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137B1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linked with webgl-based url link - Google Patents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linked with webgl-based url l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137B1
KR102442137B1 KR1020220058416A KR20220058416A KR102442137B1 KR 102442137 B1 KR102442137 B1 KR 102442137B1 KR 1020220058416 A KR1020220058416 A KR 1020220058416A KR 20220058416 A KR20220058416 A KR 20220058416A KR 102442137 B1 KR102442137 B1 KR 10244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environment
space
digital twin
building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재원
민경석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르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르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르사츠
Priority to KR102022005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1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444Spatial browsing, e.g. 2D maps, 3D or virtual sp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06T15/80Sh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building a digital twin space where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a building is modeled three dimensionally based on a building design drawing.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linked with WebGL-based URL lin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the operations of: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including multiple buildings having an exterior implemented in a 3D way in a first virtual environment; acquiring a drawing for implementing an interior and an exterior of the first building among multiple buildings; based on the drawing,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in a second virtual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to generate a three dimensional space model hav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first building; controlling a size of the three dimensional space model in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to correspond to the second virtual environment and substituting a three dimensional space model in the second virtual environment to a location of the first building in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and based on WebGL, providing an URL where a user can access to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Description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LINKED WITH WEBGL-BASED URL LINK}WebGL-based URL link interlocking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LINKED WITH WEBGL-BASED URL LINK}

본 문서의 실시예는 건물 설계도를 기반으로 건물의 내외부가 3차원으로 모델링된 디지털 트윈 공간을 가상 공간에 구축하고, 디지털 트윈 공간이 구축된 가상 공간을 WebGL 기반의 URL 링크로 연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embodiment of this documen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building a digital twin space where the inside and outside of a building is modeled in 3D in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building blueprint, and linking the virtual space in which the digital twin space is built with a WebGL-based URL link. will be.

GPS 기술이 개발되고 국가 간 지도 데이터가 공개되면서 구글맵, 구글어스 등과 같은 지도 서비스를 통해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장소의 모습을 2D 또는 3D로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GPS technology and the release of map data between countries,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various places in the world in 2D or 3D through map services such as Google Maps and Google Earth.

나아가, 현재의 지도 서비스는 360도 전방 카메라 센싱 기술과의 연동으로, 특정 장소의 실제 촬영 모습을 1인칭 시점으로 360도 관측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Furthermore, the current map service provides a 360-degree first-person view of the actual shooting of a specific place by interworking with the 360-degree front camera sensing technology.

다만, 현존하는 기술의 지도 서비스는 GPS를 통해 관측할 수 있는 객체의 외관에 해당하는 모습만을 지도 서비스 상에 구현하고 있으며, 객체(ex. 건물)의 내부에 해당하는 부분까지는 지도 서비스의 주체가 해당 공간을 직접 설계하지 않는 이상 자동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However, the existing technology map service implements only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that can be observed through GPS on the map service, and the subject of the map service is up to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object (ex. building)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utomatically unless you design the space yourself.

한편, 최근에는 지도 서비스와 부동산 정보를 연동하는 네이버 부동산과 같은 서비스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으나, 앞서 기술한 이유로 부동산의 내부 공간을 제한적인 사진으로만 관측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코로나의 발현으로 인하여 이동 및 오프라인 만남에 제약이 생기면서, 이러한 한계와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Meanwhile, the use of services such as Naver Real Estate, which links map service and real estate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but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there is a limit to only being able to observe the interior space of real estate with limited photos, and furthermore, due to the emergence of Corona Due to this, there are restrictions on movement and offline meetings, and new technologies and services that can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are requir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2393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이동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52393: Space mov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9940호: 3D 엔진을 통한 모바일 3D 디지털 트윈의 3D 지도 구축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99940: 3D map construction method of mobile 3D digital twin through 3D engine

본 문서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물 설계도를 기반으로 건물의 내외부가 3차원으로 모델링된 디지털 트윈 공간을 구축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re intended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onstructing a digital twin space modeled in three dimensions inside and outside a building based on a building bluepri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바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mentioned above, and although not mentioned, it includes a purpose that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른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는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은 3D로 외관이 구현된 복수의 건물을 포함하는 디지털 트윈 공간을 제1 가상 환경에 생성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건물 중 제1 건물의 내외부의 구현을 위한 도면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도면을 기초로 상기 제1 가상 환경과 상이한 제2 가상 환경에서 신경망 모델을 이용해 상기 제1 건물의 내외부를 구현한 3차원 공간 모형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3차원 공간 모형의 크기를 상기 제2 가상 환경에 대응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제1 건물의 위치에 상기 제2 가상 환경의 3차원 공간 모형을 대입하는 동작; 및 WebGL을 기초로 사용자가 상기 제1 가상 환경에 접속할 수 있는 URL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WebGL-based URL link interworking digital twin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one or more processors configured to be operably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memories and execute the instructions,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is to create a digital twin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uildings with 3D exteriors implemented in a first virtual environment. generating action; obtaining a drawing for realiz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a first building among the plurality of buildings;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model embodie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building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in a second virtual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the drawing; controlling the size of the 3D space model of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to correspond to the second virtual environment and substituting the 3D spatial model of the second virtual environment with the location of the first building in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and providing a URL through which the user can access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WebGL.

또한, 상기 URL을 제공하는 동작은 WebGL을 기초로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이 대입된 제1 가상 환경을 웹게임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URL may include an operation of converting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into which the 3D space model is substituted into a web game based on WebGL.

또한, 상기 URL을 제공하는 동작은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URL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간의 음성 대화 또는 채팅 대화를 수행하는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URL may include providing a conversation interface for performing a voice conversation or a chat convers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s when a plurality of users access the URL.

또한, 상기 URL을 제공하는 동작은 사용자에게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의 내부를 1인칭 시점으로 출력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URL may include providing the user with a camera interface that outputs the inside of the 3D space model as a first-person view.

또한,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URL을 통해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이 대입된 제1 가상 환경에 접속하는 경우 서로 다른 사용자의 1인칭 시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Also, when a plurality of users access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to which the 3D spatial model is substituted through the URL, the camera interface may display positions of first-person viewpoints of different users.

또한,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는 상기 1인칭 시점이 상기 대입된 3차원 공간 모형의 위치에서 계단에 해당하는 3차원 모델 객체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1인칭 시점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층별 공간 모형의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어지는 층별 공간 모형을 상기 1인칭 시점에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person view is locat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3D mode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irs in the position of the substituted 3D space model, the camera interface is configured for each floor based o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person view. A space model for each floor that extends from the location of the space model to the upper or lower part may be output in the first-person view.

또한, 상기 URL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3차원 공간 모형 내에 배치될 객체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상기 객체의 재질 및 색상을 사용자가 커스텀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커스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URL may include an operation of providing a custom interface for a user to select an object to be placed in the 3D space model, and for the user to custom select a material and color of the object.

또한, 상기 URL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3차원 공간 모형 내에 배치된 객체와 대응되는 실제 제품의 정보에 대한 URL 링크가 매핑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객체가 선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실제 제품의 정보에 대한 URL 링크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URL, a URL link to information of an actual product corresponding to an object disposed in the 3D space model is mapped, and when the objec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actual product. A URL link to th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대입하는 동작은 서로 상이한 가상 환경에서 구현된 상기 제1 건물 및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의 크기를 동일 가상 환경에서 서로 대응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가상 환경에 로딩된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의 최외곽 텍스쳐의 부피 및 상기 제1 가상 환경에 기 구현된 상기 제1 건물의 3D 외관의 부피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3차원 공간 모형의 크기를 제어하여 대입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ubstituting operation, the size of the first building and the 3D space model implemented in different virtual environments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same virtual environment, the 3D space model loaded into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Controlling and substituting the size of the 3D spatial model of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me of the outermost texture and the volume of the 3D exterior of the first building previously implemented in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is within a preset range It can include actions.

일 실시예에 따른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가 수행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방법은 3D로 외관이 구현된 복수의 건물을 포함하는 디지털 트윈 공간을 제1 가상 환경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건물 중 제1 건물의 내외부의 구현을 위한 도면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면을 기초로 상기 제1 가상 환경과 상이한 제2 가상 환경에서 신경망 모델을 이용해 상기 제1 건물의 내외부를 구현한 3차원 공간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3차원 공간 모형의 크기를 상기 제2 가상 환경에 대응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제1 건물의 위치에 상기 제2 가상 환경의 3차원 공간 모형을 대입하는 단계; 및 WebGL을 기초로 사용자가 상기 제1 가상 환경에 접속할 수 있는 URL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bGL-based URL link-linked digital twin space cre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WebGL-based URL link-linked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digital twin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uildings with 3D exteriors implemented in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generating; obtaining drawing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a first building among the plurality of buildings;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model embodie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building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in a second virtual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the drawing; controlling the size of the 3D spatial model of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to correspond to the second virtual environment and substituting the 3D spatial model of the second virtual environment at the location of the first building in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and providing a URL through which the user can access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WebGL.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설계도 기반으로 건물의 내외부가 3차원으로 모델링된 디지털 트윈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객체 커스텀, 공간 조망, 인증 기반 공간 방문, 사용자 간 대화/채팅/게임, 3차원 객체에 상품 정보 링크 연동, WebGL 기반의 URL을 통한 메타버스 접속 등의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is document, by constructing a digital twin space modeled in three dimensions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a building based on the building blueprint, object customization, space view, authentication-based space visit, user-to-user conversation/chat/game in the digital twin space , can provide various linkage services such as linkage of product information to 3D objects and metaverse access through WebGL-based URL.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오픈소스 3D 공간 데이터를 캡쳐하여 디지털 트윈 공간을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3D로 외관이 구현된 복수의 건물을 포함하는 디지털 트윈 공간의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평면도를 기초로 각 층별 공간 모형을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단면도를 기초로 각 층별 공간 모형을 연결한 내부 공간 모형을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입면도를 기초로 건물의 각 면별 외부 공간 모형을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트윈 공간에 3차원 공간 모형을 대입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by capturing open source 3D spati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performed by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digital twin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uildings whose exteriors are implemented in 3D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to 7 are exemplary views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spatial model for each floor based on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and 9 are exemplary views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n internal space model in which a spatial model for each floor is connected based on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and 11 are exemplary views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n external space model for each side of a building based on an elevatio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operation of substituting a 3D spatial model into a digital twin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100)는 3차원으로 모델링된 디지털 트윈 공간을 구축하고,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연계할 수 있는 응용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gital twin space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is document may include a server that builds a digital twin space modeled in three dimensions and provides an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that can be linked in the digital twin spac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설계도 기반의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100)(이하,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100)"로 지칭)의 기능 블록도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based on a building pl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vice for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100").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입출력 인터페이스(130) 및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memory 110 , a processor 120 , an input/output interface 130 ,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140 .

메모리(110)는 지도 정보 DB(111), 도면 정보 DB(112), 신경망 DB(113) 및 명령어 DB(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10 may include a map information DB 111 , a drawing information DB 112 , a neural network DB 113 , and a command DB 114 .

지도 정보 DB(111)는 3D 공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공간 데이터는 2차원 공간 정보를 입체화하여 VR(Virtual Reality) 및 AR(Augmented Realit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D 공간 데이터는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구글 등에서 제공하는 오픈 3D 공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3D 공간 데이터에는 실제 공간을 3D 모델링한 정보와 실제 공간의 위치를 특정하는 실제 주소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The map information DB 111 may store 3D spatial data. For example, the 3D spatial data may include spatial inform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by three-dimensionalizing 2D spatial information. The 3D spatial data may include open 3D spatial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Google, and the like. In the 3D spatial data, information obtained by 3D modeling a real space and a real address specifying a location of the real space may be mapped and stored.

도면 정보 DB(112)는 건물 설계도, 건물 설계도와 관련된 객체 정보, 객체 정보를 3차원으로 구현한 3차원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건물 설계도는 건물 내외부를 구성하는 객체(ex. 벽, 문, 방, 창문, 옷장, 세면대 등)가 선, 기호, 척도 등의 정보로 표현된 건물의 평면도, 단면도 및 입면도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정보 DB(112)는 건물 설계도에 포함된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가 특정하는 객체와의 관계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 정보 DB(112)는 특정 기호가 의미하는 객체의 종류(ex. 문, 의자, 계단, 창문 등) 및 특정 선분이 의미하는 객체의 종류(ex. 내벽, 외벽, 방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면 정보 DB(112)는 각 객체에 대응하는 모습이 3차원으로 구현된 3차원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may store a building plan, obj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ilding plan, and a three-dimensional model in which the object information i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Building blueprints include images of floor plans, sections, and elevations of buildings in which the objects (ex. walls, doors, rooms, windows, wardrobes, washbasins, etc.) that make up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are expressed as information such as lines, symbols, and scales. can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may map and 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included in the building design and the object specified by the image. For example, in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 the types of objects (eg, doors, chairs, stairs, windows, etc.) that a specific symbol means and the types of objects that a specific line segment means (eg, an inner wall, an outer wall, a room, etc.) information can be stored.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may store a three-dimensional model in which a figure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i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신경망 DB(113)는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망 DB(113)는 선 정보, 기호 정보, 방위 정보 및 척도 정보에 대한 클래스가 레이블링 되어 있는 학습용 건물 설계도(ex.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 등)를 기초로 학습된 신경망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The neural network DB 113 may store the learned neural network model. For example, the neural network DB 113 stores a neural network model learned based on a building design for learning (eg, floor plan, cross-sectional view, elevation, etc.) in which classes for line information, symbol information, orientation information, and scale information are labeled. can

명령어 DB(114)는 프로세서(120)의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 DB(114)는 후술할 프로세서(120)의 동작들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The command DB 114 may store commands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processor 120 . For example, the command DB 114 may store computer code for performing operations corresponding to operations of the processor 120 to be described later.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모델링 모듈(121), 신경망 모듈(122), 제어 모듈(123) 및 인터페이스 모듈(124)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해 모델링 모듈(121), 신경망 모듈(122), 제어 모듈(123) 및 인터페이스 모듈(124)을 구동시킬 수 있다. 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The processor 120 may implement the modeling module 121 ,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 the control module 123 , and the interface module 124 . The processor 120 may execute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0 to drive the modeling module 121 ,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 the control module 123 , and the interface module 124 .

모델링 모듈(121)은 지도 정보 DB(111)가 저장하는 3D 공간 데이터를 기초로 디지털 트윈 공간(ex. VR 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The modeling module 121 may implement a digital twin space (eg VR space) based on 3D spatial data stored in the map information DB 111 .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오픈소스 3D 공간 데이터를 캡쳐하여 디지털 트윈 공간을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2의 (a)는 구글 지도의 그리피스 천문대 모습, (b)는 구글 지도의 그리피스 천문대의 카메라 시점을 변경한 모습, (c)는 3D 텍스처 캡쳐 프로그램(ex. Blender, RenderDoc)을 통해 구글 지도의 3D 공간 데이터를 캡쳐한 모습, (d)는 캡쳐한 3D 공간 데이터에 텍스처를 적용하여 디지털 트윈 공간을 재구현한 모습이다.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by capturing open source 3D spati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a) is a view of the Griffith Observatory on Google Maps, (b) is a view of changing the camera viewpoint of the Griffith Observatory on Google Maps, (c) is a Google map through a 3D texture capture program (ex. Blender, RenderDoc) of 3D spatial data captured, (d) is a digital twin space re-implementation by applying a texture to the captured 3D spatial data.

도 2를 참조하면, 모델링 모듈(121)은 실제 지도를 기반으로 생성된 오픈소스 3D 공간 데이터를 캡쳐하여 3D 모델링 프로그램(ex. Blender)을 통해 오픈소스 3D 공간 데이터와 일치하는 디지털 트윈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modeling module 121 captures open source 3D spatial data generated based on an actual map and creates a digital twin space matching the open source 3D spatial data through a 3D modeling program (ex. Blender) can do.

신경망 모듈(122)은 건물 설계도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이미지가 의미하는 객체 정보와 매칭시킬 수 있다. 신경망 DB(113)는 건물 설계도에 포함된 선, 기호의 종류를 인식하고, 방위 및 척도를 특정하는 신경망 모델을 학습 및 제어할 수 있다.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may recognize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uilding blueprint and match it with object information that the image means. The neural network DB 113 may recognize the types of lines and symbols included in the building blueprint, and learn and control a neural network model for specifying an orientation and a scale.

일 예로, 신경망 모듈(122)은 선 정보, 기호 정보, 방위 정보 및 척도 정보에 대한 클래스가 레이블링 되어 있는 학습용 건물 설계도(ex.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를 기초로 이미지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신경망 모델의 학습이 완료되면,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 중 어느 하나의 건물 설계도 이미지가 신경망 모델에 입력되는 경우, 컨볼루션 연산을 통해 이미지의 특징값이 추출되고, 추출된 특징값을 기반으로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포함된 선 또는 기호의 종류와, 선 또는 기호의 위치를 인식하고, 방위 및 척도를 특정할 수 있다. 신경망 모듈(124)은 인식된 선 또는 기호가 나타내는 객체의 정보를 도면 정보 DB(112)에서 검색하여, 특정된 각 선 또는 기호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is a neural network model using an image identification algorithm based on a building design for learning (eg, plan, cross-section, elevation) in which classes for line information, symbol information, orientation information, and scale information are labeled. can be learned When the training of the neural network model is completed, when an image of any one of a floor plan,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levation view is input to the neural network model, the feature values of the image are extracted through a convolution operation, and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 values, th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type of line or symbol included in the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line or symbol, and specify the orientation and scale. The neural network module 124 may search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for information on an object indicated by the recognized line or symbol, and map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pecified line or symbol.

모델링 모듈(121)은 신경망 모듈(122)이 건물 설계도에서 특정한 객체 정보에 따라, 도면 정보 DB(112)의 객체 정보에 매핑된 3차원 모델을 가상 공간에 형성하여 3차원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링 모듈(121)은 건물 설계도에 포함된 객체 중 벽을 특정하는 선분을 인식하면, 벽에 해당하는 3차원 모델을 가상 공간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링 모듈(121)은 건물 설계도에 포함된 객체 중 의자 기호(ex. 의자를 특정)를 인식하면, 의자에 해당하는 3차원 모델을 가상 공간에 형성할 수 있다. 모델링 모듈(121)은 건물 설계도에 포함된 객체에 해당하는 위치 및 종류를 기초로, 가상 공간 내에 해당 객체와 대응되는 3차원 모델들을 배치하여 3차원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The modeling module 121 may generate a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model mapped to the object information of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in a virtual space by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according to specific object information in the building blueprint. have. For example, when the modeling module 121 recognizes a line segment specifying a wall among objects included in the building design, a 3D model corresponding to the wall may be formed in the virtual space. For example, when the modeling module 121 recognizes a chair symbol (eg, specifying a chair) among objects included in the building design, the modeling module 121 may form a 3D model corresponding to the chair in the virtual space. The modeling module 121 may generate a 3D space model by arranging 3D model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bject in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location and typ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building design drawing.

제어 모듈(123)은 디지털 트윈 공간과 관련된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3)은 모델링 모듈(121)이 생성한 3차원 공간 모형을 디지털 트윈 공간의 특정 위치에 반영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3)은 서비스의 사용자가 제공하는 실제 정보(ex. 주소, 커스텀 정보 등)를 디지털 트윈 공간에 반영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3)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광원이 조사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고, 광원이 조사되는 방향과 맞닿게 되는 객체의 반대편에 음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23 may control elements related to the digital twin space.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3 may reflect the 3D space model generated by the modeling module 121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digital twin space. The control module 123 may reflect actual information (eg, address, custom information, etc.) provided by the user of the service in the digital twin space. The control module 123 may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source is irradiated in the digital twin spa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may generate a shadow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bject in contact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source is irradiated.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서비스의 사용자가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소정 기능을 활용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디지털 트윈 공간 내에 배치할 객체(벽재, 바닥재, 가구, 가전 등)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객체의 재질 및 색상을 사용자가 커스텀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커스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디지털 트윈 공간을 1인칭으로 이동하며, 바라보는 시점을 1인칭으로 출력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서비스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광원의 조사 방향이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도록 하는 광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WebGL을 기초로 건축물의 게임화를 통해, 사용자가 URL만으로 디지털 트윈 공간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The interface module 124 may provide an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of the service to utilize a predetermined function in the digital twin space. For example, the interface module 124 provides a custom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an object (wall materials, flooring, furniture, home appliances, etc.) to be placed in the digital twin space, and allows the user to customize and select the material and color of the object. can do. For example, the interface module 124 may provide the user of the service with a camera interface that moves the digital twin space in the first person and outputs the viewing point in the first person. The interface module 124 may provide a light source interface that allows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to be adjusted by the user in the digital twin space. The interface module 124 may allow the user to access the digital twin space with only a URL through gamification of a building based on WebGL.

상술한 모델링 모듈(121), 신경망 모듈(122), 제어 모듈(123) 및 인터페이스 모듈(124)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Operations performed by the modeling module 121 ,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 the control module 123 , and the interface module 124 described above may be understood as opera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120 .

입출력 인터페이스(130)는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100)를 제어하는 서버 관리자가 특정 정보를 입력하게끔 하거나, 서버 관리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또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interface 130 may include a hardware interface or a software interface that allows a server manager who controls the digital twin space generating apparatus 100 to input specific information or output specific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er.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100)가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ex. 사용자 단말)와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무선 통신모듈 또는 유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140 enables the digital twin space generating device 100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eg,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4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100)는 프로세서(120)를 통해 연산을 수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gital twin space generating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calculations through the processor 120 and transmitting/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 smart phone,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nd the like.

이하,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100)가 상술한 구성을 통해 수행하는 동작의 실시예를 도 3과 함께 살펴본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100)가 수행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digital twin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모델링 모듈(121)은 3D로 외관이 구현된 복수의 건물을 포함하는 디지털 트윈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S1010).First, the modeling module 121 may create a digital twin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uildings in which exteriors are implemented in 3D (S101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3D로 외관이 구현된 복수의 건물을 포함하는 디지털 트윈 공간의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digital twin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uildings whose exteriors are implemented in 3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모델링 모듈(121)은 실제 지도를 기반으로 캡쳐된 3D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물의 외관이 3D 텍스처로 구현된 복수의 건물을 포함하는 디지털 트윈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모델링 모듈(121)은 디지털 트윈 공간의 건물에 실제 지도의 주소 정보를 매핑하여, 디지털 트윈 공간의 각 건물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modeling module 121 may generate a digital twin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uildings in which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is implemented as a 3D texture based on 3D spatial data captured based on an actual map. The modeling module 121 may map address information of an actual map to a building in the digital twin space to specify the location of each building in the digital twin space.

다음으로, 모델링 모듈(121)은 디지털 트윈 공간에 포함된 복수의 건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건물과 대응되는 평면도, 단면도 및 입면도를 획득할 수 있다(S1020). 예를 들어, 모델링 모듈(121)은 디지털 트윈 공간에 구현된 건물에 매핑된 실제 주소 정보와 대응되는 실제 건물 소유주 또는 거주자의 인증(ex. 부동산 등기 이미지와 서비스 사용자 정보의 비교 인증)을 기초로 소유주로부터 건물의 평면도, 단면도 및 입면도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Next, the modeling module 121 may obtain a plan view,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levation view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ildings included in the digital twin space ( S1020 ). For example, the modeling module 121 is based on the real address information mapped to the building implemented in the digital twin space and the authentication of the real building owner or resident (eg, comparison authentication between real estate registered image and servic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l addres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images of floor plans, sections, and elevations of the building from the owner.

다음으로, 모델링 모듈(121)은 획득한 평면도, 단면도 및 입면도를 기초로 획득한 건물 설계도와 대응하는 건물의 3차원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S1030). 일 예로, 모델링 모듈(121)은 아래 도 5 내지 도 11의 동작을 수행하여 3차원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Next, the modeling module 121 may generate a 3D spatial model of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building design based on the acquired floor plan, cross-sectional view, and elevation ( S1030 ). As an example, the modeling module 121 may generate a 3D spatial model by performing the operations of FIGS. 5 to 11 below.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평면도를 기초로 각 층별 공간 모형을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5 to 7 are exemplary views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spatial model for each floor based on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모델링 모듈(121)은 평면도를 기초로 도 5에 해당하는 1층 평면도의 공간 모형을 생성하고, 도 6에 해당하는 2층 평면도의 공간 모형을 각각 생성함으로써, 각 층별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5 to 7, the modeling module 121 generates a spatial model of the first floor plan corresponding to FIG. 5 based on the plan view, and by generating a spatial model of the second floor plan corresponding to FIG. 6, respectively, You can create a spatial model for each floor.

이를 위해, 신경망 모듈(122)은 각 층별 평면도에 기재된 선분 및 기호를 특정하고, 특정된 선분 및 기호가 의미하는 객체 정보를 도면 정보 DB(112)로부터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망 모듈(122)은 설계도에서 사용되는 선 정보 및 기호 정보에 대한 클래스가 레이블링 되어 있는 학습용 평면도를 기초로 학습된 신경망 모델에 획득한 평면도를 입력하여 평면도에 포함된 선분 및 기호의 위치와 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may specify line segments and symbols described in the floor plan for each floor, and determine object information meaning the specified line segments and symbols from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 For example,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inputs the floor plan obtained to the neural network model learned based on the learning floor plan in which the class for line information and symbol information used in the design is labeled, and the line segments and symbols included in the plan view Location and type can be specified.

모델링 모듈(121)은 획득한 평면도에 포함된 선분의 종류에 대응하는 객체(ex. 내벽 및 외벽 등)의 3차원 모델을 도면 정보 DB(112)로부터 로딩하여, 평면도의 선분 위치에 해당하는 가상 공간에 생성할 수 있다. 모델링 모듈(121)은 획득한 평면도에 포함된 기호의 종류에 대응하는 객체(ex. 세면대, 의자 등)의 3차원 모델을 도면 정보 DB(112)로부터 로딩하여, 평면도의 기호 위치에 해당하는 가상 공간에 생성할 수 있다. The modeling module 121 loads a 3D model of an object (e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etc.)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line segment included in the obtained plan view from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and virtual can be created in space. The modeling module 121 loads a three-dimensional model of an object (eg, a sink, a chair, etc.)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symbol included in the obtained plan view from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and loads a virtual model corresponding to the symbol position of the plan view. can be created in space.

이처럼, 모델링 모듈(121)은 획득한 각 층별 평면도에 포함된 선 및 기호와 대응하는 객체의 3차원 모델을 가상 공간에 로딩하여, 도 7과 같이 각 평면도에 대응하는 3차원 층별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모델링 모듈(121)은 층별 공간 모형에 포함된 3차원 모델 객체에 해당 객체와 대응되는 실제 제품의 정보에 대한 URL 링크를 매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사용자에 의해 3차원 모델 객체가 선택하는 경우, 모델링 모듈(121)은 사용자에게 해당 객체의 정보에 대한 URL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modeling module 121 loads the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lines and symbols included in the obtained floor plan for each floor into the virtual space, and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for each floor corresponding to each floor plan as shown in FIG. 7 . can do. The modeling module 121 may map a URL link for information on an actual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bject to the 3D model object included in the spatial model for each floor. Accordingly, when a 3D model object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igital twin space, the modeling module 121 may provide the user with a URL link fo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object.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단면도를 기초로 각 층별 공간 모형을 연결한 내부 공간 모형을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8 and 9 are exemplary views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n internal space model in which a spatial model for each floor is connected based on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모델링 모듈(121)은 기 생성된 층별 공간 모형에 도 8의 단면도에 기재된 각 층의 높이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높이를 각 층별 공간 모형에 적용하고, 단면도에 기재된 각 층의 순서에 따라 층별 공간 모형을 상기 가상 높이 만큼 거리를 두어 연결한 내부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8 and 9, the modeling module 121 applies the virtual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information of each floor describ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to the previously generated space model for each floor to the space model for each floor, and describ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order of each floor,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nternal space model in which the space models for each floor are connected by a distance equal to the virtual height.

이를 위해, 모델링 모듈(121)은 신경망 모듈(122)을 통해 도 8의 단면도에 기재된 선분 및 기호를 특정하고 특정된 선분 및 기호가 의미하는 객체 정보를 도면 정보 DB(112)로부터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망 모듈(122)은 설계도에서 사용되는 선, 기호, 척도 및 방위 정보에 대한 클래스가 레이블링 되어 있는 학습용 단면도를 기초로 학습된 신경망 모델에, 획득한 단면도를 입력하여 단면도에 포함된 선 및 기호의 위치와 종류를 특정하고, 척도 및 방위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odeling module 121 specifies the line segments and symbols describ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through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and can determine object information that the specified line segments and symbols mean from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 For example,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enters the obtained cross-section into the neural network model trained based on the cross-section for learning in which classes for line, symbol, scale, and orientation information used in the design are labeled, and is included in the cross-section.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position and type of lines and symbols, and to determine scale and orientation information.

모델링 모듈(121)은 단면도에 포함된 선분의 종류에 대응하는 객체(ex. 벽의 높이)의 가상 높이를 각 층별 공간 모델에 적용하고, 단면도에서 인식된 척도 및 방위를 기초로 각 층별 공간 모델이 갖는 복수의 면 중 단면도에 기재된 면과 대응하는 면을 판별하여, 단면도에 기재된 면을 기준으로 각 층별 공간 모델의 배치면을 정렬하고, 단면도에 기재된 각 층의 순서에 따라 층별 공간 모형을 각 층의 가상 높이 만큼 거리를 둔 채로 연결하여 도 9와 같이 내부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The modeling module 121 applies the virtual height of the object (eg, the height of the wal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line segment includ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to the space model for each floor, and the space model for each floor based on the scale and orientation recogniz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Among the plurality of surfaces it has,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describ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is determined, the arrangement surface of the space model for each floor is arranged based on the surface describ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and the space model for each floor is drawn according to the order of each floor describ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An interior space model can be created as shown in FIG. 9 by connecting the layers at a distance equal to the virtual height of the floor.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입면도를 기초로 건물의 각 면별 외부 공간 모형을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10 and 11 are exemplary views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n external space model for each side of a building based on an elevatio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모델링 모듈(121)은 입면도를 기초로 건물의 외곽을 구성하는 각 면(ex. 동쪽면, 서쪽면, 남쪽면, 북쪽면)의 외부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10 and 11 , the modeling module 121 may generate an external space model of each side (eg, east side, west side, south side, north side)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elevation view. have.

이를 위해, 모델링 모듈(121)은 신경망 모듈(122)을 통해 도 10의 입면도에 기재된 선분 및 기호를 특정하고 특정된 선분 및 기호가 의미하는 객체 정보를 도면 정보 DB(112)로부터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망 모듈(122)은 설계도에서 사용되는 선, 기호, 척도 및 방위 정보에 대한 클래스가 레이블링 되어 있는 학습용 입면도를 기초로 학습된 신경망 모델에, 획득한 입면도를 입력하여 입면도에 포함된 선 및 기호의 위치 및 종류를 특정하고, 척도 및 방위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modeling module 121 specifies the line segments and symbols described in the elevation view of FIG. 10 through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and can determine object information that the specified line segments and symbols mean from the drawing information DB 112. . For example, the neural network module 122 inputs the obtained elevation to the neural network model learned based on the elevation for learning in which classes for lines, symbols, scales, and orientation information used in the design are labeled.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position and type of lines and symbols, and to determine scale and orientation information.

모델링 모듈(121)은 입면도에 포함된 선 및 기호의 종류에 대응하는 객체(ex. 외벽, 창문, 난간)의 3차원 모델을 가상 공간에 생성하여 건물의 외곽을 구성하는 각 면(ex. 동쪽면, 서쪽면, 남쪽면, 북쪽면)을 생성하고 방위 및 척도에 따라 각 면을 연결한 외부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모델링 모듈(121)은 건물 설계도의 방위 및 척도 정보를 기초로, 입면도에 의해 생성된 외부 공간 모형에 포함된 각 층의 높이 정보와, 평면도 및 단면도에 의해 생성된 내부 공간 모형에 포함된 각 층의 높이 정보가 서로 대응하도록 연결하여, 건물의 내외부 모습이 모두 구현된 3차원 공간 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The modeling module 121 creates a three-dimensional model of an object (ex. exterior wall, window, railing)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line and symbol included in the elevation view in a virtual space, and each side (ex. east side)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face, west face, south face, north face) and create an external space model connecting each face according to azimuth and scale. Then, the modeling module 121 is based on the orientation and scal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design, the height information of each floor included in the external space model generated by the elevation view, and the internal space model generated by the floor plan and the cross-sectional view. By connecting the height information of each floor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in which bo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are realized.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트윈 공간에 3차원 공간 모형을 대입하는 동작의 예시도이다. 1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operation of substituting a 3D spatial model into a digital twin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123)은 디지털 트윈 공간에 3D 외관이 구현된 복수의 건물(ex. 도 4 상태의 건물) 중 획득된 건물 설계도의 정보와 대응하는 건물의 위치에 3차원 공간 모형을 대입할 수 있다(S1040). 제어 모듈(123)은 디지털 트윈 공간의 3D 외관이 구현된 건물에 매핑되어 있는 주소 정보와, 획득된 건물 설계도에 매핑된 주소 정보를 비교하여 도 5 내지 도 11의 과정에 따라 생성된 3차원 공간 모형을 대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control module 123 is locat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t a location of a building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of a building design obtained from among a plurality of buildings (eg, buildings in the state of FIG. 4 ) in which a 3D appearance is implemented in a digital twin space. A model may be substituted (S1040). The control module 123 compares the address information mapped to the building in which the 3D exterior of the digital twin space is implemented with the address information mapped to the obtained building blueprint, and the three-dimensional spa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S. 5 to 11 . model can be substituted.

한편, S1030 동작에 의해 생성된 3차원 공간 모형이 S1010 동작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트윈 공간과 상이한 가상 환경(프로젝트)에서 생성되는 경우, 3차원 공간 모형을 디지털 트윈 공간에 대입 시 이질적인 크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 모듈(123)은 디지털 트윈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3D 외관의 크기에 대응하여 대입되도록 3차원 공간 모형의 크기를 재설정하여 대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23)은 디지털 트윈 공간에 3D 외관의 구현된 건물의 부피와, 3차원 공간 모형의 최외곽 텍스쳐의 부피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가 되도록 3차원 공간 모형의 최외곽 부피를 조절하여 디지털 트윈 공간에 대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3D space model generated by the S1030 operation is generated in a virtual environment (project) different from the digital twin space created by the S1010 operation, a heterogeneous size difference may occur when substituting the 3D spatial model into the digital twin space. can To solve this, the control module 123 may reset the size of the 3D space model to be substituted so that it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3D exterior implemented in the digital twin space.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3 controls the outermost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me of the building implemented with the 3D exterior in the digital twin space and the volume of the outermost texture of the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is within a preset range. By adjusting the volume, it can be substituted into the digital twin space.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3차원 공간 모형이 반영된 디지털 트윈 공간 기반의 응용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S1050)The interface module 124 may provide a digital twin space-based application service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is reflected (S1050)

일 예로,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3차원 공간 모형이 반영된 건물의 내부를 1인칭 시점으로 이동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1인칭 시점이 건물 설계도의 계단에 해당하는 3차원 모델 객체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하는 1인칭 시점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현재 위치한 시점의 층별 공간 모형의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어지는 층별 공간 모형을 1인칭 시점에 출력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interface module 124 may provide a camera interface that moves the interior of a building in which a 3D space model is reflected in a digital twin space from a first-person view. When the first-person view is locat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3D mode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irs of the building design, the interface module 124 provides a space model for each floor of the currently located view based o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person view manipulated by the user. You can output a space model for each floor from the location to the top or bottom in the first person view.

일 예로,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해당 건물과 대응하는 실제 건물 소유주 또는 해당 건물의 임차인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허가를 승인받은 사용자 계정에만 1인칭 시점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terface module 124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first-person view to be permitted only to a user account that has received permission from a user account corresponding to an actual building owner or a tenant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일 예로,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1인칭 시점이 3차원 공간 모형에서 창문에 해당하는 객체를 바라보는 경우, 창문 부분에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의 외부 디지털 트윈 공간을 1인칭 시점으로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person view views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window in the 3D space model, the interface module 124 may output the external digital twin space of the 3D space model to the window portion as a first-person view. .

일 예로,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서로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건물의 3차원 공간 모형 내부에서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사용자의 1인칭 시점의 위치를 표시하고 서로 다른 사용자 간의 음성 대화 또는 채팅 대화를 수행하는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different users use the camera interface in the 3D space model of the same building at the same time, the interface module 124 displays the positions of the first-person viewpoints of different users, and voice conversation or chatting between different users. A conversation interface for conducting a conversation may be provided.

일 예로,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서로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건물의 3차원 공간 모형 내부에서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124)은 3차원 공간 모형의 내부 어느 일 지점에 소정의 3차원 모델 객체를 생성하여, 보물 찾기의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different users use the camera interface in a 3D space model of the same building at the same time, the interface module 124 is configured to display a predetermined 3D space at any point inside the 3D space model. By creating a model obj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ame interface for treasure hunting.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설계도 기반으로 건물의 내외부가 3차원으로 모델링된 디지털 트윈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디지털 트윈 공간에서 객체 커스텀, 공간 조망, 인증 기반 공간 방문, 사용자 간 대화/채팅/게임, 3차원 객체에 상품 정보 링크 연동, WebGL 기반의 URL을 통한 메타버스 접속 등의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y constructing a digital twin space wher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is modeled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building blueprint, object customization, space view, authentication-based space visit, user-to-user conversation/chat/game, Various linkage services such as product information link linkage to 3D objects and metaverse access through WebGL-based URL can be provided.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ion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the noun corresponding to the item may include one item or a plurality of items,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 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 B, or C" each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hrases.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simply be used to distinguish an element from other such elements, and may refer elements to other a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 is not limited to that one (e.g., first) component i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referenced, it means that one componen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directly (eg, by wire),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module”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for example,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formed part or a minimum unit of a part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예: 전자 장치)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버퍼, 하드 드라이브, 데이터베이스,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a program) includ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memory) readable by a device (eg, an electronic device). The storage medium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memory buffers, hard drives, databases,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 (EEPROM), read-only memory (ROM) and/or the like. may include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들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및/또는 등등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may call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the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enables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command called. One or more of thes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The processor may be a general-purpose processo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d/or the like.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The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ransito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 and this term refers to cases in which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a storage medium and temporarily stored.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cases wher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included and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via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or on two user devices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online, directly between smartphones).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of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relay server.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a module or a program) of the 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ular or a plurality of entiti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operations among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a module or a progr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integ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ar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ar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Claims (10)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동작 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은,
3D로 외관이 구현된 복수의 건물을 포함하는 디지털 트윈 공간을 제1 가상 환경에 생성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건물 중 제1 건물의 내외부의 구현을 위한 도면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도면을 기초로 상기 제1 가상 환경과 상이한 제2 가상 환경에서 신경망 모델을 이용해 상기 제1 건물의 내외부를 구현한 3차원 공간 모형을 생성하는 동작;
서로 상이한 가상 환경에서 구현된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제1 건물의 크기와 상기 제2 가상 환경의 3차원 공간 모형의 크기를 동일한 가상 환경에서 서로 대응시키기 위해,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의 최외곽 텍스쳐의 부피가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제1 건물에 구현된 3D 외관의 부피에 대응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가상 환경의 3차원 공간 모형을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제1 건물에 대입하는 동작; 및
WebGL을 기초로 사용자가 상기 제1 가상 환경에 접속할 수 있는 URL을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one or more memories stor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predetermined operations; and one or more processors operatively coupled to the one or more memories and configured to execute the instructions;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is
An operation of creating a digital twin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uildings whose exteriors are implemented in 3D in a first virtual environment;
obtaining a drawing for realiz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a first building among the plurality of buildings;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model embodie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building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in a second virtual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the drawing;
In order to make the size of the first building of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implemented in different virtual environments and the size of the 3D space model of the second virtual environment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same virtual environment, the outermost texture of the 3D space model sub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of the second virtual environment into the first building of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to correspond to the volume of the 3D exterior implemented in the first building of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and
and providing a URL through which a user can access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WebGL.
WebGL-based URL link linkage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을 제공하는 동작은,
WebGL을 기초로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이 대입된 제1 가상 환경을 웹게임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URL is
Based on WebGL, comprising the operation of converting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into which the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is substituted into a web game,
WebGL-based URL link linkage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을 제공하는 동작은,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URL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간의 음성 대화 또는 채팅 대화를 수행하는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URL is
When a plurality of users access the URL, comprising the operation of providing a dialogue interface for performing a voice conversation or a chat convers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s,
WebGL-based URL link linkage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을 제공하는 동작은,
사용자에게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의 내부를 1인칭 시점으로 출력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URL is
and providing a camera interface for outputting the interior of the 3D space model as a first-person view to a user.
WebGL-based URL link linkage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URL을 통해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이 대입된 제1 가상 환경에 접속하는 경우 서로 다른 사용자의 1인칭 시점의 위치를 표시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mera interface is
When a plurality of users access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to which the 3D space model is substituted through the URL, the positions of the first-person views of different users are displayed,
WebGL-based URL link linkage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는,
상기 1인칭 시점이 상기 대입된 3차원 공간 모형의 위치에서 계단에 해당하는 3차원 모델 객체와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1인칭 시점의 이동 방향을 기초로 층별 공간 모형의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어지는 층별 공간 모형을 상기 1인칭 시점에 출력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mera interface is
When the first-person view is locat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3D mode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tairs in the position of the substituted 3D space model, the upper or Outputs the spatial model for each floor leading to the bottom in the first-person view,
WebGL-based URL link linkage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3차원 공간 모형 내에 배치될 객체를 사용자가 선택하고, 상기 객체의 재질 및 색상을 사용자가 커스텀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커스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URL is
and providing a custom interface for a user to select an object to be plac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and a user to customize and select a material and color of the object,
WebGL-based URL link linkage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RL을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3차원 공간 모형 내에 배치된 객체와 대응되는 실제 제품의 정보에 대한 URL 링크가 매핑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객체가 선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실제 제품의 정보에 대한 URL 링크가 제공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of providing the URL is
A URL link to information of an actual product corresponding to an object dispos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is mapped, and when the object is selected by a user, a URL link to information of the actual product is provided to the user,
WebGL-based URL link linkage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입하는 동작은,
서로 상이한 가상 환경에서 구현된 상기 제1 건물 및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의 크기를 동일 가상 환경에서 서로 대응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가상 환경에 로딩된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의 최외곽 텍스쳐의 부피 및 상기 제1 가상 환경에 기 구현된 상기 제1 건물의 3D 외관의 부피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3차원 공간 모형의 크기를 제어하여 대입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ituting operation is
In order to make the sizes of the first building and the 3D space model implemented in different virtual environments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same virtual environment, the volume of the outermost texture of the 3D space model loaded into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and the and controlling and substituting the size of the 3D spatial model of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so that the difference in volume of the 3D exterior of the first building previously implemented in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is within a preset range.
WebGL-based URL link linkage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가 수행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방법에 있어서,
3D로 외관이 구현된 복수의 건물을 포함하는 디지털 트윈 공간을 제1 가상 환경에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건물 중 제1 건물의 내외부의 구현을 위한 도면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면을 기초로 상기 제1 가상 환경과 상이한 제2 가상 환경에서 신경망 모델을 이용해 상기 제1 건물의 내외부를 구현한 3차원 공간 모형을 생성하는 단계;
서로 상이한 가상 환경에서 구현된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제1 건물의 크기와 상기 제2 가상 환경의 3차원 공간 모형의 크기를 동일한 가상 환경에서 서로 대응시키기 위해, 상기 3차원 공간 모형의 최외곽 텍스쳐의 부피가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제1 건물에 구현된 3D 외관의 부피에 대응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가상 환경의 3차원 공간 모형을 상기 제1 가상 환경의 제1 건물에 대입하는 단계; 및
WebGL을 기초로 사용자가 상기 제1 가상 환경에 접속할 수 있는 URL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WebGL 기반 URL 링크 연동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방법.
In the WebGL-based URL link interlocking digital twin space cre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WebGL-based URL link interlocking digital twin space creation device,
Creating a digital twin space including a plurality of buildings in which the exterior is implemented in 3D in a first virtual environment;
obtaining drawing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a first building among the plurality of buildings;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model embodie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building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in a second virtual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the drawing;
In order to make the size of the first building of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implemented in different virtual environments and the size of the 3D space model of the second virtual environment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same virtual environment, the outermost texture of the 3D space model sub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model of the second virtual environment into the first building of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volume of the to correspond to the volume of the 3D exterior implemented in the first building of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and
providing a URL through which a user can access the first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WebGL;
How to create a WebGL-based URL link-linked digital twin space.
KR1020220058416A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linked with webgl-based url link KR102442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416A KR102442137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linked with webgl-based url l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49A KR102399248B1 (en) 2021-10-15 2021-10-15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architectural drawing
KR1020220058416A KR102442137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linked with webgl-based url lin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349A Division KR102399248B1 (en) 2021-10-15 2021-10-15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architectural draw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137B1 true KR102442137B1 (en) 2022-09-13

Family

ID=81805341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349A KR102399248B1 (en) 2021-10-15 2021-10-15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architectural drawing
KR1020220058416A KR102442137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linked with webgl-based url link
KR1020220058417A KR102442138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real address authentication
KR1020220058420A KR102442141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reflected change of light/shade over time
KR1020220058419A KR102442140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object linked with external link
KR1020220058415A KR102442136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of metaverse
KR1020220058418A KR102442139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arranging 3d model of drawing object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349A KR102399248B1 (en) 2021-10-15 2021-10-15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architectural drawing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417A KR102442138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real address authentication
KR1020220058420A KR102442141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reflected change of light/shade over time
KR1020220058419A KR102442140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object linked with external link
KR1020220058415A KR102442136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of metaverse
KR1020220058418A KR102442139B1 (en) 2021-10-15 2022-05-12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based on arranging 3d model of drawing obj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3992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045A (en) 2022-09-26 2024-04-02 김태원 Metaverse service platform using nft based metaverse ticke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ervice
KR102481843B1 (en) 2022-09-26 2022-12-26 김태원 Metaverse service platform using nft based metaverse ticke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ervice
KR102547748B1 (en) * 2022-11-04 2023-06-28 주식회사 스탠스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digital twin model
KR102597403B1 (en) * 2022-11-15 2023-11-02 주식회사 유인프라웨이 Web based structure image service method using digital twin and camera property
KR102633177B1 (en) * 2023-01-20 2024-02-02 주식회사 핀텔 The Method and System for Labeled Machine-Learning Data By Digital Twin
CN116882116B (en) * 2023-09-07 2024-02-02 北京世纪黄龙技术有限公司 Digital twin heating space division method, calcula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4522A (en) * 1996-03-05 1997-09-19 Canon Inc Method and device for undergoing virtual building
KR100952393B1 (en) 2007-12-26 2010-04-14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Space transporting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KR102199940B1 (en) 2020-04-28 2021-01-07 (주)제타럭스시스템 Method of constructing 3D map of mobile 3D digital twin using 3D engine
KR102272650B1 (en) * 2020-12-08 2021-07-05 유찬영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based interior service using three-dimentional space re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4522A (en) * 1996-03-05 1997-09-19 Canon Inc Method and device for undergoing virtual building
KR100952393B1 (en) 2007-12-26 2010-04-14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Space transporting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KR102199940B1 (en) 2020-04-28 2021-01-07 (주)제타럭스시스템 Method of constructing 3D map of mobile 3D digital twin using 3D engine
KR102272650B1 (en) * 2020-12-08 2021-07-05 유찬영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based interior service using three-dimentional space re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139B1 (en) 2022-09-13
KR102442140B1 (en) 2022-09-13
KR102442136B1 (en) 2022-09-13
KR102442141B1 (en) 2022-09-08
KR102442138B1 (en) 2022-09-08
KR102399248B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137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digital twin space linked with webgl-based url link
CN107004297B (en) Three-dimensional automatic stereo modeling method and program based on two-dimensional plane diagram
WO2019058266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version of a floor plan to a 3d scene for creation & rendering of virtual reality architectural scenes, walk through videos and images
US11836973B2 (en) Automated direction of capturing in-room information for use in usability assessment of buildings
KR101808439B1 (en) VR model houses providing method
US11790648B2 (en) Automated usability assessment of buildings using visual data of captured in-room images
US11875460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space view
CN111968247B (en) Method and device for constructing three-dimensional house spa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002857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simulated environment
US20230206393A1 (en) Automated Building Information Determination Using Inter-Image Analysis Of Multiple Building Images
US2021017459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reating virtual pop-up spaces
CN113449356B (en) Indoor automatic layout method, indoor automatic layout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00000288A (en) Operating system for model house with virtual realityand method thereof
KR102019096B1 (en) Combined Cyber Model House Providing System, Sever and Method thereof
CN108961405A (en) The Real Estate Information System serviced towards the public based on SOA
EP3789967A1 (en) Three-dimensional space view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WI799195B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ird-person perspective with a virtual object
CN108242080A (en) Augmented reality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US11928777B1 (en) Using optical labels in a virtual environment
US20240161348A1 (en) Automated Inter-Image Analysis Of Multiple Building Images For Building Information Determination
KR102091766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odel house service
Schmidt Architectural intelligence: Generative design installations
KR20230124349A (en) Sales promotion center experience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KR20230114960A (en) Distribution facility design method and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3D model
KR20240074060A (en) Virtual reality model house oper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Summ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