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575B1 - 복층 직물 - Google Patents

복층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575B1
KR102447575B1 KR1020220054789A KR20220054789A KR102447575B1 KR 102447575 B1 KR102447575 B1 KR 102447575B1 KR 1020220054789 A KR1020220054789 A KR 1020220054789A KR 20220054789 A KR20220054789 A KR 20220054789A KR 102447575 B1 KR102447575 B1 KR 102447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fabric
slope
warp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섬유
황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섬유, 황기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섬유
Priority to KR102022005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복층 직물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복층 직물은: 하부직물, 하부직물의 상부에 층을 형성하는 상부직물, 및 하부직물을 구성하는 사(絲)로써 상부직물을 결속하거나, 또는 상부직물을 구성하는 사(絲)로써 하부직물을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층 직물{DOUBLE LAYER FABRIC}
본 발명은 복층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층 직물로써 하부직물의 상층에 격자 형태의 상부직물을 구성하여 하부직물의 내구성을 증대하고, 상부직물을 격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하부직물의 문양이나 색상을 노출시켜 인테리어 감각을 증대하며,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을 사(絲)로써 결속되게 동시에 제직함에 따라 기존의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을 접착이나 열압착하는 공정 대비 제직불량과 오염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복층 직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레저스포츠, 예컨대, 모터사이클, 자전거, 또는 스키 타기나, 낚시, 트래킹(tracking), 드라이빙(driving) 등과 같은 다양한 야외 활동에 의한 여가시간의 활용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심 및 노력이 급증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그에 적합한 기능성 장갑, 기능성 신발 및 아웃도어 의류에 대한 수요 또한 급팽창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기능성 장갑, 기능성 신발 및 아웃도어 의류 등에 적용되는 기능성 원단은 그 목적에 따라 방수성, 투습성, 방풍성, 단열성, 또는 난연성, 내절단성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은 독립적으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데, 기능성 원단은 촉감, 방수성 및 투습성을 높이기 위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친수층(hydrophilic layer)을 가지는 발포 PTFE, 호흡성 폴리우레탄, 또는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등의 탄성중합체로 제직된 라미네이트(laminate) 필름 혹은 코팅층이 기능성 층으로 적용된다.
아울러, 기능성 원단 중 기능성 장갑의 경우, 방수성 및 단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장갑의 외피에 방수층을 접착제로 접합하고 단열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은 필연적이다. 이를 위해, 내피와 외피가 각각 별도로 제직 후 열 융착이나 본딩에 의해 부착되어 제작 완료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2667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2042호와 같이 중간피와 외피의 효율적인 결합을 위하여 원단의 저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점착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핫멜트가 형성된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원단의 점착층으로 고정시킨 다음 가열하여 상면의 핫멜트 층을 열경화 고정시킨 글로브형 장갑 및 그 제조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층으로 제직되는 장갑 등의 직물은 비교적 얇게 제작되어 거친 면의 대상물과의 접촉에 의해 쉽게 파단(절단)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복층을 이루는 원단은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을 각각 제직 후, 점착층(tacking layer)을 통해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을 부착하여 일체화하는데, 일반적으로 점착층(tacking layer)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실리콘을 주재로 하고 여기에 보조제로서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이소부틸렌 등과 같은 고무수지를 혼합하여 점착성을 부여함으로써 압력에 의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복층을 이루는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이 접착 자국 등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고, 별도 제작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층 직물로써 하부직물의 상층에 격자 형태의 상부직물을 구성하여 기재원단인 하부직물의 내구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복층 직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직물을 격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하부직물의 문양이나 색상을 노출시켜 인테리어 감각을 증대하고자 하는 복층 직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을 하부직물의 사(絲) 또는 상부직물의 사(絲)로써 결속되게 동시에 제직함에 따라 기존의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을 접착이나 열압착하는 공정 대비 제직불량과 오염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복층 직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직물은: 하부직물; 상기 하부직물의 상부에 층을 형성하는 상부직물; 및 상기 하부직물을 구성하는 사(絲)로써 상기 상부직물을 결속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직물을 구성하는 사(絲)로써 상기 하부직물을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직물은 경사(wp)와 위사(wf)가 격자 형상으로 제직되어 상기 하부직물의 일부를 노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직물은 설정 위치의 사(絲)로써 상기 상부직물의 사(絲)와 교차되어 상호 결속되도록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직물을 구성하는 사(絲)와 상기 상부직물을 구성하는 사(絲)는 동일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wp)는 다수 가닥이 균일 또는 불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가로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위사(wf)는 다수 가닥이 균일 또는 불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는 상기 위사 한 가닥씩과 번갈아 상하 교차되도록 제직되고, 특정 위치에서 2가닥 이상의 상기 위사의 동일한 상측 또는 하측에 걸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사는 설정 위치에서 2가닥 이상의 상기 경사의 동일한 상측 또는 하측에 걸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는, 가로 방향으로 이웃한 상기 일측경사와 상기 타측경사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일측위사와 상기 타측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제직되는 결속경사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경사는, 제 1일측경사; 제 2일측경사; 및 상기 제 1일측경사와 상기 제 2일측경사 사이에 배치되는 제 3일측경사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경사는, 상기 제 1일측경사와 상기 제 3일측경사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제 2일측경사와 상기 제 3일측경사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는, 세로 방향으로 이웃한 상기 일측위사와 상기 타측위사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일측경사와 상기 타측경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제직되는 결속위사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위사는, 제 1일측위사; 제 2일측위사; 및 상기 제 1일측위사와 상기 제 2일측위사 사이에 배치되는 제 3일측위사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위사는, 상기 제 1일측위사와 상기 제 3일측위사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제 2일측위사와 상기 제 3일측위사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직물은 종래 기술과 달리 층 직물로써 하부직물의 상층에 격자 형태의 상부직물을 구성하여 기재원단인 하부직물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직물을 격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하부직물의 문양이나 색상을 노출시켜 인테리어 감각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을 하부직물의 사(絲) 또는 상부직물의 사(絲)로써 결속되게 동시에 제직함에 따라 기존의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을 접착이나 열압착하는 공정 대비 제직불량과 오염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직물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하부직물과 상부직물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10)은, 하부직물(50), 상부직물(70) 및 결속부(300)를 포함한다.
하부직물(50)은 실(사)로 제직(製織,weave) 또는 편직(編織,knit) 공정을 통해 직물이 완성된다. 이때, 하부직물(50)은 기재원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하부직물(50)은 촉감이 우수한 재질의 실[yarn]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미적 감각 증대를 위해 다양한 색상이나 문양을 나타낼 수 있다. 물론, 하부직물(50)은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굵기[deni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직물(70)은 하부직물(50)의 상부에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하부직물(50)을 보호하거나 인테리어 감각을 증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부직물(70)은 하부직물(50)을 구성하는 사(52,54)의 경도[stiffness]보다 큰 경도의 사(100,200)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상부직물(70)은 재질 및 굵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결속부(300)는 하부직물(50)을 구성하는 사(絲)로써 상부직물(70)을 결속하거나, 또는 상부직물(70)을 구성하는 사(絲)로써 하부직물(50)을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하부직물(50)이 완성된 후 상부직물(70)이 제직되거나 편직되면서 동시에 상부직물(70)과 결속되거나, 상부직물(70)이 완성된 후 하부직물(50)이 제직되거나 편직되면서 동시에 하부직물(50)과 결속되거나, 또는 하부직물(50)과 상부직물(70)이 동시에 제직되거나 편직되면서 상호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층을 이루는 하부직물(50)과 상부직물(70)은 기존의 본딩이나 열융착하는 방식 대비 완성시 직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미적 감각을 증대할 수 있다.
상세히, 하부직물(50)은 세로 방향으로 하부위사(52)를 복수 가닥 배열하고, 가로 방향으로 하부경사(54)를 복수 가닥 배열하며, 하부위사(52)와 하부경사(54)를 교차되도록 제직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부직물(70)은 경사(wp,100)와 위사(wf,200)가 격자 형상으로 제직되어 하부직물(50)의 일부를 노출 안내하고, 하부직물(50)을 보호한다.
아울러, 하부직물(50)은 설정 위치의 사(絲, 52 또는 54)로써 상부직물(70)의 사(絲,100 또는 200))와 교차되어 상호 결속되도록 제직되는 것으로 한다.
더욱 상세히, 상부직물(70)은 다수 가닥의 경사(wp,100)와 다수 가닥의 위사(wf,200)를 격자 형상으로 제직하여 형성한다. 즉, 경사(100)와 위사(200)는 상호 수직 또는 경사지게 배열된다.
특히, 경사(100)는 다수 가닥이 균일 또는 불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가로방향으로 배열되고, 위사(200)는 다수 가닥이 균일 또는 불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세로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다수 가닥의 경사(100)와 다수 가닥의 위사(200)가 서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된 채 한 가닥씩이 번갈아 상하 교차되도록 제직됨으로써, 상부직물(70)이 제작된다.
이때, 다수 가닥의 경사(100)는 가로방향으로 설정간격만큼 유격되게 배치되고, 다수 가닥의 위사(200)는 세로방향으로 설정간격만큼 유격되게 배치되며, 경사(100)와 위사(200)는 서로 제직됨에 따라, 제직된 상부직물(70)은 설정 크기의 개구홀(72)을 형성한다.
아울러, 경사(100)는 일측경사(110)와 타측경사(120)가 번갈아 배열되고, 위사(200)는 일측위사(210)와 타측위사(220)가 번갈아 배열된다.
이때, 일방향으로, 일측경사(110)와 타측경사(120)가 순서대로 번갈아 배열된다. 아울러, 일방향으로, 일측위사(210)와 타측위사(220)가 순서대로 번갈아 배열된다.
그리고, 일측경사(110)와 타측위사(220)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경사(120)와 일측위사(210)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일측경사(110)는 제 1일측경사(111), 제 2일측경사(112) 및 제 3일측경사(113)를 포함한다.
타측경사(120)는 제 1타측경사(121), 제 2타측경사(122) 및 제 3타측경사(123)를 포함한다.
또한, 일측위사(210)는 제 1일측위사(211), 제 2일측위사(212) 및 제 3일측위사(213)를 포함한다.
아울러, 타측위사(220)는 제 1타측위사(221), 제 2타측위사(222) 및 제 3타측위사(2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가 동일 궤적을 따라 물결파형을 이루며 제직된다. 즉,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는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의 상부에 배열된 후,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의 하부에 배열된다.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는, 제 1일측경사(111)와 대칭되는 물결파형을 이루며 제직된다. 즉,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는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의 하부에 배열된 후,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의 상부에 배열된다.
또한,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는 동일 궤적을 따라 물결파형을 이루며 제직된다. 즉,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는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의 하부에 배열된 후,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의 상부에 배열된다.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는, 제 1일측위사(211)와 대칭되는 물결파형을 이루며 제직된다. 즉,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는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의 상부에 배열된 후,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의 하부에 배열된다.
따라서, 상부직물(70)은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에 직조되는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를 일측면(전측면 또는 외측면)으로 돌출한 채 나란하게 배열한다. 아울러, 상부직물(70)은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에 직조되는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를 일측면으로 돌출한 채 나란하게 배열한다.
그리고, 상부직물(70)은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에 직조되는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를 일측면(전측면)으로 돌출한 채 나란하게 배열한다. 아울러, 상부직물(70)은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에 직조되는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를 일측면으로 돌출한 채 나란하게 배열한다.
마찬가지로, 상부직물(70)은 타측면(후측면 또는 내측면)에 개구홀(72)를 기준으로 대각 방향으로 제 1타측경사(121) 및 제 2타측경사(122), 제 1일측경사(111) 및 제 2일측경사(112)를 돌출한 채 나란하게 배열한다. 그리고, 상부직물(70)은 타측면에 개구홀(72)를 기준으로 대각 방향으로 제 1일측위사(211) 및 제 2일측위사(212), 제 1타측위사(221) 및 제 2타측위사(222)를 돌출한 채 나란하게 배열한다.
이때, 상부직물(70)의 '타측면'은 복층 직물(10)의 하부직물(50)에 대향하는 표면인 것으로 한다.
상부직물(70)은, 동일 위치에서, 일측면으로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면으로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직물(70)은, 동일 위치에서, 일측면으로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면으로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를 돌출 형성한다.
또한, 상부직물(70)은, 동일 위치에서, 일측면으로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면으로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를 돌출 형성한다.
아울러, 상부직물(70)은, 동일 위치에서, 일측면으로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면으로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를 돌출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상부직물(70)은 양측면에 일정한 패턴을 따라 경사(100)와 위사(200)를 돌출되게 제직됨에 따라, 입체감을 통해 심미감 또는 촉감을 증대한다.
이때, 동일 위치에서,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는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는 타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일 위치에서,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는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는 타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 위치에서,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는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는 타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동일 위치에서,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는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는 타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3일측경사(113), 제 3타측경사(123), 제 3일측위사(213) 및 제 3타측위사(223)가 구비된다.
제 3일측경사(113)는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 사이에 배치되고, 제 3일측위사(213)의 하측에 배열되며, 동일 높이에 배열되는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의 상측에 배열된다. 이 후, 제 3일측경사(113)는 동일 높이에 배열되는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의 하측에 배열되고, 제 3타측위사(223)의 상측에 배열된다.
물론, 제 3일측경사(113)가 제 1일측경사(111)의 외측, 또는 제 2일측경사(112)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를 이격시켜 입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3타측경사(123)는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 사이에 배치되고, 동일 높이에 배열되는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의 하측에 배열되며, 제 3일측위사(213)의 하측에 배열된다. 이 후, 제 3타측경사(123)는 제 3타측위사(223)의 하측에 배열되고, 동일 높이에 배열되는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의 상측에 배열된다.
물론, 제 3타측경사(123)가 제 1타측경사(121)의 외측, 또는 제 2타측경사(122)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를 이격시켜 입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제 3일측위사(213)는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 사이에 배치되고, 동일 높이에 배열되는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의 하측에 배열되며, 제 3일측경사(113)의 상측에 배열된다. 이 후, 제 3일측위사(213)는 제 3타측경사(123)의 하측에 배열되고, 동일 높이에 배열되는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의 상측에 배열된다.
물론, 제 3일측위사(213)가 제 1일측위사(211)의 외측, 또는 제 2일측위사(212)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를 이격시켜 입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 3타측위사(223)는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 사이에 배치되고, 제 3일측위사(213)의 하측에 배열되며, 동일 높이에 배열되는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의 상측에 배열된다. 이 후, 제 3타측위사(223)는 동일 높이에 배열되는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의 하측에 배열되고, 제 3타측경사(123)의 상측에 배열된다.
물론, 제 3타측위사(223)가 제 1타측위사(221)의 외측, 또는 제 2타측위사(222)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를 이격시켜 입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제 3일측경사(113)는 상부직물(70)의 타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일측위사(211) 및 제 2일측위사(212)와, 일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일측경사(111) 및 제 2일측경사(112)의 사이에 배열된다. 이 후, 제 3일측경사(113)는 상부직물(70)의 일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타측위사(221) 및 제 2타측위사(222)와, 타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의 사이에 배열된다.
제 3타측경사(123)는 상부직물(70)의 일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일측위사(211) 및 제 2일측위사(212)와, 타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타측경사(121) 및 제 2타측경사(122)의 사이에 배열된다. 이 후, 제 3타측경사(123)는 상부직물(70)의 일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타측경사(121) 및 제 2타측경사(122)와, 타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타측위사(221) 및 제 2타측위사(222)의 사이에 배열된다.
제 3일측위사(213)는 상부직물(70)의 일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일측경사(111) 및 제 2일측경사(112)와, 타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일측위사(211) 및 제 2일측위사(212)의 사이에 배열된다. 이 후, 제 3일측위사(213)는 상부직물(70)의 일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일측위사(211) 및 제 2일측위사(212)와, 타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타측경사(121) 및 제 2타측경사(122)의 사이에 배열된다.
제 3타측위사(223)는 상부직물(70)의 일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타측경사(121) 및 제 2타측경사(122)와, 하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제 1타측위사(221) 및 제 2타측위사(222)의 사이에 배열된다.
한편, 각각의 일측경사(110)를 구성하는 제 1일측경사(111), 제 2일측경사(112) 및 제 3일측경사(113)는 나란하게 배열되고, 접하는 부위끼리 밀착되어 틈새가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타측경사(120)를 구성하는 제 1타측경사(121), 제 2타측경사(122) 및 제 3타측경사(123)는 나란하게 배열되고, 접하는 부위끼리 밀착되어 틈새가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일측위사(210)를 구성하는 제 1일측위사(211), 제 2일측위사(212) 및 제 3일측위사(213)는 나란하게 배열되고, 접하는 부위끼리 밀착되어 틈새가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타측위사(220)를 구성하는 제 1타측위사(221), 제 2타측위사(222) 및 제 3타측위사(223)는 나란하게 배열되고, 접하는 부위끼리 밀착되어 틈새가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일측경사(110)는 제 1일측정렬경사(114) 및 제 2일측정렬경사(115)를 포함하고, 타측경사(120)는 제 1타측정렬경사(124) 및 제 2타측정렬경사(125)를 포함한다.
일측위사(210)는 제 1일측정렬위사(214) 및 제 2일측정렬위사(215)를 포함하고, 타측위사(220)는 제 1타측정렬위사(224) 및 제 2타측정렬위사(225)를 포함한다.
상세히, 제 1일측정렬경사(114)는 제 1일측경사(111)의 외측을 따라 배열되고, 제 2일측정렬경사(115)는 제 2일측경사(112)의 외측을 따라 배열된다. 즉, 제 1일측경사(111), 제 3일측경사(113) 및 제 2일측경사(112)는 제 1일측정렬경사(114)와 제 2일측정렬경사(115)의 사이에 순서대로 배치되고, 정렬 상태를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제 1타측정렬경사(124)는 제 1타측경사(121)의 외측을 따라 배열되고, 제 2타측정렬경사(125)는 제 2타측경사(122)의 외측을 따라 배열된다. 즉, 제 1타측경사(121), 제 3타측경사(123) 및 제 2타측경사(122)는 제 1타측정렬경사(124)와 제 2타측정렬경사(125)의 사이에 순서대로 배치되고, 정렬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 1일측정렬위사(214)는 제 1일측위사(211)의 외측을 따라 배열되고, 제 2일측정렬위사(215)는 제 2일측위사(212)의 외측을 따라 배열된다. 즉, 제 1일측위사(211), 제 3일측위사(213) 및 제 2일측위사(212)는 제 1일측정렬위사(214)와 제 2일측정렬위사(215)의 사이에 순서대로 배치되고, 정렬 상태를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제 1타측정렬위사(224)는 제 1타측위사(221)의 외측을 따라 배열되고, 제 2타측정렬위사(225)는 제 2타측위사(222)의 외측을 따라 배열된다. 즉, 제 1타측위사(221), 제 3타측위사(223) 및 제 2타측위사(222)는 제 1타측정렬위사(224)와 제 2타측정렬위사(225)의 사이에 순서대로 배치되고, 정렬 상태를 유지한다.
더욱 상세히, 제 1일측정렬경사(114)는 제 1일측경사(111)와 대칭되는 물결파형으로 이루어져,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의 하측에 접하도록 배열됨에 따라, 일측위사(210)를 대응되는 제 1일측경사(111) 측 즉 상부직물(70)의 일측면 방향으로 가압 고정한다.
이 후, 제 1일측정렬경사(114)는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의 상측에 접하도록 배열됨에 따라, 타측위사(220)를 대응되는 제 1일측경사(111) 측 즉 상부직물(70)의 타측면 방향으로 가압 고정한다.
그리고, 제 2일측정렬경사(115)는 제 1일측정렬경사(114)와 동일한 궤적을 따라 배열된다.
또한, 제 1타측정렬경사(124)는 제 1일측위사(211)와 제 2일측위사(212)의 상측에 접하도록 배열됨에 따라, 일측위사(210)를 대응되는 제 1타측경사(121) 측 즉 상부직물(70)의 타측면 방향으로 가압 고정한다.
이 후, 제 1타측정렬경사(124)는 제 1타측위사(221)와 제 2타측위사(222)의 하측에 접하도록 배열됨에 따라, 타측위사(220)를 대응되는 제 1타측경사(121) 측 즉 상부직물(70)의 일측면 방향으로 가압 고정한다.
제 2타측정렬경사(125)는 제 1타측정렬경사(124)와 동일한 궤적을 따라 배열된다.
그리고, 제 1일측정렬위사(214)는 제 1일측위사(211)와 대칭되는 물결파형으로 이루어져,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겨사의 상측에 접하도록 배열됨에 따라, 일측경사(110)를 대응되는 제 1일측위사(211) 측 즉 상부직물(70)의 타측면 방향으로 가압 고정한다.
이 후, 제 1일측정렬위사(214)는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의 하측에 접하도록 배열됨에 따라, 타측경사(120)를 대응되는 제 1일측위사(211) 측 즉 상부직물(70)의 일측면 방향으로 가압 고정한다.
제 2일측정렬위사(215)는 제 1일측정렬위사(214)와 동일한 궤적을 따라 배열된다.
또한, 제 1타측정렬위사(224)는 제 1일측경사(111)와 제 2일측경사(112)의 하측에 접하도록 배열됨에 따라, 일측경사(110)를 대응되는 제 1타측위사(221) 측 즉 상부직물(70)의 일측면 방향으로 가압 고정한다.
이 후, 제 1타측정렬위사(224)는 제 1타측경사(121)와 제 2타측경사(122)의 상측에 접하도록 배열됨에 따라, 타측경사(120)를 대응되는 제 1타측위사(221) 측 즉 상부직물(70)의 타측면 방향으로 가압 고정한다.
제 2타측정렬위사(225)는 제 1타측정렬위사(224)와 동일한 궤적을 따라 배열된다.
특히, 개구홀(72) 각각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 2일측정렬경사(115)와 제 1타측정렬경사(124),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 2일측정렬위사(215)와 제 1타측정렬경사(124)에 의해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 1일측경사(111), 제 2일측경사(112), 제 3일측경사(113), 제 1일측정렬경사(114) 및 제 2일측정렬경사(11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굵기[denier]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타측경사(121), 제 2타측경사(122), 제 3타측경사(123), 제 1타측정렬경사(124) 및 제 2타측정렬경사(12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굵기[denier]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일측위사(211), 제 2일측위사(212), 제 3일측위사(213), 제 1일측정렬위사(214) 및 제 2일측정렬위사(21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굵기[denier]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 1타측위사(221), 제 2타측위사(222), 제 3타측위사(223), 제 1타측정렬위사(224) 및 제 2타측정렬위사(22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굵기[denier]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제 1일측경사(111), 제 2일측경사(112), 제 3일측경사(113), 제 1타측경사(121), 제 2타측경사(122), 제 3타측경사(123), 제 1일측위사(211), 제 2일측위사(212), 제 3일측위사(213), 제 1타측위사(221), 제 2타측위사(222) 및 제 3타측위사(223)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굵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제 1일측정렬경사(114), 제 2일측정렬경사(115), 제 1타측정렬경사(124), 제 2타측정렬경사(125), 제 1일측정렬위사(214), 제 2일측정렬위사(215), 제 1타측정렬위사(224) 및 제 2타측정렬위사(225)는 제 1일측경사(111)보다 굵기가 가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제 1일측정렬경사(114), 제 2일측정렬경사(115), 제 1타측정렬경사(124), 제 2타측정렬경사(125), 제 1일측정렬위사(214), 제 2일측정렬위사(215), 제 1타측정렬위사(224) 및 제 2타측정렬위사(225)는 상부직물(70)의 심미감 극대화를 위해 투명한 재질 또는 제 1일측경사(111)와 상이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1일측경사(111), 제 2일측경사(112), 제 3일측경사(113), 제 1일측정렬경사(114) 및 제 2일측정렬경사(11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타측경사(121), 제 2타측경사(122), 제 3타측경사(123), 제 1타측정렬경사(124) 및 제 2타측정렬경사(12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일측위사(211), 제 2일측위사(212), 제 3일측위사(213), 제 1일측정렬위사(214) 및 제 2일측정렬위사(21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 1타측위사(221), 제 2타측위사(222), 제 3타측위사(223), 제 1타측정렬위사(224) 및 제 2타측정렬위사(22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 1일측경사(111), 제 2일측경사(112), 제 3일측경사(113), 제 1타측경사(121), 제 2타측경사(122), 제 3타측경사(123), 제 1일측위사(211), 제 2일측위사(212), 제 3일측위사(213), 제 1타측위사(221), 제 2타측위사(222) 및 제 3타측위사(223)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 1일측정렬경사(114), 제 2일측정렬경사(115), 제 1타측정렬경사(124), 제 2타측정렬경사(125), 제 1일측정렬위사(214), 제 2일측정렬위사(215), 제 1타측정렬위사(224) 및 제 2타측정렬위사(225)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예로서, 제 1일측정렬경사(114), 제 2일측정렬경사(115), 제 1타측정렬경사(124), 제 2타측정렬경사(125), 제 1일측정렬위사(214), 제 2일측정렬위사(215), 제 1타측정렬위사(224) 및 제 2타측정렬위사(225)는 모노필라멘트사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일측경사(111), 제 2일측경사(112), 제 3일측경사(113), 제 1타측경사(121), 제 2타측경사(122), 제 3타측경사(123), 제 1일측위사(211), 제 2일측위사(212), 제 3일측위사(213), 제 1타측위사(221), 제 2타측위사(222) 및 제 3타측위사(223)는 가연사(Draw Textured Yarn, DTY)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가연사는 필라멘트사를 가연(假撚)한 후 열을 가해 고정하여, 가공한 가공사로 벌크(bulk)하고 신축성 및 견고성(stiffness)을 가진다.
여기서, 가연이란 필라멘트사에 꼬임(twist)을 가한 후에 꼬임을 풀어버리는, 즉, 가연(twisting)과 해연(de??twisting)이 가연 장치에서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서 권축(crimp)을 부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그리고, 모노필라멘트사는 무한대의 길이를 가진 섬유로 이루어진 사(絲)로, 견 섬유인 천연 섬유, 레이온 섬유 또는 큐프라 섬유인 재생 섬유, 및 폴리에스터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 섬유인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섬유로 이루어진 단사(single yarn)이다.
특히, 필라멘트사를 가공한 가연사를 사용하지 않고 생사 그대로 사용할 경우 신축성, 터치감, 범용성 및 고급성 등이 저하되어 인조가죽에 적용되는 이면층의 역할에 적합하지 못함과 아울러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어 필라멘트사를 가공하여 가연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연사는 원착사일 수 있고, 또는 후염방식으로 염색될 수 있다.
또한, 가연사의 가연 각(θ)은 40˚내지 55˚, 또는 45˚내지 50˚의 범위 내에서 생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아울러, 가연사의 데니어(D, denier)는 60-90데니어 또는 70-85데니어일 수 있다. 이 범위 미만일 경우 굵기 너무 가늘어져서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이 범위를 초과할 경우 원가가 상승됨과 아울러 이면층이 너무 무거워져 상용차 내장재용 인조가죽으로서의 신율이 저하될 수 있어 이 범위 내의 굵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결속부(300)는 하부직물(50)을 구성하는 하부위사(52)와 하부경사(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絲)로써 상부직물(70)을 감싸서 결속한다.
즉, 결속부(300)는, 상부직물(70)을 구성하는, 가로 방향으로 이웃한 일측경사(110)와 타측경사(120) 사이에 해당되는 일측위사(210)와 타측위사(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제직되는 결속경사(31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하부직물(50)의 결속경사(310)가, 상부직물(70)을 구성하는, 가로 방향으로 이웃한 일측경사(110)와 타측경사(120) 사이에 해당되는 일측위사(210)와 타측위사(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제직된다.
이때, 결속경사(310)는 가로 방향으로 이웃한 일측경사(110)와 타측경사(120) 사이에 해당되는 일측위사(210)와 타측위사(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는 하부경사(54)의 특정 영역에 해당될 수도 있고, 하부직물(50)에 별도의 사(絲)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결속부(300)는, 상부직물(70)을 구성하는, 세로 방향으로 이웃한 일측위사(210)와 타측위사(220) 사이에 해당되는 일측경사(110)와 타측경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제직되는 결속위사(3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하부직물(50)의 결속위사(320)가, 상부직물(70)을 구성하는, 세로 방향으로 이웃한 일측위사(210)와 타측위사(220) 사이에 해당되는 일측경사(110)와 타측경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제직된다.
이때, 결속위사(320)는 세로 방향으로 이웃한 일측위사(210)와 타측위사(220) 사이에 해당되는 일측경사(110)와 타측경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는 하부위사(52)의 특정 영역에 해당될 수도 있고, 하부직물(50)에 별도의 사(絲)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결속부(300)는 결속경사(310)와 결속위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결속경사(310)와 결속위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부직물(50)에 별도의 사(絲)로써 구비될 경우, 재질 및 굵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편의상, 결속경사(310)는 가로 방향으로 이웃한 일측경사(110)와 타측경사(20) 사이에 해당되는 일측위사(210)의 상측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편의상, 결속위사(320)는 세로 방향으로 이웃한 타측위사(220)와 일측위사(210) 사이에 해당되는 일측경사(110)의 상측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 직물(10)은, 하부직물(50), 상부직물(70) 및 결속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하부직물(50) 및 상부직물(7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결속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경사(310)와 결속위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결속경사(310)와 결속위사(320)의 기능은 상술한 것으로 한다.
다만, 결속경사(31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일측경사(110)와 제 3일측경사(113) 사이에 배열되며, 상하 방향으로 제 2일측경사(112)와 제 3일측경사(113) 사이에 배열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속경사(310)는 외부 노출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결속위사(32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일측위사(211)와 제 3일측위사(213) 사이에 배열되며, 제 2일측위사(212)와 제 3일측위사(213) 사이에 배열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결속위사(320)는 외부 노출이 최소화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복층 직물 50: 하부직물
52: 하부위사 54: 하부경사
70: 상부직물 72: 개구홀
100: 경사(wp) 110: 일측경사
111: 제 1일측경사 112: 제 2일측경사
113: 제 3일측경사 114: 제 1일측정렬경사
115: 제 2일측정렬경사 120: 타측경사
121: 제 1타측경사 122: 제 2타측경사
123: 제 3타측경사 124: 제 1타측졍렬경사
125: 제 2타측정렬경사 200: 위사(wf)
210: 일측위사 220: 타측위사
300: 결속부 310: 결속경사
320: 결속위사

Claims (9)

  1. 하부직물;
    상기 하부직물의 상부에 층을 형성하는 상부직물; 및
    상기 하부직물을 구성하는 사(絲)로써 상기 상부직물을 결속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직물을 구성하는 사(絲)로써 상기 하부직물을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직물은 경사(wp)와 위사(wf)가 격자 형상으로 제직되어 상기 하부직물의 일부를 노출 안내하며,
    상기 경사(wp)는 다수 가닥이 균일 또는 불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가로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위사(wf)는 다수 가닥이 균일 또는 불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경사는 상기 위사 한 가닥씩과 번갈아 상하 교차되도록 제직되고, 특정 위치에서 2가닥 이상의 상기 위사의 동일한 상측 또는 하측에 걸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직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직물은 설정 위치의 사(絲)로써 상기 상부직물의 사(絲)와 교차되어 상호 결속되도록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직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직물을 구성하는 사(絲)와 상기 상부직물을 구성하는 사(絲)는 동일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직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설정 위치에서 2가닥 이상의 상기 경사의 동일한 상측 또는 하측에 걸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직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가로 방향으로 이웃한 일측경사와 타측경사 사이에 해당되는 일측위사와 타측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제직되는 결속경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직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경사는, 제 1일측경사; 제 2일측경사; 및 상기 제 1일측경사와 상기 제 2일측경사 사이에 배치되는 제 3일측경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경사는, 상기 제 1일측경사와 상기 제 3일측경사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제 2일측경사와 상기 제 3일측경사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직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세로 방향으로 이웃한 일측위사와 타측위사 사이에 해당되는 일측경사와 타측경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제직되는 결속위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직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위사는, 제 1일측위사; 제 2일측위사; 및 상기 제 1일측위사와 상기 제 2일측위사 사이에 배치되는 제 3일측위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위사는, 상기 제 1일측위사와 상기 제 3일측위사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제 2일측위사와 상기 제 3일측위사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직물.
KR1020220054789A 2022-05-03 2022-05-03 복층 직물 KR10244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89A KR102447575B1 (ko) 2022-05-03 2022-05-03 복층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89A KR102447575B1 (ko) 2022-05-03 2022-05-03 복층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575B1 true KR102447575B1 (ko) 2022-09-27

Family

ID=8345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789A KR102447575B1 (ko) 2022-05-03 2022-05-03 복층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5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2871A (ko) * 2009-10-02 2012-06-14 바데이 인코포레이티드 다층 직조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78497B1 (ko) * 2008-10-31 2013-07-02 웨벡스, 엘엘씨 교호로 쌍을 이룬 단일 상부 cmd사들을 구비하는 제지기용 다층 성형직물
KR102065855B1 (ko) * 2018-09-12 2020-01-13 주식회사 신흥 3차원 직물 제직용 세폭직기와 이를 이용한 3차원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0385A (ko) * 2018-02-12 2020-06-17 휴익 라이센스코, 인코포레이티드 보조 하단 md 얀을 갖는 다층 제지용 성형 직물
KR102332697B1 (ko) * 2021-04-21 2021-12-01 주식회사 아성섬유 통기성 직물 및 그 제직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497B1 (ko) * 2008-10-31 2013-07-02 웨벡스, 엘엘씨 교호로 쌍을 이룬 단일 상부 cmd사들을 구비하는 제지기용 다층 성형직물
KR20120062871A (ko) * 2009-10-02 2012-06-14 바데이 인코포레이티드 다층 직조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70385A (ko) * 2018-02-12 2020-06-17 휴익 라이센스코, 인코포레이티드 보조 하단 md 얀을 갖는 다층 제지용 성형 직물
JP2022031822A (ja) * 2018-02-12 2022-02-22 ハイク・ライセン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補助ボトム側mdヤーンを有する製紙用多層フォーミング織物
KR102065855B1 (ko) * 2018-09-12 2020-01-13 주식회사 신흥 3차원 직물 제직용 세폭직기와 이를 이용한 3차원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32697B1 (ko) * 2021-04-21 2021-12-01 주식회사 아성섬유 통기성 직물 및 그 제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4925B2 (ja) 靴上部体
CN100577046C (zh) 结合植绒材料的服饰
CN100586322C (zh) 结合压纹材料的服饰
US20160194792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textile assemblies and manufacture thereof
US10251436B2 (en) Article of apparel with material elements having a reversible structure
TW201930674A (zh) 一種織物
TWM539252U (zh) 熱塑性鞋面
KR20170100955A (ko) 무봉제용 튜브형 직물원단 및 그를 이용한 용도
CN1200414A (zh) 含高纱细度纱线的中间衬料用纺织品
CN105019128A (zh) 一种鞋用抗菌面料及其制作工艺
KR102447575B1 (ko) 복층 직물
JP2016215441A (ja) 積層体布帛
JPH09425A (ja) 遮光性織物
CN207984204U (zh) 一种抗菌皮革服装面料
CN208632773U (zh) 一种用于经编间隔织物生产的纱架
KR20160121898A (ko)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CN218711301U (zh) 一种鳞片状衣服面料
KR102447574B1 (ko) 통기성 직물
CN216032939U (zh) 一种弹性透气布
CN212737309U (zh) 斜纹桃皮绒印花面料
WO2018072196A1 (zh) 羽毛制品
CN212603846U (zh) 一种耐用型涤纶针织布
CN215040998U (zh) 一种烫金复合面料
CN214449176U (zh) 一种弹力复合针织提花布
JP7092409B1 (ja) 防風性伸縮生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