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232B1 -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232B1
KR102439232B1 KR1020160062982A KR20160062982A KR102439232B1 KR 102439232 B1 KR102439232 B1 KR 102439232B1 KR 1020160062982 A KR1020160062982 A KR 1020160062982A KR 20160062982 A KR20160062982 A KR 20160062982A KR 102439232 B1 KR102439232 B1 KR 10243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oding
unit
function
oper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024A (ko
Inventor
송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2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2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코딩 앱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코딩 앱의 실행화면 상에 프로그램 코딩을 위한 복수개의 명령어를 블록형 언어로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을 프로그램으로 코딩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코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패턴 및 기능을 쉽게 코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는 실내공기를 용도 및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가전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을 사용자가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와 습도 및 기류 분포로 조절하거나, 공기 속에 부유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가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설치모습에 따라,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액자형 공기조화기와, 거실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림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나아가, 실내기의 용량에 따라, 하나의 실내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되어 가정집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 이용되도록 구성된 싱글형 공기조화기와, 회사 또는 음식점 등의 사업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대용량으로 구성되는 중대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및 동작은 기기의 제조 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 개발자에 의해 프로그램으로 코딩된다. 코딩은 복잡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컴퓨터가 인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해당 기능 및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생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코딩은 소정수준 이상의 프로그램 지식을 가진 개발자에 의해서 일괄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현재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에 동작패턴 및 새로운 기능에 대한 프로그램을 코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일정한 동작패턴으로 반복적으로 운전시키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운전시마다 원하는 동작패턴에 따라 공기조화기를 운전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코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 및 기능에 대한 프로그램을 쉽게 코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코딩 앱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코딩 앱의 실행화면 상에 프로그램 코딩을 위한 복수개의 명령어를 블록형 언어로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을 프로그램으로 코딩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는 코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 및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딩을 손쉽게 수행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동작패턴으로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거나 공기조화기에 원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품사용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동작 또는 기능의 조합을 추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개발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조합을 사용자에 의하여 발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직접 개발에 의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코딩에 익숙하지 않은 비전공자도 코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성능 시험을 위한 시험 프로그램을 쉽게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의 코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코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코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실행되는 코딩 앱의 초기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실행되는 코딩 앱의 기능편집화면을 도시한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실행되는 코딩 앱의 설정창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실행되는 코딩 앱의 기능실행화면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0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110)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120) 및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들(110, 120, 130)은 공기조화기(100)의 본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0)의 상단부에는 본체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상부 토출구(111) 및 상기 상부 토출구(111)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상부 패널(112)이 구비된다.
전면 프레임(110)의 상부 측면에는 본체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측면 토출구(113) 및 상기 측면 토출구(113)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측면 패널(114)이 구비된다. 측면 토출구(113) 및 측면 패널(114)은 전면 프레임(110)의 양측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0)의 하부 측면에는 설치 공간(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15) 및 상기 흡입구(115)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흡입 패널(116)이 구비된다. 흡입구(115) 및 흡입 패널(116)은 전면 프레임(110)의 양측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전면 패널(117)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 패널(117)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8)에는 공기조화기(100)의 작동 상태와 코딩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의 입력 등 공기조화기(100)와 관련한 모든 종류의 영상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본체의 내부에는 흡입구(11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필터(미도시)와 공기 유동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 모터(미도시) 및 외부 공기 흡입 시 일정한 온도의 공기를 실내로 내보냄으로써 외부의 온도와 상관없이 공기조화기(100)의 내부공기를 일정한 온도로 순환시켜주는 열교환기(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팬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 흡입구(115)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복수개의 필터(미도시) 및 팬 모터(미도시)를 거치고, 열교환기(미도시)를 통과한 후, 상부 토출구(111) 및 측면 토출구(113)를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00)는 냉각부(140), 통신부(150), 입력부(160), 출력부(170), 제어부(180), 메모리부(191) 및 센싱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공기조화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공기조화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냉각부(140)는 실내온도를 냉각할 수 있다.
액체가 기체로 기화할 때는 열을 흡수하고, 기체가 액체로 응축할 때는 열을 방출한다. 여기서, 기화할 때 흡수하는 열을 기화열이라 한다. 냉각부(140)는 이러한 기화열에 의한 냉각 원리에 기초하여 실내온도를 냉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부(140)는 압축기(141), 응축기(142), 팽창밸브(143), 증발기(144) 및 구동기(145)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41)는 기체상태의 냉각제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한다. 압축된 기체상태의 냉각제는 응축기(142)로 흘러간다.
응축기(142)는 압축기(141)로부터 유입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의 냉각제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와 만나 식으면서 액체상태가 되게 한다. 이때 방출되는 열은 실외기(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에 의해 실외기(미도시)에서는 더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팽창밸브(143)는 고압의 액체상태인 냉각제의 압력을 낮춘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팽창밸브(143)는 모세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좁은 곳을 통과하는 경우, 유체의 속도는 커지고 압력은 낮아진다. 따라서, 유입된 고압의 액체상태인 냉각제는 모세관 형태의 팽창밸브(143)를 통과함으로써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 압력이 낮아질수록 액체상태의 냉각제는 더욱 잘 증발될 수 있다. 팽창밸브(143)를 통과한 액체상태의 냉각제는 증발기(144)로 유입된다.
증발기(144)는 유입된 액체상태의 냉각제를 증발시킨다. 팽창밸브(143)를 통과한 액체상태의 냉각제는 온도와 압력이 낮다. 이러한, 액체상태의 냉각제는 주위의 더운 공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기체상태로 증발하게 된다. 이 경우, 주위의 공기는 차가워지고, 팬이 회전하면서 차가워진 공기를 실내로 내보내게 된다. 한편, 완전히 증발된 기체상태의 냉각제는 압축기(141)로 다시 흘러 들어가게 되고, 이에 의해 냉각부(140)에 의한 냉각과정의 순환이 계속된다.
구동기(145)는 압축기(141), 응축기(142), 팽창밸브(143) 및 증발기(144)를 구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구동기(145)는 압축기(14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기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140)에 의한 냉각은 많은 기화열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냉각 사이클을 통해 이루어진다. 열은 원래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지만, 냉각부(140)의 냉각 사이클을 통해서는 반대 방향인 낮은 온도의 실내에서 높은 온도의 실외로 이동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해, 실내기에서는 찬 바람이 나오고 실외기에서는 더운 바람이 나오게 된다.
구체적으로, 냉각부(140)에 의한 실내온도의 냉각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냉각부(140)는 압축기(141)로 기체상태의 냉각제의 압력을 크게 변화시켜 응축기(142)에서 액체상태로 응축하고, 팽창밸브(143)를 통하여 압력을 낮춘 후, 액체상태의 냉각제를 증발기(144)안에서 다시 증기로 기화시킴으로써, 기화 시 열을 빼앗아 주위의 온도를 낮추게 한다.
통신부(150)는 공기조화기(100)와 네트워크 시스템 간, 공기조화기(100)와 다른 공기조화기(100) 간, 또는 공기조화기(100)와 외부서버 간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50)는 상기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50)는 와이 파이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에서 수집한 운전정보는 분석되어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의 본체에 위치하는 입력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 텍스트, 아이콘, 비디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리모컨이나 이동 단말기 등의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입력부(160)는 공기조화기(100)의 운전패턴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운전패턴은 복수개의 동작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동작은, 온도조절, 습도조절, 기류분포 조절, 환풍 및 집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의 운전패턴은, 복수개의 동작 각각의 상세내용, 복수개의 동작 각각의 수행시간 및 복수개의 동작의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및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공기조화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공기조화기(100)에서 구동되는 코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공기조화기(100)의 작동 상태와 사용자의 입력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공기조화기(100)가 습도조절 모드로 동작중인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텍스트와 이미지 등의 조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공기조화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공기조화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공기조화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공기조화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구동기(145)를 제어함으로 공기조화기(100)의 냉각 사이클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공기조화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후술하는 메모리부(191)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 및 기능을 추가, 변경 및 삭제할 수 있는 코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어부(180)는 코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상에 프로그램 코딩을 위한 복수개의 명령어를 블록형 언어로 표시하도록 출력부(170)를 제어하고, 공기조화기(100)의 운전패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운전패턴을 프로그램으로 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형 언어는, 복수개의 명령어를 연상시키는 도형, 텍스트, 이미지, 영상, 캐릭터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후술하는 메모리부(191)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메모리부(191)는 공기조화기(100)의 다양한 동작 및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91)는 공기조화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공기조화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거나 외부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공기조화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냉각 기능, 난방 기능, 습도조절 기능, 환풍 기능, 집진 기능 등)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공기조화기(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191)에 저장되고, 공기조화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공기조화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부(191)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92)는 공기조화기(100) 내 정보, 공기조화기(100)를 둘러싼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센싱부(192)는 상기 정보들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92)는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공기조화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센싱부(192)에서 발생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공기조화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부(19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조화기(100)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30)은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하기 위하여 냉각 사이클 등을 구동하는 공기조화기(100) 및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300)는 공기조화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공기조화기(100)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300)는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제어장치(300)는 근거리 통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저전력 블루투스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300)는 이동 단말기, 리모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와 원격제어장치(300)는 기기간 연동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페어링을 수행하는 경우, 공기조화기(100)와 원격제어장치(300)는 각각 피 제어대상 및 제어대상에 대한 식별정보를 서로 주고 받고, 이를 저장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기기의 고유정보로서, 예를 들어 제품번호, 기기에 할당된 IP 주소,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port numb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에 의하여 제어대상 및 피 제어대상이 특정된다. 이러한 페어링은 최초 연결 시 1회만 수행되면, 이후부터는 기기간에 서로 자동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되게 된다.
공기조화기(100)와 원격제어장치(300)가 송수신하는 공기조화기(100)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는,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신호,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는 신호, 코딩 어플리케이션(코딩 앱 이라고도 함)을 실행시키는 신호, 코딩 앱을 통하여 동작패턴 또는 기능을 프로그램으로 코딩하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에서 코딩 앱을 통하여 코딩되는 프로그램은 해당 공기조화기(100)에 페어링된 원격제어장치(300)에 전송될 수도 있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의 코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코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a와 도 4b에서는, 코딩 어플리케이션(410)이 공기조화기(100)에서 실행되고, 상기 코딩 어플리케이션(410)의 실행화면이 원격제어장치(300)에 표시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딩 어플리케이션(410)은 원격제어장치(300)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도 4a는 공기조화기(100)가 외부에 위치한 서버(420)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이다. 코딩 어플리케이션(410)이 공기조화기(100)에서 실행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장치(300)의 화면에는 코딩 어플리케이션(410)의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기존의 코딩 프로그램이 문자형 언어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 실행되는 코딩 어플리케이션(410)은 블록형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블록형 언어는 최종사용자 계층의 텍스트 언어, 도형, 이미지, 영상, 캐릭터 및 애니메이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 또는 기능을 프로그램으로 코딩하기 위한 명령어는 블록형 언어로 표시되거나, 이를 연상시키는 캐릭터 이미지나 애니메이션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최종사용자 계층의 텍스트 언어는, 사용자가 실제적으로 사용하고 또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언어일 수 있다(예를 들어, 풍향, 제습, 냉방, 30분간 계속, 동작 반복 등의 텍스트). 반면, 기존에 사용하던 문자형 언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규정된 프로그램 언어일 수 있다(예를 들어, C 언어 함수 등).
블록형 언어로 표현된 명령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텍스트나 도형 또는 이미지로 표현된 명령어를 끌어와 조립하거나, 선택함으로써, 프로그램 코딩을 구성할 수 있다.
코딩 어플리케이션(410)의 실행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코딩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코딩 정보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 또는 기능 등의 추가, 변경 및 삭제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300)는 서버(4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코딩 정보를 상기 서버(420)에 송신한다. 이 경우, 원격제어장치(300)가 서버(420)와 수행하는 통신은 와이 파이 통신, 근거리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및 무선 인터넷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420)는 코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서버(420)는 코딩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신호를 공기조화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420)는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와 와이 파이 통신, 근거리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및 무선 인터넷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통신부(150)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 또는 기능 등의 추가, 변경 및 삭제를 수행한다.
도 4b는 공기조화기(100)가 서버(420)를 포함하고, 내부에 위치한 서버(420)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서버(420)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80)에 대응할 수 있다. 코딩 어플리케이션(410)이 공기조화기(100)에서 실행되면, 상기 원격제어장치(300)의 화면에는 코딩 어플리케이션(410)의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코딩 어플리케이션(410)의 실행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코딩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코딩 정보는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 또는 기능 등의 추가, 변경 및 삭제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300)는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와 통신을 수행하여 코딩 정보를 상기 공기조화기(100)에 송신한다. 이 경우, 원격제어장치(300)가 통신부(150)와 수행하는 통신은 와이 파이 통신, 근거리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및 무선 인터넷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의 통신부(150)는 서버(4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한 코딩 정보를 상기 서버(420)에 전달한다. 이 경우, 통신부(150)와 서버(420)는 직렬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직렬통신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방식, RS-232 방식, TIA-422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420)는 코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서버(420)는 코딩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 또는 기능 등의 추가, 변경 및 삭제를 수행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코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이종 기기간 송수신되는 메시지(510)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원격제어장치(300)와 서버(420) 및 공기조화기(100) 상호간, 또는 도 4b에서 원격제어장치(300)와 공기조화기(100) 간에는 도 5a에 도시된 메시지(510)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메시지(510)는 RTI(Run Time Infrastructure) 프로토콜 형식에 따라 구성되며, Header 필드(511)와 Body 필드(51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RTI 프로토콜은 개방형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서비스 중에서 실시간(Real-Time)을 요하는 경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개방형 API는 직접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이다.
Header 필드(511)는 메시지(510)의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Body 필드(512)에 포함되는 메시지 크기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Header 필드(511)에는 4Byte가 할당되어 있다.
Body 필드(512)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의 Name을 포함한다. Name은 코딩 앱을 통한 프로그램 코딩과 관련된 명령어일 수 있다. 각각의 Name은 이에 대응하는 value 값을 가진다. 이 경우, Name이 의미하는 명령어는 Value값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Body 필드(512)에 포함되는 Name의 예를 도시한다. Name은 CodingControl(521), Timer WaitSec(522), Timer WaitMin(523), Timer WaitHour(524) 및 Timer WaitTime(525)을 포함할 수 있다.
CodingControl(521)은 프로그램 코딩을 실행하는 명령어이다. CodingControl(521)의 Value 값은 Start, End, Cancel 및 Chang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CodingControl(521)의 Value값이 Start인 경우 프로그램 코딩을 시작하고, CodingControl(521)의 Value값이 End인 경우 프로그램 코딩을 종료한다. CodingControl(521)의 Value값이 Cancel인 경우 프로그램 코딩 내용을 삭제한다. 또한, CodingControl(521)의 Value값이 Change인 경우 프로그램 코딩 내용을 변경한다.
Timer WaitSec(522), Timer WaitMin(523), Timer WaitHour(524) 및 Timer WaitTime(525)은 해당 동작의 수행시간을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예를 들어, Timer WaitSec(522)은 해당 동작이 시작된 후 종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초를 설정하고, Timer WaitMin(523)은 해당 동작이 시작된 후 종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분을 설정하고, Timer WaitHour(524)는 해당 동작이 시작된 후 종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설정하며, Timer WaitTime(525)는 해당 동작이 종료되는 시각, 즉 시 분 초를 설정한다.
Timer WaitSec(522), Timer WaitMin(523), Timer WaitHour(524) 및 Timer WaitTime(525) 각각의 Value 값은 자연수(N)로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 해당하는 Value 값에 따른 시간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도 5a에 도시된 메시지(510)는, RTI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 형식의 Body 필드에 JSON 형식의 Name을 추가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된 표에 규정된 Name들을 추가할 수 있으며, 기존에 존재하는 다른 명령어들은 그대로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Body 필드(512)에 추가하는 Name중 CodingControl(521)을 생성하고, Value값이 "Start”인 경우 Value 값이 "End”가 나올 때까지 그 사이에 존재하는 명령어는 코딩 명령으로 인식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Header 필드(511)와 Body 필드(512)에 포함되는 데이터들은 모두 확장성이 용이한 JSON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5c는 동일 기기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530)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 통신부(150)와 서버(420)간에는 도 5c에 도시된 메시지(510)에 의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메시지(530)는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 형식에 따라 구성되며, Destination Address 필드(531), Header 필드(532), Data 필드(533) 및 CRC 필드(5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TLV 프로토콜은 복잡한 데이터를 3개의 구조화된 필드 요소, 즉 타입(Type), 길이(Length) 및 값(Value)으로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도 5c에 도시된 메시지(530)의 Data 필드(533)는 Type 필드(535), Length 필드(536) 및 Value 필드(537)로 구성될 수 있다.
Destination Address 필드(531)는 메시지(530)의 수신주소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Header 필드(532)는 메시지(530)의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ata 필드(533)는 Type 필드(535), Length 필드(536) 및 Value 필드(537)로 구성된다. 여기서, Type 필드(535)는 Type을 포함한다. Type은 코딩 앱을 통한 프로그램 코딩과 관련된 명령어일 수 있다. Type은 이에 대응하는 value 값을 가진다. 이 경우, Type이 의미하는 명령어는 Value값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Length 필드(536)는 Type 필드(535)에 포함되는 메시지 크기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Value 필드(537)는 Type에 할당되는 Value값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CRC 필드(534)는 순환중복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 값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순환중복검사 값은 해당 메시지(530)의 오류 검출을 위한 오류검출코드에 해당한다.
도 5d는 도 5c에 도시된 Data 필드(533)에 포함되는 Type과 Value의 예를 도시한다. Type은 CodingControl(541), Timer WaitSec(542), Timer WaitMin(543), Timer WaitHour(544) 및 Timer WaitTime(545)을 포함할 수 있다.
CodingControl(541)은 프로그램 코딩을 실행하는 명령어이다. CodingControl(541)의 Value 값은 Start, End, Cancel 및 Chang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CodingControl(541)의 Value값이 Start이면 프로그램 코딩을 시작하고, CodingControl(541)의 Value값이 End이면 프로그램 코딩을 종료한다. CodingControl(541)의 Value값이 Cancel이면 프로그램 코딩 내용을 삭제하고, CodingControl(541)의 Value값이 Change이면 프로그램 코딩 내용을 변경한다.
Timer WaitSec(542), Timer WaitMin(543), Timer WaitHour(544) 및 Timer WaitTime(545)은 해당 동작의 수행시간을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예를 들어, Timer WaitSec(542)은 해당 동작이 시작된 후 종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초를 설정하고, Timer WaitMin(543)은 해당 동작이 시작된 후 종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분을 설정하고, Timer WaitHour(544)는 해당 동작이 시작된 후 종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설정하며, Timer WaitTime(545)는 해당 동작이 종료되는 시각, 즉 시 분 초를 설정한다.
Timer WaitSec(542), Timer WaitMin(543), Timer WaitHour(544) 및 Timer WaitTime(545) 각각의 Value 값은 자연수(N)로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 해당하는 Value 값에 따른 시간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도 5c에 도시된 메시지(530)는 TLV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 형식의 Data 필드(533)에 Type 필드(535)와 Length 필드(536) 및 Value 필드(537)를 추가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d에 도시된 표에 규정된 Type들과 각각에 대응하는 Value들을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ata 필드(533)에 추가하는 Type 중 CodingControl(541)을 생성하고, Value값이 "Start”인 경우 Value 값이 "End”가 나올 때까지 그 사이에 존재하는 명령어는 코딩 명령으로 인식하여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실행되는 코딩 앱의 초기화면을 도시한다.
코딩 앱이 실행되는 경우 초기화면(600)이 표시될 수 있다. 초기화면(6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입력버튼(601, 602, 603, 604)과 복수개의 기능(611, 6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611, 612) 각각에는 해당하는 기능(611, 612)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박스(621, 622)가 표시될 수 있다.
초기화면(600)의 상단에는 입력버튼(601, 602, 603, 604)이 표시된다. 입력버튼(601, 602, 603, 604)은 추가 버튼(601), 편집 버튼(602), 삭제 버튼(603) 및 내보내기 버튼(60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그램 코딩 과정에서 필요한 동작들에 대한 입력버튼이 추가될 수 있다.
추가 버튼(601)은 기능(611, 612)을 추가한다. 추가 버튼(601)이 입력되는 경우, 초기화면(600)은 기능편집화면(700)으로 전환한다. 기능편집화면(700)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편집 버튼(602)은 기능(611, 612)을 편집한다. 편집하고자 하는 기능(611, 612)에 표시된 선택박스(621, 622)를 선택한 후 편집 버튼(602)을 입력하면, 선택된 기능(611, 612)을 편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화면(600)은 기능편집화면(700)으로 전환한다.
삭제 버튼(603)은 기능(611, 612)을 삭제한다. 삭제하고자 하는 기능(611, 612)에 표시된 선택박스(621, 622)를 선택한 후 삭제 버튼(603)을 입력하면, 선택된 기능(611, 612)은 삭제된다.
내보내기 버튼(604)은 기능(611, 612)의 프로그램 코딩정보를 외부에 전송한다. 프로그램 코딩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기능(611, 612)에 표시된 선택박스(621, 622)를 선택한 후 내보내기 버튼(604)을 입력하면, 선택된 기능(611, 612)은 외부기기로 전송된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공기조화기(100)에 페어링된 기기이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기기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기능(611, 612)을 외부의 다른 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실행파일을 만들 수 있다.
기능(611, 612)은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 및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능(611, 612)은 내가 만든 기능 1(611)과 내가 만든 기능 2(612)를 포함한다. 그러나, 기능(611, 612)은 공기조화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별로 생성될 수도 있다.
기능(611, 612)을 표시하는 UI 영역상에서 선택박스(621, 622)를 제외한 부분을 입력하면, 해당 기능(611, 612)이 동작한다. 해당 기능(611, 612)의 동작 중에는, 해당 기능(611, 612)의 실행을 알리는 기능실행화면(900)으로 전환할 수 있다. 기능실행화면(900)에 대해서는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실행되는 코딩 앱의 기능편집화면을 도시한다.
코딩 앱 상에서 기능 편집이 실행되는 경우, 기능편집화면(700)이 표시될 수 있다. 기능편집화면(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버튼(701), 취소버튼(702), 반복버튼(703), 기능동작화면(710) 및 명령어모음화면(7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버튼(701)은 기능편집화면(700)의 상단에 표시되며, 기능의 실행과 추가 및 편집 각각에 따라 시작 버튼, 중지 버튼, 저장 버튼 및 수정 버튼으로 각각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편집화면(700)이 처음으로 표시되면, 입력버튼(701)은 시작 버튼으로 표시된다. 이 경우 시작 버튼 입력 시 해당 기능이 실행되고, 입력버튼(701)은 중지 버튼으로 변경된다. 이 상태에서 중지 버튼 입력 시 해당 기능이 정지하며, 입력버튼(701)은 시작 버튼으로 다시 변경된다.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 입력버튼(701)은 저장 버튼으로 표시된다. 저장 버튼 입력 시, 기능 리스트에 해당 설정기능 또는 동작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이 완료된 후, 처음에 표시된 기능편집화면(700)으로 전환된다.
기능을 편집하는 경우, 입력버튼(701)은 수정 버튼으로 표시된다. 수정 버튼 입력 시, 해당 기능 또는 동작을 수정할 수 있다. 수정이 완료된 후에는, 처음에 표시된 기능편집화면(700)으로 전환된다.
취소버튼(702)은 기능편집화면(700)의 상단에 표시되며, 수행중인 작업을 취소한다. 취소버튼(702)을 입력하는 경우, 처음에 표시된 기능편집화면(700)으로 전환된다.
기능동작화면(710)은 기능편집화면(700)의 좌측에 표시된다. 기능동작화면(710)은 코딩한 기능을 확인하는 화면으로서, 설정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 및 기능이 텍스트, 도형 및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블록형 언어로 표시된다.
기능동작화면(710)의 상단에는 반복버튼(703)이 표시된다. 반복버튼(703)을 입력하면, 기능동작화면(710)에 표시된 기능이 반복하여 동작하도록 설정된다.
명령어모음화면(720)은 기능편집화면(700)의 우측에 표시된다. 명령어모음화면(720)은 공기조화기(100)와 관련하여 설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명령어(721, 722, 723, 724, 725, 726 및 727)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명령어모음화면(720)에는 운전(721), 모드(722), 온도(723), 풍량(724), 부가기능(725), 타이머(726) 및 내가 만든 기능 1(727) 등의 명령어가 포함된다.
명령어모음화면(7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명령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명령어에 관한 상세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창(800)이 생성되어, 기능동작화면(710)상에 표시된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실행되는 코딩 앱의 설정창의 일 예를 도시한다.
설정창(800)에는 명령어에 관한 상세내용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명령어모음화면(720)에서 풍량(724)이 선택되는 경우 표시되는 설정창(800)을 도시한다. 이 경우, 설정창(800)에는 풍량(724)을 동작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내용이 표시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풍량을 약풍, 중풍, 강풍 및 파워풍 중 어느 하나의 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명령어모음화면(720)에서 타이머(726)가 선택되는 경우 표시되는 설정창(800)을 도시한다. 이 경우, 설정창(800)에는 타이머(726)를 동작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내용이 표시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해당 명령어의 수행 시간을 시각 또는 시간 단위로 설정할 지 여부 및 해당 시각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기능을 구성하는 명령어와 명령어의 구체적인 수행방법이 표현될 수 있다. 추가되는 명령어와 해당 명령어의 구체적인 동작은 기능동작화면(710)에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고, 이로부터 사용자는 자신이 코딩한 동작패턴 및 기능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여 실행되는 코딩 앱의 기능실행화면을 도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코딩된 동작패턴 또는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기능실행화면(900)이 표시된다. 기능실행화면(900)에는 실행중인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 또는 기능과, 이의 동작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가 표시될 수 있다.
만일,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이 섭씨 18도의 온도로 30분동안 냉방한 후, 10분간 제습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었다면, 기능실행화면(900)에는 설정된 동작패턴이 이미지, 텍스트 및 도형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도 9의 하단에는 설정된 공기조화기(100)의 동작패턴이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로부터, 공기조화기(100)가 냉방 후 제습을 수행하도록 운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의 상단에는 현재 수행중인 동작의 상세내용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로부터, 공기조화기(100)가 현재 섭씨 18도의 온도로 30분 동안 냉방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00)의 운전패턴을 설정하거나, 공기조화기(100)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없었다. 만일,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00)를 1시간동안 냉방 모드로 작동시킨 후 10분동안 제습 모드로 작동시키고, 나아가 이러한 운전패턴으로 매일 반복하여 공기조화기(100)를 작동시키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공기조화기(100)의 전원이 온 될 때마다 상기와 같은 운전패턴으로 공기조화기(100)를 직접 운전시켜야만 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공기조화기(100)의 운전패턴 또는 기능을 쉽게 프로그램으로 코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동작 및 다양한 동작을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공기조화기(100)의 운전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기조화기(100)에서 코딩 앱을 통하여 코딩되는 프로그램은 이동 단말기나 리모컨을 포함하는 외부기기에 전송되어 외부기기에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송신)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공기조화기 110: 전면 프레임
111: 상부 토출구 112: 상부 패널
113: 측면 토출구 114: 측면 패널
115: 흡입구 116: 흡입 패널
117: 전면 패널 118: 디스플레이부
140: 냉각부 150: 통신부
160: 입력부 170: 출력부
180: 제어부 191: 메모리부
192: 센싱부

Claims (7)

  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코딩 앱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코딩 앱의 실행화면 상에 프로그램 코딩을 위한 복수개의 명령어를 블록형 언어로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을 프로그램으로 코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언어는,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를 연상시키는 도형, 텍스트, 이미지, 영상, 캐릭터 및 애니메이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은, 복수개의 동작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동작은, 온도조절, 습도조절, 기류분포 조절, 환풍 및 집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은,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의 상세내용,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의 수행시간 및 상기 복수개의 동작의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의 상세내용, 상기 복수개의 동작 각각의 수행시간 및 상기 복수개의 동작의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창을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명령어를 선택하는 동작을 입력 받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패턴을 수신하여 이를 상기 입력부에 전달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062982A 2016-05-23 2016-05-23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3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982A KR102439232B1 (ko) 2016-05-23 2016-05-23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982A KR102439232B1 (ko) 2016-05-23 2016-05-23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24A KR20170132024A (ko) 2017-12-01
KR102439232B1 true KR102439232B1 (ko) 2022-09-01

Family

ID=6092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982A KR102439232B1 (ko) 2016-05-23 2016-05-23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2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741B1 (ko) 2015-06-29 2016-03-09 한국원자력연구원 서로 다른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들의 동일성을 검증하는 검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886B1 (ko) * 2014-05-12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741B1 (ko) 2015-06-29 2016-03-09 한국원자력연구원 서로 다른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들의 동일성을 검증하는 검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24A (ko)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0065B2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731207B (zh) 空气调节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设备
JP2014190686A (ja) 端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調ユニット
CN103032935A (zh) 空调控制终端和空调控制的设定操作方法
US20200224907A1 (en) Faceless system control
US20200149770A1 (en) Backup control for hvac system with headless thermostat
JP2014214935A (ja) 端末装置および空調ユニット
CN107850333A (zh) 空调机
KR20070088834A (ko)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표시방법
KR20240047346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39232B1 (ko)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1017421A (zh) 用于在空调机中显示纪念日的方法
KR20070034820A (ko) 다실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모드 제어방법
EP2604938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er interface having separate programming and manual mode scree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07008304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0788514B1 (ko) 공기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JP2006242429A (ja) 空調機シミュレーター、空調機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空調機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5835262B2 (ja) 表示装置
WO2020044588A1 (ja) 制御システム、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方法
JP201715796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5004387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6658786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70080292A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제어 방법
CN106679074A (zh) 一种空气调节装置及空气调节装置的控制方法
JP2021190941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電気機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