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462B1 -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462B1
KR102443462B1 KR1020200138613A KR20200138613A KR102443462B1 KR 102443462 B1 KR102443462 B1 KR 102443462B1 KR 1020200138613 A KR1020200138613 A KR 1020200138613A KR 20200138613 A KR20200138613 A KR 20200138613A KR 102443462 B1 KR102443462 B1 KR 10244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fe
main body
fine pattern
flexible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100A (ko
Inventor
임동희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8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4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7Surveillance aspects at AT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alarm, signal or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고 내부의 현금 탈취를 목적으로 금고를 파괴하는 무단 개방 시도를 초기부터 감지하여 공격 시도를 무력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 전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에 부착되고 미세패턴이 형성된 플렉서블 피씨비; 상기 미세패턴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단선 감지부; 및 상기 단선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미세패턴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세패턴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 발생부를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Safe of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고 내부의 현금 탈취를 목적으로 금고를 파괴하는 행위를 초기부터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에 관한 것이다.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식 사용자 외의 제3자에 의한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금고 관련 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불법적으로 금고를 열기 위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량되고 있어 좀 더 안전하면서도 도난 등의 가능성이 적은 금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현금인출기와 같이 고액의 현금을 보관하고 있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대중적인 장소에서 사용됨으로써, 금고에 대한 보안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1)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수납공간 전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작업자가 금고(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판넬(11)과 디스플레이부(12) 및 카드판독부(1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고(1)의 도어(20)에는 금고(1)의 비정상적인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다. 도어락 장치는 금고(1)의 본체(10)와 도어(20)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잠금핀/볼트(bolt) 등이 설치된다.
한편, 금고(1)의 본체(10)와 도어(20) 사이를 도구 등으로 공격하여 도어(20)를 강제로 제껴서 강제개방시키고 본체(10) 내부의 현금을 탈취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 도어락 장치는 이러한 강제개방 여부를 감지하도록 금고(1)의 본체(10)와 도어(20) 사이에 감지센서(미도시됨)를 설치하여 도어(20)가 본체(10)로부터 비정상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감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금고(1)의 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되어야 감지되는 방식이므로, 금고(1) 내부의 현금 탈취를 목적으로 금고(1)를 파괴하는 무단 개방 시도를 초기부터 감지하여 공격 시도를 무력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공개특허 제10-2006-0112280호, 공개특허 제10-2012-0094808호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금고 내부의 현금 탈취를 목적으로 금고를 파괴하는 무단 개방 시도를 초기부터 감지하여 공격 시도를 무력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 전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에 부착되고 미세패턴이 형성된 플렉서블 피씨비; 상기 미세패턴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단선 감지부; 및 상기 단선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미세패턴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세패턴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 발생부를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는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도어의 테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는 상기 도어와 연결되는 본체의 테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덮으며 상기 도어의 테두리에 고정된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는 상기 도어의 테두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의 외측면을 덮는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일측면 중간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에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의 미세패턴은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에 의하면, 금고의 공격 초기부터 무단 개방 시도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고의 초기 공격부터 무단 개방 시도를 감지하여 초기 공격 시부터 경보를 발생시켜 공격 시도를 무력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고의 본체와 도어 사이에 브라켓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플렉서블 피씨비가 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의 제어 블록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100-1;100)는, 내부에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S)이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수납공간(S) 전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의 일측단과 상기 도어(120)의 일측단은 힌지(111)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도어(120)는 힌지(111)를 중심으로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에는 플렉서블 피씨비(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0-1,130-2;130)가 부착된다.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130-1,130-2;130)는 휘어짐이 가능하고, 표면에는 도전성 미세패턴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세패턴은 메쉬(mesh, 그물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130-1;130)는 상기 본체(110)와 연결되는 도어(120)의 테두리(120a)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130-2;130)는 상기 도어(120)와 연결되는 본체(110)의 테두리(110a)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130)는, 상기 도어(120)의 테두리(120a)와 본체(110)의 테두리(110a) 중 어느 한 쪽에만 선택적으로 부착되거나, 상기 도어(120)의 테두리(120a) 및 본체(110)의 테두리(110a)에 모두 부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부착 방식은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bonding)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100-2;100)는, 내부에 수납공간(S)이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수납공간(S) 전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20), 및 상기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의 틈새를 덮으며 상기 도어(120)의 테두리(120a')에 고정된 브라켓(140)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120)의 테두리(120a')와 상기 브라켓(140) 사이에 플렉서블 피씨비(130-3,130-4;130)가 부착된다.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130-3,130-4;130)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의 틈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도어(12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의 틈새의 외측면을 덮는 제1플레이트부(141)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141)의 일측면 중간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의 틈새에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부(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130-3;130)는 도어(120)의 테두리(120a')에 부착되고,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130-4;130)는 브라켓(140)의 제2플레이트부(142)의 일측면(142a)에 부착된다.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130-3,130-4;130)는 도어(120)의 테두리(120a')와 브라켓(140)의 제2플레이트부(142)의 일측면(142a)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120)의 테두리(120a')와 플렉서블 피씨비(130-3,130-4;130) 및 브라켓(140)의 제2플레이트부(142)의 일측면(142a)은 상호 본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금고(100-2;100)의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에 브라켓(140)을 설치함으로써, 플렉서블 피씨비(130-3,130-4;130)가 브라켓(1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100-1,100-2;100)는, 상기 본체(110)와 도어(120) 사이에 부착되고 미세패턴이 형성된 플렉서블 피씨비(130-1,130-2,130-3,130-4;130), 상기 미세패턴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단선 감지부(150), 및 상기 단선 감지부(15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미세패턴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세패턴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 발생부(170)를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만일, 외부의 공격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130-1,130-2,130-3,130-4;130)의 미세패턴이 파괴되어 끊어지게 되면, 상기 단선 감지부(150)는 이와 같은 미세패턴의 단선 상태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단선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단선 신호를 기준으로, 제어부(160)는 경보 발생부(170)에 경보 발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상기 경보 발생부(170)는 경보(alarm)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단 공격에 의한 플렉서블 피씨비(130-1,130-2,130-3,130-4;130)에 형성된 미세패턴의 단선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금고(100)의 공격 초기부터 무단 개방 시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금고(100)의 초기 공격 시 부터 경보를 발생시켜 공격 시도를 무력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단선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단선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금융기관이나 경찰 또는 안전업체에 무단 공격 시도가 있음을 경보함으로써 도난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현금이 수납되는 금고 뿐만 아니라 현금이나 귀중품을 보관하는 일반적인 금고에도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10 : 본체
11 : 조작판넬 12 : 디스플레이부
13 : 카드판독부 20 : 도어
100,100-1,100-2 :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110 : 본체 110a : 본체의 테두리
111 : 힌지 S : 수납공간
120 : 도어 120a,120a' : 도어의 테두리
130,130-1,130-2,130-3,130-4 : 플렉서블 피씨비(FPCB)
140 : 브라켓 141 : 제1플레이트부
142 : 제2플레이트부 142a : 제2플레이트부의 일측면
150 : 단선 감지부 160 : 제어부
170 : 경보 발생부

Claims (7)

  1.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 전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에 부착되고 미세패턴이 형성된 플렉서블 피씨비;
    상기 미세패턴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단선 감지부;
    상기 단선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미세패턴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세패턴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 발생부를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덮으며 상기 도어의 테두리에 고정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에 설치되되, 상기 도어의 테두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는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도어의 테두리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는 상기 도어와 연결되는 본체의 테두리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의 외측면을 덮는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일측면 중간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에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씨비의 미세패턴은 메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KR1020200138613A 2020-10-23 2020-10-23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KR10244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613A KR102443462B1 (ko) 2020-10-23 2020-10-23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613A KR102443462B1 (ko) 2020-10-23 2020-10-23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100A KR20220054100A (ko) 2022-05-02
KR102443462B1 true KR102443462B1 (ko) 2022-09-14

Family

ID=8159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613A KR102443462B1 (ko) 2020-10-23 2020-10-23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4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348Y1 (ko) * 1999-11-20 2000-04-15 주영춘 금고
JP2001196704A (ja) * 2000-01-17 2001-07-19 Oki Electric Cable Co Ltd 破壊感知センサー用プリント配線板
JP2010112058A (ja) 2008-11-06 2010-05-20 Bunka Shutter Co Ltd 出入口ドア防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4884U (ko) * 1987-05-22 1988-11-28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348Y1 (ko) * 1999-11-20 2000-04-15 주영춘 금고
JP2001196704A (ja) * 2000-01-17 2001-07-19 Oki Electric Cable Co Ltd 破壊感知センサー用プリント配線板
JP2010112058A (ja) 2008-11-06 2010-05-20 Bunka Shutter Co Ltd 出入口ドア防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100A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0208A1 (zh) 电子锁装置
GB2507954A (en) Tamper detection system associated with an encryption device and an additional trigger for other components in a user terminal.
US8622297B1 (en) Card reader anti-skimming assembly and method
KR10244346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금고
US6510804B1 (en) Marking device in paper money theft proof system
US10552811B2 (en) Cash machine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CN108352098B (zh) 读卡装置、配备读卡装置的自助服务终端及其监控方法
JP2005146646A (ja) 貴重品保管装置及び保管装置管理サーバ
EP0848130A2 (en) Improved safe
GB2495792A (en) ATM with spoiling system linked to shutter sensor
KR20100120512A (ko) 금융 자동화 기기용 보안장치
TWM556268U (zh) 電子鎖裝置
US8451145B2 (en) Constructive device introduced into a security keyboard for securing information and secret processes stored by electronic means
KR100662701B1 (ko) 해제조건 설정식 잠금/해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0515092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5571338B2 (ja) 保管庫の防犯装置
EP3204922A1 (en) Atm security
JP5120138B2 (ja) セキュリティ機器
JP5996955B2 (ja) 金庫の取付け構造
TW201925588A (zh) 電子鎖裝置
KR101241099B1 (ko) 침입자 감시를 위한 도어락
KR200198574Y1 (ko) 귀중품 보관함의 도난 방지장치
JP2005174593A (ja) 開閉体操作装置
WO2019150665A1 (ja) 自動取引装置
JPH06272453A (ja) 金融自動化機器の筐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