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303B1 -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303B1
KR102441303B1 KR1020210001627A KR20210001627A KR102441303B1 KR 102441303 B1 KR102441303 B1 KR 102441303B1 KR 1020210001627 A KR1020210001627 A KR 1020210001627A KR 20210001627 A KR20210001627 A KR 20210001627A KR 102441303 B1 KR102441303 B1 KR 10244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hisel
letter
forming
calligraph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417A (ko
Inventor
박석균
Original Assignee
박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균 filed Critical 박석균
Priority to KR102021000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3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 판재 또는 합판 판재 위에 양음각 기법으로 글씨 테두리면이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외의 나머지 표면에는 무늬결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여 판재의 나무결을 그대로 표현함은 물론 글씨에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는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A work of calligraphy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음각 기법으로 글씨를 만들고 바닥의 표면이 나무 무늬결을 따라 자연적으로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서각(書刻)은 문자의 역사와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메소포타미아의 설형문자는 진흙판에 첨필로 새겨졌고, 고대 이집트 신전의 벽과 무덤의 내벽에 새겨진 상형문자들은 주로 돌에 새겨졌다. 또한 중국의 갑골문자는 동물의 뼈나 거북의 배면에 새겨져 문자의 발생이 서각의 역사와도 그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즉, 역사의 유물인 문자는 인류 최초로 발명한 순수 조형물인 동시에 인간 본래의 조형성을 꾸밈없이 보여주고 있는 원시예술의 시작이면서 오늘날 문자조형예술의 근간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각은 서예와는 또 다른 분야로서, 서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예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서예는 화선지나 종이에 붓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동작으로 운필할 때 생겨나는 비백과 농담, 번짐으로 인한 선 질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므로 그 창작자의 정신과 예술성이 표현된다. 반면에 서각은 서예를 모사하는 일이 많아서 온전한 예술로 인정받기 어려웠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현대 회화 기법을 사용하고 서예를 모사하던 일에서 벗어나 자필자각하며, 비구상과 추상예술로 승화시킴으로서 예술로서 보다 뚜렷한 모습을 갖게 되어 최근에는 서각의 위상도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서각은 평, 둥근, 세모, 창 등과 같은 모양의 칼날이 자루에 결합된 서각도를 목판에 대고 망치로 타격하며 입체적으로 새기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일반적인 서각 작품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벌목한 원목을 1~2년 정도 통풍이 잘되고 그늘진 곳에서 건조시켜서 서각 작품 제작에 알맞은 규격으로 제재한 후 천연건조 또는 인공건조 방법으로 잘 건조시켜서 할열, 뒤틀림, 굽음 등의 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건조한 다음, 양각 또는 음각으로 글씨, 그림 또는 문양을 조각하여 서각 작품을 제작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6747호(조명장치로 사용가능한 서각작품 제작방법, 공고일자: 2017년 10월 18일) 등록특허공보 제10-1391590호(컬러합판 및 이를 이용한 컬러 서각작품의 제작방법, 공개일자: 10-2014-001737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5490호(샌드블라스팅 방식을 이용한 목탄판의 조각기법 및 그 제작품, 공개일자: 2011년 09월 27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405호(목탄판을 이용한 서각제품 및 그 제작방법, 공개일자: 2011년 01월 27일)
본 발명은 서각 작품을 제작할 때, 판재 위에 양음각 기법으로 글씨 테두리만 돌출되게 형성하고 글씨를 제외한 나머지 표면은 나무의 무늬결을 따라 요철을 형성하여 서각 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각과 음각으로 조각하면서 표현 가능한 글씨, 그림, 문양, 로고 등을 판재 위에 제작할 수 있는 서각 작품이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목 판재 또는 합판 판재 표면에 서각 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작방법은 상기 판재 위에 글씨를 형성하는 작업과 상기 글씨가 새겨진 판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재 위에 글씨를 형성하는 작업은, 상기 판재 표면에 서고를 접착시키거나 글씨를 적은 후, 상기 글씨의 중앙부분에 통상의 끌을 수직으로 세워서 상기 끌의 윗부분을 때려 상기 글씨 중앙부분에 자국을 형성한 다음, 상기 글씨의 안쪽 면과 바깥쪽으로부터 각각 1mm만 남겨두고 상기 끌을 45°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끌을 가격하여 음각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글씨가 새겨진 판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작업은, 상기 판재 표면에서 나무결이 형성된 부분이 끌을 세워놓고, 상기 끌을 가격한 후 상기 끌을 젖혀서 나무에 형성된 나무결 모양대로 나무조각이 떨어져 나가면서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재 위에 글씨 테두리만 돌출되게 형성하고 나머지 표면에는 나무결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도록 서각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서작 작품에 입체감을 구현하고 독창적인 예술기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목 판재 또는 합판 판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자연적인 목재 조직에서 나오는 나무결 모양을 그대로 판재 위에 돌출되게 할 수 있는 서각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L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A 내지 도 1L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작방법으로 만들어진 서각 작품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한 개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서각'이라는 용어는 글씨나 그림, 기호, 문양 등을 돌과 나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새기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원목 판재 또는 합판 판재에 글씨를 새기는 것에 한정해서 서각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원목 판재 또는 합판 판재 위에 양음각 기법으로 글씨 테두리면이 돌출되게 형성하고 이외의 나머지 표면에는 무늬결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여 판재의 나무결을 그대로 표현함은 물론 글씨에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는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은 아래의 실시 예 1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실시 예 1}
도 1A 내지 도 1L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각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은 판재 위에 글씨를 형성하는 작업과, 글씨가 새겨진 판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아래의 상세설명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1. 판재 위에 글씨를 형성하는 작업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판재는 종래기술에서 제시한 원목 판재를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합판 판재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글씨가 새겨진 서고(書稿)의 뒷면에 풀칠을 한 후 상기 판재에 접착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서고를 사용하지 않고, 도 1A와 같이 작업자가 판재 표면에 연필 등의 필기도구를 사용해서 글씨를 적을 수도 있다. 즉, 판재에 글씨를 적게 되면, 판재의 표면에 글씨 부분이 먹선(이하 '글씨'라 함)으로 남게 된다.
다음,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에 적혀있는 글씨의 중앙부분에 끌(통상, 서각도 끌)을 밀착시키고, 상기 끌을 수직으로(바람직하게는, 90°)로 세워서 나무망치로 끌의 윗부분을 가격하여, 도 1C와 같이 판재의 글씨 중앙표면에 자국을 낸다. 이때, 나무망치로 끌의 윗부분을 가격했을 때 상기 끌의 끝부분은 판재 표면으로부터 5mm 깊이까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끌을 이용해서 글씨 중앙부분에 자국을 남기는 것은 글씨 안쪽(즉, 먹선 안쪽 부분)을 깎아낼 때 글씨 먹선을 벗어난 방향으로 갈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에 적혀있는 글씨(즉, 도 1A의 먹선)의 안쪽면으로부터 1mm만 남겨두고 상기 끌을 45°로 기울인 상태에서 나무망치로 가격하여 음각작업을 진행한다. 즉, 글씨 중앙부분에 남겨진 자국을 기준으로 먼저 일측부분의 먹선 안쪽면을 1mm만 남겨두고 끌로 가격하여 자국을 낸 후, 도 1E와 같이 반대쪽 부분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끌로 가격함으로써 글씨 안쪽면은 먹선을 기준으로 1mm 정도 남겨둔 채로 음각처리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2회에 걸쳐 실시하게 되는데, 즉 글씨 안쪽면을 음각처리하는 작업(도 1D와 도 1E)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되며, 이는 1회 작업보다 더욱더 정밀하게 음각작업을 진행하기 위함이다.
다음, 위와 같이 글씨의 안쪽면(즉, 먹선 안쪽부분)이 음각처리된 후, 도 1F와 같이 글씨 바깥쪽면(즉, 먹선 바깥부분)으로부터 1mm만 남겨두고 나무망치로 끌을 가격하여 자국을 낸다.
이후, 도 1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끝을 45° 각도로 기울인 상태로, 구체적으로는 끝날의 반대쪽이 정면을 향하도록 한 후 상기 끌을 45° 기울여서 나무방치로 때려 음각처리한 후, 상기 끌로 다시 자국 낸 부분을 때려 음각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자국 낸 부분을 때릴 때 끌의 각도는 통상 종이컵을 뒤집어 놓은 각도로 음각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음각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도 1H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글씨 부분(즉, 먹선 부분)만 남겨둔 채로 음각이 형성됨으로써 판재 위에 글씨를 형성하는 작업은 마무리된다.
2. 글씨가 새겨진 판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작업
상기와 같이 판재의 표면에 글씨가 새겨진 후 본 발명에서는 나무 무늬결을 따라 판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먼저 글씨 부분(즉, 먹선 부분)만 양각 처리된 판재의 표면에 나무 무늬결을 따라 끌을 세운 다음 상기 끌의 윗부분을 나무망치로 가격해 내려친 후, 글씨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깊이 박혀있는 끌을 누르면 판재 표면은 무늬결을 따라 자연적으로 요철이 형성된다.
즉, 도 1I 및 도 1J와 같이 판재 표면에서 나무결이 형성된 부분에 끌을 세워놓고, 나무망치로 끌을 가격한 후 상기 끌을 젖히면 나무에 형성된 나무결 대로 자연적으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즉, 도 1K와 같이 판재의 표면(바닥면)은 자연적으로 나무결 방향대로 요철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끌의 각도는 통상 종이컵을 뒤집어 놓은 각도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바닥면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도 1L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재의 표면(즉, 바닥면)에는 나무의 무늬결 형상 그대로 요철(나무결 모양)이 형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작방법으로 만들어진 서각 작품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판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자연적인 목재 조직에서 나오는 나무결 모양 그대로 판재 위에 돌출되게 함으로써 예술성을 높이고 독특한 서각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

  1. 원목 판재 또는 합판 판재 표면에 서각 작품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작방법은 상기 판재 위에 글씨를 형성하는 작업과 상기 글씨가 새겨진 판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재 위에 글씨를 형성하는 작업은;
    상기 판재 표면에 서고를 접착시키거나 글씨를 적은 후, 상기 글씨의 중앙부분에 통상의 끌을 수직으로 세워서 상기 끌의 윗부분을 때려 상기 끌의 끝부분이 판재 표면으로부터 5mm 깊이까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글씨 중앙부분에 자국을 형성한 다음, 상기 글씨의 안쪽 면으로 부터 1mm만 남겨두고 상기 끌을 45°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나무망치로 상기 끌을 가격하여 자국을 낸 후, 반대쪽 부분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끝을 가격하여 글씨 안쪽면에 글씨를 기준으로 1mm 남겨둔 채로 음각 처리하여 음각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를 동일한 방식으로 2회에 걸쳐 실시하도록 하며;
    이후, 글씨의 안쪽면을 음각처리한 후, 상기 글씨의 바깥쪽면으로부터 1mm만 남겨두고 나무망치로 끌을 가격하여 자국을 낸 다음, 끝날의 반대쪽이 정면을 향하도록 한 후 상기 끌을 45° 기울여서 나무방치로 때려 음각처리한 다음, 상기 끌로 다시 자국 낸 부분을 때려 음각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글씨 부분만 남겨둔 채로 글씨의 안쪽면 및 바깥쪽면에 음각이 형성되도록 하는 작업으로 진행하며;
    상기 판재 위에 글씨를 형성하는 작업을 거쳐 글씨가 새겨진 판재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작업은;
    상기 글씨 부분만 양각 처리된 판재의 표면에서 나무결이 형성된 부분에 끌을 세워놓고, 나무망치로 끌을 가격한 후 상기 끌을 젖혀 나무에 형성된 나무결 모양대로 나무조각이 떨어져 나가도록 하여 판재의 표면에 나무결 무늬 형상 그대로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판재 또는 합판 판재 표면에 서각 작품을 제작하는 방법.

KR1020210001627A 2021-01-06 2021-01-06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 KR10244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627A KR102441303B1 (ko) 2021-01-06 2021-01-06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627A KR102441303B1 (ko) 2021-01-06 2021-01-06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417A KR20220099417A (ko) 2022-07-13
KR102441303B1 true KR102441303B1 (ko) 2022-09-06

Family

ID=8240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627A KR102441303B1 (ko) 2021-01-06 2021-01-06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3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959B1 (ko) 2009-07-20 2012-01-25 대한민국 목탄판을 이용한 서각판의 제작방법
KR101164626B1 (ko) 2010-03-19 2012-07-20 대한민국 샌드블라스팅 방식을 이용한 목탄판의 조각기법 및 그 제작품
KR101391590B1 (ko) * 2012-08-01 2014-05-07 유현수 컬러합판 및 이를 이용한 컬러 서각작품의 제작방법
KR101786747B1 (ko) 2016-12-12 2017-10-18 김창욱 조명장치로 사용가능한 서각작품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417A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son The printed picture
Hunnisett Engraved on steel: history of picture production using steel plates
KR102441303B1 (ko) 서각 작품의 제작방법
CN104251504A (zh) 一种激光雕刻图案的陶瓷面板及其图案的制作方法
Covey Modern Printmaking: A Guide to Traditional and Digital Techniques
CN106926628B (zh) 一种纸本覆墨雕刻的绘画方法
KR101008950B1 (ko) 목재의 미세조직구조를 이용한 서각작품 제작방법
CN204128019U (zh) 一种激光雕刻图案的陶瓷面板
JP3655879B2 (ja) レーザー光線による位牌てん刻法
JP4228372B2 (ja) 備長炭を用いた篆刻雅印
CN206485060U (zh) 一种具有防伪效果的针式非平面印刷装置
JP3207857U (ja) スタンプ
KR100652209B1 (ko) 광곽 일체형 조립식 인판틀 및 고 인쇄 재현용 활자인판
CN209694451U (zh) 户外毛笔书法书写练习台
KR200221002Y1 (ko) 조각석판
JPH0428108Y2 (ko)
JP2005230470A (ja) 御守り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82474A (ko) 레이저 조각기를 이용한 비석 및 묘비에 사용되는석판상에 초상화 조각 및 가공
KR200360468Y1 (ko) 귀금속판
JP3306547B2 (ja) 同型印の出来ない印材
JP3066473U (ja) 飾り絵製作材
KR20230133435A (ko) 엣지컬러링 지클리판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엣지컬러링 지클리판화
US811386A (en) Implement for decorating wood.
Leland Wood carving
JP2005067083A (ja) 印鑑および印鑑の作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