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336B1 -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336B1
KR102440336B1 KR1020220016725A KR20220016725A KR102440336B1 KR 102440336 B1 KR102440336 B1 KR 102440336B1 KR 1020220016725 A KR1020220016725 A KR 1020220016725A KR 20220016725 A KR20220016725 A KR 20220016725A KR 102440336 B1 KR102440336 B1 KR 10244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r
payment
service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이섭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7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e.g.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은 전기차를 충전하며 충전기 ID가 표시되는 복수의 충전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기 ID를 식별하여 전기차의 충전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로 각각의 충전기 ID를 배포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충전 요청에 따른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 인가 및 충전 결제를 처리하는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 및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와의 통합 결제 계약에 따라 각각의 충전 서비스 서버로 충전기 ID를 발급하여 각각의 충전기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회원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등록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된 충전기 ID에 대응하는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로 충전 인가를 요청하고,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 완료 후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의 결제 의뢰에 따라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승인하는 충전 중계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Integrated pay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와 독립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충전 중계 서비스를 구축하여 사용자가 충전 중계 서버에만 접속하여 복수의 충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충전 중계 서버에만 결제 정보 등의 개인 정보를 등록하여 개인 정보의 제공을 최소화하여 보안성과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차의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전기차의 충전 서비스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충전 서비스는 현재 다수의 충전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전기차 사용자는 보통의 경우 생활 반경 내에 있는 2-3개의 충전소를 사용하지만, 원격지에서는 불특정 충전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보통의 경우, 일정한 충전 서비스를 사용하지만, 출장이나 친지 방문 등으로 거주지 등의 생활 반경을 벗어난 경우에는 일정하지 않은 임의의 충전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미가입 충전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특히, 별도의 회원 가입과 결재 서비스 정보 입력을 요구한다. 특히, 충전 서비스 운영사마다 복잡하고 상이한 인터페이스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아울러, 각 충전 서비스 운영사마다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가 저장되기 때문에 해킹에 의해 개인 정보가 누출될 가능성이 높다.
기존 로밍에 의한 타 결재 서비스와 연동에 대한 등록 특허가 있으나, 모든 충전 서비스가 연동되기 위해서는 모든 충전 서버마다 모든 타 충전 서비스의 결재 시스템의 로밍 기능이 탑재되어야 한다.
이러한 로밍은 자체적인 하나의 결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서, 각 충전 서버마다 외부의 추가 결재 서비스를 내장하여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단점은 충전서비스 업체가 추가 연동될 결재 서비스마다 개별 계약을 해야 하며, 추가될 결재 서비스의 기능을 탑재해야 하는데, 이 경우 하드웨어가 상이하여 탑재의 제약점이 있고, 연동되는 충전 서비스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결재 소프트웨어를 상대방에게 노출시키게 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자 정보가 모든 충전 서비스들 간에 공유되어 보안에 심각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고, 충전 서비스 수의 제곱 만큼의 계약이 필요하고, 계약할 때마다 서버의 기능이 추가적으로 개발되어야 하고, 개발 중에 운영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한편, 전기차에 대한 충전 인프라의 공동 활용에 대한 국가의 요청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해외에서는 슈퍼차저와 같은 폐쇄형 충전기의 개방이 법적으로 의무화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가별 표준이 없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충전 서비스 운영사 마다의 서로 상이한 요구 사항을 따라야만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KR 10-2305120 B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와 독립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충전 중계 서비스를 구축하여 사용자가 충전 중계 서버에만 접속하여 복수의 충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충전 중계 서버에만 결제 정보 등의 개인 정보를 등록하여 개인 정보의 제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차를 충전하며 충전기 ID가 표시되는 복수의 충전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기 ID를 식별하여 상기 전기차의 충전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로 각각의 충전기 ID를 배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충전 요청에 따른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 인가 및 충전 결제를 처리하는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와의 통합 결제 계약에 따라 각각의 충전 서비스 서버로 충전기 ID를 발급하여 각각의 충전기를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회원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등록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된 상기 충전기 ID에 대응하는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로 충전 인가를 요청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 완료 후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의 결제 의뢰에 따라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승인하는 충전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중계 서버는, 어느 하나의 충전 서비스 서버와의 통합 결제 계약을 체결하고,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충전기 ID를 발급하는 충전기 등록부; 상기 회원 정보에 따라 사용자 ID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저장하며, 암호화된 상기 충전기 ID의 위조를 확인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의 결제 의뢰를 승인하고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로 상기 충전 비용을 지불하며, 결제 완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림하는 통합 결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는,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부터 배포된 상기 충전기 ID를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로 배포하는 충전기 관리부; 및 상기 통합 결제 계약 체결에 따라 통합 결제 기능을 추가하고, 상기 충전 요청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로 충전을 인가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가 상기 전기차의 충전에 따른 충전 비용을 보고하면,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결제를 의뢰하는 통합 결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기 ID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충전기 각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회원 정보 및 상기 결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에 배포된 충전기 ID를 입력하는 카메라; 상기 입력된 충전기 ID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위조 여부를 확인하는 ID 식별부; 및 상기 사용자 ID 및 상기 위조확인된 충전기 ID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충전을 요청하는 충전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자신의 위치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충전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 중계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별 가용가능한 충전기의 위치를 포함한 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충전 중계 서버가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와의 통합 결제 계약에 따라 각각의 충전 서비스 서버로 충전기 ID를 발급하여 각각의 충전기를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충전 중계 서버에 회원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어느 하나의 충전기에 배포된 충전기 ID를 식별한 후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식별된 충전기 ID에 대응하는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로 충전 인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로 충전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 완료 후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의 결제 의뢰에 따라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기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중계 서버와 어느 하나의 충전 서비스 서버 사이의 통합 결제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 서비스 서버가 통합 결제 기능을 추가하는 단계;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충전기 ID를 발급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 서비스 서버가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로 상기 충전기 ID를 배포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기 각각에 상기 충전기 ID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기 ID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회원 정보 및 상기 결제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회원 정보에 따라 사용자 ID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암호화된 상기 충전기 ID의 위조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에 배포된 충전기 ID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충전기 ID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위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ID 및 상기 위조확인된 충전기 ID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가 상기 전기차의 충전에 따른 충전 비용을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결제를 의뢰하는 단계;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결제 의뢰를 승인하고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로 상기 충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결제 완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신의 위치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충전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별 가용가능한 충전기의 위치를 포함한 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충전 중계 서버와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 사이의 독립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충전 중계 서비스를 구축함으로써 충전 서비스마다 별도의 회원 가입, 결재 정보 입력 등의 회원 등록 절차를 진행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충전 중계 서버에만 접속하여도 복수의 충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복수의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충전 중계 서버에만 결제 정보 등의 개인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 중계 서버이외에 충전 서비스 서버와의 어떠한 개인 정보도 교환하지 않으므로 개인 정보의 제공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충전 서비스 서버가 충전 중계 서버를 통하여 자신의 회원 이외에도 추가적인 회원을 대상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회원 등의 고정 고객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비회원이 유입되므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충전 중계 서버와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의 신뢰성있는 관계의 구축을 표준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타국 기업에 대하여 보이지 않는 무역 장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세계 표준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충전 중계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충전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충전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의 충전기 등록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의 사용자 등록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의 중계 통합 결제 절차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10)은 충전 중계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충전 서비스 서버(300) 및 충전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10)은 한 번의 사용자 등록만으로 다수의 충전 서비스들에 대한 통합 결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 중계 서버(100)와 사전에 통합 결제 계약이 체결된 각각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 사이의 독립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충전 중계 서비스를 구축하여 각 충전 서비스 서버(300)에 의한 충전 서비스에 대한 통합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회원 등록에 의해 충전 중계 서버(100)와 고정적 신뢰 관계를 구축할 수 있고, 충전 중계 서버(100)는 통합 결제 계약 체결에 따라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 고정적 신뢰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임의의 충전기(400)를 통하여 전기차(11)의 충전시마다 해당 충전기(400)의 충전 서비스를 운영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 일시적인 신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400)는 충전 서비스를 운영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에 소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충전 중계 서버(100)는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 사전에 통합 결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즉, 충전 중계 서버(100)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 법적 계약을 통한 상호 신뢰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각각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충전기 ID를 발급하여 각각의 충전기(400)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 ID는 각 충전기(400)에 부가된 자신의 ID와는 별도로 통합 결제를 위해서 충전 중계 서버(100)에서 발급되는 ID이다. 이러한 충전기 ID는 충전 중계 서버(100)의 개인키로서 암호화된 것으로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발급된 충전기 ID에 따라 등록되는 충전기(400)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에 소속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전송된 회원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회원 등록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식별된 충전기 ID에 대응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충전 인가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충전기(400)가 전기차(11)의 충전을 완료하면, 충전 중계 서버(100)는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결제 의뢰에 따라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10)은 충전 중계 서버(100)와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 사이의 독립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충전 중계 서비스를 구축함으로써 충전 서비스마다 별도의 회원 가입, 결재 정보 입력 등의 회원 등록 절차를 진행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충전 중계 서버(100)에만 접속하여도 복수의 충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 중계 서버(100)에 접속하여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에 대한 통합 결제를 위한 회원 등록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노트 패드 또는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충전 중계 서버(100)의 인지도에 의존하여 상호신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정보 및 결제 정보는 충전 중계 서버(100)에만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 중계 서버(100)에 요청하여 주변의 충전기(400)를 검색하고, 전기차(11)가 어느 하나의 충전기(400)의 위치로 이동하면, 해당 충전기(400)의 충전기 ID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식별된 충전기 ID를 기초로 충전 중계 서버(100)로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신뢰관계가 있는 충전 중계 서버(100)와만 정보를 교류하고 충전 서비스 서버(300)에 직접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10)은 복수의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충전 중계 서버(100)에만 결제 정보 등의 개인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 중계 서버(100) 이외에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의 어떠한 개인 정보도 교환하지 않으므로 개인 정보의 제공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전기차(11)의 일시적인 충전 시간 동안만 사용자 단말(200)과 개별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의 이행적 신뢰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400)로 각각의 충전기 ID를 배포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 ID는 통합 결제 계약에 따라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 발급된 것일 수 있다.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충전 요청에 의해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의 수신된 충전 요청에 따라 어느 하나의 충전기(400)의 충전 인가 및 충전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충전 서비스 운영사마다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10)은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10)은 충전 서비스 서버(300)가 충전 중계 서버(100)를 통하여 자신의 회원 이외에도 추가적인 회원을 대상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회원 등의 고정 고객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비회원이 유입되므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충전기(400)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충전 인가에 따라 전기차(11)를 충전할 수 있다. 즉, 충전기(400)의 케이블이 전기차(11)에 접속된 후 충전을 요청함에 따라 충전이 인가되면, 충전기(400)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기(400)는 충전 중계 서버(100)에서 발행된 충전기 ID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 ID는 충전기(400)의 외면에 부착된 스티커 형태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전자 정보 형태 또는 NFC 태그 등의 통신 정보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10)은 지역 단위 또는 더 나아가서는 국가 단위의 표준화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타국 기업에 대하여 보이지 않는 무역 장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세계 표준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충전 중계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충전 중계 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 및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10)는 4G 통신 또는 5G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 및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 및 데이터베이스(13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중계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충전기 등록부(122), 사용자 관리부(124) 및 통합 결제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 등록부(122)는 어느 하나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 통합 결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 등록부(122)는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된 충전기 ID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기 등록부(122)는 생성된 충전기 ID를 통합 결제 계약이 체결된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발급할 수 있다. 즉, 충전기 등록부(122)는 충전기 ID를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충전기 등록부(122)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충전기 ID를 발급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 ID의 형태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식별가능한 형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충전기 등록부(122)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에 대한 전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전기 ID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 형태로 실물 제작되어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배포될 수 있다. 이때, 실물로 제작된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는 충전기 등록부(122)의 개인키에 의해 암호화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24)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입력된 회원 정보에 따라 사용자 ID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관리부(124)는 통합 결제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 단말(200)을 회원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관리부(124)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입력된 결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24)는 암호화된 충전기 ID의 위조를 확인하기 위한 공개키를 사용자 단말(200)로 배포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개키는 충전기 등록부(122)에서 충전기 ID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된 개인키와 한 쌍으로서 암호화된 충전기 ID를 해독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사용자 관리부(124)는 등록된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200)로 공개키를 배포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24)는 공개키를 배포하지 않는 경우, 충전기 ID의 위조 여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관리부(124)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입력되어 전송된 충전기 ID를 개인키에 대응하여 생성된 공개키로 해독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관리부(124)는 충전기 ID의 위조 여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결제부(126)는 사용자 단말(200)의 충전기(400) 검색 요청에 따라 충전기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결제부(126)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 별로 가용가능한 충전기(400)의 위치를 검색하여 검색된 충전기(400)의 위치를 포함한 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 맵은 충전 서비스 서버(300)별로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충전기 맵은 충전 서비스 서버(300)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충전기(400) 만을 표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통합 결제부(126)는 사용자 단말(200)의 충전 요청에 따라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결제부(126)는 해당 충전기 ID를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요청되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식별한 충전기(400)를 관리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일 수 있다.
통합 결제부(126)는 충전기(400)에 의해 전기차(11)의 충전이 완료되면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결제 의뢰를 승인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결제부(126)는 사용자 단말(200)의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아울러, 통합 결제부(126)는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충전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결제부(126)는 통합 결제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차감한 후 충전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통합 결제부(126)는 사용자 단말(200)로 결제 완료를 알림할 수 있다. 즉, 통합 결제부(126)는 해당 충전기(400), 충전 서비스 서버(300), 충전 금액 및 날짜 등의 통합 결제 정보에 알림 문자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충전 중계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사용자 정보(132), 결제 정보(134), 충전 서비스 정보(136) 및 충전기 정보(13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132)는 통합 결제 서비스를 신청한 회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정보(132)는 회원 이름 및 사용자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정보(134)는 통합 결제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결제 정보(134)는 사용자의 결제 계좌 또는 결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서비스 정보(136)는 통합 결제 서비스에 대한 계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서비스 정보(136)는 각 통합 결제 계약별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서비스 정보(136)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별 충전기 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 정보(138)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별로 등록된 충전기(400)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충전기 정보(138)는 충전기 ID,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 정보 및 설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부(210), 카메라(220), 통신부(230), GPS 모듈(240), 디스플레이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회원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입력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아울러, 입력부(210)는 충전기 ID가 텍스트 형태의 코드인 경우,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220)로 충전기 ID를 입력할 수 없는 경우, 텍스트 형태로 충전기 ID가 입력될 수 있다.
카메라(220)는 전기차(11)를 충전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충전기(400)에 배포된 충전기 ID를 입력할 수 있다. 즉, 해당 충전기(400)에 배포된 충전기 ID가 QR 코드인 경우, 카메라(220)는 해당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고, 텍스트로 충전 ID을 입력할 수도 있다.
통신부(230)는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충전 중계 서버(100)와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230)는 인터넷 또는 4G 통신 또는 5G 통신을 통하여 충전 중계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부(230)는 충전기(4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23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충전기(400)의 충전기 ID를 수신할 수 있다.
GPS 모듈(240)은 GPS 위성으로부터 위성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GPS 모듈(240)은 다수의 GPS 위성과의 거리에 따라 현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50)는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의 충전기 맵 및 결제 알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250)는 입력부(210)와의 겸용인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저장부(260)는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 배포된 공개키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6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충전기 맵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260)는 충전기 맵을 일시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60)는 카메라(220)에 의해 촬영된 충전기(400)의 충전기 ID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저장부(260)는 NFC 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충전기(400)의 충전기 ID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입력부(210), 카메라(220), 통신부(230), GPS 모듈(240), 디스플레이부(250) 및 저장부(26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70)는 ID 식별부(272) 및 충전 처리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ID 식별부(272)는 카메라(220) 또는 NFC 통신에 의해 입력된 충전기 ID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 배포된 공개키로 해독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 ID가 정상적인 경우, ID 식별부(272)는 공개키로 충전기 ID를 정상적으로 해독할 수 있다. 반면, 충전기 ID가 위조된 경우, ID 식별부(272)는 공개키로 충전기 ID를 정상적으로 해독하지 못하거나 해독값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ID 식별부(272)는 충전기(400)의 해당 충전기 ID의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기의 ID 위조 확인이 충전 중계 서버(100)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ID 식별부(272)는 입력된 충전기 ID를 충전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여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충전 처리부(274)는 사용자의 충전기 검색 요청에 따라 인근 지역의 충전기(400) 정보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 요청할 수 있다. 즉, 충전 처리부(274)는 충전기 맵을 충전 중계 서버(1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처리부(274)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처리부(274)는 충전 중계 서버(100)에서 충전기 맵이 수신되면, 저장부(260)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충전 처리부(274)는 ID 식별부(272)에서 해당 충전기(400)의 충전기 ID의 정상 판독하면, 충전 중계 서버(100)로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처리부(274)는 충전 중계 서버(100)에서 생성된 사용자 ID 및 ID 식별부(272)에서 위조확인된 충전기 ID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충전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충전 중계 서버(100) 및 충전기(400)와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310)는 인터넷 및 4G 통신 또는 5G 통신을 통하여 충전 중계 서버(100) 및 충전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통신부(310) 및 데이터베이스(33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20)는 충전기 관리부(322) 및 통합 결제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 관리부(322)는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 배포된 충전기 ID를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400)로 배포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 ID가 전자 정보 형태이거나 통신 정보 형태인 경우, 충전기 관리부(322)는 충전기 ID를 해당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결제부(324)는 충전 중계 서버(100)와의 통합 결제 계약 체결에 따라 통합 결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결제부(324)는 충전기(400)로부터 충전 비용 보고가 자체 충전 서비스인지 통합 결제 서비스인지를 구분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일례로, 통합 결제부(324)는 충전 비용을 보고한 충전기(400)의 충전기 ID가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의 요청된 충전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통합 결제부(324)는 충전 중계 서버(100)의 충전 요청에 따라 어느 하나의 충전기(400)로 충전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결제부(324)는 사용자 단말(200)에 식별된 충전기(400)로 요청된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충전을 인가할 수 있다.
통합 결제부(324)는 어느 하나의 충전기(400)가 전기차(11)의 충전에 따른 충전 비용을 보고하면, 충전 중계 서버(100)로 결제를 의뢰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결제부(324)는 해당 충전기(400)의 충전기 ID 및 충전 비용을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30)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30)는 충전기 정보(332), 통합 결제 서비스 정보(334) 및 결제 정보(336)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 정보(332)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에 소속된 충전기(400)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400)는 충전 중계 서버(100)에 등록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충전기 정보(332)는 충전기 ID 및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결제 서비스 정보(334)는 통합 결제 서비스에 대한 계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통합 결제 서비스 정보(334)는 통합 결제를 위한 충전 중계 서버(100)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정보(336)는 충전 중계 서버(100)로 결제를 요청한 정보일 수 있다. 즉, 결제 정보(336)는 충전 중계 서버(100)를 통하여 처리될 통합 결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결제 정보(336)는 충전기(400)로부터 수신된 충전 비용 보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충전기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기(400)는 통신부(410), 전원부(420), 표시부(430), 저장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공중 통신망을 통하여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410)는 4G 통신 또는 5G 통신을 통하여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전원부(420)는 전기차(11)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전기차(1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420)는 상용 전원을 전기차(11)의 배터리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례로, 전원부(420)는 220V AC 전원을 48V 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420)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전기차(1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표시부(430)는 충전기(4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충전 요청, 충전 인가 및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표시부(430)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충전기 ID가 전자 정보 형태 또는 통신 정보 형태인 경우, 표시부(430)는 충전기 ID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표시부(430)는 실물 제작된 것으로 충전기(400)에 부착되는 스티커일 수 있다.
저장부(440)는 충전기 ID가 전자 정보 형태 또는 통신 정보 형태인 경우,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배포된 충전기 ID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요청된 충전 인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충전 인가에 따른 충전 비용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통신부(410), 전원부(420), 표시부(430) 및 저장부(44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며 충전기(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50)는 충전부(452) 및 결제부(454)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452)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충전 인가에 따라 전원부(420)를 통하여 전기차(11)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충전부(452)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인가시 요청된 비용에 대응하는 전력을 전기차(11)로 공급하도록 전원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결제부(454)는 충전부(452)의 충전에 따라 전원부(420)에서 전기차(11)로 공급된 전력에 따른 충전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결제부(454)는 산출된 충전 비용을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보고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20)은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에 소속된 충전기(400)를 등록하는 단계(S22),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단계 S24) 및 전기차(11)의 충전 및 중계 통합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S26)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충전 중계 서버(100)가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 사전에 체결된 통합 결제 계약에 따라 각각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에 소속된 충전기(400)를 등록한다(단계 S22).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각각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그에 소속된 충전기 ID를 발급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 ID는 충전 중계 서버(100)의 개인키로서 암호화된 것으로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전송된 회원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등록한다(단계 S24).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회원 등록을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식별된 충전기 ID에 대응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충전 인가를 요청하여 충전 및 중계 통합 결제를 수행한다(단계 S26).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해당 충전기(400)가 전기차(11)의 충전을 완료하면,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결제 의뢰에 따라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의 충전기 등록 절차의 순서도이다.
충전기 등록 절차(22)는 통합 결제 계약 체결에 따라 통합 결제 기능을 추가하는 단계(S221 및 S222), 충전기 ID를 발급 및 배포하는 단계(S223 및 S224) 및 충전기 ID를 표시하는 단계(S22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충전 중계 서버(100)는 어느 하나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와의 통합 결제 계약을 체결한다(단계 S221).
다음으로,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충전 중계 서버(100)와의 통합 결제 계약 체결에 따라 통합 결제 기능을 추가한다(단계 S222). 이때,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충전기(400)로부터 충전 비용 보고가 자체 충전 서비스인지 통합 결제 서비스인지를 구분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일례로,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충전 비용을 보고한 충전기(400)의 충전기 ID가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의 요청된 충전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중계 서버(100)는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된 충전기 ID를 생성하여 발급한다(단계 S223).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생성된 충전기 ID를 통합 결제 계약이 체결된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발급할 수 있다. 즉, 충전 중계 서버(100)는 충전기 ID를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충전 중계 서버(100)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충전기 ID를 발급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 ID의 형태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식별가능한 형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에 대한 전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충전기 ID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 형태로 실물 제작되어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배포될 수 있다. 이때, 실물로 제작된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는 충전 중계 서버(100)의 개인키에 의해 암호화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 발급된 충전기 ID를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400)로 배포한다(단계 S224). 이때, 충전기 ID가 전자 정보 형태이거나 통신 정보 형태인 경우,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충전기 ID를 해당 충전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기(400)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충전기 ID를 표시한다(단계 S225). 이때, 충전기(400)는 표시부(430)를 통하여 충전기 ID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400)는 충전기 ID가 전자 정보 형태 또는 통신 정보 형태인 경우, 표시부(430)에 충전기 ID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충전기(400)는 실물 제작된 충전기 ID를 나타내는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의 사용자 등록 절차의 순서도이다.
사용자 등록 절차(24)는 회원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 ID를 생성하는 단계(S241 내지 S243), 결제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S244 내지 S246) 및 충전기 ID의 위조를 확인하기 위한 공개키를 배포하는 단계(S247)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단말(200)은 회원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241).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회원 이름 및 사용자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된 회원 정보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한다(단계 S242).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30)를 통하여 회원 정보를 원격지의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전송된 회원 정보에 따라 사용자 ID를 생성한다(단계 S243). 즉, 충전 중계 서버(100)는 통합 결제 서비스를 신청한 사용자 단말(200)을 회원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입력된 결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결제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244).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결제 계좌 또는 결제 수단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된 결제 정보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한다(단계 S245).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30)를 통하여 결제 정보를 원격지의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전송된 결제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246).
다음으로, 충전 중계 서버(100)는 암호화된 충전기 ID의 위조를 확인하기 위한 공개키를 사용자 단말(200)로 배포한다(단계 S247). 여기서, 공개키는 충전 중계 서버(100)에서 충전기 ID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된 개인키와 한 쌍으로서 암호화된 충전기 ID를 해독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등록된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200)로 공개키를 배포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기의 ID 위조 확인이 충전 중계 서버(100)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공개키의 배포는 생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의 중계 통합 결제 절차의 순서도이다.
중계 통합 결제 절차(26)는 근접한 충전기(400)를 검색하는 단계(S261 및 S262), 충전기(400)를 식별하는 단계(S263 및 S264), 충전을 요청 및 인가하는 단계(SS265 내지 S267), 전기차(11)를 충전하는 단계(S268), 충전 비용을 결재하는 단계(S269 내지 S271), 수수료를 지불하는 단계(S272) 및 결재 완료를 알림하는 단계(S27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기(400) 검색을 충전 중계 서버(100)로 요청한다(단계 S261). 즉,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충전기 검색 요청에 따라 인근 지역의 충전기(400) 정보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자신의 위치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충전기 맵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단계 S262).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300) 별로 가용가능한 충전기(400)의 위치를 검색하여 검색된 충전기(400)의 위치를 포함한 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 맵은 충전 서비스 서버(300)별로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충전기 맵은 충전 서비스 서버(300)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충전기(400) 만을 표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 중계 서버(100)에서 충전기 맵이 수신되면, 저장부(260)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전기차(11)가 어느 하나의 충전기(400)의 위치로 이동하면, 해당 충전기(400)에 배포된 충전기 ID를 입력한다(단계 S263).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카메라(220)를 통하여 전기차(1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400)에 배포된 충전기 ID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충전기(400)에 배포된 충전기 ID가 QR 코드인 경우, 해당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NFC 통신을 통하여 충전기(400)의 충전기 ID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된 충전기 ID의 위조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64).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된 충전기 ID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 배포된 공개키로 해독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기 ID가 정상적인 경우, 공개키로 충전기 ID를 정상적으로 해독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기 ID가 위조된 경우, 공개키로 충전기 ID를 정상적으로 해독하지 못하거나 해독값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기(400)의 해당 충전기 ID의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중계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로 공개키가 배포되지 않은 경우, 충전기 ID의 위조 여부는 충전 중계 서버(100)에서 수행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된 충전기 ID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하고, 충전 중계 서버(100)는 수신된 충전기 ID를 개인키에 대응하여 생성된 공개키로 해독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중계 서버(100)는 충전기 ID의 위조 여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단계 S264에서 해당 충전기(400)의 충전기 ID의 정상 판독하면, 충전 중계 서버(100)로 충전을 요청한다(단계 S265).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충전 중계 서버(100)에서 생성된 사용자 ID 및 단계 S264에서 위조확인된 충전기 ID를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중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충전 요청에 따라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충전을 요청한다(단계 S266).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충전기 ID를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요청되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식별한 충전기(400)를 관리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일 수 있다.
다음으로,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충전 중계 서버(100)의 충전 요청에 따라 어느 하나의 충전기(400)로 충전을 인가한다(단계 S267). 이때,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식별된 충전기(400)로 요청된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충전을 인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기(400)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충전 인가에 따라 전기차(11)를 충전한다(단계 S268). 이때, 충전기(400)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인가시 요청된 비용에 대응하는 전력을 전기차(11)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기(400)는 전기차(11)의 충전에 따른 충전 비용을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보고한다(단계 S269). 이때, 충전기(400)는 전기차(11)로 공급된 전력에 따른 충전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기(400)는 산출된 충전 비용을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보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충전기(400)의 충전 비용 보고에 따라 충전 중계 서버(100)로 결제를 의뢰한다(단계 S270). 이때, 충전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충전기(400)의 충전기 ID 및 충전 비용을 충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중계 서버(100)는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300)의 결제 의뢰에 따라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승인한다(단계 S271).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충전기(400)에 의해 전기차(11)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중계 서버(100)는 충전 서비스 서버(300)로 충전 비용을 지불한다(단계 S272).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통합 결제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차감한 후 충전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중계 서버(100)는 결제 완료를 사용자 단말(200)로 알림한다(단계 S273). 이때, 충전 중계 서버(100)는 해당 충전기(400), 충전 서비스 서버(300), 충전 금액 및 날짜 등의 통합 결제 정보에 알림 문자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100 : 충전 중계 서버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22 : 충전기 등록부
124 : 사용자 관리부 126 : 통합 결제부
130 : 데이터베이스 132 : 사용자 정보
134 : 결제 정보 136 : 충전 서비스 정보
138 : 충전기 정보 200 : 사용자 단말
210 : 입력부 220 : 카메라
230 : 통신부 240 : GPS 모듈
250 : 디스플레이부 260 : 저장부
270 : 제어부 272 : ID 식별부
274 : 충전 처리부 300 : 충전 서비스 서버
310 : 통신부 320 : 제어부
322 : 충전기 관리부 324 : 통합 결제부
330 : 데이터베이스 332 : 충전기 정보
334 : 통합 결제 서비스 정보 336 : 결제 정보
400 : 충전기 410 : 통신부
420 : 전원부 430 : 표시부
440 : 저장부 450 : 제어부
452 : 충전부 454 : 결제부
11 : 전기차

Claims (13)

  1. 전기차를 충전하며 충전기 ID가 표시되는 복수의 충전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기 ID를 식별하여 상기 전기차의 충전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를 운영하는 충전 서비스 운영사마다 구비되며,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로 각각의 충전기 ID를 배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충전 요청에 따른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 인가 및 충전 결제를 처리하는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와의 통합 결제 계약에 따라 각각의 충전 서비스 서버로 상기 충전기 ID를 발급하여 각각의 충전기를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회원 정보 및 결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등록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된 상기 충전기 ID에 대응하는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로 충전 인가를 요청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 완료 후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의 결제 의뢰에 따라 사전 등록된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승인하는 충전 중계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로부터 배포되는 상기 충전기 ID는 상기 복수의 충전기 각각에 부가된 자신의 ID와는 별도로 통합 결제를 위해서 상기 충전 중계 서버에서 발급되는 ID이며,
    충전 인가가 요청되는 충전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한 충전기를 관리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이고,
    상기 충전 중계 서버는,
    어느 하나의 충전 서비스 서버와의 통합 결제 계약을 체결하고,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충전기 ID를 발급하는 충전기 등록부;
    상기 회원 정보에 따라 사용자 ID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충전기 ID를 상기 개인키에 대응하여 생성된 공개키로 해독하여 해당 충전기 ID의 위조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의 결제 의뢰를 승인하고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로 충전 비용을 지불하며, 결제 완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림하는 통합 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결제부는 통합 결제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차감한 후 상기 충전 비용을 지불하며,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는,
    상기 통합 결제 계약 체결에 따라 통합 결제 기능을 추가하여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충전 비용 보고가 자체 충전 서비스인지 통합 결제 서비스인지를 구분하고,
    상기 충전 인가 요청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로 충전을 인가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가 상기 전기차의 충전에 따른 충전 비용을 보고하면,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결제를 의뢰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는,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부터 배포된 상기 충전기 ID를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로 배포하는 충전기 관리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ID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충전기 각각에 표시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회원 정보 및 상기 결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에 배포된 충전기 ID를 입력하는 카메라;
    상기 입력된 충전기 ID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위조 여부를 확인하는 ID 식별부; 및
    상기 사용자 ID 및 상기 위조확인된 충전기 ID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충전을 요청하는 충전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자신의 위치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충전기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충전 중계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별 가용가능한 충전기의 위치를 포함한 맵 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7. 충전 중계 서버가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와의 통합 결제 계약에 따라 각각의 충전 서비스 서버로 충전기 ID를 발급하여 각각의 충전기를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충전 중계 서버에 회원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어느 하나의 충전기에 배포된 충전기 ID를 식별한 후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식별된 충전기 ID에 대응하는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로 충전 인가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로 충전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의 충전 완료 후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의 결제 의뢰에 따라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시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는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를 운영하는 충전 서비스 운영사마다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에 배포되는 상기 충전기 ID는 상기 복수의 충전기 각각에 부가된 자신의 ID와는 별도로 통합 결제를 위해서 상기 충전 중계 서버에서 발급되는 ID이고,
    충전 인가가 요청되는 충전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한 충전기를 관리하는 충전 서비스 서버이고,
    상기 충전기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중계 서버와 어느 하나의 충전 서비스 서버 사이의 통합 결제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 서비스 서버가 통합 결제 기능을 추가하는 단계;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개인키로 암호화된 상기 충전기 ID를 발급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 서비스 서버가 자신에 소속된 복수의 충전기로 상기 충전기 ID를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을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충전 비용 보고가 자체 충전 서비스인지 통합 결제 서비스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에 배포된 충전기 ID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충전기 ID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위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충전기 ID를 상기 개인키에 대응하여 생성된 공개키로 해독하여 해당 충전기 ID의 위조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기가 상기 전기차의 충전에 따른 충전 비용을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해당 충전 서비스 서버가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결제를 의뢰하는 단계;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결제 의뢰를 승인하고 상기 충전 서비스 서버로 상기 충전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결제 완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불하는 단계는 통합 결제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차감한 후 상기 충전 비용을 지불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 각각에 상기 충전기 ID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ID는 텍스트 형식의 코드, QR 코드 및 NFC 태그 스티커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회원 정보 및 상기 결제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회원 정보에 따라 사용자 ID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암호화된 상기 충전기 ID의 위조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ID 및 상기 위조확인된 충전기 ID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
  12. 삭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자신의 위치를 상기 충전 중계 서버로 전송하여 충전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중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충전 서비스 서버별 가용가능한 충전기의 위치를 포함한 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방법.
KR1020220016725A 2022-02-09 2022-02-09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4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725A KR102440336B1 (ko) 2022-02-09 2022-02-09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725A KR102440336B1 (ko) 2022-02-09 2022-02-09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336B1 true KR102440336B1 (ko) 2022-09-05

Family

ID=8327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725A KR102440336B1 (ko) 2022-02-09 2022-02-09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3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073A (ko) * 2010-05-20 2011-11-28 한국전력공사 모바일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스탠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20130092783A (ko) * 2012-02-13 2013-08-21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28593B1 (ko) * 2017-07-28 2018-03-29 대영채비(주) 사용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모바일충전기의 충전시스템
KR102305120B1 (ko) 2020-05-14 2021-09-29 한국전력공사 전기차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073A (ko) * 2010-05-20 2011-11-28 한국전력공사 모바일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스탠드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방법
KR20130092783A (ko) * 2012-02-13 2013-08-21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28593B1 (ko) * 2017-07-28 2018-03-29 대영채비(주) 사용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모바일충전기의 충전시스템
KR102305120B1 (ko) 2020-05-14 2021-09-29 한국전력공사 전기차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47811B (zh) 在区块链网络中查询交易信息的方法、记账节点和介质
US20230230074A1 (en) Method and system of billing for charging a vehicle battery leveraging a pre-arranged payment method
CN110471953B (zh) 在区块链网络中确定记账节点的方法、代理节点和介质
US20100306033A1 (en) Electrical power metering and billing network
CN109255255A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0195956B2 (en) Secure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KR100324400B1 (ko) 물류운송정보의 처리방법
EP1560172A1 (en) Secure device and mobile terminal which carry out data exchange between card applications
CN105931485A (zh) 一种共享车位预约使用服务系统
JP2021107951A (ja) 給電管理システム、給電管理方法及び給電管理プログラム
CN105246061A (zh) 一种移动通信业务的服务终端
KR101766366B1 (ko) 보너스 적립 시스템, 보너스 적립 방법 및 이를 위한 nfc 단말장치
CN104123638A (zh) 便捷式短信缴费系统及其方法
KR20200125181A (ko) 이사날짜 예측을 통한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KR100390724B1 (ko) 가발권을 이용한 티켓 발매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410056A (zh) 一种电动汽车充电系统实现去中心化安全交易的方法
KR102440336B1 (ko) 전기차 충전 통합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7419B1 (ko) 문화예술공연 및 이벤트 참여자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220037571A (ko) 재생 에너지 공급 플랫폼을 이용하는 재생에너지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US201902136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marketplace platfor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KR100330346B1 (ko) 인터넷 정보 유료화 시스템
KR20220165671A (ko)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1083654A (zh) B/s架构的度假计划网络管理方法
KR20210128276A (ko) 소셜 결제를 통한 전기차 충전 인증 및 결제 방법
KR102261435B1 (ko) 단말기 분실 또는 수리에 따른 보험 처리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