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003B1 -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걸림홈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걸림홈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003B1
KR102446003B1 KR1020200128768A KR20200128768A KR102446003B1 KR 102446003 B1 KR102446003 B1 KR 102446003B1 KR 1020200128768 A KR1020200128768 A KR 1020200128768A KR 20200128768 A KR20200128768 A KR 20200128768A KR 102446003 B1 KR102446003 B1 KR 10244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hole
water
locking groove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5750A (ko
Inventor
채점식
Original Assignee
채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점식 filed Critical 채점식
Priority to KR102020012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0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5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61C13/14Vulcanising devices f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7Telescopic anchoring, i.e. using spring biased de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3Intra-gingival 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턱뼈가 노출되도록 잇몸을 절개하는 잇몸 절개단계, 노출된 턱뼈에 시술공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형성된 상기 시술공의 내주면 일부를 따라, 걸림홈을 형성하는 걸림홈 형성단계, 상기 시술공과 걸림홈에 충진시켜 뿌리부를 성형하되, 단부가 턱뼈보다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뿌리부 성형단계, 상기 뿌리부의 돌출부분에 대응되도록 치아에 결합공을 형성하는 결합공 형성단계, 및 접착제에 의해 상기 뿌리부의 돌출부분과 결합공을 접합시켜 치아를 접합시키는 치아 접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턱뼈와 유사한 재질로 시술할 수 있어 이물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턱뼈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걸림홈 형성방법{Trapping groove manufacturing device for natural implant surgery method using natural material composition and the trapping groove forming method}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의 인공보형물 대신 턱뼈와 유사한 재질을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어 이물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키고, 턱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걸림홈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상실한 환자에게 이루어지는 인공치아의 임플란트 시술은 수많은 치과의사에 의해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시술이다.
이 인공치아의 임플란트 시술은 등록특허 제10-1105668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인공치근에 해당하는 소정의 금속체를 턱뼈에 이식하고 잇몸을 덮어주어 금속체와 턱뼈간의 결합을 유도한다.
이 후에, 해당 위치에서 잇몸을 열고 턱뼈에 고정된 금속체에 티타늄 재질의 상부구조를 결합하여 잇몸 위로 노출시키며, 인공치아를 노출된 상부구조에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턱터에 인공보철물인 금속체를 설치할 경우, 이물감에 의해 불편함을 느낌은 물론, 인공보철물과 턱뼉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턱뼈 내부가 상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물감을 못 느끼게 하거나 최소화시킴은 물론, 턱뼈 내부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턱뼈가 노출되도록 잇몸을 절개하는 잇몸 절개단계, 노출된 턱뼈에 시술공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형성된 상기 시술공의 내주면 일부를 따라, 걸림홈을 형성하는 걸림홈 형성단계, 상기 시술공과 걸림홈에 충진시켜 뿌리부를 성형하되, 단부가 턱뼈보다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뿌리부 성형단계, 상기 뿌리부의 돌출부분에 대응되도록 치아에 결합공을 형성하는 결합공 형성단계, 및 접착제에 의해 상기 뿌리부의 돌출부분과 결합공을 접합시켜 치아를 접합시키는 치아 접합단계,를 포함하여 턱뼈와 유사한 재질로 시술할 수 있어 이물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턱뼈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천연 임플란트 시술의 걸림홈 형성단계에서 사용되는 걸림홈 가공장치는, 턱뼈가 노출되도록 잇몸을 절개하는 잇몸 절개단계; 노출된 턱뼈에 시술공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형성된 상기 시술공의 내주면 일부를 따라, 걸림홈을 형성하는 걸림홈 형성단계; 상기 시술공과 걸림홈에 충진시켜 뿌리부를 성형하되, 단부가 턱뼈보다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뿌리부 성형단계; 상기 뿌리부의 돌출부분에 대응되도록 치아에 결합공을 형성하는 결합공 형성단계; 및 접착제에 의해 상기 뿌리부의 돌출부분과 결합공을 접합시켜 치아를 접합시키는 치아 접합단계;로 진행되는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의 걸림홈 형성단계에서 사용되는 걸림홈 가공장치로, 장공의 이동공이 형성된 가공고정프레임; 상기 이동공에 대응되도록 회전공이 형성되는 가공이동프레임; 내부에 관통된 유동공을 갖고, 하단부 외주 중 일부에 가공날이 돌출형성되며, 베어링에 의해 상기 회전공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공드릴; 상기 가공드릴을 회전시키도록 가공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가공모터; 상기 가공이동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가공드릴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걸림홈을 형성시키기 위한 가공이동부; 및 상기 가공드릴의 유동공에 위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시술공의 저면에 닿아 상기 가공날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가공날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를 이용한 걸림홈 형성방법은, 상기 시술공에 걸림홈의 성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걸림홈 위치설정단계; 상기 가공날위치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성형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공드릴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공날 위치조절단계; 가공날의 위치가 조절된 가공드릴의 일단부를 상기 시술공에 위치시키는 가공날 위치단계; 상기 가공모터에 의해 상기 시술공에 위치된 가공드릴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공이동부에 의해 가공드릴을 이동시켜 걸림홈을 성형하는 걸림홈 가공단계; 및 걸림홈에 가공된 후, 시술공에서 가공드릴을 이탈시키는 가공드릴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에 의하면, 턱뼈와 유사한 재질로 시술할 수 있어 이물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턱뼈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홈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홈 형성단계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단계를 포함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부 성형단계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부 성형단계의 다른 실시 예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부 성형단계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롤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뿌리부 성형단계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홈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홈 형성단계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단계를 포함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부 성형단계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부 성형단계의 다른 실시 예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부 성형단계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롤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뿌리부 성형단계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은 잇몸 절개단계(S10)와 천공단계(S20), 걸림홈 형성단계(S30), 뿌리부 성형단계(S40), 결합공 형성단계(S50) 및 치아 접합단계(S60)를 포함한다.
잇몸 절개단계(S10)는 턱뼈(1)가 노출되도록 잇몸(2)을 절개한다.
그리고 천공단계(S20)는 노출된 턱뼈(1)에 시술공(100)을 형성한다.
걸림홈 형성단계(S30)는 형성된 시술공(100)의 내주면 일부를 따라, 걸림홈(200)을 형성한다.
또한 뿌리부 성형단계(S40)는 시술공(100)과 걸림홈(200)에 충진시켜 뿌리부(300)를 성형하되, 단부가 턱뼈(1)보다 돌출되도록 성형한다.
결합공 형성단계(S50)는 뿌리부(300)의 돌출부분에 대응되도록 치아(3)에 결합공(4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치아 접합단계(S60)는 접착제에 의해 뿌리부(300)의 돌출부분과 결합공(400)을 접합시켜 치아를 접합시킨다.
여기서, 치아는 치료자의 치아 또는 인공치아를 말한다.
인공치아의 경우, 본을 뜬 금형에 액상 또는 겔상태의 치아재료를 주입하여 성형된다.
이러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방법에 의하면, 종래 금속보철물을 사용하지 않고, 턱뼈와 유사한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이물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치아 접합단계(S60) 후에 절개한 잇몸을 다시 덮어 접합시킴이 당연하다.
이를 위한, 천공단계(S20)의 시술공(100)은 치아용 드릴(110)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천공단계(S20)의 시술공(100)은 저면방향으로 갈수록 내주면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천공된다.
이에, 시술공(100)에 충진되는 액체 또는 겔상태의 뿌리부재료가 경화되었을 때, 시술공(10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걸림홈 형성단계(S30)의 걸림홈(200)은 시술공(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 걸림홈(200)은 단부 외주 중 일부에 가공날(510)이 돌출형성되는 가공드릴(500)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홈 형성단계(S30)의 걸림홈(200)은 걸림홈 가공장치(600)에 의해 형성된다.
이 걸림홈 가공장치(600)는 가공고정프레임(610)과 가공이동프레임(620), 가공드릴(630), 가공모터(640), 가공이동부(650) 및 가공날위치조절부(660)를 포함한다.
가공고정프레임(610)은 장공의 이동공(61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공이동프레임(620)은 이동공(612)에 대응되도록 회전공(622)이 형성된다.
가공드릴(630)은 내부에 관통된 유동공(632)을 갖고, 하단부 외주 중 일부에 가공날(634)이 돌출형성된다.
이 가공드릴(630)은 베어링(636)에 의해 회전공(622)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가공모터(640)는 가공드릴(630)을 회전시키도록 가공이동프레임(620)에 구비된다.
가공이동부(650)는 가공이동프레임(620)을 이동시켜 가공드릴(630)을 이동시킴에 따라, 걸림홈(200)을 형성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가공날위치조절부(660)는 가공드릴(630)의 유동공(632)에 위치되어 일단부가 시술공(100)의 저면에 닿아 가공날(63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가공드릴(630)의 직경과 가공날(634)의 돌출된 단부 길이를 합산한 길이가 시술공(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가공날위치조절부(660)는 위치조절봉(662)과 위치조절홈(664), 위치조절프레임(666) 및 위치고정편(668)을 포함한다.
위치조절봉(662)은 일단부가 시술공(100)의 저면에 닿고, 타단부가 가공드릴(6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유동공(663)에 위치된다.
그리고 위치조절홈(664)은 위치조절봉(662)의 타단부 외주 일부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위치조절프레임(666)은 위치조절봉(662)의 타단부가 관통 위치되며, 위치조절홈(664)에 대응되는 위치고정공(667)이 형성되고, 가공이동프레임(620)에 구비된다.
또한 위치고정편(668)은 일직선상에 위치된 위치고정공(667)과 위치조절홈(664)에 삽입되어 위치조절봉(662)을 위치조절프레임(666)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걸림홈 형성단계(S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홈 위치설정단계(S31)와 가공날 위치조절단계(S32), 가공날 위치단계(S33), 걸림홈 가공단계(S34) 및 가공드릴 분리단계(S35)를 포함한다.
걸림홈 위치설정단계(S31)는 시술공(100)에 걸림홈(200)의 성형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가공날 위치조절단계(S32)는 가공날위치조절부(660)에 의해 설정된 성형위치에 대응되도록 가공드릴(630)의 위치를 조절한다.
가공날 위치단계(S33)는 가공날(632)의 위치가 조절된 가공드릴(630)의 일단부를 시술공(100)에 위치시킨다.
또한 걸림홈 가공단계(S34)는 가공모터(640)에 의해 시술공(100)에 위치된 가공드릴(63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가공이동부(650)에 의해 가공드릴(630)을 이동시켜 시술공(100)의 내주면에 걸림홈(200)을 성형한다.
가공드릴 분리단계(S35)는 걸림홈(200)에 가공된 후, 시술공(100)에서 가공드릴(630)을 이탈시킨다.
여기서, 형성하고자 하는 걸림홈(200)의 개수에 따라, 가공날 위치조절단계(S32), 가공날 위치단계(S33), 걸림홈 가공단계(S34)를 반복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단계(S20)와 걸림홈 형성단계(S30)의 각 다음에 이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세척단계(S25, S36)를 더 포함한다.
이 세척단계(S25, S36)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분사한다.
여기서, 세척수는 키토산, 토르말린, 에너지물소금을 포함한다.
이 에너지물소금은 천일염을 용해와 염도 조절 및 환원, 미네랄 전사, 중금속의 제거, 살균과정을 통해 액상상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에너지물소금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나노 에너지 물소금으로, 용해부와, 염도 조절부와, 환원부와, 미네랄 전사부와, 제1 필터링부와, 숙성부와, 제2 필터링부와, 살균 보관부로 구성된다.
먼저, 용해부는 천일염을 수용하는 한편, 물과 함께 가열 교반하여 액상의 물소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용해부는 용해를 위한 고체상의 소금 즉, 천일염과 물이 수용 가능한 용해탱크가 구성된다.
이때, 용해탱크는 내부가 중공된 통체 형태를 이루며, 그 상부 일측에는 천일염의 투입이 가능한 천일염 투입구가 구성되고, 또한 상부에는 별도의 물 공급호스와 연결되어 개폐 작동을 통해물의 투입이 가능한 물 투입밸브가 구성되어 별도로 정제된 물이 수용되는 물탱크 등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용해탱크는 제1 이송관을 통해 염도 조절부와 연결된다.
용해부에는 수용된 천일염과 물을 혼합하기 위한 교반기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교반기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용해탱크에 장착되며 통상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교반날개가 형성된 것이면 가능하며, 그 교반날개를 통해 천일염과 물을 교반하게 된다.
또한 용해부에는 상기와 같이 천일염과 물을 교반하는 과정에서 가열하여 천일염을 용해시키는 히터가 구성된 것으로, 히터는 용해탱크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용해부에는 히터를 통해 천일염과 물을 가열함에 있어,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성된 것으로, 온도센서는 용해탱크에 설치된다.
또한 용해부에는 온도센서를 통해 가열되는 물의 일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 제어부가 구성된다.
이때, 온도 제어부는 온도센서와 연결되며, 가열 기준 온도가 설정되게 구성된 것으로,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준치 이상일시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하락시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실시예에서 기준 온도는 70 ~ 80℃로 설정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천일염에 함유된 미네랄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용해부에서는 용해탱크에 수용된 천일염과 물을 교반 및 가열하여 천일염을 물속에 용해시켜 액상의 물소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염도 조절부는 용해부에서 용해된 물소금을 일정 농도로 조절 및 냉각하게 구성된 것으로, 펌프 작동하는 제1 이송관을 통해 용해부의 용해탱크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염도 조절부는 용해탱크와 제1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용해된 물소금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염도 조절탱크가 구성된다.
이때, 염도 조절탱크에는 별도로 정제수 등의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냉수 공급밸브가 구성되어 냉수를 공급받아 용해된 물소금의 농도 조절 및 냉각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염도 조절탱크에는 후술하는 환원부와 연결되는 제2 이송관이 연결되어 염도가 조절된 물소금을 환원부로 배출하게 구성된다.
염도 조절부에는 냉수가 공급되어 조절되는 염도의 측정이 가능한 염도 측정기가 구성된다.
즉, 염도 조절부에서는 염도 조절탱크에 용해된 물소금을 저장하는 한편, 냉수를 공급하여 냉각 및 염도를 조절하게 되며, 이때 조절되는 염도는 염도 측정기를 통해 측정되어 일정 농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환원부는 염도가 조절된 물소금을 알칼리화시키는 것으로, 펌프 작동하는 제2 이송관을 통해 염도 조절부의 염도 조절탱크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환원부는 먼저, 상기 염도 조절탱크와 제2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물소금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환원수 저장탱크가 구성된다.
그리고 환원수 저장탱크는 제3 이송관을 통해 후술하는 미네랄 전사부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환원부에는 환원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소금을 순환시켜 알칼리화시키는 환원수기가 구성된다.
이때, 환원수기는 물소금을 순환 및 환원을 수행하는 환원탱크가 구성된 것으로, 환원탱크는 환원수 저장탱크와 하부에서 순환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상부에서 순환 배출관을 통해 환원수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물소금이 환원수 저장탱크와 환원탱크을 순환할 수 있게 구성된다.
환원수기에는 환원탱크 내부에 충전되어 그 환원탱크로 공급되는 물소금을 자화 처리하여 알칼리화시키는 자화 처리부가 구성된다.
이때, 자화 처리부는 순환되는 물소금에 전기력을 제공하여 물을 자화 처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자화 처리부는 먼저, 환원탱크 내부에서 상부 및 하부에 물의 소통은 가능하고 후술하는 세라믹볼의 이탈은 방지하는 메쉬를 이루는 망체가 각각 구성된다.
자화 처리부에는 망체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전기력을 제공하는 물을 자화 처리하여 파이화 및 전위 에너지를 전사하는 다수의 세라믹볼이 충전된다.
이때, 세라믹볼은 전기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기석으로 구성된 것으로, 일 실시 예로 전기석을 구성하기 위해 전기석인 토르말린(tourmaline)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세라믹볼은 토르말린을 분쇄하여 분말화 하고, 그 분말화 된 토르말린 80중량%와 분쇄된 톱밥 20중량%를 반죽하여 볼 형태로 성형하고, 그 성형된 볼을 소성하여 구성된다.
이에, 소성시 성형된 볼의 톱밥이 연소되게 되는 것인바, 이때 톱밥이 연소된 세라믹볼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다공성을 가지게 구성된다.
한편, 토르말린은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분해를 통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여 알칼리화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알칼리수는 섭취시 체내 활성산소를 분해하는 나노 에너지를 생성시켜 열액순환 촉진은 물론, 세포 활동을 활성화 시켜 인체 전위 발란스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이에, 물소금은 토르말린으로 된 세라믹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기력에 의한 전기 분해를 통해 물분자를 파이화(독립화) 시키는 한편, 알칼리성으로 만들어 주게 되며, 이때 다공성을 가지는 세라믹볼은 물소금과의 접촉력의 향상 및 분해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환원수기에는 환원탱크로 공급되는 물소금에 와류를 발생시켜 물소금이 자화 처리부을 통과할 수 있는 유속을 제공하는 와류팬이 구성된 것으로, 와류팬은 환원탱크의 내측 하부에 구성되는 한편, 모터 구동되게 구성되어 순환 공급관을 통해 환원탱크의 하부로 공급되는 물소금에 상부를 향하는 와류를 형성하여 자화 처리부의 세라믹볼을 통과시키게 된다.
또한, 환원수기에는 환원탱크의 저면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기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산소 공급기는 펌프를 갖는 산소 공급관을 통해 환원탱크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환원수기에는 공급되는 산소를 환원탱크 내부로 분사하여 폭기를 제공하는 다수의 산소 분사노즐이 구성된다.
이때, 산소 분사노즐은 환원탱크의 바닥에 형성되는 한편, 산소 공급관과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공급되는 산소를 환원탱크의 하부에서 물소금에 고압 분사하여 그 물소금을 폭기시키게 된다.
즉, 환원수기에서는 순환 공급관을 통해 환원탱크의 하부로 공급되는 물소금에 산소를 공급하여 폭기 시켜 물분자를 분해 및 그 폭기된 물소금을 와류팬의 와류 형성을 통해 자화 처리부를 통과시켜 알칼리화시키게되는 것으로, 이때 공급되는 산소는 물소금의 용존 산소량을 높이는 한편, 세라믹볼의 공극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세 기포화 되어 물과 산소의 혼합이 원활해지게 하며, 알칼리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미네랄 전사부는 알칼리화된 물소금에 미네랄을 증대시키게 구성된 것으로, 펌프 작동하는 제3 이송관을 통해 환원수 저장탱크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미네랄 전사부는 제1 미네랄 전사부와, 제2 미네랄 전사부와, 제3 미네랄 전사부와, 제4 미네랄 전사부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미네랄 전사부는 알칼리 환원된 물소금을 공급받아 1차로 미네랄을 전사하게 구성된 것으로, 내부가 중공된 통체 형태로 구성되며, 제3 이송관과 연결되는 한편, 내부에는 미네랄을 방사하는 광물인 은나노가 충전되게 구성된다.
제2 미네랄 전사부는 내부가 중공된 통체 형태로 구성되며, 제1 미네랄 전사부와 배관으로 연결되는 한편, 내부에는 미네랄을 방사하는 광물인 운모가 충전되게 구성된다.
또한 제3 미네랄 전사부는 내부가 중공된 통체 형태로 구성되며, 제2 미네랄 전사부와 배관으로 연결되는 한편, 내부에는 미네랄을 방사하는 광물인 황토가 충전되게 구성된다.
제4 미네랄 전사부는 내부가 중공된 통체 형태로 구성되며, 제3 미네랄 전사부와 배관으로 연결되는 한편, 내부에는 미네랄을 방사하는 토르말린이 충전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4 미네랄 전사부는 제4 이송관을 통해 제1 필터링부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미네랄 전사부에서는 물소금이 제1 내지 제4 미네랄 전사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물에 포함된 미네랄을 공급받게 된다.
제1 필터링부는 미네랄이 전사된 물소금에 함유된 중금속 및 각종 이물질, 악취를 제거하게 구성된 것으로, 펌프 작동하는 제4 이송관을 통해 미네랄 전사부의 제4 미네랄 전사부와 연결되어 물소금을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 필터링부는 제4 미네랄 전사부와 제4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물소금을 공급받는 통체 형태의 제1 필터링 하우징이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필터링 하우징은 제5 이송관을 통해 후술하는 숙성부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제1 필터링부에는 제1 필터링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물소금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링이 가능한 다공성을 갖는 카본필터가 구성된다.
즉, 제1 필터링부는 미네랄 전사부로부터 물소금을 공급받아 카본필터를 통과시켜 필터링하게 된다.
숙성부는 1차 필터링된 물소금을 숙성시키게 구성된 것으로, 펌프 작동하는 제5 이송관을 통해 제1 필터링부의 제1 필터링 하우징과 연결되어 물소금을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숙성부는 제1 필터링 하우징과 제5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물소금을 공급받아 저장 가능한 숙성탱크가 구성된다.
이 숙성탱크는 제6 이송관을 통해 후술하는 제2 필터링부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숙성부에는 숙성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소금에 미세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 기둥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진동 기둥은 숙성탱크 내부에서 수직으로 다수 입설 구성된다.
각각의 진동 기둥에는 상단에 진동자가 구성되어 진동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숙성부에는 각각의 진동 기둥의 둘레에 다수의 자석체가 구성된다.
즉, 숙성부는 물소금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과정에서 물소금에 미세한 진동을 부여하여 유동력을 부여하는 한편, 자석체에 의해 자기력을 주어 자화처리되게 한다.
제2 필터링부는 숙성된 물소금에 함유된 중금속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펌프 작동하는 제6 이송관을 통해 숙성부의 숙성탱크와 연결되어 물소금을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2 필터링부는 숙성탱크와 제6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물소금을 공급받는 통체 형태의 제2 필터링 하우징이 구성된다.
그리고 제2 필터링 하우징은 제7 이송관을 통해 후술하는 살균 보관부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제2 필터링부에는 제2 필터링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물소금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링이 가능한 중공사막 필터가 구성된다.
즉, 제2 필터링부는 숙성부로부터 물소금을 공급받아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시키되, 그 통과 과정에서 중공사막 필터에 의한 2차 필터링을 통해 중금속 등의 각종 이물질은 제거하고 미네랄 성분은 그대로 통과시키게 된다.
살균 보관부는 2차 필터링된 물소금을 출하에 앞서 살균 처리 및 보관하는 것으로, 펌프 작동하는 제7 이송관을 통해 제2 필터링부의 제2 필터링 하우징과 연결되어 물소금을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살균 보관부는 제2 필터링 하우징과 제7 이송관으로 연결되어 물소금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보관탱크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보관탱크는 복수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보관탱크에는 출하를 위해 물소금의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배출밸브가 구성된다.
또한, 살균 보관부에는 각각의 보관탱크에 전원 인가시 물소금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전극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전극은 알려진바와 같이 살균력을 가지는 은(Ag)과 구리(Cu)로 각각 구성된다.
즉, 살균 보관부는 물소금을 공급받아 수용 보관하는 한편, 그 보관 과정에서 은 이온과 구리 이온을 통해 물소금을 살균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나노 에너지 물소금의 제조방법은 용해단계와, 염도 조절단계와, 환원단계와, 미네랄 전사단계와, 제1 필터링단계와, 숙성단계와, 제2 필터링단계와, 살균 보관단계를 포함한다.
용해단계는, 고체 형태의 소금을 용해시켜 액상의 물소금을 얻게 된다.
이를 위해, 용해단계 에서는 천일염 투입구와 물 투입밸브를 통해 용해탱크에 국내산 천일염 50중량%와 정제된 물 50중량%를 각각 투입한다.
그리고 투입된 천일염을 용해하되, 이는 먼저, 용해탱크에 설치된 교반기를 구동시켜 고르게 혼합 교반하는 한편, 히터를 작동시켜 가열 용해하게 된다.
여기서, 가열시 그 온도를 70 ~ 80℃를 유지하면서 용해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상기와 같이 온도를 유지함은 통상 소금에 포함된 미네랄은 80℃ 이상에서 파괴되는 것인바, 80℃를 넘지 않게 유지하여 미네랄의 파괴가 방지되게 하며, 70℃ 이하로 가열하게 되면 용융 시간의 지연과 소금의 용융력이 저하되는 것인바, 70℃ 이상으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온도의 유지를 온도 제어부(150)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온도 제어부에서는 온도센서를 통해 용해되는 물소금의 온도를 측정 및 온도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며, 이에 온도 제어부에서는 온도가 상승시 히터 작동을 중지하고, 하락시 작동시켜 온도를 유지시켜 준다.
즉, 용해단계에서는 천일염과 물을 혼합 및 가열함으로 천일염이 용해된 농축상의 물소금을 얻게 된다.
이후, 염도 조절단계는 천일염이 용융된 농축상의 물소금을 냉각 및 염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염도 조절단계에서는 제1 이송관을 통해 용해탱크로부터 용해된 물소금을 공급받아 염도 조절탱크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염도를 조절하되, 이는 냉수 공급밸브를 통해 냉수를 공급하여 희석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때, 염도를 조절함에 있어, 그 염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인데, 이는 염도 조절탱크에 설치되는 염도 측정기를 통해 확인 및 물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절되는 염도는 20 ~ 30%로 조절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만약 염도를 30% 이상으로 하게 되면 인체에 이롭지 못한 나트륨 성분의 과도함유될 수 있는 것인바, 나트륨 함량을 최소화시키게 되며, 만약 20% 이하로 하게되면 지나치게 저하된 염도로 음식을 조리시 액상이 과다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인바, 그 염도를 20 ~ 30%로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즉, 염도 조절단계에서는 용해된 농축상의 물소금에 냉수를 공급하여 희석함으로 염도를 조절하는 한편, 그 냉수를 통해 가열된 물소금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환원단계는 농도가 조절된 물소금을 알칼리화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환원단계에서는 제2 이송관을 통해 염도 조절탱크에 저장된 물소금을 공급받아 환원수 저장탱크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저장된 물소금을 순환시켜 알칼리수로 환원하되, 이는 환원수기에서 가능하게 된다.
이는, 먼저, 환원수 저장탱크의 물소금은 순환 공급관을 통해 환원탱크의 하부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산소 공급기에서는 산소를 생성 및 환원탱크의 하부로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공급되는 산소는 산소 분사노즐을 통해 고합 분사되는 것인바, 공급된 물소금을 폭기 시켜 물분자를 분해하게 된다.
이후, 폭기된 물소금은 자화 처리부를 통과시켜 자화 처리함으로 알칼리수로 환원시키되, 이는 와류팬을 구동시키게 되면 환원탱크의 하부에는 상부를 향하는 와류가 형성되는 것인바, 그 와류에 의해 물소금이 자화 처리부통과 및 순환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킨다.
이에, 자화 처리부를 통과하는 물소금은 토르말린으로 된 다공성 세라믹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기력에 의한 전기 분해를 통해 물분자를 파이화(독립화) 되는 한편, 전위 에너지(006mA)가 전사된 알칼리성으로 환원되게 된다.
즉, 환원단계에서는 환원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소금을 환원수기를 통과시켜 물분자를 파이화 및 알칼리화시키며, 이때 산소 공급을 통한 용존 산소량 증대 및 산소 분사노즐을 통한 폭기 및 세라믹볼의 공극을 통해 미세 기포화 시켜 물과 산소의 혼합이 용이하게 한다.
한편, 환원수기를 통한 물소금의 환원은 3회에 걸쳐 수행함으로 안정된 알칼리수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알칼리 환원된 물소금을 최종 환원수 저장탱크에 저장하게 된다.
이후, 미네랄 전사단계는 알칼리 환원된 물소금을 에너지 전사 즉, 미네랄을 전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미네랄 전사단계에서는 제3 이송관을 통해 환원수 저장탱크에 알칼리화 저장된 물소금을 공급받아 물소금에 미네랄을 전사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제1 내지 제4 미네랄 전사부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공급된 물소금은 먼저, 제1 미네랄 전사부로 유입되는 것인바, 이때 물소금은 은나노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물인 은나노에 함유된 미네랄을 녹여물소금에 함유시키게 된다.
물소금은 다시 제2 미네랄 전사부로 유입되는 것인바, 이때 물소금은 운모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물인 운모에 함유된 미네랄을 녹여 물소금에 함유시키게 된다.
그리고 물소금은 다시 제2 미네랄 전사부로 유입되는 것인바, 이때 물소금은 황토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물인 황토에 함유된 미네랄을 녹여 물소금에 함유시키게 된다.
물소금은 다시 제2 미네랄 전사부로 유입되는 것인바, 이때 물소금은 토르마린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물인 토르말린에 함유된 미네랄을 녹여 물소금에 함유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미네랄 전사부를 구성함에 있어, 각각 서로 다른 광물이 충전된 제1 내지 제4 미네랄 전사부를 적용함은 인체에 이로운 미네랄은 칼슘, 마그네슘, 칼륨, 인, 아연 등 다양한 종류를 이루는 것인바, 각각의 광물을 통해 다양한 미네랄을 물소금에 제공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미네랄 전사부에서는 물소금을 제1 내지 제4 미네랄 전사부를 통과시켜 각각의 광물에 포함된 다양한 미네랄을 공급시키게 된다.
이후, 제1 필터링단계는 미네랄이 전사된 물소금을 필터링 하여 물소금에 함유된 중 금속 및 이물질 제거 및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필터링단계에서는 제4 이송관을 통해 제1 미네랄 전사부를 통과한 물소금을 공급받아 제1 필터링부의 제1 필터링 하우징 내부를 통과시키되, 그 통과 과정에서 카본필터에 의해 필터링하게 된다.
즉, 제1 필터링단계에서는 물소금을 카본필터를 통과시켜 1차 필터링 하되, 그 카본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종 중금속 및 이물질, 악취가 흡착 제거하고 미네랄 성분을 그대로 남기게 된다.
이후, 숙성단계는 1차 필터링된 물소금을 숙성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숙성단계에서는 제5 이송관을 통해 제1 필터링부로부터 물소금을 공급받아 숙성탱크에 저장하게 되는 것으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저장하게 된다.
이때, 숙성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저장 과정에서 그 물소금을 자화처리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먼저, 숙성탱크의 내부에는 진동자를 통한 진동력을 부여하는 진동 기둥이 구성된 것인바, 그 진동 기둥의 진동에 의해 물소금에 파동이 발생하여 고르게 유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동되는 물소금은 진동 기둥에 형성된 자석체와 접촉하게 되는 것인바, 그 자석체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자화 처리되어 물분자를 한번 더 분해하게 된다.
즉, 숙성단계에서는 물소금을 상온에서 일정시간 숙성하는 한편, 그 저장 과정에서 자기력을 주어 자화 처리하여 물분자를 분해시켜 줌으로 섭취시 그 흡수율이 빠르게 만들어 준다.
이후, 제2 필터링단계는 숙성된 물소금을 2차로 필터링 하여 물소금에 함유된 중금속 및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 필터링단계에서는 제6 이송관(60)을 통해 숙성탱크로부터 물소금을 공급받아 제2 필터링부의 제2 필터링 하우징 내부를 통과시키되, 그 통과 과정에서 중공사막 필터에 의해 필터링하게 된다.
즉, 제2 필터링단계에서는 물소금을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시켜 2차 필터링 하되, 그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종 중금속 및 이물질은 흡착 제거되고 미네랄 성분을 그대로 남기게 된다.
살균 보관단계는 2차 필터링된 물소금을 공급받아 출하에 앞서 저장 보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살균 보관단계에서는 제7 이송관을 통해 물소금을 공급받아 보관탱크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보관탱크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살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은(Ag)과 구리(Cu)로 된 전극의 전기분해 작용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살균 보관단계에서는 물소금을 공급받아 보관탱크에 수용 보관하는 한편, 그 보관 과정에서 은 전극에서 발생되는 은 이온에 의해 물의 세균 발육을 저지하게 되며, 구리 전극에서 발생되는 구리 이온에 의해 박멸하게 되는 것으로, 은 이온과 구리 이온에 의해 보관되는 물소금의 각종 조류와 박테리아 등의 세균을 살균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물소금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으로, 이렇게 제조 보관된 물소금은 보관탱크에 형성된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 및 출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상의 물소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물소금은 그 사용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파이화된 물분자 구조에 의해 섭취시 체내에 쉽게 흡수 가능하며, 알칼리화된 특성상 섭취시 체내 활성산소를 분해하는 나노 에너지를 생성시켜 열액순환 촉진은 물론, 세포 활동을 활성화 시켜 인체 전위 발란스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세척단계(S25, S36) 후, 건조과정을 거침은 당연하다.
그리고 뿌리부 성형단계(S4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뿌리부재료 충진단계(S41), 뿌리부재료 다짐단계(S42), 뿌리부재료 경화단계(S43)를 포함한다.
뿌리부재료 충진단계(S41)는 뿌리부재료를 시술공(100)과 걸림홈(200)에 충진시킨다.
또한 뿌리부재료 다짐단계(S42)는 진동 다짐봉을 이용하여 충진된 뿌리부재료를 다져 기공을 제거한다.
이 뿌리부재료 다짐단계(S42)에서 돌출된 단부도 형성시키며, 불경화층을 제거함이 당연하다.
뿌리부재료 경화단계(S43)는 UV건조기를 이용하여 충진된 뿌리부재료를 살균 건조시켜 턱뼈에 접착되도록 경화시킨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뿌리부 성형단계(S40')는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틀 거치단계(S41')와 뿌리부재료 충진단계(S42'), 뿌리부재료 경화단계(S43') 및 성형틀 분리단계(S44')를 포함한다.
성형틀 거치단계(S41')는 돌출부성형홈(710)과 주입구(720)를 갖는 성형틀(700)을 시술공(100) 상측에 위치시킨다.
또한 뿌리부재료 충진단계(S42')는 거치된 성형틀(700)의 주입구(720)를 통해 액체 또는 겔상태의 뿌리부재료를 시술공(100)과 걸림홈(200)에 충진시킨다.
뿌리부재료 경화단계(S43')는 시술공(100)과 걸림홈(200)에 충진된 뿌리부재료를 경화시킨다.
이러한 뿌리부재료 경화단계(S43')의 일 실시 예로, UV건조기를 사용하여 살균 및 턱뼈와 일체로 경화시킨다.
그리고 성형틀 분리단계(S44')는 경화된 뿌리부재료에서 성형틀(700)을 분리시킨다.
여기서, 턱뼈에는 걸림홈(200)과 연통되는 공기배출로(210)가 더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 8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틀 거치단계(S41) 전에 공기배출로 형성단계(S45)를 더 포함한다.
이에, 뿌리부재료 충진단계(S42)에서 뿌리부재료 충진 시, 시술공(100)과 걸림홈(200)에 위치된 공기가 배출되어 뿌리부(300)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뿌리부(300)는, 석영, 지르코니아, 운모석, 우골과 의료용 접착제인 에폭시를 포함한다.
지르코니아와 석영, 운모석, 우골(牛骨)은 미세 분말이고, 지르코니아는 희토류 원소의 산화물이나 마그네슘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지르코니아와 석영, 운모석, 우골의 미세 분말 입자는 325m/s로, 대략 5:2:2:1로 혼합된다.
그리고 지르코니아와 석영, 운모석, 우골은 90 ~ 95% 중량분, 에폭시 5 ~ 10% 중량분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지르코니아 55~ 75% 중량분, 석영 10 ~ 15% 중량분, 운모석 5 ~ 10% 중량분, 우골 5 ~ 10% 중량분, 에폭시 5 ~ 10% 중량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치아(3)는 지르코니아로 제작되며, 이 지르코니아는 희토류 원소의 산화물이나 마그네슘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또한 치아 접합단계(S60)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의료용 에폭시를 사용하며, 모든 에폭시는 의료용으로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사용함이 당연하다.
1 : 턱뼈 2 : 잇몸
3 : 치아 100 : 시술공
200 : 걸림홈 300 : 뿌리부
400 : 결합공 500 : 가공드릴
600 : 걸림홈 가공장치

Claims (11)

  1. 턱뼈가 노출되도록 잇몸을 절개하는 잇몸 절개단계; 노출된 턱뼈에 시술공을 형성하는 천공단계; 형성된 상기 시술공의 내주면 일부를 따라, 걸림홈을 형성하는 걸림홈 형성단계; 상기 시술공과 걸림홈에 충진시켜 뿌리부를 성형하되, 단부가 턱뼈보다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뿌리부 성형단계; 상기 뿌리부의 돌출부분에 대응되도록 치아에 결합공을 형성하는 결합공 형성단계; 및 접착제에 의해 상기 뿌리부의 돌출부분과 결합공을 접합시켜 치아를 접합시키는 치아 접합단계;로 진행되는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의 걸림홈 형성단계에서 사용되는 걸림홈 가공장치로,
    장공의 이동공이 형성된 가공고정프레임;
    상기 이동공에 대응되도록 회전공이 형성되는 가공이동프레임;
    내부에 관통된 유동공을 갖고, 하단부 외주 중 일부에 가공날이 돌출형성되며, 베어링에 의해 상기 회전공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공드릴;
    상기 가공드릴을 회전시키도록 가공이동프레임에 구비되는 가공모터;
    상기 가공이동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가공드릴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걸림홈을 형성시키기 위한 가공이동부; 및
    상기 가공드릴의 유동공에 위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시술공의 저면에 닿아 상기 가공날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가공날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28768A 2020-10-06 2020-10-06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걸림홈 형성방법 KR10244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768A KR102446003B1 (ko) 2020-10-06 2020-10-06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걸림홈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768A KR102446003B1 (ko) 2020-10-06 2020-10-06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걸림홈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750A KR20220045750A (ko) 2022-04-13
KR102446003B1 true KR102446003B1 (ko) 2022-09-21

Family

ID=8121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768A KR102446003B1 (ko) 2020-10-06 2020-10-06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걸림홈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0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9228A1 (en) 2001-05-03 2004-10-21 Daniel Ilan Polymeric dental implant
KR101105668B1 (ko) 2009-12-21 2012-01-18 신명기 임플란트 시술용 금속체 감지 장치
KR101997044B1 (ko) 2018-11-21 2019-07-05 주식회사 원더풀필 일체형 임플란트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670A (ko) * 2013-06-25 2015-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표면에 생리활성 물질이 고정된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9228A1 (en) 2001-05-03 2004-10-21 Daniel Ilan Polymeric dental implant
KR101105668B1 (ko) 2009-12-21 2012-01-18 신명기 임플란트 시술용 금속체 감지 장치
KR101997044B1 (ko) 2018-11-21 2019-07-05 주식회사 원더풀필 일체형 임플란트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750A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609B1 (ko) 치아를 골 이식재로 처리하는 자동화 기계
US9610143B2 (en) Compressed decalcified trabecular bone grafts and tooth socket repair
EP2632547B1 (en) System for electro-magnetic cellular treatment
DK1322286T3 (da) Polymere afgivelsesformuleringer af leuprolid med forbedret virkningsfuldhed
EP2114457B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bone regeneration and restoration
KR102446003B1 (ko) 천연 소재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임플란트 시술용 걸림홈 가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걸림홈 형성방법
CN114470318A (zh) 一种基于选择性激光烧结制备多孔生物陶瓷人工骨的方法
KR100991977B1 (ko) 초음파와 자외선 및 오존수 시술이 가능한 치과용 치료기
KR102445570B1 (ko) 솔트에어원단 제조시스템
KR20070088413A (ko) 구강 살균 기능을 첨가한 수류구강세정기
CN109331222B (zh) 可原位形成3d多孔支架的骨修复材料及其制备和应用
US201501506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organic cell regeneration in a cellular medium
WO2011142407A1 (ja) 無細胞化方法及び人体移植用人工組織
KR102244803B1 (ko) 나노 에너지 물소금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소금 제조방법
CN107041968A (zh) 一种制备ZrO2骨修复生物陶瓷支架材料的HA浸涂浆料
JP2977852B2 (ja) オゾン水発生装置
KR20170105038A (ko) 생체적합성 성형품
KR100356905B1 (ko) 돼지 혹은 소의 골로부터 추출된 수산화인회석을 이용한골손상부위 치료 및 골융합용 생체활성 조성물 및 이의제조 방법
JP3499099B2 (ja) 浴槽加熱装置
JPH07222974A (ja) 複合音波による水の構造化の制御装置
RU2122365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фектов челюстно-лицевой области
JP3087095U (ja) 理美容用ミスト発生装置
WO2022243319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ezellularisieren und/oder reinigen von gewebe
CN110693730A (zh) 薰衣草牙膏
KR20060091714A (ko) 칼슘포스페이트 시멘트, 그의 용도 및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