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550B1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 Google Patents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550B1
KR102441550B1 KR1020200176701A KR20200176701A KR102441550B1 KR 102441550 B1 KR102441550 B1 KR 102441550B1 KR 1020200176701 A KR1020200176701 A KR 1020200176701A KR 20200176701 A KR20200176701 A KR 20200176701A KR 102441550 B1 KR102441550 B1 KR 10244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ench
polysilicon
bipolar transistor
insulated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6340A (en
Inventor
송인혁
현봉호
김학재
최창용
김세운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쎄미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쎄미하우 filed Critical (주)쎄미하우
Priority to KR102020017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550B1/en
Publication of KR2022008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3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5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9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bipolar static induction transistors [BSIT]
    • H01L29/7393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s, i.e. IGBT; IGT; COMFET
    • H01L29/7395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 H01L29/7396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with a non planar surface, e.g. with a non planar gate or with a trench or recess or pillar in the surface of the emitter, base or collector region for improving current density or short circuiting the emitter and base regions
    • H01L29/7397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with a non planar surface, e.g. with a non planar gate or with a trench or recess or pillar in the surface of the emitter, base or collector region for improving current density or short circuiting the emitter and base regions and a gate structure lying on a slanted or vertical surface or formed in a groove, e.g. trench gate IGB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95Body region, i.e. base region, of DMOS transistors or IGB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04Base electrodes for bipolar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렌치 사이에 p++층과 n++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고밀도 구조를 가지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일면에 n+ 버퍼층, p+ 콜렉터 층 및 콜렉터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반도체 기판의 일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면에 형성된 P BODY층, P BODY층을 식각하여 형성된 제1 트렌치 및 제1 트렌치와 제1 간격을 두고 P BODY층을 식각하여 형성된 제2 트렌치를 포함하는 트렌치부, 제1 트렌치에 형성되는 제1 폴리실리콘 및 제2 트렌치에 형성되는 제2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는 폴리실리콘부, 제1 트렌치에 형성되고 제1 폴리실리콘부와 에미터 전극을 절연시키는 제1 옥사이드 층. 제2 트렌치에 형성되고 제2 폴리실리콘부와 에미터 전극을 절연시키는 제2 옥사이드층, P BODY층 위에 제1 간격에 형성되고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고 제2 트렌치의 측면의 일단에서 끝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P++층 및 P BODY 층 위에 제1 간격에 제1 트렌치의 측면의 일단에서 끝단까지 연속적으로 P++층과 접촉되게 형성되고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는 N++층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having a high-density structure in which a p++ layer and an n++ layer are continuously formed between trenches.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an n+ buffer layer, a p+ collector layer and a collector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a P BODY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first formed by etching the P BODY layer A trench portion including a trench and a second trench formed by etching the P body layer at a first interval from the first trench, a first polysilicon formed in the first trench, and a second polysilicon formed in the second trench a polysilicon portion, a first oxide layer formed in the first trench and insulating the first polysilicon portion from the emitter electrode. A second oxide layer formed in the second trench and insulating the second polysilicon portion and the emitter electrode, is formed at a first interval on the P BODY layer, is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and is continuous from one end to th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trench It includes an N++ layer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and continuously formed in contact with the P++ layer from one end to th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rench at a first interval on the P++ layer and the P BODY layer.

Description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본 발명은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트렌치 사이에 p++ 층과 n++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고밀도 구조를 가지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having a high-density structure in which a p++ layer and an n++ layer are continuously formed between trenches.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전력 MOSFET의 간단한 게이트 구동 특성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고전류 및 저전압 기능을 결합하여 고전력 제품에 사용 가능하다.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combine the simple gate driving characteristics of power MOSFETs with the high current and low voltage capabilities of bipolar transistors, allowing them to be used in high-power applications.

종래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트렌치 사이 MESA 영역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홀 캐리어들의 축적이 많아져 더 높은 전류밀도를 가질 수 있고, 칩 면적의 감소 효과로 더 작은 소자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MESA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접촉 면적이 작아지고, 그로 인한 래치업(Latch Up)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As the distance of the MESA region between the trenches of the conventional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becomes narrower, the accumulation of hole carriers increases and thus a higher current density can be obtain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act area decreases as the MESA interval becomes narrower, and thus latch-up occurs.

도 1 및 도 2는 고 전류밀도 구현을 위해 실리콘 표면위에 형성되었던 에미터 옥사이드(Oxide) 절연막을 트렌치 안에 형성시킨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상면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절단면(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절단면(b-b')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표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which an emitter oxide insulating film formed on a silicon surface is formed in a trench for realization of a high current density. 1A is a top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aken along a cutting plane a-a'. 1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aken along a cutting plane b-b'.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에미터 전극, n형 기판, n+ 버퍼층, p+ 콜렉터층, 콜렉터 전극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과 연결된 폴리실리콘층 내압을 위해 열산화공정을 통해 형성된 게이트 옥사이드(Gate oxide) 절연막이 감싸고 폴리실리콘층과 에미터 전극 사이에는 트렌치안에 CVD 공정을 통해 에미터 옥사이드(Oxide) 절연막이 형성된다. 여기서 에미터 옥사이드(Oxide) 절연막의 절연 내압은 게이트 옥사이드(Gate oxide) 절연막의 절연 내압보다 낮아, 에미터 옥사이드(Oxide) 절연막의 두께가 게이트 옥사이드(Gate oxide) 절연막의 두께보다 3배 이상일 때 에미터 옥사이드(Oxide) 절연막으로 게이트 옥사이드(Gate oxide) 절연막 수준의 절연 내압이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에미터 전극과 연결되는 n++층과 p++층 역시 트렌치 내부에 형성된 에미터 옥사이드(Oxide) 절연막 보다 더 깊이 형성된다. 1 to 2 ,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n emitter electrode, an n-type substrate, an n+ buffer layer, a p+ collector layer, and a collector electrode. For the withstand voltage of the polysilicon layer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a gate oxide insulating film formed through a thermal oxidation process is wrapped around it, and an emitter oxide insulating film is formed in a trench between the polysilicon layer and the emitter electrode through a CVD process. . Here,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of the emitter oxide insulating film is lower than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of the gate oxide insulating film. It is known that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of the gate oxide insulating layer is maintained with the teroxide insulating layer. In addition, the n++ layer and the p++ layer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are also formed deeper than the emitter oxide insulating layer formed inside the trench.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구조에 따르면, 열확산 공정을 통해 확산된, 가우시안 분포를 가지는 n++ 및 p++ junction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일정하게 깊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없기 때문에 도1(a)와 같이 n++층과 p++층이 트렌치 방향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n++ and p++ junctions having a Gaussian distribution, diffused through a thermal diffusion process, cannot be formed uniformly in the depth direction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so as shown in FIG. 1(a), n++ The layer and the p++ layer are formed to repeat in the trench direction.

그러나, 종래구조와 같이 n++층과 p++층이 번갈아 형성되는 구조는 채널 밀도가 감소되어 도통손실이 증가하고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업 저항 증가로 인해 강건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n++ and p++ layers are alternately formed as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hannel density is reduced, so that the conduction loss increases, and the robustness is lower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latch-up resistance as shown in Fig. 2(a). .

따라서, MESA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래치업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채널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capable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latch-up and increasing the channel density even when the MESA interval is narrow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0717호(2016.05.04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20717 (registered on May 4, 2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트렌치 사이에 p++ 층과 n++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고밀도 구조로 래치업 저항이 감소되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n which a latch-up resistance is reduced in a high-density structure by continuously forming a p++ layer and an n++ layer between trench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일면에 n+ 버퍼층, p+ 콜렉터 층 및 콜렉터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반도체 기판의 일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면에 형성된 P BODY층, P BODY층을 식각하여 형성된 제1 트렌치 및 제1 트렌치와 제1 간격을 두고 P BODY층을 식각하여 형성된 제2 트렌치를 포함하는 트렌치부, 제1 트렌치에 형성되는 제1 폴리실리콘 및 제2 트렌치에 형성되는 제2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는 폴리실리콘부, 제1 트렌치에 형성되고 제1 폴리실리콘과 에미터 전극을 절연시키는 제1 옥사이드층. 제2 트렌치에 형성되고 제2 폴리실리콘과 에미터 전극을 절연시키는 제2 옥사이드층, P BODY층 위에 제1 간격에 형성되고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고 제2 트렌치의 측면의 일단에서 끝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P++층 및 P BODY 층 위에 제1 간격에 제1 트렌치의 측면의 일단에서 끝단까지 연속적으로 P++층과 접촉되게 형성되고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는 N++층을 포함할 수 있다.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etch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an n+ buffer layer, a p+ collector layer, and a collector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a P BODY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P BODY layer The trench portion including the first trench and the second trench formed by etching the P body layer at a first interval from the first trench, the first polysilicon formed in the first trench, and the second polysilicon formed in the second trench A polysilicon portion comprising: a first oxide layer formed in the first trench to insulate the first polysilicon from the emitter electrode. A second oxide layer formed in the second trench and insulating the second polysilicon from the emitter electrode, is formed at a first interval on the P BODY layer, is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and continuously from one end to the end of the side of the second trench It may include an N++ layer that is continuously formed in contact with the P++ layer from one end to th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rench at a first interval on the formed P++ layer and the P BODY layer and is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또한, P++층의 형성 깊이는 P BODY 층과 접촉되는 N++층의 형성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mation depth of the P++ layer may be deeper than the formation depth of the N++ layer in contact with the P BODY layer.

또한, P++층의 너비(Pw)는 N++층의 너비(Nw)와 같을 수 있다.Also, the width Pw of the P++ layer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Nw of the N++ layer.

또한, P++층의 너비(Pw)는 N++층의 너비(Nw)보다 클 수 있다.Also, the width Pw of the P++ layer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Nw of the N++ layer.

또한, 제1 폴리실리콘 및 제2 폴리실리콘은 게이트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Also, the first polysilicon and the second polysilicon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또한, 제1 폴리실리콘은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및 제2 폴리실리콘은 에미터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Also, the first polysilicon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polysilicon may be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또한, 제1 옥사이드층은 제1 폴리실리콘의 상면과 상기 에미터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11 옥사이드 층과 제1 폴리실콘의 양측면 및 하부면과 제1 트렌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12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옥사이드층은 제2 폴리실리콘의 상면과 에미터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21 옥사이드층과 제2 폴리실시콘의 양측면 및 하부면과 제2 트렌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22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xide layer includes an eleventh oxid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lysilicon and the emitter electrode, and a twelfth oxide layer positioned between both sides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polysilicon and the first trench. and the second oxide layer is a twenty-first oxid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lysilicon and the emitter electrode, and a twenty-second oxide layer positioned between both sides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polysilicon and the second trench. may include

또한, In addition,

상기 N++층의 깊이는 0.6㎛ 이상이고, 상기 N++층의 상기 제11 옥사이드층과 마주보는 부분의 불순물 농도는 균일할 수 있고,The depth of the N++ layer may be 0.6 μm or more, and the impurity concentration of the portion facing the eleventh oxide layer of the N++ layer may be uniform,

상기 P++층의 깊이는 0.6㎛ 이상이고, 상기 P++층의 상기 제21 옥사이드층과 마주보는 부분의 불순물 농도는 균일할 수 있다.A depth of the P++ layer may be 0.6 μm or more, and an impurity concentration in a portion of the P++ layer facing the twenty-first oxide layer may be unifor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트렌치 사이에 p++층과 n++층이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래치업 저항이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 layer and the n++ layer are formed so that the p++ layer and the n++ layer are in contact between the trenches, so that the latch-up resistance can be reduc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채널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density may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전류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density may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포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saturation current.

도 1 은 고 전류밀도 구현을 위해 실리콘 표면위에 형성되었던 에미터 옥사이드(Oxide) 절연막을 트렌치 안에 형성시킨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N++층의 도핑 농도를 나타내기 위한 절단 방향 A-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N++층의 도핑 농도를 나타내기 위한 절단 방향 A-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깊이에 따른 도핑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prior art in which an emitter oxide insulating film formed on a silicon surface for realization of a high current density is formed in a trench.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 cutting direction A-A' for indicating a doping concentration of an N++ layer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utting direction A-A' for indicating a doping concentration of an N++ layer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12 is a diagram showing doping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and/or section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or sections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the first element, or the first section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element, or the second section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made of" refers to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The presence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nel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방향은 도 3에 표시된 X, Y 및 Z는 각각 폭 방향,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서, 두께 방향은 반도체 영역이 적층된 적층 방향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s of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re X, Y, and Z shown in FIG. 3, respectively, in the width direction,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Here,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used as the same concept as the stacking direction in which the semiconductor regions are stacked.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100)는 반도체 기판(10), P BODY층(20), N++층(31), P++층(32), 트렌치부(40), 폴리실리콘부(50), 제1 옥사이드 층(60) 및 제2 옥사이드 층(70)을 포함할 수 있다.3 to 4 ,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100 includes a semiconductor substrate 10 , a P BODY layer 20 , an N++ layer 31 , a P++ layer 32 , a trench portion 40 , and polysilicon. It may include a portion 50 , a first oxide layer 60 , and a second oxide layer 70 .

반도체 기판(10)은 일면에 n+ 버퍼층(11), p+ 콜렉터 층(12), 콜렉터 전극(13)을 포함할 수 있고, 일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면에 에미터 전극(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 may include an n+ buffer layer 11, a p+ collector layer 12, and a collector electrode 13 on one surface, and an emitter electrode 14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

P BODY층(20)은 반도체 기판(10)의 일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P BODY layer 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 .

트렌치부(40)는 제1 트렌치(41)와 제2 트렌치(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렌치(41)는 P BODY층(20)을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렌치(42)는 제1 트렌치(41)와 제1 간격(D1)을 두고 P BODY층(20)을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trench portion 40 may include a first trench 41 and a second trench 42 . The first trench 41 may be formed by etching the P body layer 20 . The second trench 42 may be formed by etching the P body layer 20 with a first gap D1 from the first trench 41 .

폴리실리콘부(50)는 제1 폴리실리콘(51)과 제2 폴리실리콘(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폴리실리콘(51)은 제1 트렌치(41) 내부에 형성되고, 제2 폴리실리콘(52)은 제2 트렌치(42)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폴리실리콘(51)과 제2 폴리실리콘(52) 각각은 산화 절연막(미도시)으로 둘러싸이도록 제1 트렌치(41)와 제2 트렌치(42)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The polysilicon unit 50 may include a first polysilicon 51 and a second polysilicon 52 . The first polysilicon 51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trench 41 , and the second polysilicon 52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trench 42 . Each of the first polysilicon 51 and the second polysilicon 52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trench 41 and the second trench 42 so as to be surrounded by an oxide insulating layer (not shown).

P++층(32)은 P BODY층(20) 위에 제1 간격(D1)에 제2 트렌치(42)의 측면의 일단에서 끝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에미터 전극(14)에 연결될 수 있다.The P++ layer 32 may be continuously formed from one end to th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trench 42 at the first gap D1 on the P body layer 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14 .

N++층(31)은 P BODY층(20) 위에 제1 간격(D1)에 제1 트렌치(41)의 측면의 일단에서 끝단까지 연속적으로 P++층(31)과 접촉되게 형성되고 에미터 전극(14)에 연결될 수 있다.The N++ layer 31 is continuously formed in contact with the P++ layer 31 from one end to th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rench 41 at the first gap D1 on the P BODY layer 20, and the emitter electrode 14 ) can be connected to

제1 옥사이드층(60)은 제1 트렌치(41)에 형성되고 제1 폴리실리콘(51)과 에미터 전극(14)을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옥사이드층(60)은 제1 폴리실리콘(51)의 상면과 에미터 전극(14) 사이에 위치하는 제11 옥사이드층(61)과 제1 폴리실리콘(51)의 양측면 및 하부면과 제1 트렌치(41) 사이에 위치하는 제12 옥사이드층(6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oxide layer 60 may be formed in the first trench 41 and insulate the first polysilicon 51 from the emitter electrode 14 . In addition, the first oxide layer 60 includes both sides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venth oxide layer 61 and the first polysilicon 51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lysilicon 51 and the emitter electrode 14 . and a twelfth oxide layer 62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rench 41 and the first trench 41 .

제2 옥사이드층(70)은 제2 트렌치(42)에 형성되고 제2 폴리실리콘(52)과 에미터 전극(14)을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옥사이드층(70)은 제2 폴리실리콘(52)의 상면과 에미터 전극(14) 사이에 위치하는 제21 옥사이드층(71)과 제2 폴리실리콘(52)의 양측면 및 하부면과 제2 트렌치(42) 사이에 위치하는 제22 옥사이드층(7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oxide layer 7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trench 42 and insulate the second polysilicon 52 from the emitter electrode 14 . In addition, the second oxide layer 7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lysilicon 52 and the emitter electrode 14 , both side surfaces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oxide layer 71 and the second polysilicon 52 . and a twenty-second oxide layer 72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trench 42 and the second trench 42 .

또한, N++층(31)의 깊이는 0.6㎛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epth of the N++ layer 31 may be 0.6 μm or more.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층의 제11 옥사이드층(61)과 마주보는 N++층의 부분(A1)의 농도는 균일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 the concentration of the portion A1 of the N++ layer facing the 11th oxide layer 61 of the N++ layer may be uniform.

또한, P++층(32)의 깊이는 0.6㎛ 이상이고, P++층(32)의 제21 옥사이드층(71)과 마주보는 부분(A2)의 농도는 균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pth of the P++ layer 32 may be 0.6 μm or mor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portion A2 facing the 21st oxide layer 71 of the P++ layer 32 may be uniform.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동작시 홀 캐리어들이 n++층 하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p++층의 측면을 따라 에미터 전극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래치업 저항(RB)이 증가되어 무부하 단락 성능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Referring back to FIG. 2A , 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uring operation, hole carriers move from the bottom of the n++ lay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ove along the side of the p++ layer in the direction of the emitter electrode. In this case, the latch-up resistance R B is increased, thereby deteriorating the no-load short-circuit performance.

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N++층(31)과 P++층(32)이 제1 트렌치(41)와 제2 트렌치(42) 사이에서 서로 접촉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홀 캐리어의 이동시, N++층(31) 하단에서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래치업 저항(RB)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내구성이 높아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 layer 31 and the P++ layer 32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trench 41 and the second trench 42 . do. When the hole carriers move, they move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N++ layer 31 , so that the latch-up resistance R B is reduced. 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s increased.

도 2b 및 도 5를 참고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n++층과 p++층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n++/p++층의 길이가 같을 경우 50%의 채널 밀도를 가지며, 강건성을 높이기 위해 p++층의 길이가 n++보다 길어질 경우 50% 이하의 채널 밀도를 갖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는 50%의 채널 밀도를 고정으로 갖게 되어 도통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은 도 2b 및 도 5에 표시된 빨간색 점선으로 나타낸 영역에 해당한다.2B and 5 ,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ormed such that the n++ layer and the p++ layer are rep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the n++/p++ layers have the same length, the channel density is 50%, and robustness If the length of the p++ layer is longer than n++ in order to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xed channel density of 50%, so that conduction loss can be reduced. Here, the channel corresponds to the area indicated by the red dotted line shown in FIGS. 2B and 5 .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200)는 반도체 기판(10), P BODY층(120), N++층(131), P++층(132), 트렌치부(140), 폴리실리콘부(150), 제1 옥사이드 층(160) 및 제2 옥사이드 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6 to 7 ,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miconductor substrate 10 , a P BODY layer 120 , an N++ layer 131 , and a P++ layer 132 . , a trench portion 140 , a polysilicon portion 150 , a first oxide layer 160 , and a second oxide layer 170 .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10), P BODY층(120), 트렌치부(140), 폴리실리콘부(150), 제1 옥사이드층(160) 및 제2 옥사이드층(17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기판(10), P BODY층(20), 트렌치부(40), 폴리실리콘부(50), 제1 옥사이드층(60) 및 제2 옥사이드층(7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 the P BODY layer 120, the trench portion 140, the polysilicon portion 150, the first oxide layer 160 and the second oxide layer ( 170) is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0, the P BODY layer 20, the trench portion 40, the polysilicon portion 50, the first oxide layer 60 and the second oxide lay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7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P++층(132)의 형성 깊이는 P BODY층(120)과 접촉되는 N++층(131)의 형성 깊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즉, P++층(132)의 두께 방향으로의 깊이보다 N++층(131)의 두께 방향으로의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The formation depth of the P++ layer 132 may be deeper than the formation depth of the N++ layer 131 in contact with the P body layer 120 . That is, the dep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 layer 131 may be greater than the dep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 layer 132 .

P++층(132)의 형성 깊이가 N++층(131)의 형성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됨으로 인해 홀 캐리어가 P++층(132)과 N++층(131) 사이로 이동하는 집적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Since the formation depth of the P++ layer 132 is formed to be deeper than the formation depth of the N++ layer 131 ,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hole carriers moving between the P++ layer 132 and the N++ layer 131 may be higher.

도 3 내지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100)는 트렌치부(40)가 P BODY층(2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트렌치(41) 및 제2 트렌치(42)의 형성 깊이는 P BODY층(20)의 형성 깊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3 to 4 , 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100 , a trench 40 may be formed through the P body layer 20 . In detail, the formation depth of the first trench 41 and the second trench 42 may be formed to be deeper than the formation depth of the P body layer 20 .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100)는 P++층(32)의 너비(Pw)가 N++층(31)의 너비(Nw)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트렌치(41)와 제2 트렌치(42) 사이 제1 간격(W1+W2)의 절반(W1)은 N++층(3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간격(W1+W2)의 절반(W2)은 P++층(32)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Pw of the P++ layer 32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Nw of the N++ layer 31 . . That is, the N++ layer 31 may be formed in the half W1 of the first gap W1+W2 between the first trench 41 and the second trench 42 , and the first gap W1+W2 The half W2 may have a P++ layer 32 formed thereon.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300)는 P++층(232)의 너비(Pw)가 N++층(231)의 너비(Nw)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트렌치(241)와 제2 트렌치(242) 사이에 N++층(231)의 폭(W3)보다 P++층(232)의 폭(W4)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Pw of the P++ layer 232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Nw of the N++ layer 231. . That is, the width W4 of the P++ layer 232 may be wider than the width W3 of the N++ layer 231 between the first trench 241 and the second trench 242 .

구분division N++width
Ratio (Nw/Pw)
N++width
Ratio (Nw/Pw)
Channel DensityChannel Density VCE (sat)[V]V CE (sat) [V] ISC[A]
(전류 정격대비증폭비)
ISC[A]
(amplification ratio to current rating)
Tsc(㎲)Tsc(㎲)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1.001.00 50%50% 1.4321.432 X 32.7X 32.7 2.042.04 종래기술prior art 1.001.00 50%50% 1.4821.482 X 38.5X 38.5 1.581.58 제3실시예3rd embodiment 0.90.9 50%50% 1.4421.442 X 15.0X 15.0 4.734.73 0.80.8 50%50% 1.4601.460 X 6.7X 6.7 13.413.4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100)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보다 n++층(231)의 너비를 조절함으로써 포화전류(Isc)를 낮출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saturation current Isc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n++ layer 231 tha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300)는 N++층(231)의 너비를 조절함으로써 N++층의 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N++층(231)의 너비에 따라 동일한 채널 밀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원하는 포화 전류(Isc)로 조절할 수 있다.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stance of the N++ laye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N++ layer 231 . Accordingly, the desired saturation current Isc may be adjust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channel density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N++ layer 231 .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N++층의 도핑 농도를 나타내기 위한 절단 방향 A-A'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cutting direction A-A' for indicating a doping concentration of an N++ layer of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N++층의 도핑 농도를 나타내기 위한 절단 방향 A-A'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cutting direction A-A' for indicating a doping concentration of an N++ layer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2는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깊이에 따른 N++층의 도핑농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in doping concentration of the N++ layer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400)는 N++층(331)의 도핑 농도가 종래기술에서 가우시안 분포의 n++ 도핑 농도가 아닌 일정 농도가 유지되는 구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12, 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ping concentration of the N++ layer 331 is not the n++ doping concentration of the Gaussian distribution in the prior art, but a period in which a constant concentration is maintained. It can be formed to have.

N++width
Ratio(Nw/Pw)
N++width
Ratio(Nw/Pw)
n++Dose
(Normalization)
n++Dose
(Normalization)
VCE(sat)[V]V CE(sat) [V] ISC[A]
(전류 정격대비증폭비)
ISC[A]
(amplification ratio to current rating)
Tsc(㎲)Tsc(㎲)
0.900.90 1.001.00 1.4421.442 X 15.0X 15.0 4.734.73 0.900.90 0.870.87 1.4521.452 X 12.2X 12.2 8.708.70 0.900.90 0.800.80 1.4771.477 X 5.3X 5.3 21.221.2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층(331)의 도핑 농도 변화에 따라 도통 손실 없이 포화 전류(Isc)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단락 내량(Tsc(㎲))의 성능이 증가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aturation current (Isc) without conduction los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oping concentration of the N++ layer 331, and accordingly, the short circuit resistance (Tsc (㎲)) performance may be increased.

도 3 내지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미도시)는 제1 폴리실리콘(미도시) 및 제2 폴리실리콘(미도시)가 게이트 전극(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3 to 4 , in th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ysilicon (not shown) and the second polysilicon (not shown) have a gate electrode (not shown). can be connected to

또한, 제1 폴리실리콘(미도시)은 게이트 전극(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폴리실리콘(미도시)은 에미터 전극(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lysilicon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not shown), and the second polysilicon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not shown).

구분division 제2 트렌치전극second trench electrode N++width
Ratio (Nw/Pw)
N++width
Ratio (Nw/Pw)
Channel DensityChannel Density VCE (sat)[V]V CE (sat) [V] ISC[A]
(전류 정격대비 증폭비)
ISC[A]
(amplification ratio to current rating)
Tsc(㎲)Tsc(㎲) Gate charge(Qg)Gate charge (Qg)
종래기술prior art 게이트gate 1.001.00 50%50% 1.4821.482 X 38.5X 38.5 1.581.58 400nC400nC 에미터emitter 1.001.00 25%25% 1.5221.522 X 15.9X 15.9 3.173.17 200nC200nC 본발명the present invention 게이트gate 0.900.90 50%50% 1.4421.442 X 15.0X 15.0 4.734.73 400nC400nC 에미터emitter 0.900.90 50%50% 1.4451.445 X 14.8X 14.8 4.824.82 200nC200nC

표 3은 제2 폴리실리콘이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었을 경우 종래 구조와 본 발명구조에 대해 비교한 결과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폴리실시콘이 게이트에 연결된 것과 비교하여 폴리실리콘이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는 경우 채널 밀도가 절반, 즉 25%로 줄어들고 단락 내량 (Tsc(㎲))은 증가하였다. 또한, 폴리실리콘이 에미터에 연결된 경우 채널 밀도가 게이트에 연결된 것과 비교하여 도통손실(Vce(sat))이 1.482에서 1.522로 증가하였다.Table 3 shows the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the conventional structure and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polysilicon is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polysilicon is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the channel density is reduced by half, that is, 25%, and the short circuit resistance (Tsc(µs)) is increased compared to that when polysilicon is connected to the gate. In addition, the conduction loss (Vce(sat)) increased from 1.482 to 1.522 when polysilicon was connected to the emitter compared to that when the channel density was connected to the gate.

반면, 본발명에 따르면 제2 폴리실리콘이 게이트와 연결된 경우와 제2 폴리실리콘이 에미터에 연결된 경우 채널 밀도는 동일하게 유지되었고, 단락내량(Tsc(㎲))은 제2 폴리실리콘이 게이트와 연결된 경우에도 차이가 없으며, Gate charge가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폴리실리콘이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어 도통손실 및 단락 내량 열화 없이 스위칭 손실의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polysilicon is connected to the gate and when the second polysilicon is connected to the emitter, the channel density was maintained the same, and the short circuit tolerance (Tsc (㎲)) was the second polysilicon connected to the gat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even when connected, and the gate charge was reduced by half.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lysilicon may be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to reduce the switching loss without deterioration of conduction loss and short circuit resistanc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반도체 기판 11: n+ 버퍼층
12: p+ 콜렉터 층 13: 콜렉터 전극
14: 에미터 전극 20: P BODY층
31, 131, 231, 331: N++층 32, 132, 232, 332: P++층
40, 140: 트렌치부 41, 141, 241, 341: 제1 트렌치
42, 142, 242, 342: 제2 트렌치
50, 150: 폴리실리콘부 51, 151, 251, 351: 제1 폴리실리콘
52, 152, 252, 352: 제2 폴리실리콘
10: semiconductor substrate 11: n+ buffer layer
12: p+ collector layer 13: collector electrode
14: emitter electrode 20: P BODY layer
31, 131, 231, 331: N++ layer 32, 132, 232, 332: P++ layer
40, 140: trench parts 41, 141, 241, 341: first trench
42, 142, 242, 342: second trench
50, 150: polysilicon portion 51, 151, 251, 351: first polysilicon
52, 152, 252, 352: second polysilicon

Claims (8)

일면에 n+ 버퍼층, p+ 콜렉터 층 및 콜렉터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면에 형성된 P BODY층;
상기 P BODY층을 식각하여 형성된 제1 트렌치 및 상기 제1 트렌치와 제1 간격을 두고 상기 P BODY층을 식각하여 형성된 제2 트렌치를 포함하는 트렌치부;
상기 제1 트렌치에 형성되는 제1 폴리실리콘 및 상기 제2 트렌치에 형성되는 제2 폴리실리콘을 포함하는 폴리실리콘부;
상기 제1 트렌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폴리실리콘과 에미터 전극을 절연시키며, 상기 제1 폴리실리콘의 상면과 상기 에미터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11 옥사이드층과 상기 제1 폴리실리콘의 양측면 및 하부면과 상기 제1 트렌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12 옥사이드층을 포함하는 제1 옥사이드 층;
상기 제2 트렌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폴리실리콘과 상기 에미터 전극을 절연시키며, 상기 제2 폴리실리콘의 상면과 상기 에미터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21 옥사이드층과 상기 제2 폴리실리콘의 양측면 및 하부면과 상기 제2 트렌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22 옥사이드층을 포함하는 제2 옥사이드층;
상기 P BODY층 위에 상기 제1 간격에 형성되고 상기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렌치의 측면의 일단에서 끝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P++층; 및
상기 P BODY층 위에 상기 제1 간격에 상기 제1 트렌치의 측면의 일단에서 끝단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P++층과 접촉되게 형성되고 상기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는 N++층을 포함하고,
상기 N++층의 깊이는 0.6㎛ 이상이고, 상기 N++층의 상기 제11 옥사이드층과 마주보는 부분의 불순물 농도는 균일하고,
상기 P++층의 깊이는 0.6㎛ 이상이고, 상기 P++층의 상기 제21 옥사이드층과 마주보는 부분의 불순물 농도는 균일한,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a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an n+ buffer layer, a p+ collector layer, and a collector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a P body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 trench portion including a first trench formed by etching the P body layer and a second trench formed by etching the P body layer at a first interval from the first trench;
a polysilicon portion including first polysilicon formed in the first trench and second polysilicon formed in the second trench;
An eleventh oxide layer formed in the first trench to insulate the first polysilicon from the emitter electrode, and an eleventh oxide layer positioned betwee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lysilicon and the emitter electrode, and both sides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polysilicon a first oxide layer comprising a twelfth oxid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ace and the first trench;
A 21 st oxide layer formed in the second trench and insulating the second polysilicon and the emitter electrode and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lysilicon and the emitter electrode, both sides of the second polysilicon and a second oxide layer including a 22nd oxid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trench;
a P++ layer formed in the first gap on the P body layer,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and continuously formed from one end to an end of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trench; and
An N++ layer formed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the P++ layer from one end to th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rench at the first interval on the P BODY layer and connected to the emitter electrode,
The depth of the N++ layer is 0.6 μm or more, and the impurity concentration of the portion facing the 11th oxide layer of the N++ layer is uniform,
The depth of the P++ layer is 0.6 μm or more, and the impurity concentration of the portion facing the 21st oxide layer of the P++ layer is unifor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층의 형성 깊이는 상기 P BODY 층과 접촉되는 상기 N++층의 형성 깊이보다 깊은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The method of claim 1,
A formation depth of the P++ layer is deeper than a formation depth of the N++ layer in contact with the P BODY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층의 너비(Pw)는 상기 N++층의 너비(Nw)와 같은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width (Pw) of the P++ layer is the same as the width (Nw) of the N++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층의 너비(Pw)는 상기 N++층의 너비(Nw)보다 큰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The method of claim 1,
A width (Pw) of the P++ layer is greater than a width (Nw) of the N++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실리콘 및 상기 제2 폴리실리콘은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olysilicon and the second polysilicon are connected to a gate electr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실리콘은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및 상기 제2 폴리실리콘은 상기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olysilicon is coupled to the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polysilicon is coupled to the emitter electr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76701A 2020-12-16 2020-12-16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KR102441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01A KR102441550B1 (en) 2020-12-16 2020-12-16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01A KR102441550B1 (en) 2020-12-16 2020-12-16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340A KR20220086340A (en) 2022-06-23
KR102441550B1 true KR102441550B1 (en) 2022-09-07

Family

ID=8222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701A KR102441550B1 (en) 2020-12-16 2020-12-16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55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4712A (en) * 2015-03-27 2016-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convers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7212462A (en) * 2012-08-21 2017-11-30 ローム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JP2019161199A (en) * 2017-05-17 2019-09-19 ローム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6838B2 (en) 2013-09-13 2015-07-07 Infineon Technologies A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with mesa sections between cell trench structur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2462A (en) * 2012-08-21 2017-11-30 ローム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JP2016184712A (en) * 2015-03-27 2016-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convers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9161199A (en) * 2017-05-17 2019-09-19 ローム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340A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844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JP484182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288218B2 (en)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720615B2 (en) Vertical-type MIS semiconductor device
KR100714857B1 (en)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US6118150A (en)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93838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43421B2 (en) Trench-type insulated gate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n emitter trench and an overlapped floating region
JP3647676B2 (en) Semiconductor device
US4717940A (en) MIS controlled gate turn-off thyristor
GB2309336A (en) Drift regions in semiconductor devices
WO2011136272A1 (en) Semiconductor device
EP0616369B1 (en) MIS-type semiconductor device
KR0146640B1 (en) Voltage-driven thyr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43339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472693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264475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gate electrode formed in a trench structure
KR102441550B1 (e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US7741655B2 (en) Semiconductor device
US6297119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e
CN111640786B (en) LIGBT device with multiple grooves
CN109950315B (en) Transistor device having pillar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ransistor device
KR102335490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WO2023149043A1 (en)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2205556A1 (e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