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009B1 - Control device for vibration genera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generation device - Google Patents

Control device for vibration genera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gener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009B1
KR102443009B1 KR1020170171322A KR20170171322A KR102443009B1 KR 102443009 B1 KR102443009 B1 KR 102443009B1 KR 1020170171322 A KR1020170171322 A KR 1020170171322A KR 20170171322 A KR20170171322 A KR 20170171322A KR 102443009 B1 KR102443009 B1 KR 102443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alue
generating device
vibration generating
normal oper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0478A (en
Inventor
아키히로 이이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4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8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dc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0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 dc m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이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에 대해서 소정축 둘레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소정축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무게 중심을 가지는 무게 추를 가지는 로터를 구비한 진동 발생 장치와, 기동시에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기동시 최대 전압치가, 정상 동작시에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의 전압치인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도 커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control device of this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stator and a rotor having a weight rotatably installed about a predetermined axis with respect to the stator and having a center of gravity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predetermined axi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o that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up, which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generator, become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which is the voltage value of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uring normal operation.

Description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전자 기기, 및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CONTROL DEVICE FOR VIBRATION GENERA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GENERATION DEVICE}A control device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전자 기기, 및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휴대 전화나 태블릿 등의 정보 기기에 있어서, 착신이나 메일 수신, 알람 알림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진동이 이용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AV 기기, 유기 기기, 은행의 ATM(Automatic Teller Machine;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에서 이용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등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진동이 이용되고 있다.In inform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s, vibration is used as a mean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uch as incoming calls, mail receptions, and alarm notifications to a user. Also, in recent years, in touch panel displays used in AV devices, organic devices, ATMs (Automatic Teller Machines) of banks, etc., vibration is used as a means of transmitting various information to a user.

진동 발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진동 모터가 채용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반적으로, 진동 모터는, 스테이터와, 샤프트 및 무게 추를 가지는 로터를 구비하고 있다. 무게 추는, 샤프트의 중심축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무게 중심을 가지고 있다. 진동 모터는, 로터가 회전함으로써 무게 중심이 어긋난 무게 추의 원심력이 작용하여, 진동을 발생한다.A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 vibration motor is employ|adopted, for example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In general, a vibration motor includes a stator, a shaft, and a rotor having a weight. The weight has a center of gravity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In the vibration motor, the centrifugal force of a weight displaced from the center of gravity acts as the rotor rotates to generate vibration.

또, 최근, 스마트 폰이나 자동차내 등에 있어서의 각종 디스플레이상에 버튼의 기능을 갖게 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눌렀는지(ON로 했는지) 아닌지의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버튼을 누른 것을 알리기 위해 진동을 손가락에 전달하는 것이 행해지도록 되었다. 또, 스마트 폰에서 음악이나 여러 가지 소리에 맞추어 진동을 발하거나 게임기나 가상 현실 장치에 있어서도 진동으로 여러 가지 정보를 발신하거나 하는 일도 많아졌다.Moreover, in recent years, the opportunity to provide the function of a button on various displays in a smart phone, the inside of a car, etc. has increased. In this case,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button has been pressed (turned on) or not, a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nger to inform that the button has been pressed. In addition, it has become increasingly common for smartphones to vibrate according to music and various sounds, and to transmi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rough vibration even in game consoles and virtual reality devices.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6-007114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6-007114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진동 모터의 제어에서는, 사용자에 대해서 정보를 재빠르게 진동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응답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trol of the vibration motor in the prior art,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improving the responsiveness in order to quickl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user by vibra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응답성이 뛰어난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전자 기기, 및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having superior responsiveness compared to the prior 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채용했다.In order to achieve the said object, this invention employ|adopted the following aspects.

(1)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는, 스테이터(71, 202, 302)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소정축 둘레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소정축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무게 중심을 가지는 무게 추(74, 233, 333, 433)를 가지는 로터(72, 203, 303, 403)를 구비한 진동 발생 장치(진동 모터(70, 201, 301, 401)와,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기동시 최대 전압치가, 정상 동작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상기 구동 신호의 전압치인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도 커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제어부(50), 구동부(60))를 구비한다.(1) A control device 40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stators 71, 202, 302 rotatably about a predetermined axis with respect to the stator, and is deviated from the predetermined axi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vibration motors 70, 201, 301, 401) having rotors 72, 203, 303, 403 having weights 74, 233, 333, 433 having a center of gravity at A control unit (control unit (control unit) 50), and a driving unit 60).

(2) 또, 상기(1)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제1 인가 시간을,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제2 인가 시간보다도 짧아지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2) Furth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1) above,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application time for applying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start up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e voltage valu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as the first application time, You may make it control so that it may become shorter than the 2nd application time applied by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3) 또, 상기(1) 또는 (2)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역전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고, 상기 역전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역전시 최대 전압치가,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도 커지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3) Furth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1) or (2) above, the control unit applies a reverse signal for performing a reverse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You may control so that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ing which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a reversal signal become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the said normal operation.

(4) 또,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역전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고, 상기 역전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역전시 최대 전압치로서, 상기 제어부가, 복수의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선택 가능하고, 선택한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에 따라서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 및 상기 역전시 최대 전압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4) Furth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a reverse signal for performing a reverse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s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ing that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reversal signal, the controller may select a plurality of voltage values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up and the maximum voltage at the time of revers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At least one of the values may be set.

(5) 또, 상기 (2)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복수의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선택 가능하고, 선택한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에 따라서 상기 제1 인가 시간 및 상기 제2 인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5) Furth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2) above, the control unit may select a plurality of voltage values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 first application time is based on the selected voltage values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application time may be set.

(6) 또,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역전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고, 상기 역전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역전시 최대 전압치로서, 상기 제어부가, 복수의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선택 가능하고, 선택한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에 따라서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 상기 역전시 최대 전압치,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제1 인가 시간, 및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제2 인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6) Furth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a reversing signal for performing a reversing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s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ing that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reversal signal, the control unit may select a plurality of voltage values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up and the maximum voltage at the time of revers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value, a first application time for applying the maximum voltage value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t the time of start-up, and a second application time for applying the voltage value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may be set.

(7) 또, 상기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역전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고, 상기 역전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역전시 최대 전압치로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 및 상기 역전시 최대 전압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어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치보다도 높은 전압치로 승압하여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7) Furth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a reverse signal for performing a reversing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s a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ing that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reversal signal, the control unit boosts at least one of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up and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ing to a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power supply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to set it.

(8) 또, 상기 (1)~(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를,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도 큰 제1 전압치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1 전압치보다 큰 제2 전압치로 변화시키며, 상기 제2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2 전압치를 상기 제1 전압치로 제어하고, 상기 정상 동작시에 상기 제1 전압치를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로 변화시키며, 역전 동작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를,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로부터 제3 전압치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3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3 전압치보다 낮은 제4 전압치로 변화시키며, 상기 제4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3 전압치보다 낮고 상기 제4 전압치보다 높은 제5 전압치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8) Furth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above, the control unit sets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t startup to a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change to a first voltag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value, change to a second voltag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value after changing to the first voltage value, and control the second voltage value to the first voltage value after changing to the second voltage value and changing the first voltage value to the voltage valu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during the normal operation, and changing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uring the reverse operation from the voltage valu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to a third voltage value, After changing to the third voltage value, changing to a fourth voltage value lower than the third voltage value, changing to the fourth voltage value, changing to a fifth voltage value lower than the third voltage value and higher than the fourth voltage value It can also be controlled so as to

(9) 또, 상기 (1)~(3),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에 있어서, 최초로 인가하는 전압치가,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보다 낮게 해도 된다.(9) Furth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and (7) above, in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t startup, the voltage applied first The value may be lower than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starting.

(10) 또,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에 있어서, 최초로 인가하는 전압치가,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 높게 해도 괜찮다.(10) Moreov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above, in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t the time of start-up, the voltage value applied first is the normal It may be the same as the voltage value during operation or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11) 또, 상기 (1), (2), (5), (9),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할 때,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양단을 소정 시간 단락시키도록 해도 된다.(11) Furth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2), (5), (9), and (10),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verse the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When making an operation|movement, you may make it short-circuit the both ends of the sai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12) 또, 상기 (1), (2), (5), (9),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하기 전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양단을 소정 시간 단락시키도록 해도 된다. (12) Moreov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2), (5), (9), and (10),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verse the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Before starting the operation, both ends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may be short-circui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13) 또, 상기 (1)~(7), (9),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한 후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양단을 소정 시간 단락시키도록 해도 된다.(13) Further, in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9) and (10), the control unit performs a reverse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After that, both ends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may be short-circuited for a predetermined time.

(14)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기 (1)~(13) 중 어느 한 항의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14)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trol device for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3) above.

(15)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소정축 둘레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소정축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무게 중심을 가지는 무게 추를 가지는 로터를 구비한 진동 발생 장치의 회전을 제어한다. 그리고, 이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기동시 최대 전압치가, 정상 동작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상기 구동 신호의 전압치인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도 커지도록 제어하는 절차를 포함한다.(15) A method for controlling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or having a stator and a weight rotatably installed around a predetermined axis with respect to the stator and having a center of gravity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predetermined axis Control the rot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having a. And,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up, which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t the time of startup, of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uring normal operation. It includes a procedure of controlling the voltage value to be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의 기동시의 토크를 증대시키고, 진동 발생 장치의 정상 동작의 회전수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mode of this invention, the torque at the time of starting of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can be increased, and the time until reaching the rotation speed of a normal operation of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can be shortened.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를 급속히 정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능숙한 진동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에 의해서 여러 가지 진동 패턴을 발생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is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stop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rapidly, and a good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a user. Moreov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is invention, various vibration patterns can be generate|occur|produced by the vibration of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여러 가지 진동 패턴에 대응하여 응답성이 높은 진동을 발생 가능하다. Moreov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is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occur|produce vibration with high responsiveness corresponding to various vibration patterns.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응답성 향상(기동, 정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is invention, the effect of responsiveness improvement (startup, stop) can be acquired.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역전 동작을 부드럽게 정지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stop the reversing operation.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진동 모터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의 회전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의 진동 모터의 구동 신호와 회전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신호와 회전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신호와 회전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신호와 회전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신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진동 모터의 사시도로서, 공기 저항 저감부를 장착하기 전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진동 모터의 사시도로서, 공기 저항 저감부를 장착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진동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공기 저항 저감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진동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공기 저항 저감부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B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공기 저항 저감부의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4 공기 저항 저감부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4 공기 저항 저감부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의 회전수와 스위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의 회전수와 스위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의 회전수와 스위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vibration motor.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drive signal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rive signal and rotation speed of a vibration motor of a comparative exampl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rive signal and a rotation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rive signal and a rotation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rive signal and a rotation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ri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vibration mo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before mountin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n explanatory view when an air resistance reduction unit is attached.
FIG. 11 is a view viewed from arrow A of FIG. 10 .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3 is a plan view of a second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5 is a plan view of a third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6 is a view viewed from arrow B of FIG. 15 .
17 is a sid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8 is a plan view of a fourth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19 is an enlarged view of a fourth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2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rive signal, a rotation speed of a vibration motor, and a switch state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rive signal, a rotation speed of a vibration motor, and a switch stat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2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rive signal, a rotation speed of a vibration motor, and a switch state according to a thir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전자 기기(1)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를 예로 설명하지만, 전자 기기는, 웨어블 단말, 태블릿 단말, 휴대 게임기기, AV 기기, 차량에 탑재되는 기기, 은행의 ATM 등이어도 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1 including a control device 40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a mobile phone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electronic device 1, but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wearable terminal, a tablet terminal, a portable game device, an AV device, a device mounted on a vehicle, an ATM of a bank, or the lik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1)는 조작부(10), 통신부(20), 표시부(30) 및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를 구비한다.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는 제어부(50)(제어부), 구동부(60)(제어부), 및 진동 모터(70)(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 the electronic device 1 includes an operation unit 10 , a communication unit 20 , a display unit 30 , and a control device 40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e control device 40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50 (control unit), a driving unit 60 (control unit), and a vibration motor 70 (vibration generating device).

조작부(10)는, 예를 들면 표시부(30) 상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 패널 센서나 조작 버튼 등이다. 조작부(10)는, 이용자가 조작한 결과를 검출하고, 검출한 조작 결과를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의 제어부(50)에 출력한다.The operation unit 10 is, for example, a touch panel sensor or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30 . The operation part 10 detects the result of operation by a user, and outputs the detected operation result to the control part 50 of the control apparatus 40 of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통신부(20)는 전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한 전기 신호를 수신 신호로서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에 출력한다. 또, 통신부(20)는 제어부(50)가 출력한 송신 신호를 전파로 변환하여 송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0 receives the radio wave, converts the received radio wave into an electric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40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s a received signal.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0 converts the transmission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unit 50 into radio waves and transmits it.

표시부(30)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장치 등이다. 표시부(30)는 제어부(50)가 출력한 화상 신호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30 i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or the like.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the image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unit 50 .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는, 조작부(10)가 출력한 조작 결과나 통신부(20)가 수신한 수신 신호 등에 따라서 진동 모터(70)를 구동한다.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는, 조작부(10)가 출력한 조작 결과에 따라서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신호를 표시부(30)에 출력한다.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는 송신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송신 신호를 통신부(20)에 출력한다.The control device 40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rives the vibration motor 70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utput by the operation unit 10 or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0 . The control device 40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generates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utput by the operation unit 10 , and outputs the generated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30 . The control device 40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based on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outputs the generated transmiss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

제어부(50)는, 조작부(10)가 출력한 조작 결과에 따라서, 진동 모터(70)를 구동하는 구동 지시를 구동부(60)에 출력한다. 제어부(50)는 통신부(20)가 수신한 수신 신호 등에 따라서 진동 모터(70)를 구동하는 지시를 구동부(60)에 출력한다. 제어부(50)는, 조작부(10)가 출력한 조작 결과에 따라서,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신호를 표시부(30)에 출력한다. 제어부(50)는 예를 들면 조작부(10)가 출력한 조작 결과에 따라서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송신 신호를 통신부(20)에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50 outputs a driving instruction for driving the vibration motor 70 to the driving unit 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utput by the operation unit 10 . The control unit 50 outputs an instruction for driving the vibration motor 70 to the driving unit 60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0 . The control unit 50 generates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utput by the operation unit 10 , and outputs the generated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30 . The control unit 50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utput by the operation unit 10 , for example, and outputs the generated transmiss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

구동부(60)는 제어부(50)가 출력하는 구동 지시에 따라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동 신호를 진동 모터(70)에 공급한다. 또한, 구동부(60)는 승압 회로를 가지고, 공급되는 전원 전압보다도 높은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driving unit 60 generates a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 driving instruction output by the control unit 50 , and supplies the generated driving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70 .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60 has a boosting circuit and can generate a driving signal higher than the supplied power supply voltage. In addition, the driving signal will be described later.

진동 모터(70)는 구동부(60)로부터 공급된 구동 신호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한, 진동 모터(70)의 구성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vibration motor 70 is driven by a driving signal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60 . In addition, the structural example of the vibration motor 70 is mentioned later.

도 2는, 진동 모터(70)를 구비한 전자 기기(1)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nic device 1 provided with the vibration motor 70 .

도 2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1)는 진동 모터(70)를 이용한 전자 기기의 일례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1)는, 상부 케이스(101a)와 하부 케이스(101b)가 합쳐져 형성된 대략 직방체형상의 케이스체(101)와, 케이스체(101)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 돌출 설치된 안테나(102)를 구비하고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 shown in FIG. 2 is an example o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vibration motor 7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 the electronic device 1 includes a case body 101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formed by combining an upper case 101a and a lower case 101b, and a longitudinal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101 . An antenna 102 protrudingly installed is provided.

케이스체(101)의 상부 케이스(101a)는, 스피커(104), 조작부(10), 표시부(30), 및 마이크로폰(105)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101b)에는, 2차 전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이 설치되어 있다.The upper case 101a of the case body 101 includes a speaker 104 , an operation unit 10 , a display unit 30 , and a microphone 105 . The lower case 101b is provided with a power source (not shown) made of a secondary battery or the like.

케이스체(101)의 내부에는, 진동 모터(70)가 설치되어 있다. 진동 모터(70)는, 예를 들면 하부 케이스(101b)의 제어부를 가지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전자 기기(1)는 착신이나 메일 수신, 알람 알림 등의 정보나 패널을 손가락으로 대었을 때의 확인을 진동 모터(70)의 진동으로서 사용자에 대해서 전달할 수 있다.A vibration motor 70 is provided inside the case body 101 . The vibration motor 70 is mounted on, for example, a circuit board (not shown) having a control section of the lower case 101b. With this configuration, the electronic device 1 can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an incoming call, mail reception, alarm notification, and the like, and confirmation when the panel is touched with a finger as vib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70 to the user.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의 일례를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the drive signal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각, 세로축은 전압, 회전수를 나타낸다. 파형 g1은 구동 신호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파형 g2는,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또, 구동 신호는, 기동 신호인 파형 g11, 회전 구동 신호인 파형 g12, 및 브레이크 신호(역전 신호)인 파형 g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3 :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drive signal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As shown in FIG. In FIG. 3 ,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voltage and rotation speed. Waveform g1 represents the time change of the drive signal. The waveform g2 represents the time chang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 Moreover, the drive signal is comprised including the waveform g11 which is a start signal, the waveform g12 which is a rotation drive signal, and the waveform g13 which is a brake signal (reversing signal).

파형 g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1~t2의 기간(T1),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1(기동시 최대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치 E1은, 구동부(6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치보다도 높다.As shown in the waveform g1, during the period T1 from time t1 to t2, the drive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1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up). Here, the voltage value E1 is high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alu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0 .

계속해서, 시각 t2~t3의 기간(T2),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2(정상 동작시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또한, 전압치 E2는 전압치 E1보다 작다. 또, 시각 t1~t2의 기간은, 시각 t2~t3의 기간보다 짧다.Subsequently, during the period T2 from time t2 to t3,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2 (normal operation voltage value). Further, the voltage value E2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E1. Moreover, the period of time t1 - t2 is shorter than the period of time t2 - t3.

계속해서, 시각 t3~t4의 기간(T3),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3(역전시 최대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또한, 전압치 E3의 절대치는, 전압치 E2보다 크다. 또, 전압치 E3은, 구동부(6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치보다도 높다.Subsequently, during the period T3 from time t3 to t4,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3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al). In addition,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3 i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E2. In addition, the voltage value E3 is high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alu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0 .

또한, 시각 t1~t2의 기간이 상승의 기간(제1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기동 신호(파형 g11)이기도 하다. 시각 t2~t3의 기간이 회전 기간(제2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회전 구동 신호(파형 g12)이기도 하다. 시각 t3~t4의 기간이 정지 기간(제3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브레이크 신호(파형 g13)이기도 하다. 또한, 제1 인가 시간은, 제2 인가 시간보다 짧다. 또, 제3 인가 시간은 제2 인가 시간보다 짧다.In addition, the period of time t1 - t2 is a rising period (1st application time), and the drive signal of this period is also a start signal (waveform g11). The period of time t2 to t3 is the rotation period (second application time), and the drive signal in this period is also the rotation drive signal (waveform g12). The period from time t3 to t4 is a stop period (third application time), and the drive signal in this period is also a break signal (waveform g13). In addition, the first application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application time. Further, the third application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application time.

파형 g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1~t2의 기간, 구동 모터(43)의 회전수는, 0으로부터 N1로 증가한다. 시각 t2 지나고, 회전수는 N1을 넘은 후 N1이 된다. 그 후, 시각 t3까지의 기간, 구동 모터(43)의 회전수는, N1이다. 시각 t3~t4의 기간, 진동 모터(70)의 회전수는, N1로부터 0으로 감소한다. 또한, 사람이 잘 느끼는 신호의 주파수의 상한이 150 Hz 정도이기 때문에, 회전수 N1은, 예를 들면 9000 rpm 정도이다.As shown in the waveform g2,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43 increases from 0 to N1 during the period of time t1 to t2. After time t2 passes, the number of revolutions becomes N1 after exceeding N1. After that, during the period up to time t3,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43 is N1. During the period of time t3 to t4,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decreases from N1 to 0. Moreover, since the upper limit of the frequency of a signal easily sensed by a person is about 150 Hz, the rotation speed N1 is about 9000 rpm, for example.

여기서, 비교예로서 일반적인 진동 모터의 구동 신호와 회전수의 예를 설명한다.Here, as a comparative example, the example of the drive signal and rotation speed of a general vibration motor is demonstrated.

도 4는, 비교예의 진동 모터의 구동 신호와 회전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세로축과 가로축은 도 3과 동일하다. 파형 g901은, 구동 신호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파형 g902는,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의 변화를 나타낸다.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rive signal and rotation speed of a vibration motor of a comparative example. In FIG. 4 , the vertic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are the same as in FIG. 3 . The waveform g901 represents the time change of the drive signal. The waveform g902 represents a change in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는, 파형 g901과 같이, T11의 기간, 구동 펄스를 진동 모터에 공급한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8-320384호 참조).As shown in Fig. 4, conventionally, as in the waveform g901, a drive pulse is supplied to the vibration motor during a period of T11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8-320384).

그러나, 도 4에 나타낸 종래의 구동 방법에서는, 파형 g902와 같이 진동 개시시, 즉 상승의 응답성이 나빴다. 또, 파형 g902와 같이, 브레이크시(정지시), 즉 하강의 응답성이 나빴다. 이 때문에, 이용자에 있어서는, 손에 전달되는 진동의 감각이 재빠르게 상승하지 않고 서서히 상승해 가기 때문에, 둔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riving method shown in Fig. 4, as in the waveform g902, the responsiveness at the start of vibration, that is, the rise, was poor. Also, like the waveform g902, the response during braking (when stopped), that is, when descending, was poor. For this reason, in a user, since the sense of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a hand does not rise quickly, but rises gradually, it may feel dull.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우선, 전압치가 E1인 기동 펄스(파형 g11)를 진동 모터(70)에 공급한 후, 전압치가 E1보다 작은 E2의 회전 구동 신호(파형 g12)를 공급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동시의 토크를 증대시켜, 정상 동작의 회전수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rst, a start pulse (waveform g11) having a voltage value of E1 is supplied to the vibration motor 70, and then a rotation drive signal (waveform g12) of E2 having a voltage value smaller than E1 is supplied. Thereb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orque at the time of starting can be increased, and the time until reaching the rotation speed of a normal operation can be shortened.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브레이크 신호(파형 g13)의 전압치 E3의 절대치를 전압치 E2보다 크게 했으므로, 급속하게 진동 모터(70)를 정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능숙한 진동을 사용자에게 전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3 of the brake signal (waveform g13) is made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E2, it becomes possible to stop the vibration motor 70 rapidly, and a good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a user. .

여기서, 구동 신호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신호와 회전수에 대해서, 다시 설명한다. Here, the brake signal and the rotation speed in the drive signal will be described again.

또한, 진동 모터(7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게 추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on motor 70 is provided with a weight, as will be described later.

구동부(60)가 진동 모터(70)에 공급하는 브레이크 신호는, 무게 추가 역회전할 정도의 크기의 역전 신호이다. 여기서, 무게 추가 역회전하는 회전수의 최대 회전수는, 회전 기간의 회전수 N1(도 3)의 1/3인 3000 rp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9 이하인 1000 rpm 이하가 바람직하다. 1/3, 1/9이 바람직한 이유는, 진동 모터(70)를 순식간에 정지할 수 있고 또한 역회전하고 있는 것이 사람에게 느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에 있는 회전수가, 회전 기간의 회전수의 1/3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9 이하이다. 구동부(60)는, 이러한 회전수가 되도록 브레이크 신호의 전압치 E3과 기간(시각 t3~t4)을 설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50)는, 예를 들면 브레이크 신호의 회전수가 1000 rpm인 것을 나타내는 지시를 구동 지시에 포함시켜 출력한다.The brake signal supplied by the driving unit 60 to the vibration motor 70 is a reversal signal of a magnitude sufficient to reverse the weight of the vibration motor 70 . Here, the maximum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weight addition and reverse rotation is 3000 rpm or less, which is 1/3 of the rotation speed N1 (FIG. 3) of the rotation period, and preferably 1000 rpm or less, which is 1/9 or less. The reason 1/3 and 1/9 are preferable is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motor 70 can be stopped in an instant and that it is not felt by a person that the vibration motor 70 is rotating in reverse. The rotation speed under these conditions is 1/3 or less of the rotation speed in the rotation period, and preferably 1/9 or less. The driving unit 60 sets the voltage value E3 of the brake signal and the period (times t3 to t4) so as to be such a rotation spe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0 outputs, for example, an instruction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brake signal is 1000 rpm in the drive instruction.

또한, 구동부(60)는, 브레이크 신호에 있어서, 진동 모터(70)의 최대 역회전수를 6000 rpm 이상, 바람직하게는 9000 rpm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정회전시의 진동에 더하여 역전시의 진동을 느끼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구동부(60)는, 역전 동작 시간(시각 t3~t4)을 정회전 동작 시간(시각 t2~t3)보다 짧게 하도록 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정회전 동작의 1/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하로 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여러 가지 진동 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용자에게 통상과는 상이한 진동 패턴을 부여하여, 임펙트나 특정의 정보(예를 들면 경보 등)를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rake signal, the driving unit 60 sets the maximum revers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to 6000 rpm or more, preferably 9000 rpm or more,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vibration at the time of reverse rotation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at the time of forward rotation. You can make it feel. Further, the driving unit 60 may make the reversing operation time (time t3 to t4) shorter than the forward rotation operation time (time t2 to t3), preferably 1/2 or less of the forward rotation operation, more preferably You may make it 1/3 or less. Thereb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various vibration patterns can be generated. Specifical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vibration pattern different from normal can be provided to a user, and an impact and specific information (for example, an alarm, etc.) can be informed.

<변형예><Modified example>

다음에, 구동 신호의 변형예를 설명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drive signal will be described.

도 5~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신호와 회전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도 7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각, 세로축은 전압, 회전수를 나타낸다. 또, 파형 g21과 파형 g31과 파형 g41은 구동 신호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파형 g22와 파형 g32와 파형 g42는,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5 to 7 are diagrams showing other examples of the drive signal and the rotation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to 7 ,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voltage and rotation speed. In addition, the waveform g21, the waveform g31, and the waveform g41 show the time change of the drive signal. The waveform g22 , the waveform g32 , and the waveform g42 represent the temporal chang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

도 5에 나타내는 예는, 구동 신호가 PWM(Pulse Width Modulation;펄스폭 변조) 신호의 예이다. 파형 g21에 있어서, 시각 t11에 개시되는 펄스 신호가 기동 신호에 상당하고, 시각 t14에 종료하는 펄스가 브레이크 신호에 상당한다. 또, 파형 g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동 신호의 펄스폭은, 회전 기간의 복수의 펄스폭 각각보다 길다. 또, 기동 신호의 전압치는 E11이며, 브레이크 신호의 전압치는 -E11이다. 이것에 의해, 도 3에서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기동과 정지를 재빠르게 행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a drive signal is an example of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In the waveform g21, the pulse signal that starts at time t11 corresponds to the start signal, and the pulse that ends at time t14 corresponds to the break signal. Moreover, as shown in the waveform g21, the pulse width of a start signal is longer than each of several pulse width of a rotation period. In addition, the voltage value of the start signal is E11, and the voltage value of the brake signal is -E11. Thereby, similarly to the example shown in FIG. 3, starting and stopping can be performed quickly.

도 6에 나타내는 예는, 기동 신호와 브레이크 신호가 톱니파형상인 예이다. 파형 g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21~t22의 기간, 전압치가 0~E21로 증가하는 톱니파형상의 기동 신호를 진동 모터(70)에 공급한다. 또, 구동부(60)은, 시각 t24 이후, 전압치가 E23으로부터 0이 되는 톱니파형상의 브레이크 신호를 진동 모터(70)에 공급한다. 또한, 전압치 E21는 전압치 E1와 동일해도 되고, 커도 된다. 또, 전압치 E21는, 전압치 E3와 동일해도 되고, 커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도 3에서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기동과 정지를 재빠르게 행할 수 있다.The example shown in FIG. 6 is an example in which a start signal and a brake signal are sawtooth waveforms. As shown in the waveform g31, a sawtooth wave-shaped start signal in which the voltage value increases from 0 to E21 during the period of time t21 to t22 is supplied to the vibration motor 70 . Moreover, the drive part 60 supplies the vibration motor 70 with the brake signal of the sawtooth waveform whose voltage value becomes 0 from E23 after time t24. The voltage value E2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E1. The voltage value E21 may be the same as or greater than the voltage value E3. Thereby, similarly to the example shown in FIG. 3, starting and stopping can be performed quickly.

도 7에 나타내는 예는, 회전수가 도 3보다 낮은 경우의 구동 신호와 회전수의 예이다. 이 경우, 전압치 E31는 전압치 E32보다 크다. 전압치 E33의 절대치는, 전압치 E32보다 작다. 또, 전압치 E31는, 전압치 E1(도 1)보다 작다. 전압치 E32는, 전압치 E2보다 작다. 전압치 E32의 절대치는, 전압치 E3의 절대치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도 3에서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기동과 정지를 재빠르게 행할 수 있다.The example shown in FIG. 7 is an example of the drive signal and rotation speed in case the rotation speed is lower than FIG. In this case, the voltage value E31 i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E32.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33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E32. Moreover, the voltage value E31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E1 (FIG. 1). The voltage value E32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E2.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32 is small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3. Thereby, similarly to the example shown in FIG. 3, starting and stopping can be performed quickly.

또한, 도 5~도 7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도, 구동부(60)는, 브레이크 신호에 있어서, 진동 모터(70)의 최대 역회전수를 6000 rpm 이상, 바람직하게는 9000 rpm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정회전시의 진동에 더하여 역전시의 진동을 느끼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구동부(60)는 역전 동작 시간(시각 t3~t4;T1)에 상당하는 기간을 정회전 동작 시간(시각 t2~t3;T2)에 상당하는 기간보다 짧게 하도록 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정회전 동작의 1/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하로 하도록 해도 된다. In addition, also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5-7, the drive part 60 in a brake signal WHEREIN: By making the maximum revers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6000 rpm or more, Preferably it is 9000 rpm or more.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at the time of forward rotation, you may make it feel the vibration at the time of reverse rotation. In addition, the drive unit 60 may make th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reverse operation time (time t3 to t4; T1) shorter than th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peration time (time t2 to t3; T2), preferably, the forward rotation You may make it 1/2 or less of an operation|movement, More preferably, you may make it 1/3 or less.

이것에 의해, 도 5~도 7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진동 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용자에게 통상과는 상이한 진동 패턴을 부여하고, 임펙트나 특정의 정보(예를 들면 경보 등)를 알릴 수 있다.Thereby, also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5-7, various vibration patterns can be generated. Specifical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vibration pattern different from normal can be provided to a user, and an impact and specific information (for example, a warning etc.) can be informed.

또한, 전술한 제어부(50)는, 구동 지시에 있어서의 회전 기간의 전압치 E2의 값을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어부(50) 및 구동부(60)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치가 3.7 V인 경우, 제어부(50)는 3.7 V, 3.6 V, 3.5 V,····의 복수의 전압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지시한다. 또, 제어부(50)는 복수의 구동 지시를 연속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50)는 제어 신호가 PWM 신호인 경우, 각 펄스 신호의 시간폭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50 can select th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2 in the rotation period in the driving instruction.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50 and the driving unit 60 is 3.7 V,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voltage values of 3.7 V, 3.6 V, 3.5 V, ... Choose one and direct i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can output a plurality of driving instructions successively.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is a PWM signal, the control unit 50 can select the time width of each pulse signal.

예를 들면, 제어부(50)가 회전 기간의 전압치 E2(i)(i는 2이상의 정수)(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3.7 V(1), 3.5 V(2),···, 3.6 V(i)를 연속하여 지시한 경우, 기동 신호의 전압치 E1(i)(기동시 최대 전압치) 및 브레이크 신호의 전압치 E3(i) 각각은, 전압치 E2(i)에 따른 값이다. 예를 들면, 1회째의 구동 신호의 각 전압치가 E1(1)=3.7V×1.2(배), E2(1)=3.7 V, E3(1)=3.7V×1.1(배)이며, 2회째의 구동 신호의 각 전압치가 E1(2)=3.5V×1.2, E2(2)=3.5 V, E3(2)=3.5V×1.1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50)는 전압치 E2(i)의 값이 클수록 전압치 E1(i)과 E3(i)(역전시 최대 전압치)의 값도 커지도록 제어하고, 전압치 E2(i)의 값이 작을수록 전압치 E1(i)과 E3(i)의 값도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압치 E21가 전압치 E1에 대응하고, 전압치 E23이 전압치 E3에 대응한다. 또,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압치 E31이 전압치 E1에 대응하고, 전압치 E32가 전압치 E2에 대응하며, 전압치 E33이 전압치 E3에 대응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 sets the voltage value E2(i) (i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during the rotation period (the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to 3.7 V(1), 3.5 V(2), ..., 3.6 When V(i) is continuously indicated, the voltage value E1(i) of the start signal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 and the voltage value E3(i) of the brake signal ar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value E2(i). . For example, each voltage value of the first drive signal is E1(1) = 3.7V x 1.2 (times), E2(1) = 3.7 V, E3(1) = 3.7V x 1.1 (times), and the second time Each voltage value of the driving signal of E1(2)=3.5V×1.2, E2(2)=3.5V, and E3(2)=3.5V×1.1.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voltage values E1(i) and E3(i)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al) to increase as th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2(i) increases, and the voltage value E2(i) As the value of is smaller, the voltage values E1(i) and E3(i) are controlled to become smaller as well.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 the voltage value E21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1, and the voltage value E23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3. Moreov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voltage value E31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1, the voltage value E32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2, and the voltage value E33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3.

구동 신호가 PWM인 경우, 제어부(50)는, 전압치 E2(i)의 값이 클수록, 기동 신호의 시간폭과 E 브레이크 신호의 시간폭이 길어지도록 제어하고, 전압치 E2(i)의 값이 작을수록 기동 신호의 시간폭과 E 브레이크 신호의 시간폭이 짧아지도록 제어한다.When the driving signal is PWM,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so that the time width of the start signal and the time width of the E break signal become longer as th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2(i) increases, and th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2(i) Control is made so that the time width of the start signal and the time width of the E break signal become shorter as the value is smaller.

또한, 제어부(50)는, 복수의 전압치 중에서 전압치 E2(i)의 값을 선택 가능하고, 전압치 E2(i)의 값에 따라서 기동 신호의 기간인 시각 t1~t2의 기간(T1(i);도 3, 도 6, 도 7), 브레이크 신호의 기간인 시각 t3~t4의 기간(T3(i);도 3, 도 6, 도 7)의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E2(i)의 값이 클수록 T1(i), T3(i)의 값은 커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압치 E21가 전압치 E1에 대응하고, 전압치 E23이 전압치 E3에 대응한다. 또,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압치 E31이 전압치 E1에 대응하고, 전압치 E32가 전압치 E2에 대응하며, 전압치 E33이 전압치 E3에 대응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can select a value of the voltage value E2(i) from among a plurality of voltage values, an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2(i), the period T1 ( i); Fig. 3, Fig. 6, Fig. 7), a period of time t3 to t4 (T3(i); Fig. 3, Fig. 6, Fig. 7), which is the period of the break signal, is set. Then,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values of T1(i) and T3(i) to increase as the value of E2(i) increase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 the voltage value E21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1, and the voltage value E23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3. Moreov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voltage value E31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1, the voltage value E32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2, and the voltage value E33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3.

또한, 제어부(50)는, 전압치 E2(i)의 값이 클수록, 전압치 E1(i)와 E3(i)의 값도 커지도록 제어하고, 기동 신호의 시간폭과 E 브레이크 신호의 시간폭이 길어지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어부(50)는 전압치 E2(i)의 값이 작을수록, 전압치 E1(i)와 E3(i)의 값도 작아지도록 제어하고, 기동 신호의 시간폭과 E 브레이크 신호의 시간폭이 짧아지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압치 E21이 전압치 E1에 대응하고, 전압치 E23이 전압치 E3에 대응한다. 또,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압치 E31이 전압치 E1에 대응하고, 전압치 E32가 전압치 E2에 대응하며, 전압치 E33이 전압치 E3에 대응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voltage values E1(i) and E3(i) to increase as th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2(i) increases, and the time width of the start signal and the time width of the E break signal. You may make it control so that it may become long.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so that the values of the voltage values E1(i) and E3(i) become smaller as th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2(i) is smaller, and the time width of the start signal and the time width of the E break signal You may make it control so that it may become shor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 the voltage value E21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1, and the voltage value E23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3. Moreov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voltage value E31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1, the voltage value E32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2, and the voltage value E33 corresponds to the voltage value E3.

여기서, 구동 신호의 변형예를 더욱 설명한다.Here, a modified example of the drive signal will be further described.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동 신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각, 세로축은 전압을 나타낸다. 또, 파형 g51는, 구동 신호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8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riv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8,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voltage. In addition, the waveform g51 represents the time change of the drive signal.

도 8에 있어서, 시각 t41~t44의 기간이 상승의 기간(제1 인가 시간;T1)이다. 시각 t44~t45의 기간이 회전 기간(제2 인가 시간;T2)이다. 시각 t45~t48의 기간이 정지 기간(제3 인가 시간;T3)이다.In Fig. 8, a period from time t41 to time t44 is a rising period (first application time; T1). A period of time t44 to t45 is a rotation period (second application time; T2). The period of time t45 to t48 is a stop period (third application time; T3).

파형 g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41~t42의 기간,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41인 전력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치 E41(제1 전압치)은, 구동부(60)에 공급되는 플러스의 전원 전압치보다도 작다. As shown in the waveform g51, during the period of time t41 to t42,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41. Here, the voltage value E41 (first voltage value) is smaller than the positive power supply voltage valu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0 .

계속해서, 시각 t42~t43의 기간,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42인 전력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치 E42(제2 전압치)는, 구동부(60)에 공급되는 플러스의 전원 전압치이며, 전압치 E41보다도 크다. Subsequently, during the period of time t42 to t43,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42. Here, the voltage value E42 (second voltage value) is a positive power supply voltage valu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0 , and i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E41 .

계속해서, 시각 t43~t44의 기간,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41인 전력을 출력한다.Subsequently, during the period from time t43 to t44,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41.

계속해서, 시각 t44~t45일 때,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2(정상 동작시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또한, 전압치 E2는, 전압치 E41 및 전압치 E42보다 작다. 또, 기간 T1은 기간 T2보다 짧다.Subsequently, at time t44 to t45,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2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In addition, the voltage value E2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E41 and the voltage value E42. In addition, the period T1 is shorter than the period T2.

계속해서, 시각 t45~t46일 때,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43인 전력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치 E43(제3 전압치)는, 구동부(6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치보다도 작다. Subsequently, from time t45 to time t46,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43. Here, the voltage value E43 (third voltage value) is small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alu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0 .

계속해서, 시각 t46~t47의 기간,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45(제4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치 E45는, 구동부(60)에 공급되는 마이너스의 전원 전압치이다. 전압치 E45의 절대치는 전압치 E43의 절대치보다 크다.Subsequently, during the period of time t46 to t47,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45 (fourth voltage value). Here, the voltage value E45 is a negative power supply voltage valu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0 .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45 is larg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43.

계속해서, 시각 t47~t48의 기간,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44(제5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치 E44의 절대치는, 전압치 E43의 절대치보다도 크고, 전압치 E45의 절대치보다 작다. Subsequently, during the period of time t47 to t48,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44 (fifth voltage value). Here,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44 is larg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43 and small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45.

계속해서, 시각 t48일 때, 구동부(60)는 전압치를 E44로부터 E43으로 변화시킨다.Subsequently, at time t48, the driving unit 60 changes the voltage value from E44 to E43.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와 같이, 기동시에 인가하는 초기의 전압치 E41을, 전압치 E2보다 높고 또한 전원 전압치보다 낮게 하고 있다. 그 후, 전압치 E41을 전압치 E42로 변화시키고, 다시 전압치를 E42로부터 E41, E2로, 단계적으로 전압치 E2로 낮춰간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in this way, the initial voltage value E41 applied at the time of starting is made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E2, and low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alue. After that, the voltage value E41 is changed to the voltage value E42, and the voltage value is again lowered from E42 to E41 and E2, stepwise to the voltage value E2.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정지시(브레이크시)에 인가하는 초기의 전압치 E43을, 전원 전압치보다 낮게 하고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정지시에 있어서도, 전압치 E43으로부터 E45로 변화시킨 후, 전압치 E45를 서서히 0 V를 향하여 작게 해간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initial voltage value E43 applied at the time of stop (when braking) is made low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alue. Moreov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also at the time of stop, after changing from voltage value E43 to E45, voltage value E45 is made small toward 0V gradually.

또,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동시에 최초로 인가하는 전압치 E41은, 최대 전압치 E42보다 낮다. 그리고, 기동시에 최초로 인가하는 전압치 E41은, 정상 동작시 전압치의 전압치 E2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높다. 또한, 정지시의 역방향 전압의 초기의 전압치 E43은, 역방향의 최대 전압치 E45보다 낮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voltage value E41 initially applied at the time of starting is lower than the maximum voltage value E42. The voltage value E41 initially applied at startup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E2 of the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In addition, the initial voltage value E43 of the reverse voltage at the time of stopping is lower than the maximum voltage value E45 of the reverse direction.

도 8에 나타내는 예에 의하면, 이와 같이 구동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기동시 및 정지시의 모터로의 과대한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가 가지는 코일, 모터를 제어하는 회로, 전원인 전지로의 데미지를 저감시킬 수 있고, 더욱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기동시나 정지시의 모터가 발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8, by controlling the drive signal in this way, the excessive current to the motor at the time of starting and stopping can be prevented. Thereby, the damage to the coil which a motor has, the circuit which controls a motor, and the battery which is a power supply can be reduced,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achieved further. In addition, noise generated by the motor at the time of starting or stopping can also be reduced.

또, 도 8에 나타내는 예에 의하면, 기동시의 전압치를 서서히 크게 하고, 그 후 서서히 작게 해 감으로써, 기동시의 회전수에 있어서의 오버 슛을 작게 하고, 소정의 회전수(예를 들면 N1(도 5))에 이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overshoot in the rotation speed at startup is made small by gradually increasing the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starting, and then gradually decreasing it after that, and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for example, N1 (Fig. 5)) can be reached.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예에 의하면, 정지시에 있어서 전압치를 서서히 0 V를 향하여 낮추어 가도록 했으므로, 모터가 브레이크 신호에 의해서 재차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일이 없고, 확실히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 8, since the voltage value is gradually lowered toward 0 V at the time of stopping, the motor does not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gain by the brake signal, and the rotation of the motor can be reliably stopped. have.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압치 E42, E45가 전원 전압치의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압치 E42, E45는, 전원 전압치보다 커도 된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although voltage value E42, E45 demonstrated the example of a power supply voltage value,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voltage values E42 and E45 may be larg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alues.

또,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기동시 및 정지시의 양쪽에서 구동 신호를 서서히 크게 하고, 그 후 서서히 작게 제어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기동시 및 정지시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구동 신호를 서서히 크게 하고, 그 후 서서히 작게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an example in which the drive signal is gradually increased both at the time of start-up and at the time of stopping, and then controlled to be small gradually after that has been described. You may make it large, and you may make it control small gradually after that.

또,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 3의 구동 신호를 바탕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6 및 도 7에 있어서도, 도 8에서 설명한 것처럼 기동시 및 정지시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구동 신호를 서서히 크게 하고, 그 후 서서히 작게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although the description was based on the drive signal of FIG. 3,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lso in FIGS. 6 and 7, as described in FIG. The drive signal may be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controlled to be gradually small.

또,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PWM 제어에 있어서, 휴지 기간을 마련하고, 이 휴지 기간에 구동 신호를 서서히 크게 하며, 그 후 서서히 작게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Further, in the PWM contro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 rest period may be provided, the drive signal may be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is rest period, and then the control may be gradually made small.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의 기동시의 토크를 증대시키고, 진동 발생 장치의 정상 동작의 회전수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진동 발생 장치를 급속히 정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능숙한 진동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orque at the time of starting of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can be increased, and time until it reaches the rotation speed of the normal operation of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can be shortened. 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becomes possible to stop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rapidly, and a good vibration can be transmitted to a user.

다음에, 진동 모터의 구성예를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vibration motor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진동 모터의 사시도로서, 공기 저항 저감부를 장착하기 전의 설명도이다.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vibration mo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n explanatory view before mounting the air resistance reduction unit.

도 9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진동 모터(70)는, 전술한 것처럼,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태블릿 등의 정보 기기 등의 전자 기기에 내장하여 사용된다.As mentioned above, the vibration motor 70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built in and us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information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tablet, for example.

진동 모터(70)는, 예를 들면 원통형상의 브러쉬 부착 DC 모터로서, 스테이터(71)와, 스테이터(71)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로터(72)를 구비하고 있다.The vibration motor 70 is, for example, a cylindrical DC motor with brushes, and includes a stator 71 and a rotor 72 rotatably provided to the stator 71 .

스테이터(71)는, 통형상의 스테이터 하우징(711)을 가지고 있다. 스테이터 하우징(711)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마그넷, 정류자, 및 브러쉬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71)로부터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양극 및 음극용의 한 쌍의 리드 선(712, 713)이 연장되어 있다.The stator 71 has a cylindrical stator housing 711 . A magnet (not shown), a commutator, and a brush are provided inside the stator housing 711 . A pair of lead wires 712 and 713 for anode and cathod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extend from the stator 71 .

로터(72)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과 코일이 권장된 도시하지 않은 코일 홀더와, 코일 홀더에 부착된 샤프트(73)와, 무게 추(74)를 가진다. 코일 및 코일 홀더는, 스테이터 하우징(711)의 내부에 배치된다. The rotor 72 has a coil (not shown) and a coil holder (not shown) in which the coil is recommended, a shaft (73) attached to the coil holder, and a weight (74). The coil and the coil holder are disposed inside the stator housing 711 .

샤프트(73)는, 일단이 스테이터 하우징(711) 내에 배치되어 있고, 타단이 스테이터 하우징(711)의 외측에 돌출하고 있다. 샤프트(73)의 일단에는, 코일 홀더가 고정되어 있다.The shaft 73 has one end disposed in the stator housing 711 , and the other end protrudes outside the stator housing 711 . A coil holder is fixed to one end of the shaft 73 .

샤프트(73)의 타단에는, 무게 추(74)가 고정되어 있다. 무게 추(74)는, 로터(72)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아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73)의 중심축(O)에 대해서 무게 중심 위치가 직경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다.A weight 74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73 . The weight 74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s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72 , and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is eccentric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 of the shaft 73 .

무게 추(74)의 중심축(O)에 대응한 위치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걸어멈춤부(75)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멈춤부(75)는, 후술하는 공기 저항 저감부(76)(도 10)의 끼워맞춤 구멍(77)에 끼워맞춰져 걸어멈춰진다.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xis O of the weight 74, a locking portion 75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provided. The locking part 75 is fitted and locked into the fitting hole 77 of the air resistance reduction part 76 (FIG. 10) mentioned later.

진동 모터(70)는, 로터(72)가 회전하면, 무게 추(74)의 무게 중심의 부조화에 기인하는 가진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rotor 72 rotates, the vibration motor 70 may generate vibration by an excitation force caused by an imbalance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eight 74 .

상술과 같이 구성된 진동 모터(70)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리드 선(712, 713) 및 브러쉬를 통해서, 코일에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면, 코일에 발생하는 자력과 마그넷의 자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코일, 코일 홀더 및 샤프트(73)가, 일체가 되어 중심축(O) 둘레로 화살표 R 방향(축방향에 있어서의 무게 추(74)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무게 추(74)를 중심축(O) 둘레로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vibration motor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il through the lead wires 712 and 713 and the brush. Then,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coil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he coil, the coil holder, and the shaft 73 are uni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the weight in the axial direction) around the central axis O. It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rotation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74) sid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generate vibration by rotating the weight 74 around the central axis O.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진동 모터(70)의 사시도로서, 공기 저항 저감부를 장착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vibration motor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an explanatory view when the air resistance reduction unit is attached. Fig. 11 is a view viewed from arrow A in Fig. 10 .

여기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진동 모터(70)는, 공기 저항 저감부(76)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저항 저감부(76)는 무게 추(74)에 설치되고, 로터(72)가 회전할 때의 무게 추(74)에 대한 공기 저항을 저감하고 있다.Here, as shown in FIG. 10 and FIG. 11, the vibration motor 70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air resistance reduction part 76. As shown in FIG. The air resistance reducing part 76 is provided in the weight 74, and reduces the air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weight 74 when the rotor 72 rotates.

공기 저항 저감부(76)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활형상부(78)과 피복부(79)를 가지고 있다. The air resistance reducing portion 76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and has a bow-shaped portion 78 and a covering portion 79 .

활형상부(78)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무게 추(74)의 외주면(74a)에 있어서의 로터(72)의 회전 방향(화살표 R방향)의 상류측의 끝가장자리(74b)와,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의 하류측의 끝가장자리(74c)를 원호형상으로 접속하고 있다. 활형상부(78)의 외주면(78a)의 곡률 반경은, 무게 추(74)의 외주면(74a)의 곡률 반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활형상부(78)는, 상류측의 끝가장자리(74b)와 하류측의 끝가장자리(74c)에 대해서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무게 추(74)의 외주면(74a)과 활형상부(78)는 연속적으로 접속되므로, 로터(72)의 회전에 수반하여 공기가 무게 추(74)의 외주면(74a)과 활형상부(78)의 외주면(78a)을 따라서 매끄럽게 흐를 수 있다.The bow-shaped portion 78 includes an end edge 74b on the upstream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arrow R direction) of the rotor 72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4a of the weight 74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rotation direction. The downstream edge 74c of (arrow R direction) is connected in arc shap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8a of the bow-shaped portion 78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4a of the weight 74 . The bow-shaped portion 78 is dispos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upstream edge 74b and the downstream edge 74c. As a resul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4a of the weight 74 and the bow-shaped portion 78 are continuously connected, so that air flows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4a of the weight 74 and the bow as the rotor 72 rotates. It can flow smooth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8a of the shape part 78.

피복부(79)는, 원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활형상부(78)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피복부(79)의 중심에는, 끼워맞춤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구멍(77)에는 무게 추(74)의 걸어멈춤부(75)가 압입된다. 이것에 의해, 공기 저항 저감부(76)는, 피복부(79)가 로터(72)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무게 추(74)의 외측 단면(74d)을 덮은 상태로, 무게 추(74)에 고정된다.The covering portion 79 has a disk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w-shaped portion 78 . A fitting hole 77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ing portion 79 . The locking portion 75 of the weight 74 is press-fitted into the fitting hole 77 . As a result, the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76 has a weight ( 74) is fixed.

그런데, 이상에서는 걸어멈춤부(75)가 끼워맞춤 구멍(77)에 압입되는 구조를 나타냈지만, 걸어멈춤부(75)를 끼워맞춤 구멍(77)에 걸어맞추고, 피복부(79)와 무게 추(74)를 접착이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해도 상관없다.By the way, 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part 75 is press-fitted into the fitting hole 77 is shown in the above, the locking part 75 is engaged with the fitting hole 77, and the covering part 79 and the weight are shown. (74) may be fixed by bonding, welding, or the like.

이 구성에 의하면, 무게 추(74)에는, 로터(72)가 회전할 때의 무게 추(74)에 대한 공기 저항을 저감하는 공기 저항 저감부(7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로터(72)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의 공기 저항을 저감하여 신속하게 기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응답성이 뛰어난 진동 모터(70)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weight 74 is provided with an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76 that reduces air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weight 74 when the rotor 72 rotates, the rotor 72 is By reducing the air resistance at the start of rotation, it can be started quick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vibration motor 70 having excellent responsivenes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또, 로터(72)가 회전할 때의 무게 추(74)에 대한 공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72)가 회전할 때의 무게 추(74)에 대한 공기 저항을 저감시켜 풍절음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정숙성이 뛰어난 진동 모터(70)로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air resistance to the weight 74 when the rotor 72 rotates can be reduce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prior art. Moreover, since wind noise can be suppressed by reducing the air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weight 74 when the rotor 72 rotates, it can be set as the vibration motor 70 excellent in quietnes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또, 공기 저항 저감부(76)는, 무게 추(74)의 외주면(74a)을 원호형상으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특히 무게 추(74)의 외주면(74a)을 따라서 공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응답성이 뛰어난 진동 모터(70)로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air resistance reducing part 76 conne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4a of the weight 74 in arc shape, especial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4a of the weight 74, air resistance can be redu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vibration motor 70 having excellent responsivenes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또, 공기 저항 저감부(76)는, 로터(72)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무게 추(74)를 덮는 피복부(79)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무게 추(74)의 외주면(74a)을 따라서 공기 저항을 저감시키는데 더하여, 무게 추(74)의 축방향의 외측 단면(74d)을 따라서 공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응답성이 뛰어난 진동 모터(70)로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air resistance reducing part 76 is provided with the covering part 79 which covers the weight 74 from the outer side of the axial direction in the rotor 72,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74a of the weight 74 is shown. In addition to reducing the air resistanc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weight 74,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ir resistance along the outer cross-section 74d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vibration motor 70 having excellent responsivenes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또, 피복부(79)와 무게 추(74)는, 걸어멈춤부(75)가 피복부(79)의 끼워맞춤 구멍(77)에 압입됨으로써 고정되어 있으므로, 무게 추(74)에 대해서 공기 저항 저감부(76)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ver portion 79 and the weight 74 are fixed by press-fitting the locking portion 75 into the fitting hole 77 of the cover portion 79 , air resistance against the weight 74 . The reduction unit 76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또, 전자 기기(1)는, 상술의 진동 모터(7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진동에 의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때의 응답성이 뛰어난 전자 기기(1)로 할 수 있다. 또,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1)로 할 수 있다. 또,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진동에 의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때의 정숙성이 뛰어난 전자 기기(1)로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electronic device 1 is equipped with the above-mentioned vibration motor 70,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t can be set as the electronic device 1 excellent in responsiveness when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user by vibration. . Moreover, it can be set as the electronic device 1 which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compared with the prior art. Moreover,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t can be set as the electronic device 1 excellent in the quietness at the tim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user by vibration.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진동 모터의 제2 구성예를 설명한다. 진동 모터는, 도 9~도 11을 이용하여 이른바 원통형 모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타입의 모터에 적용할 수 있다.Next, a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vibration motor is not limited to a so-called cylindrical motor using FIGS. 9 to 11,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otors.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진동 모터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모터(201)는, 이른바 코인형의 브러쉬 부착 DC 모터로서, 스테이터(202)와, 스테이터(202)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로터(203)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2 , the vibration motor 201 is a so-called coin-shaped DC motor with brushes, and includes a stator 202 and a rotor 203 rotatably provided to the stator 202 .

스테이터(202)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마그넷과, 정류자와, 브러쉬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202)로부터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양극 및 음극용의 한 쌍의 리드 선(222, 223)이 연장되어 있다. 또, 스테이터(202)로부터는, 샤프트(231)가 입설되어 있다. 샤프트(231)에는, 로터(203)의 베어링(207)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터(203)는 중심축(O)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stator 202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magnet (not shown), a commutator, and a brush. A pair of lead wires 222 and 223 for an anode and a cathod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extend from the stator 202 . In addition, a shaft 231 is erected from the stator 202 . A bearing 207 of the rotor 203 is inserted through the shaft 231 . Thereby, the rotor 203 is rotatable around the central axis O. As shown in FIG.

로터(203)는, 한 쌍의 코일(205, 205)과, 한 쌍의 코일(205, 205)이 권장된 도시하지 않은 기판과 무게 추(233)을 가진다. 한 쌍의 코일(205, 205), 기판 및 무게 추(233)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몰드부(206)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있다.The rotor 203 has a pair of coils 205 and 205 and a weight 233 and a substrate not shown on which a pair of coils 205 and 205 are recommended. The pair of coils 205 and 205, the substrate and the weight 233 are integrally fixed by a mold portion 206 formed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무게 추(233)는, 로터(203)의 축방향에서 보아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231)의 중심축(O)에 대해서 중심 위치가 직경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다.The weight 233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203 , and its central position is eccentric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 of the shaft 231 .

상술과 같이 구성된 스테이터(202) 및 로터(203)는, 하우징(221)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하우징(221)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stator 202 and the rotor 20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covered by the housing 221 . In addition, in FIG. 12, the housing 221 is shown by the imaginary line.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공기 저항 저감부의 평면도이다.13 : is a top view of the 2nd air resistance reduction part of this embodiment.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저항 저감부(210)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있고, 활형상부(211)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air resistance reducing portion 210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and has a bow-shaped portion 211 .

활형상부(211)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무게 추(233)의 외주면(233a)에 있어서의 로터(203)의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의 상류측의 끝가장자리(233b)와, 회전 방향(화살표 R방향)의 하류측의 끝가장자리(233c)를 원호형상으로 접속하고 있다. 활형상부(211)는, 몰드부(206)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The bow-shaped portion 211 includes an upstream end edge 233b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row R direction) of the rotor 203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33a of the semicircular weight 233,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The end edge 233c on the downstream side of (arrow R direction) is connected in an arc shape. The bow-shaped portion 211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mold portion 206 .

활형상부(211)보다도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서, 몰드부(206)와의 사이의 영역은,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11b)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터(203)의 경량화가 가능해지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활형상부(211)의 외주면(211a)의 곡률 반경은, 몰드부(206)의 외주면의 곡률 반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몰드부(206)의 외주면과 활형상부(211)는 연속적으로 접속되므로, 로터(203)의 회전에 수반하여 공기가 몰드부(206)의 외주면과 활형상부(211)의 외주면(211a)을 따라서 매끄럽게 흐를 수 있다.A region between the mold portion 206 and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bow-shaped portion 211 is a through hole 211b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reby, since the weight of the rotor 203 can be reduce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11a of the bow-shaped portion 211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ld portion 206 . Thereby, sin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ld part 206 and the bow-shaped part 211 are continuously connected, air is drawn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ld part 206 and the bow-shaped part 211 as the rotor 203 rotates. It can flow smooth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11a).

또한, 활형상부(211)보다도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서, 몰드부(206)와의 사이의 영역은, 관통 구멍(211b)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닥부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수지 재료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area between the mold part 206 and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w-shaped part 211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211b, and may have a bottom part,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may be charged.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구성의 진동 모터(201)에 의하면, 코인형의 브러쉬 부착 DC 모터에 적용한 경우라도, 도 9~도 11에 나타낸 진동 모터(7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무게 추(233)에는, 로터(203)가 회전할 때의 무게 추(233)에 대한 공기 저항을 저감시키는 공기 저항 저감부(2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로터(203)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의 공기 저항을 저감시켜, 신속하게 기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응답성이 뛰어난 진동 모터(201)로 할 수 있다. 또, 로터(203)가 회전할 때의 무게 추(233)에 대한 공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203)가 회전할 때의 무게 추(233)에 대한 공기 저항을 저감하여 풍절음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정숙성이 뛰어난 진동 모터(201)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ibration motor 201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2 and 13, even when it applies to a coin-type DC motor with a brush, the same effect as the vibration motor 70 shown in FIGS. 9-11 can be exhibited. That is, since the weight 233 is provided with an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210 that reduces air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weight 233 when the rotor 203 rotates, the rotor 203 starts to rotate. By reducing the air resistance at the time of operation, it can be started quickly. Accordingly, the vibration motor 201 having excellent responsiveness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can be provided. Moreover, since the air resistance to the weight 233 when the rotor 203 rotates can be reduce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the wind noise can be suppressed by reducing the air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weight 233 when the rotor 203 rotates, it is possible to obtain a vibration motor 201 superior in quietness compared to the prior art.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진동 모터의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vibration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모터(301)는, 이른바 코인형의 브러시가 없는 DC 모터로서, 스테이터(302)와, 스테이터(302)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로터(303)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vibration motor 301 is a so-called coin-shaped brushless DC motor, and includes a stator 302 and a rotor 303 rotatably provided to the stator 302 .

스테이터(302)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코일과,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검출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터(302)로부터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한 쌍의 단자부(322, 323)가 연장되어 있다. 샤프트(331)에는, 로터(303)의 베어링(307)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스테이터(302)로부터는, 샤프트(331)가 입설되어 있다. 위치 검출 센서는, 예를 들면 홀 소자 등의 자기 센서이며, 후술하는 로터(303)의 위치를 검출하고 있다.The stator 302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a pair of coils (not shown) and a posi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are provided. A pair of terminal portions 322 and 323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extend from the stator 302 . A bearing 307 of the rotor 303 is inserted through the shaft 331 . Moreover, the shaft 331 is erected from the stator 302 .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for example, a magnetic sensor such as a Hall element, an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rotor 303 to be described later.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공기 저항 저감부의 평면도이다.15 is a plan view of a third air resistance re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로터(303)는, 원판형상의 요크(303a)와, 링형상의 마그넷(308)과, 무게 추(333)를 가진다. 요크(303a)와 마그넷(308)은, 축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무게 추(333)는, 로터(303)의 축방향에서 보아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331)의 중심축(O)에 대해서 무게 중심 위치가 직경 방향으로 편심되고 있다. 무게 추(333)는, 마그넷(308)보다도 직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요크(303a)에 대해서 예를 들면 접착제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The rotor 303 has a disk-shaped yoke 303a, a ring-shaped magnet 308, and a weight 333. The yoke 303a and the magnet 308 are arranged to overlap in the axial direction. The weight 333 is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as see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303 , and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is eccentric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 of the shaft 331 . The weight 333 is disposed radially outward from the magnet 308 , and is fixed to the yoke 303a by, for example, an adhesive, welding, or the like.

도 16은, 도 15의 B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Fig. 16 is a view seen from arrow B in Fig. 15 .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저항 저감부(310)는, 예를 들면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활형상부(311)를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S. 15 and 16 , the air resistance reducing part 310 is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and has a bow-shaped part 311 .

활형상부(311)는,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무게 추(333)의 외주면(333a)에 있어서의 로터(303)의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의 상류측의 끝가장자리(333b)와,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의 하류측의 끝가장자리(333c)를 원호형상으로 접속하고 있다. 활형상부(311)와 요크(303a)는, 예를 들면 조임 가공 등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있다.The bow-shaped portion 311 has an upstream end edge 333b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row R direction) of the rotor 303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333a of the weight 333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and rotates The end edge 333c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irection (arrow R direction) is connected in arc shape. The bow-shaped portion 311 and the yoke 303a are integrally formed by, for example, press working such as tightening.

상술과 같이 구성된 스테이터(302) 및 로터(303)는, 하우징(321)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하우징(321)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stator 302 and the rotor 30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covered by the housing 321 . In addition, in FIG. 14, the housing 321 is shown by the phantom line.

다음에, 제3 공기 저항 저감부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will be described.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공기 저항 저감부의 변형예의 측면도이다.17 is a sid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공기 저항 저감부(310)의 형상은 상술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저항 저감부(31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한 판부재의 가장자리부에 노치를 마련하여 복수의 튀어나옴 부재(310a)를 형성한 후, 튀어나옴 부재(310a)를 축방향으로 절곡하여 입설시킴으로써 형성해도 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3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or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 the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310 provides a notch in the edge portion of the plate member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o form a plurality of protruding members 310a, and then the protruding member You may form by bending 310a in an axial direction and making it stand upright.

진동 모터(301)에 의하면, 상술의 진동 모터(70) 및 진동 모터(201)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무게 추(333)에는, 로터(303)가 회전할 때의 무게 추(333)에 대한 공기 저항을 저감시키는 공기 저항 저감부(3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로터(303)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의 공기 저항을 저감하여 신속하게 기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응답성이 뛰어난 진동 모터(301)로 할 수 있다. 또, 로터(303)가 회전할 때의 무게 추(333)에 대한 공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303)가 회전할 때의 무게 추(333)에 대한 공기 저항을 저감하여 풍절음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정숙성이 뛰어난 진동 모터(301)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ibration motor 301,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e above-mentioned vibration motor 70 and the vibration motor 201 can be exhibited. That is, since the weight 333 is provided with an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310 that reduces air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weight 333 when the rotor 303 rotates, the rotor 303 starts to rotate. It can be started quickly by reducing the air resistance at the time of oper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vibrating motor 301 superior in responsivenes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the air resistance to the weight 333 when the rotor 303 rotates can be reduce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the wind noise can be suppressed by reducing the air resistance to the weight 333 when the rotor 303 rotates, the vibration motor 301 can be excellent in quietness compared to the prior art.

다음에, 제4 공기 저항 저감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fourth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will be described.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4 공기 저항 저감부의 평면도이다.18 is a plan view of a fourth air resistance redu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상술의 진동 모터(301)의 공기 저항 저감부(310)는, 활형상부(311)를 구비하고 있었다(도 15 참조). 이것에 대해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공기 저항 저감부(410)는, 무게 추(433)의 단면에 설치된 경사면(435)인 점에서, 진동 모터(301)와는 상이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진동 모터(301)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ir resistance reducing part 310 of the above-mentioned vibration motor 301 was equipped with the bow-shaped part 311 (refer FIG. 15).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8 , the fourth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410 is different from the vibration motor 301 in that it is an inclined surface 435 provided on the end face of the weight 433 .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below about the part of the structure similar to the vibration motor 301. FIG.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게 추(433)는, 로터(403)의 축방향에서 보아, 로터(403)의 외주면을 따르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8 , the weight 433 is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or 403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403 .

무게 추(433)에 있어서의 로터(403)의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의 하류측의 단면은,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로터(403)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435)이 되고 있다.A cross section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rrow R direction) of the rotor 403 in the weight 433 i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radially from the inside of the rotor 403 in the radial direction. is an inclined surface 435 inclined to the outside of .

여기서, 축방향에서 보아, 직경 방향을 따름과 더불어 중심축(O)를 통과하는 직선을 가상선(L)이라고 정의했을 때, 경사면(435)은, 가상선(L)과 교차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무게 추(433)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의 선단(436)은, 축방향에서 보아 직경 방향을 따름과 더불어 중심축(O)를 통과하는 가상선(L)보다도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Here,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and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O along the radial direction is defined as the imaginary line L, the inclined surface 435 is provided to intersect the imaginary line L. . Moreover, the front-end|tip 436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in the weight 433 is downstream of the rotation direction rather than the imaginary line L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O along the radial direction as seen from the axial direction. located on the side.

또, 무게 추(433)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의 단면(438)은, 가상선(L)을 따르는 평면이 되고 있다.Moreover, the end face 438 on the upstream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in the weight 433 is a plane along the imaginary line L. As shown in FIG.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4 공기 저항 저감부의 확대도이다.19 is an enlarged view of the fourth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공기 저항 저감부(410)는, 경사면(435)과 가상선(L)의 교점(P1)으로부터 경사면(435)의 직경 방향의 외측 가장자리부(P2)까지의 거리를 L1로 하고, 경사면(435)과 가상선(L)의 교점(P1)로부터 경사면(435)의 직경 방향의 내측 가장자리부(P3)까지의 거리를 L2로 했을 때, 다음식(1) As shown in FIG. 19 , the fourth air resistance reduction unit 410 extends from the intersection P1 of the inclined surface 435 and the imaginary line L to the radially outer edge P2 of the inclined surface 435 . When the distance is L1 and the distance from the intersection P1 of the inclined surface 435 and the imaginary line L to the radially inner edge portion P3 of the inclined surface 435 is L2, the following formula (1)

L1<L2···(1)L1<L2...(1)

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s formed to satisfy

제4 공기 저항 저감부를 가지는 진동 모터(401)에 의하면, 공기는, 로터(403)의 회전에 수반하여 무게 추(433)의 외주면(433a)과 경사면(435)을 따라서 매끄럽게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응답성이 뛰어난 진동 모터(401)로 할 수 있다. 또,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정숙성이 뛰어난 진동 모터(401)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ibration motor 401 having the fourth air resistance reducing portion, air can flow smooth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433a and the inclined surface 435 of the weight 433 as the rotor 403 rotat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vibration motor 401 having excellent responsivenes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Moreover, compared with the prior art, whil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t can be set as the vibration motor 401 excellent in quietness.

또, 무게 추(433)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선단(436)은, 직경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L)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므로, 선단에 경사면을 마련하고 있지 않은 무게 추와 동등한 원심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진동을 얻는 것이 가능한 진동 모터(401)로 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downstream tip 436 of the weight 433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maginary line L along the radial direction, a centrifugal force equivalent to that of the weight not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at the tip is applied. can do it Therefore, it can be set as the vibration motor 401 which can obtain a desired vibration.

또, 무게 추(433)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단면(438)은, 가상선(L)을 따르는 평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로터(403)가 역회전했을 때에 공기 저항을 확보하여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회전시에는 신속히 회전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역전시에는 신속히 정지시킬 수 있다는 여러 가지의 성능을 구비한 진동 모터(401)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nd face 438 on the upstream side of the weight 433 is a plane along the imaginary line L, when the rotor 403 rotates in reverse, air resistance can be secured and it can be stopped easily. have. Accordingly, the vibration motor 401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performances such that it can be rotated quickly in a forward rotation and can be quickly stopped in a reverse rotation.

또, 무게 추(433)의 하류측의 선단(436)에 있어서의 경사면(435)은, 가상선(L)과 교차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선단에 경사면을 마련하고 있지 않은 무게 추와 동등한 원심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진동을 얻는 것이 가능한 진동 모터(401)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surface 435 at the tip 436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weight 433 is provided to intersect the virtual line L, a centrifugal force equivalent to that of a weight not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at the tip is applied. can make it work Therefore, it can be set as the vibration motor 401 which can obtain a desired vibration.

또, 제4 공기 저항 저감부(410)는, (1)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사면(435)과 가상선(L)의 교점(P1)보다도 직경 방향의 내측에 작용하는 원심력과, 경사면(435)과 가상선(L)의 교점(P1)보다도 직경 방향의 외측에 작용하는 원심력과의 밸런스를 고려하면서 경사면(4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원하는 진동을 얻는 것이 가능한 진동 모터(401)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urth air resistance reducing unit 410 is formed so as to satisfy the expression (1),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on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rather than the intersection P1 of the inclined surface 435 and the virtual line L; The inclined surface 435 is formed while considering the balance between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on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rather than the intersection P1 of the inclined surface 435 and the virtual line L. Therefore, it can be set as the vibration motor 401 which can obtain a desired vibration.

또한, 진동 모터(401)에서는, 무게 추(433)에 있어서의 로터(403)의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의 하류측의 단면은,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로터(403)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435)이 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경사면(435)에 더하여, 무게 추(433)에 있어서의 로터(403)의 회전 방향(화살표 R 방향)의 하류측의 단면 가운데, 직경 방향 외측으로도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로터(403)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을 더 가짐으로써, 무게 추(433)의 하류측의 단부가 축방향에서 보아 첨두 형상이 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in the vibration motor 401, the cross section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arrow R direction) of the rotor 403 in the weight 433 is toward the downstream side from the upstream side in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or 403 ) was an inclined surface 435 inclined from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o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inclined surface 435 , in the middle of the cross section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rotation direction (arrow R direction) of the rotor 403 in the weight 433 , it is also downstream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radially outward. The downstream end of the weight 433 may have a peak shape as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by further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at inclines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rotor 403 to the radially inner side toward the side.

또, 진동 모터(401)에서는, 무게 추(433)의 경사면(435)은, 축방향에서 보아, 가상선(L)과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었지만, 교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Moreover, in the vibration motor 401, although the inclined surface 435 of the weight 433 was provided so that it may intersect with the imaginary line L as seen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tersect.

또, 무게 추(433)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의 하류측의 선단(436)은, 축방향에서 보아 가상선(L)보다도 회전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었지만, 가상선(L)보다도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tip 436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eight 433 wa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than the imaginary line L when viewed in the axial direction. It may be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진동 모터(70, 201, 301, 401) 각각에서의 공기 저항 저감부(76, 210, 310, 410)의 제조 방법이나 재질 등은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공기 저항 저감부(76)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material, etc. of the air resistance reduction parts 76, 210, 310, 410 in each of the vibration motors 70, 201, 301, 401 are not limited to embodiment. Therefore, for example, the air resistance reducing portion 76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변형예][Modified example]

다음에,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20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A)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1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기기(1A)는, 조작부(10), 통신부(20), 표시부(30) 및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A)를 구비한다.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A)는, 제어부(50A)(제어부), 구동부(60)(제어부), 진동 모터(70)(진동 발생 장치), 저항(R), 및 스위치(SW)를 구비한다. 또한,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1A including a control device 40A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0 , the electronic device 1A includes an operation unit 10 , a communication unit 20 , a display unit 30 , and a control device 40A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e control device 40A of the vibration generator includes a control section 50A (control section), a drive section 60 (control section), a vibration motor 70 (vibration generator), a resistor R, and a switch SW. do. In addition, about the functional part which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control apparatus 40 of a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the same code|symbol is us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A)는, 조작부(10)가 출력한 조작 결과나 통신부(20)가 수신한 수신 신호 등에 따라서, 진동 모터(70)를 구동한다.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A)는, 조작부(10)가 출력한 조작 결과에 따라서,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신호를 표시부(30)에 출력한다.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A)는, 송신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송신 신호를 통신부(20)에 출력한다. 또한,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40A)는, 진동 모터(70)의 정상 동작이 종료했을 때, 진동 모터(70)의 입력 단자간을, 저항(R)을 개재하여 소정 시간 단락시키도록 스위치(SW)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The control device 40A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rives the vibration motor 70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utput by the operation unit 10 or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0 . The control device 40A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generates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utput by the operation unit 10 , and outputs the generated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30 . The control device 40A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based on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outputs the generated transmiss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 Further, whe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70 is completed, the control device 40A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switches between the input terminals of the vibration motor 70 to short-circuit the input terminals through the resistor 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W) is controlled in the ON state.

제어부(50A)는, 조작부(10)가 출력한 조작 결과에 따라서, 진동 모터(70)를 구동하는 구동 지시를 구동부(60)에 출력한다. 제어부(50A)는, 통신부(20)가 수신한 수신 신호 등에 따라서, 진동 모터(70)를 구동하는 지시를 구동부(60)에 출력한다. 제어부(50A)는, 조작부(10)가 출력한 조작 결과에 따라서,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신호를 표시부(30)에 출력한다. 제어부(50A)는, 예를 들면 조작부(10)가 출력한 조작 결과에 따라서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송신 신호를 통신부(2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50A)는, 진동 모터(70)의 정상 동작이 종료했을 때, 진동 모터(70)의 입력 단자간을, 저항(R)을 개재하여, 소정 시간 단락시키도록 스위치(SW)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A outputs a driving instruction for driving the vibration motor 70 to the driving unit 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utput by the operation unit 10 . The control unit 50A outputs an instruction to drive the vibration motor 70 to the driving unit 60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0 or the like. The control unit 50A generates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utput by the operation unit 10 , and outputs the generated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30 . The control unit 50A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result output by the operation unit 10 , and outputs the generated transmiss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 for example. In addition, whe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7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50A switches the switch SW to short-circuit the input terminals of the vibration motor 70 through the resistor 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ontrol in the on state.

구동부(60)는, 제어부(50A)가 출력하는 구동 지시에 따라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구동 신호를 진동 모터(70)에 공급한다. 또한, 구동부(60)는, 승압 회로를 가지고, 공급되는 전원 전압보다도 높은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동부(60)는, 제1 출력 단자가 진동 모터(70)의 제1 입력 단자와 저항(R)의 일단에 접속되고, 제2 출력 단자가 진동 모터(70)의 제2 입력 단자와 스위치(SW)의 일단에 접속되고 있다.The drive unit 60 generates a drive signal according to a drive instruction output by the control unit 50A, and supplies the generated drive signal to the vibration motor 70 . Further, the driving unit 60 has a boosting circuit and can generate a driving signal higher than the supplied power supply voltage. In addition, a drive signal is mentioned later. The driving unit 60 has a first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input terminal of the vibration motor 70 and one end of the resistor R,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vibration motor 70 and a switch ( SW) is connected to one end.

저항(R)은, 일단이 구동부(60)의 제1 출력 단자와 진동 모터(70)의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이 스위치(SW)의 타단에 접속되고 있다. One end of the resistor R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f the driving unit 60 and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vibration motor 70 ,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witch SW.

스위치(SW)는, 일단이 구동부(60)의 제2 출력 단자와 진동 모터(70)의 제2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있다. 스위치(SW)는, 제어부(50A)의 제어에 따라서,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전환된다. 스위치(SW)가 온 상태일 때, 진동 모터(70)의 양단이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된다.One end of the switch SW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f the drive unit 60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vibration motor 70 . The switch SW is switched between an ON state and an OFF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A. When the switch SW is in the on state,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are short-circuited via the resistor R.

또한, 도 20에 나타낸 예에서는, 진동 모터(70)의 양단에 저항(R)을 개재하여 스위치(SW)가 접속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진동 모터(70)의 양단에 직접 스위치(SW)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0,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switch SW is connected via the resistance R to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was shown, the switch SW is direct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may be connected.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와 스위치(SW) 상태의 일례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the drive signal,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and the state of the switch SW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21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와 스위치(SW)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각, 세로축은 전압, 회전수를 나타낸다. 파형 g1'는, 구동 신호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파형 g2는,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파형 g15는, 스위치(SW) 상태를 나타낸다. 또, 구동 신호는, 기동 신호인 파형 g11, 회전 구동 신호인 파형 g12, 및 브레이크 신호(역전 신호)인 파형 g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2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driving signal,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and the state of the switch SW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21,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voltage and rotation speed. The waveform g1' represents the time change of the drive signal. The waveform g2 represents the time chang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 Waveform g15 shows the switch SW state. Moreover, the drive signal is comprised including the waveform g11 which is a start signal, the waveform g12 which is a rotation drive signal, and the waveform g14 which is a brake signal (reversing signal).

또한, 파형 g11과 파형 g12는, 도 3과 동일하다.In addition, the waveform g11 and the waveform g12 are the same as that of FIG.

파형 g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1~t2의 기간(T1),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1(기동시 최대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여기서, 전압치 E1은, 구동부(6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치보다도 높다.As shown in the waveform g1, during the period T1 from time t1 to t2,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1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up). Here, the voltage value E1 is high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alu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0 .

계속해서, 시각 t2~t3의 기간(T2),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2(정상 동작시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또한, 전압치 E2는, 전압치 E1보다 작다. 또, 시각 t1~t2의 기간은, 시각 t2~t3의 기간보다 짧다.Subsequently, during the period T2 from time t2 to t3,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2 (normal operation voltage value). In addition, the voltage value E2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E1. Moreover, the period of time t1 - t2 is shorter than the period of time t2 - t3.

계속해서, 시각 t3~t4의 기간(T3), 제어부(50A)가 스위치(SW)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압치는 0 V가 된다. 이 기간 T3이 소정 시간이다. 시각 t3~t4의 기간(T3), 파형 g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모터(70)에 인가되는 전압치는 0 V이며, 파형 g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SW)는 온 상태이다.Then, during the period T3 from time t3 to t4, when the control unit 50A turns on the switch SW, the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are short-circuited via the resistor R. Thereby, the voltage value becomes 0V. This period T3 is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period T3 from time t3 to t4, as shown in the waveform g14, the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vibration motor 70 is 0 V, and as shown in the waveform g15, the switch SW is in an ON state.

또한, 시각 t1~t2의 기간이 상승의 기간(제1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기동 신호(파형 g11)이기도 하다. 시각 t2~t3의 기간이 회전 기간(제2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회전 구동 신호(파형 g12)이기도 하다. 시각 t3~t4의 기간이 정지 기간(제3 인가 시간)이며, 또한 진동 모터(70)의 단락 기간이기도 하다.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브레이크 신호(파형 g14)이기도 하다. 또한, 제1 인가 시간은, 제2 인가 시간보다 짧다. 또, 제3 인가 시간은, 제2 인가 시간보다 짧다.In addition, the period of time t1 - t2 is a rising period (1st application time), and the drive signal of this period is also a start signal (waveform g11). The period of time t2 to t3 is the rotation period (second application time), and the drive signal in this period is also the rotation drive signal (waveform g12). The period of time t3 to t4 is a stop period (third application time) and is also a short-circuit period of the vibration motor 70 . The driving signal in this period is also a break signal (waveform g14). In addition, the first application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application time. In addition, the third application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application time.

또, 도 3과 동일하게, 파형 g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1~t2의 기간, 구동 모터(43)의 회전수는, 0부터 N1로 증가한다. 시각 t2를 지나 회전수는, N1를 넘은 후, N1이 된다. 그 후, 시각 t3까지의 기간, 구동 모터(43)의 회전수는, N1이다. 시각 t3~t4의 기간, 진동 모터(70)의 회전수는, N1부터 0으로 감소한다. 또한, 회전수 N1은, 예를 들면 9000 rpm 정도이다.Moreover, as shown in the waveform g2 similarly to FIG. 3,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43 increases from 0 to N1 during the period of time t1 - t2. After time t2, the rotation speed exceeds N1, and then becomes N1. After that, during the period up to time t3,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43 is N1. During the period of time t3 to t4,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decreases from N1 to 0. In addition, the rotation speed N1 is about 9000 rpm, for example.

또한, 변형예의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와 스위치(SW) 상태의 예를, 도 3의 구동 전압을 바탕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있어서, 역방향의 전압치 -E11을 인가하는 대신에, 제어부(50A)가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는, 도 6에 있어서, 시각 t23~t24의 기간, 역방향의 전압치 E23을 인가하는 대신에, 제어부(50A)가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는, 도 7에 있어서, 시각 t33~t34의 기간, 역방향의 전압치 E33을 인가하는 대신에, 제어부(50A)가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는, 도 8에 있어서, 시각 t45~t48의 기간, 역방향의 전압치 E43~E45를 인가하는 대신에, 제어부(50A)가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5, 도 6, 도 7, 도 8에 있어서, 제어부(50A)는, 스위치(SW)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킨다.In addition, although the drive signal of a modified example,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and the example of the switch SW state were demonstrated based on the drive voltage of FIG. 3,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Fig. 5, instead of applying the voltage value -E11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ontrol unit 50A may short-circuit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via the resistor R. Alternatively, in Fig. 6, instead of applying the voltage value E23 in the reverse direction during the period of time t23 to t24, the control unit 50A short-circuits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via the resistor R. do. Alternatively, in Fig. 7, instead of applying the voltage value E33 in the reverse direction during the period of time t33 to t34, the control unit 50A short-circuits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via the resistor R. do. Alternatively, in Fig. 8, instead of applying the voltage values E43 to E45 in the reverse direction during the period of time t45 to t48, the control unit 50A short-circuits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via the resistor R. you can make it 5, 6, 7, and 8, the control unit 50A short-circuits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via the resistor R by turning on the switch SW. .

이상과 같이, 변형예에서는, 정상 동작이 종료했을 때,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키도록 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dified example,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were short-circuited via the resistor R when the normal operation was completed.

이것에 의해, 변형예에 의하면, 순식간에 진동 모터(7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Thereby,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rotation of the vibration motor 70 can be stopped in an instant.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50A)는, 역전 동작 전에 특정 시간,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와 스위치(SW)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각, 세로축은 전압, 회전수를 나타낸다. 파형 g1"는, 구동 신호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파형 g2는,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파형 g15"는, 스위치(SW) 상태를 나타낸다. 또, 구동 신호는, 기동 신호인 파형 g11, 회전 구동 신호인 파형 g12", 단락 상태의 파형 g14", 및 브레이크 신호(역전 신호)인 파형 g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형 g11은 도 3과 동일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you may make it short-circuit the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through the resistance R for a specific time before the reversing operation|movement, and the control part 50A. 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drive signal,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and the state of the switch SW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22,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voltage and rotation speed. Waveform g1" represents the time change of the drive signal. Waveform g2 represents the time chang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Waveform g15" represents the switch SW state. Moreover, the drive signal is comprised including the waveform g11 which is a start signal, the waveform g12" which is a rotation drive signal, the waveform g14" of a short circuit state, and the waveform g13 which is a break signal (reversing signal). In addition, the waveform g11 is the same as that of FIG.

시각 t2~t5의 기간(T2-T4),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2(정상 동작시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또한, 전압치 E2는, 전압치 E1보다 작다. 또, 시각 t1~t2의 기간은, 시각 t2~t5의 기간보다 짧다. During the period of time t2 to t5 (T2-T4),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2 (the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In addition, the voltage value E2 is smaller than the voltage value E1. Moreover, the period of time t1 - t2 is shorter than the period of time t2 - t5.

계속해서, 역전 동작 전의 시각 t5~t3의 기간(T4), 제어부(50A)가 스위치(SW)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압치는, 0 V가 된다. 이 기간 T4가 특정 시간이다. 시각 t5~t3의 기간(T4), 파형 g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모터(70)에 인가되는 전압치는 0 V이며, 파형 g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SW)는 온 상태이다.Then, in a period T4 of time t5 to t3 before the reversing operation, when the control unit 50A turns on the switch SW, the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are short-circuited via the resistor R. Thereby, the voltage value becomes 0V. This period T4 is a specific time. In the period T4 from time t5 to t3, as shown in the waveform g14", the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vibration motor 70 is 0 V, and as shown in the waveform g15", the switch SW is in an ON state.

계속해서, 시각 t3~t4의 기간(T3),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3(역전시 최대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또한, 전압치 E3의 절대치는, 전압치 E2보다 크다. 또, 전압치 E3는, 구동부(6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치보다도 높다.Subsequently, during the period T3 from time t3 to t4,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3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al). In addition,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3 i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E2. In addition, the voltage value E3 is high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alu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0 .

또한, 시각 t1~t2의 기간이 상승인 기간(제1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기동 신호(파형 g11)이기도 하다. 시각 t2~t5의 기간이 회전 기간(제2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회전 구동 신호(파형 g12")이기도 하다. 시각 t5~t3의 기간이 정지 기간(제3 인가 시간)이며, 또한 진동 모터(70)의 단락 기간이기도 하다. 또, 시각 t3~t4의 기간이 정지 기간(제3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브레이크 신호(파형 g13)이기도 하다. 또한, 제1 인가 시간은, 제2 인가 시간보다 짧다. 또, 제3 인가 시간은, 제2 인가 시간보다 짧다.In addition, the period of time t1 - t2 is a rising period (first application time), and the drive signal of this period is also a start signal (waveform g11). The period from time t2 to time t5 is the rotation period (second application time), and the drive signal in this period is also the rotation drive signal (waveform g12"). The period from time t5 to t3 is the stop period (third application time), . The first application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application time, and the third application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application time.

또한, 기간 T3의 길이는, 도 3에 나타낸 기간 T3의 길이와 상이해도 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eriod T3 may be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period T3 shown in FIG.

이상과 같이, 제2 변형예에서는, 역전 동작 전에 특정 시간,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키도록 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modification,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are short-circuited via the resistor R for a specific time before the reversing operation.

이것에 의해, 정회전으로부터 역전으로 갑자기 전환될 때에 대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current from flowing when abruptly switched from the forward rotation to the reverse rotation.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50A)는, 역전 동작 후에,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구동 신호와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와 스위치(SW)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각, 세로축은 전압, 회전수를 나타낸다. 파형 g1"'는, 구동 신호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파형 g2는, 진동 모터(70)의 회전수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파형 g15"'는, 스위치(SW) 상태를 나타낸다. 또, 구동 신호는, 기동 신호인 파형 g11, 회전 구동 신호인 파형 g12, 브레이크 신호(역전 신호)인 파형 g13, 및 단락 상태의 파형 g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형 g11와 g12와 g13는, 도 3과 동일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3, you may make it short-circuit the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via the resistance R after the control part 50A after a reverse operation|movement. 23 : is a figure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drive signal which concerns on the 3rd modification of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and the switch SW state. In Fig. 23,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voltage and rotation speed. Waveform g1"' represents the time change of the drive signal. Waveform g2 represents the time change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vibration motor 70. Waveform g15"' represents the switch SW state. In addition, the drive signal includes a waveform g11 that is a start signal, a waveform g12 that is a rotation drive signal, a waveform g13 that is a break signal (reverse signal), and a waveform g14"' in a short-circuited state. Further, the waveforms g11 and g12 and g13 are the same as in FIG. 3 .

시각 t3~t4의 기간(T3), 구동부(60)는 전압치가 E3(역전시 최대 전압치)인 전력을 출력한다. 또한, 전압치 E3의 절대치는, 전압치 E2보다 크다. 또, 전압치 E3은, 구동부(6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치보다도 높다.During the period T3 from time t3 to t4, the driving unit 60 outputs electric power whose voltage value is E3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al). In addition, the absolute value of the voltage value E3 i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E2. In addition, the voltage value E3 is high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alu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60 .

계속해서, 역전 동작 후의 시각 t4~t6의 기간(T4), 제어부(50A)가 스위치(SW)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압치는, 0 V가 된다. 이 기간 T5가 특정 시간이다. 시각 t4~t6의 기간(T5), 파형 g1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모터(70)에 인가되는 전압치는 0 V이며, 파형 g1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SW)는 온 상태이다.Then, in a period T4 of time t4 to t6 after the reversing operation, when the control unit 50A turns on the switch SW, the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are short-circuited via the resistor R. Thereby, the voltage value becomes 0V. This period T5 is a specific time. During the period T5 from time t4 to t6, as indicated by the waveform g14"', the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vibration motor 70 is 0 V, and as indicated by the waveform g15"', the switch SW is in the ON state. .

또한, 시각 t1~t2의 기간이 상승의 기간(제1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기동 신호(파형 g11)이기도 하다. 시각 t2~t3의 기간이 회전 기간(제2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회전 구동 신호(파형 g12)이기도 하다. 또, 시각 t3~t4의 기간이 정지 기간(제3 인가 시간)이며, 이 기간의 구동 신호는 브레이크 신호(파형 g13)이기도 하다. 또한, 시각 t4~t6의 기간이 정지 기간(제3 인가 시간)이며, 또한 진동 모터(70)의 단락 기간이기도 하다. 또한, 제1 인가 시간은, 제2 인가 시간보다 짧다. 또, 제3 인가 시간은, 제2 인가 시간보다 짧다.In addition, the period of time t1 - t2 is a rising period (1st application time), and the drive signal of this period is also a start signal (waveform g11). The period of time t2 to t3 is the rotation period (second application time), and the drive signal in this period is also the rotation drive signal (waveform g12). Moreover, the period of time t3 - t4 is a stop period (third application time), and the drive signal of this period is also a break signal (waveform g13). In addition, the period of time t4 - t6 is a stop period (3rd application time), and is also a short circuit period of the vibration motor 70. FIG. In addition, the first application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application time. In addition, the third application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application time.

또한, 기간 T3의 길이는, 도 3에 나타낸 기간 T3의 길이와 상이해도 된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eriod T3 may be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period T3 shown in FIG.

이상과 같이, 제2 변형예에서는, 역전 동작 후에 특정 시간, 진동 모터(70)의 양단을, 저항(R)을 개재하여 단락시키도록 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modification, both ends of the vibration motor 70 are short-circuited via the resistor R for a specific time after the reversing operation.

이것에 의해, 역전 동작을 부드럽게 정지시킬 수 있다.Thereby, the reverse operation|movement can be stopped smooth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50)와 구동부(60)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독출하게 하여, 실행함으로써 진동 모터(70)(또는 201, 301, 401)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OS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컴퓨터 시스템」은, 홈페이지 제공 환경(혹은 표시 환경)을 구비한 WWW 시스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서블 디스크, 광학 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휴대 가능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말한다. 또한,「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개재하여 프로그램이 송신된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RAM)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50 and the driving unit 6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program recorded in the recording medium is read by a computer system and executed By doing this, you may control the vibration motor 70 (or 201, 301, 401). In addition, the "computer system" as used herein shall include hardware, such as an OS and a peripheral device. In addition, "computer system" shall also include a WWW system provided with a homepage providing environment (or display environment). In addi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portable medium such as a flexible disk, a magneto-optical disk, a ROM, and a CD-ROM, and a storage device such as a hard disk incorporated in a computer system. In additio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volatile memory (RAM) inside a computer system that becomes a server or a client when a program is transmitted via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communication line such as a telephone lin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assumed that maintaining the program is included.

또, 상기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 등에 저장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 매체를 개재하여, 혹은 전송 매체 중의 전송파에 의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어도 된다. 여기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전송 매체」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통신망)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통신선)과 같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는 매체를 말한다. 또,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된다.The program may be transmitted from a computer system storing the program in a storage device or the like to another computer system via a transmission medium or by a transmission wave in the transmission medium. Here, the "transmission medium" for transmitting a program refers to a medium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information, such as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communication line (communication line) such as a telephone line. Moreover, the said program may be for realizing a part of the function mentioned above. In addition, a so-called difference file (difference program) may be used that can realize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in combination with a program already recorded in the computer system.

1, 1A : 전자 기기 10 : 조작부
20 : 통신부 30 : 표시부
40, 40A :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50, 50A : 제어부 60 : 구동부
70, 201, 301, 401 : 진동 모터
71, 202, 302 : 스테이터 72, 203, 303, 403 : 로터
76, 210, 310, 410 : 공기 저항 저감부
78, 211, 311 : 활형상부
79 : 피복부 75 : 걸어멈춤부
74, 233, 333, 433 : 무게 추 74a, 233a, 333a, 433a : 외주면
74b, 233b, 333b : 상류측의 끝가장자리
74c, 233c, 333c : 하류측의 끝가장자리
435 : 경사면 436 : 하류측의 선단
438 : 상류측의 단면 O : 중심축(소정축)
L : 가상선 R : 저항
SW : 스위치
1, 1A: electronic device 10: control unit
20: communication unit 30: display unit
40, 40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ontrol device
50, 50A: control unit 60: drive unit
70, 201, 301, 401: vibration motor
71, 202, 302: Stator 72, 203, 303, 403: Rotor
76, 210, 310, 410: Air resistance reduction part
78, 211, 311: bow shape
79: covering part 75: stopping part
74, 233, 333, 433: weight 74a, 233a, 333a, 433a: outer peripheral surface
74b, 233b, 333b: the end edge of the upstream side
74c, 233c, 333c: the end edge of the downstream side
435: inclined surface 436: the tip of the downstream side
438: upstream end face O: central axis (predetermined axis)
L: imaginary line R: resistance
SW: switch

Claims (15)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소정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정축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무게 중심을 가지는 무게 추를 가지는 로터를 구비한 진동 발생 장치와,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기동시 최대 전압치가, 정상(定常) 동작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상기 구동 신호의 전압치인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도 커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를,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도 큰 제1 전압치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1 전압치보다 큰 제2 전압치로 변화시키며, 상기 제2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2 전압치를 상기 제1 전압치로 제어하고, 상기 정상 동작시에 상기 제1 전압치를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로 변화시키며,
역전 동작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를,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로부터 제3 전압치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3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3 전압치보다 낮은 제4 전압치로 변화시키며, 상기 제4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3 전압치보다 낮고 상기 제4 전압치보다 높은 제5 전압치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stator and a rotor installed to rotate about a predetermined axis with respect to the stator and having a weight having a center of gravity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predetermined axis;
Controlled so that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up, which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t startup, become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which is the voltage value of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or during normal operation. having a control unit that
The control unit is
changing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uring startup to a first voltage value greater than a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changing to the first voltage value, and then changing to a second voltag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value, After changing to a second voltage value, controlling the second voltage value to the first voltage value, and changing the first voltage value to the voltage valu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during the normal operation,
changing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uring the reversing operation from the voltage valu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to a third voltage value, changing to the third voltage value, and then changing the driving signal to a fourth voltage value lower than the third voltage value , a control device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controls to change to a fifth voltage value lower than the third voltage value and higher than the fourth voltage value after changing to the fourth voltage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제1 인가 시간을,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제2 인가 시간보다도 짧아지도록 제어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first application time for applying the maximum voltage value to the vibration generator during startup to be shorter than a second application time for applying the voltage value to the vibration generator during normal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역전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고, 상기 역전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역전시 최대 전압치가,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도 커지도록 제어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reversing signal for performing a reversing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ing, which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reversing signal, is controlled so that it become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control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역전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고, 상기 역전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역전시 최대 전압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선택 가능하고, 선택한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에 따라서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 및 상기 역전시 최대 전압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versing signal for performing a reversing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as a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ing, which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reversing signal,
The control unit is
A plurality of voltage values during normal operation are selectable, and at least one of a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up and a maximum voltage value at inversion is set according to the selected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선택 가능하고, 선택한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에 따라서 상기 제1 인가 시간 및 상기 제2 인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 plurality of voltage values during normal operation are selectabl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pplication time and the second application time is set according to the selected voltage valu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역전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고, 상기 역전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역전시 최대 전압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선택 가능하고, 선택한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에 따라서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 상기 역전시 최대 전압치,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제1 인가 시간, 및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제2 인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versing signal for performing a reversing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as a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ing, which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reversing signal,
The control unit is
a plurality of voltage values during normal operation can be selected, and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start,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al, and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start are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lected voltage valu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A control device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for setting at least one of an application time and a second application time for applying a voltage value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하는 역전 신호를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고, 상기 역전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역전시 최대 전압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 및 상기 역전시 최대 전압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어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치보다도 높은 전압치로 승압하여 설정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versing signal for performing a reversing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is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as a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ing, which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reversing signal,
The control unit is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which boosts-up and sets at least one of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the said starting and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reversing to a voltage value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of the power supply supplied to the said control par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에 있어서, 최초로 인가하는 전압치는, 상기 기동시 최대 전압치보다 낮은,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t the time of starting, a voltage value applied initially is lower than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the time of star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에 있어서, 최초로 인가하는 전압치는,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 높은,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t startup, a voltage value initially applie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할 때,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양단을 소정 시간 단락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control device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herein both ends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re short-circuit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performing a reverse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하기 전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양단을 소정 시간 단락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control device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herein both ends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re short-circui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performing a reverse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동작에 이어 역전 동작을 행하게 한 후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양단을 소정 시간 단락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control device for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herein both ends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re short-circui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performing a reverse operation following the normal operation.
청구항 1 내지 7 및 9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A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control device for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9 to 13.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해서 소정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정축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무게 중심을 가지는 무게 추를 가지는 로터를 구비한 진동 발생 장치의 회전을 제어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제어부가,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의 최대 전압치인 기동시 최대 전압치가, 정상 동작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상기 구동 신호의 전압치인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도 커지도록 제어하는 절차,
상기 제어부가, 기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를, 정상 동작시 전압치보다도 큰 제1 전압치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1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1 전압치보다 큰 제2 전압치로 변화시키며, 상기 제2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2 전압치를 상기 제1 전압치로 제어하고, 상기 정상 동작시에 상기 제1 전압치를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로 변화시키는 절차, 및
상기 제어부가, 역전 동작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 인가하는 구동 신호를, 상기 정상 동작시 전압치로부터 제3 전압치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3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3 전압치보다 낮은 제4 전압치로 변화시키며, 상기 제4 전압치로 변화시킨 후에 상기 제3 전압치보다 낮고 상기 제4 전압치보다 높은 제5 전압치로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
Control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rotation of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having a stator and a rotor installed to rotate about a predetermined axis with respect to the stator and having a weight having a center of gravity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predetermined axis As a method,
The control unit controls so that the maximum voltage value at startup, which is the maximum voltage value of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t the time of startup, becomes larger than the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which is the voltage value of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uring normal operation. procedure to do,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uring startup to a first voltage value greater than a voltage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n to a second voltag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value after changing to the first voltage value a procedure of controlling the second voltage value to the first voltage value after changing to the second voltage value, and changing the first voltage value to the voltage valu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during the normal operation, and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uring the reverse operation from the voltage valu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to a third voltage value, and after changing to the third voltage value, a fourth voltage lower than the third voltage value and a procedure of controlling to change to a fifth voltage value lower than the third voltage value and higher than the fourth voltage value after changing the voltage value to the fourth voltage value.
KR1020170171322A 2016-12-16 2017-12-13 Control device for vibration genera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generation device KR1024430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4237 2016-12-16
JP2016244237 2016-12-16
JP2017201984A JP6967938B2 (en) 2016-12-16 2017-10-18 Vibration generator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vibration generator control method
JPJP-P-2017-201984 2017-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478A KR20180070478A (en) 2018-06-26
KR102443009B1 true KR102443009B1 (en) 2022-09-14

Family

ID=6271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322A KR102443009B1 (en) 2016-12-16 2017-12-13 Control device for vibration genera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generation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67938B2 (en)
KR (1) KR1024430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0894B2 (en) * 2019-02-21 2023-03-1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Vibration generator and tactile sensation presentation device
CN117498723B (en) * 2023-12-29 2024-03-12 成都维客昕微电子有限公司 Motor vibration start-stop control method based on voltage seque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2491A (en) * 1998-07-31 2000-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apparatus by vibration
JP2010094632A (en) * 2008-10-17 2010-04-30 Ricoh Elemex Corp Portable equipment having oscillat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quipment having oscillating function
JP2010213401A (en) * 2009-03-09 2010-09-24 Shicoh Engineering Co Ltd Vibration motor and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8725Y2 (en) * 1972-01-06 1977-06-30
JPS5728587A (en) * 1980-07-24 1982-02-16 Fanuc Ltd Driving device for direct current motor
JPH06225557A (en) * 1993-01-20 1994-08-12 Toyo Commun Equip Co Ltd Drive circuit of small-sized motor
JP4438619B2 (en) * 2004-12-10 2010-03-24 株式会社デンソー DC motor rotation information detector
JP6452996B2 (en) 2014-05-29 2019-01-1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Surface mount mo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2491A (en) * 1998-07-31 2000-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apparatus by vibration
JP2010094632A (en) * 2008-10-17 2010-04-30 Ricoh Elemex Corp Portable equipment having oscillat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quipment having oscillating function
JP2010213401A (en) * 2009-03-09 2010-09-24 Shicoh Engineering Co Ltd Vibration motor and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7938B2 (en) 2021-11-17
JP2018099675A (en) 2018-06-28
KR20180070478A (en)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6605B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519239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tor-shaped vibrating motor
KR102443009B1 (en) Control device for vibration genera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generation device
US8106552B2 (en) Vibration motor
JP3125496U (en) BLDC vibration motor
JP2000301064A (en) Vibration forming device
KR102385846B1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822214B2 (en) Inner rotor type vibration motor
US8624461B2 (en) Motor stator
JP3568521B2 (en) Axial gap type brushless vibration motor with built-in drive circuit
JP2013010074A (en) Vibration generator
JP3406374B2 (en) Small vibration motor with eccentric armature core
KR101011444B1 (en) Bracket of Vibrator motor
JP4015918B2 (en) Vibration gener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vibration generator
JP4022437B2 (en) Vibration generator and electronic device
JP3339501B2 (en) Flat cored type brushless vibration motor
CN108923607A (en) Micro hollow cup is brushless cylinder vibrating motor device
KR100979720B1 (en) Stator of vibrator motor
JP2005094899A (en) Stator containing hole sensor and drive circuit, and axial air-gap type brushless motor equipped with the stator
KR100403974B1 (en) Vibration moter for cellular phone
KR200367224Y1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JP2001178100A (en) Drive motor
JP3875217B2 (en) Speaker with vibration motor
CN114204765A (en) Ultrathin brushless flat vibration motor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TW417348B (en) Vibration driver of p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