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785B1 - A surveillance system - Google Patents

A surveill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785B1
KR102443785B1 KR1020220002829A KR20220002829A KR102443785B1 KR 102443785 B1 KR102443785 B1 KR 102443785B1 KR 1020220002829 A KR1020220002829 A KR 1020220002829A KR 20220002829 A KR20220002829 A KR 20220002829A KR 102443785 B1 KR102443785 B1 KR 102443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unit
angular velocity
determination unit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8934A (en
Inventor
윤기봉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785B1/en
Publication of KR2022000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에게 각각 착용되어, 상기 객체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유닛;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부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 유닛; 및 상기 이벤트 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푸시 알림 유닛을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or unit that is worn on objects located in a monitoring area, respectively, and measur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object; Image acquisition compris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monitoring area; and an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of the objects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unit; and a push notif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t least one of image data and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terminal registered in response to the event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will be.

Description

감시 시스템 {A surveillance system}surveillance system {A surveillance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영역 내의 객체에게 폭력, 학대 등의 이벤트가 발생시, 이를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ing system that notifies a guardian when an event such as violence or abuse occurs to an object in a monitoring area.

감시 시스템은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시 영역을 다른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 영역 내의 객체(Object)를 촬영하여 객체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monitoring system generates image data about the object by photographing an object in the monitoring area using a monitoring camera capable of changing the monitoring area in another direction by rotating in the horizontal and/or vertical directions.

또한, 감시용 카메라 내에 구비된 줌 렌즈 등을 조절하여, 감시 영역 내의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 촬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djusting a zoom lens provided in the monitoring camera, an object in the monitoring area may be enlarged or reduced.

감시용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감시 시스템에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하여 보호자는 언제든지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The video data generat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by applying the network technology to the surveillance system, the guardian can check the video data at any time.

또한, 현재의 감시 시스템은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감시 영역 내의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 객체의 움직임 감지, 얼굴 감지, 객체의 카운팅 등의 영상 분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rent monitoring system may provide the user with image analysis information such as detecting an intrusion of an outsider within the monitoring area by analyzing the acquired image data, detecting the motion of an object, detecting a face, and counting the object.

하지만, 현재의 영상 데이터 분석 기술로는 감시 영역 내 객체가 폭력, 건강상의 위험에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사용자는 감시 영역 내 보호가 필요한 객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야하는 데 이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However, with the current image data analysis technology,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in real time whether an object in the surveillance area is exposed to violence or health risks. Therefore, for this, the user needs to monitor the object that needs protection in the monitoring area in real time, which is difficult in reality.

예를 들면, 아동이 폭력에 노출되었을 경우, 감시용 카메라를 통해 해당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획득은 가능하나, 영상 분석을 통해 폭력, 학대 등의 행위를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호자는 폭력, 학대 등의 사건이 발생한 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확인해야만 그 당시의 상황을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For example, when a child is exposed to violence, it is possible to obtain video data about the situation through a surveillance camera, bu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acts such as violence and abuse through video analysi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uardian must check the situation at that time only by checking all or part of the stored image data after an incident such as violence or abuse occurs.

한국특허공개 공보 제2001-009590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00959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감시 영역 내의 객체에게 폭력, 학대, 건강상의 위험 노출 등의 이벤트 발생시, 이를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that notifies a guardian when an event such as violence, abuse, or exposure to health risks to an object in a monitoring area occur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에게 각각 착용되어, 상기 객체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유닛;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부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 유닛; 및 상기 이벤트 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푸시 알림 유닛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that is worn on objects located in a monitoring area, respectively, and measur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object; Image acquisition compris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generat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monitoring area; and an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of the objects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unit; and a push notif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t least one of image data and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previously registered terminal in response to the event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정보에는, 상기 객체의 심장 박동수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를 기초로 평균 심장박동수를 산출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a heart rate of the object, and the event determiner may calculate an average heart rate based on the heart rate of the objects.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산출된 상기 평균 심장박동수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may generate an event generation signal when at least one of the heart rates of the objects is out of a preset range from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객체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의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평균 각속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ensor unit may measure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may calculate an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s.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산출된 상기 평균 심장박동수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에서 측정된 객체의 각속도 값이 상기 평균 각속도 값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heart rates of the objects is out of a preset range from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may include: When out of a preset range, an event gener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and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may generate and store the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감시 영역 내의 객체에게 폭력, 학대 등의 이벤트가 발생시, 이를 보호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When an event such as violence or abuse occurs to an object in the monitoring area, it has the effect of notifying the guardian quickly.

이벤트 발생 시간 정보를 저장 매체에 저장하여, 보호자가 용이하게 이벤트 발생 당시의 영상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By storing the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in a storage medium, a guardian can easily search for image data at the time of the event occurren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센서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영상 획득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unit of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of a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n a referenced elem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감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센서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영상 획득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nsor unit of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of a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10)은 센서 유닛(100), 영상 획득 유닛(200) 및 푸시 알림 유닛(300)를 포함한다. 또한, 감시 시스템(10)은 저장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감시 시스템(10)은 영상 획득 장치(200)에서 얻은 영상을 모니터링하거나, 영상 획득 장치(200), 푸시 알림 송신 장치(300) 또는 저장부(400)를 제어하기 위해서 PC 등과 같은 외부 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출력부(500)를 포함한다. 1 to 4 , the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0 , an image acquisition unit 200 , and a push notification unit 300 . Also, the monitoring system 10 includes a storage unit 400 . In addition, the monitoring system 10 monitors an image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or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to control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200 , the push notification transmission device 300 or the storage unit 400 . and an output unit 500 that can be connected to

도 1을 참조하면, 센서 유닛(100)은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유닛(100)이 측정하는 생체 정보에는 객체의 심장 박동수, 뇌파, 호르몬 수치, 체온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영상 획득 유닛(200)은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가 충격, 폭력, 건강상 위험 등에 노출될 경우, 센서 유닛(100)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 데이터의 변화 정도를 토대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sensor unit 100 serves to measure biometric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in a monitoring area.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includes information about an object's heart rate, brain waves, hormone levels, body temperature,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biometric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when an object located in the monitoring area is exposed to shock, violence, health risks, etc. can do.

또한, 센서 유닛(100)은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객체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함에 따라, 영상 획득 유닛(200)은 객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영상 획득 유닛(200)는 객체의 각속도 정보의 측정을 통해 객체의 갑작스러운 움직임, 이상(異常)적인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Also, the sensor unit 100 may measur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objects located in the monitoring area. As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measured,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 other words,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may detect a sudden movement or an abnormal movement of the object through measurement of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예를 들면, 객체가 가만히 있을 경우 객체의 각속도는 대략 0으로 측정되나, 객체가 충격, 폭력, 건강상 위험 등에 노출되어 움직임이 급하게 변할 경우, 객체의 각속도는 매우 크게 측정된다. 이에 따라, 영상 획득 유닛(200)은 센서 유닛(100)에서 측정한 각속도 정보 데이터의 변화 정도를 토대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bject is still,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0, but when the object is exposed to shock, violence, health risk, etc. and the movement changes rapidly,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s measured very large. According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may determine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유닛(100)은 영유아, 노인, 장애인 등의 객체의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밴드(100a, 100b, 100c)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 유닛(100)은, 목걸이, 시계 등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sensor unit 100 may include wrist bands 100a , 100b , and 100c worn on the wrists of objects such as infant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nsor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body, such as a necklace or a watch.

또한, 센서 유닛은(100), 센서 측정부(110), 센서 제어부(120), 센서 통신부(130) 및 센서 출력부(140)를 포함한다.Also, the sensor unit 100 includes a sensor measuring unit 110 , a sensor control unit 120 , a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 and a sensor output unit 140 .

센서 측정부(110)는 객체의 생체 정보, 객체의 각속도 정보 등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 측정부(110)는 측정한 생체 정보, 각속도 정보 등을 센서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또한, 센서 측정부(110)는 생체 정보 측정부(미도시) 및 각속도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sensor measuring unit 110 serves to measur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object,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the like. The sensor measurement unit 110 transmits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o the sensor control unit 120 . In addition, the sensor measuring unit 110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unit (not shown) and an angular velocity measuring unit (not shown).

생체 정보 측정부는 객체의 심장 박동수, 뇌파, 호르몬 수치, 체온 등의 생체 정보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측정부는 객체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객체의 체온, 호르몬 수치 등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측정부는 일정 시간안에 일어나는 심장 박동의 횟수를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센서 제어부(120)에 객체의 심장 박동수를 전송한다.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unit measure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heart rate, brain waves, hormone levels, and body temperature of the obje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unit is configured as a sensor for measuring the heart rate of the obje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as a sensor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hormone level, and the like of the obje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number of heartbeats occurr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heartbeat rate of the object to the sensor controller 120 .

각속도 정보 측정부는 객체의 각속도 값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속도 정보 측정부는 자이로 센서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객체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등의 종류이면 충분하다.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angular velocity value of the obje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ing unit is made of a gyro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kind of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of an object is sufficient.

센서 통신부(130)는 센서 제어부(120)의 제어 명령에 의해 센서 측정부(110)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통신부(130)는 후술할 영상 획득 유닛(200)의 영상 통신부(210)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serves to transmit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ement unit 11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sensor control unit 12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o the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통신부(130)는 Bluetooth, Zigbee,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 등을 송신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or WiFi.

센서 출력부(140)는, 센서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 등을 출력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객체는 현재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sensor output unit 140 serves to output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ing unit 110 . Accordingly, the object may check current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in real time.

센서 제어부(120)는 센서 측정부(110)에서 측정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를 센서 출력부(140)에 출력 및 센서 통신부(130)에서 송신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The sensor controller 12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to output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easuring unit 110 to the sensor output unit 140 and to transmit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from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

영상 획득 유닛(20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영상 획득 유닛(200)는 건물 또는 특정 지역의 내부나 외부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영상 데이터화 한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serves to generate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monitoring area. 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acquires an image inside or outside a building or a specific area and converts it into image data.

영상 획득 유닛(200)은 영상 획득부(230), 이벤트 판단부(220) 및 영상 통신부(210)를 포함한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230 , an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 and an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

영상 획득부(23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획득부(230)는, 실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 카메라에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acquisition unit 230 serves to generate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monitoring area. The image acquisition unit 230 may include at least one network camera for capturing an actual image and an encoder connected to the network camera to generate image data.

또한, 영상 획득부(200)는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획득부(200)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등의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획득부(200)는 복수의 광학 렌즈, CCD, CMOS 등과 같은 촬상 소자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카메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etwork cameras. For examp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network cameras such as CCTV (closed-circuit televis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may include a known camera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lenses, an imaging device such as CCD, CMOS, and the like.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는 서로 다른 영역을 감시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는 설치된 지점에서 소정 각도로 일정한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에는 감시 영역 내의 복수의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network cameras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to monitor different areas. The plurality of network cameras may generate image data of a predetermined area at a predetermined angle at an installed point. The image data may include a plurality of objects in the monitoring area.

영상 통신부(210)는 센서 유닛(100)의 센서 통신부(130)와 Bluetooth, Zigbee,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통신부(21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센서 유닛(100)에서 수신한 정보 데이터를 이벤트 판단부(22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면, 센서 유닛(100)에서 측정되어 영상 획득 유닛(200)으로 전송된 생체 정보, 각속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는 이벤트 판단부(220)에서 종합되어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The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WiFi, etc. with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sensor unit 100 . In addition, the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the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to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through a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other word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biometric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and transmitted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are synthesized b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and used as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 획득 유닛(200)은 영상 통신부(210)가 센서 통신부(130)와 주기적으로 페어링된다. 이에 따라, 이벤트 판단부(220)는 영상 통신부(210)를 통해 주기적으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가 입력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 the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is periodically paired with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130 . Accordingly, the event determining unit 220 periodically receives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hrough the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

이벤트 판단부(220)는 영상 통신부(210)를 통해 센서 유닛(100)으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 및/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벤트 판단부의 이벤트 발생 여부의 판단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of the objects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through the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 .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b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영상 획득 유닛(200)의 이벤트 판단부(220)는 영상 통신부(210)와 통신하고 있는 센서 유닛(100)에 고유의 ID를 부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센서 유닛(100a~c)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한 센서 유닛을 착용한 객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시,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Also,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may assign a unique ID to the sensor unit 100 communicating with the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 Accordingly, when an event occur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may accurately identify the sensor units 100a to c in which the event has occurred. That is,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may accurately identify the object wearing the sensor unit in which the event occurred. In addi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an event occurrence signal when an event occurs.

영상 획득 유닛(200)은 이벤트가 발생시, 영상/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센서 유닛 ID, 후술할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 등을 푸시 알림 유닛(300) 및/또는 저장부(400)로 전송한다. When an event occurs,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transmits not only image/audio data but also a sensor unit ID and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push notification unit 300 and/or the storage unit 400 .

또한, 이벤트 판단부(220)는 객체에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는 저장부(500)에 저장된다. In addition, when an event occurs in an object, the event determiner 220 generates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The generated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0 .

푸시 알림 유닛은(300), 영상 획득 유닛(200)의 이벤트 판단부(220)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20)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에는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고,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 정보, 이벤트의 발생 장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ush notification unit 300 sends at least one pre-registered terminal 20 according to an ev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among image data and notification messages corresponding to the event. It serves to transmit at least one of them. Here,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time of the event,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on which the event occurred,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event, and the like.

또한, 단말기(2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로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에는 이벤트 발생한 시점의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20)는 휴대용 PDA(20a), 스마트 폰(20b), 노트북(20c)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image data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 i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event, and may include image data at the time the event occurs. In addition, the image data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 may includ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nd after the event occurs. Here, the terminal 20 may include a portable PDA 20a, a smart phone 20b, a notebook computer 20c, and the like.

저장부(500)는 영상 획득 유닛(200)의 영상 획득부(23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영상 획득 유닛(200)의 이벤트 판단부(220)에서 생성된 이벤트의 발생 또는 발생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를 통해 저장부(5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00)는 상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푸시 알림 유닛(300)이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storage unit 500 stores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23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 and the occurrence or occurrence time of the event generated b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200 . It serves to stor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guardian can easily search for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event amo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0 through the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500 serves to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and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push notification unit 300 based on the data.

이하, 이벤트 판단부(220)에서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n even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 판단부(220)는 센서 유닛(100)이 측정한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를 기초로 평균 심장 박동수를 산출한다. 이벤트 판단부(220)는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평균 심장 박동수보다 매우 크거나 매우 작은 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calculates an average heart rate based on the heart rate of the objec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at least one of the heart rates of the objects is much greater or less than the average heart rate.

다시 말하면, 이벤트 판단부(22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박동수가 산출된 평균 심장박동수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In other words, when the heart rate of at least one object is out of a preset range from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event has occurred.

복수의 객체는 각각 심장박동수가 상이하거나 주변 환경 변수, 운동 등에 의한 객체의 상황 변수 등에 따라 심장박동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체들의 심장박동수의 평균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심장 박동수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경우, 감시 시스템(10)은 주변 환경 변수, 객체의 상황 변수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objects may have different heart rates or may have different heart rates depending on circumstances variables of the object due to a surrounding environment variable, exercise, or the like. Accordingly, when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heart rates of the objects and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the monitoring system 10 determines the accuracy of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variable and the situation variable of the object can improve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평균 심장 박동수를 기준으로 소정의 +된 값과, 평균 심장박동수를 기준으로 소정의 -값의 범위를 의미하며, 평균 심장박동수가 기 설정된 범위의 중간 값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소정의 +값 및 -값은 사용자나 제조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Here, the preset range means a range of a predetermined positive value based on the average heart rate and a predetermined negative value based on the average heart rat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heart rate corresponds to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preset range. will be. The predetermined + and - values are values preset by the user or the manufacturer.

또한, 이벤트 판단부(22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박동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어느 정도 안정한 심장 박동수 범위로 설정되며, 사용자나 제조자에 의해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Also,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heart rate of at least one object is out of a preset range. Here, the preset range is set to a somewhat stable heart rate range, and the range may be set by a user or a manufacturer.

또한, 이벤트 판단부(220)는 센서 유닛(100)에서 측정한 심장박동수를 기초로 하여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 박동수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벤트 판단부(220)는 산출된 심장 박동수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객체가 폭력이나 학대 등의 응급상황에 처할 경우, 객체의 심장 박동수는 급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객체의 심장 박동수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때, 객체에 응급 상황의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감시 시스템(10)은 주변 환경 변수, 객체의 상황 변수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lso, the event determiner 220 may calculate a change amount of the heart rate of at least one of the objects based on the heart rat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calculated change amount of the heart rate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When the objec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violence or abuse, the heart rate of the object changes rapidly. Accordingly,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eart rate of the object exceeds a preset threshold,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in the object. Therefore, the monitoring system 10 may improve the accuracy of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variables and the situation variables of the object.

생체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의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의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각속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생체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2차적으로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객체의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n which the event has occurred exceeds a preset angular velocity valu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n which the event is generated exceeds a preset angular velocity value. Accordingl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primarily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to generate an event generation signal, and secondarily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based on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Accordingly, the accuracy of whether an event of an object has occurred may be improved.

또한, 이벤트 판단부(220)는 센서 유닛(100)에서 측정한 객체들의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평균 각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의 각속도가 산출된 평균 각속도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때,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Also,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may calculate an average angular velocity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an event has occurred,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n which the event has occurred is out of a preset range from the calculated average angular velocity.

또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의 각속도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객체의 각속도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변화량을 초과할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whethe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n which the event has occurred exceeds a preset amount of chang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object in which the event has occurred exceeds a preset amount of change.

또한, 객체에 착용된 센서 유닛(100)에는 이벤트 발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체는 폭력, 학대 등의 응급상황에 처할 경우, 이벤트 발생 버튼을 누를 수 있다. 객체가 이벤트 발생 버튼을 누를 경우, 영상 통신부(210)를 통해 영상 획득 유닛으로 수신되고, 영상 획득 유닛의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한다. Also, the sensor unit 100 worn on the object may include an event generating button. Accordingly, when the object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violence or abuse, the object may press the event generation button. When the object presses the event generation button, it is receiv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through the image communication unit 210 , and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and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이벤트 판단부(220)에서 생성된 이벤트 발생 신호는 푸시 알림 유닛(300)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푸시 알림 유닛(300)은, 이벤트 발생 신호에 의해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한다. The event gen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is transmitted to the push notification unit 300 . Accordingly, the push notification unit 300 transmits at least one of image data and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event occurrence signa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영상 획득 유닛에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21). 또한, 감시 영역 내의 객체에 착용된 센서 유닛이 감시 영역 내의 객체들의 생체 정보와 각속도 정보를 측정한다(S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유닛이 측정하는 생체 정보는 심장박동수이다.Referring to FIG. 5 , the surveill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image data by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area in an image acquisition unit ( S21 ). In addition, the sensor unit worn on the object in the monitoring area measu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s in the monitoring area (S2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is a heart rate.

센서 유닛은 영상 획득 유닛으로 생체 정보 및/또는 각속도 정보를 영상 획득 유닛으로 전송한다(S22).The sensor unit transmits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or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S22).

영상 획득 유닛의 이벤트 판단부는 수신한 객체들의 심장박동수를 기초로 평균 심장 박동수를 산출한다(S23). 또한, 이벤트 판단부는,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 박동수가 산출된 평균 심장 박동수를 기준으로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S24). 예를 들면, 이벤트 판단부는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 박동수가 산출된 평균 심장 박동수과 객체의 심장 박동수의 차가 허용 범위 내에 없는지 판단한다. The event determining unit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 calculates an average heart rate based on the heart rates of the received objects (S23). In addi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heart rate of at least one of the objects is out of a preset range based on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S24). For exampl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heart rate calculated by the heart rate of at least one of the objects and the heart rate of the object is not within an allowable range.

이벤트 판단부는, 어느 객체의 심장 박동수가 산출된 평균 심장 박동수를 기준으로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When the heart rate of an object is out of a preset range based on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first determin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이벤트 판단부는 수신한 객체들의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평균 각속도 값을 산출한다(S25). 또한, 이벤트 판단부는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객체의 각속도 값이 평균 각속도 값을 기준으로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한다(S26). 예를 들면, 이벤트 판단부는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객체의 각속도 값과 평균 각속도 값의 차가 허용 범위 내에 없는지를 판단한다.In a state in which an event occurs primarily,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calculates an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based on the received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s (S25). In addition,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angular velocity value of the object determined primarily that the event has occurred is out of a preset range based on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S26). For exampl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an angular velocity value and an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of an object that is primarily determined to have generated an event is not within an allowable range.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객체의 각속도 값이 평균 각속도 값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판단부는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푸시 알림 유닛으로 입력한다(S27). 또한, 1차적으로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객체의 각속도 값이 평균 각속도 값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판단부(220)는 이벤트의 발생 시간(Time Stamp)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S28). 뿐만 아니라, 영상 획득 유닛은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뿐만 아니라 영상 획득부에서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When the angular velocity value of the object determined primarily that the event has occurred is out of the preset range from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generates an event generation signal and inputs it to the push notification unit (S27). In addition, if the angular velocity value of the object determined primarily that the event has occurred is out of the preset range from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220 generates time stamp information of the event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Save (S28). In addition, the image acquisition unit stores not only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but also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in the storage unit.

푸시 알림 유닛은 이벤트 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한다(S29). The push notification unit transmits at least one of image data and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previously registered terminal in response to the event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S29).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감시 시스템 20: 단말기
100: 센서 유닛 200: 영상 획득 유닛
300: 푸시 알림 유닛 400: 저장부
500: 출력부
10: monitoring system 20: terminal
100: sensor unit 200: image acquisition unit
300: push notification unit 400: storage
500: output unit

Claims (4)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에게 각각 착용되어, 상기 객체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유닛;
상기 센서 유닛과는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부를 포함하는 영상 획득 유닛; 및
상기 이벤트 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발생 신호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 알림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판단부,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를 참조하여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의 평균인 평균 심장 박동수를 산출하고,
상기 객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체의 심장 박동수가 상기 평균 심장 박동수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객체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a sensor unit that is worn on objects located in the monitoring area, respectively, and measur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object;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nsor unit and generates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monitoring area, and an event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objects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 image acquisition unit including an event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has been performed; and
A push notif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mage data and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vent to at least one previously registered terminal in response to the event occur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calculating an average heart rate, which is an average of heart rates of objects located in the monitoring area, with reference to the heart rates of the objects located in the monitoring area periodically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When the heart rate of at least one of the objects is out of a preset range from the average heart rate, it is determined that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상기 객체의 각속도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들의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평균 각속도 값을 산출하는,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measures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a monitoring system for calculating an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of the objec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들의 심장 박동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산출된 상기 평균 심장박동수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객체에서 측정된 객체의 각속도 값이 상기 평균 각속도 값에서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감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heart rates of the objects is out of a preset range from the calculated average heart rate,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When the angular velocity value of the object measured from the object is out of a preset range from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value , a monitoring system that generates a signal for the occurrence of an ev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판단부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The event determination unit, generating and storing the event occurrence tim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monitoring system.
KR1020220002829A 2015-05-20 2022-01-07 A surveillance system KR1024437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829A KR102443785B1 (en) 2015-05-20 2022-01-07 A surveill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98A KR20160136631A (en) 2015-05-20 2015-05-20 A surveillance system
KR1020220002829A KR102443785B1 (en) 2015-05-20 2022-01-07 A surveillance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398A Division KR20160136631A (en) 2015-05-20 2015-05-20 A surveillan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934A KR20220008934A (en) 2022-01-21
KR102443785B1 true KR102443785B1 (en) 2022-09-15

Family

ID=577072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398A KR20160136631A (en) 2015-05-20 2015-05-20 A surveillance system
KR1020220002829A KR102443785B1 (en) 2015-05-20 2022-01-07 A surveillance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398A KR20160136631A (en) 2015-05-20 2015-05-20 A surveill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136631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15621D0 (en) 2019-10-28 2019-12-11 Rolfe Ashley James Guardian watch
KR102484198B1 (en) * 2020-11-04 2023-01-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 ev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906A (en) 2000-04-12 2001-11-07 이중구 A camera and the method to detect the beating of the pulse
KR20100018363A (en) * 2008-08-06 2010-02-17 김수종 Automatic Location Tracking System for Moving Objects
KR20110011195A (en) * 2009-07-28 2011-02-08 시스레인 주식회사 Emergency state monitoring system
KR101318042B1 (en) * 2012-02-27 2013-10-14 박재현 A system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 lost chi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631A (en) 2016-11-30
KR20220008934A (en)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8863B2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video surveillance method
KR102443785B1 (en) A surveillance system
JP650307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portable device
JP2018097487A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KR101233412B1 (en) 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
WO20151543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photographing
KR102013235B1 (en) Old people monitoring system
KR2016007420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service using beacon signals
KR20090091539A (en) System for monitoring occurrence of dangerous motion
KR101988206B1 (en)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using an Infrared Camera
KR101443666B1 (en) System for warning forward head posture and method thereof
KR101675529B1 (en)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 situation using biometric data and
KR102309946B1 (en) Smart watch-based live wire detection method
KR201301362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tuation recognition using object energy function
KR101822091B1 (en) system for deciding and watching abnormal situation using biometric data and image data
KR102394509B1 (en) Safety Accident Preventing Method of Children by Using Camera and System thereof
KR20160123410A (en) Active situation-sensing system
KR20170043267A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issing person and devices for same
KR102484198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 event
KR102078131B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including portable terminal and server
KR101806552B1 (en) An antitheft network camera
KR101752387B1 (en) A mobile device for detecting abnormal activity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226458B1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device in nuclear power plant
JP2018099416A (en) Motion analysis apparatus, motion analysis method and program
KR101699821B1 (en) Signal Transfering Method of Wireless Motion Sensor for Reducing Battery Consum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