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299B1 -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299B1
KR102438299B1 KR1020220035429A KR20220035429A KR102438299B1 KR 102438299 B1 KR102438299 B1 KR 102438299B1 KR 1020220035429 A KR1020220035429 A KR 1020220035429A KR 20220035429 A KR20220035429 A KR 20220035429A KR 102438299 B1 KR102438299 B1 KR 10243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rain
nipple
valve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범
백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씨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씨디
Priority to KR102022003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299B1/ko
Priority to PCT/KR2023/003822 priority patent/WO20231828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가 자동으로 배출되게 하는 부력밸브부재의 동작 확실성이 향상되고 고장시 비상조치가 가능하고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개선된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집수실(12)이 있고, 상기 집수실(12) 상부에 액체유입구(13)가 있는 상부캡부재(11)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바디(10)와, 상기 집수실(12)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고, 원주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는 하향경사리브(23) 및 낙하배수로(24)가 있고, 하부 중앙에 밸브패킹(25)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부력밸브부재(20)와, 상기 부력밸브부재(20) 하부쪽의 집수실(12) 하부에 형성되는 액체고임공간부(122) 및 상기 액체고임공간부(122)에 상단부가 노출되는 수직배수공(32)이 있는 배수니플(31)과, 상기 배수니플(31) 하부에 체결되어 수직배수공(32)을 개폐되게 하는 개폐니플(34)을 구비하는 배수비상조치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Auto drain device for liquid}
본 발명은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가 자동으로 배출되게 하는 부력밸브부재의 동작 확실성이 향상되고 고장시 비상조치가 가능하고 제품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개선된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에 있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4456와 같은 액체 자동 배출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상기한 선행기술은 액체유입구에서 낙하되는 액체가 플로우트에 떨어지는 충격력에 의해서 플로우트가 좌우로 크게 요동되어서 동작상으로는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플로우트 하부에 밸브로드를 구비함으로써 제조상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매우 높기 때문에 제조원가 상승이 야기됨으로써 경쟁력 약화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824456 B1 2018.02.01
본 발명은 액체가 자동으로 배출되게 하는 부력밸브부재의 동작 확실성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장시 비상조치가 가능하고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개선된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조원가 절감이 도모되면서도 액체 자동 배출이 양호하게 이루어게 하는데 있어서 성능 향상이 도모된 제품을 보다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도록 하여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집수실이 있고, 상기 집수실 상부에 액체유입구가 있는 상부캡부재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집수실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고 원주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는 하향경사리브 및 낙하배수로가 있고, 하부 중앙에 밸브패킹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부력밸브부재가 있고, 상기 부력밸브부재 하부쪽의 집수실 하부에 형성되는 액체고임공간부 및 상기 액체고임공간부에 상단부가 노출되는 수직배수공이 있는 배수니플과 상기 배수니플 하부에 체결되어 수직배수공을 개폐되게 하는 개폐니플을 구비하는 배수비상조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 및 부력밸브부재가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역원뿔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 집수실 하부에서 역원뿔형경사내주면과 부력밸브부재의 하향경사리브 외단부가 정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역원뿔형경사내주면과 하향경사리브 외단부가 정합된 지점의 부력밸브부재 하측의 집수실에 액체고임공간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니플은, 체결공 하부 중앙에 수직배수공으로 출입되는 원뿔돌륜부가 있고, 상기 원뿔돌륜부 양측에는 한쌍의 사이드배수공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 외측으로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감싸고 하부에 압력유체배출공이 있는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커버상단부는 상부캡부재의 끼움홈에 결합되고, 배수니플이 관통되는 하부중앙공 상하부에서 간격너트 및 압박너트를 각각 배수니플에 체결하여 커버부재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액체가 자동으로 배출되게 하는 부력밸브부재의 승하강 이동이 확실하게 동작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밸브패킹의 이탈이 방지되면서도 마모시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동작 확실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시 비상조치수단에 의해서 에어(압축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제품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부재에 의해 안전성이 더욱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조원가 절감이 도모되면서도 성능 향상이 도모된 제품을 보다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게 되므로 경쟁력 향상을 크게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 오토드레인의 전체 종단면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 오토드레인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력밸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력밸브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비상조치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부력밸브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상가동시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비상시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크게 구분하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캡부재(11)가 상부에 씌워지도록 체결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에 구비되는 집수실(12)내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력밸브부재(20) 및 상기 바디(10) 하부에 구비되어 액체가 배수되는 배수비상조치수단(30)과, 바디(10) 외측으로 씌워지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40)에 의해 구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바디(10)의 집수실(12)은,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역원뿔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역원뿔형 경사내주면(121)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부캡부재(11)는, 상부에 액체유입구(13)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유입구(13) 하부에는 걸름망(14)을 구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액체유입구(13)로 유입되는 액체에 섞여있는 이물질이 걸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름망(14)은 하부에서 망체결구(15)가 상부캡부재(11) 하단부에 체결되어 걸름망(14)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디(10)의 집수실(12)내에 부력밸브부재(20)가 내장되도록 삽입 한 다음에 바디(10) 상부에 상부캡부재(11)가 체결되도록 고정되는 것이고, 바디(10)와 상부캡부재(11) 사이에 고무패킹(16)이 게재되게 하여 액체 누출이 방지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0)는, 집수실(12) 내에 있는 부력밸브부재(20)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캡부재(11)는 바디(10)가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금속재질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밸브부재(20)는, 내부에 부력발생공기실(21)을 갖도록 구성되게 하고 상기 부력발생공기실(21) 상부에 밀폐캡부재(22)가 씌워지도록 고정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력밸브부재(20)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력밸브부재(20)는 전체가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역원뿔형태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다수가 등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하향경사리브(23)를 구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하향경사리브(23) 사이에는 각각의 낙하배수로(24)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부력밸브부재(20)의 역원뿔형의 외주면의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하향경사리브(23)가 돌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력밸브부재(20)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는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과 배수비상조치수단(30)의 배수니플(31) 상단부가 접촉된 상태이면서 동시에 부력밸브부재(20)가 하부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 집수실(12)의 역원뿔형경사내주면(121)과 부력밸브부재(20)의 하향경사리브(23) 외단부가 정합되는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상태에서 부력밸브부재(20) 하부쪽으로는 액체(W)가 고이게 되는 액체고임공간부(122)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은 실리콘고무재질이 바람직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력밸브부재(20)의 밑면 중앙에 탈착되게 설치되는 패킹홀더(26)에 의해서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부력밸브부재(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패킹홀더(26)는 중앙에 역원뿔형장착공(27)이 있고, 상기 역원뿔형장착공(27)에 동일한 형태의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내장되어서 패킹홀더(26) 하부쪽으로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 일부가 노출되게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패킹홀더(26)의 역원뿔형장착공(27)에 역시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장착되어서 모두가 상부직경이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이고 하부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역원뿔형태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패킹홀더(26)의 하부방향으로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부력밸브부재(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되더라도 부력밸브부재(20)로부터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절대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의 이탈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제품 신뢰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킹홀더(26)는 부력밸브부재(20)의 밑면에 나사식으로 체결될 수 있고, 또는 억지끼움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패킹홀더(26)를 부력밸브부재(20)로부터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마모되거나 또는 불량일 때 패킹홀더(26)를 분리하여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만을 교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액체유입구(13)를 통해서 액체가 집수실(12)로 유입되어 부력밸브부재(20) 상부면으로 낙하하게 되어서 사방으로 퍼져 나가게 되는 상태가 되어 부력밸브부재(20) 외주면에 있는 낙하배수로(24)를 통해서 하측방향으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낙하배수로(24)를 따라 흘러 내린 액체는 액체고임공간부(122)에 채워지게 되어 점차적으로 상부쪽의 낙하배수로(24)의 중간부분까지 차오르게 됨에 따라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서 부력밸브부재(20)가 상부방향으로 부상되게 이동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배수니플(31)의 수직배수공(32)을 차폐하고 있던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수니플(31)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수직배수공(32)이 개방됨에 따라 액체고임공간부(122)에 있는 액체(W)가 수직배수공(32)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집수실(12) 및 부력밸브부재(20) 모두가 역원뿔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육안으로는 크게 식별되지는 않지만, 부력밸브부재(20)가 부력에 의해서 상승되게 이동되면 부력밸브부재(20)가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경사리브(23)도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역원뿔형경사내주면(121)과 하향경사리브(23) 사이에 유격(K)이나 틈새가 필연적으로 발생되어 수직배수공(32)의 수직중심선(S)과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수직 상태로 일치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격(K)이 발생되어 수직배수공(32)의 수직중심선(S)과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가 수직 상태로 일치되지 않게 되어도 부력밸브부재(20)가 하강되게 이동되면 역원뿔형경사내주면(121)에 하향경사리브(23)가 접촉되면서 점차적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부력밸브부재(20)가 점차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상태가 되면서 최종적으로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경사리브(23)가 역원뿔형경사내주면(121)에 정합되는 상태로 안착됨에 따라 수직배수공(32)의 수직중심선(S)과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자동으로 일치됨으로써 수직배수공(32)을 오동작 없이 차폐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액체(W)가 액체고임공간부(122)으로 점차 유입되어 부력밸브부재(20)가 부력에 의해서 상승되게 이동되어 배수가 되고 다시 하강되게 이동되어 수직배수공(32)을 차폐하는 작용을 반복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액체(W)가 수시로 자동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바디(10)의 집수실(12) 하부 중앙에 구비되는 배수비상조치수단(3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수실(12)과 연통되는 수직배수공(32)이 있는 기다란 형태의 배수니플(31)이 바디(10) 하부 중앙에 고정되고, 상기 배수니플(31) 하부쪽 체결나사부(33)에는 개폐니플(34)이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개폐니플(34)은, 체결나사부(33)와 체결되는 체결공(35) 하부쪽의 중앙배출공(35) 중앙에는 수직배수공(32)으로 삽입되고 이탈되는 원뿔돌륜부(36)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원뿔돌륜부(36) 양측으로는 상호 대향되는 한쌍의 사이드배수공(37)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배수공(37)은 개폐니플(34)의 니플밑단면(34a)에 접촉되어 차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개폐니플(34)를 회전시켜서 배수니플(31)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뿔돌륜부(36)가 배수공(32)으로부터 이탈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배수공(32)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배수공(32)으로 배출되는 액체(W)가 사이드배수공(37)을 통해 배출가능한 상태가 되고, 정상 가동상태에서 사이드배수공(37)을 통해 액체(W)가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령 고장 발생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서 액체(W) 배출을 차단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역시 개폐니플(34)를 회전시켜서 배수니플(31)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뿔돌륜부(36)가 배수공(32) 내부로 삽입되어서 1차적으로 차폐하게 되고, 개폐니플(34)의 니플밑단면(34a)에 사이드배수공(37)이 접촉되어서 이중으로 차폐되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과 같은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는 공기압축기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공압시스템에서 압축공기이송관 하부에 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이송관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액체)를 자동으로 배수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응축수가 소량 발생하는 경우에는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를 통해서 압축공기가 배출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공압시스템에서 가동되어야 하는 공압력이 약화됨으로써 생산이나 가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응축수(액체)가 미량 발생되어도 부력밸브부재(20)의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수직배수공(32)을 항시 차폐하기 때문에 배수공(32)으로 압축공기가 누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다란 길이로 설치되는 압축공기이송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를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응축수 배출을 도모하게 된다. 그러나 다수의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중에 어느 하나가 가령 장기간 사용에 따라 역원뿔형태의 밸브패킹(25)이 많이 마모되는 경우이나 또는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또는 부품 불량 등과 같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수직배수공(32)이 항시 개방된 상태가 되어서 압축공기가 누출될 수도 있고, 그로 인해 공압시스템에서 가동되어야 하는 압축공기의 공압력이 약화됨으로써 생산이나 가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상상황에서는 개폐니플(34)를 회전시켜서 수직배수공(32)과 사이드배수공(37)이 차폐되게 하여 압축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조치한 다음에 추후 고장 수리를 함으로써 공압시스템 가동에 전혀 지장이 초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바디(10) 외측으로 상호간에 이격공간부(41)를 갖도록 하는 상태로 커버부재(40)가 씌워지도록 구성된다.
커버부재(40)는 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상단부(42)는 상부캡부재(11)에 형성된 끼움홈(17)에 결합되고, 커버부재(40) 하단부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니플(31)이 관통되는 커버부재(40)의 하부중앙공(43)의 상,하부에는 배수니플(31)에 체결되는 간격너트(44) 및 압박너트(45)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가령 부주의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40)에 먼저 외력이 가해져서 방어하거나 또는 커버부재(40)만 파손되고 바디(10)는 파손됨이 없이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이다.
또한, 가령 바디(10)가 내부압력(압축공기압력)을 못 견디고 파열되는 경우에는 파편이 외부로 날아가게 되는 것을 커버부재(40)가 차단하게 되므로 주변 작업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부재(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압력유체배출공(46)을 통해서 고압의 압축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커버부재(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파손된 바디(10) 조각들이 커버부재(40) 내에 모아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상으로부터의 안전이 더욱 확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바디 11:상부캡부재
12:집수실 121:역원뿔형경사내주면
122:액체고임공간부 13:액체유입구
14:걸름망 15:망체결구
16:고무패킹 17:끼움홈
20:부력밸브부재 21:부력발생공기실
22:밀폐캡부재 23:하향경사리브]
24:낙하배수로 25:밸브패킹
26:패킹홀더 27:역원뿔형장착공
30:배수비상조치수단 31:배수니플
31a:니플밑단면 32:수직배수공
33:체결나사부 34:개폐니플
35:체결공 36:원뿔돌륜부
37:사이드배수공 40:커버부재
41:이격공간부 42:커버상단부
43:하부중앙공 44:간격너트
45:압박너트 46:압력유체배출공
W:액체 S:수직중심선
K:유격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집수실(12)이 있고, 상기 집수실(12) 상부에 액체유입구(13)가 있는 상부캡부재(11)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바디(10)와;
    상기 집수실(12)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고, 원주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하는 하향경사리브(23) 및 낙하배수로(24)가 있고, 하부 중앙에 밸브패킹(25)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부력밸브부재(20)와;
    상기 부력밸브부재(20) 하부쪽의 집수실(12) 하부에 형성되는 액체고임공간부(122); 및
    상기 액체고임공간부(122)에 상단부가 노출되는 수직배수공(32)이 있는 배수니플(31)과, 상기 배수니플(31) 하부에 체결되어 수직배수공(32)을 개폐되게 하는 개폐니플(34)을 구비하는 배수비상조치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니플(34)은, 체결공(35) 하부 중앙에 수직배수공(32)으로 출입되는 원뿔돌륜부(36)가 있고, 상기 원뿔돌륜부(36) 양측에는 한쌍의 사이드배수공(37)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 외측으로 이격공간부(41)가 형성되도록 감싸고 하부에 압력유체배출공(46)이 있는 커버부재(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재(40)의 커버상단부(42)는 상부캡부재(11)의 끼움홈(17)에 결합되고, 배수니플(31)이 관통되는 하부중앙공(43) 상하부에서 간격너트(44) 및 압박너트(45)를 각각 배수니플(31)에 체결하여 커버부재(40)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KR1020220035429A 2022-03-22 2022-03-22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KR10243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429A KR102438299B1 (ko) 2022-03-22 2022-03-22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PCT/KR2023/003822 WO2023182816A1 (ko) 2022-03-22 2023-03-22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429A KR102438299B1 (ko) 2022-03-22 2022-03-22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299B1 true KR102438299B1 (ko) 2022-08-31

Family

ID=8306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429A KR102438299B1 (ko) 2022-03-22 2022-03-22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8299B1 (ko)
WO (1) WO20231828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816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투씨디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EP4357679A1 (en) * 2022-10-17 2024-04-2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team device for food ov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6501B2 (ja) * 2002-12-09 2007-10-2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ドレン排出装置のフロート弁機構
KR101824456B1 (ko) 2017-12-01 2018-02-01 이준범 액체 자동 배출장치
KR101982245B1 (ko) * 2018-05-30 2019-05-24 이준범 액체 자동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9319B2 (ja) * 1994-04-26 2003-03-24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オートドレン
JP2007092593A (ja) * 2005-09-28 2007-04-12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KR101717991B1 (ko) * 2016-11-15 2017-03-20 이준범 자동 공기 배출 장치
KR102438299B1 (ko) * 2022-03-22 2022-08-31 주식회사 투씨디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6501B2 (ja) * 2002-12-09 2007-10-2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ドレン排出装置のフロート弁機構
KR101824456B1 (ko) 2017-12-01 2018-02-01 이준범 액체 자동 배출장치
KR101982245B1 (ko) * 2018-05-30 2019-05-24 이준범 액체 자동 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816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투씨디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EP4357679A1 (en) * 2022-10-17 2024-04-2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team device for food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816A1 (ko)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299B1 (ko) 액체용 오토드레인장치
US4573344A (en) Valve packing leakage monitoring device
US6136076A (en) Air/oil separator with molded top sealing flange
US20160296862A1 (en) Automatic Water Drain System and Method
KR101824456B1 (ko) 액체 자동 배출장치
US4321975A (en) Slurry diverter
US2800912A (en) Mounting for pressure relief valve
US3392838A (en) Filter for fluids
CN102388249B (zh) 控制阀压强泄放检查端口
US1091210A (en) Hydrant.
CN208966211U (zh) 套管短节及井口泄压装置
US2572311A (en) Moisture eliminating device for compressed-air systems
KR20240044682A (ko) 살균기능과 오토드레인이 내장된 워터 세퍼레이터
US9719235B1 (en) Full-drain type vacuum breaker
KR101363994B1 (ko) 저압 가스 안전변 시스템
US3059666A (en) Air filter
EP3804834A1 (en) Mist eliminator draining and sealing device
CA2239941A1 (en) Oil well pump leakage accumulator
CN115501719B (zh) 一种分水滤气器
KR102379936B1 (ko) 스팀트랩
KR200195147Y1 (ko) 급속 공기 밸브의 이물질 방지장치
CN108868695A (zh) 油井作业杆、管在线密闭清洗器
CN220792779U (zh) 一种除氧器溢流口防喷气装置
KR102302161B1 (ko) 가스용기용 밸브 어셈블리
KR102295088B1 (ko)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