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197B1 -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 Google Patents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197B1
KR102448197B1 KR1020200185465A KR20200185465A KR102448197B1 KR 102448197 B1 KR102448197 B1 KR 102448197B1 KR 1020200185465 A KR1020200185465 A KR 1020200185465A KR 20200185465 A KR20200185465 A KR 20200185465A KR 102448197 B1 KR102448197 B1 KR 10244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rotation
center
screw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4352A (ko
Inventor
박명환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1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65H75/2484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movable actuator including wedge-like or lob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65H54/543Securing cores or holders to supporting or driving members, e.g. collapsible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2Translation screw-threa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를 재료로 하는 산업기계의 공급부에 배치되고, 원사가 감긴 보빈(B)을 교체 가능하게 잡아주는 보빈홀더(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빈(B)에 감겨진 원사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며 풀려지게 회전하는 회동휠(10); 상기 회동휠(10)의 전면 중앙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보빈(B)의 내부 중앙에 삽입되어 보빈(B)을 거치하는 회동관(20); 상기 회동관(2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고, 회전조작에 따라 벌리거나 오므려지는 작용으로 보빈(B)의 내면을 선택적으로 압박하는 홀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계식 회전과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방사형으로 벌리고 오므려져 보빈을 홀딩할 수 있는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쉽고 편리한 조작이 가능함과 더불어 고장률이 낮아 유지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보빈을 긴밀하면서도 우수한 동심도로 홀딩할 수가 있으므로 원사의 원활한 공급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빈의 내경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산업기계에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Mechanical bobbin holder applicable to bobbins of various inner diameters}
본 발명은 원사가 감긴 보빈을 교체 가능하게 잡아주는 보빈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식 회전과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방사형으로 벌리고 오므려져 보빈을 홀딩할 수 있는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쉽고 편리한 조작이 가능함과 더불어, 고장률이 낮아 유지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보빈을 긴밀하면서도 우수한 동심도로 홀딩할 수가 있어 원사의 원활한 공급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빈의 내경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산업기계에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 원사를 재료로 하는 산업기계의 공급부에는 원사가 감긴 보빈을 회전 및 교체 가능하게 잡아주는 보빈홀더가 구성된다.
이러한 보빈홀더는 보빈에 감겨진 원사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며 풀리도록 저항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보빈홀더에는 삽입 수용된 보빈의 내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척킹수단이 구성된다.
기존의 척킹수단은 공압을 이용하여 보빈의 내면을 압박하는 죠우를 출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외부로부터 공압을 전달하기 위한 호스가 회전하는 보빈홀더에 상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기존의 보빈홀더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장률이 높아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원사에 따라 보빈의 내경이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특정 보빈홀더는 그에 맞는 내경을 갖는 특정 보빈만이 적용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산업기계가 생산하고자하는 품종을 변경할 때마다 보빈홀더를 교체시켜야 하므로 전반적인 공수를 낭비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0205호 (발명의 명칭: 지관 척킹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기계식 회전과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방사형으로 벌리고 오므려져 보빈을 홀딩할 수 있는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쉽고 편리한 조작이 가능함과 더불어, 고장률이 낮아 유지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보빈을 긴밀하면서도 우수한 동심도로 홀딩할 수가 있어 원사의 원활한 공급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빈의 내경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산업기계에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사를 재료로 하는 산업기계의 공급부에 배치되고, 원사가 감긴 보빈을 교체 가능하게 잡아주는 보빈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빈에 감겨진 원사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며 풀려지게 회전하는 회동휠; 상기 회동휠의 전면 중앙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보빈의 내부 중앙에 삽입되어 보빈을 거치하는 회동관; 상기 회동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고, 회전조작에 따라 벌리거나 오므려지는 작용으로 보빈의 내면을 선택적으로 압박하는 홀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회동휠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 이동하는 한 쌍의 푸싱판; 상기 회동관과 푸싱판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푸싱판의 이동에 따라 벌리거나 오므려져 회동관의 내/외부로 출몰하는 복수의 홀딩판; 상기 홀딩판들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상기 홀딩판들이 오므려지게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회동휠은, 상기 보빈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연결되도록 외측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체결홀; 상기 회동관의 내면과 맞물리게 삽입 장착되도록 전면 중앙에 소정 직경으로 돌출되는 연결보스; 상기 회동관과 동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보스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나사홈; 상기 스크루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중앙에 소정 직경으로 관통되는 회전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회동관은, 상기 회동휠과 동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연결홀; 상기 홀딩판들이 출몰되도록 중간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장방형의 홀딩홀; 상기 스크루를 노출시켜 회전조작을 받도록 측면 중앙에 소정 직경으로 관통되는 조작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스크루는, 상기 회동휠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회동관으로부터 노출되어 회전조작을 전달받는 머리부; 상기 연결부와 머리부 사이에 소정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를 기준으로 연결부와 머리부 사이마다 푸싱판이 각각 체결되어 이동시키는 나사부;로 형성되되, 상기 나사부는, 상기 푸싱판들이 서로 대칭 이동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인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푸싱판은, 상기 스크루의 외면에 체결되도록 중앙에 소정 직경으로 관통되는 나사홀; 상기 홀딩판들이 방사형으로 배열이 유지되도록 일측 외면에 소정 두께로 함몰되는 안내홈; 상기 홀딩판과 맞물려 회동관의 내/외부로 출몰되도록 타측 외면에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구배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홀딩판은, 상기 푸싱판의 외면과 맞물려 회동관의 내/외부로 출몰되도록 하단 양측에서 중앙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구배면; 상기 회동관의 외부로 이탈방지 및 돌출범위가 제한되도록 상단 양측에 내측으로 단차진 걸림턱; 상기 스프링이 연결되어 오므려지는 탄성이 작용되도록 중앙에 소정 크기로 관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스프링은 용수철의 양단이 암수로 결합되는 원형의 밴드스프링, 철선의 양단 고리가 교호로 결합되는 원형의 와이어스프링, 신축 가능한 고무줄의 양단이 묶음 처리되는 원형의 고무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계식 회전과 슬라이드 이동에 따른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방사형으로 벌어지고 오므려져 보빈을 홀딩할 수 있는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쉽고 편리한 조작이 가능함과 더불어, 고장률이 낮아 유지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보빈을 긴밀하면서도 우수한 동심도로 홀딩할 수가 있어 원사의 원활한 공급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빈의 내경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산업기계에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이 장착된 보빈홀더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홀더를 투영하여 보빈을 압박하는 작동을 나타내는 렌더링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홀더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홀더의 주요부를 독립적으로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홀더를 절개하여 보빈을 압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를 재료로 하는 산업기계의 공급부에 배치되고, 도 1처럼 원사가 감긴 보빈(B)을 교체 가능하게 잡아주는 보빈홀더(100)에 관한 것으로,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동휠(10)과 회동관(20) 및 홀딩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회동휠(10)은 도 2 및 도 3처럼 보빈(B)에 감겨진 원사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며 풀려지게 회전하는 구동체이다.
여기서 회동휠(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서 삽입 장착되어 스크루(31)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어링과 스냅링이 구성된다.
이러한 회동휠(10)의 외측에는 도 5a처럼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연결시키는 체결홀(11)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휠(10)의 전면 중앙에는 소정 직경으로 돌출되어 회동관(20)의 내면과 맞물리게 삽입되는 연결보스(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보스(12)의 외면에는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회동관(20)과 나사로 체결을 유도하는 나사홈(13)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휠(10)의 중앙에는 소정 직경으로 관통되어 후술하는 스크루(31)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홀(14)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보스(12)의 외측에는 소정 직경으로 함몰되어 회동관(20)의 단부를 수용하는 장착홈(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회동관(20)은 도 2 및 도 3처럼 회동휠(10)의 전면 중앙에 고정 장착되고, 보빈(B)의 내부 중앙에 삽입되어 보빈(B)을 거치한다.
이러한 회동관(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B)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ㄷ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회동관(20)의 외측면에는 도 5b처럼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회동휠(10)의 나사홈(13)에 나사로 체결을 유도하는 연결홀(21)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관(20)의 중간에는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후술하는 홀딩판(33)들이 내/외부로 출몰되도록 관통 절개된 장방형의 홀딩홀(22)이 형성된다.
이러한 홀딩홀(22)들은 홀딩판(33)들이 방사형으로 슬라이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잡아주는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회동관(20)의 폐쇄부위인 측면 중앙에는 소정 직경으로 관통되어 후술하는 스크루(31)가 회전조작을 받도록 노출시키는 조작홀(23)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홀딩수단(30)은 도 2 및 도 3처럼 회동관(2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고, 회전조작에 따라 벌리거나 오므려지는 작용으로 보빈(B)의 내면을 선택적으로 압박한다.
이러한 홀딩수단(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31)와 한 쌍의 푸싱판(32) 및 복수의 홀딩판(33) 그리고 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스크루(31)는 회동휠(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로부터 정/역방향의 회전조작을 받는다.
푸싱판(32)은 스크루(31)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고, 스크루(31)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 이동한다.
예컨대 스크루(31)가 우회전하면, 한 쌍의 푸싱판(32)은 서로 인접하게 이동한다.
반대로 스크루(32)가 좌회전하면, 한 쌍의 푸싱판(32)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한다.
홀딩판(33)은 회동관(20)과 푸싱판(32)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푸싱판(32)의 이동에 따라 벌리거나 오므려져 회동관(20)의 내/외부로 출몰한다.
즉, 푸싱판(32)들이 서로 인접하게 이동하면, 홀딩판(33)들은 간섭으로 인해 외측으로 벌려져 회동관(20)의 외부로 돌출한다.
반대로 푸싱판(32)들이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면, 서로 간의 간섭이 제거되어 회동관(20)의 내부로 함몰한다.
스프링(34)은 홀딩판(33)들의 외측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홀딩판(33)들이 오므려지게 탄성력을 부가한다.
이때, 스크루(31)는 도 6a처럼 연결부(31a)와 머리부(31b) 및 몸통부(31c) 그리고 나사부(31d)로 이루어진다.
연결부(31a)는 회동휠(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부위이고, 머리부(31b)는 회동관(20)으로부터 노출되어 회전조작을 전달받는 부위이다.
몸통부(31c)는 연결부(31a)와 머리부(31b) 사이에 소정 거리를 두고 위치되어 나사부(31d)를 분할해주는 부위이다.
나사부(31d)는 몸통부(31c)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푸싱판(32)이 각각 체결되어 이동되는 부위이다.
여기서 나사부(31d)는 푸싱판(32)들이 서로 대칭 이동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인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각각 형성된다.
만일 우회전시 홀딩판(33)들을 벌리게 할 경우에는 몸통부(31c)의 좌측에는 오른나사로 형성하고, 우측에는 왼나사로 형성한다.
또한, 푸싱판(32)은 도 6b처럼 홀딩판(33)들이 방사형으로 배열 장착되도록 2단으로 단차진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푸싱판(32)의 중앙에는 나사부(31d)에 체결되도록 관통되어 이동력을 전달받는 나사홀(32a)이 형성된다.
그리고 푸싱판(32)의 일측 외면에는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소정 두께와 깊이를 가진 안내홈(32b)이 형성된다.
즉, 안내홈(32b)은 홀딩판(33)이 슬라이드 직선이동 가능하게 수용하여 홀딩판(33)들이 방사형으로 배열이 유지되게 잡아준다.
또한, 푸싱판(32)의 타측 외면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구배진 경사면(32c)이 형성된다.
즉, 경사면(32c)은 홀딩판(33)의 저면과 맞물려 이동에 따라 회동관(20)의 내/외부로 출몰되도록 간섭을 유발한다.
또한, 홀딩판(33)은 도 7처럼 회동관(20)에 내장 가능한 길이를 가진 각형의 판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홀딩판(33)의 하단은 양측에서 중앙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구배면(33a)이 형성된다.
즉, 홀딩판(33)의 하단은 V형의 구배면(33a)이 형성되고, 이러한 구배면(33a)은 푸싱판(32)의 경사면(32c)과 맞물려 회동관(20)의 외측으로 벌림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홀딩판(33)의 상단 양측에는 내측으로 단차져 회동관(20)의 외부로 이탈방지 및 돌출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턱(33b)이 형성된다.
또한, 홀딩판(33)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로 관통되어 스프링(34)의 연결을 유도하는 연결구(33c)가 형성된다.
한편, 스프링(34)은 밴드스프링, 와이어스프링, 고무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밴드스프링은 인장력을 가진 용수철의 양단이 암수로 결합되는 것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홀딩판(33)의 연결구(33c)를 모두 통과한 상태에서 암수로 압입 연결된다.
와이어스프링은 Ω형처럼 원형으로 성형된 철선의 양단에 고리가 마련된 것으로, 홀딩판(33)의 연결구(33c)를 모두 통과한 상태에서 고리끼리 결속 연결된다.
고무스프링은 신축 가능한 고무줄이 원형으로 묶어지는 것으로, 홀딩판(33)의 연결구(33c)를 모두 통과한 상태에서 양단이 매듭되거나 클립 등으로 묶음 연결된다.
이 밖에도 얇은 철판이 태엽형태로 감겨지는 태엽스프링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빈홀더(100)가 보빈(B)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사가 감겨진 준비된 보빈(B)을 도 1처럼 회동관(20)에 삽입 장착한 다음, 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루(31)를 잠금 방향인 우회전으로 회전시킨다.
스크루(31)가 우회전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푸싱판(32)이 서로 인접하게 이동하게 된다.
즉, 푸싱판(32)들이 서로 인접하게 이동하면, 푸싱판(32)과 홀딩판(33)이 서로 간섭되면서 홀딩판(33)들이 방사형으로 밀려난다.
결국, 홀딩판(33)들은 도 3처럼 회동관(2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보빈(B)의 내면을 압박 고정한다.
여기서 보빈홀더(100)로부터 보빈(B)을 탈거하고자 한다면, 스크루(31)를 좌회전시키면 된다.
즉, 스크루(31)가 좌회전하면, 한 쌍의 푸싱판(32)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게 되어 홀딩판(33)과의 간섭이 해제된다.
그리고 푸싱판(32)의 간섭이 해제가 되는 즉시 스프링(34)의 탄성으로 인해 홀딩판(33)들은 오므려진다.
즉, 홀딩판(33)들은 회동관(20)의 내부로 함몰되면서 보빈(B)의 압박이 해제되어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B: 보빈
10: 회동휠
11: 체결홀
12: 연결보스
13: 나사홈
14: 회전홀
15: 장착홈
20: 회동관
21: 연결홀
22: 홀딩홀
23: 조작홀
30: 홀딩수단
31: 스크루
31a: 연결부
31b: 머리부
31c: 몸통부
31d: 나사부
32: 푸싱판
32a: 나사홀
32b: 안내홈
32c: 경사면
33: 홀딩판
33a: 구배면
33b: 걸림턱
33c: 연결구
34: 스프링
100: 보빈홀더

Claims (8)

  1. 원사를 재료로 하는 산업기계의 공급부에 배치되고, 원사가 감긴 보빈(B)을 교체 가능하게 잡아주는 보빈홀더(100)에 있어서,
    상기 보빈(B)에 감겨진 원사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며 풀려지게 회전하는 회동휠(10);
    상기 회동휠(10)의 전면 중앙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보빈(B)의 내부 중앙에 삽입되어 보빈(B)을 거치하는 회동관(20);
    상기 회동관(2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고, 회전조작에 따라 벌리거나 오므려지는 작용으로 보빈(B)의 내면을 선택적으로 압박하는 홀딩수단(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홀딩수단(30)은,
    상기 회동휠(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크루(31);
    상기 스크루(31)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스크루(31)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 이동하는 한 쌍의 푸싱판(32);
    상기 회동관(20)과 푸싱판(32) 사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푸싱판(32)의 이동에 따라 벌리거나 오므려져 회동관(20)의 내/외부로 출몰하는 복수의 홀딩판(33);
    상기 홀딩판(33)들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상기 홀딩판(33)들이 오므려지게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3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휠(10)은,
    상기 보빈(B)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연결되도록 외측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체결홀(11);
    상기 회동관(20)의 내면과 맞물리게 삽입 장착되도록 전면 중앙에 소정 직경으로 돌출되는 연결보스(12);
    상기 회동관(20)과 동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보스(12)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나사홈(13);
    상기 스크루(3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중앙에 소정 직경으로 관통되는 회전홀(14);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관(20)은,
    상기 회동휠(10)과 동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연결홀(21);
    상기 홀딩판(33)들이 출몰되도록 중간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장방형의 홀딩홀(22);
    상기 스크루(31)를 노출시켜 회전조작을 받도록 측면 중앙에 소정 직경으로 관통되는 조작홀(23);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31)는,
    상기 회동휠(1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연결부(31a);
    상기 회동관(20)으로부터 노출되어 회전조작을 전달받는 머리부(31b);
    상기 연결부(31a)와 머리부(31b) 사이에 소정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몸통부(31c);
    상기 몸통부(31c)를 기준으로 연결부(31a)와 머리부(31b) 사이마다 푸싱판(32)이 각각 체결되어 이동시키는 나사부(31d);
    로 형성되되,
    상기 나사부(31d)는,
    상기 푸싱판(32)들이 서로 대칭 이동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인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판(32)은,
    상기 스크루(31)의 외면에 체결되도록 중앙에 소정 직경으로 관통되는 나사홀(32a);
    상기 홀딩판(33)들이 방사형으로 배열이 유지되도록 일측 외면에 소정 두께로 함몰되는 안내홈(32b);
    상기 홀딩판(33)과 맞물려 회동관(20)의 내/외부로 출몰되도록 타측 외면에 중심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구배진 경사면(32c);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판(33)은,
    상기 푸싱판(32)의 외면과 맞물려 회동관(20)의 내/외부로 출몰되도록 하단 양측에서 중앙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구배면(33a);
    상기 회동관(20)의 외부로 이탈방지 및 돌출범위가 제한되도록 상단 양측에 내측으로 단차진 걸림턱(33b);
    상기 스프링(34)이 연결되어 오므려지는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중앙에 소정 크기로 관통되는 연결구(33c);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4)은 용수철의 양단이 암수로 결합되는 원형의 밴드스프링, 철선의 양단 고리가 교호로 결합되는 원형의 와이어스프링, 신축 가능한 고무줄의 양단이 묶음 처리되는 원형의 고무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KR1020200185465A 2020-12-29 2020-12-29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KR10244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465A KR102448197B1 (ko) 2020-12-29 2020-12-29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465A KR102448197B1 (ko) 2020-12-29 2020-12-29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352A KR20220094352A (ko) 2022-07-06
KR102448197B1 true KR102448197B1 (ko) 2022-09-28

Family

ID=8239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465A KR102448197B1 (ko) 2020-12-29 2020-12-29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2954A (zh) * 2022-10-20 2022-11-18 南京浦江合金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包芯线自动收卷盘放装置
CN115594017B (zh) * 2022-10-28 2023-08-25 诸暨市三水纺织有限公司 一种浆纱机卷纱装置及其收线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732Y1 (ko) 2006-03-30 2006-06-13 이병선 테이프상 소재의 권취 및 인출이 가능한 릴
JP2013112487A (ja) * 2011-11-30 2013-06-10 Seiko Epson Corp 芯管保持装置および画像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540B2 (ja) * 1986-01-21 1994-06-29 株式会社フジキカイ ロ−ルホルダ
JPH11198021A (ja) * 1998-01-14 1999-07-27 Tokyo Seiko Co Ltd ワイヤソーにおけるリールの装着装置
KR101880205B1 (ko) 2017-05-16 2018-07-20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지관 척킹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732Y1 (ko) 2006-03-30 2006-06-13 이병선 테이프상 소재의 권취 및 인출이 가능한 릴
JP2013112487A (ja) * 2011-11-30 2013-06-10 Seiko Epson Corp 芯管保持装置および画像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352A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197B1 (ko) 다양한 내경의 보빈에 적용 가능한 기계식 보빈홀더
US9060582B2 (en) Hair styling system and apparatus
CN108886244B (zh) 带分配工具
JP2011075585A (ja) 光コネクタ清掃工具
EP0641288B1 (en) Improved cord take-up device
KR20110070770A (ko) 동물들을 이끌기 위해 기계적으로 감기고 풀릴 수 있는 가죽끈의 로프 풀리용 브레이크 메커니즘
KR20100054346A (ko) 양방향 굴절방식의 툴 그리퍼 체인
US4432602A (en) Optical fiber clamp and connector assembly
US8256975B2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CN112171568A (zh) 手持式捆扎工具
KR102336277B1 (ko) 스트랩 디스펜서 및 그에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
AU2016203875A1 (en) Holder for a two-wheeler accessory
CN104843324A (zh) 改进型便携式线缆组件
WO2006121311A1 (en) Cable tie
KR101471179B1 (ko) 끈 결속장치
KR101236326B1 (ko) 태엽을 이용한 넥타이고정장치
KR20160068145A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케이블타이
JP4546000B2 (ja) 温室カーテン用誘導パイプの連動機構
KR20130068770A (ko) 자전거 변속기 시프터
JP2014166895A (ja) 巻取り用ドラムおよびコネクタ付き線条体製品
KR20170052045A (ko) 케이블 타이
RU2799425C2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JP6285744B2 (ja) 結束装置におけるテープ押え機構
US11898358B2 (en) Binding machine
JP2011004653A (ja) 長尺体用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