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976B1 -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976B1
KR102445976B1 KR1020150167603A KR20150167603A KR102445976B1 KR 102445976 B1 KR102445976 B1 KR 102445976B1 KR 1020150167603 A KR1020150167603 A KR 1020150167603A KR 20150167603 A KR20150167603 A KR 20150167603A KR 102445976 B1 KR102445976 B1 KR 102445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lider
wall
fixing memb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620A (ko
Inventor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7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9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면 설치시 벽면과의 공간을 최소화하고 각도를 손쉽게 조정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WALL MOUN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면 설치시 벽면과의 공간을 최소화하고 각도를 손쉽게 조정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평판표시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판표시장치용 벽면 고정장치에 의해 평판표시장치가 벽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고정장치를 벽면(30)에 설치하고 벽걸이용 평판표시장치(10)의 뒷면에도 고정장치(20)에 장착하는 홀더 등을 구비하여 고정장치(20)에 결합시킴으로써, 벽걸이형 평판표시장치를 벽면에 장착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평판표시장치(10)를 위한 벽면 고정장치(20)는 그 크기가 크고, 무거워서 고객이 직접 설치하기가 불편하며, 크고 무거움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되어 고객의 비용부담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평판표시장치용 벽면 고정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판표시장치의 뒷면과 벽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기 때문에, 벽면 고정장치의 크기만큼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에서 이격되어 돌출된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평판표시장치가 두껍다고 느끼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 보이는 디자인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평판표시장치는, 그 뒷면의 중앙부분에 벽면 고정장치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벽면 고정장치(20)를 이용하여 평판표시장치가 벽면에 장착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표시장치(10)와 벽면(30)과의 사이에는 반드시 큰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되어 미관을 해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두께가 얇고 슬림화되어 있는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벽면과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벽면과의 일체감과 외관상 보이는 디자인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면과의 설치 각도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벽면 고정장치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면 설치시 벽면과의 공간을 최소화하고 각도를 손쉽게 조정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두께가 얇고 슬림화되어 있는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벽면과의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벽면과의 일체감과 외관상 보이는 디자인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면과의 설치 각도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벽면 고정장치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고정장치는, 고정부(211)와, 양측에 구비된 고정부(211)를 연결하는 연결축(212), 연결축(21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축(212)의 외주측에 결합되는 환형의 슬라이더(213)가 구비되어 있는 제1고정부재(210), 슬라이더(213)가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개구된 체결홈(233)이 구비되어 있는 제2고정부재(23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고정장치는 고정할 물건(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 205)과 고정되는 대상(일례로 벽면, 200)에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30)를 결합하고 이들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30)를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05) 특히, 두께가 얇고 슬림화되어 있는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05)에 있어서 벽면(200)과의 공간을 최소화하고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벽면(200)과의 일체감과 외관상 보이는 디자인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과 벽면(200) 중 어느 한쪽과 다른쪽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05)를 벽면(200)에 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참고로 도 3에서는 제1고정부재(210)가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에 결합되고 제2고정부재(230)는 벽면(200)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5에서는 제1고정부재(210)가 벽면(200)에 결합되고 제2고정부재(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다만, 도 3과 같이 제1고정부재(210)가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2고정부재(23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제1고정부재(210)가 결합되고, 도 5와 같이 제1고정부재(210)가 벽면(20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고정부재(210)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제2고정부재(230)가 결합되며, 제1고정부재(210)가 어디에 결합되는지에 따라서 제2고정부재(230)의 상하가 뒤바뀌어 결합된다.
제1고정부재(2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과 벽면(200) 중 어느 한쪽에 결합되는 고정부(211)와, 양측에 구비된 고정부(211)를 연결하는 연결축(212)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부(2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 또는 장방형 등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 또는 벽면(200)에 용접, 본딩, 융착,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거나, 별도로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 또는 벽면(200)에 웰딩너트 또는 펨너트 등의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210)는 양측 고정부(211)의 내측 중심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축(212)이 구비되고, 연결축(212)의 외주측에 환형의 슬라이더(213)가 관통 결합되어 연결축(21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211)와 연결축(212)은 슬라이더(213)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부(211)와 연결축(212)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되거나, 일측 고정부(211)와 연결축(212)을 일체로 형성하고 슬라이더(213)와 결합한 후 타측 고정부(211)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211)와 연결축(212)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재(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과 벽면(200) 중 나머지 한쪽에 결합되며, 슬라이더(213)가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개구된 체결홈(233)이 구비되어 있다.
연결축(212)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213)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양측단에 대경부(213a)가 형성되어 있고 대경부(213a)의 사이에는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는 소경부(213b)가 구비되어 있어서, 소경부(213b)가 제2고정부재(230)의 체결홈(233)에 삽입되면 양측면에 대경부(213a)가 지지되어 이탈을 방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213)는 소경부(213b)의 축방향 양측 끝단과 대경부(213a)와의 연결부위에 곡면부(213c)가 구비되어 있어서, 체결홈(233)에 삽입시 체결홈(233)을 형성하는 플랜지의 절개단부가 곡면부(213c)를 타고 미끄러지면서 결합되어 체결홈(233)과의 결합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213)와 연결축(212)은 슬라이더(21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축(212)의 외주면과 슬라이더(213)의 내주면에 서로 맞물림 되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슬라이더(213)와 연결축(212)이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사용자가 슬라이더(213)를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에 셋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5)를 벽면(200)에 고정할 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슬라이더(213)를 회전시켜 슬라이더(213)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벽면(200)과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1고정부재(210)에는 슬라이더(213)의 양측 대경부(213a)와 양측 고정부(211)와의 사이에 각각 원통형의 탄성부재(215)가 삽입되어 지지되는데, 탄성부재(215)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더(213)의 축방향 이동시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주름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슬라이더(213)가 회전하면서 연결축(212)을 따라 이동할 때 일측은 수축되고 타측은 팽창되면서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다만, 도 4에는 탄성부재(215)의 외주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탄성부재(215)의 수축과 팽창이 용이하도록 탄성부재(215)의 내주면에도 주름부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탄성부재(215)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으로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 고정부(211)로부터 슬라이더(213)까지 양끝단이 밀착되어 결합되며, 연결축(212)과 슬라이더(213)의 나사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 품질을 높이게 된다.
한편, 제2고정부재(230)는 금속재질의 장방형 플레이트를 절곡시킨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일측단과 타측단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235)이 구비되어 있어서 체결부재로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이나 벽면(200)에 고정되어 하중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고정부재(230)의 중심부에는 체결공(235)이 구비되어 있는 면(230a)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출된 단차면(230b)이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면(230b)에 체결홈(233)이 구비되어 있어서, 제1고정부재(210)와의 결합시 벽면(2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과의 조립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체결홈(233) 주변에 걸리는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하중을 견디는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체결공(235)이 형성되어 있는 면(230a)에도 체결공(235)과 단차면(230b)의 사이에 폭이 좁은 그루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강성 보완용 벤딩부(237)가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공(235)이 형성되어 있는 면(230a)과 단차면(230b) 사이에서의 플레이트 강성을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고정부재(23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233)은 단차면(230b)의 중심에서 외측 개구부위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체결홈(233)의 외곽 플랜지 끝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슬라이더(213)와의 결합시 정확한 위치가 아니어도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5)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미들 캐비넷(205a)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커버(205b), 백커버(205b)의 후면과 벽면(200) 중 어느 한쪽에 결합되는 고정부(211)와, 양측에 구비된 고정부(211)를 연결하는 연결축(212), 연결축(212)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축(212)의 외주측에 결합되는 환형의 슬라이더(213)가 구비되어 있는 제1고정부재(210), 백커버(205b)의 후면과 벽면(200) 중 나머지 한쪽에 결합되며, 슬라이더(213)가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개구된 체결홈(233)이 구비되어 있는 제2고정부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에 상관없이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감싸며 결합되는 미들 캐비넷(205a)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후면을 지지하고, 백커버(205b)는 미들 캐비넷(205a)의 후면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백커버(205b)의 후면에는 제1고정부재(210) 또는 제2고정부재(230)가 결합되는데, 제1고정부재(210)와 제2고정부재(230)의 구조와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도 6과 도 7에서는 제1고정부재(210)가 백커버(205b)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고정부재(210)는 백커버(205b)의 후면에 용접, 본딩, 융착,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거나 별도로 백커버(205b)의 후면에 웰딩너트 또는 펨너트 등의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서는 일례로 웰딩너트(240)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이 경우 웰딩너트(240)가 백커버(205b)에 고정된 상태에서 웰딩너트(240)에 고정부(211)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211)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웰딩너트(240)에 나사 결합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백커버(205b)와 제1고정부재(210)를 필요에 따라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211)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고 웰딩너트(240)에 압입하여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벽면 고정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205) 뿐만 아니라 벽면(200)에 고정이 필요한 그 어떠한 물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5)의 후면처럼 제1고정부재(210)를 직접 결합하거나 웰딩너트, 펨너트 등의 고정부재로 결합될 수 있는 그 어떠한 물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두께가 얇고 슬림화되어 있는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벽면과의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벽면과의 일체감과 외관상 보이는 디자인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벽면과의 설치 각도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벽면 고정장치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제1고정부재 211: 고정부
213: 슬라이더 213a: 대경부
213b: 소경부 213c: 곡면부
215: 탄성부재 230: 제2고정부재
233: 체결홈 235: 체결공

Claims (17)

  1. 고정부와, 양측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의 외주측에 결합되는 환형의 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있는 제1고정부재;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개구된 체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제2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양측단에 구비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사이에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소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벽면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소경부의 양측 끝단과 상기 대경부와의 연결부위에 곡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벽면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축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벽면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 대경부와 양측 고정부와의 사이에 각각 원통형의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축방향 이동시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주름부가 구비되어 있는 벽면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측단과 타측단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벽면 고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중심부에 상기 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차진 단차면이 구비되고 상기 단차면에 상기 체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벽면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단차면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구비되는 벽면 고정장치.
  9.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미들 캐비넷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후면과 벽면 중 어느 한쪽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양측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의 외주측에 결합되는 환형의 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있는 제1고정부재;
    상기 백커버의 후면과 벽면 중 나머지 한쪽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개구된 체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제2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양측단에 구비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사이에 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소경부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소경부의 양측 끝단과 상기 대경부와의 연결부위에 곡면부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축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축의 외주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 대경부와 양측 고정부와의 사이에 각각 원통형의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축방향 이동시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주름부가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백커버의 후면에는 웰딩너트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와 웰딩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측단과 타측단에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중심부에 상기 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차진 단차면이 구비되고 상기 단차면에 상기 체결홈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단차면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67603A 2015-11-27 2015-11-27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5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603A KR102445976B1 (ko) 2015-11-27 2015-11-27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603A KR102445976B1 (ko) 2015-11-27 2015-11-27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620A KR20170062620A (ko) 2017-06-08
KR102445976B1 true KR102445976B1 (ko) 2022-09-23

Family

ID=5922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603A KR102445976B1 (ko) 2015-11-27 2015-11-27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9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309B1 (ko) * 2006-09-19 2008-01-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벽걸이 형 tv의 높이 및 각도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309B1 (ko) * 2006-09-19 2008-01-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벽걸이 형 tv의 높이 및 각도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620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6022B2 (en) Display device
KR1024291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531624B2 (en) LCD device
WO2018019219A1 (en) Mobile terminal, shell module,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display module
JP5562505B2 (ja) 電子機器
US20080204987A1 (en) Display apparatus
TW202011095A (zh) 薄型窄框之顯示器以及其外框件
US9823509B2 (en) Display device
TW201310125A (zh) 背光模組及使用其之顯示裝置
KR2019002399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551894B2 (en) Display
JP2010061202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KR102445976B1 (ko) 벽면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86053A (ja) 表示装置
CN106462186B (zh) 用于工业控制系统的移动手持设备
CN109188841B (zh) 反射镜调整装置以及投影装置
WO2017028409A1 (zh) 背光模组、显示模组及显示装置
JP6917550B2 (ja) 表示装置
TWM501578U (zh) 顯示裝置
KR201800142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TWM545270U (zh) 顯示裝置
EP2429187A2 (en) Television and electronic device
TWI713905B (zh) 防水模組及顯示裝置
JP6475782B2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20140347595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