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673B1 -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 Google Patents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673B1
KR102441673B1 KR1020210178470A KR20210178470A KR102441673B1 KR 102441673 B1 KR102441673 B1 KR 102441673B1 KR 1020210178470 A KR1020210178470 A KR 1020210178470A KR 20210178470 A KR20210178470 A KR 20210178470A KR 102441673 B1 KR102441673 B1 KR 10244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urniture
antibacterial
back plate
antifun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신
Original Assignee
(주)대성디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디앤에프 filed Critical (주)대성디앤에프
Priority to KR102021017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은 UV코팅액 조성물과,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UV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올리고머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항균 무기질 물질,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를 포함하고, 수용성 엣지 조성물은 주제, 경화제, 항균 무기질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을 가구 뒷판용 자재와 가구 몸통 엣지면에 도포하여 마감 처리를 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곰팡이와 세균에 노출되는 곳의 섬유질 조직 간 틈새 공극을 메워 세균, 벌레, 유해화학물질 방출을 예방하는 제조 공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Antifungal and antibacterial coating solution composition, material for the back panel to which this composition is applied, how to manufacture furniture using materials for the back panel and furniture manufactured using thi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벽부형으로 설치되고 가구의 뒷면은 상시 벽면과 마주하고 있으며, 설치 후에 짧게는 3 ~ 5년, 길게는 10년이상 고착화되어 있으나 사용자 대부분은 벽면과 마주하고 있는 가구의 뒷면의 상황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
최근 아파트나 주택의 벽면에 결로 또는 우기의 습기에 의해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신축 주상복합 아파트에 시공된 붙박이 가구에 곰팡이와 수많은 양의 혹파리가 번식하여 입주민들이 피해를 호소하는 일이 발생했다. 이처럼 가구의 뒷면과 벽체 사이에서 온도 차에 의한 응결이 발생되거나, 외벽으로 수분이 침투되어 가구의 뒷면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습기에 따른 문제가 잠재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가구의 뒷판과 벽체 틈새에 공기의 순환이 되지 않아 곰팡이와 병원균, 벌레가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만들어져 실내 공기의 질과 건강의 잠재적 위협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가구 뒷판의 엣지면과 가구 뒷판이 끼워지는 홈 및 가구의 몸통 엣지면 또한 항균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 습기 침투에 따른 곰팡이 및 세균 증식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제작과 조립 공정에서 손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균과 포자가 전이되는 상시 노출 상태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착성이 우수하고, 내화학성, 내구성이 뛰어난 UV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충격성, 내굴곡성, 내용제성, 내수성, 내후성이 우수한 수용성 엣지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구의 뒷판용 자재와 몸통 엣지면에 상기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엣지면에 침투하는 곰팡이 포자와 균을 제거할 수 있는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은 UV코팅액 조성물과,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V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올리고머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항균성 무기질 물질,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 엣지 조성물은 주제, 경화제, 항균성무기질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은 원자재 입고단계, UV도장단계, 재단단계, 엣지도장단계, 조립용 구멍가공 단계, 포장단계, 고객인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가구는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UV코팅액 조성물은 부착성이 우수하고, 내화학적, 내구성, 항균성이 뛰어나 도장면의 외부 유해 세균으로부터 증식과 저항성을 갖게 해주어 피도체 보호에 특화되어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용성 엣지 조성물은 목재질의 공극을 메워 외부로부터 유해균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막을 형성하고, 충격성, 내굴곡성, 내용제성, 항균성, 내수성, 내후성이 우수하여 용제로 물을 사용시 작업자의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냄새가 순하여 작업장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근로자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가구의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곰팡이성, 항균성 조성물이 도포된 뒷판용 자재의 전개도이다.
도 3은 시험 예 1의 UV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항곰팡이 박판MDF의 항곰팡이, 항균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시험 성적서이다.
도 4는 시험 예 2의 UV코팅액 조성물 및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시험체를 소형챔버법에 의한 친환경 상태 유지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시험 성적서이다.
도 5는 시험 예 3 및 4의 항곰팡이성, 항균성 UV 코팅액 조성물 및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MDF 평가 결과 중 내오염성에 대한 사진이다.
도 6은 시험 예 3 및 4의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 및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MDF 평가 결과 중 내열탕성에 대한 사진이다.
도 7은 시험 예 3 및 4의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MDF 평가 결과 중 내크랙성에 대한 사진이다.
도 8은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조 공정도이다.
도 9는 UV도장단계에서 뒷판용 자재에 UV코팅액 조성물을 Roller coating 방법에 의하여 코팅을 수행하는 UV Roller coating 공정도이다.
도 10은 엣지 도장단계에서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과 후의 뒷판용 자재 및 몸통 엣지면의 공극 비교사진이다.
도 11은 엣지 도장단계에서 엣지면에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스프레이 도장 방법으로 회전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벽부형 가구 뒷판의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곰팡이와 세균이 증식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만들어 진다는 단점을 해소하면서도 항곰팡이성,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에 UV 항곰팡이성 및 항균성 도장층을 형성하여 항곰팡이성, 항균성, 내화학성, 내구성, 충격성, 내굴곡성, 내용제성, 내수성, 내후성, 환경 오염 등의 단점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생산 단가를 낮춰 가격경쟁력 또한 갖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벽부형 가구는 주방가구 상부장 및 하부장, 신발장, 옷장, 이불장, 수납장, 책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V 항곰팡이 및 항균 도장층을 형성함에 있어, 단순히 항균작용을 하는 피톤치드나 유기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자외선 경화가 가능한 무기산화물 항균제를 사용함으로써 그 항균성이 장기간 지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재단된 엣지면은 제작공정과 설치현장에서 작업자 손으로 계속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항균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 습기 침투에 따른 곰팡이 및 세균 증식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상시 노출 상태 문제가 있어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제조공정에서 도포하여 엣지면에 침투하는 곰팡이 포자와 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유해화학물질의 방출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벽부형 가구의 조립도이다.
상기 제조된 벽부형 가구 조립도(100)에서 항곰팡이성, 항균성 조성물이 도포된 뒷판용 자재(130)와 결합되어지는 벽부형 가구 밑면 홈(111) 및 벽부형 가구 측면 홈(121)은 3면이 노출되어 있지만 UV코팅액 조성물이 도포 되어있는 뒷판용 자재 뒷면(131)과 수용성 엣지 조성물이 도포 되어있는 뒷판용 자재 엣지면(132) 및 벽부형 가구 측면의 엣지면(122)의 항곰팡이, 항균기능으로 벽부형 가구의 내면과 마주하는 뒷판용 자재 앞면(133)으로의 곰팡이 및 세균의 침투를 방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벽부형 가구는 벽부형 가구 밑면(110), 벽부형 가구 밑면 홈(111), 벽부형 가구 측면(120), 벽부형 가구 측면 홈(1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곰팡이성, 항균성 조성물이 도포된 뒷판용 자재의 전개도이다.
상기 뒷판용 자재(130)는 UV코팅액 조성물을 Roller coating방법에 의하여 도포하는 뒷판용 자재 뒷면(131)과,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회전테이블을 이용하여 스프레이 도장방법에 의하여 도포하는 뒷판용 자재 엣지면(132)과 벽부형 가구의 내면과 마주하는 뒷판용 자재 앞면(1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UV코팅액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올리고머 수지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특수첨가한 항균물질과 반응성 모노머와 광개시제의 라디칼 중합반응으로 도막을 형성한다. 피도체를 외부 세균으로부터 보호해주며 기존의 방향족인 Styrene monomer를 대체한 지방족 물질로 친환경급 자외선 도료이다. 국내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방출량 기준에 맞게 설계되어진 준무황변 도료로, 부착성, 내화학성, 내구성, 항균성이 뛰어나 도장면의 외부 유해 세균으로부터 증식과 저항성을 갖게 해주어 피도체 보호에 특화된 코팅제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은 가공목재에 전체에 도포할 수 있는 친환경 VOC저감 UV코팅제로서 난소재 부착 및 습기, 세균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소재의 면 처리 코팅용으로 널리 쓰일 수 있다. 연두빛의 반투명 액상 형태의 코팅 도료로, Roll 시스템용에서 많이 쓰이며 유연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경화속도는 8 ~ 10m/min이고, 산 과 알칼리 및 수분 노출에 대한 저항성도 우수하다.
이하,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올리고머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항균성 무기질 물질,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우레탄 올리고머 수지는 바인더 수지로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성 폴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이며, 자외선 경화성으로 그 말단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며,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0인 화합물이다. 일반적인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의 경우는 점도 및 물성에 따라 각각의 모노머로 희석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항균성 UV코팅액에 사용되는 폴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모노머에 의하여 희석되어 사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폴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 결합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유연한 물성을 지닌다. 폴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종류가 다양하며,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에 따라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방향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나누어진다.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무황변 타입이며, 통상 2 내지 20개의 관능기를 가지고, 방향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황변 타입이며 반응성이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에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성 폴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황변이 없고, 경도가 커서 내구성이 우수하며 순간적인 경화 성능을 가져서 각종 목재 소재에 우수한 내마모성을 부여하고, 상기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와 접착성이 뛰어난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하였다. 자외선 경화성 폴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3 내지 10개의 관능기를 가지는데 관능기의 수는 광개시제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소정의 표면 경도 및 소재와의 접착성을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수치이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류, 지방족 다가 글리시딜에 테르 화합물,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비스페놀F, 비스페놀AD 등으로 대표되는 방향족 디올류 및 그들을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알킬렌글리콜 변성한 디올류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가가 184~190g/eq.인 비스페놀A 타입의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아크릴산은 아크릴산 에스테르모노머, 메틸메타크릴산(methyl methacrylic acid),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산은 에폭시 수지에 대하여 함량이 증가할수록 합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C=C 결합의 함량이 증가하여 겔분율(gel fraction) 및 접착력이 향상되고 자외선 경화 효율이 높아져 미반응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감소하게 된다. 아크릴산의 함량이 에폭시 수지의 함량 대비 0.2mol% 이하인 경우에는 합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점도가 낮고 C=C 결합의 함량이 적어 광경화 반응이 어렵게 된다. 아크릴산의 함량이 에폭시 수지의 함량 대비 1.0mol% 이상인 경우에는 합성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점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접착제 제조시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항균성 무기질 물질은 리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올라이트는 제올라이트나 실리카 알루미나 등 무기 담체에 은, 구리, 아연과 같이 항균성이 뛰어난 금속이온을 치환한 것으로 미세한 기공을 가진 3차원 골격구조를 지닌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2-hydroxyethyl acry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2-Hydroxy-2-methylpropiophenon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수용성 엣지 조성물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항곰팡이성, 항균성 수용성 엣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수용성 엣지 조성물은 2액형 강제 및 자연건조형 우레탄 도료로서 경화된 도막은 경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초기 도장시 침투성 성질을 보여 목재질의 공극을 메워 외부의 유해균 및 오염으로 부터 보호막을 형성한다. 추가 도장시 유려한 막을 형성하여 마감 코팅으로 우수하며 용제로 물을 사용시 작업자의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냄새가 순하여 작업장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여 근로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수용성 엣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수용성 엣지 조성물은 주제, 경화제, 항균성 무기질 물질을 포함한다. 항곰팡이성, 항균성 수용성 엣지 조성물은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용제로 물을 사용하고, 주제와 경화제와 물의 비율은 색상 여부에 따라 4:1:1 ~ 5:1:1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때 물은 20g/ℓ이하이고, 혼합 비중은 1.20 ~ 1.30 이다.
상기 주제는 2-메틸-프로펜산 부틸 에스테르(2-Methyl-2-propenoic acid butyl ester), 2-부톡시 에탄올(2-Butoxyethanol),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2,4,7,9-Tetramethyl-5-decyne-4,7-diol), 이산화 지르코늄(Zirconium dioxide),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 이산화 규소(Silicon Dioxide), 계면활성제, 수산화알루미늄,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Methylamino-2-methyl-1-Propanol), 백색 안료(White Rutile Pigment)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화제는 친수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단독으로 구성되어 있고,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호모폴리머(1,6-Diisocyanatohexane homopolymer), N,N-디메틸시클로헥산아민화합물(N,N-Dimethylcyclohexanamine compounds) 및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성 무기질 물질은 Silver nitrate (AgNO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조성물에 대한 성능 평가결과를 하기 시험예를 통하여 나타냈다.
(시험 예 1)
항곰팡이, 항균 성능 평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의 항곰팡이, 항균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상기 시험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였으며, 시험규격 ASTM G21-15의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곰팡이가 번식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28.8 ~ 29.2℃, 습도 91.8 ~ 95.8%)에서 "50mm*50mm"크기의 시험 체 위에 곰팡이균을 접촉하여 28일간 배양 후 곰팡이균 성장수준으로 등급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3에 나타낸 바, 표 1에서와 같이 곰팡이 성장이 나타나지 않았다. 구체적인 시험 결과 기준은 표2에 나타냈다.
항곰팡이, 항균 성능 시험 결과
시험항목 단위 시험결과 시행처 비고
곰팡이 저항성 등급 0 한국건설환경
시험연구원
(29.0±0.2)℃
(92.8±2.0)%R.H
항곰팡이, 항균 성능 시험 결과기준
시험 결과 등급 시험 결과 값 설명
0 NONE
1 Trace of growth (less than 10%)
2 Light growth (10 to 30%)
3 Medium growth (30 to 60%)
4 Heavy growth (60% to complete coverage)
도 3는 시험 예 1의 UV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항곰팡이 박판MDF의 항곰팡이, 항균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시험 성적서이다.
(시험예 2)
친환경 상태 유지 성능 평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의 친환경 상태 유지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상기 시험은 한국실내건축환경 시험연구원(KASTI)에 의뢰하였으며, 시험방법은 KS M 1998(소형 챔버법)의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소형 챔버 시험조건은 온도 24.0 ~ 26.0℃, 상대 습도 45 ~ 55%R.H., 환기 횟수 0.5회/h, 시료부하율 1.81㎡/㎥의 조건에서 "130mm*130mm"크기의 시험 체 위에 UV코팅액 조성물 및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알루미늄 호일로 감싼 뒤 지퍼백으로 밀봉 포장한 후 20일동안 총 휘발 유기화합물(TVOC), 톨루엔(Toluene),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의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4에 나타낸 바, 표 3에서와 같이 총 휘발 유기화합물(TVOC), 톨루엔(Toluene),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의 방출량은 기준치 내로 나타났다.
항목 오염물질 방출 기준 변경 내역 단체표준 친환경 가구기준 시험결과
기준일자 2021년12월 31일까지 2022년 01월01일부터 MDF4.5T+양면PP 판정
제품명 목질판상제품 데커레이션시트
오염물질
종류
방출량기준(mg/㎡h) 시험결과값
(mg/㎡h)
기준대비(%) 개정기준 및 단체표준에 합격
TVOC 0.800 0.400 0.100 0.055 55.00 기준치 내
Toluene 0.080 0.080 0.030 0.001 3.33 기준치 내
Formaldehyde 0.120 0.050 0.015 0.002 13.33 기준치 내
도 4는 시험 예 2의 UV코팅액 조성물과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시험체를 소형챔버법에 의한 친환경 상태 유지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시험 성적서이다.
(시험 예 3)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 성능 시험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 성능 시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시험은 주방에 적용되는 ASTM D 1308(Resistance to household chemicals ASTM D 1308) 평가기준을 참조하여 국내실정에 맞추어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기준과 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냈다.
항목 기준 결과 비고
광택(60˚) 30이상 35 광택계
내열탕성 들뜨거나 박리 없을것 이상 무 50℃×Water, 8hrs, X-Cut
내크랙성 들뜨거나 박리 없을것 이상 무 60℃ 1日/-10℃ 1日×3회
경도 F 이상 H ~3H 미쯔비시 연필
내오염성 내수성 광택 소실 및 용출 없을것 이상 무 Spot, 25℃×6hrs
내소주성 광택 소실 및 용출 없을것 이상 무 Spot, 25℃×6hrs
내식용유성 광택 소실 및 용출 없을것 이상 무 Spot, 25℃×6hrs
내간장성 광택 소실 및 용출 없을것 이상 무 Spot, 25℃×6hrs
내고추장성 광택 소실 및 용출 없을것 이상 무 Spot, 25℃×6hrs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수용성 엣지 조성물에 대한 성능 평가결과를 하기 시험예를 통하여 나타냈다.
(시험 예 4)
항곰팡이성, 항균성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 성능 시험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항곰팡이성, 항균성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 성능 시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시험은 주방에 적용되는 ASTM D 1308(Resistance to household chemicals ASTM D 1308) 평가기준을 참조하여 국내 실정에 맞추어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기준과 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냈다.
항목 기준 결과 비고
광택(60˚) 85이상 89 광택계
내열탕성 들뜨거나 박리 없을것 이상 무 50℃×Water, 72hrs, X-Cut
내크랙성 들뜨거나 박리 없을것 이상 무 60℃ 1日/-10℃ 1日×14회
경도 F 이상 H ~2H 미쯔비시 연필
내오염성 내수성 광택 소실 및 용출 없을것 이상 무 Spot, 25℃×6hrs
내소주성 광택 소실 및 용출 없을것 이상 무 Spot, 25℃×6hrs
내식용유성 광택 소실 및 용출 없을것 이상 무 Spot, 25℃×6hrs
내간장성 광택 소실 및 용출 없을것 이상 무 Spot, 25℃×6hrs
내고추장성 광택 소실 및 용출 없을것 이상 무 Spot, 25℃×6hrs
도 5 내지 도 7은 시험 예 3 및 4의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 및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 및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 성능 시험 중 내오염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내오염성 시험의 목적은 곰팡이 발생 원인에 대한 가정을 첫째로는 음식물로 인한 표면 반응 후 코팅층이 훼손되어 균에 노출되는 현상, 둘째로는 실내 가구로서의 물성 유지가 곰팡이 발생의 원인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는 추정 하에 진행하였다.
상기 내오염성에 대한 시험 오염물질 변수는 물, 알코올(소주), 오일(식용유), 염화 나트륨(간장), 색소(고추장)으로 진행하였다. 오염물질 변수에 해당하는 물질을 상온(25℃)하에서 UV코팅액 조성물과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에 동전 크기로 도포하여 6시간 경과 후 표면 광택저하, 변색, 기포 발생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상유무를 판단한 결과, 광택 소실 및 용출이 확인되지 않았다.
여기에서, 광택은 가구용 표면 광택 측정 스탠다드 장비인 BYK AG-4563 장비로 측정하였고, 광택이 30 Gross 이하로 표면 광이 나올 경우 외부환경으로부터 오염 및 훼손도가 증가하는 영향을 줄이고자 슬립성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기준 광택도는 최소 30 Gross으로 실험 시 확인할 수 있다. 이 실험은 연필 경도 시험 방법(ISO 15184)에 2H 미쯔비시 UNI모델을 사용하여 7.5N의 힘에 맞게 진행하였을 때 1.5~2.5H 의 결과값이 나왔으며, 이는 일반적 UV코팅액 조성물의 경도와 비슷하다. 광택이 30Gross 이하일 경우 경도의 결과값이 1~1.5H로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 내지 7은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 및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 성능 시험 중 내열탕성 및 내크랙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내열탕성 및 내크랙성 실험의 목적은 항곰팡이,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가 실생활 환경 변화를 가정한 변수에 대해 일반적인 가구로서의 외적, 내적인 기능이 훼손되는지 정도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고자 하는 실험이다. 하지만 현재 국제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아 가구에 대한 국내 도료 제조사들이 자체적으로 내열탕성 및 내크랙성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상기 내열탕성 실험은 X-Cut을 실시한 항곰팡이,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를 항온수조 HQ-HWB 장치에 넣고, 50℃ 온도의 물에서 72시간동안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X-Cut 주위의 들뜸 현상 및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상기 내크랙성 실험은 X-Cut & Tape 시험방법(ASTM D3359-Test Method "A")으로 진행하였다. X-Cut & Tape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험을 진행할 항곰팡이성, 항균성 UV 코팅액 조성물이 도포된 박판MDF의 위치를 선택한 후 흠집의 존재와 완전 건조 상태임을 확인한다. 둘째, Master plate와 Cutter를 사용하여 정해진 규격의 knife로 길이 40mm로 "X"자 형태로 UV코팅면 아래 소재까지 절단한다. 셋째, 절단면을 솔이나 붓으로 청소한 후 "X-Cut"위치에 테이프를 붙이고 밀착될 때까지 문지른다. 넷째, 30초 이내에 테이프 끝을 잡고 180˚의 각도에 가깝게 잡아당겨 테이프를 제거한다.
위와 같이 X-Cut & Tape 시험방법을 실시한 UV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는 60℃의 온도에서 하루 3회,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한 박판 MDF는 60℃의 온도에서 하루14회의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X-Cut 주위의 들뜸 현상 및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3.가구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은 가공을 하지 않은 뒷판용 자재의 원자재를 입고하는 단계인 원자재 입고단계(S100);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을 반응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와 라디칼 반응을 통하여 뒷면에 UV코팅을 하는 단계인 UV 도장단계(S200); UV코팅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를 생산지시서에 따라 재단하는 재단단계(S300); 재단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의 엣지면에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도장하는 단계인 엣지 도장단계(S400); 도장이 완료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의 조립용 구멍을 가공하는 단계인 조립용 구멍가공 단계(S500); 조립용 구멍가공이 완료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를 생산공정에 따라 조립한 후 포장하는 포장단계(S600); 포장이 완료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가 고객에게 인도하는 단계인 고객인도단계(S700);를 포함한다.
도 8은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조 공정도이다.
상기 원자재 입고단계(S100)는 가공을 하지 않은 뒷판용 자재의 원자재를 입고하는 단계이다.
상기 UV도장단계(S200)는 벽부형 가구의 뒷판용 자재 뒷면에 항곰팡이, 항균 UV코팅용 조성물과 반응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가 라디칼 중합반응을 일으켜 도막을 형성하며, 이 때 5g/㎡의 도장 도막을 사용하고 2m/min ~ 80m/min의 속도로 Roller coating을 실시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어하고 표면층에 항곰팡이, 항균기능을 활성화한다. 전 처리 코팅 없이 1회의 코팅으로 부착력이 우수하여 도막 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항곰팡이, 항균 물질의 성능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
도 9는 UV도장단계에서 뒷판용 자재에 UV코팅액 조성물을 Roller coating 방법에 의하여 코팅을 수행하는 UV Roller coating 공정도이다. 뒷판용 자재를 Roller coating M/C로 뒷면을 코팅한 후 UV Lamp를 통과하여 UV코팅액 조성물을 건조한다.
상기 재단단계(S300)는 항곰팡이, 항균기능이 활성화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와 가구의 몸통 자재를 생산지시서에 따라 CNC재단기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재단한다.
상기 엣지도장단계(S400)는 재단된 벽부형 가구의 뒷판용 자재에 4면과 가구 몸통 엣지면에는 항곰팡이, 항균기능이 없으므로 항곰팡이성, 항균성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회전테이블을 이용하여 스프레이 도장방법으로 분사한다.
여기에서, 엣지도장단계(S400)는 2번의 도장단계를 수행한다. 1차 도장단계에서는 침투성 성질을 높여 목재의 섬유질 조직 간 틈새 공극을 메워 외부로부터 유해균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막을 형성한다. 2차 도장단계에서는 1차 도장단계에서 형성한 보호막을 강화하기 위하여 항곰팡이, 항균제가 마감 코팅 역할을 극대화한다. 이때, 항곰팡이, 항균제의 강한 부착 및 침투 소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테이블 위 제품에 2개의 면에 열풍을 분사하여 작업과 동시에 건조를 진행한다. 제품에 분사하는 온도 55 ~ 65℃, 습도 18 ~ 22%를 유지하고, 건조시간 1 ~ 2시간을 포함한다.
도 10은 엣지 도장단계에서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과 후의 뒷판용 자재 및 몸통 엣지면의 공극 비교사진이다. a는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의 뒷판용 자재 및 몸통 엣지면의 재단면의 200배 확대한 사진이다. b는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의 뒷판용 자재 및 몸통 엣지면의 재단면의 10배 확대한 사진이다. c는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난 후 뒷판용 자재 및 몸통 엣지면의 재단면의 200배 확대한 사진이다. d는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난 후 뒷판용 자재 및 몸통 엣지면의 재단면의 10배 확대한 사진이다. a와b 사진을 보면 섬유질 조직 간 틈새 공극이 보이는데 이는 곰팡이 및 유기용제의 이동통로가 될 수 있다. c와d 사진을 보면 도포된 수용성 엣지 조성물에 의해 섬유질 조직 간 틈새 공극을 메워 곰팡이 및 유기용제의 이동 통로가 완전히 폐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엣지 도장단계(S400)에서 회전테이블을 이용한 스프레이 도장방법은 작업자가 제품 주위를 돌면서 도장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자는 정위치하고 제품이 회전하는 방법으로, 도료공급선의 꼬임을 방지하고, 품질의 불 균일성과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도 11은 엣지 도장단계에서 작업자가 회전테이블을 이용하여 스프레이 도장공정을 수행하는 사진이다.
상기 조립용 구멍가공 단계(S500)는 도장이 완료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의 조립용 홈과 몸통의 자재 조립용 구멍을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포장단계(S600)는 벽부형 가구의 뒷판용 자재의 모든 면에 항곰팡이, 항균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며 조립용 구멍가공이 완료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를 생산공정에 따라 조립한 후 완성된 다른 부품과 함께 포장하여 출고를 대기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객인도단계(S700)은 포장이 완료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가 고객에게 인도하는 단계이다.
상기 UV도장단계의 Roller coating에 대한 성능 평가결과를 하기 시험예를 통하여 나타냈다.
(시험 예 5)
Roller coating 부착력 시험
UV도장단계의 Roller coating의 부착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상기 부착력 시험은 X-Cut & Tape 시험방법(ASTM D 3359 - Test Method "A") 및 QUV 테스트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기준과 결과는 하기 표 6 내지 표 7에 나타냈다.
X-Cut & Tape 시험 결과값
등급 시험결과 값 설명
5A 박리 또는 탈착 없음
4A 절개면 또는 교차점을 따라 박리 또는 탈착 있음
3A 절개면을 따라 양쪽으로 1.6mm(1/16in)까지 톱니 형태의 탈착 있음
2A 절개면을 따라 양쪽으로 최대 3.2mm(1/8in)까지 톱니 형태의 탈착 있음
1A 테이프 밑 X영역의 대부분이 탈착
OA X의 영역을 넘어서도 탈착
QUV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시험 결과
시험항목 시간 평가방법 시험결과 비고
Roller coating 부착력 테스트 170시간 QUV test 부착력 좋음 4.5t MDF도장 도막 5g/㎡
상기 X-Cut & Tape 시험방법은 상기 내크랙성 실험의 X-Cut & Tape 시험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QUV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시험방법은 자연광 또는 그 이상의 에너지를 샘플에 부여하면서, 낮과 밤 주기, 계절, 날씨와 같은 변수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유사한 조건을 부여하여 하는 실험으로, 실내 환경 기준을 부여하여 진행한다. ASTM G154(미국 재료시험협회소재 테스트 규격)기준으로 Running 8 cycle, 2 step으로 자동으로 설정하고, 햇빛, 습기, 열의 UV영향을 포함하여 조건과 일치하는 특성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실험조건으로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응결 습도 형태와 창 유리를 통한 햇빛의 영향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광범위한 노출 조건을 허용하는 형광 UV램프 내후성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일반적인 실험 절차를 제공하는 실험방식이다.
상기 QUV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시험을 하기위해 설정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6500W Xenon Arc 램프를 이용하여 0.51W/㎡ 340nm의 조도를 사용하고, 온도 62 ~ 68℃, 상대 습도 45 ~ 55%R.H.,170시간 동안 노출하여 동일 UV코팅액 조성물 시편 2장 중 1장을 테스팅 하여 변수를 주지 않은 시편과 비교 테스트하여 결과를 얻는다. 비교시편과 달리 테스트 시편은 X-Cut을 시행하였다.
상기 X-Cut & Tape 시험방법 및 QUV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표 6 및 표 7에 나타냈다. 표 6에 따르면 X-Cut & Tape 시험결과는 3A등급 "절개면을 따라 양쪽으로 1.6mm(1/16in)까지 톱니 형태의 탈착 있음"의 결과값을 얻었으며 목표 성능 지표에 근사하여 부착력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7에 따르면 QUV 자외선 촉진 내후성 시험 결과는 외관상 부풀음 유지율 97%, 색상 유지율 △E=0.1 98%, 광택 유지율 99%로 비교 시편에 비해 테스트 시편(X-Cut)의 부착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가구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에는 성형이 가능한 전체의 구성 또는 일부 가구의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방가구 상부장 및 하부장, 신발장, 옷장, 이불장, 수납장, 책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100 : 벽부형 가구 조립도, 110 : 벽부형 가구 밑면
111 : 벽부형 가구 밑면 홈, 120 : 벽부형 가구 측면
121 : 벽부형 가구 측면 홈, 122 : 벽부형 가구 측면의 엣지면
130 : 뒷판용 자재, 131 : 뒷판용 자재 뒷면
132 : 뒷판용 자재 엣지면, 133 : 뒷판용 자재 앞면

Claims (11)

  1. 삭제
  2. UV코팅액 조성물과 수용성 엣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에 있어서,
    UV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올리고머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항균성 무기질 물질,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용성 엣지 조성물은 주제, 경화제, 항균성 무기질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우레탄 올리고머 수지는 말단이 (메타)아크릴레이트인 자외선 경화성 폴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폴리알킬렌글리콜류, 방향족 디올류 및 디올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류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 선택된 어느 1종이고,
    상기 방향족 디올류는 지방족 다가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비스페놀F 및 비스페놀AD 중 선택된 어느 1종이고,
    상기 디올류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알킬렌글리콜 중 선택된 어느 1종을 변성하여 사용하고,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2-hydroxyethyl acrylate를 사용하고,
    상기 광개시제는 2-Hydroxy-2-methylpropiophenone를 사용하고,
    상기 주제는 2-메틸-프로펜산 부틸 에스테르(2-Methyl-2-propenoic acid butyl ester), 2-부톡시 에탄올(2-Butoxyethanol),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2,4,7,9-Tetramethyl-5-decyne-4,7-diol), 이산화 지르코늄(Zirconium dioxide),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 이산화 규소(Silicon Dioxide), 계면활성제, 수산화알루미늄,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Methylamino-2-methyl-1-Propanol), 백색 안료(White Rutile Pigment)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는 친수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호모폴리머(1,6-Diisocyanatohexane homopolymer), N,N-디메틸시클로헥산아민화합물(N,N-Dimethylcyclohexanamine compounds),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성 무기질 물질은 상기 UV코팅액 조성물 및 상기 수용성 엣지 조성물 공통적으로 리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2항의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을 뒷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판용 자재.
  7. 가공을 하지 않은 뒷판용 자재의 원자재를 입고하는 단계인 원자재 입고단계(S100);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을 반응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와 라디칼 반응을 통하여 벽체와 마주하는 뒷면에 UV코팅을 하는 단계인 UV 도장단계(S200);
    UV코팅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를 생산지시서에 따라 재단하는 재단단계(S300);
    재단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 엣지면에 수용성 엣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도장하는 단계인 엣지 도장단계(S400);
    도장이 완료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의 조립용 구멍을 가공하는 단계인 조립용 구멍가공 단계(S500);
    조립용 구멍가공이 완료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를 생산공정에 따라 조립한 후 포장하는 포장단계(S600);
    포장이 완료된 벽부형 가구 뒷판용 자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가 고객에게 인도하는 단계인 고객인도단계(S700);로 이루어지며,
    상기 UV 도장단계(S200)의 항곰팡이성, 항균성 UV코팅액 조성물은 우레탄 올리고머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항균성 무기질 물질, 반응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우레탄 올리고머 수지는 말단이 (메타)아크릴레이트인 자외선 경화성 폴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폴리알킬렌글리콜류, 방향족 디올류 및 디올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류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 선택된 어느 1종이고,
    상기 방향족 디올류는 지방족 다가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비스페놀F 및 비스페놀AD 중 선택된 어느 1종이고,
    상기 디올류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알킬렌글리콜 중 선택된 어느 1종을 변성하여 사용하고,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2-hydroxyethyl acrylate를 사용하고,
    상기 광개시제는 2-Hydroxy-2-methylpropiophenone를 사용하고,
    상기 엣지 도장단계(S400)의 수용성 엣지 조성물은 주제, 경화제 및 항균성 무기질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제는 2-메틸-프로펜산 부틸 에스테르(2-Methyl-2-propenoic acid butyl ester), 2-부톡시 에탄올(2-Butoxyethanol),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2,4,7,9-Tetramethyl-5-decyne-4,7-diol), 이산화 지르코늄(Zirconium dioxide),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 이산화 규소(Silicon Dioxide), 계면활성제, 수산화알루미늄,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Methylamino-2-methyl-1-Propanol), 백색 안료(White Rutile Pigment)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는 친수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호모폴리머(1,6-Diisocyanatohexane homopolymer), N,N-디메틸시클로헥산아민화합물(N,N-Dimethylcyclohexanamine compounds),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성 무기질 물질은 상기 UV코팅액 조성물 및 상기 수용성 엣지 조성물 공통적으로 리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UV도장 단계에서 5g/㎡의 도장 도막을 사용하여 2m/min ~ 80m/min의 속도로 Roller coating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도장단계에서 수용성 엣지 조성물은 목재의 섬유질 조직 간 틈새 공극을 메워 외부의 유해균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열풍은 온도 55 ~ 65℃, 습도 18 ~ 22%의 건공기를 유지하여 분사하고, 건조시간 1 ~ 2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가구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주방가구 상부장 및 하부장, 신발장, 옷장, 이불장, 수납장, 책장 중 적어도 하나이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KR1020210178470A 2021-12-14 2021-12-14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KR10244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470A KR102441673B1 (ko) 2021-12-14 2021-12-14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470A KR102441673B1 (ko) 2021-12-14 2021-12-14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673B1 true KR102441673B1 (ko) 2022-09-13

Family

ID=8328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470A KR102441673B1 (ko) 2021-12-14 2021-12-14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6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574B1 (ko) * 2016-10-14 2017-04-14 주식회사 퍼맥스 가구용 엣지 마감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CN108359369A (zh) * 2018-03-28 2018-08-03 三河亮克威泽工业涂料有限公司 动车内饰用抗菌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17261B1 (ko) * 2018-03-16 2018-11-13 김수연 실내 인테리어용 기능성 방염패널
KR20200069725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케이씨씨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243858B1 (ko) * 2021-03-24 2021-04-23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카본나노튜브 및 항균제를 포함하는 강관 코팅용 에폭시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코팅 강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574B1 (ko) * 2016-10-14 2017-04-14 주식회사 퍼맥스 가구용 엣지 마감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1917261B1 (ko) * 2018-03-16 2018-11-13 김수연 실내 인테리어용 기능성 방염패널
CN108359369A (zh) * 2018-03-28 2018-08-03 三河亮克威泽工业涂料有限公司 动车内饰用抗菌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69725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케이씨씨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243858B1 (ko) * 2021-03-24 2021-04-23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카본나노튜브 및 항균제를 포함하는 강관 코팅용 에폭시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코팅 강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6305T3 (es) Recubrimiento antimicrobiano curable por radiación.
CN107880708B (zh) 一种耐水耐久的防火木材及其制备方法
WO2005087462A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rendering materials flame retardant and resistant to molds and insects
KR101354526B1 (ko) 방염판넬 및 그 제조방법
US11203700B2 (en) UV curable sealant composition and protector applied to wood and porous substrates
CN106426449A (zh) 一种木材的防裂方法
US20060252849A1 (en) Antifung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mold resistant materials
Yalcin et al. Surface properties of tannin‐impregnated and varnished beech wood after exposure to accelerated weathering
CN101362349A (zh) 一种抗菌防霉功能细木工板、其制备方法及抗菌防霉胶粘剂
ES2926390T3 (es) Composición de resina de impregnación, recubrimiento de resina, laminados y productos de impregnación que la contienen, así como procedimientos para su preparación
KR102441673B1 (ko) 항곰팡이성, 항균성 코팅액 조성물, 이 조성물을 적용한 뒷판용 자재, 이 뒷판용 자재를 이용한 가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CN100348683C (zh) 天然油漆及其生产方法
US12043756B2 (en) Electron beam irradiation process and polymerizable stain applied to wood planking
CN101932388A (zh) 利用有机凝结剂涂布木质基材的方法和系统
BR112020008844A2 (pt) revestimentos translúcidos retardantes de chama para painéis de construção
KR102290293B1 (ko)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을 갖는 멜라민 시트,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JP2013176906A (ja) 木製部材、木質基材用塗料組成物、及び木質基材の保護方法
JP2024018419A (ja) 難燃処理木質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41956B1 (ko) 고무나무를 이용한 침대 제조방법
CN109694600A (zh) 一种防霉木门
KR102707493B1 (ko) 중성화 억제, 염해방지, 내후성 및 발수성이 우수한 하도 및 상도용 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장 시공방법
CN110066537A (zh) 一种实木门防霉清漆
KR102657504B1 (ko) 우수한 uv 저항성을 갖는 유-무기 혼합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시공방법
KR102191440B1 (ko) 항균성을 갖는 실내 인테리어용 기능성 방염패널
KR102439888B1 (ko) 친환경 오일스테인용 수지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