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932B1 -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932B1
KR102442932B1 KR1020217009539A KR20217009539A KR102442932B1 KR 102442932 B1 KR102442932 B1 KR 102442932B1 KR 1020217009539 A KR1020217009539 A KR 1020217009539A KR 20217009539 A KR20217009539 A KR 20217009539A KR 102442932 B1 KR102442932 B1 KR 10244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node
level
relay
delete delet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549A (ko
Inventor
저 천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a plurality of users or terminals, e.g. group communication or 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Bus Control (AREA)
  • Advance Control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며,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제1 중계 노드에 적용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은,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Description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
본 출원은 2018년 8월 31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201811015469.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미래 발전에서, 사용자의 수요를 더 잘 충족시키고 네트워크 용량 및 처리량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 반드시 더 많은 전송 노드 및 더 큰 전송 대역폭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제5 세대 통신 기술(fifth-generation, 5G)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스테이션의 수는 크게 향상되었지만, 모든 액세스 스테이션이 모두 유선 백홀 조건을 가진다는 보장은 없으므로, 무선 중계 노드를 도입하였다.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진일보 확장하기 위해, 멀티-홉(multi-hop) 중계 또한 허용된다.
무선 백홀 네트워크에서, 단말(UE)은 그중 하나의 무선 중계 노드에 접속하고, 단말의 이동에 따라, 또 다른 무선 중계 노드의 커버리지 범위에 진입한다. 제4 세대 이동 통신(4G) 시스템의 중계 아키텍처 하에서, 일반적으로 하나의 무선 중계 노드만을 가지나, 5G 시스템의 중계 아키텍처 하에서, 단말은 복수 개의 무선 중계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하나의 무선 중계 노드가 고장나거나 또는 접속 실패할 경우, 트래픽을 보장하기 위해, 단말로부터 도너 기지국(Donor gNB)까지의 접속을 회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은, 무선 네트워크 링크가 고장 났을 때 단말로부터 도너 기지국까지의 접속을 회복하기 위한 무선 중계 노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에 있어서,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제1 중계 노드에 적용되는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upper-level)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lower-level) 중계 노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면에 있어서,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제2 중계 노드에 적용되는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2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와 제1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측면에 있어서,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에 적용되는 또 다른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상기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할 때,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측면에 있어서,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타깃 중계 노드에 적용되는 또 다른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타깃 중계 노드는 미리 구성된 처리 전략 및 자신과 링크 실패가 발생한 실패 링크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1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실패 링크의 제1 단의 중계 노드일 때, 상기 제1 단은 상기 실패 링크가 제1 단말 측에 근접해 있는 일단이며, 상기 타깃 중계 노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른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1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실패 링크의 제1 단의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일 때, 상기 타깃 중계 노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른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2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실패 링크가 상기 타깃 중계 노드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일 때, 상기 타깃 중계 노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른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측면에 있어서, 제1 중계 노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이며,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7 측면에 있어서, 제1 중계 노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이며,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8 측면에 있어서, 제2 중계 노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이며,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2 중계 노드와 제1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9 측면에 있어서, 제2 중계 노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이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2 중계 노드와 제1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0 측면에 있어서, 중계 노드를 제공하고, 상기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위치하며.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상기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할 때,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1 측면에 있어서, 중계 노드를 제공하고, 상기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유닛; 및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상기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할 때,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 유닛;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2 측면에 있어서, 타깃 중계 노드를 제공하고, 상기 타깃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중에 위치하며,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미리 구성된 처리 전략 및 자신과 링크 실패가 발생한 실패 링크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1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실패 링크의 제1 단의 중계 노드일 때, 상기 제1 단은 상기 실패 링크가 제1 단말 측에 근접해 있는 일단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른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1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실패 링크의 제1 단의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일 때,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른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2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실패 링크가 상기 타깃 중계 노드의 상위 링크일 때,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른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액세스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는, 중계 노드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가 고장이 발생했을 때, 해당 중계 노드와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하는 것을 통해,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액세스 노드를 재선택하도록 하거나, 또한 해당 중계 노드와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여, 단말이 액세스 노드를 재선택하도록 하며, 따라서 단말로부터 도너 기지국까지의 접속을 회복할 수 있다.
하기 선택적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의 열독을 통해, 기타 여러가지 장점과 이점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들은 단지 선택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에 대한 제약으로 여기지 않는다. 또한 전체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로 동일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1은 관련 기술의 5G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 구조 예시도이다.
도 2는 관련 기술의 5G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평면의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 예시도이다.
도 3은 관련 기술의 5G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어 평면의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일 응용 시나리오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흐름도 3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응용 예시도 1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응용 예시도 2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응용 예시도 3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중계 노드의 구조 예시도 1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중계 노드의 구조 예시도 2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중계 노드의 구조 예시도 1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중계 노드의 구조 예시도 2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중계 노드의 구조 예시도 1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중계 노드의 구조 예시도 2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타깃 중계 노드의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중의 용어 “포함하다” 및 그들의 어떠한 변형도, 배타적 포함을 포괄하는데 의도가 있으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된 단계 또는 유닛에만 제한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및/또는”을 사용하여 접속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예컨대, A 및/또는 B는, 단독 A, 단독 B, 및 A와 B가 모두 존재하는 3가지 경우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 등의 단어는 예, 예증, 또는 설명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로 설명되는 어떠한 실시예나 설계방안은 기타 실시예 또는 설계방안보다 더 대안적이거나 더 우세를 가진다고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인” 또는 “예컨대” 등과 같은 용어의 사용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우선 하기 기술 포인트를 소개하기로 한다:
(1)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소개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측의 노드 사이에 대부분 유선 접속을 채용하고, gNB(NR NodeB) 사이는 유선 링크를 통해 접속하며, gNB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엔티티, 사용자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엔티티 등 사이에도 유선 링크 접속을 채용하며, 도 1을 참조하길 바란다.
(2) 5G 프로토콜 아키텍쳐에 관한 소개
5G 기본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층은 서비스 데이터 어댑테이션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무선 링크 층 제어 프로토콜(Radio Link Control, RLC), 매체 액체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및 물리층(PHY)을 포함한다. 제어 평면 프로토콜 층은 비액세스 층(Non-access stratum, NAS),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PDCP, RLC, MAC 및 PHY를 포함한다. 사용자 평면과 제어 평면의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쳐 예시도는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소개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 중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시스템, 또는 진화형 롱 텀 에볼루션(Evolved Long Term Evolution, eLTE) 시스템, 또는 후속의 진화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일 응용 시나리오 이다. 도 4에서의 무선 중계 노드 1-6은 무선 백홀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여기서, 네트워크측 노드(예컨대, 기지국)로부터 차례로 무선 중계 노드 1, 무선 중계 노드 2, 무선 중계 노드 6을 경유하여 단말에 이르는 멀티 홉 백홀 경로가 설정된다. 5G 시스템을 예로 하면, 도 4에서의 무선 중계 노드는 집적 액세스 및 백홀 노드(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 IAB node)일 수 있다. IAB 노드는 완전한 기지국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기지국과 유사한 데이터 전달 기능만을 가질 수도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가 접속하는 네트워크측 노드는 즉 기지국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또한 도너 기지국(Donor 기지국, 또한 DgNB로 칭함)으로 칭한다. Donor 기지국과 무선 중계 노드 사이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중계 노드 사이는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도너 기지국 사이는 일반적으로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도너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도 또한 유선 접속을 채용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도너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지국일 수 있고, 또한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ase station, eNB)일 수 있으며, 또한 5G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측 기기(예컨대, 다음 세대 기지국(next generation node base station, gNB) 또는 송신 및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등 기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무선 중계 노드는 완전한 기지국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기지국과 유사한 데이터 전달 기능만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구체적으로 이동 전화(예컨대, 휴대폰), 또는 기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UE), 개인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장치, 핸드헬드 장치, 랩탑형 컴퓨터, 무선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이동 신호를 WiFi 신호로 전환할 수 있는 고객 단말(Customer Premise Equipment,CPE) 또는 이동 스마트 핫스팟, 스마트 가전, 또는 기타 사람을 통한 조작 없이 자발적으로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어떤 무선 중계 노드의 선행 홉(previous hop) 노드는, 도너 기지국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무선 중계 노드를 경유하여 단말에 도달하는 무선 백홀 경로 중의 선행 홉(previous hop) 노드를 지칭하며, 바꾸어 말하면, 어떤 무선 중계 노드의 선행 홉(previous hop) 노드는, 해당 무선 중계 노드가 상술한 무선 백홀 경로 중에서 도너 기지국 측에 근접해 있는 선행 홉(previous hop) 노드이다. 유사하게, 어떤 무선 중계 노드의 넥스트 홉(next-hop) 노드는, 해당 무선 중계 노드가 상술한 무선 백홀 경로 중에서 단말 측에 근접해 있는 하위 레벨 홉 노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이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제1 무선 중계 노드에 적용될 때,
단계 51,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5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 도너 기지국과 직접 접속하는 중계 노드일 수 있고, 또는 기타 중계 노드를 통해 도너 기지국과 접속하는 중계 노드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중계 노드와 단말 사이에 중계 노드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이며, 즉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중에서 상기 제1 중계 노드와 인접하며, 또한 단말 측에 근접해 있는 중계 노드이다.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상위 무선 링크는, 상기 제1 중계 노드와 그 상위 레벨 노드 사이의 무선 링크를 지칭하며, 구체적으로, 상위 레벨 노드는 기타 중계 노드 또는 도너 기지국일 수 있다.
위의 단계에서, 제1 중계 노드는 도너 기지국과 직접 접속할 경우, 즉 제1 중계 노드의 상위 레벨 노드가 도너 기지국일 경우, 제1 중계 노드는 자신과 도너 기지국 사이의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한다.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상위 레벨 노드가 기타 중계 노드일 경우, 제1 중계 노드는 자신과 해당 기타 중계 노드 사이의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링크 실패를 검출하는 구현 방식은 관련 기술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위의 단계를 통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중계 노드는 해당 제1 중계 노드와 상위 레벨 노드 사이의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 자신과 하위 레벨 중계 노드(즉,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제2 중계 노드가 다시 또 다른 중계 노드를 통해 도너 기지국에 액세스하도록 하여, 제1 단말이 단말로부터 도너 기지국까지의 접속을 회복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첫번째 구현 방식으로서, 상술한 단계 51에서,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1 지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며;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가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제2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한다. 위의 과정을 통해,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으며, 제2 중계 노드는 링크 재선택을 통해 기타 중계 노드에 액세스 함으로써, 제1 단말로부터 도너 기지국까지의 접속을 회복할 수 있다.
상술한 첫번째 구현 방식에서,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또한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여, 해당 제1 중계 노드 하의 단말이 액세스하는 중계 노드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를 상위 레벨 중계 노드로 하여,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여기서, 본문에서, 상기 어떤 중계 노드 하의 단말은, 해당 중계 노드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한 해당 중계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을 지칭한다.
선택적으로, 두번째 구현 방식으로서, 상술한 단계 51에서,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시켜, 제2 중계 노드가 보다 쉽게 셀 스위칭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가 기타 중계 노드(제3 중계 노드로 가정)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자신과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 파라미터는 구체적으로 측정 보고 파라미터일 수 있고, 측정 보고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제2 중계 노드가 이웃 셀 측정 보고를 보고하는 임계값을 감소시켜,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보다 쉽게 측정 보고를 송신하도록 하여, 제1 중계 노드가 제2 중계 노드가 스위칭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한다. 제1 중계 노드는 상술한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통해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업데이트하여, 측정 보고가 보다 쉽게 보고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관련 기술의 한가지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가 보고한 트리거 조건은:
Mn + Ofn + Ocn - Hys > Thresh이다.
여기서, Mn은 이웃 셀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Ofn은 이웃 셀 특정 주파수 오프셋을 나타내며, Ocn은 이웃 셀 특정 오프셋을 나타내며, Hys는 이벤트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를 나타내며, Thresh는 이벤트 임계값을 나타낸다. 상술한 두번째 구현 방식에서, 상술한 이벤트 임계값 Thresh를 감소할 수 있는바, 예컨대, 이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상술한 이벤트가 보다 쉽게 트리거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보다 쉽게 제1 중계 노드로부터 기타 중계 노드로 스위칭되게 한다. 지적해야 할 것은, 위의 이벤트 트리거는 단지 하나의 가능한 이벤트의 예시이며,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일보하여,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 또는 중계 노드의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상술한 두번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또한 자신과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의 접속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중계 노드를 상위 레벨 중계 노드로 하여,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술한 두번째 구현 방식에서,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에도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여전히 상기 제3 중계 노드로 스위칭되지 않았을 경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2 지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지시하여, 제4 중계 노드의 이벤트 트리거에 의한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따라서, 제2 중계 노드는 상술한 제2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중계 노드와 유사한 처리를 채용하여, 하위 레벨 노드(즉, 제4 중계 노드)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시켜, 제4 중계 노드가 보다 쉽게 셀 스위칭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2 중계 노드는 제4 중계 노드가 기타 중계 노드로 스위칭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제4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 또는 중계 노드의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상술한 두번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또한 자신과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의 접속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중계 노드를 상위 레벨 중계 노드로 하여, 상기 제4 중계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4 중계 노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제2 중계 노드 이외의 기타 노드로 스위칭되지 않은 경우, 제2 중계 노드는 또한 제4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발생의 지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유추하면,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중의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즉, 단말이 액세스하는 중계 노드)에 이르러,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가 기타 중계 노드로 성공적으로 스위칭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는 자신과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의 접속을 차단하여, 제1 단말이 기타 중계 노드를 재선택하여 액세스 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도너 기지국이 각각의 중계 노드에 미리 구성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중계 노드(예컨대,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에 베어링되는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확정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세번째 구현 방식으로서, 상술한 단계 51에서,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에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RRC 재구성 메시지는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며, 예컨대, 값이 barred인 cell Barred 파라미터를 캐리하여, 기타 노드 또는 단말이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의 해제하며, 따라서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가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세번째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고, 또한 제1 중계 노드 하의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며, 및 제1 중계 노드 하의 연결 상태의 단말에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제2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상술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브로드캐스드된 MIB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상술한 MIB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상술한 제2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또한 상술한 MIB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따라서 이러한 단말은 모두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해제하며, 또한 기타 중계를 노드를 재선택하여 액세스한다.
이상 주요하게 제1 중계 노드 측으로부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 제2 중계 노드 측으로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이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제2 중계 노드에 적용될 때,
단계 61,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2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와 제1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61)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위의 단계에서, 제1 중계 노드는 해당 제1 중계 노드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2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와 제1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며, 따라서 제2 중계 노드가 링크를 통해 재선택하고 기타 중계 노드에 다시 액세스하도록 하며, 따라서 제1 단말의 통신 링크가 제1 중계 노드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장한다. 구체적인 링크 재선택 과정은 단말의 셀 스위칭과 유사하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상술한 첫번째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상술한 단계 61에서,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제1 중계 노드가 송신한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그 후,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지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고 자신과 제1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였을 경우, 또한 다음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1)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제1 단말의 액세스 노드일 때,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단말이 셀을 통해 기타 중계 노드로 재선택하거나 또는 스위칭되는 것을 트리거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2 중계 노드는 자신과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의 접속을 해제하여, 제1 단말을 포함하는 모든 단말더러 셀 재선택 또는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한다.
2)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제1 단말의 액세스 노드가 아닐 때,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제4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3 지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지시 메시지는 제4 중계 노드로 하여금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후속에, 제4 중계 노드는 상술한 제2 중계 노드와 유사한 처리 방식을 채용하여,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에 이를 수 있다.
여기서, 제2 중계 노드는 이하 방식에 따라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1)제2 중계 노드는 미리 설정된 검색 주기에 따라 액세스 및 사용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를 주기적으로 검색 및 업데이트하며, 및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아이들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중계 노드만을 포함할 경우,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검색 주기는 도너 기지국이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제2 중계 노드가 자체적으로 설정한 것일 수 있다. 해당 방식은 사용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색 및 업데이트하는 것을 통해,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현재의 사용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확정하며, 따라서 제1 단말의 트래픽을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다.
2)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를 검색하며, 제1 중계 노드 이외의 기타 중계 노드를 검색하지 못하였을 경우,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한다.
해당 방식은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검색을 진행하여, 제2 중계 노드의 검색 작업량을 줄이고, 제2 중계 노드의 작업 부하를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두번째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상술한 단계 61에서,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제1 중계 노드가 송신한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측정 보고를 보고하고, 또한 제1 중계 노드의 제어에 기초하여 스위칭을 진행하며, 기타 중계 노드(제3 중계 노드로 가정)로 스위칭되는 과정에서, 자신과 제1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에도 여전히 제3 중계 노드로 스위칭되지 않았을 경우, 또한 이하 방식에 따라 측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제1 중계 노드가 송신한 상위 레벨 링크 실패를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제4 중계 중계 노드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제4 중계 노드의 이벤트 트리거에 의한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처리를 통해, 제4 중계 노드가 제2 중계 노드 이외의 기타 중계 노드로 재선택되도록 한다. 유사하게,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에도, 제4 중계 노드가 여전히 성공적으로 스위칭되지 않은 경우, 제2 중계 노드는 제4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4 중계 노드는 상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하위 레벨 중계 노드(존재한다고 가정)에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이벤트 트리거에 의한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중의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까지 위의 처리를 중복한다.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가 여전히 기타 중계 노드로 성공적으로 스위칭되지 않은 경우,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는 자신과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의 접속을 차단하여, 제1 단말이 기타 중계 노드를 재선택하여 액세스 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도너 기지국이 각각의 중계 노드에 미리 구성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중계 노드(예컨대,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에 베어링되는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확정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세번째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상술한 단계 61에서,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제1 중계 노드가 송신한 제1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1 RRC 재구성 메시지는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RRC 재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해제한다. 후속에, 제2 중계 노드는 기타 중계 노드에 다시 액스하여, 제1 단말의 통신 링크를 회복할 수 있다.
이상 각각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측으로부터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링크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링크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데 제공하며,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은,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에 적용될 때,
단계 71, 상기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며; 및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상기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할 때,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7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상위 링크는, 상기 중계 노드로부터 도너 기지국 사이의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링크를 지칭한다.
상술한 단계 71에서, 상기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링크 경로의 상위 레벨 링크 실패 후, 또한 자신과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여, 이러한 단말이 액세스하는 중계 노드를 재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계 노드는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중계 노드는 해당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또한 해당 중계 노드 하의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며, 및 해당 중계 노드 하의 연결 상태의 단말에 해당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위의 단계를 통해, 상기 중계 노드는 상위 레벨 링크 실패 후, 하위 레벨 중계 노드(존재할 경우)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해당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는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발생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메시지는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에 의해 무선 백홀 경로 상의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 즉 제1 단말이 액세스하는 중계 노드로 홉-바이-홉 포워딩된다.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는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중계 노드(제1 단말을 포함) 사이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단말은 액세스하는 중계 노드를 재선택하여, 제1 단말로부터 도너 기지국 사이의 통신 링크를 회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계 71에서, 상기 중계 노드 자신이 직접 도너 기지국에 액세스할 경우, 즉 상기 중계 노드가 자신과 도너 기지국 사이의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기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중 직접 도너 기지국에 액세스하는 중계 노드가 아닐 경우, 상기 중계 노드는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송신한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또는 그와 상위 레벨 중계 노드 사이의 링크 실패를 검출한 후, 하위 레벨 중계 노드(존재할 경우)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위의 단계를 통해,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홉-바이-홉 포워딩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까지,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의 중계 노드는 자신과 모든 단말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단말이 액세스하는 중계 노드를 재선택하게 하고, 이러한 단말의 통신을 보장한다.
이상 두가지 실시예를 통해 본 개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에 대해 각각 소개하였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이상 두가지 실시예의 방안은 구체적인 시나리오에 따라 구성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두가지 방안은 네트워크 중에 병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8의 방안을 채용할 경우, 선행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도 5-6의 방안을 채용할 경우, 네트워크 중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도너 기지국은 모든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를 저장하며, 따라서 도너 기지국은 링크 실패가 발생한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접속한 단말의 수에 따라도 도 5-6의 방안을 채용할지 아니면 도 7-8의 방안을 채용할지를 결정한다. 예컨대, 도너 기지국은 링크 실패가 발생한 하위 레벨 중계 노드(하위 레벨 링크 중의 모든 중계 노드를 포함할 수 있음)가 접속한 단말 수에 기초하여, 단말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중 링크 실패가 발생한 링크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도 7의 방안을 채용하도록 구성하고, 즉 상기 단계 71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며, 단말 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중 링크 실패가 발생한 링크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도 5의 방안을 채용하도록 구성하고, 단계 51의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중 링크 실패가 발생한 링크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도 6의 방안을 채용하도록 구성하고, 단계 61의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중의 중계 노드는 도너 기지국이 구성한 처리 전략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처리 전략은 제1 처리 전략(도 5-6에 대응) 및 제2 처리 전략(도 7에 대응)을 포함한다.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링크 실패의 발생 후, 타깃 중계 노드는 미리 구성된 처리 전략 및 자신과 링크 실패가 발생한 실패 링크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1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실패 링크의 제1 단의 중계 노드일 때, 제1 단은 상기 실패 링크가 제1 단말 측에 근접해 있는 일단이며, 이때, 상기 타깃 중계 노드는 상기 단계 51의 작업을 수행하며, 즉 상기 타깃 중계 노드는 자신을 상기 단계 51 중의 제1 중계 노드로 하여, 대응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예컨대,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등이다.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1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실패 링크의 제1 단의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일 때, 상기 타깃 중계 노드는 상기 단계 61의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타깃 중계 노드는 자신을 상기 단계 61 중의 제2 중계 노드로 하여, 대응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예컨대,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2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와 제1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등이다.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2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실패 링크가 상기 타깃 중계 노드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일 때, 상기 타깃 중계 노드는 상기 단계 71의 작업을 수행하며, 예컨대, 타깃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 후, 해당 중계 노드와 상기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며; 및,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상기 타깃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할 때,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다.
각각의 관련 중계 노드의 구체적이 수행 작업은 위의 상응한 부분에 대한 소개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편폭을 절약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상술한 실시예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 진일보하여 도면 및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다음의 도면 및 예시에서의 단말은 UE를 예로 하고, 중계 노드는 IAB를 예로 하며, 도너 기지국은 Donor gNB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8에서, UE는 IAB6을 통해 IAB2에 접속되고, 또 IAB2를 통해 IAB1에 접속되며, IAB1은 Donor gNB에 접속된다. IAB1은 자신과 Donor gNB 사이의 무선 링크 실패를 검출하므로, IAB1는 링크 복구 과정을 트리거한다.
도 5-6의 구현 방식을 참조하면, IAB1은 IAB2에 제시 메시지를 송신하며, IAB2는 자체적으로 링크를 복구한다.
IAB2의 자체적인 링크 복구 방법에 있어서, 이하 1-3 세가지 방식이 있다:
방식 1: IAB 노드는 우선 복구를 책임진다.
해당 방식 1은 구체적으로 방식 1a-1c를 더 포함한다.
방식 1a: 신규 시그널링 지시법
방식 1a에서, IAB1은 IAB2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다. IAB2는 IAB1이 송신한 상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IAB2는 주동 링크 재선택을 트리거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IAB2는 아이들 상태에 진입하며, 또한 IAB4로 재선택되어, IAB4를 통해 Donor gNB에 진입한다.
또한, IAB1에 접속된 UE 또한 트래픽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IAB1은 두가지 선택이 있다:
1)IAB1은 자신과 모든 UE와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IAB1에 접속된 UE더러 자체적으로 기타 IAB 노드를 찾다 다시 액세스하게 한다.
2) IAB1은 IAB2 에 역연결되여, IAB2의 하위 레벨 노드로 된다.
IAB2가 IAB1의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를 수신한 후, IAB2가 적합한 상위 레벨 노드를 찾지 못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IAB2는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지시 메시지를 IAB6에 포워딩하며, IAB6에 의해 신규 노드를 찾아 스위칭한다. IAB6이 IAB2가 송신한 상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IAB2가 주동 링크 재선택을 트리거할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IAB6은 아이들 상태에 진입하며, 또한 IAB4로 재선택되어, IAB4를 통해 Donor gNB에 진입한다.
IAB1의 거동과 유사하게, IAB2 또한 두가지 처리 방식이 있을 수 있다:
1)IAB2는 자신과 모든 UE와의 접속을 오프하며, IAB2에 접속된 UE더러 자체적으로 기타 IAB 노드를 찾게 한다.
2) IAB2는 IAB6에 역연결되여, IAB6의 하위 레벨 노드로 된다.
여기서, IAB2는 이하 두가지에 따라 적합한 상위 레벨 노드가 없는 것을 확정한다:
1)주기적 검색:
gNB는 주기를 구성하고, 또는 IAB2는 자체적으로 주기를 발생시킨다. 각 주기는 한번 검색하고, 검색하지 못하였을 경우, 적합한 상위 레벨 노드가 없다고 묵인한다. IAB2는 IAB1로부터의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IAB로 즉시 포워딩한다.
2)이벤트 트리거 검색:
IAB2는 IAB1로부터의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스위칭될 수 있는 적합한 상위 레벨 노드를 검색하기 시작한다. 검색하지 못하였을 경우, IAB1로부터의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IAB6으로 포워딩한다.
방식 1b: 스위칭 파라미터 조정법
이 방식에서, IAB1은 IAB2의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IAB2 셀이 예컨대 IAB4와 같은 기타 셀로 스위칭되는 것을 트리거한다.
IAB1이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거나, 또는 네트워크 중에 IAB2 스위칭을 위한 적합한 IAB4가 없음으로 인해, 타이머가 정의한 미리 설정된 시간에 IAB2가 여전히 스위칭되지 않을 경우, IAB1은 IAB2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고, IAB2는 상술한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 후, IAB6의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며, IAB6더러 기타 상위 IAB 노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시도하게 한다.
여기서, 상술한 타이머의 구현 방식은 이하 여러가지가 있다:
1)DgNB는 IAB 노드의 타이머 timer1을 구성하고, IAB1가 IAB2의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할 때, 예컨대,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한 후, timer1을 시동한다. timer1이 시간이 초과되었을 때, IAB2가 아직 스위칭되지 않았다면, IAB1는 IAB2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고, IAB2는 수신한 후 IAB6의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며, 방법 1b의 방법을 계속 사용하여 IAB6이 기타 상위 레벨 IAB 노드로 스위칭되게 한다.
2)IAB 노드는 무선 백홀 경로에 트래픽의 QoS가 베어링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용 가능한 시간 지연 요구를 분석하며, 또한 자체적으로 타이머1을 생성한다. 그 후, 상술한 제1) 방식의 유사한 처리를 채용하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방법 1c: MIB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UE 및 하위 레벨 IAB가 모두 액세스하지 못하게 한다.
MIB 파라미터 표의 한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MIB ::= SEQUENCE {
systemFrameNumber BIT STRING (SIZE (6)),
subCarrierSpacingCommon ENUMERATED {scs15or60, scs30or120},
ssb-SubcarrierOffset INTEGER (0..15),
dmrs-TypeA-Position ENUMERATED {pos2, pos3},
pdcch-ConfigSIB1 INTEGER (0..255),
cellBarred ENUMERATED {barred, notBarred},
intraFreqReselection ENUMERATED {allowed, notAllowed},
spare BIT STRING (SIZE (1))
}
각각의 IAB는 모두 자신의 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 MIB 메시지는 RRC 메시지에 속한다. IAB는 가능하게 RRC 기능을 가지지 않으므로, IAB가 브로드캐스트한 MIB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DgNB가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도 8에서, IAB1의 단말 무선 기능(MT, Mobile Terminal)과 DgNB 사이에 RLF(무선 링크 실패)가 발생하므로, IAB1는 DgNB로부터 새로운 MIB 메시지를 획득할 수 없다. IAB1은 RLF가 생성되는 것을 스스로 알고 있으므로, IAB1는 자체적으로 MIB 메시지를 설정하여, UE 및 하위 레벨 IAB 노드가 IAB1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예컨대, IAB1는 MIB 메시지 중의 cellBarred 파라미터를 {barred }로 설정하고, 그 후 관련 기술 중의 NR 기술을 채용하여 UE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IAB1는 상술한 cellBarred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그 후 아이들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UE에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송신하여, 이러한 UE가 MIB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술한 cellBarred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더 나아가 IAB1와의 접속을 해제하게 할 수 있다. 연결 상태의 UE에 있어서, IAB1는 부분 대역폭(BWP)을 스위칭하기 위한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고, 또한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 중 상술한 MIB 메시지 내용(상술한 cellBarred 파라미터)이 캐리되는것을 채용하여, 연결 상태 UE가 상술한 cellBarred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더 나아가 IAB1 접속을 해제하게 할 수 있다.
방식 2: UE 복구 링크
이러한 방식에서, IAB1은 IAB2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고, IAB2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링크 재선택을 트리거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하여 하위 레벨 IAB 노드 IAB6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지시 메시지를 포워딩하며, 스텝-바이-스텝 포워딩을 통해, 무선 백홀 경로 상의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에 이른다. 마지막 레벨의 중계 노드는 예컨대 IAB6과 같다. IAB1, IAB2, IAB6은 자신과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며, 구체적인 해제 방식은: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해당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또한 해당 중계 노드 하의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며, 및 해당 중계 노드 하의 연결 상태의 단말에 해당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방식 3: Donor gNB 구성
위에서 제기된 두가지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 중에서 병존할 수 있다. 방식 2에 있어서, UE의 수가 비교적 클 때, 비교적 큰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네트워크에 제공될 것이다. 방식 1에 있어서, 대량의 데이터의 선행 전송이 수반될 수 있다. 그러나 Donor gNB는 모든 UE의 경로를 저장하므로, Donor gNB는 링크 실패가 발생한 하위 레벨 IAB 노드가 접속한 UE 수에 기초하여 방식 1 아니면 방식 2를 채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Donor gNB가 각 레벨의 IAB 노드가 접속한 UE를 어떻게 획득하는지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는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하 진일보하여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는 기기를 제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무선 중계 노드(1100)의 일 구조 예시도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무선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이며, 프로세서(1101), 송수신기(1102), 메모리(11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무선 중계 노드(1100)는 메모리(1103)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101)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1101)는 메모리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를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도 11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1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102)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1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1103)는 프로세서(1101)가 작업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101)는 또한, 상기 송수신기(1102)가 제2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1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및 제2 중계 노드가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제2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또한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중계 노드를 상위 레벨 중계 노드로 하여,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또한 상기 송수신기(1102)가 제2 중계 노드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또한,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에도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여전히 상기 제3 중계 노드로 스위칭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2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지시하여, 제4 중계 노드의 이벤트 트리거에 의한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또한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자신과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의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중계 노드를 상위 레벨 중계 노드로 하여,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도너 기지국이 미리 구성하거나 또는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에 캐리되는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101)는 또한, 상기 송수신기(1102)가 제2 중계 노드에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는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며; 및 제2 중계 노드가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102)는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1)가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제1 중계 노드 하의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및 제1 중계 노드 하의 연결 상태의 단말에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제2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무선 중계 노드(120)의 또 다른 구조를 제공하고, 상기 제1 무선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이며, 도 12에 되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1 무선 중계 노드(120)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유닛(12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해제 유닛은,
제2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1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유닛 -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가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제2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중계 노드를 상위 레벨 중계 노드로 하여,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1 액세스 관리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해제 유닛은,
제2 중계 노드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유닛 -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중계 노드 제3 송신 유닛은,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에도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여전히 상기 제3 중계 노드로 스위칭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2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지시하여, 제4 중계 노드의 이벤트 트리거에 의한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중계 노드의 제2 액세스 관리 유닛은,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자신과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의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중계 노드를 상위 레벨 중계 노드로 하여,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도너 기지국이 미리 구성하거나 또는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에 캐리되는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확정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해제 유닛은,
제2 중계 노드에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유닛 - 상기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는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함 -; 을 포함하며, 제2 중계 노드가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중계 노드의 제3 액세스 관리 유닛은,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또한 제1 중계 노드 하의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며, 및 제1 중계 노드 하의 연결 상태의 단말에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제2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2 무선 중계 노드(1300)의 일 구조 예시도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제2 중계 노드에 적용되며, 프로세서(1301), 송수신기(1302), 메모리(13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2 무선 중계 노드(1300)는 메모리(1303)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301)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1301)는 메모리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2 중계 노드와 제1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도 13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3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302)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3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1303)는 프로세서(1301)가 작업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302)은 제1 중계 노드가 송신한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1301)는 상기 제1 지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고 자신과 제1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1)는 또한,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였을 경우,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제1 단말의 액세스 노드일 때,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제1 단말이 셀을 통해 기타 중계 노드로 재선택하거나 또는 스위칭하는 것을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며; 및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제1 단말의 액세스 노드가 아닐 때,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제4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3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지시 메시지는 제4 중계 노드로 하여금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1)는 또한, 미리 설정된 검색 주기에 따라 액세스 및 사용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를 주기적으로 검색 및 업데이트하며, 및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아이들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중계 노드만을 포함할 경우,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를 검색하며, 제1 중계 노드 이외의 기타 중계 노드를 검색하지 못하였을 경우,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302)는 또한, 제2 중계 노드가 송신한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1301)는 또한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3 중계 노드로 스위칭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제1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1302)는 또한,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에도 여전히 상기 제3 중계 노드로 스위칭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제1 중계 노드에서 송신한 상위 레벨 링크 실패를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중계 중계 노드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제4 중계 노드의 이벤트 트리거에 의한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1302)는 또한, 제1 중계 노드가 송신한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는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며;
상기 프로세서(1301)는 또한, 상기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2 무선 중계 노드(140)의 또 다른 구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무선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이며, 도 14에 되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2 무선 중계 노드(140)는,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2 중계 노드와 제1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유닛(14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해제 유닛은 또한 제1 중계 노드가 송신한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지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고 자신과 제1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 무선 중계 노드(140)는,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였을 경우,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제1 단말의 액세스 노드일 때,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단말이 셀을 통해 기타 중계 노드로 재선택하거나 또는 스위칭하는 것을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제1 단말의 액세스 노드가 아닐 때,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4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3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재선택 스위칭 유닛 - 상기 제3 지시 메시지는 제4 중계 노드로 하여금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무선 중계 노드(140)는,
미리 설정된 검색 주기에 따라 액세스 및 사용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를 주기적으로 검색 및 업데이트하며, 및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아이들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중계 노드만을 포함할 경우,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기 위한 것임; 또는,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를 검색하며, 제1 중계 노드 이외의 기타 중계 노드를 검색하지 못하였을 경우, 액세스 가능한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정하기 위한 판단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해제 유닛은 또한 제2 중계 노드가 송신한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며;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3 중계 노드로 스위칭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제1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 무선 중계 노드(140)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에도 여전히 상기 제3 중계 노드로 스위칭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송신한 상위 레벨 링크 실패를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 제4 중계 중계 노드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조정 유닛 -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제4 중계 노드의 이벤트 트리거에 의한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임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해제 유닛은 또한, 제1 중계 노드가 송신한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무선 중계 노드(1500)의 일 구조 예시도를 제공하고, 상기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이며, 프로세서(1501), 송수신기(1502), 메모리(15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중계 노드(1500)는 메모리(1503)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501)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1501)는 메모리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상기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할 때,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5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502)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5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1503)는 프로세서(1301)가 작업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501)는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이전에, 자신과 상위 레벨 노드 사이의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송신한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501)는 또한 상기 송수신기가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시키고, 해당 중계 노드와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임; 또는, 해당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해당 중계 노드 하의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및 해당 중계 노드 하의 연결 상태의 단말에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제2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중계 노드(160)의 또 다른 구조 예시도를 제공하고, 상기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이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중계 노드(160)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유닛(161); 및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상기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할 때,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 유닛(162);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162)은 또한 해당 해제 유닛이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이전에, 자신과 상위 레벨 노드 사이의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위 레벨 중계 노드가 송신한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162)은 또한,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시키고, 해당 중계 노드와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해당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해당 중계 노드 하의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및 해당 중계 노드 하의 연결 상태의 단말에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제2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타깃 중계 노드(1700)의 일 구조 예시도를 제공하며, 상기 타깃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폴백 경로상의 중계 노드이며, 프로세서(1701), 송수신기(1702), 메모리(17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중계 노드(1700)는 메모리(1703)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701)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1701)는 프로세서는 메모리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미리 구성된 처리 전략 및 자신과 링크 실패가 발생한 실패 링크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1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실패 링크의 제1 단의 중계 노드일 때, 상기 제1 단은 상기 실패 링크가 제1 단말 측에 근접해 있는 일단이며,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타깃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이며;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1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실패 링크의 제1 단의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일 때, 타깃 중계 노드와 제1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며,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이며;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2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실패 링크가 상기 타깃 중계 노드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일 때,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며; 및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상기 타깃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할 때,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1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7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702)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7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1703)는 프로세서(1701)가 작업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701)는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1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실패 링크의 제1 단의 중계 노드일 때, 도 11에서의 프로세서(1101)가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701)는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상기 제1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가 상기 실패 링크의 제1 단의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일 때, 도 13에서의 프로세서(1301)가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701)는 또한 상기 타깃 중계 노드에 제2 처리 전략을 구성하고, 또한 상기 실패 링크가 상기 타깃 중계 노드의 상위 레벨 중계 노드일 때, 도 15에서의 프로세서(1501)가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을 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방식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은 상응한 소트트웨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판독 디스크, 또는 본영역에 널리 알려져 있는 기타 임의의 형식의 저장매체에 저장 될수 있다. 일종의 실시예의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하고, 해당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 부분 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위치될 수 있다. 그외, 해당 ASIC은 코어망 인터페이스 기기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코어망 인터페이스 기기중에 존재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술한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에서, 본개시에서 설명한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현할 경우, 이러한 기능을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상의 하나 또는 복수의 명령 또는 코드로 송신을 진행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와 통신 매체를 포함하며, 통신 매체는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용이하게 컴퓨터 프로그램을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일반적으로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 매체 일 수 있다.
이상,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과제, 기술방안 및 유익한 효과에 대해 진일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이상은 본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특정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정, 등가 교체, 변경 될 수 있으며, 이는 응당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메모리, CD-ROM, 광학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음) 상에서 실시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형태를 취할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따른 방법, 기기(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중의 각 플로우 및/또는 블록을 실현하고, 및 플로우 차트 및/또는 블록도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의 결합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기계를 생성하기 위한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임베딩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이 플로우 차트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기기를 특정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인도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의 제조품을 생성하고, 해당 명령 장치는 플로우 차트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사용자 기기에 탑재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사용자 기기 상에서 일련의 조작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가 구현하는 처리를 생성하고,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사용자 기기 상에서 수행하는 명령은 플로우 차트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우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단계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중간 소자,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SP Device, DSPD),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기기(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개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타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개시된 상기 기능의 모듈(예컨대, 과정 또는 함수 등)로 본개시의 상술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실행는데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본 개시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다양한 변동과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이러한 변동과 변형이 본 개시의 청구항 및 그 동등한 기술의 보호 범위 내에 있으면, 본 개시는 또한 이러한 변동과 변형을 포함하는데 의도가 있다.

Claims (43)

  1.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제1 중계 노드에 적용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인,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제2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1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가 링크 재선택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제2 중계 노드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중계 노드를 상위 레벨 중계 노드로 하여,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제2 중계 노드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가 제3 중계 노드로 스위칭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에도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여전히 상기 제3 중계 노드로 스위칭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의 제2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2 지시 메시지는 제2 중계 노드로 하여금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지시하여, 제4 중계 노드의 이벤트 트리거에 의한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중계 노드는 상기 제2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인;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자신과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의 접속을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중계 노드를 상위 레벨 중계 노드로 하여, 상기 제2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도너 기지국이 미리 구성하거나 또는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에 베어링되는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기초하여 확정한 것인,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제2 중계 노드에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는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함 -; 및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제2 중계 노드가 제1 중계 노드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또한 제1 중계 노드 하의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며, 및 제1 중계 노드 하의 연결 상태의 단말에 제1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제2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10.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에 적용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 노드는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상기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할 때,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중계 노드가 자신과 상위 레벨 노드 사이의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중계 노드가 상위 레벨 중계 노드에서 송신한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는,
    해당 중계 노드 하의 단말에 스위칭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의 측정 보고의 보고 임계값을 감소시키고, 해당 중계 노드와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것임 -; 또는,
    해당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또한 해당 중계 노드 하의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며, 및 해당 중계 노드 하의 연결 상태의 단말에 해당 중계 노드에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는 셀의 마스터 정보 블록(MIB) 파라미터를 캐리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고, 해당 중계 노드와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13. 제1 중계 노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중계 노드이며,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의 발생을 검출한 후, 제1 중계 노드와 제2 중계 노드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계 노드는 상기 제1 중계 노드가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인,
    제1 중계 노드.
  14. 중계 노드에 있어서,
    상기 중계 노드는 제1 단말의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의 상위 레벨 무선 링크 실패 후, 해당 중계 노드와 모든 단말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유닛; 및
    상기 무선 백홀 경로 상에 상기 중계 노드의 하위 레벨 중계 노드가 존재할 때, 하위 레벨 중계 노드에 상위 레벨 링크 실패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 유닛;
    을 포함하는 중계 노드.
  15.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217009539A 2018-08-31 2019-08-19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 KR102442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015469.7 2018-08-31
CN201811015469.7A CN110876175B (zh) 2018-08-31 2018-08-31 链路中断的处理方法、中继节点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PCT/CN2019/101314 WO2020042945A1 (zh) 2018-08-31 2019-08-19 链路中断的处理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549A KR20210048549A (ko) 2021-05-03
KR102442932B1 true KR102442932B1 (ko) 2022-09-13

Family

ID=6964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539A KR102442932B1 (ko) 2018-08-31 2019-08-19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04348A1 (ko)
EP (2) EP4301082A3 (ko)
KR (1) KR102442932B1 (ko)
CN (1) CN110876175B (ko)
WO (1) WO2020042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07212A1 (en) * 2018-09-27 2022-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node failure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direction information therein
US11438820B2 (en) * 2019-09-16 2022-09-06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determination between relays
CN116134865A (zh) * 2020-07-13 2023-05-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20230284116A1 (en) * 2020-10-16 2023-09-07 Qualcomm Incorporated Relay reselection and link release messaging in relay reselection procedures
CN112261627B (zh) * 2020-10-20 2024-04-23 河南省四通锅炉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锅炉温度无线监测数据的高速传输方法及系统
US11722912B2 (en) 2021-01-25 2023-08-08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failure handling in an integrated access backhaul network
CN117222054A (zh) * 2021-02-05 2023-12-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状态转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30171605A (ko) * 2022-06-14 2023-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및 비활성모드 단말의 nes 모드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7651296A (zh) * 2022-09-21 2024-03-0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于终端间中继通信的处理方法及ue
CN116033413B (zh) * 2023-01-30 2023-08-29 广州爱浦路网络技术有限公司 中继通信的隐私安全增强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3507A (zh) * 2016-07-12 2018-01-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链路失效的处理方法、设备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2805B2 (en) * 2008-10-24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Cell relay packet routing
CN102892131B (zh) * 2011-07-21 2018-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回传链路中断时中继节点管理用户设备的方法和系统
EP2793500B1 (en) * 2011-11-25 2017-09-13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lay station
CN103686911B (zh) * 2012-09-14 2017-08-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切换的方法和设备
US10440688B2 (en) * 2016-01-14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ame structures and signaling techniques for a unified wireless backhaul and access network
US10433220B2 (en) * 2016-08-19 2019-10-01 Sprint Spectrum L.P. Dynamic handover threshold adjustment for load balancing
WO2018084669A1 (en) * 2016-11-04 2018-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rovisio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3507A (zh) * 2016-07-12 2018-01-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链路失效的处理方法、设备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1082A2 (en) 2024-01-03
WO2020042945A1 (zh) 2020-03-05
EP4301082A3 (en) 2024-04-03
EP3846546A4 (en) 2021-11-03
EP3846546B1 (en) 2023-12-20
KR20210048549A (ko) 2021-05-03
CN110876175A (zh) 2020-03-10
CN110876175B (zh) 2021-07-16
US20210204348A1 (en) 2021-07-01
EP3846546A1 (en)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932B1 (ko) 링크 인터럽트 처리 방법 및 기기
US891770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in a wireless network
TWI468036B (zh) 初始交遞先預備的方法及其相關通訊裝置
CN109379768B (zh) 一种电路域交换回落的方法及终端设备
RU2763519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EP3236692B1 (en) Method for triggering terminal handover by access point
CN110636562A (zh) 一种无线回程路径的数据处理方法和设备
US101720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ally constructing virtual cell
JP2011259206A (ja) 無線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JP5958724B2 (ja) 通信システム
KR20210119505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JP2011259207A (ja) 無線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53078B1 (ko) 통신 시스템
WO2011155511A1 (ja) 無線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1509548A (ja) ハンドオーバ方法、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JP5589067B2 (ja) 異なる無線技術の周辺セルのシグナリングの連続する検索の間の時間間隔の増加
CN114258091A (zh) 数据无损失切换
TW202008842A (zh) 一種保證數傳輸可靠性的方法及裝置
CN115706645A (zh) Ul定位参考信号的激活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4390620A (zh) 一种下行数据传输方法、装置、中继节点及网络设备
WO2020061994A1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WO2020019329A1 (zh) 一种寻呼消息处理方法及装置
WO2023066385A1 (zh) 测量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315096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ling a relay link with tau and rnau in l2 u2n relay case
EP426226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