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586B1 - 다수의 학습자가 하나의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로 함께 소통가능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학습자가 하나의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로 함께 소통가능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586B1
KR102438586B1 KR1020220059750A KR20220059750A KR102438586B1 KR 102438586 B1 KR102438586 B1 KR 102438586B1 KR 1020220059750 A KR1020220059750 A KR 1020220059750A KR 20220059750 A KR20220059750 A KR 20220059750A KR 102438586 B1 KR102438586 B1 KR 10243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articipatory
signal
ty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Priority to KR102022005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학습자가 하나의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로 함께 소통하며 이용하도록 서버모듈을 학습자의 제1 단말이 복수개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통해 대회/대결 참가방식의 게임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어 학습자의 학습의지를 보다 고취시킬 수 있게 되며,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를 이용하는 도중에 학습자의 응답/의견에 대한 근거를 발표할 발표자를 선정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통해 보다 활발하고 심층적인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수의 학습자가 하나의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로 함께 소통가능한 시스템 {A system in whicPh multiple learners can communicate together with one quiz content or discussion/discussion content}
본 발명은 교사에게는 학습자와의 실시간 소통을 위한 참여형 콘텐츠를 직접 용이하게 제작가능한 맞춤형 제작환경을 지원하고, 학습자에게는 교사가 제작한 다양한 유형의 참여형 콘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지원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학습자의 보다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 에듀테크(Education Technology)시장은 확대되고 있으나 그 성장세는 세계시장 대비 낮고, 영세사업자 비중이 높다.
예컨대, 소수의 대형사업자들에게 매출이 집중되는 한편, 전체 사업자 수의 절반을 차지하는 영세사업자의 매출은 1.6%에 불과해 산업 내 양극화가 존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형 에듀테크 기업은 기존 에듀테크 스타트업을 인수하면서 유망 에듀테크 스타트업을 직접 발굴 및 지원하며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듀테크 스타트업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맞춤형 학습 서비스, 게임기반 학습, 외국어 교육, 코딩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개학이 연기되고, 비대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업계는 에듀테크 확산을 위해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으며, 국내 교육서비스 및 에듀테크 스타트업은 코로나19로 영향을 받는 학생들에게 자사 서비스 무료 이용 혜택을 주며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앞으로도, 세계 에듀테크 시장규모가 2025년 3,420억 달러로 예상되어 2018년 1,530억 달러 대비 2배 이상 확대될 것이며,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상장기업도 100개 이상으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가운데, 종래 학교 및 학원 교육은 다수의 학습자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용인원의 한계와 학습효율성 하락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수준별 눈높이 학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방송 매체인 TV 등을 이용한 교육에서는 상호간 쌍방향 교류 혹은 질의응답이 이루어질 수 없고, 불특정 다수에게 교육을 진행함으로 인해 학습자의 구체적인 여건 등을 고려할 수 있다는 문제점 등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상에서 교육을 제공하는 다양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제안되어 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교육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을 의미한다.
온라인 교육 서비스 이용자(즉, 학습자)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교육 콘텐츠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교육 서비스도 대부분, 학습자의 학습능력, 학습특성이나 학습일정에 관계없이, 학습자가 선택한 교육 콘텐츠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하는 과목의 교사 또는 강사가 칠판 앞에 서서 미리 설정된 학습일정에 따라 교육을 진행하는 동영상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능력, 학습일정에 따라 적절한 교육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을지라도, 학습자는 정해진 온라인 교육시간 내내 교사의 일방적인 설명과 문제풀이 모습을 보게 되므로, 학습자와 교사의 양방향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는 지루한 수업환경을 야기하게 될 수도 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즉, 오프라인 상의 교육과 같은 원활한 소통방식의 양방향 교육을 실현하면서도,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실제로 코로나 사태 이후, 직접 서로 대면하게 될 오프라인 교육에서도 흥미로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6822호(발명의 명칭: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사에게는 학습자와의 실시간 소통을 위한 참여형 콘텐츠를 직접 용이하게 제작가능한 맞춤형 제작환경을 지원하고, 학습자에게는 교사가 제작한 다양한 유형의 참여형 콘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지원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학습자의 보다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와 교사가 함께 소통하는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인증신호, 검색신호, 콘텐츠 실행신호, 응답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단말;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 검색신호, 콘텐츠 제작신호, 업로드 신호, 콘텐츠 실행신호, 발표 요구신호, 결과확인 요구신호, 리포트 생성요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단말; 상기 제1,2 단말 및 웹,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교사의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임의의 참여형 콘텐츠를 제작하면서 상기 제작된 참여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반영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는 절차에 따른 표시정보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참여형 콘텐츠는, 상기 교사가 퀴즈문제를 설정하여, 상기 퀴즈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는 방식의 퀴즈 콘텐츠; 상기 교사가 토의/토론 주제를 설정하여, 상기 토의/토론 주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의견을 유도하는 방식의 토의/토론 콘텐츠; 상기 교사가 게시 주제를 설정하여, 상기 게시 주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와의 소통을 유도하는 방식의 게시보드 콘텐츠; 및 상기 교사가 평가문제를 설정하여, 상기 평가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는 방식의 워크시트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이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과 1개의 상기 제2 단말이 동시에 전용으로 접속 매칭되도록 하여 1개의 참여형 콘텐츠를 함께 실행시키면서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다수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실시간 함께 반영되도록 하는 환경을 지원하는 동시참여모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단말이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실행시키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1명의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각각 개별적으로 반영되도록 하는 환경을 지원하는 개별참여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참여형 콘텐츠 중 퀴즈 콘텐츠의 상기 퀴즈문제를 OX 선택형, 다지선다형, 단답형, 빈칸형, 서술형 중 적어도 하나의 문제유형으로 선택하여 설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참여형 콘텐츠 중 토의/토론 콘텐츠의 상기 토의/토론 주제를 찬성반대 선택형, 신호등 선택형, 투표형, 가치수직선형, 띵킹보드형, 워드클라우드형 중 적어도 하나의 주제유형으로 선택하여 설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학습자의 인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학습자의 인증 또는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인증 관리부;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된 인증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참여형 콘텐츠 제작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제작하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교사의 업로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작된 참여형 콘텐츠를 상기 웹 상에 업로드하는 콘텐츠 제작부; 상기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업로드되는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서버모듈 관리부;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학습자의 콘텐츠 실행신호 또는 상기 교사의 콘텐츠 실행신호에 따라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실행시키면서 상기 실행되는 참여형 콘텐츠의 표시정보가 상기 알림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상기 학습자의 인증과 상기 교사의 인증을 위해 기설정된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업로드되는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에 따라 변하는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그 변화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화값을 기반으로 임의의 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결과정보가 상기 출력 제어부에 의해 상기 알림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참여형 콘텐츠의 표시정보에 반영되도록 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관리부는,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에서 생성된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코드, 패스워드, 링크,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고유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고유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와 공유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업로드된 참여형 콘텐츠가 복수개 게시된 웹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작부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웹 상에 업로드된 참여형 콘텐츠를 다시 제작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은, 상기 알림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업로드된 참여형 콘텐츠 중 상기 학습자 또는 상기 교사 중 적어도 어느 본인이 원하는 참여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환경을 지원할 수 있고, 상기 검색신호는, 키워드 검색신호, 필터링 요구신호, 배열순서 변경요구신호, 태그 검색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 검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의 개수를 조정하는 검색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상기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분류 데이터에 따라 구분하여 집합시키면서 라이브러리용 데이터 세트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검색 제어부는, 상기 필터링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라이브러리용 데이터 세트를 상기 입력된 필터링 요구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필터링하고, 상기 배열순서 변경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배열순서 변경요구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의 배열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상기 키워드 검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검색량의 키워드에 대한 태그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태그정보는, 상기 검색환경을 지원하는 웹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알림부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고, 상기 검색 제어부는, 상기 태그정보를 클릭하는 상기 태그 검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신호는, 상기 웹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 중 보관하고자 하는 참여형 콘텐츠를 선택하여 클릭하는 보관 요구신호와, 기보관된 참여형 콘텐츠를 확인하고자 하는 보관 확인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상기 보관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관 요구신호에 대응하는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미리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와 구분하여 집합시킨 보관용 데이터 세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제어부는, 상기 보관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관용 데이터 세트 내 데이터를 갖는 참여형 콘텐츠만이 상기 웹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작부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OX 선택형, 다지선다형, 단답형, 빈칸형, 서술형 중 적어도 하나의 문제유형으로 출제되는 퀴즈 콘텐츠를 제작하는 퀴즈 콘텐츠 제작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찬성반대 선택형, 신호등 선택형, 투표형, 가치수직선형, 띵킹보드형, 워드클라우드형 중 적어도 하나의 주제유형으로 출제되는 토의/토론 콘텐츠를 제작하는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시트 형태의 게시보드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게시보드에 상기 교사가 게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미니보드 형태로 배열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학습자가 게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까지 상기 게시보드에 미니보드 형태로 배열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교사와 상기 학습자가 상호 소통하는 공유환경을 지원하는 게시보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 및 상기 웹 또는 상기 외부 서버를 통해 기제작된 디지털 평가지 형태의 워크시트 모델을 제공받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워크시트 모델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거나, 상기 워크시트 모델 내 평가문제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여 새로운 워크시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워크시트에 대해 드롭앤다운형, 체크형, 빈칸형, 선잇기형, OX 선택형, 다지선다형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답유형으로 반응하는 평가환경을 지원하는 워크시트 콘텐츠를 제작하는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는, 하나의 게시보드에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타일형 방식과, 하나의 게시보드에 복수개의 그룹보드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각각의 상기 그룹보드에 분배하면서 배열하는 그룹형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고, 상기 배열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각각에는, 선호도 측정 및 댓글 입력이 가능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그룹형 방식으로 제작된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의 데이터는,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데이터와 호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를 제작할 시에,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반영된 토의/토론 콘텐츠 데이터를 변환하여 이용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퀴즈 콘텐츠의 표시정보는, 상기 제1 단말에서는, 문제, 보기, 타이머, 답변 입력영역, 본인 포인트, 본인 정답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단말에서는, 제목 입력영역, 공개범위 설정영역, 학교급/학년/학기/과목/단원/차시 설정영역, 태그입력영역, 문제유형 설정영역, 문제 입력영역, 보기 입력영역, 미디어 첨부영역, 풀이시간 설정영역, 해설 입력영역, 문제유형, 전체 참여 인원, 타이머, 결과확인버튼, 보기선택별 응답 인원, 미응답 인원, 응답자별 응답내용, 응답자별 포인트, 순위보기버튼, 스킵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표시정보는, 상기 제1 단말에서는, 문제, 보기, 의견 입력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단말에서는, 제목 입력영역, 공개범위 설정영역, 학교급/학년/학기/과목/단원/차시 설정영역, 태그입력영역, 주제유형 설정영역, 주제 입력영역, 보기 입력영역, 미디어 첨부영역, 풀이시간 설정영역, 의견제시여부 설정영역, 의견횟수 설정영역, 주제유형, 전체 참여 인원, 결과확인버튼, 보기선택별 응답 인원, 미응답 인원, 응답자별 의견내용, 스킵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퀴즈 콘텐츠의 표시정보 및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표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정보는, 랜덤뽑기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교사가 랜덤뽑기버튼을 클릭하는 상기 발표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응답 인원 중 어느 1명의 학습자를 발표자로 랜덤 선정하여 상기 발표자를 나타내는 표시정보가 상기 알림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정보는,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응답여부,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정답여부,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획득 포인트, 주제당 개별 학습자의 의견, 평가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정답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포트 생성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결과정보를 분석 및 통합하여 임의의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리포트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포트 정보는, 문제당 전체 학습자의 응답률, 문제당 전체 학습자의 정답률,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응답률,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정답률, 전체 문제에 대한 개별 학습자의 총 포인트, 주제당 개별 학습자의 의견 응답률, 개별 학습자의 전체 평가문제에 대한 점수, 개별 학습자의 전체 평가문제에 대한 정답개수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포트 정보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및 데이터 분석부와의 공유를 통해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반영된 참여형 콘텐츠를 리플레이 가능한 환경을 지원할 수 있고, 상기 리포트 정보의 데이터 정규화 작업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의 액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환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포트 정보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리포트 정보가 상기 웹 상에 자동 업로드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인증 관리부는, 상기 업로드된 리포트 정보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코드, 패스워드, 링크,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고유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고유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와 공유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사에게는 학습자와의 실시간 소통을 위한 참여형 콘텐츠를 직접 용이하게 제작가능한 맞춤형 제작환경을 지원하고, 학습자에게는 교사가 제작한 다양한 유형의 참여형 콘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지원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학습자의 보다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문제유형의 퀴즈 콘텐츠, 다양한 주제유형의 토의/토론 콘텐츠, 다양한 해답유형의 워크시트 콘텐츠를 이용하여 보다 폭넓고 다채로운 학습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교사가 가이드(안내)하고자 하는 사항은 물론, 학습자 본인의 의견과, 타인의 의견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표출할 수 있는 게시보드 콘텐츠를 통해 보다 자유로운 소통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학습자가 하나의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로 함께 소통하며 이용하도록 서버모듈을 학습자의 제1 단말이 복수개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통해 대회/대결 참가방식의 게임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어 학습자의 학습의지를 보다 고취시킬 수 있게 되며,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를 이용하는 도중에 학습자의 응답/의견에 대한 근거를 발표할 발표자를 선정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통해 보다 활발하고 심층적인 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제1 고유정보와, 리포트 정보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제2 고유정보를 별도로 생성하는 인증 관리부의 구성을 통해 보다 향상된 보안기능을 달성하면서도, 회원가입절차 생략이 가능하게 되므로, 목표로 하는 학습대상에게는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접근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참여형 콘텐츠를 제작하여 복수의 제2 단말과 공유되도록 웹 상에 업로드하고, 업로드되어 웹 상에 게시되는 참여형 콘텐츠를 필터링 및 정렬 검색하면서, 업로드된 참여형 콘텐츠를 활용하여 다시 제작가능하게 구성되는 제어부를 통해 참여형 콘텐츠에 대한 검색 효율성 및 제작업무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에 의해 참여형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외부 서버와의 공유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리포트 정보 생성부가 데이터 베이스부 및 데이터 분석부와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를 반영한 참여형 콘텐츠의 리플레이가 가능해짐으로써, 상기 학습자의 학습결과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리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포트 정보 생성부가 리포트 정보의 데이터 정규화 작업을 통해 외부 서버의 액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환가능하게 구성되고, 그룹형 방식의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에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반영된 토의/토론 콘텐츠 데이터의 활용이 가능한 구성을 통해 교사의 사용용도에 맞게 보다 폭넓은 활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상기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실제 사용예를 나타낸 이미지.
도 4는 상기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모드별 서버모듈의 선택화면을 나타낸 이미지.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서버모듈로의 접속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8 내지 도 11은 상기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참여형 콘텐츠에 대한 웹의 검색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12 내지 도 14는 상기 제어부의 콘텐츠 제작부 중 퀴즈 콘텐츠 제작부의 제작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15 내지 도 19는 상기 퀴즈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제작된 퀴즈 콘텐츠의 실행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20 내지 도 22는 상기 제어부의 콘텐츠 제작부 중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의 제작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23 및 도 24는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제작된 토의/토론 콘텐츠의 실행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25 및 도 26은 상기 제어부의 콘텐츠 제작부 중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의 제작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27 및 도 28은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제작된 게스보드 콘텐츠의 실행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29 내지 도 33은 상기 제어부의 콘텐츠 제작부 중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의 제작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34는 상기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제작된 워크시트 콘텐츠의 실행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35는 교사의 발표 요구신호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정보를 나타낸 이미지.
도 36은 상기 제어부의 리포트 정보 생성부에 대한 리포트 정보 생성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고 37 내지 도 43은 리포트 정보 생성부에 의해 업로드된 웹 상의 리포트 정보 제공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44는 상기 업로드된 리포트 정보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45는 상기 업로드된 리포트 정보에 대한 리뷰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도 46은 상기 업로드된 리포트 정보와 액셀 프로그램의 데이터 호환환경을 나타낸 이미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상기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실제 사용예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4는 상기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모드별 서버모듈의 선택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서버모듈로의 접속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상기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참여형 콘텐츠에 대한 웹의 검색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12 내지 도 14는 상기 제어부의 콘텐츠 제작부 중 퀴즈 콘텐츠 제작부의 제작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15 내지 도 19는 상기 퀴즈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제작된 퀴즈 콘텐츠의 실행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20 내지 도 22는 상기 제어부의 콘텐츠 제작부 중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의 제작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3 및 도 24는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제작된 토의/토론 콘텐츠의 실행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25 및 도 26은 상기 제어부의 콘텐츠 제작부 중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의 제작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27 및 도 28은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제작된 게스보드 콘텐츠의 실행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29 내지 도 33은 상기 제어부의 콘텐츠 제작부 중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의 제작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34는 상기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제작된 워크시트 콘텐츠의 실행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35는 교사의 발표 요구신호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정보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36은 상기 제어부의 리포트 정보 생성부에 대한 리포트 정보 생성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고 37 내지 도 43은 리포트 정보 생성부에 의해 업로드된 웹 상의 리포트 정보 제공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44는 상기 업로드된 리포트 정보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45는 상기 업로드된 리포트 정보에 대한 리뷰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46은 상기 업로드된 리포트 정보와 액셀 프로그램의 데이터 호환환경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학습자와 교사가 함께 소통하는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단말(110), 제2 단말(120), 웹(130), 외부 서버(140), 제어부(150) 및 알림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본 발명을 위해 필수적인 최소한의 구성일뿐, 이보다 더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을 갖는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10)은 키보드, 패드, 마우스 등 다양한 공지의 입력기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학습자에게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기를 통한 학습자의 인증신호, 검색신호, 콘텐츠 실행신호, 응답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웹(130), 외부 서버(140) 및 제어부(150)에 입력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120)은 상술한 제1 단말(110)과 원격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단말(110)과 동일하게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교사에게 위치하여 상기 입력기기를 통한 교사의 인증신호, 검색신호, 콘텐츠 제작신호, 업로드 신호, 콘텐츠 실행신호, 발표 요구신호, 결과확인 요구신호, 리포트 생성요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웹(130), 외부 서버(140) 및 제어부(150)에 입력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단말(110, 12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태블릿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PC, 스마트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2 단말(110, 12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게재된 통상의 단말장치에 해당하므로, 세부 구성은 도면에 미도시 하였음은 물론, 그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웹(130)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음향,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터넷 서비스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2 단말(110, 120)과 연결되어 상기 제1,2 단말(110, 120)을 각각 이용하는 학습자 및 교사에게 다양한 공지의 교육용 미디어가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140)는 상술한 웹(130)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2 단말(110, 120), 웹(130) 및 제어부(15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따르면, e-학습터, EBS 온라인클래스, HiClass(하이클래스), 클래스팅, BAND(밴드) 등의 다양한 공지의 교육용 서버와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의 다양한 공지의 SNS 서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부 서버(140)는 웹(130)과 연동하여 제어부(150)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서비스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소통과 관련된 메신저 프로그램 및 교육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로 이루어진 교육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공지의 기술로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다양한 학습소통유형의 참여형 콘텐츠를 맞춤 제작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제어서버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단말(110, 120) 및 상기 웹(130), 외부 서버(140)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120)을 통해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교사의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임의의 참여형 콘텐츠를 제작하면서 상기 제작된 참여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 단말(110)이 접속되면, 상기 제1 단말(110)을 통한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반영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110)이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서버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110)과 1개의 상기 제2 단말(120)이 동시에 전용으로 접속 매칭되도록 하여 1개의 참여형 콘텐츠를 함께 실행시키면서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다수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실시간 함께 반영되도록 하는 환경을 지원하는 동시참여모드로 생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서버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단말(110)이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실행시키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1명의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각각 개별적으로 반영되도록 하는 환경을 지원하는 개별참여모드로 생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참여형 콘텐츠는 교사가 퀴즈문제를 설정하여 상기 퀴즈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는 방식의 퀴즈 콘텐츠, 상기 교사가 토의/토론 주제를 설정하여 상기 토의/토론 주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의견을 유도하는 방식의 토의/토론 콘텐츠, 상기 교사가 게시 주제를 설정하여 상기 게시 주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와의 소통을 유도하는 방식의 게시보드 콘텐츠, 상기 교사가 평가문제를 설정하여 상기 평가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는 방식의 워크시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참여형 콘텐츠 중 상기 퀴즈 콘텐츠의 퀴즈문제를 OX 선택형, 다지선다형, 단답형, 빈칸형, 서술형 중 적어도 하나의 문제유형으로 선택하여 설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토의/토론 주제를 찬성반대 선택형, 신호등 선택형, 투표형, 가치수직선형, 띵킹보드형, 워드클라우드형 중 적어도 하나의 주제유형으로 선택하여 설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제어부(150)를 이루는 상세 구성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알림부(160)는 제어부(150)가 수행하는 절차에 따른 표시정보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자의 제1 단말(110), 상기 교사의 제2 단말(120)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표시정보는 임의의 텍스트 및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인증 관리부(151), 콘텐츠 제작부(152), 서버모듈 관리부(153), 출력 제어부(154), 데이터 베이스부(155) 및 데이터 분석부(1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 관리부(151)는 제1 단말(110)로부터 상기 학습자의 인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학습자의 인증 또는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증 관리부(151)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될 서버모듈 관리부(153)에서 생성된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코드, 패스워드, 링크,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고유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고유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와 공유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프로그램은 웹(130)을 통한 회원가입으로 로그인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인증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부(152)는 상술한 인증 관리부(151)에서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된 인증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단말(120)에 상기 참여형 콘텐츠 제작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제작하며,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교사의 업로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작된 참여형 콘텐츠를 상기 웹(130) 상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콘텐츠 제작부(152)는 본 발명에 의하면, 더 구체적으로, 퀴즈 콘텐츠 제작부(152a),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152b),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152c) 및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152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제어부(150)의 상위 구성 설명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153)는 콘텐츠 제작부(152)를 통해 업로드되는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상기 서버모듈을 생성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력 제어부(154)는 서버모듈 관리부(153)를 통해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 단말(110)이 접속되면, 상기 학습자의 콘텐츠 실행신호 또는 상기 교사의 콘텐츠 실행신호에 따라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실행시키면서 상기 실행되는 참여형 콘텐츠의 표시정보가 상기 알림부(16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5)는 학습자의 인증과 상기 교사의 인증을 위해 기설정된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업로드되는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증정보는 웹(130)을 통한 회원가입 시에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56)는 학습자의 응답신호에 따라 변하는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5)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그 변화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화값을 기반으로 임의의 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결과정보가 상기 출력 제어부(154)에 의해 상기 알림부(16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참여형 콘텐츠의 표시정보에 반영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결과정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응답여부,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정답여부,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획득 포인트, 주제당 개별 학습자의 의견, 평가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정답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알림부(160)는 상기 업로드된 참여형 콘텐츠가 복수개 게시된 웹(130)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제작부(152)는 제2 단말(12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웹(130) 상에 업로드된 참여형 콘텐츠를 다시 제작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웹(130)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림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업로드된 참여형 콘텐츠 중 상기 학습자 또는 상기 교사 중 적어도 어느 본인이 원하는 참여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환경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상기 검색신호는 키워드 검색신호, 필터링 요구신호, 배열순서 변경요구신호, 태그 검색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키워드 검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5)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130)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의 개수를 조정하는 검색 제어부(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5)는 상기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분류 데이터에 따라 구분하여 집합시키면서 라이브러리용 데이터 세트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류 데이터는 학교급/학년/학기/과목/단원/차시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제어부(157)는 도 10a를 참조하여, 상기 필터링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라이브러리용 데이터 세트를 상기 입력된 필터링 요구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130)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제어부(157)는 도 10b를 참조하여, 상기 배열순서 변경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5)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배열순서 변경요구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130)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의 배열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열순서는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 순서 및 업로드 순서일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공지기술로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5)는 상술한 키워드 검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가능하게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156)는 데이터 베이스부(155)에 저장된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검색량의 키워드에 대한 태그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태그정보는 검색환경을 지원하는 웹(130)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알림부(130)의 화면에 표시(도 9 참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제어부(157)는 태그정보를 클릭하는 상기 태그 검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5)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130)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의 개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검색신호는 웹(130)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 중 보관하고자 하는 참여형 콘텐츠를 선택하여 클릭하는 보관 요구신호와, 기보관된 참여형 콘텐츠를 확인하고자 하는 보관 확인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5)는 보관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관 요구신호에 대응하는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미리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와 구분하여 집합시킨 보관용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검색 제어부(157)는 보관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관용 데이터 세트 내 데이터를 갖는 참여형 콘텐츠만이 상기 웹(130)에 게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에서 후술하기로 한 콘텐츠 제작부(152)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퀴즈 콘텐츠 제작부(152a)는 제2 단말(12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OX 선택형, 다지선다형, 단답형, 빈칸형, 서술형 중 적어도 하나의 문제유형으로 출제되는 퀴즈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디터 프로그램은 텍스트, 이미지, 그래픽을 편집가능하게 지원하는 다양한 공지의 편집 툴(도구) 소프트웨어가 활용 및 취급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퀴즈 콘텐츠 제작부(152a)에서 상기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퀴즈 콘텐츠를 제작 시에, 상기 알림부(16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퀴즈 콘텐츠의 표시정보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목 입력영역, 공개범위 설정영역, 학교급/학년/학기/과목/단원/차시 설정영역, 태그입력영역, 문제유형 설정영역, 문제 입력영역, 보기 입력영역, 미디어 첨부영역, 풀이시간 설정영역, 해설 입력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퀴즈 콘텐츠 제작부(152a)의 제작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로서, 상기 제2 단말(120)에 표시되는 정보이다.
한편, 상기 퀴즈 콘텐츠 제작부(152a)에 의해 제작된 상기 퀴즈 콘텐츠를 실행 시에, 상기 제2 단말(120)에 구비된 상기 알림부(16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퀴즈 콘텐츠의 표시정보는 도 15a, 도 15b, 도 16, 도 17의 왼측 이미지와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문제유형, 전체 참여 인원, 타이머, 결과확인버튼, 보기선택별 응답 인원, 미응답 인원, 응답자별 응답내용, 응답자별 포인트, 순위보기버튼, 스킵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말(110)에 구비된 상기 알림부(16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퀴즈 콘텐츠의 표시정보는 상기 도 15a, 도 15b, 도 16, 도 17의 오른측 이미지를 참조하여, 문제, 보기, 타이머, 답변 입력영역, 본인 포인트, 본인 정답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152b)는 제2 단말(12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찬성반대 선택형, 신호등 선택형, 투표형, 가치수직선형(도 23), 띵킹보드형, 워드클라우드형 중 적어도 하나의 주제유형으로 출제되는 토의/토론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등 선택형은 주제에 대한 보기를 적색, 황색, 녹색으로 인식이 용이한 색상으로 설정하는 방식을 의미하고, 상기 띵킹보드형은 의견 제시가 익명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학급기초조사 또는 폭력실태조사에 활용될 수 있는 방식(도 21)을 의미하며, 워드클라우드는 주제에 대한 일치의견량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텍스트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하는 방식(도 22 및 도 24)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152b)에서 상기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를 제작 시에, 상기 알림부(16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표시정보는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목 입력영역, 공개범위 설정영역, 학교급/학년/학기/과목/단원/차시 설정영역, 태그입력영역, 주제유형 설정영역, 주제 입력영역, 보기 입력영역, 미디어 첨부영역, 풀이시간 설정영역, 의견제시여부 설정영역, 의견횟수 설정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152b)의 제작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로서, 상기 제2 단말(120)에 표시되는 정보이다.
한편,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152b)에 의해 제작된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를 실행 시에, 상기 제2 단말(120)에 구비된 상기 알림부(16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표시정보는 도 23a, 도 23b, 도 24의 왼측 이미지를 참조하여, 주제유형, 전체 참여 인원, 결과확인버튼, 보기선택별 응답 인원, 미응답 인원, 응답자별 의견내용, 스킵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말(110)에 구비된 상기 알림부(16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표시정보는 상기 도 23a, 도 23b, 도 24의 오른측 이미지를 참조하여, 문제, 보기, 의견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152c)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시트 형태의 게시보드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게시보드에 상기 교사가 게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미니보드 형태로 배열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학습자가 게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까지 상기 게시보드에 미니보드 형태로 배열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교사와 상기 학습자가 상호 소통하는 공유환경을 지원하는 게시보드 콘텐츠를 제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 미디어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그래픽 등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PDF, 한글, 워드, PPT, 링크, MP3 등 다양한 공지의 프로그램 파일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152c)는 도 26a,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하나의 게시보드에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타일형 방식(도 27)과, 하나의 게시보드에 복수개의 그룹보드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각각의 상기 그룹보드에 분배하면서 배열하는 그룹형 방식(도 28a 및 도 28b)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152c)는 상기 배열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각각에, 선호도 측정 및 댓글 입력이 가능하게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그룹형 방식으로 제작된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의 데이터는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데이터와 호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를 제작할 시에,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반영된 토의/토론 콘텐츠 데이터를 변환하여 이용가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152d)는 도 29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상기 웹(130) 또는 외부 서버(140)를 통해 기제작된 디지털 평가지 형태의 워크시트 모델을 제공받고(도 29),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워크시트 모델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도 33)하거나, 상기 워크시트 모델 내 평가문제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여 새로운 워크시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워크시트에 대해 드롭앤다운형(도 34), 체크형, 빈칸형(도 31), 선잇기형(도 32), OX 선택형, 다지선다형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답유형으로 반응하는 평가환경을 지원하는 워크시트 콘텐츠를 제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152d)에 미리 저장된 상기 에디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워크시트 모델에 특정영역을 지정하여 수정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수식입력기능을 포함한 직관적 아이콘 도구와 이에 대한 단축키를 지원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알림부(16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퀴즈 콘텐츠의 표시정보 및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표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정보는 랜덤뽑기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 제어부(154)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교사가 랜덤뽑기버튼을 클릭하는 상기 발표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응답 인원 중 어느 1명의 학습자를 발표자로 랜덤 선정하여 상기 발표자를 나타내는 표시정보가 상기 알림부(16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 간의 원격통신을 통해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2 단말(110, 120)에 탑재가능한 음성통신 SDK(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 음성으로 발표수업을 진행하면서 보다 활발한 소통을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음성통신 SDK(인터페이스)는 다국어 지원이 가능하도록 구글 또는 아마존의 음성인식 SDK, 네이버 클로바 API 등 다양한 공지의 글로벌 음성인식 SDK/API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36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150)는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상기 교사의 리포트 생성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분석부(156)를 통해 생성된 결과정보를 분석 및 통합하여 임의의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리포트 정보 생성부(15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리포트 정보 생성부(158)는 도 37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성된 리포트 정보가 상기 웹 상에 자동 업로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 관리부(151)는 도 44를 참조하여, 상기 업로드된 리포트 정보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코드, 패스워드, 링크,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고유정보를 자동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제2 고유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와 공유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포트 정보는 문제당 전체 학습자의 응답률, 문제당 전체 학습자의 정답률,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응답률,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정답률, 전체 문제에 대한 개별 학습자의 총 포인트, 주제당 개별 학습자의 의견 응답률, 개별 학습자의 전체 평가문제에 대한 점수, 개별 학습자의 전체 평가문제에 대한 정답개수를 포함하는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포트 정보 생성부(158)는 도 45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55) 및 데이터 분석부(156)와의 공유를 통해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반영된 참여형 콘텐츠를 리플레이 가능한 환경을 지원할 수 있고, 이는 학습자의 학습리뷰에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리포트 정보 생성부(158)는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포트 정보의 데이터 정규화 작업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의 액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환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참여형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은 인증신호 검출단계(S110), 교사 인증단계(S120), 콘텐츠 제작단계(S130), 콘텐츠 업로드단계(S140) 및 서버모듈 생성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증신호 검출단계(S110)에서는 제어부(150)가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입력되는 교사의 인증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교사 인증단계(S120)에서는 상기 인증신호 검출단계(S110)를 통해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50)의 인증 관리부(161)가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인증 프로그램은 웹(130)을 통한 회원가입으로 로그인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인증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는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단계(S130)에서는 상기 교사 인증단계(S120)에서 출력된 인증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의 콘텐츠 제작부(152)가 상기 제2 단말(120)에 상기 참여형 콘텐츠 제작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제작부(152)의 퀴즈 콘텐츠 제작부(152a)는 상기 교사가 퀴즈문제를 설정하여, 상기 퀴즈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는 방식의 퀴즈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작부(152)의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152b)는 상기 교사가 토의/토론 주제를 설정하여, 상기 토의/토론 주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의견을 유도하는 방식의 토의/토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콘텐츠 제작부(152)의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152c)는 상기 교사가 게시 주제를 설정하여, 상기 게시 주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와의 소통을 유도하는 방식의 게시보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콘텐츠 제작부(152)의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152d)는 상기 교사가 평가문제를 설정하여, 상기 평가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는 방식의 워크시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업로드단계(S140)에서는 콘텐츠 제작부(152)가 상기 제2 단말(120)로부터 상기 교사의 업로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콘텐츠 제작단계(S130)를 통해 제작된 참여형 콘텐츠를 상기 웹(130) 상에 업로드한다.
상기 서버모듈 생성단계(S150)에서는 제어부(150)의 서버모듈 관리부(153)가 상기 콘텐츠 업로드단계(S140)를 통해 업로드되는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여 관리한다.
이때,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153)는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110)이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153)는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110)과 1개의 상기 제2 단말(120)이 동시에 전용으로 접속 매칭되도록 하여 1개의 참여형 콘텐츠를 함께 실행시키면서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다수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실시간 함께 반영되도록 하는 환경을 지원하는 동시참여모드로 생성한다.
반면,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153)는 서버모듈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단말(110)이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실행시키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1명의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각각 개별적으로 반영되도록 하는 환경을 지원하는 개별참여모드로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제1 단말
120 : 제2 단말 130 : 웹
140 : 외부 서버 150 : 제어부
151 : 인증 관리부 152 : 콘텐츠 제작부
152a : 퀴즈 콘텐츠 제작부 152b :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
152c :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 152d :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
153 : 서버모듈 관리부 154 : 출력 제어부
155 : 데이터 베이스부 156 : 데이터 분석부
157 : 검색 제어부 158 : 리포트 정보 생성부
160 : 알림부

Claims (1)

  1. 학습자와 교사가 함께 소통하는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인증신호, 검색신호, 콘텐츠 실행신호, 응답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단말;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 검색신호, 콘텐츠 제작신호, 업로드 신호, 콘텐츠 실행신호, 발표 요구신호, 결과확인 요구신호, 리포트 생성요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단말;
    상기 제1,2 단말 및 웹,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하면서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교사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교사의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임의의 참여형 콘텐츠를 제작하면서 상기 제작된 참여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반영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2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는 절차에 따른 표시정보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실시간 디스플레이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참여형 콘텐츠는,
    상기 교사가 퀴즈문제를 설정하여, 상기 퀴즈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는 방식의 퀴즈 콘텐츠;
    상기 교사가 토의/토론 주제를 설정하여, 상기 토의/토론 주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의견을 유도하는 방식의 토의/토론 콘텐츠;
    상기 교사가 게시 주제를 설정하여, 상기 게시 주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와의 소통을 유도하는 방식의 게시보드 콘텐츠; 및
    상기 교사가 평가문제를 설정하여, 상기 평가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해답을 유도하는 방식의 워크시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모듈을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이 다중 접속가능하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과 1개의 상기 제2 단말이 동시에 전용으로 접속 매칭되도록 하여 1개의 참여형 콘텐츠를 함께 실행시키면서 복수개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다수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실시간 함께 반영되도록 하는 환경을 지원하는 동시참여모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단말이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실행시키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1명의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상기 참여형 콘텐츠에 각각 개별적으로 반영되도록 하는 환경을 지원하는 개별참여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참여형 콘텐츠 중 퀴즈 콘텐츠의 상기 퀴즈문제를 OX 선택형, 다지선다형, 단답형, 빈칸형, 서술형 중 적어도 하나의 문제유형으로 선택하여 설정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참여형 콘텐츠 중 토의/토론 콘텐츠의 상기 토의/토론 주제를 찬성반대 선택형, 신호등 선택형, 투표형, 가치수직선형, 띵킹보드형, 워드클라우드형 중 적어도 하나의 주제유형으로 선택하여 설정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학습자의 인증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교사의 인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학습자의 인증 또는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인증 관리부;
    상기 교사의 인증이 완료된 인증완료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참여형 콘텐츠 제작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제작하며,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교사의 업로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작된 참여형 콘텐츠를 상기 웹 상에 업로드하는 콘텐츠 제작부;
    상기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업로드되는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서버모듈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서버모듈 관리부;
    상기 생성된 서버모듈에 상기 제1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학습자의 콘텐츠 실행신호 또는 상기 교사의 콘텐츠 실행신호에 따라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실행시키면서 상기 실행되는 참여형 콘텐츠의 표시정보가 상기 알림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
    상기 학습자의 인증과 상기 교사의 인증을 위해 기설정된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부를 통해 업로드되는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에 따라 변하는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그 변화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화값을 기반으로 임의의 결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결과정보가 상기 출력 제어부에 의해 상기 알림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참여형 콘텐츠의 표시정보에 반영되도록 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증 관리부는,
    상기 서버모듈 관리부에서 생성된 서버모듈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코드, 패스워드, 링크,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고유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고유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와 공유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업로드된 참여형 콘텐츠가 복수개 게시된 웹의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부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웹 상에 업로드된 참여형 콘텐츠를 다시 제작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웹은,
    상기 알림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면서 상기 업로드된 참여형 콘텐츠 중 상기 학습자 또는 상기 교사 중 적어도 어느 본인이 원하는 참여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환경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검색신호는,
    키워드 검색신호, 필터링 요구신호, 배열순서 변경요구신호, 태그 검색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 검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의 개수를 조정하는 검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상기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분류 데이터에 따라 구분하여 집합시키면서 라이브러리용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검색 제어부는,
    상기 필터링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라이브러리용 데이터 세트를 상기 입력된 필터링 요구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를 필터링하고, 상기 배열순서 변경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배열순서 변경요구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의 배열순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상기 키워드 검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가능하게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검색량의 키워드에 대한 태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생성된 태그정보는,
    상기 검색환경을 지원하는 웹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알림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검색 제어부는,
    상기 태그정보를 클릭하는 상기 태그 검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태그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 검색신호의 데이터와 매칭하여, 상기 매칭결과에 따라 상기 웹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의 개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검색신호는,
    상기 웹에 게시된 상기 참여형 콘텐츠 중 보관하고자 하는 참여형 콘텐츠를 선택하여 클릭하는 보관 요구신호와, 기보관된 참여형 콘텐츠를 확인하고자 하는 보관 확인신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상기 보관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관 요구신호에 대응하는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미리 저장된 참여형 콘텐츠의 데이터와 구분하여 집합시킨 보관용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검색 제어부는,
    상기 보관 확인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관용 데이터 세트 내 데이터를 갖는 참여형 콘텐츠만이 상기 웹에 게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콘텐츠 제작부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OX 선택형, 다지선다형, 단답형, 빈칸형, 서술형 중 적어도 하나의 문제유형으로 출제되는 퀴즈 콘텐츠를 제작하는 퀴즈 콘텐츠 제작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찬성반대 선택형, 신호등 선택형, 투표형, 가치수직선형, 띵킹보드형, 워드클라우드형 중 적어도 하나의 주제유형으로 출제되는 토의/토론 콘텐츠를 제작하는 토의/토론 콘텐츠 제작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시트 형태의 게시보드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게시보드에 상기 교사가 게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미니보드 형태로 배열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학습자가 게시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까지 상기 게시보드에 미니보드 형태로 배열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교사와 상기 학습자가 상호 소통하는 공유환경을 지원하는 게시보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 및
    상기 웹 또는 상기 외부 서버를 통해 기제작된 디지털 평가지 형태의 워크시트 모델을 제공받고,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콘텐츠 제작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워크시트 모델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삽입하거나, 상기 워크시트 모델 내 평가문제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여 새로운 워크시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워크시트에 대해 드롭앤다운형, 체크형, 빈칸형, 선잇기형, OX 선택형, 다지선다형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답유형으로 반응하는 평가환경을 지원하는 워크시트 콘텐츠를 제작하는 워크시트 콘텐츠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 제작부는,
    하나의 게시보드에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연속적으로 배열하는 타일형 방식과, 하나의 게시보드에 복수개의 그룹보드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각각의 상기 그룹보드에 분배하면서 배열하는 그룹형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열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각각에는,
    선호도 측정 및 댓글 입력이 가능하게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그룹형 방식으로 제작된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의 데이터는,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데이터와 호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게시보드 콘텐츠를 제작할 시에,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반영된 토의/토론 콘텐츠 데이터를 변환하여 이용가능하고,

    상기 알림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퀴즈 콘텐츠의 표시정보는,
    상기 제1 단말에서는,
    문제, 보기, 타이머, 답변 입력영역, 본인 포인트, 본인 정답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에서는,
    제목 입력영역, 공개범위 설정영역, 학교급/학년/학기/과목/단원/차시 설정영역, 태그입력영역, 문제유형 설정영역, 문제 입력영역, 보기 입력영역, 미디어 첨부영역, 풀이시간 설정영역, 해설 입력영역, 문제유형, 전체 참여 인원, 타이머, 결과확인버튼, 보기선택별 응답 인원, 미응답 인원, 응답자별 응답내용, 응답자별 포인트, 순위보기버튼, 스킵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알림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토의/토론 콘텐츠의 표시정보는,
    상기 제1 단말에서는,
    문제, 보기, 의견 입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에서는,
    제목 입력영역, 공개범위 설정영역, 학교급/학년/학기/과목/단원/차시 설정영역, 태그입력영역, 주제유형 설정영역, 주제 입력영역, 보기 입력영역, 미디어 첨부영역, 풀이시간 설정영역, 의견제시여부 설정영역, 의견횟수 설정영역, 주제유형, 전체 참여 인원, 결과확인버튼, 보기선택별 응답 인원, 미응답 인원, 응답자별 의견내용, 스킵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결과정보는,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응답여부,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정답여부,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획득 포인트, 주제당 개별 학습자의 의견, 평가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정답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포트 생성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결과정보를 분석 및 통합하여 임의의 리포트 정보를 생성하는 리포트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리포트 정보는,
    문제당 전체 학습자의 응답률, 문제당 전체 학습자의 정답률,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응답률, 문제당 개별 학습자의 정답률, 전체 문제에 대한 개별 학습자의 총 포인트, 주제당 개별 학습자의 의견 응답률, 개별 학습자의 전체 평가문제에 대한 점수, 개별 학습자의 전체 평가문제에 대한 정답개수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상기 리포트 정보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 및 데이터 분석부와의 공유를 통해 상기 학습자의 응답신호가 반영된 참여형 콘텐츠를 리플레이 가능한 환경을 지원하고,
    상기 리포트 정보의 데이터 정규화 작업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의 액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환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리포트 정보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리포트 정보가 상기 웹 상에 자동 업로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증 관리부는,
    상기 업로드된 리포트 정보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코드, 패스워드, 링크,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고유정보를 자동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고유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와 공유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59750A 2021-08-25 2022-05-16 다수의 학습자가 하나의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로 함께 소통가능한 시스템 KR10243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750A KR102438586B1 (ko) 2021-08-25 2022-05-16 다수의 학습자가 하나의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로 함께 소통가능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502A KR102403701B1 (ko) 2021-08-25 2021-08-25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59750A KR102438586B1 (ko) 2021-08-25 2022-05-16 다수의 학습자가 하나의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로 함께 소통가능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502A Division KR102403701B1 (ko) 2021-08-25 2021-08-25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586B1 true KR102438586B1 (ko) 2022-08-31

Family

ID=81787089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502A KR102403701B1 (ko) 2021-08-25 2021-08-25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59748A KR102438584B1 (ko) 2021-08-25 2022-05-16 교사가 제작한 다양한 유형의 참여형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지원하는 시스템
KR1020220059749A KR102438585B1 (ko) 2021-08-25 2022-05-16 학습자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59747A KR102438583B1 (ko) 2021-08-25 2022-05-16 학습자와의 실시간 소통을 위한 참여형 콘텐츠를 직접 제작 가능한 맞춤형 제작환경을 지원하는 시스템
KR1020220059751A KR102438587B1 (ko) 2021-08-25 2022-05-16 학습자의 응답신호를 반영한 참여형 콘텐츠의 리플레이가 가능한 방법
KR1020220059750A KR102438586B1 (ko) 2021-08-25 2022-05-16 다수의 학습자가 하나의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로 함께 소통가능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502A KR102403701B1 (ko) 2021-08-25 2021-08-25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59748A KR102438584B1 (ko) 2021-08-25 2022-05-16 교사가 제작한 다양한 유형의 참여형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환경을 지원하는 시스템
KR1020220059749A KR102438585B1 (ko) 2021-08-25 2022-05-16 학습자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59747A KR102438583B1 (ko) 2021-08-25 2022-05-16 학습자와의 실시간 소통을 위한 참여형 콘텐츠를 직접 제작 가능한 맞춤형 제작환경을 지원하는 시스템
KR1020220059751A KR102438587B1 (ko) 2021-08-25 2022-05-16 학습자의 응답신호를 반영한 참여형 콘텐츠의 리플레이가 가능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403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508B1 (ko) * 2022-08-10 2023-05-04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가변식 워크시트 생성기능을 갖는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4454B1 (ko) * 2022-08-10 2023-03-07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30740B1 (ko) * 2022-08-10 2023-05-11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퀴즈 게임을 이용한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66197B1 (ko) * 2023-04-04 2023-08-11 이덕호 교육 수강생 별 테스트 결과 및 학업 성취도 현황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11678B1 (ko) * 2023-04-13 2023-12-08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퀴즈 게임을 이용한 참여형 교육 서비스 구현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182A (ko) * 2003-03-12 2005-12-15 토요엔지니어링 카부시키가이샤 키워드를 이용한 데이터의 등록, 검색을 지원하는 장치
KR20090127539A (ko) * 2008-06-09 2009-12-14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토론방식을 이용하는 인터넷 어학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33664A (ko) * 2012-05-21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15232A (ko) * 2013-07-31 2015-02-10 주식회사 언어과학 시험문제 제작장치
KR102056822B1 (ko) 2017-05-04 2019-12-17 주식회사 매스프레소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72617A (ko) *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넥스트비즈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182A (ko) * 2003-03-12 2005-12-15 토요엔지니어링 카부시키가이샤 키워드를 이용한 데이터의 등록, 검색을 지원하는 장치
KR20090127539A (ko) * 2008-06-09 2009-12-14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토론방식을 이용하는 인터넷 어학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33664A (ko) * 2012-05-21 2013-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형 수업지원 및 학사관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15232A (ko) * 2013-07-31 2015-02-10 주식회사 언어과학 시험문제 제작장치
KR102056822B1 (ko) 2017-05-04 2019-12-17 주식회사 매스프레소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72617A (ko) *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넥스트비즈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584B1 (ko) 2022-09-01
KR102438587B1 (ko) 2022-08-31
KR102438583B1 (ko) 2022-09-01
KR102438585B1 (ko) 2022-08-31
KR102403701B1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586B1 (ko) 다수의 학습자가 하나의 퀴즈 콘텐츠나 토의/토론 콘텐츠로 함께 소통가능한 시스템
CN109801525B (zh) 一种用于网络教学的师生多维匹配方法和系统
Shelton et al. Bringing digital storytelling to the elementary classroom: Video production for preservice teachers
Chang et al. Survey of learning experiences and influence of learning style preferences on user intentions regarding MOOC s
Chen Investigating MOOCs through blog mining
Hartman et al. Preparing the academy of today for the learner of tomorrow
Nguyen et al. Web-based virtual reality development in classroom: From learner's perspectives
Thompson et al. Strategic tooling: Technology for constructing a community of inquiry.
Merrill The flipped classroom: An examination of veteran teacher'practices when flipping their classrooms for the first time
US20140322692A1 (en) Methods for online education
Patchen et al. Framing science in a new context: What students take away from a student‐directed inquiry curriculum
Kemaloglu-Er et al. Project-Based Learning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t a Rural School: A Case Study from Turkey.
Lee et al. Instrumental teacher education and the incoming tid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contemporary guitar perspective
Meyers A comment on learning: Media literacy practices in YouTube
Haddad ICTs for Education
Mbodila et al. On overcoming transitional challenges of first year students in technology-based educational settings
Twyman Digital Technologies in Support of Personalized Learning.
Ramly et al. The Effects of Using Educational Videos in Online Learning: A Case Study for Basic Computer Science Subject
Mohammadhossein et al. Augmented Reality in Learning Settings: A Systematic Analysis of its Benefits and Avenues for Future Studies
KR102530740B1 (ko) 퀴즈 게임을 이용한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8508B1 (ko) 가변식 워크시트 생성기능을 갖는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Voss Information on demand in the recording studio: Building the case for teaching music technology with an interactive agenda
Toukonen The dynamic electronic textbook: Enhancing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Kuksa Virtual reality in theatre education and design practice new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Chang ELL student engagement in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tas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