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592B1 - 완전한 원료혼합을 위한 물질 혼합용 캡 - Google Patents

완전한 원료혼합을 위한 물질 혼합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592B1
KR102444592B1 KR1020210099568A KR20210099568A KR102444592B1 KR 102444592 B1 KR102444592 B1 KR 102444592B1 KR 1020210099568 A KR1020210099568 A KR 1020210099568A KR 20210099568 A KR20210099568 A KR 20210099568A KR 102444592 B1 KR102444592 B1 KR 10244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eparator
needle
mixing
material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영
Original Assignee
(주)엔오엔
유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오엔, 유수영 filed Critical (주)엔오엔
Priority to KR1020210099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592B1/ko
Priority to PCT/KR2022/010445 priority patent/WO202300880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리막이 파단된 후 잉여 격리막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다단핀을 포함하는 물질 혼합용 캡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은 크게 몸체부, 캡상단 및 격리막을 포함하는 물질수납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잉여 격리막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격리막을 완전 개방할 수 있는 제침부를 형성하는 파단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전한 원료혼합을 위한 물질 혼합용 캡{Cap for Perfect Mixing}
본 발명은 물질 혼합용 캡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작은 힘으로 격리막을 원하는 각도로 개방하여 잔여 용질을 최소화한 구조의 물질 혼합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식품, 약품, 기타 케미컬에는 용질과 용매를 미리 섞어 두었을 때, 그 효과의 지속시간 또는 품질 유지시간 등으로 인해 용질과 용매를 따로 분리하여 구비되는 제품들이 있다.
종래에는 용질을 용매가 구비된 용기 상단에 구비해두고 용기 상단의 격리막을 파단 시키는 방식으로 용질을 용매에 혼합시켜 혼합 즉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물질 혼합용 캡과 파단핀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약하게 파단핀을 누르면 파단된 격리막이 파단핀의 하단부에 밀착되거나 완전히 개방되지 못해 용매에 용질이 제대로 투입되지 못해 혼합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격리막을 파단 시 개방에 방해되는 요소인 연성을 최소화하고자 좀 더 경질의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경질의 소재를 사용하였을 때 격리막이 파단 시점에서 과도한 힘을 받아 격리막 전체가 뜯겨나가 용기 내부로 떨어지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5818호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공개일 2015.07.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형태의 파단핀을 적용하여 잉여 격리막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격리막의 완전 개방이 가능한 물질 혼합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질의 소재 또는 연질의 소재 등 소재의 특성에 관계없이 잉여 격리막이 보존되고 격리막이 넓게 개방되어 물질 혼합이 용이한 물질 혼합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캡과 용기 사이의 실링성을 향상시킨 물질 혼합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단핀과 캡의 실링성을 향상시켜 가스 및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물질 혼합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잉여 격리막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격리막의 완전 개방이 가능한 물질 혼합용 캡으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수직을 이루는 캡상단, 상기 캡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혼합용 용질을 수납하는 물질수납부, 상기 물질수납부 하단에서 혼합용 용질을 격리시키는 격리막 및 상기 격리막을 파단시키는 다단핀을 포함하고, 상기 격리막은 파단 시 상기 물질수납부와 연결된 잉여 격리막을 남기며, 상기 잉여 격리막과 상기 다단핀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핀은 상기 격리막과 접촉하여 상기 격리막을 파단시키는 파단부, 기 파단부에서 연장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파단부의 타측에 위치한 제침부 및 상기 제침부에서 이어져 상기 제침부와 상기 잉여 격리막 사이를 이격시키는 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침부는 제침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여 격리막은 직선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핀은 하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핀은 상단에 상기 물질수납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캡상단과 접촉되는 하면에 실링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상단은 상기 실링오목부에 대응되는 실링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상단은 하면에 용기 내벽과 흡착되는 실링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핀은 작동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되어 결합되는 잠금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질수납부는 상기 다단핀과 접촉되는 내측에 이탈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다단핀은 일측에 상기 이탈방지턱에 대응되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은 다단핀이 잉여 격리막과 접촉하지 않아 잉여 격리막의 파단을 방지하고 용액에 격리막이 빠지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은 캡 전체를 동일한 단단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어 기밀성이 높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은 캡과 용기 간의 실링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은 다단핀과 캡 간의 실링구조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흔들어 내용물을 혼합하여도 가스 및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은 격리막을 파단시킨 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어 잔여 용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질 혼합용 캡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과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을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을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을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을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석 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물질 혼합용 캡(1)을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물질 혼합용 캡(1)은 파단핀(2)에 의해 격리막(3)을 파단 시 남은 잉여 격리막(3-1)이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핀(2)의 일측과 접촉하여 서로 간섭하게 되고 종종 잉여 격리막(3-1)이 완전히 파괴되어 격리막(3)이 용액에 섞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거나 식품의 경우 음용 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은 잉여 격리막과 접촉하지 않는 다단핀을 포함하며, 경질의 소재 또는 연질의 소재 등 소재의 특성에 관계없이 잉여 격리막이 보존되고 격리막이 넓게 개방되어 물질 혼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을 용기(10)에 결합한 전체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 상단에 물질 혼합용 캡(100)이 결합되고 상기 물질 혼합용 캡(100)의 상단으로 다단핀(200)이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용기(10)에는 혼합 전 용액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질 혼합용 캡(100)에는 상기 용기(10)의 용액과 섞이게 될 용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다단핀(200)은 상기 물질 혼합용 캡(100)에 구비된 격리막(131)을 파단하여 용질을 상기 용기(10)에 구비된 용액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은 혼합 후 유통기한이 감소하거나 혼합용액의 효과 지속시간이 짧은 식품이나 약품을 섞이기 전 용질과 용액을 따로 격리해둠으로써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 다단핀(200) 및 용기(10)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입구에 물질 혼합용 캡(100)이 상단으로 결합되고, 상기 물질 혼합용 캡(100)의 물질수납부(130)로 다단핀(200)이 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물질 혼합용 캡(100)의 몸체부(120) 내벽과 상기 용기(10)의 외벽은 나사산과 같은 체결수단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질 혼합용 캡(100)의 캡상단(110)의 하면에는 실링막(112)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10) 내벽(11)에 밀착되어 용질과 용액이 반응하여 가스가 발생하거나 내용물을 흔들어 섞을 때 가스 또는 용액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단핀(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질수납부(130)에 구비된 용질에 의해 작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중공을 형성하는 중공부(220)와 누름부(210)로 형성된다. 상기 다단핀(200)은 상기 물질 혼합용 캡(100)의 물질수납부(130)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물질수납부(130)에 구비된 용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물질수납부(130)의 내경과 상기 중공부(220)의 외경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단핀(200)이 격리막(131)을 파단한 이후 상기 용기(10)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누름부(210)의 직경은 상기 물질수납부(13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부(210)의 하면에는 실링오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오목부(211)는 상기 누름부(210)의 하면에서 상기 중공부(220)를 에워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상단(110)에는 상기 실링오목부(211)에 대응되는 실링돌출부(111)가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실링돌출부(111)는 상기 실링오목부(21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물질수납부(130)를 에워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오목부(211)와 상기 실링돌출부(111)는 사용자가 다단핀(200)을 누른 상태에서 내용물을 섞을 때 가스 또는 용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의 격리막(131)이 파단되는 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의 다단핀(200)은 격리막(131)과 접촉을 시작하는 하단부에 파단부(230), 경사부(231) 및 제침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파단부(230)가 격리막(131)을 파단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침부(232)가 상기 격리막(131)을 밀어내는 형태로 상기 격리막(131)을 개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다단핀(200)은 하단에 파단부(230) 및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상기 파단부(230)에서 이어지는 경사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핀(200)은 상기 경사부(231)에서 이어지는 제침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단핀(200)이 외력에 의해 눌러지면 작동방향으로 상기 파단부(230)가 물질수납부(130)의 격리막(131)을 파단시키기 시작한다. 이어, 상기 파단부(230)가 상기 격리막(131)을 뚫고 통과하기 시작하면 상기 경사부(13)가 격리막(131)의 나머지 부분을 절개하는 방식으로 상기 격리막(131)을 파단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은 상기 격리막(131)이 일부 파단된 후 상기 물질수납부(130)와 이어진 잉여 격리막(131-1)을 남기게 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리막(131)은 상기 제침부(232)에 의해 밀려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단핀(200)은 상기 경사부(231)를 중심으로 상기 파단부(230)가 형성된 타측에 상기 제침부(232)에서 급격한 경사로 이어진 파단방지턱(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단방지턱(233)은 상기 다단핀(200)이 작동방향으로 끝까지 눌러졌을 때 상기 다단핀(200)과 상기 잉여 격리막(131-1)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은 잉여 격리막(131-1)의 완전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의 다단핀(200)은 제침돌기(2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다단핀(200)은 하단부에 경사부(231)를 중심으로 파단부(230)의 타측에 위치한 제침부(232)에 작동방향으로 돌출된 제침돌기(2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침돌기(232-1)는 날카롭지 않은 둥근 형상으로 상기 파단부(230)가 격리막(131)을 파단하기 시작하고 상기 경사부(231)가 상기 격리막(131)의 나머지 부분을 절개한 후 상기 제침부(232)가 절개된 격리막(131)을 밀어내어 개방할 때 상기 격리막(131)이 좀 더 넓은 각도로 개방될 수 있도록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은 물질수납부(130)에 잔여 용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은 단면 일측이 직선의 형상을 가진 물질수납부(130) 및 격리막(131)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의 물질수납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질수납부(13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파단부(230)의 타측이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리막(131) 또한 일측이 직선의 형상을 가지게 되고, 상기 파단부(230)와 경사부(231)에 의해 파단되고 절개되어 직선의 형상을 가지는 잉여 격리막(131-1)을 남길 수 있다. 즉, 상술된 바를 통해 종래에 원형의 격리막으로 인해 잉여 격리막이 접점의 형태로 남아있어 격리막이 완전히 파단되는 문제점을 좀 더 보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은 잠금핀(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다른 물질 혼합용 캡(100)의 다단핀(200)은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다단핀(200)의 중공부(220)를 관통하여 다단핀(200)의 작동을 막는 잠금핀(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220)에서 상기 잠금핀(221)이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물질수납부(130)의 깊이에 대응하여 상기 다단핀(200)이 격리막(131)에 닿지 않는 위치가 바람직하며, 상기 잠금핀(221)은 캡상단(110)에 걸려 상기 잠금핀(221)을 제거하기 전 다단핀(200)의 진입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의 물질수납부(130)는 이탈방지턱(132)을 더 포함하며, 이에 대응하여 다단핀(200)은 이탈방지홈(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물질 혼합용 캡(100)은 물질수납부(130)에 용질을 구비하고 상기 다단핀(200)을 상기 물질수납부(13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파단핀(200)이 상기 물질수납부(130)를 이탈하고 상기 물질수납부(130)에 구비된 용질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질수납부(130)는 내측에 상기 다단핀(200) 쪽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132)을 포함하고 상기 다단핀(200)은 중공부(220) 일측에 상기 이탈방지턱(132)과 대응되는 이탈방지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종래의 물질 혼합용 캡
2 : 파단핀
3 : 격리막 3-1 : 잉여 격리막
10 : 용기 11 : 내벽
100 : 물질 혼합용 캡
110 : 캡상단
111 : 실링돌출부 112 : 실릭막
120 : 몸체부
130 : 물질수납부
131 : 격리막 131-1 : 잉여 격리막
131-2 : 덧댐부
132 : 이탈방지턱
200 : 다단핀
210 : 누름부 211 : 실링오목부
220 : 몸체부
221 : 잠금핀 222 : 이탈방지홈
230 : 파단부
231 : 경사부
232 : 제침부 232-1 : 제침돌기
233 : 파단방지턱

Claims (12)

  1.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수직을 이루는 캡상단;
    상기 캡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혼합용 용질을 수납하는 물질수납부;
    상기 물질수납부 하단에서 혼합용 용질을 격리시키는 격리막; 및
    상기 격리막을 파단시키는 다단핀을 포함하고, 상기 격리막은 파단 시 상기 물질수납부와 연결된 잉여 격리막을 남기며, 상기 잉여 격리막은 상기 다단핀의 하단부 일측에 밀려 완전히 개방되고,
    상기 다단핀은 상기 격리막과 접촉하여 상기 격리막을 파단시키는 파단부,
    상기 파단부에서 연장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파단부의 타측에 위치한 제침부 및
    상기 제침부에서 이어져 상기 제침부와 상기 잉여 격리막 사이를 이격시키는 파단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침부는 제침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혼합용 캡.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 격리막은 직선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혼합용 캡.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핀은 하단 또는 측면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중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혼합용 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핀은 상단에 상기 물질수납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혼합용 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캡상단과 접촉되는 하면에 실링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상단은 상기 실링오목부에 대응되는 실링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혼합용 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상단은 하면에 용기 내벽과 흡착되는 실링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혼합용 캡.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핀은 작동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되어 결합되는 잠금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혼합용 캡.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수납부는 상기 다단핀과 접촉되는 내측에 이탈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다단핀은 일측에 상기 이탈방지턱에 대응되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혼합용 캡.
KR1020210099568A 2021-07-29 2021-07-29 완전한 원료혼합을 위한 물질 혼합용 캡 KR10244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68A KR102444592B1 (ko) 2021-07-29 2021-07-29 완전한 원료혼합을 위한 물질 혼합용 캡
PCT/KR2022/010445 WO2023008800A1 (ko) 2021-07-29 2022-07-18 완전한 원료혼합을 위한 물질 혼합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568A KR102444592B1 (ko) 2021-07-29 2021-07-29 완전한 원료혼합을 위한 물질 혼합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592B1 true KR102444592B1 (ko) 2022-09-20

Family

ID=8344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568A KR102444592B1 (ko) 2021-07-29 2021-07-29 완전한 원료혼합을 위한 물질 혼합용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4592B1 (ko)
WO (1) WO202300880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989A (ko) * 2004-05-07 2005-11-11 (주)일렉콤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JP2007076738A (ja) * 2005-09-15 2007-03-29 Takeshige Yokota 粉末栄養素混合容器
KR20140017521A (ko) * 2011-02-16 2014-02-11 코스웰 에스.피.에이. 배출기구를 가지는 병
KR20150075818A (ko) 2013-12-26 2015-07-06 (주)삼화피앤티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102062769B1 (ko) * 2018-06-27 2020-02-20 금선호 음료와 질소가 담긴 용기의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9758B1 (it) * 2010-04-30 2013-05-03 Capsol S P A "tappo a serbatoio perfezionat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989A (ko) * 2004-05-07 2005-11-11 (주)일렉콤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JP2007076738A (ja) * 2005-09-15 2007-03-29 Takeshige Yokota 粉末栄養素混合容器
KR20140017521A (ko) * 2011-02-16 2014-02-11 코스웰 에스.피.에이. 배출기구를 가지는 병
KR20150075818A (ko) 2013-12-26 2015-07-06 (주)삼화피앤티 첨가제 수용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102062769B1 (ko) * 2018-06-27 2020-02-20 금선호 음료와 질소가 담긴 용기의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800A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68856A (ja) パツケ−ジ構造
KR100597217B1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US5052589A (en) Unit dose assembly
US6247586B1 (en) Two-component container
EP2377772A1 (en) Additive dispenser/hermetic closure system for containers and/or jars
AU2012266372B2 (en) Stopping device and container comprising such a device
RU2707854C1 (ru) Дозирующий колпачок
JP3210250U (ja) 付加的チャンバを備えたキャップ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パッケージングユニット
US20110024422A1 (en) Closure
KR101914598B1 (ko) 용기용 폐쇄장치 및 그 폐쇄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
KR102444592B1 (ko) 완전한 원료혼합을 위한 물질 혼합용 캡
JP5450379B2 (ja) 安全蓋
AU2021298068A1 (en) Biopsy container assembly
KR102444583B1 (ko) 안전한 물질 혼합을 위한 다각 구조의 캡
KR100705458B1 (ko) 용기마개
KR20240056952A (ko) 살균제 생성을 위한 용기
JP2003292072A (ja) 複数液混合用エアゾ−ル装置
EP3536631B1 (en) Device for capping a bottle suited to the preservation of substances to be kept separate until their application and suited to the collection of the mixture obtained by means of a syringe
JP4453105B2 (ja) 二剤混合容器
JP2017081617A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100042570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JP7420564B2 (ja) 内容器開封機構
CN114537881B (zh) 一种分离存储内容物的瓶盖以及可蒸煮的杀菌瓶
KR20100045350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0992214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