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227B1 -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227B1
KR102446227B1 KR1020200132772A KR20200132772A KR102446227B1 KR 102446227 B1 KR102446227 B1 KR 102446227B1 KR 1020200132772 A KR1020200132772 A KR 1020200132772A KR 20200132772 A KR20200132772 A KR 20200132772A KR 102446227 B1 KR102446227 B1 KR 102446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gulant
mixing
water
tank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903A (ko
Inventor
조의성
송지영
Original Assignee
조의성
송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의성, 송지영 filed Critical 조의성
Priority to KR102020013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2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3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 B01F35/531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with baffles, plates or bars on the wall or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5Baffles; Flow 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04Mixing chemical components in generals in order to improve chemical treatment or reactions, independently from the specific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50Mixing mined ingredients and liquid to obtain slur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를 생산하는 설비에서 응집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탈수스크린 상으로 파쇄 원석과 급수조(15)의 용수를 공급하면서 입도별 모래를 분급하는 분급기(30); 상기 급수조(15)의 하류측에 연결되고, 응집제통(42)을 탑재하는 약제탱크(40); 및 상기 약제탱크(40)의 하류 측에 연결되고, 용수와 응집제의 혼합을 유발하는 혼합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수단(50)은 주입관(48)을 개재하여 디캔터(20)로 용수와 응집제를 이송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일련의 공정으로 원석을 분쇄하고 선별하여 모래 골재를 생성함에 있어서 응집제의 혼합과 조절이 원활하기 때문에, 작은량의 응집제만으로도 탁도가 낮은 물의 재순환에 의한 모래의 분급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 그리고 자원절약을 동시에 도모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Description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Coagulant supply and mixing apparatus for sand production facility}
본 발명은 모래 골재를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련의 공정으로 원석을 분쇄하고 선별하여 모래 골재를 생성하기 위한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건설경기의 활성화에 기인하여 하천모래가 고갈되면서 바다모래가 사용되었지만 대규모 건설과 골재파동을 거치면서 모래의 수급이 약화되어 산림골재로 다변화되고 있다. 어느 경우에나 골재 생산에 따른 자원 낭비와 더불어 환경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환경의 문제로 인하여 강변과 해변의 골재가 바닥을 드러내면서 해마다 산림골재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데, 골재채취의 허가면적이 크게 증가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자원 절약 기술이 절실하다. 자원 절약과 더불어 물 사용량과 슬러지의 배출량 감소에 의한 친환경적 요소도 중요하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 하기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46574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2301호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전자는 샌드유니트를 통과한 입자와 물은 교반탱크로 진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응집제를 투여하여 즉시 슬러지탱크로 진입되도록 하고, 슬러지탱크로 진입된 물과 슬러지를 필터프레스로 공급하여 슬러지케익은 지상으로 배출하고 물은 침전수탱크로 공급한다. 이에, 인조모래 외에 자갈, 기층재를 얻어 고갈 상태의 천연모래를 대체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는 분별스크린에서 석재세척시 배출되는 슬러지와 원수를 디캔터에 일시 저장하고, 원수탱크에서 디캔터로 투입되는 원수와 폴리머탱크의 폴리머를 골고루 혼합하여 공급하며, 폴리머 혼합기는 골고루 혼합되도록 다공판과 측벽에 접합된 복수개의 격판들을 포함한다. 이에, 필터프레스의 슬러지 처리부하를 줄이고 처리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응집제(폴리머)가 모래 제조에서 발생한 잔토와 동시에 디캔터에 바로 주입되며, 이 경우 잔토가 큰 부피의 디캔터에 분산 또는 확산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디캔터 내에서 잔토의 분산 및 확산으로 인하여 디캔터 내의 농도 또는 산도가 일정하지 않고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적절한 양의 응집제를 투입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하여 응집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면서 응집에 필요한 응집제(폴리머)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응집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면 모래의 분급에 재활용 가능한 낮은 탁도의 물을 적절한 시간 내에 분류가 어렵고, 이로 인하여 물을 재순환시켜 투입할 수 없기 때문에 모래생산에 필요한 물을 외부에서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밖에 없는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많은 양의 응집제의 사용과 모래생산에 필요한 많은 양의 물은 비용 상승과 더불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동시에 모래분급의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심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46574호 "천연 인조모래의 제조방법" (공개일자 : 1999.07.05.)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2301호 "모래 생산설비의 슬러지 응집처리용 폴리머 혼합기" (공개일자 : 2001.09.26)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련의 공정으로 원석을 분쇄하고 선별하여 모래 골재를 생성함에 있어서 응집제의 혼합과 조절이 원활하여 작은 양의 응집제로도 빠른 시간 내에 모래생산이 충분히 가능할 정도의 탁도가 낮은 물을 빠른 시간 내에 재순환시키면서 모래의 분급이 가능한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래를 생산하는 설비에서 응집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탈수스크린 상으로 파쇄 원석과 급수조의 용수를 공급하면서 입도별 모래를 분급하는 분급기; 상기 급수조의 하류측에 연결되고, 응집제통을 탑재하는 약제탱크; 및 상기 약제탱크의 하류 측에 연결되고, 용수와 응집제의 혼합을 유발하는 혼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수단은 주입관을 개재하여 디캔터로 용수와 응집제를 이송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혼합수단의 혼합탱크는 0.125m3 이상이면서 디캔터의 5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의 용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관은 0.2m 이상의 직경을 갖는 관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관은 직선관재 및 나선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1m 이상의 길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혼합수단은 약제탱크의 하류에 연결되는 혼합탱크, 혼합탱크의 내부에 교호로 설치되는 배플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플판 중의 적어도 일부는 자세 변동을 유발하도록 링크와 구동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배플판은 단부로 응집제를 분사하도록 저면 또는 내부에 분사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분급기, 약제탱크, 혼합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어수단을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제어기, 용수와 응집제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기, 혼합수단의 혼합 상태를 검출하는 혼합검출기, 혼합수단의 하류측에서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일련의 공정으로 원석을 분쇄하고 선별하여 모래 골재를 생성함에 있어서 응집제의 혼합과 조절이 원활하여 빠른 시간과 적은 양의 응집제만으로도 응집이 유발되므로 모래 골재를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탁도가 낮은 물의 재순환에 의한 모래의 분급이 가능하며 현재 생산설비에 적용하여 발명에 대한 효과가 증명되고 있다.
같은 량의 골재를 생산할 때 필요한 물의 량을 40%정도 절약하였고, 이에 필요한 응집제의량도 50%이상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 이로써, 원가절감과 동시에 자원절약과 환경개선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하는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적인 배관연결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장치를 실제로 구현한 모습
도 3은 본 발명의 혼합장치를 이용하여 잔토가 응집되어 있는 모습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회로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모래를 생산하는 설비에서 응집제를 공급 및 혼합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일련의 공정으로 원석에서 원료를 생성한 후에 최종적으로 모래 골재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의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응집제를 공급하기 이전의 공정과 응집제를 공급한 이후의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급기(30)가 탈수스크린 상으로 파쇄 원석과 급수조(15)의 용수를 공급하면서 입도별 모래를 분급하는 구조이다. 도 1에서 분쇄기(10)의 하류측으로 2개의 탈수스크린(31)(32)과 수집탱크(33)를 갖춘 분급기(30)를 예시한다. 파·분쇄된 원석은 진동스크린에서 설정된 입도 범위의 원료로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급수조(15)의 용수는 진동스크린에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급수조(15)는 용수의 소실분 및 증발분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수관을 구비한다.
한편, 2단계의 탈수스크린(31)(32)을 거쳐 원료에서 중사와 미장사를 생성한 이후 사이클론(35)과 탈수관(37)으로 유동하는 용수에는 다량의 잔토가 혼합되어 있다. 미립 형태의 잔토는 디캔터(20)에서 물과 분리되고 슬러지저장조(22), 필터프레스(24)를 거쳐 케이크로 폐기된다. 디캔터(20)에서 분리된 물은 순환수관(26)을 거쳐 급수조(15)로 유입되어 용수로 재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집제통(42)을 탑재하는 약제탱크(40)가 상기 급수조(15)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약제탱크(40)는 급수조(15)의 하류측에 급수관(17)을 개재하여 연결된다. 약제탱크(40)의 상면에는 응집제통(42)이 탑재된다. 응집제통(42)은 황산알루미늄, 황산제2철, 폴리염화알루미늄 등의 무기계 외에 고분자의 유기계 응접제를 선택적으로 저장한다. 급수관(17)의 용수로 약제탱크(40)에서 응집제의 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응집제는 탈수관(37)으로 이송되는 혼탁(콜로이드) 상태의 용수에서 잔토의 응집과 침강을 유발한다.
하지만, 혼탁 용수와 응집제의 혼합이 원활하지 않으면 디캔터(20)의 기능 저하로 빠른 시간 내에 탁도가 높은 혼탁 용수로부터 모래생산에 재활용이 가능한 탁도가 낮은 물과 슬러지로 분리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생산되는 모래의 생산성 및 품질의 저하 그리고 슬러지의 배출량 증대를 초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수와 응집제의 혼합을 유발하는 혼합수단(50)이 상기 약제탱크(40)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혼합수단(50)은 약제탱크(40)에서 디캔터(20)로 이르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혼탁 용수와 응집제의 충분한 혼합을 유발하여 응집이 빠른 시간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혼합수단(50)의 크기는 모래 제조 시 발생되는 잔토의 량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혼합수단(50)의 혼합탱크(51)는 0.125m3 이상이면서 디캔터(20)의 5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의 용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 1. 같은 량의 골재생산 시 혼합탱크(51)의 내부공간에 따른 응집제량의 변화
Figure 112020502615623-pat00001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혼합수단(50)을 구성하는 혼합탱크(51)의 내부용량은 최소 0.125m3 이상으로 설정해야 교반에 충분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혼합탱크(51)는 정육면체 또는 그에 준하는 용량의 원통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만 최적의 혼합탱크(51)의 크기는 모래분급량의 기준으로 정하지만, 너무 큰 것은 불필요한 외형의 증대와 더불어 실효성(경제성)의 약화를 유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혼합수단(50)은 주입관(48)을 개재하여 디캔터(20)로 용수와 응집제를 이송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약제탱크(40), 혼합수단(50), 디캔터(20) 등이 약제공급관(44)과 주입관(48)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혼합수단(50)의 혼합탱크(51)에서 응집제와 혼합된 잔토는 주입관(48)을 통하여 디캔터(20)로 이동한다. 응집제와 혼합된 잔토는 디캔더(20)에 도달 시 바로 침전이 진행될 정도로 충분한 응집이 주입관(48)을 이동되는 동안에 일어난다. 이에 모래수급에 재활용할 수 있는 낮은 탁도의 물을 빠른 시간 내에 분리 및 분류하는 성능의 실현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혼합수단(50)이 모래생산설비에 적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주입관(48)의 직경은 0.2m이상이면서, 직선관재 및 나선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1m 이상의 길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 2. 같은 량의 잔토를 기준으로 한 주입관의 길이에 따른 물사용량의 변화
Figure 112020502615623-pat00002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바람직한 주입관(48)의 최소길이는 1m 이상일 경우, 잔토가 응집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어서 모래생산에 필요한 물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주입관(48)의 최소 길이는 1m 이상이며, 모래분급 시 발생하는 잔토의 량에 따라서 주입관(48)의 길이는 비례한다. 주입관(48)은 도시처럼 직선관재로 구성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으나 나선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직선관재와 나선관재를 혼합한 형태도 적용이 가능하다. 주입관(48)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면 주입관(48)내의 유속이 느려져서 잔토가 주입관(48)내에 침전이 발생할 수 있다. 주입관(48)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직선관재보다 나선관재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경우에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비용절감과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3은 혼합탱크(51)와 주입관(48)을 통과한 잔토를 보여준다. 혼합탱크(51)와 주입관(48)을 이동하면서, 잔토가 완벽하게 응집되어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런 상태의 응집된 잔토는 디캔터(20) 이동한 후 바로 침전이 일어날 수 있는 상태이어서, 디캔터(20)에서 더 이상의 응집제 필요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침전이 가능하다. 잔토의 빠른 침전은 도 4처럼 낮은 탁도의 물이 생성되어 골재 생산에 바로 재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디캔더(20)에서 침전 후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혼합수단(50)은 약제탱크(40)의 하류에 연결되는 혼합탱크(51), 혼합탱크(51)의 내부에 교호로 설치되는 배플판(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혼합수단(50)의 혼합탱크(51)가 배플판(52)을 수용하면서 약제공급관(44)과 주입관(48)에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다. 혼합탱크(51)의 내부에는 일측의 배플판(52)과 타측의 배플판(52)이 경사지게 교호로 배치된다. 혼합탱크(51)에서 가장 상측의 배플판(52)의 상부로 탈수관(37)이 연결된다. 분급기(30)의 탈수관(37)을 통하여 혼합탱크(51)로 이송되는 혼탁 용수는 양측 배플판(52)을 지그재그로 유동하면서 약제공급관(44)에서 공급되는 응집제와 원활하게 혼합된 후에 주입관(48)을 통하여 디캔터(20)로 유입된다. 배플판(52)은 적어도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 일자형 또는 격자형 주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플판(52) 중의 적어도 일부는 자세 변동을 유발하도록 링크(56)와 구동기(5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 다수의 배플판(52)이 혼합탱크(51)의 내벽에 힌지(55)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링크(56)는 각각의 배플판(52)에 회동을 허용하도록 연결되고 혼합탱크(51)의 상면을 거쳐 외부로 노출된다. 링크(56)의 적어도 일부에는 래크 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기(58)는 링크(56)의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과 모터를 구비한다. 물론 피니언과 모터 사이에 역전 방지 기능의 웜기어(도시 생략)를 부가할 수 있다. 배플판(52)의 경사 자세가 급하면 용수의 유속이 증가하고 경사 자세가 완만하면 용수의 유속이 감소한다. 용수의 유속과 양에 따라 용수와 응집제의 혼합 상태가 달라진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배플판(52)은 단부로 응집제를 분사하도록 저면 또는 내부에 분사관(5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 배플판(52)의 저면에 분사관(53)이 결합되고 분사관(53)이 외부의 약제공급관(46)과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다. 분사관(53)의 약제공급관(46)은 약제탱크(40)에 연결되거나 혼합탱크(51)의 약제공급관(44)에서 분기된다. 분사관(53)은 배플판(52)의 내부에 은폐되도록 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배플판(52)의 단부를 통하여 응집제가 공급되면 용수가 지그재그로 낙하되는 동안 신속하고 충분한 혼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급기(30), 약제탱크(40), 혼합수단(50)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어수단(60)을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제어수단(60)은 협의적으로 약제탱크(40)와 혼합수단(50)의 제어에 국한되지만, 광의적으로 일련의 공정으로 모래 골재를 생산하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제어기(62), 용수와 응집제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기(64), 혼합수단(50)의 혼합 상태를 검출하는 혼합검출기(66), 혼합수단(50)의 하류측에서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검출기(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수단(60)을 구성하는 제어기(62), 유량검출기(64), 혼합검출기(66), 탁도검출기(68) 간의 회로연결이 예시된다. 제어기(6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마이컴 회로로 구성된다. 제어기(62)의 입력인터페이스에는 유량검출기(64), 혼합검출기(66), 탁도검출기(68) 등이 연결된다. 유량검출기(64)는 탈수관(37), 약제공급관(44), 주입관(48) 등에 설치된다. 혼합검출기(66)는 혼합탱크(51)에 장착된 배플판(52)의 경사각도를 검출하는 것이지만 혼합탱크(51)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탁도검출기(68)는 주입관(48)이나 디캔터(20)에 설치되어 용수의 탁도를 검출한다. 제어기(62)의 출력인터페이스에는 분급기(30)의 구동부, 약제탱크(40)의 구동부, 배플판(52)의 구동기(58) 등이 연결된다. 분급기(30) 및 약제탱크(40)의 구동부는 전자식 밸브와 펌프를 포함한다.
작동의 일예로서, 제어기(62)는 유량검출기(64)와 탁도검출기(68)의 신호로 용수와 응집제의 혼합 상태가 적정 범위에 미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응집제의 양을 증대하거나 구동기(58)를 가동하여 배플판(52)의 경사 자세를 완만하게 변동한다. 용수의 이송량에 대응하여 배플판(52)의 자세를 결정한 후에 응집제의 투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분급기(30)에서 최대한의 모래를 생성하여 자원 절약을 도모하고, 디캔터(20)에서 빠른 시간 내에 재사용 용수량을 늘려 물 사용량을 축소하는 동시에 슬러지의 배출량 감소에 의한 친환경적 운영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분쇄기 12: 원료선별기
15: 급수조 17: 급수관
20: 디캔터 24: 필터프레스
26: 순환수관 30: 분급기
31, 32: 탈수스크린 33: 수집탱크
35: 사이클론 37: 탈수관
40: 약제탱크 42: 응집제통
44, 46: 약제공급관 48: 주입관
50: 혼합수단 51: 혼합탱크
52: 배플판 53: 분사관
56: 링크 58: 구동기
60: 제어수단 62: 제어기
64: 유량검출기 66: 혼합검출기
68: 탁도검출기

Claims (8)

  1. 모래를 생산하는 설비에서 응집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탈수스크린 상으로 파쇄 원석과 급수조(15)의 용수를 공급하면서 입도별 모래를 분급하는 분급기(30);
    상기 급수조(15)의 하류측에 연결되고, 응집제통(42)을 탑재하는 약제탱크(40); 및
    상기 약제탱크(40)의 하류 측에 연결되고, 용수와 응집제의 혼합을 유발하는 혼합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수단(50)은 주입관(48)을 개재하여 디캔터(20)로 용수와 응집제를 이송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혼합수단(50)은 약제탱크(40)의 하류에 연결되는 혼합탱크(51), 혼합탱크(51)의 내부에 교호로 설치되는 배플판(52)을 구비하고,
    상기 배플판(52)은 단부로 응집제를 분사하도록 저면 또는 내부에 분사관(5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단(50)의 혼합탱크(51)는 0.125m3 이상이면서 디캔터(20)의 5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의 용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48)은 직경 0.2m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48)은 직선관재 및 나선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1m 이상의 길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플판(52) 중의 적어도 일부는 자세 변동을 유발하도록 링크(56)와 구동기(5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급기(30), 약제탱크(40), 혼합수단(50)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어수단(60)을 개재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제어기(62), 용수와 응집제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기(64), 혼합수단(50)의 혼합 상태를 검출하는 혼합검출기(66), 혼합수단(50)의 하류측에서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검출기(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KR1020200132772A 2020-10-13 2020-10-13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KR102446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72A KR102446227B1 (ko) 2020-10-13 2020-10-13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72A KR102446227B1 (ko) 2020-10-13 2020-10-13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903A KR20220048903A (ko) 2022-04-20
KR102446227B1 true KR102446227B1 (ko) 2022-09-22

Family

ID=8139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772A KR102446227B1 (ko) 2020-10-13 2020-10-13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2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301Y1 (ko) * 2001-03-09 2001-09-26 김용우 모래 생산설비의 슬러지 응집처리용 폴리머 혼합기
JP2004223357A (ja) * 2003-01-21 2004-08-12 Toshiba Corp 凝集剤注入制御装置
CN103100321B (zh) * 2011-11-11 2015-03-18 中煤能源黑龙江煤化工有限公司 固体物料混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301B1 (ko) 1996-09-21 1999-12-01 서평원 전자 통신장비의 셀프도어 착탈 구조
KR19990046574A (ko) 1999-03-31 1999-07-05 송영곤 천연인조모래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301Y1 (ko) * 2001-03-09 2001-09-26 김용우 모래 생산설비의 슬러지 응집처리용 폴리머 혼합기
JP2004223357A (ja) * 2003-01-21 2004-08-12 Toshiba Corp 凝集剤注入制御装置
CN103100321B (zh) * 2011-11-11 2015-03-18 中煤能源黑龙江煤化工有限公司 固体物料混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903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15009A (en) Catch basin processing apparatus
US20170113952A1 (en) Recycled Water and Solids Management System
JP2011517619A (ja) 液体除去装置
CN206927730U (zh) 一种高效沉淀池
US20050109702A1 (en) Metals/minerals recovery and waste treatment process
US5833863A (en) Concrete reclamation system
TW201341032A (zh) 不定形濾材層及具備該濾材層的過濾裝置
TWI731230B (zh) 污泥濃縮及調質裝置和利用其對污泥進行處理的方法
JP4887335B2 (ja) 汚泥の脱水処理装置
CN209537204U (zh) 磁加载水处理装置
KR102446227B1 (ko) 모래생산 설비의 응집제 공급 및 혼합장치
CN206680234U (zh) 具有载体絮凝沉淀功能的一体式水处理装置
JP4600848B2 (ja) 泥水泥土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装置
CN203752972U (zh) 移动式污泥污水处理设备
JP4593259B2 (ja) 汚泥処理システム
CN215627517U (zh) 一种泥浆管理系统
CN109368844A (zh) 一种洗砂废水处理系统
JP5116327B2 (ja) 建設汚泥減容化装置及び建設汚泥減容化方法
US11319247B2 (en) Fine grit classifier
CN111995212A (zh) 一种清淤泥浆多效组合泥水分离系统
CN208327596U (zh) 一种制浆造纸的污水处理系统
CN212504533U (zh) 一种清淤泥浆多效组合泥水分离装置
KR100244329B1 (ko) 슬러지역류형 수처리시스템
KR102510843B1 (ko) 스마트 자동화 고화처리시스템
KR100796013B1 (ko) 역류필터형 여과조 및 이를 구비한 역류필터형 폐수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