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412B1 - 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412B1
KR101233412B1 KR1020100140703A KR20100140703A KR101233412B1 KR 101233412 B1 KR101233412 B1 KR 101233412B1 KR 1020100140703 A KR1020100140703 A KR 1020100140703A KR 20100140703 A KR20100140703 A KR 20100140703A KR 101233412 B1 KR101233412 B1 KR 10123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rajectory information
input
comparing
refere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8415A (en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서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서텔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서텔넷
Priority to KR102010014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412B1/en
Publication of KR2012007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4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4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위급상황을 나타내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위급상황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영상 중 저장되어 있는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기준영상과 일치하는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준영상의 피사체의 특정 부위인 기준요소의 움직이는 궤적에 관한 정보인 기준궤적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기준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지영상만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위급상황에서 빠르게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촬영되는 각도가 기준영상이 촬영된 각도와 다르더라도 사용자가 보내는 신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ending an emergency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motion is detected to indicate an emergency situation, and specifically, receiving an image captured by 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 Comparing whether a reference image, which is a reference image which is a stored reference image, among the input images and a matching imag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exi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image coinciding with the reference image is input,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trajectory information of a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and a moving trajectory of a reference element, which is a specific portion of a subject of the reference image, is stored. Comparing;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jectory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are identical, transmitting a signal informing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an emergency signal transmitting method through comparing motion images, comprising: It relates to a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more accurate judgment compared to the case of judging an emergency situation by comparing the user's posture with only the still image, and the user can send a signal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angle at which the reference image is taken is taken. Even if the angle is differ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understand the signal sent

Description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경비시스템의 감시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고, 자동으로 위급상황신호를 송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위급상황을 나타내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위급상황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user by using a surveillance camera of a security system and automatically transmitting an emergency situation signal, specifically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a user and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nding an emergency signal.

갈수록 지능화, 고도화되어가는 범죄들에 대하여 개인의 재산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방범 및 경계 수단으로서 개인용 호신용 장비나 유.무인 경비 시스템을 갖춘 경비용역업체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Increasing reliance on security service companies equipped with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or unmanned and unmanned security systems as a means of security and security to protect personal property and safety against increasingly intelligent and advanced crimes.

특히,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공간적 요소 및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유인경비 시스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용이 유리한 무인경비 시스템을 이용한 경비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In particular, as technology advanc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security system using an unmanned security system, which is generally advantageous compared to a manned security system, which requires a large amount of space and costs.

이러한 무인 경비시스템은 카메라, 센서 등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처했다고 판단되면 그에 따라 경찰서, 경비회사, 경비 시스템 관리자 등에 자동으로 위험상황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analyzes signals input through cameras, sensors, etc., and if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system automatically transmits a dangerous situation signal to the police station, security company, and security system administrator. Research is underway with the aim.

이러한 무인 경비시스템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such an unmanned security system is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무인 경비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자세를 유지한 채 정해진 시간 이상을 정지하고 있으면 위급 상황을 알리는 것으로 인식하여 경보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unmanned security system shown in FIG. 1 captures a user's video using a camera, and recognizes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user stop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posture to transmit an alarm signal to the outside. It is about the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위급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 영상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기준화면 설정부(12)와, 감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동영상에서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영상 검출부(11)와, 영상 검출부(11)에서 검출된 영상과, 기준화면 설정부(12)에 기 설정된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그 결과값을 출력하는 영상 비교부(13)와, 영상 비교부(13)의 비교 결과에 의해 영상 검출부(11)에서 검출된 영상과 기준화면 설정부(12)에 기 설정된 영상이 일정 오차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그 상황을 위급 상황으로 인식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위기 상황 판독부(14)와, 위기 상황 판독부(14)에서 출력되는 경보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경보 신호 송출부(15)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reference screen setting unit 12 presetting and storing a reference image for recognizing an emergency situation, an image detection unit 11 detecting a still image from a video input through a surveillance camera, and an image By comparing the imag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1 with the reference image set in the reference screen setting unit 12 and outputting the result value, the image comparison unit 13 and the image comparison unit 13 compare the results. When the image detected by the image detector 11 and the image preset in the reference screen setting unit 12 exist within a certain error, the crisis situation reading unit 14 recognizes the situation as an emergency and outputs an alarm signal. And an alarm signal sending part 15 which sends an alarm signal output from the crisis situation reading part 14 to the outside.

상기한 위기 상황 판독부(14)는 두 화면의 비교에 의해 위기 상황을 인식하는데, 사용자가 물건을 꺼낸다거나, 무의식적인 몸 동작 중 상기 기준화면에 저장된 자세와 유사한 자세를 취하게 될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위기 상황 송출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위기 상황 판독을 위한 일정 시간을 미리 설정한 후, 사용자가 상기 기준 화면과 유사한 자세를 그 시간 이상 계속하고 있는 경우만을 위기 상황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The crisis situation reading unit 14 recognizes a crisis situation by comparing the two screens, since the user may take out an object or take a posture similar to the posture stored in the reference screen during unconscious body movement.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a crisis situation, a predetermined time for reading the crisis situation is set in advance, and only when the user continues the posture similar to the reference screen for more than that time, it is recognized as the crisis situation.

위와 같은 무인 경비시스템은 감시시스템의 조작이나 리모콘등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비해 강도와 마주한 위급상황에 있어서 강도에게 발각되지 않고 경보를 발신 할 수 있는 면에서 효과적이지만, 일정한 제약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The unmanned security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sending an alarm without being detected by a robbery in an emergency facing a robbery compared to a system requiring a separate operation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by using a surveillance system or a remote control. Although effective in terms of disadvantages,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구체적으로, 위급 상황을 알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정해진 자세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위급 상황에서 특정한 자세를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Specifically, in order to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should maintain a predetermined pos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but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a specific pos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an emergency situation.

예를 들어, 강도를 당하고 있는 경우 강도를 앞에 두고 특정한 자세를 일정시간 유지하고 있으면, 강도 등을 자극하여 이차적인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certain postur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front of the intensity, it may be a problem in that a secondary risk may be generated by stimulating the intensity and the like.

또한, 촬영된 영상 중 정지 영상을 분리하여 기준이 되는 화면과 비교를 하는 방식의 경우 촬영되는 사용자의 각도가 기준화면에서 촬영된 각도와 조금만 달라져도 동일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오차가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촬영된 사용자가 위급 상황을 알리고 있는 것인지 분간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aring the reference image by separating the still image from the captured image, even if the user's angle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photographed angle on the reference screen, even if the same posture is taken, a lot of errors occur. In many cases, it is not possible to tell whether the user is reporting an emergency situation.

만약 오차 범위를 넓게 하여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면 실제 위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며, 반대로 오차범위를 좁게 하여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면 실제 위급상황이 발생하였고 사용자가 요구되는 자세를 취한 경우에도 약간의 자세의 차이, 촬영되는 각도의 차이, 카메라와 사용자간의 거리차로 인한 화면에서 차지하는 사용자 영상의 크기 차이 등으로 인해 위급상황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문제가 많이 되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is widened by widening the error range, it is often judged as an emergency situation even if it is not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On the contrary, if the error range is narrowed and judged as an emergency situation,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Even when the required posture is taken, it is often recognized that it is not an emergency due to a slight posture difference, an angle shot angle, and a size difference of the user image on the screen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user. There were a lot of problems.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촬영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하여 정지영상만을 비교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경우 예상되는 부정확성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the inaccuracy expected when judging an emergency situation by comparing only a still image by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movement pattern of a user to be photographed. It aims to do it.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기준영상저장부; 상기 기준영상의 피사체의 특정 부위인 기준요소의 움직이는 궤적에 관한 정보인 기준궤적정보를 저장하는 궤적정보저장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중 상기 기준영상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영상비교부; 상기 기준영상비교부에서 상기 기준영상과 일치하는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상기 기준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궤적정보비교부; 및 상기 궤적정보비교부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기준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a captured image from a device for photographing an image; A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reference image which is a still image as a reference; A trajec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moving trajectory of a reference element, which is a specific portion of a subject of the reference image; A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mage matching the reference imag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mong the images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A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with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matching the reference image is input by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And a signal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informing of an emergency situa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that the trajectory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input element of the input image are identical to each other. Provide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system through.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영상 중 저장되어 있는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기준영상과 일치하는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준영상의 피사체의 특정 부위인 기준요소의 움직이는 궤적에 관한 정보인 기준궤적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기준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photographed image from the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image; Comparing whether a reference image, which is a reference image which is a stored reference image, among the input images and a matching imag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exi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image coinciding with the reference image is input,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trajectory information of a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and a moving trajectory of a reference element, which is a specific portion of a subject of the reference image, is stored. Comparing;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jectory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are identical, transmitting a signal informing of an emergency situation. to provide.

여기서, 상기 기준영상저장부에는 각각 촬영각도를 달리하여 촬영된 복수의 정지영상이 기준영상으로 저장되고, 상기 기준영상비교부는 상기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을 비교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피사체의 촬영각도를 추출하고, 상기 궤적정보비교부는 상기 추출된 촬영각도를 이용하여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stores a plurality of still images photographed at different shooting angles as reference images, and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compares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input image, and captures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subject of the input image. And extract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with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using the extracted photographing angle.

또한, 상기 기준영상비교부는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궤적정보비교부는 상기 비교된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compares the size of the subject i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input image, and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uses the ratio of the compared size to compare the reference trace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It is desirable to compare the trajectory information.

또한,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입력된 영상을 녹화한 영상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tter may also transmit an image recorded with the input image.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above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정지영상만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위급상황에서 빠르게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more accurate judgment and compare the posture of the user with only the still image, and the user can quickly send a signal in an emergency.

또한, 사용자가 촬영되는 각도가 기준영상이 촬영된 각도와 다르더라도 사용자가 보내는 신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angle at which the user is photographed is different from the angle at which the reference image is photograph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user can be accurately understood.

도 1은 종래의 경비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궤적추적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ecurity system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trajectory track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영상입력부(110), 기준영상저장부(120), 궤적정보저장부(130), 기준영상비교부(140), 궤적정보비교부(150) 및 신호전송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10, a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120, a trajec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a reference image comparison unit 140, a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50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1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영상입력부(110)는 외부의 카메라 등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와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을 입력받는다. The image input unit 110 receives an image which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with an apparatus for capturing an image such as an external camera.

기준영상저장부(120)는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을 저장한다. The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120 stores a reference image which is a still image as a reference.

이 기준영상은 궤적 추적을 시작할지 여부를 결정짓는 기준이 되는 영상이다. 도 4의 경우를 예를 들면 (a)에 도시된 영상과 같은 영상이 된다. This reference image is a reference image that determines whether to start tracking the trace. In the case of FIG. 4, for example, the image is the same as the image shown in (a).

한편, 기준영상저장부(120)에는 하나의 기준영상만 저장이 될 수도 있지만, 각각 촬영각도를 달리하여 촬영된 복수의 기준영상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lthough only one reference image may be stored in the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120, it is preferable to store a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photographed at different shooting angles.

정지영상의 경우 촬영을 당하는 사람이 동일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라도 촬영 각도가 조금만 달라지면 비교시 오차가 많이 발생하므로 각기 다른 각도로 촬영된 기준영상을 여러개 저장하여 두고 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면, 오차 발생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still images, even if the person who is shooting is in the same posture, if the shooting angle is slightly different, a lot of errors occur in the comparison, so that the reference images photographed at different angles can be stored and compared so that an error can be gener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inimized.

궤적정보저장부(130)는 위급신호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궤적정보가 저장되어 있다.The trajec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stores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gnal.

본 발명에서 위급신호를 판단할 때에는 특정 부위의 궤적을 추적하여 그 궤적이 저장되어 있는 궤적과 동일한 패턴의 궤적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이용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rmining an emergency signal,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trace of a specific portion is traced in the same pattern as a trace stored in the trace is stored.

이 때 궤적을 그리는 부위를 기준요소로 설정하여 두고, 그 기준요소가 움직이는 궤적을 추적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area for drawing the trajectory is set as the reference element, and the trajectory of the reference element moves.

궤적정보저장부(130)는 이러한 기준요소가 그리는 궤적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 궤적에 관한 정보가 기준궤적정보로 저장된다. The trajec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stores information about a reference trajectory for compar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drawn by these reference elements as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일반적으로 기준요소는 손, 발, 머리 등 인체의 일부분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몸전체가 되거나 사용자가 들고 있는 특수한 물체가 될 수도 있다.In general, the reference element may be a part of the human body such as a hand, a foot, a head, and in some cases, may be a whole body or a special object held by a user.

기준영상비교부(140)는 기준영상저장부(120)에 저장된 기준영상과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에서 추출되는 정지영상을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reference image comparison unit 140 compares the reference image stored in the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120 with the still image extracted from the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image is identical within an error range.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동일한 자세를 각각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기준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의 피사체인 사용자가 카메라를 정면으로 바라보지 않고 있더라도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140 stores a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photographed at different angles of the same pos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ared even if the user who is the subject of the input image does not look directly at the camera. There is an advantage.

영상입력부(110)을 통하여 영상이 입력되면, 기준영상비교부(140)는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지영상을 저장된 복수의 기준영상과 비교를 하게 된다. When an image is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0,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140 extracts a still image from the input image, and compares the extracted still image with a plurality of stored reference images.

정지영상의 비교를 통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와는 달리, 본 발명의 경우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정지영상을 비교하는 이유는 위급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위급상황을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한 궤적 비교를 시작할 것인지 말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정지영상을 비교할 때에는 오차범위를 넓게 설정하여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Unlike the case of determining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till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for comparing the still image in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140 is not to determine the emergency situation, but to determine the emergency situation. Since it is to determine whether to start the required trajectory comparison or not, when comparing still images, the reference image and the input image can be compared by setting a wide error range.

즉, 정지영상만을 비교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에는 오차범위를 넓게 하면 실제로 위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위급상황인 것으로 알리는 신호가 남발이 되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위급상황 여부는 후술하는 궤적정보비교부(150)에서 궤적정보를 비교하여 결정하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That is, when judging an emergency situation by comparing only the still image, if the error range is widened, a signal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may become a problem even if the situation is not an emergency situation,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Since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son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such a problem does not occur.

한편,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정지영상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에서의 사용자 영상의 크기와 기준영상에서의 기준 사용자 영상의 크기를 비교하여 크기의 비를 산출하고, 그 크기의 비만큼 기준영상 또는 입력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비교를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still image in the reference image comparison unit 140 compares the size of the user image in the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0 and the size of the reference user image in the reference image to determine the ratio of the size The comparison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reference image or the input image by the ratio of the sizes.

피사체의 영상의 크기를 비교할 때에는 피사체 전체 영상의 윤곽선 또는 머리 등 피사체의 특정 부위의 윤곽을 추출한 후, 그 윤곽선이 차지하는 면적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영상에서 사람 또는 사람의 특정 부위의 윤곽선을 잡아내는 기술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When comparing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outline of a specific part of the subject such as the outline of the entire subject image or the head, and then compare the area occupied by the outline. The technique of contouring a person or a specific part of a person in an image is well known and will not be described here.

한편,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정지영상을 비교할 때에는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촬영각도를 추출하는 작업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still image in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140, the operation of extracting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subject from the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0 is also performed.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기준영상이 많이 저장되어 있어서 거의 모든 각도에서 촬영이 된 영상들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순히 입력된 영상과 저장된 복수의 기준영상 중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장 일치하는 기준영상이 촬영된 각도를 알면 그 각도가 좔영각도가 될 것이므로 특별한 연산이 필요하지는 않다.If a lot of reference images taken from various angles are stored, and images taken from almost all angles are stor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matching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and the input image. Knowing the angle at which the reference image was taken does not require any special calculation because the angle will be the zoom angle.

그러나, 입력된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기준영상의 촬영각도와 다른 촬영각도로 촬영된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촬영각도를 추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However, when the input image is captured at a different shooting angle from that of the stored reference image, it is necessary to extract the shooting angle in comparison with the stored reference image.

예를 들어, 입력된 영상이 피사체의 오른쪽 10도 각도에서 촬영된 제1기준영상과 오른쪽 20도 각도에서 촬영된 제2기준영상의 중간 정도의 촬영각도에서 촬영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된 영상이 제1기준영상에 가까운지, 제2기준영상에 가까운지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10~20 사이의 촬영 각도 사이에서 촬영각도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image is captured at an intermediate photographing angl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image photographed at the right 10 degree angle of the subject and the second reference image photographed at the right 20 degree angle, the input image The photographing angle may be determined between the photographing angles between 10 and 20 by us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reference image and the second reference image.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된 영상의 촬영각도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장의 기준영상의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extract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input image in this way, at least two reference images will be required.

2장의 기준영상의 촬영각도가 90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에서의 피사체의 모습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그 중간의 촬영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의 촬영각도가 어느 정도가 될지 연산하는 것이 힘들지만, 기준영상들의 촬영각도 차이가 그 보다 작은 각도, 예를 들어 30도 이하의 각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신뢰성 있는 예측이 가능할 것이다. If the shooting angles of the two reference images differ by more than 90 degrees,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how much the shooting angles of the captured images will be at the intermediate shooting angles because the subjects are so different in the captured images. If the difference in photographing angles of the reference images is a smaller angle, for example, an angle of 30 degrees or less, reliable prediction may be possible to some extent.

오차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는 저장된 기준영상들간의 촬영각도의 차가 작아지도록 더 많은 기준영상을 저장하면 될 것이다.In order to reduce the error range, more reference images may be stored so that a difference in photographing angle between the stored reference images becomes smaller.

정리하면, 기준영상비교부(140)는 입력된 영상과 저장된 기준영상들을 비교하며, 입력된 영상과 기준영상에서의 피사체 영상의 전체 또는 몸의 일부의 영상의 크기를 이용하여 크기의 비를 연산하고, 그 연산된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 또는 기준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양 영상이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된 복수의 기준영상 중 어떤 기준영상에 유사한지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각도를 추출해낼 수 있다. In summary,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140 compares the input image with the stored reference images, and calculates the ratio of the size by using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entire body or a part of the body of the subject image in the input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Determine whether the two images match within an error range by enlarging or reducing the input image or the reference image using the calculated ratio of the calculated siz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image is one of a plurality of stored reference images The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is used to extract a photographing angle.

궤적정보비교부(150)는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준요소의 궤적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image is matched with the trajectory of the reference ele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image matches the input image.

기준요소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사체인 사용자의 몸의 전체 또는 일부를 말하며 시스템 관리자 또는 설계자가 설정한 부위를 말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ference element refers to the whole or part of the user's body, which is the subject, and the area set by the system administrator or the designer.

도 4는 손을 기준요소로 하였을 때 궤적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extracting a trajectory when using a hand as a reference element.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a)에서와 같이 손을 가슴에 모았다가 (b), (c), (d), (e), (f), (g)의 순으로 손을 벌리는 경우, 궤적은 (g)에 도시된 것과 같이 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puts his hands on the chest as shown in (a) and then spreads his hands in the order of (b), (c), (d), (e), (f), and (g), The trajectory becomes as shown in (g).

궤적정보비교부(150)는 입력된 영상에서 기준요소가 움직이는 궤적을 추출하고 그 궤적을 궤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기준궤적정보와 비교하여 궤적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영상에서 사람의 특정부위를 추출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150 extracts a trajectory in which the reference element moves from the input image, and compares the trajectory with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trajec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o determine whether the trajectory is identical. Since a technique of extracting a specific part of a person from an image is already widel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궤적정보비교부(150)에서 궤적정보를 비교할 때에는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산출된 크기의 비에 대한 정보와 촬영각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in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150, it is preferable to compare the trajectory information using information on the ratio of the size calculated by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140 and information on the photographing angle.

크기의 비는 궤적의 크기를 비교하는데 이용된다. 입력된 영상에서의 피사체의 크기가 저장된 기준영상에서의 피사체의 크기보다 작다면, 입력된 영상에서 추출된 궤적도 궤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궤적보다 작을 것이므로,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산출된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에서 추출된 궤적을 확대하거나 궤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궤적정보의 궤적을 축소하여 비교를 한다. The ratio of magnitudes is used to compare the magnitudes of the trajectories. If the size of the subject in the input image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ubject in the stored reference image, the trajectory extracted from the input image will also be smaller than the trajectory stored in the trajec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By using the ratio of the size calculated in the enlarged trajectory extracted from the input image or by reducing the trajectory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trajec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o compare.

한편, 궤적정보저장부(130)에 하나의 궤적정보만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궤적정보를 추출한 영상과 촬영각도가 다른 상태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추출한 궤적과는 그 모양이 달라질 것이므로 촬영각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궤적을 수정한 후 비교를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only one locu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locus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he shape of the locus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will be different from the locus extracted from the input image in the state where the locus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input angle. Therefore, the comparison is made after modifying any trajectory.

정지영상의 경우에는 하나의 영상에서 그 영상내의 피사체가 각도를 달리한 모습을 연산을 통하여 추출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동영상의 경우에는 벡터기술을 이용하면 촬영되는 각도를 달리하였을 때 현재 보이는 궤적이 어떻게 변경될 것인지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촬영각도만 알 수 있으면 하나의 궤적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의 궤적정보와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the case of a still image, it is impossible to extract the image of the subject in the image by a calcula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whether it is to be changed,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trajectory information at various angles using one trajectory information if only the photographing angle is known.

본 발명에서는 궤적정보를 이용하여 위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촬영되는 사용자의 촬영각도가 조금 달라지더라도 정확한 비교를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emergency situation by us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ccurate comparison even if the shooting angle of the user to be photographed slightly different,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reliable result.

또한, 정지영상의 비교보다 복잡한 연산이 수행이 되는 궤적정보의 비교를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비교되는 정지영상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수행이 되므로, 처음부터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경우에 비해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parison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in which a complicated operation is performed rather than the comparison of the still image is performed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ill image compared by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140 is matched, the trajectory information is compared from the beginning. Compared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the load on the system.

신호전송부(160)는 궤적정보비교부(150)에서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가 그리는 궤적과 궤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궤적정보의 궤적이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된 사용자가 위급상황을 알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한다.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trajectory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mage input by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150 and the trajectory of the trajec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trajec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match within an error range,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alerting the emergency situation, and sends a signal informing the emergency situation.

신호를 송출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of transmitting a signal.

먼저, 입력된 영상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실 등에 경보음이 송출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First, there will be a method for the administrator to check the image by sending an alarm sound to the management office that manages the input image.

다른 방법으로, 경찰서나 경비회사 등에 직접적으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송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it may be possible to send a signal to the police station or security company directly to notify the emergency.

또 다른 방법으로, 관리자의 휴대폰 등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에 문자메시지 등의 형식으로 위급상황이 신고되었다는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another method, a message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is reported in a form of a tex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possessed by an administrator such as a mobile phone of the administrator.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송출될 때에는 위급상황을 알리는 모습이 촬영된 영상이 같이 송출되도록 하여, 신호를 받은 사람이 영상을 보고 위급상황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an emergency signal is s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indicating the emergency situation is transmitted so that the person receiving the signal can check whether the emergency situation is correct by viewing the image.

앞에서 설명은 생략했지만, 통상적인 감시 시스템, 경비 시스템 등에서는 촬영된 영상을 일정 분량 이상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 중 위급상황을 알리는 모습이 촬영된 분량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이다. Although the foregoing description has been omitted, since a conventional surveillance system, security system, and the like stores the captured image over a certain amount, the technique of extracting and transmitting the amount of the image of the state informing of an emergency situation is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ould be a skill that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of can perform.

한편,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송출될 때에는 그 신호가 발생된 위치정보가 같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a signal informing of an emergency situation is transmitted,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signal is generated.

통상적으로 감시카메라는 고정된 곳에 설치되어서, 신호가 발생된 위치정보는 그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므로, 신호가 발생된 위치정보는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정보가 될 것이다. Typically, the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in a fixed place, so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ignal coincides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installed by the camera photographing the image,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ignal will be the location information installed by the camera.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영상입력부(110)는 외부의 카메라 등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와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을 입력받는다(201). First, the image input unit 110 receives an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with an apparatus for capturing an image such as an external camera (201).

기준영상비교부(140)는 기준영상저장부(120)에 저장된 기준영상과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에서 추출되는 정지영상을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02).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140 compares the reference image stored in the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120 with the still image extracted from the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0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ference image is identical within an error range (202). ).

만약, 오차범위 내에서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203), 기준영상비교부(140)는 입력된 영상과 기준영상의 크기의 비 및 입력된 영상이 촬영된 각도를 추출한다(204).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image and the input image match within the error range (203), the reference image comparison unit 140 extracts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input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nd the angle at which the input image is captured. (204)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정지영상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에서의 사용자 영상의 크기와 기준영상에서의 기준 사용자 영상의 크기를 비교하여 크기의 비를 산출하고, 그 크기의 비만큼 기준영상 또는 입력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비교를 하며, 이 때 피사체 전체 영상의 윤곽선 또는 머리 등 피사체의 특정 부위의 윤곽을 이용하여 크기의 비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When comparing the still image in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140, the size ratio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user image in the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0 and the size of the reference user image in the reference image. By comparing the size of the reference image or the input image by the ratio of the size, the ratio of the siz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outline of the entire subject image or the outline of a specific part of the subject such as the head. As we saw earlier.

또한, 기준영상저장부(120)에 각기 다른 각도에서 동일한 자세를 촬영한 복수의 기준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촬영각도를 추출하는 작업도 수행될 수 있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reference images photographing the same posture at different angles are stored in the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120, an operation of extracting a photographing angle of a subject from an input image may also be performed. As we saw earlier.

도 3에서는 먼저 입력된 영상과 기준영상이 일치하는 경우에 양 영상의 크기의 비나 촬영된 각도를 산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크기의 비나 촬영각도의 추출은 입력된 영상과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추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단계(202) 및 단계(204)의 순서는 도 3과 다르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FIG. 3, when the input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two images or the photographed angle is calculated. However, the extraction of the ratio of the size or the shooting angle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input image with the reference image. As it may be extracted, the order of steps 202 and 204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from FIG.

한편, 궤적정보비교부(150)는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추출된 크기의 비 및 입력된 영상의 촬영각도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 또는 궤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궤적정보를 수정한 후 양 궤적정보의 궤적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05).Meanwhile,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150 uses the ratio of the size extracted by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140 and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input image to display the trajectory information or the trajec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of the input image. After modify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stored in FIG. 20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rajectories of both the trajectory information match.

만약 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신호전송부(160)는 촬영된 사용자가 위급상황을 알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한다(20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jectory information matches,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photographed user is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s a signal informing the emergency situation (206).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송출될 때에는 위급상황을 알리는 모습이 촬영된 영상 및 그 신호가 발생된 위치정보가 같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an image of an emergency situation may be transmitted and a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signal is generated may be transmitted together.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까지 미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but extends to the range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어, 앞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및 기준영상의 크기의 비나 입력되는 영상의 촬영각도 등을 추출하는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구성을 생략하고, 단순하게 기준영상을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영상과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준요소의 궤적을 비교하는 구성만으로 수행이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operation of extracting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input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or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input image is omitted, but omitting such a configuration, and simply extracting the reference image from the input image. After comparing with the image, if it is determined to match, the configuration may be performed only by comparing the trajectories of the reference elements.

Claims (9)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기준영상저장부;
상기 기준영상의 피사체의 특정 부위인 기준요소의 움직이는 궤적에 관한 정보인 기준궤적정보를 저장하는 궤적정보저장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중 상기 기준영상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영상비교부;
상기 기준영상비교부에서 상기 기준영상과 일치하는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상기 기준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궤적정보비교부; 및
상기 궤적정보비교부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기준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시스템.
An image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mage captured by 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A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reference image which is a still image as a reference;
A trajectory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moving trajectory of a reference element, which is a specific portion of a subject of the reference image;
A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mage matching the reference imag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among the images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A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with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matching the reference image is input by the reference image comparing unit; And
If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determines that the trajectory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are identical, a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informing of an emergency situation;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system 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저장부에는 각각 촬영각도를 달리하여 촬영된 복수의 정지영상이 기준영상으로 저장되고,
상기 기준영상비교부는 상기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을 비교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피사체의 촬영각도를 추출하고,
상기 궤적정보비교부는 상기 추출된 촬영각도를 이용하여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image storage unit stores a plurality of still images taken at different shooting angles as reference images,
The reference image comparison unit compares the reference image and the input image to extract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subject of the input image,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compares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with th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by using the extracted photographing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비교부는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궤적정보비교부는 상기 비교된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image comparison unit
Compare the size of the subject i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input image,
And the trajectory information comparing unit compares th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with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using the ratio of the compared magnit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입력된 영상을 녹화한 영상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system through the motion image comparis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video recorded with the input image.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영상 중 저장되어 있는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기준영상과 일치하는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준영상의 피사체의 특정 부위인 기준요소의 움직이는 궤적에 관한 정보인 기준궤적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기준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Receiving a captured image from a device for capturing an image;
Comparing whether a reference image, which is a reference image which is a stored reference image, among the input images and a matching imag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exi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image coinciding with the reference image is input,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trajectory information of a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and a moving trajectory of a reference element, which is a specific portion of a subject of the reference image, is stored. Comparing; An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jectory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are identical, transmitting a signal informing of an emergency situ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에는 각각 촬영각도를 달리하여 촬영된 복수의 정지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영상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을 비교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피사체의 촬영각도를 추출하고,
상기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촬영각도를 이용하여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ference image comprises a plurality of still images taken at different shooting angles, respectively,
In the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image,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subject of the input image is extracted by comparing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input image,
Compar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the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motion image comparis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and th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using the extracted photographing ang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된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mparing of the reference image comprises comparing a size of a subject i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input image,
Compar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the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motion image comparison, characterized in that comparing the reference trajectory information and the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element of the input image using the ratio of the compared siz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을 녹화한 영상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signal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method by comparing the motion video,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video recorded with the input video.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KR1020100140703A 2010-12-31 2010-12-31 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 KR1012334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703A KR101233412B1 (en) 2010-12-31 2010-12-31 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703A KR101233412B1 (en) 2010-12-31 2010-12-31 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415A KR20120078415A (en) 2012-07-10
KR101233412B1 true KR101233412B1 (en) 2013-02-15

Family

ID=4671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703A KR101233412B1 (en) 2010-12-31 2010-12-31 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4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69B1 (en) * 2013-03-22 2014-09-24 에프엔엔(주) Method and apparatus for criminal acts distinction using intelligent object sensing
EP3557549B1 (en) 2018-04-19 2024-02-21 PKE Holding AG Method for evaluating a motion event
KR102529548B1 (en) * 2022-10-31 2023-05-08 더죤환경기술(주) Sewer pipe sediment removal device and method
KR102529549B1 (en) * 2022-10-31 2023-05-08 더죤환경기술(주) Sewage pipe odor removal device and method
KR102556262B1 (en) * 2022-12-27 2023-07-18 주식회사 한결가치 Construction method of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sewage pipe with automatic ventilation function and apparatus thereof
KR102558747B1 (en) * 2022-12-27 2023-07-25 주식회사 한결가치 Toxic gas discharge device of sewage pipe with seismic fun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558746B1 (en) * 2022-12-27 2023-07-25 주식회사 한결가치 Odor reduction device for eco-friendly sewage pip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6596650B (en) * 2023-07-17 2023-09-22 上海银行股份有限公司 Bank physical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lligent recognition technolog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586A (en) * 2008-09-18 2010-03-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based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586A (en) * 2008-09-18 2010-03-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based situation awareness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415A (en)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412B1 (en) 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
US10558863B2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video surveillance method
US20140146172A1 (en) Distributed image processing system
KR101464344B1 (en) Surveillance camera and image manag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tate by training normal state of surveillance image
KR101467352B1 (en) location based integrated control system
KR101328246B1 (en) Apparatus for tracking of moving target and the method thereof
KR101485022B1 (en) Object tracking system for behavioral pattern analysis and method thereof
WO2007063970A1 (en) Monitor camera system and face image trace recording method
KR20120124785A (en) Object tracking system for tracing path of object and method thereof
JP5114924B2 (en) Warning method by security robot system and security robot system
KR2016007420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service using beacon signals
KR20190035186A (en) Intelligent unmanned security system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
KR101894399B1 (en) Monitoring system hav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4426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iminal acts distinction using intelligent object sensing
US20170118446A1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084914B1 (en) Indexing management system of vehicle-number and man-image
KR101005568B1 (en) Intelligent security system
KR1022336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vader and fire for energy storage system
KR102046591B1 (en) Imag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mage
JP5758165B2 (en) Article detection device and stationary person detection device
CN106572324A (en) Energy-efficient smart monitoring device
KR101772391B1 (en) Exetended Monitoring Device Using Voice Recognition Module Installed in Multi Spot
KR102143873B1 (en) Human and object recognition system using action cam module
KR20160123410A (en) Active situation-sensing system
KR101615243B1 (en)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for intelligent security and video surveillanc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