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170B1 -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봉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봉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170B1
KR102439170B1 KR1020220016275A KR20220016275A KR102439170B1 KR 102439170 B1 KR102439170 B1 KR 102439170B1 KR 1020220016275 A KR1020220016275 A KR 1020220016275A KR 20220016275 A KR20220016275 A KR 20220016275A KR 102439170 B1 KR102439170 B1 KR 10243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handle
packaging bag
coupling
joi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지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지피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지피앤피
Priority to KR102022001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8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10Handles formed of similar material to that used for the b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봉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거운 중량의 제품도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측면에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투는 전면지와 후면지가 측면지에 의해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 및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지와 상기 측면지의 접합 부위인 제1실링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후면지와 상기 측면지의 접합 부위인 제2실링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몸체, 그리고 일 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 접합되는 제1접합부,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 접합되는 제2접합부 및 중앙에 구비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봉투 및 그 제조 방법{PACKAGING BACK EQUIPPED WITH HAND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봉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거운 중량의 제품도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측면에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알갱이나 또는 분말로 이루어진 제품(대표적으로 동물 사료 등)들은 합성수지나 지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포장봉투에 포장 판매되다. 최근에는 소비자가 용이하게 포장봉투를 들고 운반할 수 있도록 포장봉투의 상단에 손잡이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포장봉투의 손잡이는 포장 팩의 상단부, 즉 실링부에 구멍을 뚫거나 또는 손잡이공이 구비된 별도의 부재를 결합하여 손잡이를 형성하는데, 이 상단부는 개봉예정부이기도 하기 때문에 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높지 않아 찢어지기가 쉽고, 특히 대용량 봉투의 경우에는 높이에 비해 폭이 작은 직사각형 형태로 포장봉투가 구성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손잡이공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구되는 상부 외에, 측면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측면에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봉투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757851호(2017년07월07일)(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등산이나 캠핑 등 야외에서 흔히 사용되는 일회용 커피, 녹차 등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밀봉 절첩식으로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납작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포장재 역할을 겸하고, 사용 시 포장재의 밀봉된 상부 부위의 절취편 부분을 제거하고 양 측면을 가볍게 내압하면 종이컵 등의 형상을 갖는 일회용 용기로 전개되어 물만 부으면 각종의 차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개봉 시 일회용 용기로 겸용할 수 있는 밀봉 포장봉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측면에 손잡이가 구비된 점에서 유사할 뿐, 구비 목적이 전혀 다르고, 손잡이의 구성도 전혀 달라서 본 발명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측면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중량이 큰 제품도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고속 자동화 설비를 통해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포장봉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투는, 전면지와 후면지가 측면지에 의해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 및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지와 상기 측면지의 접합 부위인 제1실링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후면지와 상기 측면지의 접합 부위인 제2실링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몸체, 그리고 일 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 접합되는 제1접합부,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 접합되는 제2접합부 및 중앙에 구비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한 장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실링부에 형성된 장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접합부는 상기 전면지 측에 밀착된 부분과 상기 측면지 측에 밀착된 부분이 상기 장공을 통해 상호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전면지와 측면지, 상기 후면지와 측면지의 접합부위 각각에 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접혀진 측면지와 포개지도록 손잡이용 시트를 상기 전면지와 상기 후면지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손잡이용 시트의 접합부를 상기 결합부에 접합하여 손잡이용 시트를 상기 몸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장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전면지 측에 밀착된 부분과 상기 측면지 측에 밀착된 부분이 상기 장공을 통해 상호 접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중앙의 접이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파지공이 겹쳐져 파지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열접합 방식으로 측면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중량이 큰 제품도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 장의 시트를 통공을 통해 열접합 방식을 통해 손잡이를 몸체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전면지, 후면지 및 측면지를 접합 실링하는 공정에 손잡이 부착 공정을 추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속 자동화 설비를 통해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봉투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포장봉투의 측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포장봉투의 손잡이 부분을 펼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포장봉투의 손잡이를 사용 상태로 전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또는 구현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2)가 구비된 포장봉투(이하 본 포장봉투) 및 그 제조 방법(이하 본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포장봉투는 측면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중량이 큰 제품도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고속 자동화 설비를 통해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포장봉투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 및 일 측에 개구부를 구비한 몸체(1), 그리고 측면에 구비된 손잡이(2)를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1)는 전면지(11)와 후면지(12)가 측면지(13)에 의해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 및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전면지(11)와 후면지(12)는 측면지(13)에 의해 측단부가 서로 합지되는 구성으로, 특별히 구분할 필요는 없으나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면과 후면을 구분한 것이다. 상기 몸체(1)는 전면지(11)와 측면지(13)가 서로 연결되고 다시 후면지(12)와 측면지(13)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봉투의 형태를 가지게 되며, 어느 한 부분, 즉 일 측에는 뚫린 개구부를 구비하게 된다. 개구부는 제품을 투입하기 위한 것이며, 자명하게도 완성된 제품에서는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형태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포장봉투는 몸체(1)가 전면지(11)와 측면지(13)의 접합 부위인 제1실링부(14)에 형성된 제1결합부(16) 및 후면지(12)와 측면지(13)의 접합 부위인 제2실링부(15)에 형성된 제2결합부(17)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실링부(14) 및 제2실링부(15)는 전면지(11)와 측면지(13), 그리고 후면지(12)와 측면지(13)의 접합 부위를 말하는데, 이 두 접합 부위는 두 면이 합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워서 손잡이(2)를 결합했을 때 구조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손잡이(2)를 파지하여 봉투를 들었을 때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높다는 점에서 결합부를 구비하기에 적절하다.
그리고 결합부는 손잡이(2)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실링부(14)에 형성된 결합부를 제1결합부(16)로, 제2실링부(15)에 형성된 결합부를 제2결합부(17)로 명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손잡이(2)는 본 포장봉투를 측면에서 들 수 있도록 파지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 단부에 구비되고 제1결합부(16)에 접합되는 제1접합부(21),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제2결합부(17)에 접합되는 제2접합부(22), 그리고 중앙에 구비된 파지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합부(21)는 상기한 제1실링부(14)에 형성된 제1결합부(16)에 접합되는 부분이고, 제2접합부(22)는 상기한 제2실링부(15)에 형성된 제2결합부(17)에 접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파지부(23)는 추후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파지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에서, 몸체(1)에 손잡이(2)를 부착하는 방식은 열접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포장봉투는 손잡이(2)를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 접합만으로 몸체(1)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착제의 흐름으로 인한 마감 불량 문제, 특히 식품 포장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의 성분에 따른 유독성 문제, 접착제 도포에 따른 고속 자동화 불가 문제 등, 접착제를 사용함에 따른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몸체(1)의 결합부에 손잡이(2)의 접합부를 접합하는 과정은 전면지(11), 후면지(12), 측면지(13)를 접합하여 몸체(1)를 구성한 후 결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제조 편의성을 고려할 때, 손잡이(2)의 접합과 측면지(13)의 실링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결합부는 실링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결합부(16)(17)는 각각 제1 및 제2실링부(14)(15)에 형성된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결합부에서 접합부는 전면지(11) 측에 밀착된 부분과 측면지(13) 측에 밀착된 부분이 결합부를 통해 상호 접합되어 몸체(1)에 접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에서, 일반적인 포장봉투용 소재는 내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고 실링부를 접합하는데, 포장봉투의 외면은 코로나 처리가 되지 않아서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본 포장봉투는 구멍으로 형성된 결합부를 통해 손잡이용 시트(20)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열 접합을 통해 상호 접합되는 형태로 몸체(1)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손잡이(2)는 한 장의 시트(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복잡한 결합구조나 추가적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잡이(2)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손잡이(2)를 구성하는 시트(20)는 열가소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명하게도 실링부를 가열하는 온도에서 일부 용융될 수 있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제1 및 제2결합부(16)(17)는 장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반적인 원형공에 비해 장공은 접합 부위를 보다 넓게 구성되도록 하며, 결합 안정성 및 내구성 강화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며, 장공의 길이는 작아도 각 장공 간의 거리보다는 길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본 포장봉투의 제조 방법(본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방법은 크게 결합부 형성단계(S1), 손잡이용 시트 삽입 단계(S2), 시트 부착 단계(S3)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방법은 포장봉투를 형성하는 다양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은 포장봉투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참고할 수 있으며, 공지된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방법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상기한 본 포장봉투의 특징 및 효과는 본 방법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생략된 부분은 상기 설명을 참고하는 것으로 한다.
각 단계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결합부 형성단계(S1)는 전면지(11)와 측면지(13), 그리고 후면지(12)와 측면지(13)의 접합부위 각각에 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로, 결합부는 장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레스 가공을 통해 펀칭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결합부는 전면지(11), 후면지(12), 측면지(13)를 접합하여 몸체(1)를 구성한 후 결합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제조 편의성을 고려할 때, 전면지(11), 후면지(12) 및 측면지(13) 각각에 미리 결합부를 형성한 상태로 각 지를 포갠 상태에서 실링부 형성과 동시에 손잡이(2)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손잡이용 시트 삽입 단계(S2)는 접혀진 측면지(13)와 포개지도록 손잡이용 시트(20)를 전면지(11)와 후면지(12)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로, 상기에서 측면지(13)는 중앙에 접힘부(130)가 구비되어 접힘부(130)를 기준으로 일 측은 전면지(11)와 타 측은 후면지(12)와 접합되어 실링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러한 측면지(13)의 접힘부(130)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용 시트(20)는 측면지(13)와 포개지도록 전면지(11)와 후면지(12)의 사이에 삽입되는데, 손잡이용 시트(20)는 마찬가지로 중앙에 접이선(24)을 구비하며, 이 접이선(24)과 측면지(13)의 접힘부(130)가 포개지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이 때 손잡이용 시트(20)는 제1 및 제2실링부(14)(15)의 단부에서 다시 한 번 더 접혀 일부분이 전면지(11) 측으로 밀착되도록 하며, 반대편에서는 일부분이 후면지(12) 측으로 밀착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본 포장봉투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는 손잡이용 시트(20)에 접이선(24)을 형성하기 위한 폴더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손잡이용 시트 삽입 단계(S2) 이전에 폴더에 의해 손잡이용 시트(20)에 접이선(24)이 형성되는 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 부착 단계(S3)는 손잡이용 시트(20)의 접합부를 결합부에 접합하여 손잡이용 시트(20)를 몸체(1)에 부착하는 단계로,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는 장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장공을 통해 전면지(11) 측에 밀착된 부분과 측면지(13) 측에 밀착된 부분이 상호 접합되어 제1접합부(2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편에서는 후면지(12) 측에 밀착된 부분과 측면지(13) 측에 밀착된 부분이 상호 접합되어 제2접합부(22)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2)는 중앙의 접이선(24)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파지공이 겹쳐져 파지부(23)를 구성하게 된다. 도 5에서는 한 쌍의 파지공이 겹쳐지면서 파지부(23)를 구성한 실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방법에 따르면, 포장봉투에 손잡이(2)를 구비할 때, 접착제를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손잡이(2) 별도로 수작업을 통해 구비하지 않고 자동화 장비를 통해 포장봉투를 생산할 때 공정으로서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 자동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와는 현저하게 차별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몸체
11: 전면지 12: 후면지
13: 측면지 130: 접힘부
14: 제1실링부 15: 제2실링부
16: 제1결합부 17: 제2결합부
2: 손잡이
20: 손잡이용 시트 21: 제1접합부
22: 제2접합부 23: 파지부
24: 접이선

Claims (4)

  1. 전면지와 후면지가 측면지에 의해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 및 일 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지와 상기 측면지의 접합 부위인 제1실링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후면지와 상기 측면지의 접합 부위인 제2실링부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일 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 접합되는 제1접합부,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 접합되는 제2접합부 및 중앙에 구비된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한 장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실링부에 형성된 장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접합부는 상기 전면지 측에 밀착된 부분과 상기 측면지 측에 밀착된 부분이 상기 장공을 통해 상호 접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2. 청구항 1에 기재된 포장봉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면지와 측면지, 상기 후면지와 측면지의 접합부위 각각에 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접혀진 측면지와 포개지도록 손잡이용 시트를 상기 전면지와 상기 후면지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손잡이용 시트의 접합부를 상기 결합부에 접합하여 손잡이용 시트를 상기 몸체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장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전면지 측에 밀착된 부분과 상기 측면지 측에 밀착된 부분이 상기 장공을 통해 상호 접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중앙의 접이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파지공이 겹쳐져 파지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투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220016275A 2022-02-08 2022-02-08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봉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275A KR102439170B1 (ko) 2022-02-08 2022-02-08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봉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275A KR102439170B1 (ko) 2022-02-08 2022-02-08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봉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170B1 true KR102439170B1 (ko) 2022-09-01

Family

ID=8328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275A KR102439170B1 (ko) 2022-02-08 2022-02-08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봉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1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4451A (ja) * 1986-08-02 1988-02-25 エム ウ− ベ− フェアパックンゲン ミルデンベルガ− ウ− ビリング ゲ−・エム・ベ−・ハ− ウント コ− カ−・ゲ− 持ち運び可能な包装袋とその製造方法
EP2039620A1 (de) * 2007-09-19 2009-03-25 Nordenia Deutschland Halle GmbH Seitenfaltenbeutel
JP2016055916A (ja) * 2014-09-12 2016-04-21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KR102180125B1 (ko) * 2019-03-11 2020-11-17 이상현 포장용 종이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4451A (ja) * 1986-08-02 1988-02-25 エム ウ− ベ− フェアパックンゲン ミルデンベルガ− ウ− ビリング ゲ−・エム・ベ−・ハ− ウント コ− カ−・ゲ− 持ち運び可能な包装袋とその製造方法
EP2039620A1 (de) * 2007-09-19 2009-03-25 Nordenia Deutschland Halle GmbH Seitenfaltenbeutel
JP2016055916A (ja) * 2014-09-12 2016-04-21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KR102180125B1 (ko) * 2019-03-11 2020-11-17 이상현 포장용 종이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67683B2 (ko)
CA2563857C (en) Process for assembling a bag
US6733804B1 (en) Multi-chambered infusion bag, especially for tea
KR102439170B1 (ko) 손잡이가 구비된 포장봉투 및 그 제조 방법
CN101687593B (zh) 用于浸泡产品的单叶过滤袋
KR101114236B1 (ko) 접이식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CN109592169A (zh) 折叠套装式透明包装盒及其烫合折叠方法
US2328017A (en)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1016599B1 (en) Two-lobed filter bag for products for infusi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775096A (en) Packing container with openable seal-weakened top closure
JP4129265B2 (ja) スプーンが付着された一回用紙コップ
TWI250115B (en) A filter bag for containing a substance for infusion with the gathered thread attached to the pick up tag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bag
CN201426604Y (zh) 具有折叠手柄的纸杯
CN106061332A (zh) 折叠式杯子
US6389781B1 (en) Two-lobed filter bag for products for infusion
JP5998530B2 (ja) 複合容器
CN217995316U (zh) 一种用于手提袋加工成型的扩容式结构及扩容式手提袋
CN210391896U (zh) 一种多功能即用型蛋糕盒
KR200379609Y1 (ko) 빨대포장지
JP2015077984A (ja) 四面体状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M608706U (zh) 攜帶式附內容物紙杯
CN103043317A (zh) 多功能包装袋及其制备方法
JP3188561U (ja) 底貼り袋
JP2022019543A (ja) ドリッパーとその製造方法
CN213324738U (zh) 一种内置立体纸人的防盗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