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352B1 -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352B1
KR102446352B1 KR1020210124017A KR20210124017A KR102446352B1 KR 102446352 B1 KR102446352 B1 KR 102446352B1 KR 1020210124017 A KR1020210124017 A KR 1020210124017A KR 20210124017 A KR20210124017 A KR 20210124017A KR 102446352 B1 KR102446352 B1 KR 102446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product
online
shopping mall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애
Original Assignee
안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애 filed Critical 안경애
Priority to KR102021012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입력하는 구매자 단말,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 판매를 수행하는 판매자 서버 및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자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신되는 구매 요청에 따른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확인 응답을 입력받고 주문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판매자 서버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구매자가 상품을 선택하기만 하면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페이지로 자동적으로 링크 연결되어 결제나 배송 처리까지 한 번에 처리 가능한 온라인 자동 주문이 가능한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Method for On-line Automatic Ordering, System for On-line Automatic Order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자가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를 수행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메일, 뉴스그룹, 파일전송 및 정보 전달 및 검색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의 수와 인터넷 소비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인터넷의 상업적 이용 즉,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란 재화나 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 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거래를 말한다. 전자상거래는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와 유사하게, 상거래 주체들이 모두 참여하게 된다. 가장 간단한 전자상거래이 경우, 물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상점(Cyber mall; 이하 "쇼핑몰"이라 함), 쇼핑몰에서 물건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 제품에 대한 금전관계에 관여하는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 등이 전자상거래에서 거래의 주체가 된다.
이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소비자는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로 가상상점에 접속하여 쇼핑을 한다. 구매를 원하는 제품을 발견하면 쇼핑몰에 구매의사를 전달하고, 신용카드번호 및 비밀번호와 같은 결재수단을 제공한다.
쇼핑몰은 고객이 제시한 신용카드번호 및 비밀번호를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에 조회하고 대금지급을 요청한다.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가 대금을 쇼핑몰에 지급하면 가상상점은 제품을 고객에게 배달함으로써 구매과정(거래: transaction)이 완료된다.
인터넷을 통한 상품의 구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 쇼핑몰에서만 쇼핑을 할 경우 구매하고자 하는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쇼핑몰들에 대한 가격정보를 검색할 수 없다.
따라서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할 수 있으며, 한 소비자가 여러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할 경우 각각의 회원번호 및 비밀번호 관리가 불편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거래하는 각 쇼핑몰에 모두 제공하여야 하므로 쇼핑몰에 따라서는 중요한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구매 후 배달된 상품에 하자가 있을 경우 제대로 보상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각각의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정보만을 수집하여 소비자들에게 제공하여 비교 쇼핑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상품정보 검색 서비스가 개발되어 실제로 서비스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 한번의 회원등록을 통해 현존하는 수많은 쇼핑몰에서 상품을 일괄적으로 구매 대행하는 인터넷 쇼핑구매대행 서비스 등이 창안되어 소비자와 판매자를 중개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인터넷 쇼핑 중개 서비스 방법들이 개발되어 활용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들 인터넷 중개 기능 중 상품검색 서비스 사이트들은 단순히 상품정보(상품명, 가격, 판매하는 쇼핑몰의 URL 등)에 대한 상품 검색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어 소비자가 직접 쇼핑몰에 접근하여 상품을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구매대행 서비스 사이트 경우에도 고객이 한 번에 여러 쇼핑몰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은 인정되나, 거래행위가 두 번 발생하는 문제점(소비자와 구매대행사이트 간의 거래, 구매대행사이트와 쇼핑몰 간의 거래)이 있어 세금 부과시 이중의 세금처리가 요구되고, 소비자의 구매행위가 구매 대행 사이트에 의하여 발생되므로 인터넷 쇼핑에서의 소비자 구매정보가 크게 변질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인터넷을 통해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로서는 이들 인터넷 쇼핑몰을 모두 뒤져서 원하는 상품을 가장 저렴하게 판매하는 곳에서 물품을 구매하면 좋겠지만, 우후죽순 격으로 늘어나는 인터넷 쇼핑몰을 모두 찾아다닌다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어디에서 어떠한 가격으로 판매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미리 각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두고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입력하면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과 그 쇼핑몰에서의 판매가격을 열거해서 보여주는 쇼핑몰 검색 사이트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쇼핑몰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면,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을 어느 쇼핑몰에서 어떠한 가격으로 판매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인터넷 쇼핑이 매우 편리해진다. 또한, 각 쇼핑몰에서의 판매가격을 비교해서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서는 저렴한 가격으로 원하는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각 쇼핑몰에서 물품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해당 쇼핑몰에 가입을 해야 한다. 따라서, 해당 쇼핑몰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입력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신상정보의 유출에 대한 우려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각 쇼핑몰에서의 물품 대금 지불 방법은 쇼핑몰마다 다르므로 해당 쇼핑몰의 물품 대금 지불방법에 맞추어 대금을 지불해야 하므로 여러 물품을 서로 다른 쇼핑몰에서 구입하게 되는 경우에는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원하는 상품을 어느 쇼핑몰에서 어떠한 가격으로 판매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중에서 선택한 상품을 자신의 신상정보를 해당 쇼핑몰에 제공하지 않고도 일관된 방법으로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00-0012750 A KR 10-2000-0030635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구매자가 일일이 쇼핑몰 사이트마다 회원 가입 및 신상 정보 입력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한 번의 회원 가입및 개인 정보 입력만으로도 하나 이상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통합 검색/구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수의 쇼핑몰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물품들을 직접 쇼핑몰 각각에 접속하여 구매하는 것과 동일하게 처리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을 판매자가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물품의 구매를 용이하게 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구매자가 상품을 선택하기만 하면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페이지로 자동적으로 링크 연결되어 결제나 배송 처리까지 한 번에 처리 가능한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의 편리함을 극대화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구매자로부터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관리자로부터 상기 구매자로부터 수신되는 구매 요청에 따른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확인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수신되는 주문 확인 응답에 따라 주문 상품을 판매중인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의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입력하는 구매자 단말,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 판매를 수행하는 판매자 서버 및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자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신되는 구매 요청에 따른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확인 응답을 입력받고 주문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판매자 서버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구매자 단말로부터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자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신되는 구매 요청에 따른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확인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및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주문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서버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매자가 일일이 쇼핑몰 사이트마다 회원 가입 및 신상 정보 입력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한 번의 회원 가입및 개인 정보 입력만으로도 하나 이상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통합 검색/구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수의 쇼핑몰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물품들을 직접 쇼핑몰 각각에 접속하여 구매하는 것과 동일하게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을 판매자가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물품의 구매를 용이하게 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구매자가 상품을 선택하기만 하면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페이지로 자동적으로 링크 연결되어 결제나 배송 처리까지 한 번에 처리 가능한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의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 또는 전용 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을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20a, 20b, 20c...)은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에서 제공하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 또는 전용 앱에 회원가입 한 구매자가 소지하는 단말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매자 단말(20a, 20b, 20c..)은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에서 제공하는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입력한다.
구매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 또는 전용 앱에 회원 가입시에 상품 결제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하거나, 상품 배송에 필요한 배송 정보를 입력한다. 뿐만 아니라 결제시 필요한 인증 과정을 거쳐 향후 거래에 대한 결제 처리 과정에서 인증 과정을 생략하도록 약정 선택항목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동의를 얻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구매자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가입하여 개인 정보를 공유하지 않아도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개시되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 또는 전용 앱에 한번만 가입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에서 운영하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 또는 전용 앱에 가입하는 것으로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 즉 구매 사이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물품들의 구매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복잡한 결제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클릭 한번으로 물품의 구매가 가능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 서버(30)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 판매를 수행한다. 판매자 서버(30)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용하는 운영사 서버로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판매자 서버(30)에서 구동, 관리하는 온라인 쇼핑몰은 다양한 형태의 쇼핑몰 형태를 포괄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판매자 서버(30)에서 운용하는 온라인 쇼핑몰은 국내 또는 해외의 온라인 쇼핑몰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 판매자들의 판매 물품을 업로드하는 포털 형태의 온라인 쇼핑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구매대행 사이트 또는 드롭쉬핑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판매자 서버(30)에서 배송 후 운송장 번호가 업데이트되면 자동으로 운송장 번호를 고객에게 이메일로 보낸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에서 제공하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쇼핑하는 경우, 클릭 한번이면 자동주문 시스템이 주문부터 결제, 운송장 번호까지 한번에 처리해줄 수 있다.
판매자 단말(35a, 35b, 35c...)은 판매자 서버(30)에서 구동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상품을 업로드하고 판매하는 판매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매자 단말(20a, 20b, 20c...) 및 판매자 단말(35a, 35b, 35c...)은 IP 할당된 단말기로서 인터넷 등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한다. 일예로 데스크탑 PC(desktop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와 구매자 단말(20a, 20b, 20c..),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와 판매자 서버(30), 판매자 서버(30)와 판매자 단말(35a, 35b, 35c..) 간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구매자 단말(20a, 20b, 20c..)로부터 판매자 서버(30)에 의해 구동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로부터 수신되는 구매 요청에 따른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확인 응답을 입력받고 주문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서버(30)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 단말(20a, 20b, 20c..)로부터의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관리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서버(30)에서 구동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주문 상품 목록으로 제공하고, 제공된 주문 상품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문 상품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주문 확인 응답에 따라 주문 상품을 판매중인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의 주문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 즉 구매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기 입력된 구매자의 결제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통신부(100), 구매 요청 수신부(110), 응답 입력부(120), 구매 요청 전달부(130), 상품 목록 제공부(140), 결제 처리 요청부(150), 번역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00)는 유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및 외부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100)는 구매자 단말(20a, 20b, 20c ...)로부터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개시된 판매 물품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등 구매자 단말(20a, 20b, 20c ...)과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판매자 서버(30)에서 구동되는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 요청을 전송하는 등 판매자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구매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처리에 필요한 카드사 서버나 은행 서버와 통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매 요청 수신부(110)는 구매자 단말(20a, 20b, 20c..)로부터 통신부(100)를 통해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구매 요청은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 에서 클릭하거나 전용 앱에서 터치로 상품 구매 버튼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응답 입력부(120)는 관리자로부터 구매자로부터 수신되는 구매 요청에 따른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확인 응답을 입력받는다. 관리자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에서 구동되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하는 관리자일 수 있다.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구매 요청 전달부(130)는 응답 입력부(120)로 수신되는 주문 확인 응답에 따라 주문 상품을 판매중인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 단말(20a, 20b, 20c..)로 부터의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상품 목록 제공부(140)는 관리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주문 상품 목록으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자는 판매자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업로드하고 싶은 상품을 취사선택할 수 있다.
상품 목록 제공부(140)는 상품 항목을 선택하면 관리자가 선택한 상품이 판매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해당 상품의 구매가 가능한 웹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 주소 정보를 포함하여 상품 목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구매 요청 수신부(110)는 상품 목록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상품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문 상품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제 처리 요청부(150)는 구매자로부터의 주문 확인 응답에 따라 주문 상품을 판매중인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의 주문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
번역부(160)는 온라인 쇼핑몰에 링크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번역하여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인이 해외의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상품을 선택한 경우에 자동으로 선택한 상품에 대한 정보나 거래 약관 정보를 구매자가 선택한 용어로 자동 번역하여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외 직구 사이트에 업로드 되는 상품들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저장부(170)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 구동에 필요한 전반적인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회원 가입한 구매자의 회원 가입시 입력한 기본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나 개인 통관 고유 번호와 같은 상품 거래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이 가능한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관리자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들 중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업로드하고 싶은 상품을 선택한다.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는 관리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주문 상품 목록으로 제공한다(S200).
그리고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는 구매자로부터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S210),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는 관리자로부터 구매자로부터 수신되는 구매 요청에 따른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확인 응답을 입력받는다(S220)
이때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것은 주문 상품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문 상품을 선택받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주문 확인 응답에 따라 주문 상품을 판매중인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의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한다(S230).
이후에 수신되는 주문 확인 응답에 따라 주문 상품을 판매중인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의 주문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S240). 추가적으로 결제 처리 이전에 구매자에게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먼저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서버(30)에서 구동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링크 정보를 획득한다(S300). 이때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를 운용하는 관리자로부터 선택받은 주문 상품에 대해서 링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면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주문 상품 목록으로 제공한다(S310).
이때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에서 제공된 주문 상품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문 상품을 선택받는다.
이후에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20)을 통해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한다(S320).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구매자 단말(20)로부터 판매자 서버(30)에 의해 구동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로부터 수신되는 구매 요청에 따른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확인 응답을 입력받는다(S330).
이후에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주문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서버(30)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 단말(20)로부터의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한다(S340).
추가적으로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판매자 서버(30)로 구매자 즉 주문자 정보, 카드 정보나 개인 통관 고유 번호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주문 확인 응답에 따라 주문 상품을 판매중인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의 주문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S350).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구매자로부터 주문 확인 및 결제 요청 과정을 거친 후에 구매자의 주문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에 판매자 서버(30)는 판매자 단말(35)로 상품 구매 요청에 따른 상품 판매 정보를 전달하고, 주문 상품에 대한 결제 확인을 요청한다(S360).
판매자 서버(30)는 판매자 단말(35)로부터 결제 처리 확인이 수신되면(S370),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결제 처리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75).
이후에 판매자 단말(35)은 구매 처리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 및 배송 안내 메시지를 구매자 단말(20)로 전송한다(S390).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자동 주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드롭 쉬핑이 가능한 사이트 즉 온라인 쇼핑몰에 진열된 제품중 판매하고 싶은 제품을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 혹은 전용 앱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한다.
드롭쉬핑(DropShipping)은 셀러가 재고를 미리 두지 않고 주문을 받고 구매하는 이커머스 판매방식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자는 드롭 쉬핑이 가능한 사이트에 진열된 제품 중 판매하고 싶은 제품을 내 홈페이지 즉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로 가져온다.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서 구매자로부터 주문이 들어오면 관리자는 'order'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그러면 'order' 버튼을 클릭함과 동시에 마우스 커서가 자동으로 움직이면서 제품 데이터를 가져온 드롭쉬핑 사이트 즉 온라인 쇼핑몰로 들어가 주문이 들어온 제품을 찾아서 구매 버튼을 활성화 시킨다.
그리고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주문자(구매자)의 정보(성함,주소,전화번호,배송메세지 등)를 자동으로 판매자 서버에 입력한다.
이 후에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주문자(구매자) 정보와 카드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며, 카드 결제 직전에 멈춰진다. 결제 내용 확인 및 오류 결제 방지차 최종 단계 결제 버튼 클릭은 관리자가 직접 클릭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자동으로 구매자에게 발주완료 이메일을 보내고, 드롭쉬핑 사이트의 판매자에게도 자동으로 미리 설정해 둔 배송관련하여 안내 메세지를 보낸다.
그리고 드롭 쉬핑 사이트 즉 온라인 쇼핑몰에서 운송장 번호가 업데이트되면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자동으로 운송장 번호를 고객에게 이메일로 보낸다. 클릭 한번이면 자동주문 시스템이 주문부터 결제, 운송장 번호까지 한번에 처리 해주는 온라인 자동 주문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로 제품의 주문이 끝나면 판매자가 미리 설정된 배송 안내 메세지를 자동으로 구매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방대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품 구매시에 쇼핑몰마다 상이하고 번거로운 주문작업 절차를 클릭 한번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
20, 20a, 20b, 20c… : 구매자 단말
30 : 판매자 서버 35, 35a, 35b, 35c… : 판매자 단말
100 : 통신부 110 : 구매 요청 수신부
120 : 응답 입력부 130 : 구매 요청 전달부
140 : 상품 목록 제공부 150 : 결제 처리 요청부
160 : 번역부 170 : 저장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입력하는 구매자 단말;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 판매를 수행하는 판매자 서버; 및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자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신되는 구매 요청에 따른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확인 응답을 입력받고 주문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판매자 서버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관리자로부터 상기 판매자 서버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주문 상품 목록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주문 상품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문 상품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결제시 필요한 인증 과정을 거쳐 향후 거래에 대한 결제 처리 과정에서 인증 과정을 생략하도록 약정 선택항목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동의를 얻는 기능을 수행하고,
    관리자로부터 판매자 서버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한 상태에서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업로드 원하는 상품을 선택받고, 관리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주문 상품 목록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주문 확인 응답에 따라 주문 상품을 판매중인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의 주문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구매자 단말로부터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판매자 서버에 의해 구동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면, 관리자로부터 상기 수신되는 구매 요청에 따른 주문 상품에 대한 주문 확인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 및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주문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서버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의 주문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관리자로부터 상기 판매자 서버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주문 상품 목록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주문 상품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문 상품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자동 주문 전용 앱 또는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를 통해 결제시 필요한 인증 과정을 거쳐 향후 거래에 대한 결제 처리 과정에서 인증 과정을 생략하도록 약정 선택항목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동의를 얻는 기능을 수행하고,
    관리자로부터 판매자 서버가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한 상태에서 자동 주문 전용 웹사이트에 업로드 원하는 상품을 선택받고, 관리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주문 상품에 대한 링크 정보를 획득하여 주문 상품 목록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주문 확인 응답에 따라 주문 상품을 판매중인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자의 주문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210124017A 2021-09-16 2021-09-16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446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017A KR102446352B1 (ko) 2021-09-16 2021-09-16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017A KR102446352B1 (ko) 2021-09-16 2021-09-16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352B1 true KR102446352B1 (ko) 2022-09-22

Family

ID=8344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017A KR102446352B1 (ko) 2021-09-16 2021-09-16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3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750A (ko) 1999-12-22 2000-03-06 신명희 인터넷 쇼핑 중개 사이트의 주문 대행 방법
KR20000030635A (ko) 2000-03-09 2000-06-05 안영경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및 쇼핑 중개 방법
KR20180054346A (ko) * 2016-11-15 2018-05-24 (주)인터데브 통합핀 쇼핑 정보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90007871A (ko) * 2017-07-14 2019-01-23 십일번가 주식회사 해외 구매 대행을 위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49103B1 (ko) * 2019-08-02 2020-08-27 김보중 통합 주문 및 통합 배송이 가능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750A (ko) 1999-12-22 2000-03-06 신명희 인터넷 쇼핑 중개 사이트의 주문 대행 방법
KR20000030635A (ko) 2000-03-09 2000-06-05 안영경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및 쇼핑 중개 방법
KR20180054346A (ko) * 2016-11-15 2018-05-24 (주)인터데브 통합핀 쇼핑 정보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90007871A (ko) * 2017-07-14 2019-01-23 십일번가 주식회사 해외 구매 대행을 위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49103B1 (ko) * 2019-08-02 2020-08-27 김보중 통합 주문 및 통합 배송이 가능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6351B2 (ja) 通信セッションの状態の保存
US201402792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web-based purchases
US201201236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d interacting with a virtual marketplace
KR101660779B1 (ko) 가격 정보의 검색이 가능한 부품 중개 시스템
KR10160990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44771B2 (en) Electronic commerce method capable of integrated ordering and integrated delivery, and server therefor
US20150178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electronic commerce using offline transaction information
KR2019003350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44823A (ko)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9519926B2 (en) Buy now option from map view
KR20230170879A (ko) 노출지수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85781B1 (ko) 자동번역을 이용한 소스 쇼핑몰로부터 타겟 쇼핑몰로의 상품 간편등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6300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6352B1 (ko)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온라인 자동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WO2017166534A1 (zh) 在线购买会员服务的方法和装置
KR20120137544A (ko) 소셜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21594B1 (ko) 포털 사이트 기반의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KR20220098102A (ko) 타임-인터리빙에 기초한 전자-상거래 가격 분포의 실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59385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 shopping experience within a retail store
KR101615363B1 (ko)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77577A (ko) 의류 상품 관리 및 구매 시스템
US20220351273A1 (en) Integrated smart shopping cart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and operating plurality of online shopping mall carts
US8694428B2 (en) Consumer oriented services system and method
KR101549482B1 (ko) 위치 기반의 부동산 중개 의뢰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2341315B1 (ko) 판매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