을 사이에 두고서 케이싱(110)의 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열교환부(13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댐퍼(130)와 냉매관(131) 및 팽창밸브(15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100)는, 저장고(10)의 상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2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10)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팬(120), 댐퍼(140), 팽창밸브(150) 및 히터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어부(200)를 통하여 팬(120)을 작동시키거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댐퍼(130) 또는 상기 팽창밸브(150)의 열림정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히터부(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100)는, 상기 저장고(10)의 내부 온도를 -18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냉동모드(m1); 상기 저장고(10)의 내부 온도를 -5도에서 5도로 유지시키는 냉장모드(m2); 및 상기 저장고(10)의 내부 온도를 -3도~3도로 유지하고 습도를 90%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고습도 냉장모드(m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200)는, 상기 냉동모드(m1)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댐퍼(1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댐퍼(140)만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또한, 개방된 댐퍼(140) 측에 배치된 열교환부(130)로만 냉매가 전달되도록 상기 한 쌍의 팽창밸브(1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팽창밸브(150)만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상기 팬(120)이 중속으로 회전되게끔 한다.
상기 냉동모드(m1)에서는 제거 열량이 적으므로, 한 쌍의 댐퍼(14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댐퍼(140)만 개방시켜 전열 면적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팬(120)의 회전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냉동을 위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싱(110)에 두 개 이상의 댐퍼(140)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는 개수로 팽챙밸브(150)가 마련되었을 경우, 상기 냉동모드(m1)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댐퍼(140)를 개방시켜 전열 면적을 줄일 수도 있다. 아울러, 개방된 댐퍼(140) 측에 배치된 열교환부(130)로만 냉매가 전달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챙밸브(150)만 개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상기 냉장모드(m2)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댐퍼(140)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또한, 개방된 한 쌍의 댐퍼(140)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열교환부(130)로 냉매가 전달되도록, 상기 한 쌍의 팽챙밸브(150)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상기 팬(120)이 냉동모드(m1)에서보다 빠른 고속으로 회전되게끔 한다.
상기 냉장모드(m2)에서는 제거 열량이 상기 냉동모드(m1)에서보다 크므로, 한 쌍의 댐퍼(140)를 모두 개방하여 전열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팬(120)의 회전 속도를 상기 냉동 모드(m1)에서보다 증가시켜 냉장을 위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고습도 냉장모드(m3)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댐퍼(140)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또한, 개방된 한 쌍의 댐퍼(140)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열교환부(130)로 냉매가 전달되도록, 상기 한 쌍의 팽창밸브(150)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냉장모드(m2)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팬(120)이 냉동모드(m1)에서보다 빠른 고속으로 회전되게끔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냉장모드(m2)에서 개방된 상기 한 쌍의 팽챙밸브(150)의 개도량보다 작은 개도량으로 상기 한 쌍의 팽창밸브(16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습도 냉장모드(m3)에서는,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와 액체의 냉매가 증발되는 온도의 차이(이하, '증발기 온도차'라 함)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댐퍼(140)를 모두 개방하여 전열 면적을 최대로 증가시키고, 한 쌍의 팽창밸브(150)의 개도량을 최소한으로 하여 냉매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일정한 습도 및 증발기 온도차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냉동모드(m1)에서보다 고속으로 상기 팬(120)을 회전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100)는, 제어부(200)에 의한 팬(120)의 회전속도, 댐퍼(140)의 개폐량, 팽창밸브(150)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풍량, 냉매량, 전열 면적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저장하고자 하는 물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저장고(10)가 다양한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100)는, 상기 열교환부(130)에 발생된 적상을 제거하는 제상모드(m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상모드(m4)는, 상기 냉동모드(m1) 또는 상기 냉장모드(m2)에 의해서 열교환부(130)에 발생된 적상을 제거하는 운전모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상모드(m4)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댐퍼(140)를 모두 닫힘 상태로 작동시키고, 또한, 상기 한 쌍의 팽창밸브(150)도 닫힘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팬(120)을 정지시키고, 상기 히터부(1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상모드(m4)에서는 한 쌍의 댐퍼(140)를 닫아 적상이 열교환부(130)에서 녹을 때 발생되는 수증기가 저장고(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히터부(16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저장고(10)의 내부로 빠져나가 열손실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적상 제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부(160)는, 제상모드(m4)에만 한정되어 작동되지 않고 상기 저장고(1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저장고(10)의 외부 온도가 영하일 경우에, 상기 저장고(10)를 냉장 모드(m2)로 운전할 경우에는 히터부(160)가 작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장고(10)의 외부 온도가 상기 냉장 모드(m2)에 따른 저장고(10)의 내부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저장고(10)의 내부 온도가 의도치 않게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냉장 모드(m2)에서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히터부(160)를 작동시켜 저장고(10)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냉장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어부(200)는 케이싱(110)의 외부에 마련된 습도센서(s1)로부터 센싱값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 센싱값을 기초로 하여 팬(120)과 댐퍼(140) 및 팽창밸브(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센싱값을 기초로 하여 풍량과, 전열면적, 냉매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열교환부(130)와 연결된 가스 배관(P)의 출구측에 마련된 압력센서(s2)로부터 센싱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상기 저장고(10)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s3)로부터 센싱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열교환부(130)와 댐퍼(140)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 토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s4)로부터 센싱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압력센서(s2)로부터 측정되는 가스 배관(P)의 출구측 압력값과 온도센서(s3)로부터 측정되는 저장고(10)의 내부 온도값, 그리고, 열교환부(130)와 댐퍼(140) 사이에 마련되는 온도센서(s4)로부터 측정되는 토출 공기의 온도값을 바탕으로 팬(120)과 댐퍼(140) 및 팽창밸브(150)를 제어하여 다양한 운전모드(m1~m3)를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00)는 냉동모드(m1)를 구현하기 위하여, 열교환부(130)에 의한 토출 공기 온도가 -20도 이하가 되도록 하고,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온도차를 크게 유지하기 위하여 팬(120)과 댐퍼(140) 및 팽창밸브(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냉장모드(m2)를 구현하기 위하여, 열교환부(130)에 의한 토출 공기 온도가 0도 이하가 되도록 하고,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온도차를 냉동모드(m1)에서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하기 위하여 팬(120)과 댐퍼(140) 및 팽창밸브(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0)는, 고습도 냉장모드(m3)를 구현하기 위하여, 열교환부(130)에 의한 토출 공기 온도가 -5도 이상이 되도록 하고,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온도차를 냉장모드(m2)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하기 위하여 팬(120)과 댐퍼(140) 및 팽창밸브(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열교환부(130)와 한 쌍의 댐퍼(140) 및 한 쌍의 팽창밸브(150)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내부에 세 개 이상의 열교환부(130)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거나 적은 개수로 댐퍼(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냉매관(131)과 팽창밸브(150)는 열교환부(13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110 : 케이싱 120 : 팬
130 : 열교환부 131 : 냉매관
140 : 댐퍼 150 : 팽창밸브
160 : 히터부 200 : 제어부
10 : 저장고

Claims (10)

  1.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팬;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전달받으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를 경유한 바람이 저장고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부와 마주한 채 상기 케이싱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열교환부보다 상기 케이싱의 둘레변부 측으로 더 치우쳐 배치되는 댐퍼;
    상기 열교환부로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관에 마련되는 팽창밸브; 및
    상기 열교환부로 열을 전달하는 히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와 상기 냉매관 및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열교환부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고,
    상기 팬과 상기 댐퍼와 상기 팽창밸브 및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18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냉동모드;
    상기 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5도~5도로 유지시키는 냉장모드; 및
    상기 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3도~3도로 유지하고 습도를 90%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고습도 냉장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에 발생된 적상을 제거하는 제상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부는, 상기 열교환부에 발생된 적상을 제거하거나, 외기온도가 0도 이하일 때 상기 저장고의 내부 온도를 냉장온도로 맞추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부로 열을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마련된 습도센서와, 상기 열교환부와 연결된 가스 배관의 출구측에 마련된 압력센서와, 상기 저장고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댐퍼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 토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로부터 각각 센싱값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모드에서는, 상기 댐퍼와 상기 열교환부 및 상기 팽창밸브가 다수개로 마련되었을 경우, 상기 다수개의 댐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댐퍼만를 개방시키고, 또한, 상기 개방된 댐퍼 측에 배치된 상기 열교환부로 냉매가 전달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팽창밸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모드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댐퍼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다수개의 댐퍼 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부로 냉매가 전달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팽창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습도 냉장모드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댐퍼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다수개의 댐퍼 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부로 냉매가 전달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팽창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팽창밸브가 개방된 정도는 상대적으로 상기 냉장모드에서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모드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댐퍼를 닫힘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팽창밸브도 닫힘 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는, 냉매량의 조절 범위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넓히기 위하여 전자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열교환부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KR1020210003306A 2021-01-11 2021-01-11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KR10244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06A KR102448496B1 (ko) 2021-01-11 2021-01-11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06A KR102448496B1 (ko) 2021-01-11 2021-01-11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366A KR20220101366A (ko) 2022-07-19
KR102448496B1 true KR102448496B1 (ko) 2022-09-27

Family

ID=8260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306A KR102448496B1 (ko) 2021-01-11 2021-01-11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4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44B1 (ko) * 2006-06-07 2007-11-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저온저장고에 사용되는 저고습도 겸용 유닛 쿨러
KR101676947B1 (ko) * 2015-03-05 2016-11-16 권오영 농산물 저장고의 상대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17003176A (ja) * 2015-06-09 2017-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凍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3997B2 (ja) * 1995-04-24 2005-03-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冷蔵庫およ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44B1 (ko) * 2006-06-07 2007-11-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저온저장고에 사용되는 저고습도 겸용 유닛 쿨러
KR101676947B1 (ko) * 2015-03-05 2016-11-16 권오영 농산물 저장고의 상대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17003176A (ja) * 2015-06-09 2017-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凍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366A (ko)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6424B (zh) 饮料分配器的制冷系统和方法
US10088215B2 (en) Refrigera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refrigeration compartments
US10928126B2 (en) Refrigerator
US11067324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80070511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6403426A (zh) 控制制冷机和冷冻机单元以减少能量消耗的系统和方法
US11085689B2 (en)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US7942012B2 (en) Refrigerator with select temperature compartment
JP2002504662A (ja) 冷蔵庫
KR101140711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0739195B1 (ko) 정교한 온도 제어를 구현한 2개의 증발기를 구비한냉장고의 냉동 사이클
US20080092566A1 (en) Single evaporator refrigerator/freezer unit with interdependent temperature control
CN107257905A (zh) 冷却装置
JP4739926B2 (ja) 冷蔵庫
US6758053B2 (en) Cooling apparatus
EP3499157B1 (en) Refrigerator
US20040187514A1 (en)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er
JP4076804B2 (ja) 冷蔵庫
KR102448496B1 (ko) 냉동/냉장 겸용 고습도 증발기
WO2024060880A1 (zh) 冰箱
US8635880B2 (en) Refrigerator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570763B1 (ko) 저온 및 냉동 저장이 가능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JP2000146400A (ja) 冷蔵庫
KR100424071B1 (ko) 김치 냉장고 제어방법
KR2006011127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