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756B1 -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756B1
KR102438756B1 KR1020210094840A KR20210094840A KR102438756B1 KR 102438756 B1 KR102438756 B1 KR 102438756B1 KR 1020210094840 A KR1020210094840 A KR 1020210094840A KR 20210094840 A KR20210094840 A KR 20210094840A KR 102438756 B1 KR102438756 B1 KR 102438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om
work
produc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수 filed Critical 김희수
Priority to KR102021009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o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숙련된 작업능력이나 기술, 혹은 생산공정별 전문인력 등의 투입을 필요로함 없이도 섬유제조에 필요한 공장관리, 예컨대 섬유생산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확인하고, 점검하고, 수집분석해야 하는 일련의 관리정보를 전용화 프로그램으로 구축된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취합하고, 취합된 정보분석을 통해 각공정별 라인으로 구축된 설비들을 중앙집중 통제방식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가능하게 함으로써, 혁신성과 편리성, 그리고 생산효율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동일 제조직군 그룹으로 배치된 직기와, 직기의 작업정보를 수집 기록하여 저장하는 직기정보 컨트롤러와, 직기정보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받은 직기의 작업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다음 교대 작업자에게 지시할 작업내용을 입력 저장하는 이동관리서버와, 이동관리서버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전송받는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실행되는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Textile Fabric Integrated Manufacturing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섬유원단의 생산 및 마케팅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하게는 섬유 생산현장의 관리, 예컨대, 생산정보관리, 품질정보관리, 교대작업현황정보관리, 불량현황정보관리, 로트이력정보관리, 설비현황정보관리, 생산성분석정보관리, 마케팅관리 등 섬유생산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확인 점검 및 수집분석해야 하는 일련의 관리정보를 공장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으로 취합하고, 취합된 정보분석을 통해 각공정라인으로 구축된 설비(직기)들을 중앙집중 통제방식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하여 별도 생산공정별 전문인력의 투입을 필요함 없이도 섬유 생산현장의 공장관리를 혁신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산관리를 뜻하는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시스템은, 제품주문에 의한 착수에서부터 완성제품의 품질검사에 이르기까지 전 생산활동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 수단으로, 이는 생산 현장의 각종 정보, 예컨대 생산실적, 작업자의 활동, 설비가동, 제품의 품질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분석,모니터링 하여 고품질의 수익 지향적 생산체계를 갖추도록 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즉, MES시스템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의 효율화는 물론 정확한 납기, 재고의 순환, 전체적 순이익, 자금 흐름의 능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에 의해 개발된 것이며, 이러한 MES시스템은 비록 도입하고자 하는 산업분야별 특성과 요구에 따라 그 구축되는 세부내용 및 방식적 측면에 있어 일부 차이가 있는 것이기는 하나, 실제 업무에 적용된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볼 때 그 결과는 모두 높은 효과가 있음이 입증된 사실이다.
일예로, 직물원단을 직조 생산하는 섬유산업 분야를 특정하여 살펴봄에 있어서 또한, 공장 효율의 향상, 직물의 품질확보, 에너지 절약, 생력화, 제품의 납기, 고부가 소량 다품종 생산 등에 관련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사안들이 요구되는 실정인바, 따라서 직물을 생산하는 섬유산업 분야에 있어서 역시, 복잡 다양한 직조 생산공정을 효율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영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속대응방식(QuickRespons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및 시도되고 있음이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라 할 수 있다.
이에, 근래에는 섬유생산공장을 구축함에 있어, 그들 공장에 설비되는 직조장치들의 다양한 정보를 취합 관리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직조장치의 작동설정과 가동상황. 생산정보. 고장발생 등에 관련한 일련의 정보를 디지털 화면으로 식별 확인할 수 있도한 제어컴퓨터가 도입 이용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 섬유생산공장에 도입된 제어컴퓨터는 각 직기장치에 개별구성으로 설치된 상태하에, 그들 각 직기장치의 운용상태와 그에 따른 생산현황 등을 단지 개별적 정보로 표시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일뿐, 이들 정보를 통합적으로 자동취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은 전혀 기대할 수 없는 것인바, 따라서 다양한 공정별 내지 다수의 구성으로 배치된 직기장치들의 정보를 총괄하여 관리하기 위해서는 그들 각 직기장치들의 개별 정보를 확인 취합하고, 취합된 정보를 검토 분석하며, 분석된 정보에 의해 각 직기장치의 운용과 생산현황을 직관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 예컨대 전문 노동인력을 공장내에 필수적으로 상주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섬유생산을 위해 구축되는 직기장치는 직물의 대량생산을 위핸 통상 수 십대에서 수 백대에 이르는 집단 설비형태로 운용되는 특성을 갖는 것인바, 따라서 동일한 직군에 속하는 직기장치들을 동시에 가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들 직기장치의 가동조건이 모두 동일함으로 인해 집중제어가 가능하다 하겠으나, 이러한 집중제어방식은 단지 대량 직물생산에 적합한 것일뿐 다품목 소량의 직물생산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는 적용이 불가한 제한적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다품목 소량의 직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공장내 설비된 직기장치에 있어 그들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직기장치의 종류와 직군을 선정 분류하고, 품목별로 작업을 분배하며, 아울러 작업수준에 맞는 작업자 그룹의 배정과 제품납기 등에 관련한 정보를 세부적으로 조정 관리해야 하는 등 공장의 환경이나 장치, 그리고, 작업인력이 수시로 변동될 수 밖에 없음이 그 이유라 하겠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 있어서는 각 직기장치에 직기컨트롤러(모니터링 시스템)를 장착하고, 그 직기컨트롤러에 의해 모니터렁된 데이터를 공정단말기에 의해 수집하여 각 직기장치들의 작업조회, 공정현황. 생산실적. 불량발생 등에 관한 정보를 등록 관리하며, 등록 관리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휴대용컴퓨터(PDA) 또는 현장 PC를 통해 수집하는 방식이 이용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고가의 장비구성으로 인해 시스템 구축에 따른 설비 비용이 과다 소모되고, 복잡한 데이터 전송 및 그에 따른 운용 제어방식에 의해 시스템에 오류 내지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더 나아가 시스템의 오류 내지 고장을 수리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전문인력과 과다한 수리기간이 필요함으로 상당한 경제성 및 취급성 저하의 문제점이 상존하는 폐단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763097호 (2017.07.24.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25910호 (2004.03.23.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섬유원단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숙련된 작업능력이나 기술, 혹은 생산공정별 전문인력 등의 투입을 필요로함 없이도 섬유 제조에 필요한 공장관리, 예컨대 생산정보관리, 품질정보관리, 교대작업현황정보관리, 불량현황정보관리, 로트이력정보관리, 설비현황정보관리, 생산성분석정보관리, 마케팅관리 등 섬유생산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확인하고, 점검하고, 수집분석해야 하는 일련의 관리정보를 전용화 프로그램으로 구축된 시스템의해 자동으로 취합하고, 취합된 정보분석을 통해 각공정별 라인으로 구축된 설비들을 중앙집중 통제방식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가능하게 함으로써, 혁신성과 편리성, 그리고 생산효율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의 연속성을 기본 필수요건으로 하는 섬유 생산공정에 있어, 그 섬유 생산공정에 투입되는 생산자의 작업이력, 예컨대 생산자명, 작업시간, 작업량, 품질이상유무, 직기 이상유무 등에 관한 정보를 전용 어플리케이션구성에 의해 수집하여 생산되는 섬유의 품질 및 직기의 가동상태를 실시간 점검 체크하고, 점검 체크된 현 생산자의 작업이력정보와 함께 추가 지시가 필요한 작업정보를 다음 생산교대자에게 비대면 전달방식, 예컨대 작업안내 스마트단말을 통해 실시간 전달함으로써, 생산자 교대과정에시 야기되는 불필요한 인수인계 시간을 원천 배제하고, 특히 단절없는 작업정보전달의 신속성과 연속성 유지에 따라 생산되는 섬유의 품질 및 그 섬유를 생산하는 직기의 가동효율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동일 제조직군의 그룹으로 배치된 직기와;,
상기 직기와 근거리 이동통신망에 의해 무선연결되며 그들 직기의 작업정보를 실시간 수집 기록하여 저장하는 직기정보 컨트롤러와;
상기 직기정보 컨트롤러로부터 작업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직기의 작업정보를 취합 분석하여 다음 교대 작업자에게 지시할 작업내용을 데이터베이스로 입력 저장하는 이동관리서버;
상기 작업현황 통합 이동관리서버에 데이터베이스로 편집 기록된 작업지시 정보를 전송받는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
상기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작업안내 스마트단말로 구축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은, 생산정보관리, 품질정보관리, 교대작업현황정보관리, 불량현황정보관리, 로트이력정보관리, 설비현황정보관리, 생산성분석정보관리, 마케팅관리 등 섬유생산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확인 점검 및 수집분석해야 하는 일련의 섬유 생산현장의 공장관리를 전용화 프로그램으로 구축된 시스템에 의해 자동 취합하고, 그들 취합된 정보분석을 통해 각공정라인으로 구축된 설비(직기)들을 중앙집중 통제방식에 의해 통합 제어가능한 것으로, 이는 섬유생산관리의 혁신성과 편리성, 그리고 생산효율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은, 섬유 생산공정에 투입되는 생산자의 작업이력정보를 전용 어플리케이션 구성에 의해 통합 수집하여 생산되는 섬유의 품질 및 그 섬유를 생산하는 직기의 가동상태를 실시간 점검 체크하고, 점검 체크된 현 생산자의 작업이력정보와 함께 추가 지시가 필요한 작업정보를 비대면 정보전달수단, 예컨대 작업안내 스마트단말을 통해 다음 생산교대자에게 실시간 전달하여 생산자 교대과정에시 야기되는 불필요한 인수인계 시간을 원천 배제시키고, 특히 단절없는 작업정보 전달의 신속성과 연속성 유지에 따라 생산되는 섬유의 품질 및 그 섬유를 생산하는 직기의 가동효율을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 관리되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의 개념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직기정보 컨트롤러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의 블럭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의 블럭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기(1)와, 직기정보 컨트롤러(2)와,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와,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과, 작업안내 스마트단말(5)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직기(1)는 경사와 위사 2계열의 실을 사용하용 개구, 위입, 바디질 등의 동작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천의 경사방향으로 연속된 직물을 짜는 주지된 기능구성의 직물기계를 의미하는 것인바, 이와 같은, 직기(1)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동일 제조직군의 직기, 예컨대, 면직기, 마직기, 모직기, 견직기 등과 같이 제조되는 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 통상의 직기에 있어, 동일 작업을 수행하는 직기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복수개 이상의 수량 구성으로 배치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개의 수량 구성으로 이루며 동일 그룹으로 배치되는 각 직기에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는 고유의 식별번호, 예컨대 직기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직기정보 컨트롤러(2)는, 전술한 동일 제조직군의 각 직기(1)에 개별구성으로 부착 설치되고, 근거리 이동통신망, 예컨대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통신망에 의해 그들 직기와 무선연결된 상태하에 그들 직기의 작업정보를 실시간 수집 기록하여 저장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직기정보 컨트롤러(2)는 교대 작업자, 예컨대, 직물제조작업을 차례에 따라 번갈아가며 행할수 있도록 일정 범위로 작업시간을 구분해 놓은 각 작업자의 이름과 작업시간, 작업직군(작업그릅), 그리고 직기의 고유식별번호와 생산품번(제조 생산되는 직물의 제품명을 확인할수 있도록 부여된 고유번호)을 입력 저장하는 생산자 정보기록부(21)를 형성하고,
상기 교대 작업자가 주어진 교대 작업시간 범위내에 직기(1)를 이용하여 행한 일련의 제조 작업정보, 예컨대 직물의 총 생산량과, 양품량(정상제조제품)과, 불량품량을 자동 센싱작용에 의해 실시간 체크 감지하여 모니터링정보로 기록 저장하는 개별생산정보 감지기록부(22)를 형성하며;
상기 교대 작업자가 주어진 교대 작업시간 범위내에 운전한 직기(1)의 가동상태정보, 예컨대 직기의 구동회전수(RPM) 변화량, 직기의 가동온도 변화량, 작업중 직기의 정지발생유무 등을 자동 센싱작용에 의해 실시간 체크 감지하여 모니터링 정보로 기록 저장하는 개별직기상태 감지기록부(23)를 형성하고;
상기 개별생산정보 감지기록부(22)와, 개별직기상태 감지기록부(23)에 입력 저장된 정보, 예컨대 직기의 제조 작업정보와 직기의 가동상태정보를 취합하여 후술하는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로 전송하는 작업정보 전송부(24)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는, 전술한 직기정보 컨트롤러(2)로부터 수집 기록된 각 직기(1)의 정보, 예컨대 직기(1)의 제조 작업정보와 직기의 가동상태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직기(1)의 제조 작업정보와 직기의 가동상태정보를 취합하여 확인 점검 및 분석하며,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다음 교대 작업자에게 지시할 작업내용과 함께 파약해야할 문제점 내지 마케팅관련 내용을 부가적인 소통정보로 입력 편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기록 저장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기정보 컨트롤러(2)로부터 전송받은 직기의 제조 작업정보와 직기의 가동상태정보를 취합하여 확인 점검 및 분석하기 위한 특화된 형태의 이용프로그램, 예컨대, 본 발명에 전용적으로 사용되는 통합 생산관리 어플리케이션(31)을 설치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로 설치되는 상기 통합 생산관리 어플리케이션(31)은, 섬유원단(직물원단) 생산의뢰자로 부터 수주받은 일련의 섬유(직물)생산정보, 예컨대 직물원단(섬유원단)의 종류(디자인), 품명, 총 목표생산량, 생산마감기일(납품일) 등의 정보와 함께, 그 섬유제조에 사용되는 직군별 직기정보, 그리고 각 직군별 직기에 투입되는 교대 작업자정보의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생산계획 관리부(311)를 형성하고;
전술한 직기정보 컨트롤러(2)로부터 직군별 직기의 제조 작업정보와 직기의 가동상태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작업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관리하는 직기정보 통합수신부(312)를 형성하며;
상기 직기정보 통합수신부(312)로 수신된 직기의 정보 중, 취합된 직기의 제조 작업정보를 추출 분석하여 직군별 직기, 예컨대 동일 그룹내에 속하는 모든 직기에 의해 제조된 직물의 생산총량과, 생산총량에 대한 양품량(정상제품)과, 생산총량에 대한 불량품량을 산출하여 기록 관리하는 통합생산량 연산처리부(313)를 형성하고;
상기 직기정보 통합수신부(312)로 수신된 작업정보 중, 취합된 각 직기의 가동상태정보를 추출 분석하여 직군별 직기, 예컨대 동일 그룹내에 속하는 모든 직기에 대한 이상유무를 판독하고, 그 판독결과로써 정상으로 가동되는 직기와 점검대상직기, 예컨대 수리 또는 부품의 교환 등을 요하는 직기로 그 정보목록을 분류하여 기록 관리하는 직기상태 판독처리부(314)를 형성하며;
상기 통합생산량 연산처리부(313)를 통해 산출 기록된 직물의 생산총량을 상기 생산계획 관리부(311)에 입력된 목표 생산량과 대비 연산처리하여 미달성생산량 정보, 예컨대 생산의뢰자로 부터 수주받은 섬유원단(직물원단)의 총 목표생산량중 남아 있는 섬유원단(직물원단)의 수량을 산출하고, 아울러, 상기 직기상태 판독처리부(314)를 통해 분류 기록된 정상가동직기의 수량정보와, 상기 미달성생산량 정보를 대비 연산처리하여 그 미달성된 생산량을 맞추기 위해 정상가동이 가능한 직기별로 할당해야 할 직물의 생산분배량을 산출하는 생산분배정보 연산처리부(315)를 형성하고;
상기 생산분배정보 연산처리부(315)를 통해 산출된 생산분배량 정보를 기준으로하여 각 직기별 다음 작업자에게 지시할 연속적 교대 작업정보, 예컨대 직물원단의 총 목표생산량을 맞추기 위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작업정보와 함께 추가적인 신규 작업지시정보, 예컨대 연속작업시 지켜야할 주의사항 또는 작업진행시 점검하거나 수정해야 하는 등의 전달사항을 입력 편집하여 후술하는 작업안내 스마트단말(5), 즉 그 작업안내 스마트단말(5)로 설치된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으로 전송하는 비대면 작업지시부(316)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다르게, 전술한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합 생산관리 어플리케이션(31)에 있어 상기 생산계획 관리부(311)는, 섬유생산공장내에 설비된 직군별 직기(1)의 번호, 예컨대 동일 그룹으로 배치되고 그 배치된 직기에 육안 확인이 가능하도록 부여한 고유의 개별 식별번호와 일치되는 직기번호를 입력 저장하고, 그와 같이 개별 식별번호로 입력된 직기(1)의 사양과 사용이력, 예컨대 직기의 명칭과 용도, 제조년도, 수리 및 점검횟수 등의 정보와 함께 그 직기를 통해 제조할 수 있는 직물 생산품목 등의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직기통합 관리모드(311-1)를 더 형성하고;
직물생산공정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정보를 근무연수 또는 작업경력 등과 같은 기술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숙련자 그룹과 비숙련자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류된 작업자의 숙련도 정보를 토대로 그들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난이도별 직물 생산품목 공정을 매칭시키며, 매칭된 데이터를 직물 제조에 필요한 인력정보, 예컨대, 직물 생산작업 배치 계획정보로 입력 관리하는 작업배치 관리모드(311-2)를 더 형성하며;
여기에 더하여, 직물제조에 사용되는 원사를 종류와 색상별 구분, 예컨대, 일반 섬유산업에 표준으로 사용하는 컬러코드(CMYK. PANTONE. RGB 등의)를 기반으로 원사의 컬러이미지를 분류하여 직물생산 의뢰자 및 작업자가 모두가 열람 선택 사용할 수 있는 전자컬러북 형태의 파일정보로 저장하고, 제조되는 직물디자인에 종속되는 배색(Color Way)정보를 샘플이미지 정보로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원사 컬러이미지 정보와 직물디자인의 배색 샘플이미지 정보를 선택적으로 불러오기 하여 섬유원단(직물원단) 생산 의뢰자로 하여금 필요로하는 직물의 디지인과 색상을 조합하게 하거나, 디자인에 어울리는 배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선택된 색상과 디자인을 병합시킨 시뮬레이션 정보, 예컨대, 디자인과 색상의 조합으로 직관적인 배색표를 구성하는 관리모드(311-3)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은, 전술한 작업현황 통합 이동관리서버(3)로부터 데이터베이스로 편집 기록된 작업지시 정보를 전송받기 위해 마련되는 일종의 전용 프로그램 구성인바, 이와 같은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소속부서와 직위, 이름, 그리고, 작업자의 소속 회사에서 발급받은 고유 사원식별코드를 입력하여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하는 로그인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에 로그인한 상태하에 해당 작업자 자신의 근무일자와, 근무시간, 작업량정보를 누적된 정보, 예컨대 일,월,년 단위로 삭제되지 않고 누적 기록되는 방식으로 입력하여 저장 관리하는 사원근무일지 기록부(42)를 형성하며;
작업자 자신이 교대 작업하는 직기(1)를 대상으로, 그 직기(1)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그 직기의 사양과 이력정보를 디스플레이 정보로 출력 제공하는 직기정보 제공부(43)를 형성하고;
전술한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로부터 작업 지시정보를 실시간 수신받고, 수신받은 작업 지시정보를 열람하여 숙지하는 작업지시정보 확인부(44)를 형성하며;
상기 로그인부(41)와, 사원근무일지 기록부(42)와, 직기정보 제공부(43)와, 작업지시정보 확인부(44)를 형성한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을 후술하는 작업안내 스마트단말(5)에 프로그램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작업안내 스마트단말(5)은, 전술한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을 설치하고, 설치된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전술한 작업현황 통합 이동관리서버(3)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지시 정보를 수신받아 열람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작업안내 스마트단말(5)은 일반 스마트폰, 테블릿PC 등과 같이 이동통신 가능한 작업자 소유의 스마트기기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은, 동일 제조직군 그룹으로 배치된 각 직기(1)를 근거리 이동통신망에 의해 직기정보 컨트롤러(2)와 무선연결하여 그들 직기(1)의 제조 작업정보와 가동상태정보를 수집 기록하고;
상기 직기정보 컨트롤러(2)에 의해 수집 기록된 각 직기(1)의 제조 작업정보와 가동상태정보를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로 전송하여, 그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로 하여금 전송받은 직기의 제조 작업정보와 가동상태정보를 확인 점검 및 분석하게 함과 동시에 그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다음 교대 작업자에게 지시할 작업내용을 입력 편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기록 저장하며;
이후, 상기 작업현황 통합 이동관리서버(3)에 데이터베이스로 편집 기록된 작업지시 정보를 작업안내 스마트단말(5)로 설치된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수신받아 섬유원단(직물원단)의 제조작업을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을 구현한다.
1 : 직기 2 : 직기정보 컨트롤러
3 :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 4 :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
5 : 작업안내 스마트단말 21 : 생산자 정보기록부
22 : 개별생산정보 감지기록부 23 : 개별직기상태 감지기록부
24 : 작업정보 전송부 31 : 통합생산관리 어플리케이션
41 : 로그인부 42 : 사원근무일지 기록부
43 : 직기정보 제공부 44 : 작업지시정보 확인부
311 : 생산계획 관리부 312 : 직기정보 통합수신부
313 : 통합 생산량 연산처리부 314 : 직기상태 판독처리부
315 : 생산분배정보 연산처리부 316 : 비대면 작업지시부

Claims (5)

  1. 동일 제조직군의 그룹으로 배치된 복수대 이상의 직기(1)와;
    상기 동일 제조직군 그룹으로 배치된 각 직기(1)와 근거리 이동통신망에 의해 무선연결되며 그들 직기(1)의 작업정보를 실시간 수집 기록하여 저장하는 직기정보 컨트롤러(2)와;
    상기 직기정보 컨트롤러(2)로부터 수집 기록된 각 직기(1)의 제조작업정보와 직기의 가동상태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직기(1) 정보를 취합하여 확인 점검 및 분석하며, 그 확인 점검 및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다음 교대 작업자에게 지시할 작업내용을 입력 편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기록 저장하는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와;
    상기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에 데이터베이스로 편집 기록된 작업지시 정보를 전송받는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과;
    상기 전송받은 작업지시 정보를 작업자가 실시간 열람 확인 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을 설치하고, 설치된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3)을 실행하는 작업안내 스마트단말(5)을 더 포함하여 구축되는 섬유원단 관리시스템 있어서;
    상기 직기정보 컨트롤러(2)는, 교대별 작업자의 이름과 작업시간, 작업직군, 그리고 직기의 식별번호와 생산품번을 입력 저장하는 생산자 정보기록부(21)와; 교대 작업시간 범위내 제조된 직물의 생산량과, 양품량과, 불량품량을 실시간 모니터링정보로 기록 저장하는 개별생산정보 감지기록부(22)와; 교대 작업시간 범위내 직기의 가동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로 기록 저장하는 개별직기상태 감지기록부(23)와; 상기 생산자 정보기록부(21)와, 개별생산정보 감지기록부(22)와, 개별직기상태 감지기록부(23)에 입력 저장된 정보를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로 전송하는 작업정보 전송부(24)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는, 직기정보 컨트롤러(2)로부터 전송받은 직기의 제조작업정보와 직기의 가동상태정보를 취합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다음 교대 작업자에게 지시할 작업내용을 입력 편집하는 통합 생산관리 어플리케이션(31)을 더 설치 형성하되;
    상기 통합 생산관리 어플리케이션(31)은, 직물의 총 목표생산량, 생산마감기일, 직군별 직기정보, 교대 작업자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생산계획 관리부(311)와; 직기정보 컨트롤러(2)로부터 직군별 직기의 제조작업정보와 가동상태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작업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관리하는 직기정보 통합수신부(312)와; 상기 직기정보 통합수신부(312)로 수신된 작업정보 중 취합된 각 직기의 제조작업정보를 추출 분석하여 직군별 직기의 생산총량과, 생산총량에 대한 양품량과, 생산총량에 대한 불량품량을 산출하여 기록 관리하는 통합생산량 연산처리부(313)와; 상기 직기정보 통합수신부(312)로 수신된 작업정보 중 취합된 각 직기의 가동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유무를 판독하고 그 판독결과로서 정상가동 직기와 점검대상직기로 그 정보목록을 분류하여 기록 관리하는 직기상태 판독처리부(314)와; 상기 통합생산량 연산처리부(313)를 통해 산출 기록된 직물의 생산총량을 생산계획 관리부(311)에 입력된 목표 생산량과 대비 연산처리하여 미달성생산량 정보를 산출하고, 직기상태 판독처리부(314)를 통해 분류 기록된 정상가동직기의 수량정보 및 상기 미달성생산량 정보를 대비 연산처리하여 정상가동 직기별로 할당해야 할 직물의 생산분배량을 산출하는 생산분배정보 연산처리부(315)와; 상기 생산분배정보 연산처리부(315)를 통해 산출된 생산분배량 정보를 기준으로하여 직기별 다음 작업자에게 지시할 연속적 교대 작업정보와, 작업시 파약해야할 문제점정보와, 파악해야할 마케팅정보를 입력 편집하여 작업안내 스마트단말(5)로 설치된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으로 전송하는 비대면 작업지시부(316)로 형성되고;
    상기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은, 작업자의 소속부서와 직위, 이름, 그리고, 회사에서 발급받은 고유 사원식별코드를 입력하여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을 실행하게 하는 로그인부(41)와; 상기 작업관리 어플리케이션(4)에 로그인한 상태하에 근무일자와, 근무시간, 작업량정보를 누적 정보로 입력하여 저장 관리하는 사원근무일지 기록부(42)와; 작업할 직기에 부여된 직기고유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그 직기의 사양정보를 디스플레이 정보로 출력 제공하는 직기정보 제공부(43)와; 작업현황 이동관리서버(3)로부터 작업 지시정보를 실시간 수신받고, 수신받은 작업 지시정보를 열람하여 숙지하는 작업지시정보 확인부(44)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생산관리 어플리케이션(31)으로 마련된 생산계획 관리부(311)는, 섬유생산공장내에 설비된 직군별 직기(1)에 고유의 개별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개별 식별번호가 부여된 직기(1)의 사양과 사용이력, 그리고 적용되는 생산품목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직기통합 관리모드(311-1)와;
    직물생산공정에 투입되는 작업자를 기술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숙련자 그룹과 비숙련자 그룹으로 분류 저장하고, 분류된 작업자의 숙련도 정보를 토대로 그들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난이도별 직물 생산품목 공정을 매칭시키며, 매칭된 데이터를 작업배치 계획정보로 입력 관리하는 작업배치 관리모드(311-2);
    직물제조에 사용되는 원사를 종류와 색상별 구분으로 분류하여 전자컬러북 파일정보로 저장하고, 제조되는 직물디자인과 그에 종속되는 배색을 샘플이미지로 정보로 저장하여 직물생산 의뢰자로 하여금 직물의 색상과 디자인을 선택하게 하며, 선택된 직물의 색상과 디자인을 병합된 시뮬레이션 정보로 자동 편집하여 디스플레이 정보로 출력하는 직물색상디자인 관리모드(311-3)를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

KR1020210094840A 2021-07-20 2021-07-20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 KR102438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40A KR102438756B1 (ko) 2021-07-20 2021-07-20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840A KR102438756B1 (ko) 2021-07-20 2021-07-20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756B1 true KR102438756B1 (ko) 2022-08-30

Family

ID=8311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840A KR102438756B1 (ko) 2021-07-20 2021-07-20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7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0692A (ja) * 1993-12-28 1995-08-04 Fuji Elelctrochem Co Ltd 物量把握装置
KR100425910B1 (ko) 2001-07-12 2004-04-03 최영휘 품질 관리 및 생산성 관리를 이용하여 원가 관리를 수행할수 있는 전사적 자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63097B1 (ko) 2017-01-02 2017-08-03 김희수 섬유원단 통합 경영관리시스템
KR20170101338A (ko) * 2016-02-26 2017-09-06 주식회사 이화글로텍 섬유가공기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20160723A (ja) * 2019-03-26 2020-10-01 東京瓦斯株式会社 管理制御システム及び管理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0692A (ja) * 1993-12-28 1995-08-04 Fuji Elelctrochem Co Ltd 物量把握装置
KR100425910B1 (ko) 2001-07-12 2004-04-03 최영휘 품질 관리 및 생산성 관리를 이용하여 원가 관리를 수행할수 있는 전사적 자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01338A (ko) * 2016-02-26 2017-09-06 주식회사 이화글로텍 섬유가공기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63097B1 (ko) 2017-01-02 2017-08-03 김희수 섬유원단 통합 경영관리시스템
JP2020160723A (ja) * 2019-03-26 2020-10-01 東京瓦斯株式会社 管理制御システム及び管理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annone et al. Managing OEE to optimize factory performance
CN106672704B (zh) 纤维机械管理系统、管理装置以及便携式终端
US7505873B2 (en) Customer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customer support
US20200027339A1 (en) Method and System of Predictive Maintenance of a Textile Machine
CN108229782A (zh) 一种基于云的可视化生产管理平台
JP6944097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及び生産管理方法
KR102438756B1 (ko) 섬유원단 통합 제조 생산관리시스템
KR20200125298A (ko) 운영방식을 개선시킨 직물원단 통합 경영관리시스템
Thakur et al.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Mohammed et al. A holistic approach for selecting appropriate manufacturing shop floor KPIs
EP3696637A1 (en) Textile machi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489119B1 (ko) 스마트 고장형태 영향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정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1304A (ko) 센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생산설비 관리 시스템
KR102298770B1 (ko) 스마트공정관리시스템 및 스마트공정관리방법
EP4355940A1 (en) Device and method for enabling displaying on a user display an operational readiness index related to a spinning mill
KR20220165147A (ko) 현장 작업자를 위한 ai 기반의 최적 작업 지원 시스템
KR20210115917A (ko) 스마트제조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 FOMs 패키지 및 그 방법
Arikan Developing an intelligent automation and reporting system for fabric inspection machines
US6871326B1 (en) Def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00072069A (ko) 모터 정보 기반 로봇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JP7493390B2 (ja) 監視システム
TRANKOV et 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QUALITY CONTROL OF TEXTILE FIBER MANUFACTURING
Malik Wireless Data Collection: Stop Chasing Reliability Data.
BAYU APPLICATION OF DMAIC OF SIX SIGMA TO REALIZE GREY FABRIC QUALITY EXCELLENCE A CASE STUDY IN BAHIR DAR TEXTILE SHARE COMPANY
Nugraha et al. Smart manufacturing system based o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