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410B1 -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410B1
KR102447410B1 KR1020210044139A KR20210044139A KR102447410B1 KR 102447410 B1 KR102447410 B1 KR 102447410B1 KR 1020210044139 A KR1020210044139 A KR 1020210044139A KR 20210044139 A KR20210044139 A KR 20210044139A KR 102447410 B1 KR102447410 B1 KR 10244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window
cell region
light
photovoltaic device
rough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675A (ko
Inventor
안상정
Original Assignee
안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정 filed Critical 안상정
Priority to KR102021004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4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28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semiconductor material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31/0272 - H01L31/03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28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04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31/03044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comprising a nitride compounds, e.g. G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04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 H01L31/03046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including ternary or quaternary compounds, e.g. GaAlAs, InGaAs, InGaAsP
    • H01L31/03048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AIIIBV compounds including ternary or quaternary compounds, e.g. GaAlAs, InGaAs, InGaAsP comprising a nitride compounds, e.g. InG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07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 H01L31/07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comprising a heterojunction with an element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e.g. ITO/Si, GaAs/Si or CdTe/Si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4Solar cells from Group III-V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육방 조밀 격자 구조(Hexagonal Close-Packed Lattice Structure)를 가지는 도전성 윈도우(Conductive Window);로서, 빛이 입사되는 측에 빛을 산란시키는 거친 표면을 가지며, 제1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도전성 윈도우; 도전성 윈도우 상에 형성되며, 입사된 빛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고, 제1 밴드갭 에너지보다 작은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면서 도전성 윈도우를 구성하는 물질과 다른 이종 물질로 된 광 흡수 영역을 가지는 셀 영역; 그리고, 셀 영역을 기준으로 도전성 윈도우의 반대 측에서 입사된 빛을 셀 영역으로 반사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소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VOLTAIC DECIV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유리 기판 및/또는 투광성 전도 산화막(TCO)의 문제점을 개선한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광기전력 소자는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는 솔라셀과 같은 소자를 일컫는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종래의 광기전력 소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측 상단에, a-Si(amorphous-Silicon; 비결정질 실리콘)을 구성 물질로 하는 솔라셀이, 좌측 하단에, CdTe를 구성 물질로 하는 솔라셀이, 우측에 CuInGaSe2(CIGS)를 구성 물질로 하는 솔라셀이 예시되어 있다. 도 1에서, a-Si 솔라셀과 CdTe 솔라셀은 기판(100)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수퍼스트레이트(Superstrate) 구조로 되어 있으며, CIGS 솔라셀은 기판(100)의 반대 측에서 빛이 입사되는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 구조로 되어 있다. a-Si 솔라셀은 글라스로 된 기판(100),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 예: SnO2)로 된 전극(200), p층(301; 예: p-SiC), 광 흡수 영역으로서 i층(302; 예: i-a-Si), n층(303; 예: n-a-Si), 반사층(401) 그리고, 전극(40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CdTe 솔라셀은 글라스로 된 기판(100),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 예: SnO2)로 된 전극(200), n층(303; 예: CdS), p층(301; 예: p-CdTe), 버퍼층(404) 그리고, 전극(40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CIGS 솔라셀은 글라스로 된 기판(100), 전극(200; 예: Mo), p층(301; 예: p-CuInGaSe2), n층(303; 예: n-CdS), 버퍼층(404; 예: ZnO) 그리고, 전극(40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광기전력 소자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나의 소자 내에 복수의 셀 영역(310,320,330)이 구비되어 있다(예: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5,407,491호). 빛이 소자의 위쪽으로부터 입사될 때 상측에 위치하는 셀 영역(310), 중간에 위치하는 셀 영역(320), 하측에 위치하는 셀 영역(330) 순으로, 위에서부터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광기전력 소자의 전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여러 반도체 물질의 밴드갭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InN: 0.6eV, Ge: 0.65eV, Cu(In,Ga)Se2: 1.04-1.67eV, c-Si: 1.12eV InGaAs: 1.2eV, InP: 1.35eV, GaAs: 1.4eV, CdTe; 1.45eV, InGaP: 1.86eV, GaP: 2.25eV, ZeSe: 2.7eV, ZnO: 3.37eV, GaN: 3.4eV).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다양한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하나의 셀 영역 또는 복수의 셀 영역을 가지는 광기전력 소자가 제시되고 있지만, 기판(100)으로 주로 글라스 기판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글라스로 된 기판(100)은 고온 성장에 적합하지 않아, 박막 솔라셀의 제조에 있어 주로 저온 성장에 적합한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으며, 고온 성장을 이용하여 박막의 양질화를 도모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도 3은 종래의 광기전력 소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광기전력 소자는 기판(100), 전극(200), 빛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셀 영역(300), 그리고 전극(402)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광기전력 소자와 달리, 전극(200; 예: ZnO)에 거친 표면(201)이 형성되어 있다. 거친 표면(201)은 전극(200)의 형성 과정에서 형성되거나, 전극(200)의 형성 후 Surface Texturing 기술(예: Wet Etching 또는 Dry Etch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거친 표면(200)을 구비함으로써,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켜 소자 내로의 광 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거친 표면(201) 위에 셀 영역(300)이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양질의 반도체 물질을 거친 표면(201) 위에 성장시키기에는 많은 제약(Shunting path, pinholes, local depletion 등)이 따른다. 수퍼스트레이트(Superstrate) 구조의 광기전력 소자에 있어서, 전극(200)은 도전성이어야 하며, 투광성이어야 하고, 셀 영역(300) 형성의 기초(Base)가 되고, 양질의 거친 표면(201)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TCO를 이용한 전극(200)으로는 이러한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쉽지 않으며, 한편으로 그 아래에 높은 온도에서 견디지 못하는 글라스로 된 기판(100)이 별도로 구비됨으로써, 셀 영역(300)을 고온 성장 기법으로 형성하기에는 제약이 따른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육방 조밀 격자 구조(Hexagonal Close-Packed Lattice Structure)를 가지는 도전성 윈도우(Conductive Window);로서, 빛이 입사되는 측에 빛을 산란시키는 거친 표면을 가지며, 제1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도전성 윈도우; 도전성 윈도우 상에 형성되며, 입사된 빛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고, 제1 밴드갭 에너지보다 작은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면서 도전성 윈도우를 구성하는 물질과 다른 이종 물질로 된 광 흡수 영역을 가지는 셀 영역; 그리고, 셀 영역을 기준으로 도전성 윈도우의 반대 측에서 입사된 빛을 셀 영역으로 반사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소자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광기전력 소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광기전력 소자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광기전력 소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광기전력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육방 조밀 격자 구조를 가지는 물질에 형성된 거친 표면의 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광기전력 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에 따라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광기전력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광기전력 소자는 도전성 윈도우(23), 셀 영역(30), 그리고 반사층(41)을 포함한다. 도전성 윈도우(23)는 빛이 입사되는 측에 위치되며, 빛을 산란시키는 거친 표면(21)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광기전력 소자와 달리, 거친 표면(21)이 셀 영역(30) 측이 아니라 소자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 거친 표면(21)의 형성이 셀 영역(30)의 형성과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개시에 있어서, 거친 표면(31)이 형성되는 도전성 윈도우(23)는 육방 조밀 격자 구조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방 조밀 격자 구조를 가지는 물질(예: GaN, ZnO)을 표면 텍스쳐링(Surface Texturing; 예: Wet Etching)한 표면은 피라미드 형상을 가지는 매우 규칙적인 돌기들로 이루어져 산란에 매우 유리한 거친 표면(21)을 형성한다. 기판(10)이 제거되고 노출되는 N-face GaN은 습식 식각이 잘 되며, 도시와 같이 양질의 거친 표면(21)을 제공한다. 도전성 윈도우(23)를,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표면 텍스쳐링하는 기술 자체는 당업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육방 조밀 격자 구조를 가지는 대표적인 물질로서, GaN계 화합물 반도체(즉, AlxGayIn1-x-yN(0≤x≤1,0≤y≤1,0≤x+y≤1)로 표현되는 3족 질화물 반도체)와 ZnO계 산화물(예: ZnO, MgZnO)을 들 수 있다. 상세한 제조 방법은 후술하겠지만, 도전성 윈도우(23)는 기판(10) 위에 형성되며, 기판(10)은 광기전력 소자의 다른 요소들이 형성된 후에, 레이저 리프트-오프법, 기계적 연마, 습식 식각 등의 방법으로 도전성 윈도우(23)로부터 제거된다. 기판(10)은 예를 들어, 사파이어, SiC, Si, Ge, SiGe, GaAs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전성 윈도우(23)의 형성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녹는점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예: 사파이어). 셀 영역(30)은 도전성 윈도우(23) 상에 형성되며, 도전성 윈도우(23)를 통해 입사된 빛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한다. 셀 영역(30)은 광 흡수 영역(32)을 가지며, 광 흡수 영역(32)은 셀 영역(30) 내에서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해 빛의 전기 에너지로 전환이 실제로 일어나는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광 흡수 영역(32)은 셀 영역(30)을 n층, i층, p층, 즉 P-I-N 구조로 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p층과 n층을 구비하여 이 사이의 공핍 영역을 광 흡수 영역(32)로 이용하거나, 도전성 윈도우(23)와 다른 도전성을 가지는 단일의 층을 셀 영역(30)으로 구성하여, 도전성 윈도우(23)와 셀 영역(30) 사이의 공핍 영역을 광 흡수 영역(32)으로 이용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이들 사이에 i층이 더 구비되어도 좋다. 즉, 광 흡수 영역(32)은 광기전력 소자 분야에서 통용되는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도전성 윈도우(23)는 입사된 광이 광 흡수 영역(32)에 이르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광 흡수 영역(32)보다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물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전성 윈도우(23)가 n형 GaN으로 이루어질 때, 광 흡수 영역(32)은 Si, Ge, CdTe, CuInGaSe2, AlGaInAs, AlGaInP, 그룹 3족 원소-(As, P, N)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층(41)은 셀 영역(30)을 기준으로 도전성 윈도우(23)의 반대 측에 형성되며, 소자 내로 입사된 빛을 셀 영역(30)으로 반사한다. 예를 들어 반사층(41)은 Ag, Al, Au, Pt, Ni, Mo, Cu, Cr, Ti, TiW, DBR(Distributed Bragg Reflector), ODR(Omni-Directional Reflecto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사층(41)과 셀 영역(30) 사이에 ITO, IO, TO, ZnO, ZITO, SiO2, TiN와 같은 투광성 막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전극(22), 지지 기판(40), 전극(42)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 기판(40)은 본딩층(43)에 의해 결할될 수 있다. 지지 기판(40)은 기판(10)의 제거 과정 및 제거 후에 광기전력 소자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본딩층(43)은 Au, Ni, Pd, Pt, Cu, Ti, W, Cr, CrN, TiW, Sn, In, Zn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기판(40)은 휨이 없는(rigid) 형태 또는 휨이 가능한(flexible)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Sapphire, Si, Refractory Metal(Mo, V, Ti, Cr 등), 글라스, Polyimide, 일반 유기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 흡수 영역(30)은 화학증기증착법(CVD; 예: MOCVD, ALD, PECVD)으로 형성가능하며, 또한 물리증기증착법(PVD; 예: 열 또는 이빔 증착법(Evaporator), 스퍼터링(Sputtering))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투명하고(Transparent), 전기가 통하는(Conducting) 산화물(TCO; ITO, SnO2, In2O3, InZnO, etc) 또는 질화물(TCN; TiN, etc) 또는 산화질화물(TCON, ITON, etc)을 우선 형성하고 Si 등의 셀 영역(30) 물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광기전력 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광 기전력 소자는 두 개의 셀 영역(30A,30B)을 구비한다. 2개 이상의 셀 영역을 구비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미설명 부호 35는 터널 정션(Tunnel Junction)층이다. 도전성 윈도우(23), 셀 영역(30A), 셀 영역(30B)으로 갈수록 작은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에 따라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먼저 (a)에서와 같이, 기판(10) 상에 도전성 윈도우(23)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사파이어로 된 기판(10) 위에, MOCVD법을 이용하여, 500℃ 전후의 온도에서 GaN 버퍼층을 형성한 다음, 1000℃ 전후의 온도에서 도핑되지 않은 GaN층을 형성한 다음, Si으로 도핑된 GaN층을 형성하여 도전성 윈도우(23)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b)에서와 같이, 선택된 물질에 따르는 주지의 방법으로 셀 영역(30)을 형성한 다음, 반사층(41)을 형성한다. 별도로 전극(42)을 구비한 지지 기판(40)을 준비하고(전극(42)은 웨이퍼 본딩 후에 형성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지지 기판(40)과 반사층(41) 중 적어도 일측에 본딩층(43)을 구성하는 물질을 형성한 다음 이들을 접합한다. 다음으로, (c)에서와 같이, 기판(10)을 제거한다. 사파이어, SiC와 같이 투명한 기판(10)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레이저 리프트-오프법에 의해 기판(10)을 제거할 수 있으며(습식 식각 또는 기계적 연만에 의해 제거도 가능), Si,Ge, SiGe, GaAs와 같은 불투명한 기판(10)의 경우에 습식 식각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d)에서와 같이, 거친 표면(21)을 형성하고, 전극(22)을 형성한다. 거친 표면(21)은 습식 식각, 건식 식각, 기계적 연마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에천트(예: KOH, NaOH)를 이용하여 도 5에서와 같은 거친 표면(2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극(22)은 Ti/Ni/Au의 적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육방 조밀 격자 구조(Hexagonal Close-Packed Lattice Structure)를 가지는 도전성 윈도우(Conductive Window);로서, 빛이 입사되는 측에 빛을 산란시키는 거친 표면을 가지며, 제1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도전성 윈도우; 도전성 윈도우 상에 형성되며, 입사된 빛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고, 제1 밴드갭 에너지보다 작은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면서 도전성 윈도우를 구성하는 물질과 다른 이종 물질로 된 광 흡수 영역을 가지는 셀 영역; 그리고, 셀 영역을 기준으로 도전성 윈도우의 반대 측에서 입사된 빛을 셀 영역으로 반사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소자. 여기서, 윈도우는 빛이 들어오는 입구를 의미한다. 도전성 윈도우가 하나의 물질 조성으로 된 층일 때, 제1 밴드갭 에너지는 단일의 값을 가지지만, 도전성 윈도우가 복수의 물질 조성으로 된 층일 때, 제1 밴드갭 에너지는 각각의 밴드갭 에너지의 평균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전성 윈도우를 구성하는 물질과 다른 이종 물질'이라는 것은, 예를 들어, 도전성 윈도우가 GaN계 화합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때 GaN계 화합물 반도체(AlxGayIn1-x-yN(0≤x≤1,0≤y≤1,0≤x+y≤1)가 아닌 물질로 광 흡수 영역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2) 제1 밴드갭 에너지는 3eV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소자. GaN계 화합물 반도체, ZnO계 산화물 및 MgO계 산화물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3eV 이상의 밴드갭 에너지를 가짐으로써, 태양으로부터 대부분의 빛을 흡수 또는 반사시키지 않고 셀 영역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물질이 높은 녹는점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3eV이상의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도전성 윈도우를 셀 영역을 형성하는 기초(base)로 사용함으로써, 고온 및 저온에서 적용가능한 다양한 셀 영역 형성 기법(PECVD법, MOCVD법, MBE법, HVPE법, Sputtering, Evaporator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 광 흡수 영역의 밴드갭 에너지는 2eV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소자. 이러한 구성을 통해 Si과 같은 물질을 광 흡수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셀 영역은 실리콘(Si)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소자.
(5) 셀 영역은 그룹 3족-비소(As)으로 결합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소자.
(6) 셀 영역은 그룹 3족-인(P)으로 결합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소자.
(7) 셀 영역은 Cu-In-Ga-S(Se)으로 결합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소자.
(8) 도전성 윈도우는 아연(Zn) 또는 마그네슘(Mg)을 포함하는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전력 소자(예: ZnO, MgZnO, MgO).
(9) 셀 영역은 염료감응형 다이(Dye)와 같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광기전력 소자에 의하면, 기존 유리 기판 및/또는 투광성 전도 산화막(TCO)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광기전력 소자에 의하면, 셀 영역을 고온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판(substrate) 내지 기초(base)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광기전력 소자에 의하면, Shunting path, pinholes, local depletion 등의 문제점 해소할 수 있는 거친 표면을 구비한 광기전력 소자를 만들 수 있게 된다.
100: 기판, 200: 전극, 300: 셀 영역, 402: 전극

Claims (1)

  1. 육방 조밀 격자 구조(Hexagonal Close-Packed Lattice Structure)를 가지는 도전성 윈도우(Conductive Window);로서, 빛이 입사되는 측에 빛을 산란시키는 거친 표면을 가지며, 제1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는 도전성 윈도우; 도전성 윈도우 상에 형성되며, 입사된 빛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고, 제1 밴드갭 에너지보다 작은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면서 도전성 윈도우를 구성하는 물질과 다른 이종 물질로 된 광 흡수 영역을 가지는 셀 영역; 그리고, 셀 영역을 기준으로 도전성 윈도우의 반대 측에서 입사된 빛을 셀 영역으로 반사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며, 셀 영역을 기준으로 반사층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도전성 윈도우가 빛이 입사되는 측에 구비되는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판 상에 도전성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도전성 윈도우 상에 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셀 영역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기판을 제거하여 도전성 윈도우를 노출하는 단계; 그리고,
    도전성 윈도우에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거친 표면의 형성이 셀 영역의 형성과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셀 영역의 반대 측에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10044139A 2020-08-18 2021-04-05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KR10244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39A KR102447410B1 (ko) 2020-08-18 2021-04-05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156A KR20200101886A (ko) 2020-08-18 2020-08-18 광기전력 소자
KR1020210044139A KR102447410B1 (ko) 2020-08-18 2021-04-05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156A Division KR20200101886A (ko) 2020-08-18 2020-08-18 광기전력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675A KR20210059675A (ko) 2021-05-25
KR102447410B1 true KR102447410B1 (ko) 2022-09-27

Family

ID=722659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156A KR20200101886A (ko) 2020-08-18 2020-08-18 광기전력 소자
KR1020210044139A KR102447410B1 (ko) 2020-08-18 2021-04-05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156A KR20200101886A (ko) 2020-08-18 2020-08-18 광기전력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0188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829A (ja) * 1998-10-27 2000-05-12 Canon Inc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20130112275A1 (en) * 2011-11-07 2013-05-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heterojunction photovoltaic device with wide band gap emit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3829A (ja) * 1998-10-27 2000-05-12 Canon Inc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20130112275A1 (en) * 2011-11-07 2013-05-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heterojunction photovoltaic device with wide band gap e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886A (ko) 2020-08-28
KR20210059675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536B1 (ko) 탠덤형 박막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5156090B2 (ja) Cis系太陽電池の集積構造
KR101103770B1 (ko) 화합물 반도체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9166077B2 (en) Thin film solar cell
US9812593B2 (en) Solar cell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JPWO2009110092A1 (ja) Cis系太陽電池の積層構造、及び集積構造
US9935211B2 (en) Back contact structure for photovoltaic devices such as copper-indium-diselenide solar cells
US20130104985A1 (en) Photovoltaic device with mangenese and tellurium interlayer
JP6366914B2 (ja) 多接合型太陽電池
KR101975522B1 (ko) 투광형 cigs계 박막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55544A1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47583A (ko)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15251B1 (ko) 다중 버퍼층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그 생산방법
KR102447410B1 (ko) 광기전력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WO2015005695A1 (ko) 광기전력 소자
KR101349484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34079A (ko) 이셀렌화몰리브덴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7059656A (ja) 光電変換素子および太陽電池
EP3300122A1 (en) Material structure for a solar cell and a solar cell comprising the material structure
EP2733747A2 (en) Solar cell
KR20150122096A (ko) 광기전력 소자
US9570636B2 (en)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90122190A (ko) 광기전력 소자
KR20190041438A (ko) 광기전력 소자
KR20120034964A (ko) 기판, 상기 기판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