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771B1 -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771B1
KR102443771B1 KR1020150095968A KR20150095968A KR102443771B1 KR 102443771 B1 KR102443771 B1 KR 102443771B1 KR 1020150095968 A KR1020150095968 A KR 1020150095968A KR 20150095968 A KR20150095968 A KR 20150095968A KR 102443771 B1 KR102443771 B1 KR 102443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umidifying
guide frame
air purifier
hum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943A (ko
Inventor
강상우
배준형
이병혁
강우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7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습필터는 골격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탈착되게 구비되고, 가습용 물을 머금어 기화시키는 필터링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유닛은, 가습용 물을 머금어 기화시키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탈착되게 제공되는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Humidification filter and Humidifying air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작업과 분리작업이 용이한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공기청정기는 다양한 필터들을 적용하여 오염된 공기나 먼지 등을 걸러주어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 중 가습공기청정기는 다양한 필터들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가 물을 머금은 가습필터를 통과하면서 습한 공기로 변하는 것을 이용한 장치이다.
가습공기청정기가 습한 공기를 생성하는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먼저, 가습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나 히터를 이용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시켜 발생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가열식 가습 방식이 존재한다.
그리고, 가습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초음파식 가습 방식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식 가습방식과 상기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가습수조에 가습필터를 침지시킨 후, 가습필터에 부착된 물을 자연적으로 기화시키거나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는 자연식 가습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연식 가습 방식에는 직물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직물필터는 기체의 투과율이 좋고, 미세입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직물필터의 수분 함유량은 두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가습량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가습용 물이 기화되고 나면 상기 가습용 물에 함유된 석회성분이 남게 된다. 따라서, 가습용 물을 머금고 기화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가습필터에는 상기 가습용 물에 함유되어 있던 석회성분이 잔류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굳어지게 된다.
이처럼, 가습용 물에 함유되어 있던 석회성분이 굳어져 생기는 것을 스케일이라고 한다. 스케일은 가습필터의 가습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가습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가습필터에 잔류하며 굳어진 스케일은 주기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가습필터의 주기적인 세척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작업의 용이성은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용 편의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세척작업이 용이한 직물필터가 가습필터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직물필터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직물필터를 고정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직물필터를 분리하여야 하고, 세척을 완료한 뒤에 다시 직물필터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작업 및 분리작업이 용이한 직물필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가습필터 특히, 직물필터의 설치작업 및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로써, 직물필터의 세척 효율성 및 가습능력을 향상시키며, 가습공기청정기의 성능 및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습필터는 골격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탈착되게 구비되고, 가습용 물을 머금어 기화시키는 필터링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유닛은, 가습용 물을 머금어 기화시키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탈착되게 제공되는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부재는, 직물필터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탈착부는, 상기 직물필터를 팽창시켜, 상기 직물필터의 일측 또는 단부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밀착시키게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탈착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리형태로 제공되는 장착부재;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장착부재가 각각 체결되도록 상기 장착부재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필터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정돌기;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돌기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부재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절곡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의 외주에서 깊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장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장착부재의 적어도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기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물을 저장하는 가습수조; 및 상기 가습수조에 연계되는 상기 가습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가습수조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가습수조에 연계되는 회전축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습필터 특히, 직물필터의 설치작업 및 분리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직물필터의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직물필터의 세척 효율성 및 가습능력이 향상되고, 가습공기청정기의 성능 및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내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필터(100)는 골격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110)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탈착되게 구비되고, 가습용 물을 머금어 기화시키는 필터링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유닛(120)은 가습용 물을 머금어 기화시키는 필터부재(121) 및 상기 필터부재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121)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탈착되게 제공되는 탈착부(122)를 포함한다.
가이드프레임(110)은 필터링유닛(120)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중심 방향으로는 보조프레임(1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필터링유닛(120)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 및 고정이 가능하다. 다만, 이는 당업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터부재(121)는 직물필터로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더블라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더블라셀 소재는 통기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오염이 잘 되지 않도록 다단계의 화학처리를 거치므로 필터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소재일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21)는 가이드프레임(110)에 탈착되게 구비되므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필터부재(12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1)에는 필터링유닛의 탈착부(122)가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탈착부(122)는 필터부재(121)와 가이드프레임(110)을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상기 필터부재(121)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부(122)의 개수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직물필터의 규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탈착부(122)가 탈착되는 고정부(111) 또한 가이드프레임(11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착부(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탈착부(122)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탈착부(122)와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탈착부(122)는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고리형태로 제공되는 장착부재(123)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무밴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면, 필터부재(122)의 외주부를 가이드프레임(110) 측으로 당겨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도 2에 보이는 밀착부(B)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재(123)를 필터부재(122)의 원주방향으로 보다 많은 개수를 적용하면 보다 많은 밀착부(B)를 형성할 수 있고, 필터부재(122)와 가이드프레임(11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부재(122)를 통과하지 않고 가이드프레임(110)의 빈 공간을 통해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장착부재(123)와 고정부(111)의 체결에 관하여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111)는 도 3에서 보이듯이, 장착부재(123)가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프레임(110)의 일면에서 상기 필터부재(121) 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정돌기(112)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12)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필터부재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된 단부는 절곡되어 절곡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곡부(112a)에 의하면 장착부재(123)가 체결된 이후, 상기 장착부재(123)가 고정돌기(112)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재(123)와 고정돌기(112)의 체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도 4에 보이는 것처럼 가이드프레임(110)에 장착홈(114)을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장착홈(114)은 가이드프레임(110)의 외주방향으로 구비되어, 가이드프레임(110)의 깊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112)는 장착홈(114)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재(123)는 장착홈(114) 내에서 고정돌기(112)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장착부재(123)의 적어도 일측이 상기 장착홈(114)에 삽입되므로, 장착부재(123)가 고정돌기(112)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습필터(100)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2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가습용 물(W)을 저장하는 가습수조(50) 및 하우징(10) 또는 가습수조(50)에 구비되는 회전축(미도시)에 장착되어 가습수조(50)에 일부가 침지되는 가습필터(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일부가 가습수조(50) 내부에 침지되고,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가습수조에 연계되는 회전축(미도시)에 장착됨으로써 가습필터(100)가 가습공기청정기(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필터(100) 특히, 직물필터를 가습공기청정기(200)의 내부에 설치하면 직물필터의 분리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직물필터의 세척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물필터의 통기성 및 가습능력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는 가습공기청정기의 성능 및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 하우징 50 : 가습수조
100 : 가습필터 110 : 가이드프레임
120 : 필터링유닛 121 : 필터부재
122 : 탈착부 123 : 장착부재
200 : 가습공기청정기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물을 저장하는 가습수조; 및
    상기 가습수조에 연계되는 가습필터;
    를 포함하되,
    상기 가습필터는,
    골격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탈착되게 구비되고, 가습용 물을 머금어 기화시키는 필터링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유닛은,
    가습용 물을 머금어 기화시키는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탈착되게 제공되는 탈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가습수조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가습수조에 연계되는 회전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직물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직물필터를 팽창시켜, 상기 직물필터의 일측 또는 단부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밀착시키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리형태로 제공되는 장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장착부재가 각각 체결되도록 상기 장착부재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필터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정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필터부재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절곡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고정부의 외주에서 깊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장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장착부재의 적어도 일측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9. 삭제
KR1020150095968A 2015-07-06 2015-07-06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443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968A KR102443771B1 (ko) 2015-07-06 2015-07-06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968A KR102443771B1 (ko) 2015-07-06 2015-07-06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943A KR20170005943A (ko) 2017-01-17
KR102443771B1 true KR102443771B1 (ko) 2022-09-16

Family

ID=5799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968A KR102443771B1 (ko) 2015-07-06 2015-07-06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492B1 (ko) 2017-01-13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29887A (ko) 2020-04-21 2021-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9538A (ko) * 2005-12-28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20001519A (ko) * 2010-06-29 2012-01-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필터 및 가습필터를 가진 가습장치
KR20140074671A (ko) * 2012-12-10 2014-06-1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943A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9430B2 (ja) 空気調和装置
CN108139094A (zh) 空气加湿和/或净化
KR102443771B1 (ko)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20120113027A (ko) 가습필터 및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
KR20110001624A (ko) 가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JP2006022977A (ja) 空気清浄機
JP2004232954A (ja) 空気清浄器
KR102092223B1 (ko)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KR20190122357A (ko) 가습기
KR102448278B1 (ko)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1856979B1 (ko) 공기 청정기
KR101669644B1 (ko) 공기 청정 겸용 가습기
JP2015206497A (ja) 空気清浄機
KR20090116439A (ko) 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
KR20170034501A (ko) 공기청정기 겸용 가습장치
KR102256966B1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JP6070538B2 (ja) 加湿装置
KR101132564B1 (ko) 가습 발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KR200452696Y1 (ko) 가습기의 여과장치
KR20110001356A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KR101795421B1 (ko) 가습 필터를 이용한 가습 장치
KR20190036043A (ko) 분사형 습식노즐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JP2008064407A (ja) 空気清浄機
KR20110060519A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KR101068226B1 (ko) 고효율 탈취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