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484A -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 - Google Patents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484A
KR20220093484A KR1020200184227A KR20200184227A KR20220093484A KR 20220093484 A KR20220093484 A KR 20220093484A KR 1020200184227 A KR1020200184227 A KR 1020200184227A KR 20200184227 A KR20200184227 A KR 20200184227A KR 20220093484 A KR20220093484 A KR 20220093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xymethyl cellulose
alginate
chitosan compound
dressing material
chitos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예원
양대혁
윤형순
편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to KR1020200184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3484A/ko
Publication of KR2022009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17Wound bandages not adhering to the wound
    • A61F2013/00229Wound bandages not adhering to the wound with algin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72Plasters use haemostatic with chem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및 상처와 비부착성 부직포로 구성된 피부접착층;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섬유상인 의료용 섬유 구조체의 상처접촉층;폴리우레탄 폼 혹은 고흡액성 섬유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액층; 및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으로 적층된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Complex dressing material with antibacterial and hemostatic properties}
본 발명은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CMC) 및 키토산(Chitosa),칼슘알지네이트(Ca-Alginate)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및 제직포, 편성포와 같은 섬유시트에 대한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이다.
다양한 환경에서, 인간을 포함한 동물은 상처를 입을 수 있다. 종종 출혈이 이러한 상처에 수반된다. 몇몇의 경우에서, 상처 및 출혈은 위험하지 않고, 외부에서의 도움 없이 일반적인 혈액 응고 작용이 출혈을 정지시킨다.불행히도 다른 경우에서는, 상당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과다출혈은 사람의 생명을 순식간에 위태롭게 만들어, 사망에 이르도록 만드는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이며, 미국에서는 연간 5만명 이상이 과다출혈로 사망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초기 효과적인 출혈 억제 만으로도 생존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기에 전장에서, 일상 응급상황에서, 수술실에서 지혈제의 사용은 매우 필수적이다.
인류는 오래 전부터 출혈이 발생했을 시에 이를 조기에 막을 수 있는 지혈제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 왔고,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출혈과 피부 손상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제형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인 거즈나 붕대의 경우에는 경미한 출혈에는 지혈의 효과가 있으나,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심한 출혈에는 그 적용에 한계가 있고, 키토산이나 산화 셀룰로오스계,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지혈제는 혈액 응고능력과 상처에의 부착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콜라겐 상처 드레싱 또는 건조 피브린이나 트롬빈 상처 드레싱과 같은 현재 이용 가능한 지혈 밴드는 수술 적용에서의 사용이 제한되고, 특히 과다출혈성(hemorrhagic) 출혈과 같이 혈액 흐름이 빠른 경우 쉽게 용해되어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이러한 현재 이용 가능한 수술적 지혈 밴드는 또한 연약하고 따라서 압력으로 벤딩(bending) 또는 로딩(loading)에 의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콜라겐계 지혈제는 가격이 높고, 제품간의 물성 편차가 크며, 보관성이 취약하며, 트롬빈, 피브리노겐함유 지혈제는 처치시 감염 위험성과 과민 반응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 외, 혈액 내에서 응혈 형성의 촉진을 위해 제올라이트와 같은 무기물계 지혈제도 연구되었으나, 혈액의 응고에서 이러한 활성화 제올라이트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은 발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발열 현상이 개선된 무기물계 지혈 제품도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과다 출혈에 적용하기에 혈액 응고 능력이 뛰어나지는 않는다.
따라서, 종래에 연구되었던 지혈제 보다 더 개선된 우수한 혈액 응고 특성과 지혈 기능을 갖는 지혈제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혈액 흡수능이 우수하고 혈액 응고 시간이 빠른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및 상처와 비부착성 부직포로 구성된 피부접착층;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섬유상인 의료용 섬유 구조체의 상처접촉층;폴리우레탄 폼 혹은 고흡액성 섬유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액층; 및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으로 적층된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섬유 구조체가 부직포, 직물, 편물, 및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상기 상처접촉층을 구성하는 알지네이트 섬유는 증류수에 소디움알지네이트 (sodium alginate)를 용해한 다음 염화칼슘이 용해된 응고욕에 습식방사를 통한 불용성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인 복합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액도가 0.9% 생리식염수를 기준으로, 0.12g/cm2이상이고, 상기 흡액도가 하기와 같이 계산되는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 복합 부직포가 포함된 복합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섬유상인 의료용 섬유 구조체의 상처접촉층과 폴리우레탄 폼 혹은 고흡액성 섬유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액층이 핫멜트 TPU 웹 혹은 니들펀칭으로 결합된 복합드레싱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복합드레싱재는 다량의 혈액과 삼출물을 빠르게 흡수한다.
또한 본 발명인 복합드레싱재는 상처를 빠르게 지혈하고 상처치유효과 및 비부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인 복합드레싱재는 섬유 시트타입으로 사용편의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복합드레싱재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복합드레싱재의 투습도를 데이터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복합드레싱재의 지혈성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및 상처와 비부착성 부직포로 구성된 피부접착층;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을 포함하고,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섬유상인 의료용 섬유 구조체의 상처접촉층;폴리우레탄폼의 고흡수층; 및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으로 적층된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 중 1 종 이상이 섬유상, 즉 섬유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부직포, 직물, 편물,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섬유 단독 또는 섬유와 분말로 구성된, 부직포, 직물, 편물,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 및 이들의 혼합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편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의 형태가 부직포일 경우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기공 특성제어가 용이하며 흡액 특성이 더욱 더 개선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섬유상, 섬유 형태, 또는 섬유라 함은 길고 가늘며 굽힘 저항이 작아서 연하게 굽힐 수 있는일군의 선상 물질을 의미하고, 이러한 섬유는 그 길이에 따라서, 1 mm 이하의 길이를 갖는 마이크로피브릴, 0.1내지 40 mm로 절단된 습식 부직포용 단섬유(Short cut 섬유), 10 내지 130 mm의 길이를 갖는 건식 부직포용 단섬유(스테이플 파이버), 직물 및 편물용 연속 섬유 (장섬유, 필라멘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부직포라 함은, 섬유를 직포 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여, 섬유간의 기계적인 얽힘, 또는 수지 접착제의 첨가, 열융착, 또는 화학적 복합체의 형성을 통하여 결합되어 얻어지는섬유 구조체의 일종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직포는 습식(또는 침지식 또는 초지식이라고도 함), 건식, 스펀 레이스, 전기방사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중에서, 건식 부직포는 접착제를 섬유 상에 침투시켜 건조 공정을 거쳐 제조하는 케미컬 본딩 부직포, 저융점의 가소성을 지닌 섬유를 혼합하여 열 또는 압력 등으로 착화하거나 녹여서 섬유조직을 결합시켜 제조하는 써멀본딩(thermal bonding) 부직포, 압축공기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에어레이(air lay) 부직포, 섬유를 특수 바늘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웹브(Web)를 결합시켜 제조되는 니들펀칭 부직포 등이 있을 수 있고, 부직포의 인장 강도, 즉 형태안정성 향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습식 부직포는 초지법과 동일한 공정이나 단지 원료가 펄프로 사용되지 않고 각종 섬유를 사용하고, 이러한 섬유를 초조용매, 즉 분산용 용액에 분산시킨 후 제지용 와이어 또는 스크린을 통해 초조용매를 제거한 후 건조하여 부직포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균제도 향상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마이크로피브릴과 같이 건식 공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단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물이라 함은 섬유를 경사, 위사로 구분하여 서로 교차하여 제조된 섬유 구조체이고, 편물은 한 개의 섬유로 루프를 연속시켜 제조된 섬유 구조체를 의미하고, 당업계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라 함은 마이크로피브릴을 특별한 형태 없이 서로 모아 놓거나, 분말 등과 혼합하여 형성된 섬유 구조체를 말한다. 마이크로피브릴의 길이는 예를 들면 1 mm 이하일 수 있고, 또는 005 내지 05 mm일 수 있다.
[0054] 또한, 기재, 부직포, 또는 의료용 섬유 구조체의 내부라 함은, 이러한 기재, 부직포, 또는 의료용 섬유 구조체에 포함되어 있는 섬유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즉 서로 인접하거나, 얽혀 있는 섬유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와 키토산 화합물이 모두 섬유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 및 키토산 화합물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직물, 또는 편물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 및 기재의 내부 중 1종 이상에 위치하고, 칼슘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층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는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 단독, 키토산 화합물 섬유 단독, 또는 이들의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재의 일면, 양면, 및 내부 중 1종 이상에 위치하는 섬유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상기 섬유층도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 단독, 키토산 화합물 섬유 단독, 또는 이들의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재는 전술한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 단독, 키토산 화합물 섬유 단독, 또는 이들의 섬유의 혼합물을 각각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기재는 이들 섬유 이외에 의료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천연 또는 인조의 섬유 또는 분말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마이크로피브릴 및 키토산 화합물 마이크로피브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일 수 있다.
여기서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마이크로피브릴 및 키토산 화합물 마이크 피브릴이라 함은 전술한 바와같이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 및 키토산 화합물 섬유 중에서 그 섬유 길이가 1 mm 이하인 마이크로피브릴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라 함은 마이크로피브릴을 특별한 형태 없이 서로 모아 놓아 기계적으로 얽혀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는 상처 부위에 다양한 크기의 솜뭉치형, 과립형, 분말형, 거즈와 같은 섬유 보강재에 올려진 형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지혈 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서,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에 적용된 마이크로피브릴 등의 구성 성분은 생리식염수나 체액, 혈액 등과 접촉했을 때 용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 중 하나가 섬유상이고,다른 하나가 분말상일 수 있다.
분말상이라 함은 잘게 부스러진 낟알을 총칭하는 분말 또는 가루를 의미하고, 그 크기에 따라 입체, 분체, 미분체, 초미분체로 분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 내지 1,000 ㎛, 또는 10 내지 1,000 ㎛, 또는 100 내지 1,00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0065] 화합물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 및 상기 기재의 내부 중 1종 이상에 위치하고,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기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 단독, 키토산 화합물 섬유 단독, 또는 이들의 섬유의 혼합물을 각각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기재는 이들 섬유 이외에 의료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천연 또는 인조의 섬유 또는 분말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기재의 일면, 양면, 및 기재의 내부 중 1종 이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층은 칼슘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분말 단독, 키토산 화합물 분말 단독, 또는 이들의 분말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섬유 구조체가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섬유를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구비하는 형태인 경우, 상기 분말의 평균 입경이 상기 기재의 내부에 섬유들 사이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크기 보다 큰 경우에는 부직포의 표면 상에만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말의 평균 입경이 상기 기재의 내부에 섬유들 사이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크기 보다 작은 것과, 큰 것이 혼재하는 경우에는 분말의 일부는 기재의 내부에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분말의 다른 일부는 상기 기재의 표면 상에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기재의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코팅층은 기재의 일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에만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일면에 모두 형성되거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경우에도, 두께가 서로 차이가 있는 다양한 입체적 형태의 패턴층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이 기재의 적어도 일면 상에 수용성 키토산 화합물 분말로 코팅층을 패턴층으로 형성하게 되면, 수분, 체액 또는 혈액 접촉시 수용성 키토산 화합물 분말이 의료용 섬유 구조체 표면에서만 과량으로 용해되어 의료용 섬유 구조체 내부까지 혈액이 빠르게 흡수되는 것을 막아 지혈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키토산 화합물 분말의 지혈 기능 및 혈액 흡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는 체액이나 혈액 접촉시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부터 칼슘이온이 빠르게 방출되어 지혈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패턴층으로는 도트형(dot), 원형(circle), 다각형(polygo)도넛형(doughnut), 띠형(stripe), 계단형(step), 요철형, 및 격자형(gr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며, 그외 다양한 규칙적인 일정한 패턴이 없는 무정형의 패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키토산 화합물 분말의 적층량이 많은 것과 적은 것이 복합화된 패턴층을 적용하는 경우, 키토산 화합물 분말의 지혈 기능 및 혈액 흡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는 체액이나 혈액 접촉시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부터 칼슘이온이 빠르게 방출되어 지혈 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화된 패턴층의 더 바람직한 예로는 계단형 또는 요철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마이크로피브릴; 및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 중 1종 이상으로 형성된 분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도 마이크로피브릴과 분말을 특별한 형태 없이 마이크로피브릴간에 서로 기계적으로 얽히면서 마이크로피브릴 사이에 분말이 함유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는 상처 부위에 다양한 크기의 솜뭉치형, 과립형, 분말형, 구조 보강재 상에 적층된 형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지혈 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에 적용된 마이크로피브릴 등의 구성 성분은 생리식염수나 체액, 혈액 등과 접촉했을 때 용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카르복실기에 칼슘 2가 이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라 함은 셀룰로오스(cellulose)를 구성하고 있는 글루코오스의 히드록시기가 카르복시메틸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수분 접촉시 겔화가 일어나 점도가 증가하는 증점 효과가 있어 풀, 식품, 화장품, 의약품 첨가제 및 석유 굴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특히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의료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섬유 구조체가 부직포인 경우, 이러한 부직포에 적용되는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는 예를 들면, 01 내지 130 mm, 또는 01 내지 40 mm, 또는 01 내지 10 mm, 또는 10 내지 60 mm 의 평균 길이(평균 섬유장)를 가질 수 있고, 01 내지 15 데니어, 또는 01 내지 10 데니어의 섬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섬유 길이 및 섬도가 이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습식 부직포 제조시 섬유의 분산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건식 부직포 제조 공정에서의 개섬(오프닝)이 용이하며, 형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전체 중량 대비 예를 들면, 1 내지20 중량%, 또는 2 내지 12 중량%, 또는 5 내지 10 중량%의 칼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칼슘 함량이 이런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혈액과 접촉했을 때 지혈 성능이 더 강화되며, 흡액 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치환도는 예를 들어, 04 내지 30, 또는 06 내지 25, 또는 07 내지15 일 수 있다. 상기 치환도가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칼슘 이온을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으며, 물이나 체액과 접촉했을 때의 수팽윤성 및 칼슘 이온의 해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치환도라 함은 셀룰로오스 (cellulose)를 구성하고 있는 글루코오스의 히드록시기가 카르복시메틸기로 치환된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셀룰로오스 내에 3개의 히드록시기중 평균 1개의 히드록시기가 카르복시메틸기로 치환됐을 때 치환도를 1이라 한다.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예를 들어, 10,000 내지 250,000 g/mol, 또는 20,000내지 200,000 g/mol, 또는 40,000 내지 150,000 g/mol일 수 있고,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섬유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체액과 접촉시 칼슘 이온의 해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키토산 화합물은 새우, 게, 바다가재, 갑오징어 등의 주요 구성 성분인 키틴의 탈아세틸화된 형태의 화합물이며 공업적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키토산 화합물은 강한 투과성과,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양전하 표면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양전하 표면은 적혈구 및 혈소판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고도로 반응성인 표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적혈구 막은 음전하를띠고, 이는 키토산 화합물의 양전하 표면으로 유인되고, 유인된 적혈구의 세포막은 키토산 화합물에 접촉하여 융합되어, 응혈이 매우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키토산 화합물은 매우 우수한 혈액 응고 특성을 나타내며, 또한 박테리아, 내독소, 및 미생물에 결합되어, 박테리아, 미생물, 및/또는 바이러스 제제를 사멸시키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토산 화합물의 탈아세틸화도는 예를 들어, 60 내지 100%, 또는 80 내지100%일 수 있고, 상기 키토산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예를 들어, 5,000 내지 1,500,000 g/mol, 또는 20,000 내지 1,200,000 g/mol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토산 화합물 분말의 경우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내지 1,000,000 g/mol일 수 있고, 키토산 화합물 섬유의 경우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0 내지 1,5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탈아세틸화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지혈기능 및 창상 피복 효과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키토산 화합물이 수용성인 경우, 그 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0 g/mol 일 경우 수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키토산 화합물은 키토산 섬유 및 키토산 분말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이때, 상기 키토산 화합물이 키토산 섬유인 경우, 상기 키토산 섬유는 예를 들면, 01 내지 1.30 mm, 또는 0.1내지 40 mm, 또는 0.1 내지 10 mm, 또는 10 내지 60 mm의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장)를 가질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0.1 내지 10 데니어, 또는 0.5 내지 5 데니어의 섬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키토산 섬유가 이러한평균 길이 및 섬도를 가지는 경우, 부직포 형성성이 우수하고 지혈효과가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토산 화합물이 키토산 분말인 경우, 상기 키토산 분말은 예를 들어, 1 내지 1,000 ㎛, 또는 10 내지 1,000 ㎛, 또는 100 내지 800 ㎛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키토산 분말의 평균 입경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지혈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섬유 구조체와 혼합시 탈리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토산 화합물은 수불용성일 수도 있고, 수용성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키토산 화합물 섬유는 수불용성일 수 있고, 상기 키토산 화합물 분말은 수용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키토산 화합물 섬유가 수불용성이라 함은 중성의 물에서는 용해하지 않으나, 별도의 산을 첨가하여 pH가 낮아지면, 예를 들어 pH 65 이하가 되면, 용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키토산 화합물 분말이 수용성이라 함은 중성의 물에 용해되는, 즉 용해를 위해 별도의 산을 추가하지 않아도 물에 용해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키토산 화합물이 키토산 및 키토산 유도체 중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러한 키토산 유도체로는 카르복시메틸 키토산 또는 이의 염, 트리메틸 클로라이드 키토산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키토산 화합물로는, 젖산염 수용성 키토산, 염산염 수용성 키토산, 아스코르브산염 수용성키토산,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 등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용성 키토산의 유도체로는 키토산-PEG, 키토산-담즙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에서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키토산 화합물의 중량비는 99:1 내지 1:99이고, 또는 90:10 내지 10:90, 또는 80:20 내지 20:80, 또는 70:30 내지 30:70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가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흡액 속도가 빠르면서, 증점 효과가 개선돼 지혈 효과가 탁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60 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초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초 이하의 혈액 흡수 속도를 가질 수 다.
이때, 상기 혈액 흡수 속도는 1cm × 1cm (가로×세로)의 크기의 의료용 섬유 구조체에 100㎕의 혈액을 적가한 후 완전히 흡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평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혈액 응고 특성 평가시 0.30 이하, 바람직하게는 0.25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20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의 흡광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혈액 응고 특성 평가는 1cm × 1cm (가로×세로)의 크기의 의료용 섬유 구조체에 혈액과 항응고제(소디움 시트레이트, sodium citrate, 38w/v%)를 9: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 100㎕를 적가하고, 02M CaCl2수용액 10㎕를 첨가하여 10분간 37℃ 인큐베이터에서 응고시킨 후, 응고에 참여하지 않은 혈액을 다시 증류수
125mL에 용출하였다. 그 용출액 200㎕을 채취하여 540nm의 파장에서 흡광도[AB]를 측정하고, 증류수 200㎕를 540nm의 파장에서 흡광도[AW]를 측정한 후 혈액 용출액에 포함된 증류수의 흡광도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다음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혈액 응고 특성 평가 흡광도 = 혈액 용출액 흡광도[AB] - 증류수 흡광도[AW]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용 섬유 구조체는 하기 와 같이 인큐베이터에서 응고시간을 5분으로 한 조건의 혈액 응고 특성 평가시 03 이하의 흡광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상기 혈액 응고 특성 평가의 조건은, 1cm × 1cm (가로×세로)의 크기의 의료용 섬유 구조체에 혈액과항응고제(소디움 시트레이트, sodium citrate, 38w/v%)를 9: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 100㎕를 적가하고,
02M CaCl2 수용액 10㎕를 첨가하여 5분간 37℃ 인큐베이터에서 응고시킨 후, 응고에 참여하지 않은 혈액을 다시 증류수 125mL에 용출하고, 그 용출액 200㎕을 채취하여 540nm의 파장에서 흡광도[AB]를 측정하고, 증류수
200㎕를 540nm의 파장에서 흡광도[AW]를 측정한 후 혈액 용출액에 포함된 증류수의 흡광도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생체적합성 및 상처와 비부착성 부직포로 구성된 피부접착층;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섬유상인 의료용 섬유 구조체의 상처접촉층;
    폴리우레탄 폼 혹은 고흡액성 섬유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액층; 및 반투과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으로 적층된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구조체가 부직포, 직물, 편물, 및 마이크로피브릴 구조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드레싱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접촉층을 구성하는 알지네이트 섬유는 증류수에 소디움알지네이트 (sodium alginate)를 용해한 다음 염화칼슘이 용해된 응고욕에 습식방사를 통한 불용성 칼슘 알지네이트 섬유인 복합드레싱재.
  4. 제1항에 있어서,
    흡액도가 0.9% 생리식염수를 기준으로, 0.12g/cm2이상이고, 상기 흡액도가 하기와 같이 계산되는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 복합 부직포가 포함된 복합드레싱재.

    흡액도(Free swell absorption, g/cm2) = (흡액 후 시료 무게 - 흡액 전 시료 무게)/흡액전 시료의 면적
  5. 제1항에 있어서,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키토산 화합물 및 알지네이트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섬유상인 의료용 섬유 구조체의 상처접촉층과 폴리우레탄 폼 혹은 고흡액성 섬유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액층이 핫멜트 TPU 웹 혹은 니들펀칭으로 결합된 복합드레싱재.
KR1020200184227A 2020-12-28 2020-12-28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 KR20220093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27A KR20220093484A (ko) 2020-12-28 2020-12-28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27A KR20220093484A (ko) 2020-12-28 2020-12-28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484A true KR20220093484A (ko) 2022-07-05

Family

ID=8240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227A KR20220093484A (ko) 2020-12-28 2020-12-28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34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2000A (zh) * 2022-07-11 2022-11-25 上海健康医学院 一种具有抗菌涂层的敷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2000A (zh) * 2022-07-11 2022-11-25 上海健康医学院 一种具有抗菌涂层的敷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1865B2 (en) Medical fibrous structure comprising calcium carboxymethyl cellulose and chitosan compound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20200306091A1 (en) Wound dressing
EP1493451A1 (en) Hemostat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15519137A5 (ko)
EP2695622A1 (en) A chitosan wound dressing and its method of manufacturing
AU2016220560A1 (en) Hemostatic composition and hemostatic device (variants)
TW200418529A (en) Hemostatic wound dressing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201920992U (zh) 一种医用敷料
KR102656226B1 (ko) 칼슘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파우더 및 수용성 키토산 화합물 파우더를 포함하는 지혈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1721734A (zh) 医用海藻酸钙抗菌敷料及其制备方法
GB2526183A (en) Wound dressing
Mohamed et al. The role of nanoscale structures in the development of topical hemostatic agents
KR20220093484A (ko) 항균 및 지혈성을 가지는 복합드레싱재
US10137219B2 (en) Coherent blood coagulation structure of water-insoluble chitosan and water-dispersible starch coating
Szymonowicz et al. The evaluation of resorbable haemostatic wound dressings in contact with blood in vitro
CN104338174B (zh) 一种复合结构的止血贴片及其制备方法
CA2959946C (en) A coherent blood coagulation structure of water-insoluble chitosan and water-dispersible starch coating
KR102442848B1 (ko) 지혈부직포
US20120282320A1 (en) Hemostatic dressing
KR101936879B1 (ko) 키토산을 포함하는 의료용 섬유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A3137159A1 (en) Self-assembled nano-fibers as hemostatic agent
US20160346132A1 (en) Hemostatic fabric
CN219127043U (zh) 一种止血纱布
CN116407661A (zh) Pla抗菌止血不织布敷材
CN1119547A (zh) 生体功能性医用无纺布敷料的制造方法及其制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