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462B1 -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 Google Patents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462B1
KR102439462B1 KR1020170141464A KR20170141464A KR102439462B1 KR 102439462 B1 KR102439462 B1 KR 102439462B1 KR 1020170141464 A KR1020170141464 A KR 1020170141464A KR 20170141464 A KR20170141464 A KR 20170141464A KR 102439462 B1 KR102439462 B1 KR 102439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nnection
lower switch
voltage
circu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510A (ko
KR102439462B9 (ko
Inventor
조충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462B1/ko
Priority to US16/170,771 priority patent/US10782358B2/en
Publication of KR2019004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462B1/ko
Publication of KR10243946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46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 B60R21/0173Diagnostic or record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01R31/007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2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 H03K5/24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122Prevention of malfunction
    • B60R2021/01129Problems or faults
    • B60R2021/0115Current l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122Prevention of malfunction
    • B60R2021/01184Fault detection or diagnost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4Testing for continuit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63High side switches, i.e. the higher potential [DC] or life wire [AC]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switch and not via the loa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72Low side switches, i.e. the lower potential [DC] or neutral wire [AC]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switch and not via the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 구동 장치의 파워 접지(PGND : Power Ground)의 단선 진단을 위한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에어백 구동 장치의 상단 스위치(H_SW)와 하단 스위치(L_SW)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VH)에 의해 상기 하단 스위치(L_SW)의 파워 접지(PGND)에 단선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단선 감지부; 및 상기 단선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VDrop)을 입력받아 기 지정된 제1 기준 전압(VPG_TH)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파워 접지(PGND)가 단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선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DISCONNECTION DIAGNOSTIC CIRCUIT OF AIR BAG DRIVE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동작 테스트 시 에어백 구동 장치의 외부 접지인 파워 접지(PowerGND=PGND=PGx) 단의 오류와 하단 스위치의 단선 오류도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 구동 장치(또는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단(IGH)과 제2 접속단(IGL)을 통해 점화용 전원을 인가하여, 회로 외부에 연결되는 에어백 점화부(Rsquib)를 제어한다.
상기 에어백 구동 장치는 회로 내부적으로 상기 제1 접속단(IGH)에 접속되어 턴 온 시 구동 전원(또는 점화용 전원)(VH)을 인가하는 상단 스위치(H_SW), 및 상기 제2 접속단(IGL)에 접속되어 턴 온 시 상기 구동 전원(또는 점화용 전원)(VH)을 접지(PGND)측으로 도통시키는 하단 스위치(L_SW)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스위치(H_SW)와 하단 스위치(L_SW)가 안정적으로 도통 되었을 때 에어백 점화부(Rsquib)가 점화되어 에어백이 작동(즉, 전개)되는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PGND)는 외부 접지(차량의 차체 등을 이용한 접지)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회로 상에서의 일반적인 회로 접지(GND)와 구분하기 위하여 파워 접지(PowerGND=PGND)라고 기재하고, 다수의 파워 접지 중 어느 하나의 파워 접지를 PGx(여기서, x=1, 2, 3....)라고 기재한다.
결국 상기 파워 접지는 PowerGND, PGND, 및 PGx는 사실상 같은 의미이다.
그런데 만약 파워 접지(PGND)의 외부(즉, 회로 외부)에 단선(Open Power Ground)이나 불완전 접지(Ground Drift : 불완전한 접지로 전위차가 발생하는 현상)가 발생하는 경우, 에어백 구동(즉, 전개)을 위한 점화 시도 중 하단 스위치(L_SW)가 턴 온 되더라도 전류 흐름(Current Path)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에어백이 미전개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 단선(Open Power Ground)은 회로(즉, IC) 내부의 접지와 외부에 연결되는 접지(예 : Lead 단자와 PCB 간의 접지) 사이의 본딩 와이어 등이 단선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존에는 ACU(Air Back Control Unit) 출력 단에 연결되는 에어백 구동 장치(또는 회로)의 하단 스위치의 진단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을 사용한 전압 분배부(30)를 통해 하단 스위치(L_SW)의 고장을 포함한 단선(IGL 접점과 하단 스위치를 연결하는 배선의 단선, 도 3의 단선② 참조) 여부만 진단할 수 있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에어백 구동 장치(또는 회로)에서 하단 스위치(L_SW)의 고장(또는 단선)을 검출하는 방식(즉, 저항을 사용한 전압 분배부를 이용한 검출 방식)은 하단 스위치(L_SW)의 이상(고장)인지 아니면 파워 접지(PGND)의 단선인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백 구동 장치의 동작 테스트 시 에어백 구동 장치의 외부 접지인 파워 접지(PowerGND=PGND=PGx) 단의 오류와 하단 스위치의 단선 오류도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파워 접지(PGND : Power Ground)의 단선 진단을 위한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에어백 구동 장치의 상단 스위치(H_SW)와 하단 스위치(L_SW)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VH)에 의해 상기 하단 스위치(L_SW)의 파워 접지(PGND)에 단선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단선 감지부; 및 상기 단선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VDrop)을 입력받아 기 지정된 제1 기준 전압(VPG_TH)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파워 접지(PGND)가 단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선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는, 상기 파워 접지(PGND)의 단선 및 상기 하단 스위치(L_SW)로 인가되는 전원 배선의 단선을 의미하는 하단 스위치(L_SW)의 단선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구동 장치의 복수의 접점(IGH, IGL)을 통해 연결되는 에어백 점화부(Rsquib)에 전원(VH)을 인가하지 않고, 대신에 에어백 점화를 위한 상기 전원(VH)을 상기 상단 스위치(H_SW)와 하단 스위치(L_SW)를 통해 흐르게 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선 감지부는, 순방향 다이오드(D1)와 역방향 다이오드(D2)를 병렬로 연결한 이중 다이오드 회로로서, 상기 순방향 다이오드(D1)의 입력단과 역방향 다이오드(D2)의 출력단이 공통으로 상기 하단 스위치(L_SW)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순방향 다이오드(D1)의 출력단과 역방향 다이오드(D2)의 입력단이 공통으로 회로 접지(GND)에 연결되는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선 감지부는, 파워 접지(PGND)에 단선이 발생할 경우, 파워 접지(PGND)로 흐르는 전류 경로가 생성되지 않고, 대신에 상기 순방향 다이오드(D1)가 턴 온 되어 회로 접지(GND)로 전류가 흐르면서 전위차(VDrop)가 발생하도록 구현된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선 판단부는, 파워 접지(PGND)에 단선이 발생할 경우, 상기 단선 감지부에 의한 전위차(VDrop)가 기 설정된 제1 기준 전압(VPG_TH)의 레벨보다 큰 경우 오류 신호(SPI Flag)를 상위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선 판단부는, 상단 스위치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및 하단 스위치에 입력되는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먹스(MUX)부; 상기 먹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전압(VPG_TH, VH_TH, VL_TH)과 각기 비교하여, 각각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교부; 및 상기 하단 스위치(L_SW)의 단선 시, 기 설정된 단선 감지용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먹스(MUX)부의 일 측 입력단에 입력시키는 하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선 감지용 전압은, 비교기를 이용한 부귀환 회로에 의해 생성된 바이어스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는, 그 출력단이 상기 먹스부의 복수의 전압 입력단 중, 하단 스위치(L_SW)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단에 공통 접속되게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선 판단부는, 하단 스위치(L_SW)에 인가되는 전원 배선에 단선이 발생할 경우, 상기 하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에서 생성한 단선 감지용 전압을 상기 먹스부의 복수의 전압 입력단 중, 하단 스위치(L_SW)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단을 통해 입력받고, 상기 단선 감지용 전압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전압(VL _ TH)의 레벨 이상이면 오류 신호(SPI Flag)를 상위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어백 구동 장치의 동작 테스트 시 에어백 구동 장치의 외부 접지인 파워 접지(PowerGND=PGND=PGx) 단의 오류와 하단 스위치의 단선 오류도 진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회로 개선을 통해 에어백 구동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구동 장치에서 단선을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하단 스위치(L_SW)의 오류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단선 감지부의 보다 구체적인 회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단선 판단부의 보다 구체적인 회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는, 테스트 모드(예 : 차량 시동 등의 초기화 시 수행되는 모드)에서 에어백 점화부(Rsquib)에 전원(VH)을 인가하지 않고, 대신에 상기 에어백 점화를 위한 전원(VH)을 상단 스위치(H_SW)와 하단 스위치(L_SW)를 통해 흐르게 하여, 파워 접지(PGND)의 오류(즉, 단선) 및 하단 스위치(L_SW)의 오류(즉, 하단 스위치로 인가되는 전원 배선의 단선, 도 3 참조)를 감지하기 위한 회로로서, 도 1에 있어서, 단선 감지부(110), 및 단선 판단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단선 감지부(110)는 파워 접지(PGND)의 오류(즉, 단선)가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회로이고, 상기 단선 판단부(120)는 상기 단선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정보(예 : 전압)으로 단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회로이다.
또한 상기 단선 판단부(120)는 하단 스위치(L_SW)의 오류(즉, 하단 스위치로 인가되는 전원 배선의 단선, 도 3 참조)를 감지하기 위한 회로로서도 기능한다.
상기 단선 감지부(110)의 구체적인 회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단선 판단부(120)의 보다 구체적인 회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하단 스위치(L_SW)의 오류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단선 감지부의 보다 구체적인 회로를 보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하단 스위치(L_SW)의 오류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선 감지부(110)는 순방향 다이오드(D1)와 역방향 다이오드(D2)를 병렬로 연결한 이중 다이오드 회로이다.
즉, 순방향 다이오드(D1)의 입력단과 역방향 다이오드(D2)의 출력단이 공통으로 상기 하단 스위치(L_SW)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순방향 다이오드(D1)의 출력단과 역방향 다이오드(D2)의 입력단이 공통으로 회로 접지(GND)에 연결되는 회로이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접지(PGND)에 단선(예 : 단선①)이 발생할 경우, 파워 접지(PGND)로 흐르는 전류 경로가 생성되지 않고, 대신에 상기 단선 감지부(110)의 상기 순방향 다이오드(D1)가 턴 온 되어 회로 접지(GND)로 전류가 흐르면서 전위차(VDrop)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선 판단부(120)는 상기 전위차(VDrop)가 상기 파워 접지(PGND)의 단선에 의한 전압(Vopgx) 이상이며, 기 설정된 제1 기준 전압(VPG_TH)의 레벨보다 큰 경우 오류 신호(예 : SPI Flag)를 상위 제어부(예 : ECU, ACU 등)(미도시)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위 제어부(미도시)는 파워 접지(PGND)에 단선이 발생한 것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작(예 : 경고 신호 출력 등)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선 판단부(120)는 복수의 입력 전압(예 : 상단 스위치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및 하단 스위치에 입력되는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먹스(MUX)부(122), 및 상기 먹스부(12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전압(예 : VPG_TH, VH_TH, VL_TH)과 각기 비교하여, 각각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다수의 비교부(124, 125, 12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선 판단부(120)는 상기 하단 스위치(L_SW)의 오류(즉, 하단 스위치로 인가되는 전원 배선의 단선, 도 3 참조) 시, 단선 감지용 전압(예 : 부귀환 회로에 의한 Vcc/3 만큼의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먹스(MUX)부(122)에 입력시키는 하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1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123)의 출력단은 상기 먹스부(122)의 복수의 전압 입력단 중, 하단 스위치(L_SW)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단에 공통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먹스부(122)의 복수의 전압 입력단 중, 상단 스위치(H_SW)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단에 공통 접속되어 단선 감지용 전압(예 : 부귀환 회로에 의한 Vcc/3 만큼의 바이어스 전압)을 생성하여 입력하는 상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스위치(H_SW)의 단선은 기술적 요지가 아니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 스위치(L_SW)의 오류(즉, 하단 스위치로 인가되는 전원 배선의 단선) 시(예 : 단선②), 상기 하단 스위치(L_SW)를 통해 흐르는 전류 경로가 생성되지 않고, 대신에 상기 단선 판단부(120)의 상기 하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123)에서 생성한 단선 감지용 전압(예 : 부귀환 회로에 의한 Vcc/3 만큼의 바이어스 전압)이 상기 먹스부(122)의 복수의 전압 입력단 중, 하단 스위치(L_SW)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먹스부(122)에서 출력되는 전압(VIN)이 상기 다수의 비교부(124, 125, 126) 중 지정된 어느 하나의 비교부(125)에서 기 설정된 제2 기준 전압(VL_TH)의 레벨과 비교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선 판단부(120)의 지정된 어느 하나의 비교부(125)는 상기 단선 감지용 전압(Vcc/3)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전압(VL_TH)의 레벨 이상이면 오류 신호(예 : SPI Flag)를 상위 제어부(예 : ECU, ACU 등)(미도시)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위 제어부(미도시)는 하단 스위치(L_SW)에 단선이 발생한 것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작(예 : 경고 신호 출력 등)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동작 테스트 시 에어백 구동 장치의 외부 접지인 파워 접지(PowerGND=PGND=PGx) 단의 오류와 하단 스위치의 단선 오류도 진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히 회로 개선을 통해 에어백 구동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상단 스위치 구동부 20 : 하단 스위치 구동부
110 : 단선 감지부 120 : 단선 판단부
D1 : 순방향 다이오드 D2 : 역방향 다이오드
121 : 상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
122 : 먹스부
123 : 하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
124, 125, 126 : 비교부

Claims (9)

  1. 에어백 구동 장치의 파워 접지(PGND : Power Ground)의 단선 진단을 위한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에어백 구동 장치의 상단 스위치(H_SW)와 하단 스위치(L_SW)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VH)에 의해 상기 하단 스위치(L_SW)의 파워 접지(PGND)에 단선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단선 감지부; 및
    상기 단선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VDrop)을 입력받아 기 지정된 제1 기준 전압(VPG_TH)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파워 접지(PGND)가 단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선 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선 감지부는,
    순방향 다이오드(D1)와 역방향 다이오드(D2)를 병렬로 연결한 이중 다이오드 회로로서, 상기 순방향 다이오드(D1)의 입력단과 역방향 다이오드(D2)의 출력단이 공통으로 상기 하단 스위치(L_SW)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순방향 다이오드(D1)의 출력단과 역방향 다이오드(D2)의 입력단이 공통으로 회로 접지(GND)에 연결되는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모드는,
    상기 파워 접지(PGND)의 단선 및 상기 하단 스위치(L_SW)로 인가되는 전원 배선의 단선을 의미하는 하단 스위치(L_SW)의 단선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구동 장치의 복수의 접점(IGH, IGL)을 통해 연결되는 에어백 점화부(Rsquib)에 전원(VH)을 인가하지 않고, 대신에 에어백 점화를 위한 상기 전원(VH)을 상기 상단 스위치(H_SW)와 하단 스위치(L_SW)를 통해 흐르게 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감지부는,
    파워 접지(PGND)에 단선이 발생할 경우, 파워 접지(PGND)로 흐르는 전류 경로가 생성되지 않고, 대신에 상기 순방향 다이오드(D1)가 턴 온 되어 회로 접지(GND)로 전류가 흐르면서 전위차(VDrop)가 발생하도록 구현된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판단부는,
    파워 접지(PGND)에 단선이 발생할 경우, 상기 단선 감지부에 의한 전위차(VDrop)가 기 설정된 제1 기준 전압(VPG _ TH)의 레벨보다 큰 경우 오류 신호(SPI Flag)를 상위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판단부는,
    상단 스위치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및 하단 스위치에 입력되는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먹스(MUX)부;
    상기 먹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전압(VPG_TH, VH_TH, VL_TH)과 각기 비교하여, 각각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교부; 및
    상기 하단 스위치(L_SW)의 단선 시, 기 설정된 단선 감지용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먹스(MUX)부의 일 측 입력단에 입력시키는 하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감지용 전압은,
    비교기를 이용한 부귀환 회로에 의해 생성된 바이어스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는,
    그 출력단이 상기 먹스부의 복수의 전압 입력단 중, 하단 스위치(L_SW)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단에 공통 접속되게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판단부는,
    하단 스위치(L_SW)에 인가되는 전원 배선에 단선이 발생할 경우,
    상기 하단 스위치 단선 감지용 전압 생성부에서 생성한 단선 감지용 전압을 상기 먹스부의 복수의 전압 입력단 중, 하단 스위치(L_SW)의 단선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단을 통해 입력받고, 상기 단선 감지용 전압이 기 설정된 제2 기준 전압(VL_TH)의 레벨 이상이면 오류 신호(SPI Flag)를 상위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KR1020170141464A 2017-10-27 2017-10-27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KR102439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464A KR102439462B1 (ko) 2017-10-27 2017-10-27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US16/170,771 US10782358B2 (en) 2017-10-27 2018-10-25 Circuit for diagnosing open circuit in airbag driv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464A KR102439462B1 (ko) 2017-10-27 2017-10-27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10A KR20190047510A (ko) 2019-05-08
KR102439462B1 true KR102439462B1 (ko) 2022-09-02
KR102439462B9 KR102439462B9 (ko) 2023-05-11

Family

ID=6624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464A KR102439462B1 (ko) 2017-10-27 2017-10-27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82358B2 (ko)
KR (1) KR102439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4945A1 (de) * 2016-03-24 2017-09-28 Robert Bosch Gmbh Schutzvorrichtung für eine Auslöseschaltung für ein Personenschutzmittel für ein Fahrzeug und Auslöseschaltung
KR102256524B1 (ko) * 2019-11-13 2021-05-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미전개 방지 모듈 및 에어백 미전개 방지 방법
DE102020201657A1 (de) * 2020-02-11 2021-08-1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nordnung, Kraftfahrzeug
DE102020114889A1 (de) * 2020-06-04 2021-12-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onische Komponente mit Massekodieru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9345B2 (ja) * 1993-06-30 1998-03-1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スクイブ異常検出回路の異常診断装置
US9283912B2 (en) * 2013-06-27 2016-03-15 Zodiac Cabin Controls Gmbh Airbag control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10A (ko) 2019-05-08
KR102439462B9 (ko) 2023-05-11
US10782358B2 (en) 2020-09-22
US20190128945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462B1 (ko) 에어백 구동 장치의 단선 진단 회로
JP4670940B2 (ja) 電子式セーフィングシステム
JP6353648B2 (ja) 半導体異常検出回路
KR101291895B1 (ko) 누전 검지 장치
JP2853511B2 (ja) 乗員保護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6889642B2 (ja) 高電圧機器用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8378819B2 (en) Electrostatic occupant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the same
KR101887903B1 (ko) 저항성 센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진단 방법
US11124138B2 (en)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a control unit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ower supply
CN109923011B (zh) 开关电路及其故障检测方法以及控制装置
US69609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and fault detection of a remote electrical motor
US7142407B2 (en) Squib driver for airbag application
CN110291286A (zh) 电子控制装置以及电子控制装置的异常正常判定方法
KR20180060790A (ko) 로우 사이드 드라이버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206632B1 (ko) 분산 제어용 제어 모듈을 이용한 와이어링 하니스의 부하 감지 시스템
CN110874097B (zh) 输入故障检测系统
JP2006519361A (ja) コネクタの監視用の診断方法
JP2001524408A (ja) アクチュエータの回路装置とその検査方法
JP6579382B2 (ja) 断線検知回路及び電気接続箱
JP2009145181A (ja) 検出装置
CN109951788B (zh) 喇叭检测电路、喇叭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100440399B1 (ko) 점화 코일의 고장 감지 장치
WO2019029479A1 (zh) 数字开关检测电路及方法
KR101684096B1 (ko) 친환경차량의 릴레이 고장검출을 위한 전압센싱장치
JP2000009781A (ja) 乗員保護装置の故障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