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848B1 - 지혈부직포 - Google Patents

지혈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848B1
KR102442848B1 KR1020220058989A KR20220058989A KR102442848B1 KR 102442848 B1 KR102442848 B1 KR 102442848B1 KR 1020220058989 A KR1020220058989 A KR 1020220058989A KR 20220058989 A KR20220058989 A KR 20220058989A KR 102442848 B1 KR102442848 B1 KR 102442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static
nonwoven fabric
fibers
presen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예원
양대혁
편도기
윤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to KR102022005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F13/00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부 10~30의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 중량부 20~50의 키토산 섬유; 및 중량부 20~40의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가 포함된 지혈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혈부직포{Hemostatic Nonwoven}
본 발명은 지혈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섬유, 키토산 섬유 및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로 지혈효과, 항균성 및 습윤환경 유지로 상처치료에 효과적인 지혈부직포이다.
다양한 환경에서, 인간을 포함한 동물은 상처를 입을 수 있다. 종종 출혈이 이러한 상처에 수반된다. 몇몇의 경우에서, 상처 및 출혈은 위험하지 않고, 외부에서의 도움 없이 일반적인 혈액 응고 작용이 출혈을 정지시킨다. 불행히도 다른 경우에서는, 상당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과다출혈은 사람의 생명을 순식간에 위태롭게 만들어, 사망에 이르도록 만드는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이며, 미국에서는 연간 5만명 이상이 과다출혈로 사망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초기 효과적인 출혈 억제만으로도 생존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기에 전장, 일상 응급상황, 수술실에서 지혈제의 사용은 매우 필수적이다.
인류는 오래 전부터 출혈이 발생했을 시에 이를 조기에 막을 수 있는 지혈제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 왔고,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출혈과 피부 손상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제형이 개발되었다.
액상 또는 파우더형 지혈제를 상처부위에 도포하는 방법은 지혈제의 성분이 외부오염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해 냉장 또는 냉동보관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출혈부위에 정확하게 적용이 어렵고 압박에 의한 추가처지가 곤란하였으며, 지혈 후 환부에서 제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일반적인 거즈나 붕대의 경우에는 경미한 출혈에는 지혈의 효과가 있으나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심한 출혈에는 그 적용에 한계가 있고, 산화 셀룰로오스와 소디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지혈제는 혈액 응고능력과 상처부착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콜라겐 상처 드레싱 또는 건조 피브린이나 트롬빈 상처 드레싱과 같은 현재 이용 가능한 지혈 밴드는 수술 적용에서의 사용이 제한되고, 특히 과다출혈성(hemorrhagic) 출혈과 같이 혈액 흐름이 빠른 경우 쉽게 용해되어 사용에 제한이 따르고,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압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재 이용 가능한 수술적 지혈 밴드는 또한 연약하고 따라서 압력으로 벤딩(bending) 또는 로딩(loading)에 의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콜라겐계 지혈제는 가격이 높고, 제품 간의 물성 편차가 크며, 보관성이 취약하며, 트롬빈, 피브리노겐함유 지혈제는 처치시 감염 위험성과 과민 반응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 외, 혈액 내에서 응혈 형성의 촉진을 위해 제올라이트와 같은 무기물계 지혈제도 연구되었으나, 혈액의 응고에서 이러한 활성화 제올라이트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은 발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발열 현상이 개선된 무기물계 지혈 제품도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과다 출혈에 적용하기에 혈액 응고 능력이 뛰어나지는 않는다.
따라서 종래에 연구되었던 지혈제 보다 더 개선된 우수한 혈액 응고 특성과 지혈 기능 및 습윤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지혈제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147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6453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균 및 지혈효과가 우수하며 습윤환경을 조성하고, 보관 및 상처 도포성이 뛰어난 지혈부직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 최적의 효과를 발현하기 위해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키토산 섬유 및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가 혼합된 지혈부직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량부 10~30의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 중량부 20~50의 키토산 섬유; 및 중량부 20~40의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가 포함된 지혈부직포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는 건조감량 25%이하, 흡수도 15g/g이상 및 pH 5.0~8.0인 특징이 있는 지혈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는 건조감량 25%이하, 흡수도 8g/g이상 및 pH 5.0~8.0인 것에 특징이 있는 지혈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키토산 섬유는 건조감량 15%이하, 탈아세틸화 70~90%, 점도 200 mpaㆍs(1% sol.) 이하 및 pH 5.0~8.0(1% sol.)인 것에 특징이 있는 지혈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혈부직포의 일면에 지지층이 결합된 것에 특징이 있는 지혈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 키토산 섬유 및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가 혼합된 지혈부직포를 이용하여 상처부위에 향균 및 지혈효과가 우수하며 습윤환경을 조성하고, 보관 및 상처 도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타사제품과의 지혈성을 보여주는 사진(a), 지혈시간(b), 출혈량(c), 및 혈액응고지수(BCI)(d)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타사제품과의 혈액응고 효과에 대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타사제품과의 미응고 혈액 용출에 대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타사제품과의 상처치유효과에 대한 사진이다.
도 5는 지혈부직포의 구성성분에 따른 흡수도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지혈부직포의 구성성분에 따른 혈액응고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지혈부직포의 표면 및 단면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지혈부직포의 항균성에 대한 사진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구성함량비율에 따른 흡수도 및 혈액응고지수(BCI)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 키토산 섬유; 및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가 포함된 지혈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라 함은, 섬유를 직포 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여, 섬유간의 기계적인 얽힘, 또는 수지 접착제의 첨가, 열융착, 또는 화학적 복합체의 형성을 통하여 결합되어 얻어지는 섬유 구조체의 일종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직포는 습식(또는 침지식 또는 초지식이라고도 함), 건식, 스펀 레이스, 전기방사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건식 부직포는 접착제를 섬유 상에 침투시켜 건조 공정을 거쳐 제조하는 케미컬 본딩 부직포, 저융점의 가소성을 지닌 섬유를 혼합하여 열 또는 압력 등으로 착화하거나 녹여서 섬유조직을 결합시켜 제조하는 써멀본딩(thermal bonding) 부직포, 압축공기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에어레이(air lay) 부직포, 섬유를 특수 바늘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웹(Web)를 결합시켜 제조되는 니들펀칭 부직포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니들펀칭 부직포가 바람직하나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머서화 및 에테르화 가공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 백색 또는 미색의 섬유로 건조감량 25%이하, 흡수도 15g/g이상 및 pH 5.0~8.0의 물성을 가지며, 수용성 및 고흡액성 소재로 혈액 및 삼출물을 빠르게 흡수 및 습윤환경 조성효과가 있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섬유의 길이는 0.1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섬유길이가 0.1mm 미만이면, 섬유간 결합력이 저하되어 형태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는 건조감량 25%이하, 흡수도 8g/g이상 및 pH 5.0~8.0이다.
창상치유를 촉진하고 조직재생을 활성화하는 여러 가지 드레싱 재료 및 물질 중에 알긴산은 전체적으로 무독성과 점성용액 및 겔을 형성하는 물성과 더불어서 조직 내에 이식되었을 때 염증의 정도가 감소하고 조직세포의 접근, 부착, 함입 및 성장을 촉진할 뿐 아니라 알긴산에 의해 생성이 촉진된 세포들은 그 표현형이 잘 유지되어 조직재생을 위한 재료로서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혈액 및 삼출물을 빠르게 흡수하여 습윤환경 조성뿐만 아니라 Ca2+ 방출로 지혈 촉진효과가 있다.
알긴산은 염화칼슘 수용액을 응고욕으로 하여 상온에서도 손쉽게 방사가 가능한데 이런 알긴산 섬유로 부직포를 제조해 만든 창상피복재로 칼토스타트(Kaltostat, Convatec사, USA), 테가겐(Tegagen®, 3M, USA), 솔바곤(Sorbalgon®, Hartmann, 독일) 솔브산(Sorbsan®, Berlek,영국)등이 시판되고 있다.
알긴산섬유로 만들어진 창상피복재는 "수분치유(moist healing)개념" 즉, 약간의 수분이 창상치유에 도움이 된다는 이론에 가장 적합한 창상치유재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이 분야의 시장규모는 해마다 약 40%이상의 성장을 하고 있다.
키토산 섬유는 고순도 천연키토산을 그대로 섬유화하였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부작용이 없으며 항균 방취 면역력 향상 등 키토산의 고유한 기능 때문에 피복용 또는 의료용 섬유로 아주 좋은 제품이 될 수 있다. 키토산 섬유는 일반적으로 고순도 천연키토산을 용해한 키토산 용액을 방사노즐을 통하여 압출하여 방사한 후 이를 수산화나트륨, 황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되는 알칼리금속염을 함유하는 알칼리 수용액으로 구성된 응고액 속에서 중화반응에 의해 응고시켜 제조한다. 키토산 섬유는 양이온성 천연고분자로 음전하를 띠는 혈구세포와 결합하여 혈병을 빠르게 형성해 지혈하고 항균성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키토산 섬유는 수용성으로, 건조감량 15%이하, 탈아세틸화 70~90%, 점도 200 mpaㆍs(1% sol.) 이하 및 pH 5.0~8.0(1% sol.)의 물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중량부 10~30의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 중량부 20~50의 키토산 섬유; 및 중량부 20~40의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로 혼합한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 섬유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이면, 체액과 접촉했을 때 겔화 특성이 미약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습윤시 인장 강도 향상을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지혈부직포의 일면에 지지층이 결합된 적층구조로 가능하며, 상기 지지층에는 코튼 메쉬, 폴리에틸렌 메쉬 또는 코튼 거즈를 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30g, 키토산 섬유 40g 및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 30g을 개섬혼섬하고 이물질 제거를 위해 에어서클레이션으로 균일혼섬의 혼타면을 거쳐 단섬유를 제거하기 위해 카팅으로 웹을 형성하고 크로스랩핑으로 웹을 적층 후 니들펀칭으로 100g/m2 지혈부직포를 만든다. 상기 니들펀칭과정은 일반적인 공정이면 어떤 조건에서도 가능하다.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실시예 2는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20g, 키토산 섬유 50g 및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 40g를 개섬혼섬하고, 실시예 3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10g, 키토산 섬유 20g 및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 20g를 개섬혼섬한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일면에 지지층인 코튼 거즈를 함께 니들펀칭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비교예 1-1은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 100g, 비교예 1-2는 키토산 섬유 100g, 비교예 1-3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 100g으로 부직포를 구성하며,
비교예 2는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 50g 및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 50g,
비교예 3은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 50g 및 키토산 섬유 50g,
비교예 4는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 50g 및 키토산 섬유 50g으로 구성된 부직포이다.
비교예 5는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8g, 키토산 섬유 30g 및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 30g,
비교예 6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35g, 키토산 섬유 40g 및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 30g,
비교예 7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40g, 키토산 섬유 50g 및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 30g으로 구성된 부직포이다.
<타사제품>
타사제품 A는 카올린이 함침된 부직포제품(QuickClot 상품)
타사제품 B는 키토산이 포함된 부직포제품(CELOX 상품)
도 1은 본 발명과 타사제품과의 지혈성을 보여주는 사진(a), 지혈시간(b), 출혈량(c), 및 혈액응고지수(BCI)(d)에 대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 실시예 1의 성분으로 구성된 니들펀칭 부직포는 일반거즈, 타사제품 A,B와 비교해서 지혈시간, 출혈량, 혈액응고지수(BCI)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타사제품과의 혈액응고 효과에 대한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타사제품과의 미응고 혈액 용출에 대한 사진이다. 타사제품 대비 실시예 1 및 2는 흡수된 혈액을 빠르게 응고하여 미응고 혈액이 용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타사제품과의 상처치유효과에 대한 사진이다. 본 발명 실시예 1은 거즈, 타사제품 A, CMC 부직포 제품에 비해 동물실험결과, 창상치료용 드레싱재 수준의 우수한 상처치유효과 검증되었다.
도 5는 지혈부직포의 구성성분에 따른 흡수도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단독성분(비교예 1-1) 및 2성분 혼합부직포(비교예 2~4)는 시험용액에 용해 및 섬유 탈락에 의해 3성분 혼합부직포(실시예 1)에 비해 흡수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칼슘 알지네이트(Ca-Alginate)의 형태안정성과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키토산(CMC-Chitosan)의 이온 콤플렉스로 인해 부직포의 형태안정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흡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도 6은 지혈부직포의 구성성분에 따른 혈액응고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비교예 1-1~1~3으로 단독성분 부직포의 혈액응고지수 및 혼합부직포의 혈액응고지수를 비교한 것으로 2성분 혼합부직포의 겔차단(gel blocking)에 의해 혈액이 부직포 내부로 느리게 흡수되어 혈액응고 효율이 감소됨을 알 수 있어, 2성분 혼합부직포보다 3성분 혼합부직포의 혈액응고성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지혈부직포의 표면 및 단면의 사진이다.
칼슘 알지네이트(Ca-Alginate)와 달리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CMC)-키토산(Chitosan)은 혈액을 흡수함에 따라 이온컴플렉스를 형성하고, 겔차단(gel blocking) 현상이 발생하고,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CMC)-키토산(Chitosan) 2성분 혼합부직포는 겔차단(gel blocking)에 의해 혈액을 빠르게 흡수하지 못해 혈액응고 효율이 감소된다.
실시예 1은 칼슘 알지네이트(Ca-Alginate)에 의해 겔차단(gel blocking) 현상완화로 혈액흡수속도가 개선되어 흡수도 증가뿐만 아니라 혈병 형성의 효율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지혈부직포의 항균성에 대한 사진이다.
키토산(Chitosan)의 우수한 항균작용으로 키토산(Chitosan)이 함유된 혼합부직포의 균 감소율 우수하고, 키토산(Chitosan)이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CMC)와 이온결합하여 콤플렉스를 형성함에 따라 항균작용이 감소되나 칼슘 알지네이트(Ca-Alginate) 혼합에 의해 개선 가능하나, 흡수도 및 혈액응고성능, 항균특성이 가장 우수한 3성분 혼합부직포를 최종 구성성분의 실시예 1이 가장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구성함량비율에 따른 흡수도 및 혈액응고지수(BCI) 그래프이다.
본 발명 실시예 1~3인 중량부 10~30의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 중량부 20~50의 키토산 섬유; 및 중량부 20~40의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의 구성범위에서 다른 범위보다 흡수도 및 혈액응고지수(BCI)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중량부 10~30의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 중량부 20~50의 키토산 섬유; 및 중량부 20~40의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가 포함된 지혈부직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섬유는 건조감량 25%이하, 흡수도 15g/g이상 및 pH 5.0~8.0인 특징이 있는 지혈부직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는 건조감량 25%이하, 흡수도 8g/g이상 및 pH 5.0~8.0인 것에 특징이 있는 지혈부직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 섬유는 건조감량 15%이하, 탈아세틸화 70~90%, 점도 200 mpaㆍs(1% sol.) 이하 및 pH 5.0~8.0(1% sol.)인 것에 특징이 있는 지혈부직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혈부직포의 일면에 지지층이 결합된 것에 특징이 있는 지혈부직포.
KR1020220058989A 2022-05-13 2022-05-13 지혈부직포 KR102442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989A KR102442848B1 (ko) 2022-05-13 2022-05-13 지혈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989A KR102442848B1 (ko) 2022-05-13 2022-05-13 지혈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848B1 true KR102442848B1 (ko) 2022-09-15

Family

ID=8328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989A KR102442848B1 (ko) 2022-05-13 2022-05-13 지혈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8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2720A (ja) * 2012-05-11 2015-08-06 コンティプロ ビオテック スポレチノスト エス ルチェニム オメゼニム 多糖類繊維の調製方法,多糖類繊維を含有する創傷被覆材,創傷被覆材の製造方法,及び多糖類繊維の調製装置
KR20170001474A (ko) 2015-06-26 2017-0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의료용 섬유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7507713A (ja) * 2014-02-12 2017-03-23 カール・フロイデンベルク・カーゲーCarl Freudenberg KG 医療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66453A (ko) 2016-12-09 2018-06-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파우더 및 수용성 키토산 화합물 파우더를 포함하는 지혈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8127490A (ja) * 2012-11-06 2018-08-16 インベッド バイオ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創傷治癒の方法と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2720A (ja) * 2012-05-11 2015-08-06 コンティプロ ビオテック スポレチノスト エス ルチェニム オメゼニム 多糖類繊維の調製方法,多糖類繊維を含有する創傷被覆材,創傷被覆材の製造方法,及び多糖類繊維の調製装置
JP2018127490A (ja) * 2012-11-06 2018-08-16 インベッド バイオ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創傷治癒の方法と組成物
JP2017507713A (ja) * 2014-02-12 2017-03-23 カール・フロイデンベルク・カーゲーCarl Freudenberg KG 医療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01474A (ko) 2015-06-26 2017-0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의료용 섬유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66453A (ko) 2016-12-09 2018-06-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파우더 및 수용성 키토산 화합물 파우더를 포함하는 지혈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3451B2 (en) Hemostatic devices
EP3315144B1 (en) Medical fiber structure comprising 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 and chitosan compound,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8784876B2 (en) Clay-based hemostatic agents and devices for the delivery thereof
CA2433968C (en) Hemostati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932498B2 (ja) 創傷用多層包帯
US8202532B2 (en) Clay-based hemostatic agents and devices for the delivery thereof
GB2463523A (en) Absorbent gelling wound care device
JP2008532662A (ja) 抗菌創傷包帯の作製方法およびその使用
US10137219B2 (en) Coherent blood coagulation structure of water-insoluble chitosan and water-dispersible starch coating
KR102442848B1 (ko) 지혈부직포
KR20220093484A (ko)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
CA2959946C (en) A coherent blood coagulation structure of water-insoluble chitosan and water-dispersible starch coating
CS226679B1 (cs) Lskálně hemostatieký neadhezivní obvazový materiál
Edwards et al. Exploring Modifications of Cotton with Biopolymers
Verma et al. 14 Design and development of chitosan-based textil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PL216818B1 (pl) Opatrunek hemostatyczny warstwowy i sposób wytwarzania opatrunku hemostatycznego warstwowe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