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804B1 -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804B1
KR102444804B1 KR1020220066600A KR20220066600A KR102444804B1 KR 102444804 B1 KR102444804 B1 KR 102444804B1 KR 1020220066600 A KR1020220066600 A KR 1020220066600A KR 20220066600 A KR20220066600 A KR 20220066600A KR 102444804 B1 KR102444804 B1 KR 102444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type secondary
electrolyte
injection hole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암
김진섭
이원우
이혁준
Original Assignee
디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91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Cleaning battery or cell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35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 B08B7/004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by la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가 금속캔에 내장된 캔형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용접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묻어 있는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Electrolyte injection hole laser cleaning device of can-typ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레이저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형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전해액 주입구 밀봉을 위한 용접 공정 전에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묻어 있는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금속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캔형 이차전지는 다시 금속캔의 형태에 따라 원통형 전지와 각형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전극조립체를 캔에 삽입한 후, 캔의 상면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공정을 실시하고 난 후,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하여 이차전지를 완성하는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전해액을 주입하고 난 다음 전해액 주입구에 밀폐부재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밀폐부재는 통상 알루미늄 재질의 밀봉볼(seal ball)을 가압수단으로 가압하여 전해액 주입구에 압착시키고, 밀봉볼이 압착된 경계부분을 따라 상면과 레이저 용접을 하거나, 밀봉볼이 압착된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핀(seal pin)을 갖다 대고 레이저 용접하여 전해액 주입구를 밀폐시키게 된다.
하지만, 전해액 주입시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전해액이나 이물질 등이 묻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와이퍼(wiper)를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전해액이나 이물질 등을 닦아서 제거한 후에 용접하는 공정을 실시하고 있어서,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서 전해액이나 이물질 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거나 제거하는 과정에서 다른 이물질이 묻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용접불량 등으로 이어지면서 전해액 주입구의 밀폐력이 약화되어 전해액이 누액되는 등 이차전지의 성능이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전해액 주입을 위한 기술을 예로 들면, 특허등록 제984367호 "전해액 주입구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특허등록 제1753337호 "이차전지 제조장비의 전해액 주입장치" 등과 같이 이차전지의 케이스에 전해액을 효율적으로 주입하면서 정량을 주입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출현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이차전지의 성능이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해액 주입구 밀봉을 위한 용접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전해액 주입구 주위를 자동으로 완벽하게 클리닝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나 장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조립체가 금속캔에 내장된 캔형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용접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묻어 있는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는, 메인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캔형 이차전지가 놓여지게 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캔형 이차전지를 X축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닛;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면이 상기 컨베이어유닛보다 일정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클리닝 될 캔형 이차전지가 투입되는 쪽의 전단(前端)이 컨베이어유닛의 전단보다 일정 거리만큼 후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서브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유닛에 놓인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를 클리닝하기 위해 레이저 빔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유닛; 레이저 클리닝을 할 때 발생하게 되는 퓨움(fume)을 석션하여 집진(集塵)하는 집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브프레임에서 클리닝 될 캔형 이차전지가 투입되는 쪽의 전단(前端) 외측에 카메라유닛이 더 설치되고, 카메라유닛은 컨베이어유닛에 투입되는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브프레임의 상면에는 2∼5개의 Y축이동유닛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레이저 발생유닛이 Y축이동유닛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Y축유닛 모터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유닛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카메라 구동모터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유닛에는 캔형 이차전지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포켓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발생유닛은, 레이저 빔을 발진하는 레이저 헤드; 전진 및 후진을 통해 전해액 주입구의 주위 형상에 따라 빔의 초점을 조절해 주는 포커싱유닛; 클리닝할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를 스캔하는 스캔헤드; 상기 스캔헤드를 거쳐 입사하는 레이저 빔을 클리닝할 캔형 이차전지에 조사해 주는 스캔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캔렌즈를 통해 석션후드 내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클리닝할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를 클리닝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석션후드의 측면에는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석션을 위한 석션홀이 균등분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레이저 클리닝을 할 때 발생하게 되는 퓨움(fume)이 석션홀을 통해 석션되어, 집진기와 석션후드 사이에 설치된 배관과 덕트를 통과하여 집진기로 집진(集塵)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캔형 이차전지의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볼(seal ball)을 결합한 후, 용접하기 전에 클리닝 작업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클리닝 장치는 전극조립체가 금속캔에 내장된 캔형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 밀봉하기 위하여 주입구에 밀봉볼(seal ball)을 압착한 후에, 전해액 주입구를 포함한 주위에 레이저 클리닝을 실시하여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묻어 있는 전해액 등 이물질을 자동으로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 압착된 밀봉볼의 경계부분과 케이스의 상면을 직접 용접하거나, 전해액 주입구에 상부에 별도의 밀봉핀(seal pin)을 삽입하여 케이스 상면에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하여 밀봉한다. 이와 같이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한 다음 용접 작업을 하기 때문에 이물질로 인한 용접불량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해액 주입구의 밀폐력이 향상되어 이차전지의 성능이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해액 누액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클리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클리닝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서브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캔형 이차전지의 외관 및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구성을 분해하여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캔형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전해액 주입구 밀봉을 위한 용접 공정을 실시하기 전(前)공정에서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묻어 있는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을 자동으로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클리닝 장치는 전극조립체가 금속캔에 내장된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묻어 있는 잔류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을 클리닝하기 위한 장치로, 금속캔의 형태가 원통형이든 사각형이든, 다시 말하면, 원통형 전지이든 각형 전지이든 상관없이 모두 적용되며, 캔형 이차전지의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를 용접하여 밀폐하기 전에 클리닝 작업을 하게 된다. 레이저 클리닝 장치는, 캔형 이차전지를 자동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닛(13),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서브프레임(12), 레이저 빔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유닛(20) 및 석션된 퓨움(fume)을 집진(集塵)하게 되는 집진기(16)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컨베이어유닛(13)은 메인프레임(11)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컨베이어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캔형 이차전지(15)가 놓여지게 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컨베이어가 구동되면서 캔형 이차전지(15)를 X축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키게 된다. 컨베이어유닛(13)에는 캔형 이차전지(15)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포켓(14)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어서 캔형 이차전지의 하부가 포켓(14)에 삽입된 상태로 컨베이어 상에 위치가 고정되어 놓여지게 된다. 컨베이어는 클리닝 될 캔형 이차전지(15)가 놓여지는 작업대 역할도 하면서, 컨베이어유닛(13)은 구동모터(도면부호 미지정)의 구동에 의해 캔형 이차전지(15)를 자동 이송시키게 된다.
서브프레임(12)은 메인프레임(1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면이 컨베이어유닛(13)보다 일정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클리닝 될 캔형 이차전지(15)가 투입되는 쪽의 전단(前端)이 컨베이어유닛(13)의 전단보다 일정 거리만큼 후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도 1a 참조).
서브프레임(12)에서 클리닝 될 캔형 이차전지(15)가 투입되는 쪽의 전단(前端) 외측에 카메라유닛(30)이 설치되게 되는데(도 1a 참조), 카메라유닛(30)은 컨베이어유닛(13)에 투입되는 캔형 이차전지(15)의 전해액 주입구(152) 주위에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컨베이어유닛(13)의 전단이 서브프레임(12)의 전단보다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컨베이어유닛(13)의 전단 쪽에 놓인 캔형 이자전지(15)의 상면을 서브프레임(12)의 전단에 설치된 카메라유닛(30)이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유닛(30)이 검사에서 검사한 결과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이물질이 검출되지 않으면 레이저 클리닝을 하지 않고 이송시킬 수도 있다.
캔형 이차전지(15)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전해액 주입구(152)의 위치가 약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유닛(30)이 Y축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카메라 구동모터(31)를 더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Z축 방향(상하방향)으로는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레이저 발생유닛(20)은 서브프레임(12)의 상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유닛(13)에 놓인 캔형 이차전지(15)의 전해액 주입구(152) 주위를 클리닝하기 위한 레이저 빔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구성이다. 전해액 주입구(152) 부분에 단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발생유닛(20)은 3D 스캐너 모듈이 구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발생유닛(20)은 레이저 헤드(21), 포커싱유닛(25), 스캔헤드(26) 및 스캔렌즈(27)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레이저 헤드(21)는 레이저 빔을 발진하는 구성이고, 포커싱유닛(25)은 전진 및 후진을 통해 전해액 주입구 주위의 요철이나 단차 및 굴곡 등 형상에 따라 빔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구성이며, 스캔헤드(26)는 클리닝할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를 스캔하는 구성이며, 스캔렌즈(27)는 스캔헤드(26)를 거쳐 입사하는 레이저 빔을 클리닝할 캔형 이차전지에 조사해 주는 구성이다. 스캔렌즈(27)를 통해 석션후드(28) 내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석션후드(28) 하부에 놓여 있는 클리닝할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를 클리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레이저 발생장치(14)는 본 발명만의 특징적 구성이 아니고 이미 제품화 되어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부호 22는 레이저의 파워를 조절해 주는 감쇠기(attenuator)이고, 23은 빔을 확장시켜 주는 빔익스팬더(beam expander)이며, 24는 빔익스팬더(23)와 포커싱유닛(focusing unit)(25)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미러(mirror)이다.
레이저 발생유닛(20)은 캔형 이차전지(15)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전해액 주입구(152)의 위치가 약간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 발생유닛(20)이 Y축 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발생유닛(20)의 Y축 방향 이동을 위해 서브프레임(12)의 상면에는 2∼5개의 Y축이동유닛(121)이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레이저 발생유닛(20)이 Y축이동유닛(121)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Y축유닛 모터(12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도 4 참조). 레이저 발생유닛(20)은 Y축이동유닛(121) 상에 설치되어 Y축유닛 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집진기(40)는 레이저 클리닝을 할 때 발생하게 되는 퓨움(fume), 미스트, 연기 등을 석션하여 집진(集塵)하는 구성이다.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공간인 석션후드(28)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인데, 측면은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이중벽의 외주면과 내주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집진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석션을 위한 석션홀이 균등분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레이저 클리닝을 할 때 발생하게 되는 퓨움(fume), 미스트, 연기 등이 석션홀을 통해 석션되어, 집진기(40)와 석션후드(28) 사이에 설치된 배관과 덕트(41)를 통과하여 집진기(40)로 집진(集塵)되게 되는데, 석션을 위해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부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다. 석션후드(28)의 하면은 캔형 이차전지(15)의 상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컨베이어유닛(13)에 놓인 캔형 이차전지(15)는 컨베이어의 구동에 따라 자동 이송되면서 석션후드(18)의 하부를 통과하게 되며, 석션후드(28)의 하부를 통과하는 동안 레이저 클리닝이 이루어지게 된다.
미설명부호 41은 석션후드(28)에서 석션된 퓨움을 집진하기 위한 덕트이고, 42는 집진기 매니폴드(manifold)이며, 43은 매니폴드(42)와 집진기(40)을 연결하는 스틸배관이며, 44는 석션후드(28)와 덕트(41)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배관이다. 석션후드(28)에서 석션된 퓨움, 미스트, 연기 등은 호스배관(44), 덕트(41), 매니폴드(42) 및 스틸배관(43)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최종적으로 집진기(40)에 집진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형 이차전지의 케이스 상면에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극조립체를 이차전지의 케이스(151)인 캔에 삽입한 후, 캔의 상면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152)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게 된다. 전해액을 주입한 후에는 밀봉볼(seal ball)(153)을 가압수단으로 가압하여 전해액 주입구(152)에 압착시켜 조립한 후, 밀봉볼(153)이 압착된 경계부분을 따라 캔의 상면과 레이저 용접을 하거나, 밀봉볼(153)이 압착된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핀(seal pin)(154)을 갖다 대고 캔의 상면과 레이저 용접하여 전해액 주입구(152)를 밀폐시키게 된다. 그런데 전해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이 전해액 주입구(152) 주변에 묻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물질이 용접불량을 야기시키고 결국 이차전지의 품질과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용접하기 전에 클리닝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또한, 밀봉볼(153)을 전해액 주입구(152)에 압착하는 것으로 전해액 주입구 밀봉을 완료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도 밀봉볼(153)을 압착하여 결합한 후에 전해액 주입구(152) 주위를 클리닝해 주어야 하며, 본 발명의 클리닝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메인프레임
12 : 서브프레임 121 : Y축이동유닛
122 : Y축유닛 모터 13 : 컨베이어유닛
14 : 포켓 15 : 캔형 이차전지
151 : 케이스 152 : 전해액 주입구
153 : 밀봉볼(seal ball) 154 : 밀봉핀(seal pin)
20 : 레이저 발생유닛 21 : 레이저헤드
22 : 감쇠기(attenuator) 23 : 빔익스팬더(beam expander)
24 : 미러(mirror) 25 : 포커싱유닛(focusing unit)
26 : 스캔헤드(scan head) 27 : 스캔렌즈
28 : 석션후드(suction hood)
30 : 카메라유닛 31 : 카메라 구동모터
40 : 집진기 41 : 덕트
42 : 매니폴드(manifold) 43 : 스틸배관
44 : 호스배관

Claims (8)

  1. 캔형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묻어 있는 잔류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을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거하는 레이저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클리닝 장치는,
    메인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캔형 이차전지가 놓여지게 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캔형 이차전지를 X축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유닛;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면이 상기 컨베이어유닛보다 일정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클리닝 될 캔형 이차전지가 투입되는 쪽의 전단(前端)이 컨베이어유닛의 전단보다 일정 거리만큼 후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서브프레임;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유닛에 놓인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를 클리닝하기 위해 레이저 빔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유닛;
    레이저 클리닝을 할 때 발생하게 되는 퓨움(fume)을 석션하여 집진(集塵)하는 집진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이저 발생유닛은,
    레이저 빔을 발진하는 레이저 헤드;
    전진 및 후진을 통해 전해액 주입구의 주위 형상에 따라 빔의 초점을 조절해 주는 포커싱유닛;
    클리닝할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를 스캔하는 스캔헤드;
    상기 스캔헤드를 거쳐 입사하는 레이저 빔을 클리닝할 캔형 이차전지에 조사해 주는 스캔렌즈;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캔렌즈를 통해 석션후드 내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클리닝할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를 클리닝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클리닝 될 캔형 이차전지가 투입되는 쪽의 전단(前端) 외측에 카메라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유닛은 컨베이어유닛에 투입되는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주위에 전해액을 포함한 이물질이 묻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면에는 2∼5개의 Y축이동유닛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레이저 발생유닛이 Y축이동유닛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Y축유닛 모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유닛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카메라 구동모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에는 캔형 이차전지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포켓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후드의 측면에는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석션을 위한 석션홀이 균등분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레이저 클리닝을 할 때 발생하게 되는 퓨움(fume)이 석션홀을 통해 석션되어, 집진기와 석션후드 사이에 설치된 배관과 덕트를 통과하여 집진기로 집진(集塵)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형 이차전지의 케이스 상면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에 밀봉볼(seal ball)을 결합한 후, 용접하기 전에 클리닝 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KR1020220066600A 2022-05-31 2022-05-31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KR10244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600A KR102444804B1 (ko) 2022-05-31 2022-05-31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600A KR102444804B1 (ko) 2022-05-31 2022-05-31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804B1 true KR102444804B1 (ko) 2022-09-19

Family

ID=8346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600A KR102444804B1 (ko) 2022-05-31 2022-05-31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8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99B1 (ko) * 2010-05-28 2012-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
KR20160134888A (ko) * 2015-05-13 2016-11-24 주식회사 비츠로셀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 구조 및 그 밀봉 방법
KR20210116071A (ko) * 2020-03-17 2021-09-27 주식회사 아이엠티 원통형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레이저 세정 장치
KR20210144165A (ko) *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비젼을 이용한 전지 모듈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99B1 (ko) * 2010-05-28 2012-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
KR20160134888A (ko) * 2015-05-13 2016-11-24 주식회사 비츠로셀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 구조 및 그 밀봉 방법
KR20210116071A (ko) * 2020-03-17 2021-09-27 주식회사 아이엠티 원통형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레이저 세정 장치
KR20210144165A (ko) * 2020-05-21 2021-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비젼을 이용한 전지 모듈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4160B2 (ja) 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製造システム
KR102649307B1 (ko) 이차전지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CN115475986B (zh) 清洁设备、电池单体、用电装置及电池单体加工方法
CN220347513U (zh) 一种电池盖板全自动焊接设备
CN108788433A (zh) 用于铝合金的真空电子束焊接方法以及真空电子束焊接系统
KR102448314B1 (ko) 원통형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레이저 세정 장치
KR102444804B1 (ko)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US11835468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air void at lead film of battery
KR20200059615A (ko) 이차전지셀 파우치성형모듈
WO2012064003A1 (ko) 이차전지 전극의 용접 장치 및 방법
KR102141380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알루미늄 파우치 실링을 위한 비파괴검사 판정시스템
KR101861392B1 (ko) 레이저 노칭 배기 후드 및 레이저 노칭 시 이물 제거 방법
JP2003181666A (ja) 角型電池容器の溶接方法及び角型電池の製造方法
KR20200059616A (ko) 전극탭 재단장치
KR20200059617A (ko) 이차전지셀의 절연저항측정장치
CN117399795A (zh) 一种电芯极柱焊接缺陷修复方法、系统、设备和介质
CN116372363A (zh) 电池模组汇流排的焊接方法
JP2023513072A (ja) ビジョンを用いた電池モジュール組立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組立方法
CN210937646U (zh) 焊接压板、抽吸除尘装置以及超声波焊接装置
KR102559154B1 (ko) 전극 노칭 장치
CN217983461U (zh) 圆柱电池的焊接设备
CN221041216U (zh) 极片定位机构及叠片装置
CN217475090U (zh) 一种动力电池模组焊接设备
CN216177561U (zh) 一种锂电池激光焊接自动吸尘辅助装置
CN220591893U (zh) 一种电池压钉杆及压紧焊接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