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191B1 -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갖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갖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191B1
KR102444191B1 KR1020190038658A KR20190038658A KR102444191B1 KR 102444191 B1 KR102444191 B1 KR 102444191B1 KR 1020190038658 A KR1020190038658 A KR 1020190038658A KR 20190038658 A KR20190038658 A KR 20190038658A KR 102444191 B1 KR102444191 B1 KR 10244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rmable
slit
lower housing
connecto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786A (ko
Inventor
김운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1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유동공간(S)이 있는 하부하우징(20)과,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유동공간(S)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20)과 상대이동가능하도록 하부하우징(20)에 연결되는 상부하우징(50)과,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하우징(50)에 내장되고 나머지 부분 중 일부는 하부하우징(20)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터미널다발과, 상기 유동공간(S)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하우징(20) 및 상부하우징(50)의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경사스토퍼(26,56)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다발들 중 일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제1변형슬릿(76)이 관통되는 탄성변형부(75)가 있고, 상기 제1변형슬릿(76)에는 상기 제1변형슬릿(76)의 폭을 넓게 하는 확장부(76b)가 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 있다.

Description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갖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Terminal and Board to Board Connector having this}
본 발명은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터미널이 내장되고, 커넥터를 구성하는 2개의 하우징이 서로 상대이동 가능한 범위가 제한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커넥터를 사용하면 먼저 여러개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한 후에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커넥터는 두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서로 적층되는 2개의 인쇄회로기판에 각각 커넥터가 있고, 이들 커넥터가 조립되면 두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는 것이다.
그런데, 두 인쇄회로기판이 각각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상대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면 인쇄회로기판은 외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기판은 고정되지만 여기에 적층되는 보조기판이 메인기판에 의지하는 구조라면 보조기판이 유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메인기판에 설치되는 커넥터가 2개의 부품(하우징)으로 구성되고, 2개의 부품이 어느 정도 서로 상대이동할 수 있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2개의 부품이 상대이동하면서 외력을 흡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2개의 부품이 상대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의 변형량이 증가하여 손상되거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부품이 상대이동되는 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또한 터미널이 보다 잘 탄성변형될 수 있게 하여 터미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8662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하우징이 서로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상대이동하는 범위를 적절하게 제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하우징이 상대이동할 때 터미널이 탄성변형되는 지점을 나누어 터미널에 가해지는 탄성부하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대커넥터에 연결되는 제2단부와,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제1변형슬릿이 관통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변형슬릿에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폭을 넓게 하는 확장부가 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 있다.
상기 제1단부와 상기 탄성변형부 사이에는 상기 제1단부 및 탄성변형부와 각각 직교한 안착부가 있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제1변형슬릿과 연결되는 제2변형슬릿이 있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만들어지고, 다수개의 확장부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안착부 보다 폭이 좁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유동공간이 있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유동공간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과 상대이동가능하도록 하부하우징에 연결되는 상부하우징과,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에 내장되고 나머지 부분 중 일부는 하부하우징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터미널다발과, 상기 유동공간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의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경사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다발들 중 일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제1변형슬릿이 관통되는 탄성변형부가 있고, 상기 제1변형슬릿에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폭을 넓게 하는 확장부가 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 있다.
상기 유동공간에는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의 전후 및 좌우 유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스토퍼가 있다.
상기 경사스토퍼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면에 있는 제1경사스토퍼와 이와 마주보는 상부하우징의 외면에 있는 제2경사스토퍼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스토퍼는 상부하우징의 양쪽 최외측 보다 안쪽에 위치하되, 하부하우징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쌍을 이루고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연결브릿지로 연결되어 서로 상대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브릿지는 상기 유동공간의 양쪽에 각각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브릿지는 양쪽 끝이 각각 하부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에 연결되고, 중심으로부터 양쪽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상기 상부하우징의 저면에는 회로기판을 향해 상하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상하스토퍼의 하단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저면 보다 회로기판을 향해 더 돌출되거나 상기 하부하우징의 저면과 같은 높이를 갖는다.
상기 제1단부와 상기 탄성변형부 사이에는 상기 제1단부 및 탄성변형부와 각각 직교한 안착부가 있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제1변형슬릿과 연결되는 제2변형슬릿이 있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만들어지고, 다수개의 확장부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두 개의 부품(상부 및 하부하우징)이 서로 어느 정도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데, 상대이동 구간에 경사스토퍼가 돌출되어 두 개의 부품이 상대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해준다. 따라서 두 개의 부품이 과도하게 상대이동하여 여기에 설치된 터미널이 손상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커넥터의 내구성 및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경사스토퍼는 두 개의 부품의 전후 및 좌우 유동방향에 대해 각각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전후 및 좌우 방향 뿐 아니라 사선 방향으로 변형되는 정도도 제한해줄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경사스토퍼만으로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유동 뿐 아니라 이와 경사진 방향으로의 유동도 제한할 수 있고, 커넥터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스토퍼가 커넥터 하우징의 강도를 보강하여 비틀림이나 휘어짐에 대한 내구성을 높여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판실장형 터미널에는 중간에 탄성변형부가 있는데, 탄성변형부에는 다수개의 제1변형슬릿들이 관통되고, 여기에는 다시 폭을 넓게 하는 확장부들이 있다. 따라서 두 개의 하우징이 서로 상대이동하는 과정에서 터미널에 가해지는 부하들은 확장부를 기준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터미널의 특정 지점에 과도한 변형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터미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의 일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의 일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10)는 인쇄회로기판에 사용되는 커넥터(10)와 여기에 내장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기판 연결용 커넥터(10, 이하 '커넥터'라 함)는 크게 두 개의 부품(하부하우징(20) 및 상부하우징(50))으로 구성되는데, 두 개의 부품은 서로 어느 정도 상대이동할 수 있고, 두 개의 부품이 상대이동하는 과정에서 기판실장형 터미널(이하 '터미널'이라 함)은 탄성변형된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커넥터(10) 및 터미널의 구조를 순차적으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10)와 상대커넥터(100)가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넥터(10)의 아래쪽과, 상대커넥터(100)의 위쪽에는 각각 회로기판이 있다. 커넥터(10)는 아래쪽에 위치한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대커넥터(100)는 위쪽에 위치한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커넥터(10)와 상대커넥터(100)는 두 개의 회로기판 사이의 상대위치가 변함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데, 커넥터(10)-상대커넥터(100) 사이는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커넥터(10)를 구성하는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의 상대위치가 변할 수 있다.
도 1에서 커넥터(10)에 설치된 터미널다발 중에서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쪽 끝부분들(61,71)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회로기판 위에 실장되고, 상대커넥터(100)의 터미널다발을 구성하는 상대단부(161,171)는 위쪽에 위치하는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도면부호 110은 상대커넥터(100)의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190은 위쪽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고정편이다.
도 2에는 커넥터(10)와 상대커넥터(100)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10)만 완전히 분해된 상태로 표현되어 있다. 커넥터(10)는 크게 골격을 만드는 하부하우징(20) 및 상부하우징(50)과, 여기에 내장되는 터미널다발로 구성된다. 터미널다발은 다시 제1터미널(60)들과 제2터미널(70)들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하기로 한다.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은 대략 육면체형상이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부분이 있다. 관통된 부분에는 터미널다발이 설치되는 설치공간(52)이 있어서 터미널다발의 일부는 상대커넥터(100)를 향해 노출되고, 반대편의 일부는 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될 구조에 의해 서로 어느 정도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이란,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의 상대이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은 도 2에 표시된 X,Y,Z축 방향으로 모두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20)을 살펴보면, 상기 하부하우징(20)은 상부하우징(50)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대략 사각틀 형상이다. 상기 하부하우징(20)은 회로기판에 설치되는데, 하부하우징(20)의 저면이 회로기판에 안착된다.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양쪽에는 폭이 넓어지는 안착블럭(23)이 있고, 상기 안착블럭(23)이 회로기판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이다.
도 3을 보면, 상기 하부하우징(20)에는 제1경사스토퍼(26)가 있다. 상기 제1경사스토퍼(26)는 유동공간(S)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하우징(20) 및 상부하우징(50)의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것인데, 여기서 유동공간(S)은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 사이에 있는 빈 공간이다. 상기 제1경사스토퍼(26)는 상기 유동공간(S)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부하우징(20)에서 유동공간(S)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에 각각 경사스토퍼(26,56)가 있는데, 이와 달리, 상기 하부하우징(20)에만 제1경사스토퍼(26)가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상부하우징(50)에만 제2경사스토퍼(56)가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경사스토퍼(26)는 상기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의 전후(y축 방향) 및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경사스토퍼(26)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해 각각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상대이동 뿐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의 상대이동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경사스토퍼(26)는 상기 상부하우징(50)의 양쪽 최외측 보다 안쪽에 위치하되, 하부하우징(20)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쌍을 이루고 있어서 총 4개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하부하우징(20)의 전면과 배면 중 어느 한 쪽에만 있거나 서로 상보적인 대각선 방향에 각각 있을 수도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유동공간(S)을 좁히는 방향으로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이 상대이동할 수 있는데, 그 범위는 L1 과 L2로 표현되어 있다. L1은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이 y축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폭을 나타내고, L2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폭을 나타낸다. 만약 제1경사스토퍼(26) 및 제2경사스토퍼(56)가 없다면, L2의 폭은 상대적으로 더 커지게 되고, 상대이동거리가 증가하여 터미널을 통한 연결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물론, 제1경사스토퍼(26)와 제2경사스토퍼(56)는 L1의 폭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제1경사스토퍼(26) 및 제2경사스토퍼(56)가 이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상기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 사이에는 연결브릿지(28)가 있다. 상기 연결브릿지(28)는 상기 하부하우징(20)과 상기 상부하우징(5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유동공간(S)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브릿지(28)는 하부하우징(20)의 내면과 상부하우징(50)의 외면 사이에 그 양쪽 끝이 각각 연결된 것으로, 하부하우징(20) 및 상부하우징(50)과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연결브릿지(28)는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다.
본 실시례에서 이러한 연결브릿지(28)는 상기 유동공간(S)의 양쪽에 각각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브릿지(28)는 양쪽 끝이 각각 하부하우징(20) 및 상부하우징(50)에 연결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 끝에는 두께가 얇아지는 브릿지단부(28')가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연결브릿지(28)가 보다 유연해질 수 있고, 탄성변형될 수 있는 정도가 커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하우징(50)을 살펴보면, 상기 상부하우징(50)은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유동공간(S)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20)과 상대이동가능하도록 하부하우징(20)에 연결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상부하우징(50)은 하부하우징(20) 보다 위쪽으로 더 돌출된 육면체 형상이고 중심에는 상대결합공간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상대결합공간에는 터미널다발이 노출된다.
앞서 설명한대로 상기 상부하우징(50)에는 제2경사스토퍼(56)가 있다. 상기 제2경사스토퍼(56)는 상기 제1경사스토퍼(26)와 서로 대응하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고, 서로 마주본다. 상기 제1경사스토퍼(26)와 제2경사스토퍼(56)가 밀착되는 순간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이 더 이상 유동하지 못한다. 또한 이렇게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스토퍼(26) 및 제2경사스토퍼(56)가 커넥터(10)의 강도를 보강하여 비틀림이나 휘어짐에 대한 내구성을 높여줄 수도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상부하우징(50)의 저면에는 회로기판을 향해 상하스토퍼(57)가 돌출된다. 상기 상하스토퍼(57)의 하단은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저면 보다 회로기판을 향해 더 돌출되거나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저면과 같은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이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가까워질 때 상기 상하스토퍼(57)는 회로기판의 상면에 닿아 상부하우징(50)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한다. 상기 상하스토퍼(57)는 상기 상부하우징(50)의 저면 양쪽에 쌍을 이루어서 돌출된다.
도 3을 보면, 다수의 터미널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은 크게 제1터미널다발 및 제2터미널다발로 구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다발 및 제2터미널다발은 각각 다수개의 터미널들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10)에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제1터미널다발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와 신호를 전달하고, 제2터미널다발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렇게 한정되지는 않는다. 참고로, 도 3에 표시된 도면부호 90은 고정편으로,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하부하우징(20)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편(90)은 회로기판에 실장되어서 커넥터(10)가 회로기판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6을 참조해서 상기 제1터미널다발을 구성하는 하나의 제1터미널(60)을 살펴보면, 상기 제1터미널(6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체(65)를 중심으로 아래쪽에는 실장단(61)이 있고, 위쪽에는 상대결합단(63)이 있다. 그리고 실장단(61)에 인접한 연결부(62)와 상대결합단(63)에는 각각 고정을 위한 압입돌기(62',63')가 있고, 연결부(62)에는 절곡부(68)와 몸체(65)가 연속하여 이어진다. 상기 몸체(65)는 좌우폭이 증가하는 확대부(66)가 있어서 통전률을 높여줄 수 있다.
도 7에는 제2터미널다발을 구성하는 하나의 제2터미널(70)이 도시되어 있다. 제2터미널(70)을 보면, 상기 제2터미널(70)은 얇은 판상의 금속재질이고, 중심의 몸체를 기준으로 아래쪽에는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1단부(71)가 있고, 위쪽에는 상기 제1단부(71)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대커넥터(100)에 연결되는 제2단부(73)가 있다. 상기 제1단부(71)와 제2단부(73)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단부(71)에는 걸림턱(71')이 있고, 상기 제2단부(73)에는 쐐기형상의 조립돌부(73')들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단부(73)에는 전후방향의 고정을 위한 걸림비드(74)가 돌출된다. 이러한 걸림턱(71'), 조립돌부(73') 및 걸림비드(74)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되거나 위치나 형상이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부(71)와 제2단부(73) 사이에는 탄성변형부(75)가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75)는 상기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이 유동할 때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총 3개의 가느다란 변형스트링(75a,75b,75c)으로 구성된다. 상기 변형스트링(75a,75b,75c)은 탄성변형부(75)가 길이방향으로 나뉘어져 여러갈래로 구성되고, 그 사이사이에는 제1변형슬릿(76)이 위치한다. 상기 제1변형슬릿(76)으로 인해 변형스트링(75a,75b,75c)이 여러가닥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제1변형슬릿(76)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탄성변형부(75)를 관통해서 만들어지는 슬릿부(76a)와, 슬릿부(76)의 폭을 다르게 하는 확장부(76b)로 구성된다. 상기 슬릿부(76)는 상기 제2터미널(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확장부(76b)는 상기 제1변형슬릿(76)의 폭을 넓게 하는 것으로, 도 7에서 보듯이 확장부(76b)에 의해 제1변형슬릿(76)의 좌우폭이 커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확장부(76b)는 제1변형슬릿(7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총 3개가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확장부(76b)는 제2터미널(7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제2터미널(70)이 탄성변형되는 기점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 사이가 유동하여 제2터미널(70)이 탄성변형될 수 있는데, 이때 확장부(76b)를 기준으로 제2터미널(70)의 탄성변형부(75)가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7에 표시된 A,B,C,D는 제2터미널(70)이 꺾이는 기점을 표시한 것으로, A는 탄성변형부(75)와 안착부(78)가 연결되는 부분이고, B,C,D는 각각 확장부(76b)가 위치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제2터미널(70)이 변형되는 지점이 여러개이므로, 제2터미널(70)의 어느 한 지점에 과도한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부(71)와 상기 탄성변형부(75) 사이에는 안착부(78)가 있다. 상기 안착부(78)는 상기 제1단부(71) 및 탄성변형부(75)와 각각 직교한 것으로, y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안착부(78)는 상기 하부하우징(20)의 내부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1개만 있지만 다수개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안착부(78)에는 제2변형슬릿(77)이 있는데, 상기 제2변형슬릿(77)은 상기 제1변형슬릿(76)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2변형슬릿(77)에 의해 안착부(78)는 여러개의 안착스트링(78a,78b,78c)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안착부(78)는 탄성변형부(75)와 함께 제2터미널(70)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안착부(78)를 구성하는 안착스트링(78a,78b,78c)들에는 폭이 넓어지는 부분이 있어서 전류량을 늘이고 내구도를 높여준다.
본 발명의 커넥터(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외력이라 함은, 커넥터(10)와 연결된 회로기판에서 전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0) 및 상대커넥터(100)에 각각 연결된 두 회로기판 사이가 상대이동하면 그 사이에 위차한 커넥터(10)에 외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커넥터(10)를 구성하는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 사이가 유동된다.
도 3을 보면, 상기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이 상대이동될 수 있는 방향은 x축, y축, z축 방향이고, 이 중에서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의 유동은 경사스토퍼(26,56)가 의해 그 범위가 제한된다. 만약 상부하우징(50)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부하우징(20)의 제1경사스토퍼(26)와 상부하우징(50)의 제2경사스토퍼(56)가 맞닿아 상부하우징(50)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다. 또한 상부하우징(50)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하부하우징(20)의 제1경사스토퍼(26)와 상부하우징(50)의 제2경사스토퍼(56)가 맞닿아 상부하우징(50)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도 4을 보면, y축 방향으로의 상대이동 폭이 L1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x축 및 y축에 각각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하부하우징(20)의 제1경사스토퍼(26)와 상부하우징(50)의 제2경사스토퍼(56)가 서로 간섭되어 상대이동의 폭을 L2로 제한한다. 따라서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은 서로 과도하게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이 z축 방향으로 상대이동할 때에는 상하스토퍼(57)가 회로기에 닿아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즉, 상부하우징(50)에 있는 상하스토퍼(57)는 하부하우징(20)과 상부하우징(50)이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가까워질 때 회로기판의 상면에 닿아 상부하우징(50)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부하우징(50)과 하부하우징(20)은 x축, y축, z축방향 모두 상대이동거리가 일정하게 제한된다.
한편, 상부하우징(50)과 하부하우징(20)이 서로 상대이동할 때, 제2터미널(70)도 함께 변형된다. 상기 제2터미널(70)은 상부하우징(50)과 하부하우징(20)을 거쳐 그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둘 사이의 유동에 영향을 받는 것이다. 이때, 제2터미널(70)에 가해지는 외력은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도 7에 표시된 A,B,C,D 지점을 기준으로 제2터미널(70)이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탄성변형부(75)와 안착부(78)가 연결되는 부분이고, B,C,D는 각각 확장부(76b)가 위치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제2터미널(70)이 변형되는 지점이 여러개이므로, 제2터미널(70)의 어느 한 지점에 과도한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터미널(70)의 안착부(78)에는 제2변형슬릿(77)이 있어서, 안착부(78)는 탄성변형부(75)와 함께 제2터미널(70)의 유연성을 높여주고, 따라서 제2터미널(70)의 파손이나 특정 지점의 과도한 변형에 따른 성능저하를 방지해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판연결용 커넥터 20: 하부하우징
26: 제1경사스토퍼 50: 상부하우징
56: 제2경사스토퍼 57: 상하스토퍼
60: 제1터미널 70: 제2터미널
100: 상대커넥터

Claims (14)

  1.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상대커넥터에 연결되는 제2단부와,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제1변형슬릿이 관통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변형슬릿에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폭을 넓게 하는 확장부가 상기 제1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 있고,
    상기 제1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확장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폭은 상기 확장부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는 좌우 대칭구조이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탄성변형부에만 형성되되 상기 탄성변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변형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된 평판구조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와 상기 탄성변형부 사이에는 상기 제1단부 및 탄성변형부와 각각 직교한 안착부가 있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제1변형슬릿과 연결되는 제2변형슬릿이 있는 기판실장형 터미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만들어지고, 다수개의 확장부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기판실장형 터미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안착부 보다 폭이 좁은 기판실장형 터미널.
  5.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유동공간이 있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유동공간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과 상대이동가능하도록 하부하우징에 연결되는 상부하우징과,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하우징에 내장되고 나머지 부분 중 일부는 하부하우징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터미널다발과,
    상기 유동공간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의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경사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다발들 중 일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개의 제1변형슬릿이 관통되는 탄성변형부가 있고, 상기 제1변형슬릿에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폭을 넓게 하는 확장부가 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 있으며,
    상기 제1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확장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폭은 상기 확장부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는 좌우 대칭구조이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탄성변형부에만 형성되되 상기 탄성변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변형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된 평판구조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공간에는 상기 하부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의 전후 및 좌우 유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스토퍼가 있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스토퍼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면에 있는 제1경사스토퍼와 이와 마주보는 상부하우징의 외면에 있는 제2경사스토퍼로 구성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스토퍼는 상부하우징의 양쪽 최외측 보다 안쪽에 위치하되, 하부하우징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쌍을 이루고 있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 사이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연결브릿지로 연결되어 서로 상대이동이 가능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는 상기 유동공간의 양쪽에 각각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는 양쪽 끝이 각각 하부하우징 및 상부하우징에 연결되고, 중심으로부터 양쪽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저면에는 회로기판을 향해 상하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상하스토퍼의 하단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저면 보다 회로기판을 향해 더 돌출되거나 상기 하부하우징의 저면과 같은 높이를 갖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다발을 구성하는 터미널의 제1단부와 상기 탄성변형부 사이에는 상기 제1단부 및 탄성변형부와 각각 직교한 안착부가 있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제1변형슬릿과 연결되는 제2변형슬릿이 있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만들어지고, 다수개의 확장부는 상기 제1변형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KR1020190038658A 2019-04-02 2019-04-02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갖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KR10244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658A KR102444191B1 (ko) 2019-04-02 2019-04-02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갖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658A KR102444191B1 (ko) 2019-04-02 2019-04-02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갖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786A KR20200116786A (ko) 2020-10-13
KR102444191B1 true KR102444191B1 (ko) 2022-09-16

Family

ID=7288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658A KR102444191B1 (ko) 2019-04-02 2019-04-02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갖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1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300B1 (ko) * 2011-09-16 2013-03-1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JP2015035352A (ja) * 2013-08-09 2015-02-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624B1 (ko) 2007-07-23 2009-03-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유동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300B1 (ko) * 2011-09-16 2013-03-1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JP2015035352A (ja) * 2013-08-09 2015-02-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786A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666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커넥터
KR102133426B1 (ko) 플로팅 커넥터 장치
KR101995171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
KR102407428B1 (ko) 커넥터
US10193260B1 (en) Multi-contact connector
CN109038057B (zh) 连接器
KR102585117B1 (ko)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S62190670A (ja) ヘツダ組立体
CN100356631C (zh) 可动型连接器用加强引板及使用其的可动型连接器
JP7208115B2 (ja) コネクタ
JP2022507405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2444191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이를 갖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KR20110009654A (ko) 단자부 회로 케이스
KR102639003B1 (ko) 커넥터
CN111952761A (zh) 连接器装置
KR20220002487U (ko)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WO2020179348A1 (ja) 可動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214817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01890B1 (ko) 연결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CN114600321B (zh) 连接器
KR102283488B1 (ko)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100919946B1 (ko) 유동형 커넥터
KR20230095619A (ko) 플로팅 커넥터 터미널
KR20240025856A (ko) 터미널
KR20230094136A (ko) 커넥터 및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9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723

Effective date: 20220527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