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818B1 -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818B1
KR102447818B1 KR1020200141078A KR20200141078A KR102447818B1 KR 102447818 B1 KR102447818 B1 KR 102447818B1 KR 1020200141078 A KR1020200141078 A KR 1020200141078A KR 20200141078 A KR20200141078 A KR 20200141078A KR 102447818 B1 KR102447818 B1 KR 102447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vehicle
voltage battery
high voltage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907A (ko
Inventor
최용상
엄광식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8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5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using a flow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배터리 냉각용 냉각수의 누출 여부를 판단하여, 냉각수 누출 시 화재발생에 대해 경고 및 차량의 주행/충전을 긴급히 제한하도록 한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를 관리하는 고전압배터리 관리부에서 냉각수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냉각수 유량을 측정하고,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한 온도계수로 냉각수 온도기준 유량을 보상하여 냉각수 레벨을 설정하고, 보상한 냉각수 레벨과 이전 드라이빙 사이클 시 획득한 이전 냉각수 레벨을 비교하여, 냉각수 레벨이 이전 냉각수 레벨보다 낮으면, 차량 제어유닛(VCU)과 에어백 제어유닛(ACU)을 통해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충돌 상태로 판단되면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며,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면,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에 따라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제어하거나 냉각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여, 고전압배터리의 냉각수 누출에 따른 화재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High voltage battery coolant leak detection method using flow sensor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배터리 냉각용 냉각수의 누출 여부를 판단하여, 냉각수 누출 시 화재발생에 대해 경고 및 차량의 주행/충전을 긴급히 제한하도록 한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와는 달리 전기 모터(구동모터)로 차량을 구동하게 되며, 구동 전원 공급을 위해 고전압배터리(HV Battery)를 이용한다.
여기서 고전압배터리는 대부분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리튬이온 2차 전지인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학 특성상 온도 환경(저온과 고온)에 따라 충방전 성능 및 효율 저하(주행가능거리 단축)의 특징을 보이므로 적정한 온도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는 고전압배터리의 온도 관리를 위해,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히팅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고전압배터리 및 고전압 시스템에 냉각수가 누출될 경우, 이는 화재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절연특성이 높은 냉각수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는 고전압배터리 및 고전압 부품의 냉각 또는 히팅을 위해서 상기와 같이 절연도가 높은 냉각수를 사용하고 있지만, 냉각수 교환시기가 지나게 되면 절연도가 낮아져서 냉각수 유출 시 화재의 위험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차량 충돌 시 냉각수 유출 및 고전압시스템 단락(쇼트)에 따른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오프시키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가 충돌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냉각수가 미세하게 지속적으로 유출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운전자에게 경고해주는 기능이 없으므로, 유출된 냉각수에 의해 고전압시스템의 단락(쇼트) 및 고전압배터리의 극 고온에 따른 화재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전기 자동차의 냉각장치를 제어하는 종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와 인버터의 온도를 검출하는 IGBT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각각의 센서에서 검출한 신호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냉각 계통의 이상 유무를 진단한다. 진단 결과 냉각 계통의 이상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경고를 발생하거나 전기 자동차의 시스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 은 냉각 계통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것은 가능하나, 냉각수 유출에 따른 화재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냉각수 유출량이 많을 경우 자동으로 차량 주행 및 충전을 중지시키는 것을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전기 자동차에서 냉각수 온도 센서가 고장 나도 인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를 과열로부터 보호하여, 차량의 주행을 계속 가능하게 하는 전동차량의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2> 도 냉각수 유출에 따른 화재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냉각수 유출량이 많을 경우 자동으로 차량 주행 및 충전을 중지시키는 것을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에는 전기 자동차에서, 별도의 배터리 전용 히터 없이 배터리를 예열시킬 수 있고, 모터모듈에서 발생하는 열과 차량용 케빈 히터의 열을 배터리로 전달할 수 있는 전기차용 배터리 온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특허문헌 3> 도 냉각수 유출에 따른 화재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냉각수 유출량이 많을 경우 자동으로 차량 주행 및 충전을 중지시키는 것을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일본 특허 제5378264호(2013.10.4. 등록)(전기 자동차의 인버터 냉각 장치) 일본 특허 제6239020호(2017.11.10. 등록)(전기 차량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40658호(2020.07.28. 등록)(전기차용 배터리 온도관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전기 자동차에서 냉각수 유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위험을 원천적으로 개선하지 못하는 단점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배터리 냉각용 냉각수의 누출 여부를 판단하여, 냉각수 누출 시 화재발생에 대해 경고 및 차량의 주행/충전을 긴급히 제한하도록 한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은,
(a)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를 관리하는 고전압배터리 관리부에서 냉각수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냉각수 유량을 측정하고,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한 온도계수로 냉각수 온도기준 유량을 보상하여 냉각수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보상한 냉각수 레벨과 이전 드라이빙 사이클 시 획득한 이전 냉각수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냉각수 레벨이 이전 냉각수 레벨보다 낮으면, 차량 제어유닛(VCU)과 에어백 제어유닛(ACU)을 통해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충돌 상태로 판단되면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단계;
(d)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면,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에 따라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제어하거나 냉각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a)단계는,
냉각수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냉각수 유량에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한 온도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결과를 냉각수 레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d1)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면,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이 되면,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d2)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면,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이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라고 판단이 되면, 상기 차량 제어유닛으로부터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 중 차량 속도를 확인하여, 차량 속도가 비상정지 속도 미만이면,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d3)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면,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이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라고 판단이 되면, 상기 차량 제어유닛으로부터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 중 차량 속도를 확인하여, 차량 속도가 비상정지 속도 이상이면,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냉각수 온도를 확인하여 한계온도 미만이면 정차가 가능한 속도가 될 때까지 경고 메시지만 표시하고 주행을 유지시키며, 냉각수 온도가 한계온도 이상이 되면, 고전압배터리 냉각부를 동작시켜 고전압배터리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배터리 냉각용 냉각수의 누출 여부를 판단하여, 냉각수 누출 시 냉각 수 누출량에 따라 화재발생에 대해 경고 및 차량의 주행/충전을 긴급히 제한하여, 냉각수 누출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고전압배터리의 냉각수가 소량 누출이 될 경우에는, 차량 상태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를 표시해줌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전압배터리의 냉각수가 대량 누출되거나 급속히 누출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경고 문구를 표시하고 고전압 릴레이를 긴급히 제어함으로써, 화재발생의 위험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이 적용되는 냉각수 누출 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이 적용되는 전지 자동차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차량 속도 및 충전 상태 등의 차량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제어 유닛(VCU, Vehicle Control Unit)(101), 차량의 시동 유무를 판단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이그니션(IGN)(102), 고전압배터리의 냉각용 냉각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냉각수 유량센서(103), 냉각수 유입구 측(Inlet)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는 냉각수 온도센서(104), 에어백 제어 정보를 상태정보(Crash Status)로 제공하는 에어백 제어유닛(105), 고전압배터리를 냉각하는 고전압배터리 냉각부(107), 고전압배터리에서 고전압 부품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고전압배터리 메인 릴레이(108), 고전압 배터리의 고장 위험이나 드라이빙/충전 중지 상태, 냉각수 체크 경고등을 표시해주는 클러스터(109), 검출된 고전압배터리의 냉각수 유출량에 따라 차량 상태의 경고 표시 제어와 고전압배터리 메인 릴레이의 제어를 수행하는 고전압배터리 관리부(106)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 1의 고전압배터리 관리부(106)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의 유출량에 따라 고전압배터리 경고 메시지, 드라이빙/충전 중지 문구, 냉각수 체크 경고등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은, (a)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를 관리하는 고전압배터리 관리부에서 냉각수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냉각수 유량을 측정하고,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한 온도계수로 냉각수 온도기준 유량을 보상하여 냉각수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S101), (b) 상기 보상한 냉각수 레벨과 이전 드라이빙 사이클 시 획득한 이전 냉각수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S102), (c)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냉각수 레벨이 이전 냉각수 레벨보다 낮으면, 차량 제어유닛(VCU)과 에어백 제어유닛(ACU)을 통해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충돌 상태로 판단되면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단계(S103, S105, S106), (d)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면,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에 따라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제어하거나 냉각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S104, S107 - S110, S105, S10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전압배터리 관리부(106)는 이그니션(102)을 통해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가 되면, 단계 S101에서 냉각수 유량센서(103)를 이용하여 냉각수 유량을 측정한다. 이어, 냉각수 온도센서(104)를 통해 유입구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계수로 냉각수 온도기준 유량을 보상하여 냉각수 레벨을 설정한다.
즉, 냉각수 유량센서(103)를 이용하여 측정한 냉각수 유량에 냉각수 온도센서(104)를 통해 측정한 온도계수를 승산하고(측정 유량 정보 × 온도 계수), 승산 결과를 냉각수 레벨로 설정한다.
이후, 단계 S102에서 상기 보상한 냉각수 레벨과 이전 드라이빙 사이클 시 획득한 이전 냉각수 레벨을 비교하여, 냉각수 레벨이 상기 이전 냉각수 레벨보다 높으면 냉각수 보충이나 냉각수 교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을 하고, 냉각수 누수 유출 검출 과정을 종료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확인 결과, 냉각수 레벨이 이전 냉각수 레벨보다 낮으면, 단계 S103으로 이동하여, 차량 제어유닛(VCU)(101)과 에어백 제어유닛(ACU)(105)을 통해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차량 제어유닛(101)을 통해서는 차량 속도, 충전 유무 상태 등의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에어백 제어유닛(105)을 통해서는 차량 사고(충돌) 유무 등의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충돌 상태로 판단되면, 단계 S105로 이동하여 냉각수 유출 유무와는 무관하게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드라이빙 및 충전을 중지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해주며, 단계 S106으로 이동하여 고전압배터리 메인 릴레이(108)를 제어하여 고전압배터리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off)시켜 화재 발생 등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한다.
아울러 단계 S103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고, 차량 주행 또는 충전 상태 등의 차량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104로 이동하여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한다. 여기서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 대신에 누출 속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냉각수의 누출량(속도)에 따라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제어하거나 냉각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고, 차량 주행 또는 충전 상태에서,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이 되면, 단계 S105로 이동하여 주행/충전 중지 메시지와 화재위험 경고 메시지 및 냉각수 체크 경고등을 점등시키고, 단계 S106으로 이동하여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화재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단계 S104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고 차량 주행 또는 충전 상태에서,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이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라고 판단이 되면, 단계 S107로 이동한다. 이어, 상기 차량 제어유닛(101)으로부터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 중 차량 속도를 확인하여, 차량 속도가 비상정지 속도 미만이면, 단계 S105로 이동하여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시켜서 안전을 도모한다.
만약, 상기 단계 S107의 확인 결과, 상기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고,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이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며, 상기 차량 제어유닛(101)으로부터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 중 차량 속도를 확인하여, 차량 속도가 비상정지 속도 이상이면, 단계 S108로 이동하여 화재위험을 경고한다. 이어, 단계 S109로 이동하여 냉각수 온도를 확인하여 냉각수 온도가 한계온도 미만이면 정차가 가능한 속도가 될 때까지 경고 메시지만 표시하고 주행을 유지시킨다. 이와는 달리 냉각수 온도가 한계온도 이상이 되면, 단계 S110으로 이동하여 고전압배터리 냉각부(107)를 동작시켜 고전압배터리를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전압배터리의 냉각수 유출량을 검출하여, 냉각수 유출량이 소량 누출될 경우에는, 차량 상태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를 표시해줌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해준다.
이와는 달리 고전압배터리의 냉각수가 대량 누출되거나 급속히 누출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경고 문구를 표시하고 고전압 릴레이를 긴급히 제어함으로써, 화재발생의 위험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1: 차량 제어유닛(VCU) 102: 이그니션
103: 냉각수 유량센서 104: 냉각수 온도센서
105: 에어백 제어유닛 106: 고전압배터리 관리부
107: 고전압배터리 냉각부 108: 고전압배터리 메인 릴레이

Claims (5)

  1.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고전압배터리의 냉각수 누출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a)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를 관리하는 고전압배터리 관리부에서 냉각수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냉각수 유량을 측정하고,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한 온도계수로 냉각수 온도기준 유량을 보상하여 냉각수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보상한 냉각수 레벨과 이전 드라이빙 사이클 시 획득한 이전 냉각수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냉각수 레벨이 이전 냉각수 레벨보다 낮으면, 차량 제어유닛(VCU)과 에어백 제어유닛(ACU)을 통해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충돌 상태로 판단되면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면,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에 따라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제어하거나 냉각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는,
    냉각수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냉각수 유량에 냉각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한 온도계수를 승산하고, 승산 결과를 냉각수 레벨로 설정하며,
    상기 (d)단계는,
    (d1)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면,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이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라고 판단이 되면, 상기 차량 제어유닛으로부터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 중 차량 속도를 확인하여, 차량 속도가 비상정지 속도 미만이면,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단계;
    (d2)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면,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이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라고 판단이 되면, 상기 차량 제어유닛으로부터 획득한 차량 상태 정보 중 차량 속도를 확인하여, 차량 속도가 비상정지 속도 이상이면,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냉각수 온도를 확인하여 한계온도 미만이면 정차가 가능한 속도가 될 때까지 경고 메시지만 표시하고 주행을 유지시키며, 냉각수 온도가 한계온도 이상이 되면, 고전압배터리 냉각부를 동작시켜 고전압배터리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d)단계는,
    (d3) 상기 (b)단계의 확인 결과, 차량 충돌 상태가 아니면, 냉각수의 시간당 누출량을 계산하여, 냉각수의 누출량이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라고 판단이 되면, 화재위험을 경고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 릴레이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00141078A 2020-10-28 2020-10-28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 KR102447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078A KR102447818B1 (ko) 2020-10-28 2020-10-28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078A KR102447818B1 (ko) 2020-10-28 2020-10-28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07A KR20220056907A (ko) 2022-05-09
KR102447818B1 true KR102447818B1 (ko) 2022-09-28

Family

ID=8158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078A KR102447818B1 (ko) 2020-10-28 2020-10-28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9261B (zh) * 2023-11-23 2024-04-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的碰撞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129A (ja) * 2007-07-13 2009-01-29 Toyota Motor Corp 移動体
JP2014229421A (ja) * 2013-05-21 2014-12-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冷却液漏れ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9959A (ja) 1983-04-11 1984-10-27 Katayama Seisakusho:Kk 糊付け用スタンプ台装置
KR100992757B1 (ko) * 2008-05-08 2010-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지알 쿨러 이상 작동에 따른 엔진 보호 장치
JP5378264B2 (ja) 2010-02-19 2013-12-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インバータ冷却装置
KR102140658B1 (ko) 2019-12-19 2020-08-04 주식회사 코렌스 전기차용 배터리 온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129A (ja) * 2007-07-13 2009-01-29 Toyota Motor Corp 移動体
JP2014229421A (ja) * 2013-05-21 2014-12-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冷却液漏れ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07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62B1 (ko)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EP2097287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ischarging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electrical energy
US9573580B2 (en) Charge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CN105510830B (zh) 用于监测机动车辆中电池的状态的方法
CN113352898B (zh) 用于电池电动车辆的跛行回家模式
KR20080030753A (ko) 고전압 차량의 감전방지용 안전보호장치
JP2000285968A (ja) 蓄電池の過放電防止方法及び装置並びに監視装置
KR102447818B1 (ko) 전기 자동차의 유량센서를 이용한 고전압배터리 냉각수 누출 검출방법
JPH0974603A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安全装置
US20160097821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e of a battery in a motor vehicle
US6651450B1 (en) Drive control device for hybrid compressor
US11456494B2 (en)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an imminent overheating of at least one battery cell of a battery, detection device, and motor vehicle
KR101627473B1 (ko) 친환경자동차에서 리튬-이온배터리의 유해가스 차단장치
US20150167566A1 (en) Hea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ngine
US10774728B2 (en) Fault diagnosis apparatus of coolant circulation system for vehicle
KR102573100B1 (ko) 전기 자동차의 슬립 모드에서 고전압 배터리 상태확인장치
US11618325B2 (en) Diagnosis of the active discharge of a HV intermediate circuit
JP7382586B2 (ja) 電源システム
CN109944696B (zh) 外部加热器工作判定系统及车辆用控制系统
JP7380848B2 (ja) バッテリ異常警告方法及びバッテリ異常警告装置
KR20140020499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보호 방법
KR101583434B1 (ko) 친환경자동차에서 리튬-이온배터리의 유해가스 차단방법
KR102560855B1 (ko) 스파크 갭을 이용한 고전압 능동방전방법
KR20230043268A (ko) 전기 자동차의 감전사고 방지방법
KR101363133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보호를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시스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