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990B1 -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990B1
KR102437990B1 KR1020200148457A KR20200148457A KR102437990B1 KR 102437990 B1 KR102437990 B1 KR 102437990B1 KR 1020200148457 A KR1020200148457 A KR 1020200148457A KR 20200148457 A KR20200148457 A KR 20200148457A KR 102437990 B1 KR102437990 B1 KR 10243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ail
seat
seat cushion
cush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818A (ko
Inventor
조찬기
박건영
황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20014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9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추가 또는 분리되는 보강부재를 통해 자체 강도와 제조비용을 달리하여 다양한 차종에 사용가능한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쿠션 프레임은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되는 사이드멤버, 상기 사이드멤버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포스트 및 상기 연결포스트의 하부 전후방에서 상기 연결포스트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브라켓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SEAT CUSHION FRAME AND SEAT FRAME ASSEBLY INCLUD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시트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시트에 사용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에 장착되는 시트 쿠션 프레임은 시트 트랙 레일 또는 차량에 연결된 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시트 쿠션과 결합되어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한다.
그러나, 기존의 시트 쿠션 프레임은 하부에 배치되는 트랙 레일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정지된 상태 또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태에서 탑승자 또는 외부의 영향으로 변형이 발생되거나 흔들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시트 쿠션 프레임은 용도를 달리하는 다양한 차종에 상관없이 동일한 강도와 중량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강도 또는 중량 변화를 위해서는 크기를 달리하거나 재설계가 필요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2717호는 연속섬유 보강 복합소재 적용 프론트 시트 쿠션 프레임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0849호는 차량용 시트 쿠션 프레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시트 쿠션 프레임이 장착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강도 또는 중량을 변경시켜 시트 자체의 중량, 변형 억제 또는 강도 조정이 가능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뒤틀림과 같은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추가 또는 분리되는 보강부재를 통해 자체 강도와 제조비용을 달리하여 다양한 차종에 사용가능한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 쿠션 프레임은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되는 사이드멤버, 상기 사이드멤버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포스트 및 상기 연결포스트의 하부 전후방에서 상기 연결포스트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브라켓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브라켓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된 찬넬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이 상부 및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연결포스트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은 상기 하부브라켓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브라켓들을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프레임 어셈블리는 일단부는 차량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 상부에 결합되는 로어레일 및 상기 로어레일에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레일을 포함하는 시트 트랙 레일 및 상기 어퍼레일의 상부 전후방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들 및 상기 하부브라켓의 양측에 연결되는 사이드멤버들을 구비한 시트 쿠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은, 상기 하부브라켓의 측면을 관통하며 상기 하부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멤버들을 연결시키는 연결포스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은 상기 하부브라켓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브라켓들을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브라켓은 일단 및 타단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어퍼레일의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연결포스트와 결합되고 중앙부는 상기 어퍼레일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쿠션 프레임을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는 시트 쿠션 프레임의 하부에 절곡된 형태의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보강부재를 통해 시트 쿠션 프레임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시트 쿠션 프레임은 중앙의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돌출된 브라켓들이 모노 레일 형태의 시트 트랙 레일과 결합되므로, 모노 레일 형태의 지지부 및 시트 트랙 레일과 결합된 상태에서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시트 쿠션 프레임은,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들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보강부재들의 추가를 통해 강도를 증가시켜 다양한 위치에서의 충돌에도 변형이 억제되는 오프로드 또는 레이싱용 시트에 사용이 가능하고, 보강부재들의 분리를 통해 강도보다 승차감과 중량의 감소효과를 개선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트프레임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시트 쿠션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시트 트랙 레일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시트 트랙 레일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시트 쿠션 프레임(600)을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시트 쿠션 프레임(600)의 하부에 절곡된 형태의 프레임들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보강부재를 통해 시트 쿠션 프레임(60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시트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및 시트 트랙 레일(400)이 시트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후방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하체 활용 공간이 확장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로어레일에 삽입되는 어퍼레일의 단면 구조가 앵커 형태로 형성되고, 레일과 베어링들을 통해 전후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내구성 및 슬라이딩 이동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시트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지지부(200), 시트 트랙 레일(400), 구동부(500) 및 시트 쿠션 프레임(600)을 포함한다.
지지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 제1 포스트(220), 제2 포스트(230), 연결포스트(240)들, 상부 플레이트(250) 및 보강부재(260, 270)들을 포함한다.
지지부(200)의 일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내부에서 차량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양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시트 트랙 레일(400)의 하부에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지면과 수평한 수평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저면은 차량의 내부에서 차량의 바닥과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면결합된다.
제1 포스트(220)의 일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부 플레이트(250)의 일측 하부에 결합된다.
제1 포스트(220)의 전방 및 후방 테두리 각각은 후방 및 전방을 향해 각각 삼각형 형태로 함몰되고, 삼각형 형태로 함몰된 전방 및 후방 모서리에 의해 제1 포스트(220)의 변형억제력이 개선된다.
제2 포스트(230)의 일단은 제1 포스트(220)와 이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부 플레이트(250)의 타측 하부에 결합된다.
제2 포스트(230)의 전방 및 후방 테두리 각각은 후방 및 전방을 향해 각각 삼각형 형태로 함몰되고, 삼각형 형태로 함몰된 전방 및 후방 모서리에 의해 제2 포스트(230)의 변형억제력이 개선된다.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 각각의 상부면은 후방에서 전방 및 상부를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 트랙 레일(400)은 지지부(200)에 후방에서 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연결포스트(240)들 각각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의 사이에서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 각각과 결합된다.
연결포스트(240)들 각각은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 사이의 공간 하부 전방 및 후방 그리고 상부 전방 및 후방에 이격 배치되어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이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킨다.
상부 플레이트(250)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지면과 수평한 수평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수직 절곡되어 시트 트랙 레일(400)의 양측을 감싸면서 시트 트랙 레일(400)의 저면 및 양측 일부분과 면결합된다.
제1 포스트(220)의 타단 상부면은 상부 플레이트(250)의 하부 일측 저면과 면결합되고, 제2 포스트(230)의 타단 상부면은 상부 플레이트(250)의 하부 타측 저면과 면결합된다.
보강부재(260)는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의 전방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고 지면과 수직한 수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및 타측 끝단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수직 절곡되어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 각각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면결합된다.
보강부재(270)는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의 후방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고 지면과 수직한 수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및 타측 끝단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수직 절곡되어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 각각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면결합된다.
따라서, 보강부재(260, 270)들은 연결포스트(240)들과 함께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의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시켜 연결포스트(240)들과 함께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이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킨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쿠션 프레임(600)은 제1 사이드멤버(610), 제2 사이드멤버(620), 제1 하부브라켓(630), 제2 하부브라켓(640), 연결포스트(650, 655, 660, 665)들 및 보강부재(670)들을 포함한다.
시트 쿠션 프레임(600)은 시트 트랙 레일(400)의 타단부 상부에 결합되고, 후방에는 시트백프레임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방 측면에는 시트백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제어하는 래치부가 형성된다.
제1 사이드멤버(610)의 일단은 넓은 표면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포스트(650, 655)들의 일측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며 전방에 해당되는 제1 방향(1)으로 연장되어 연결포스트(660, 665)들의 일측과 결합된다.
제2 사이드멤버(620)는 제1 사이드멤버(610)의 타측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사이드멤버(610)와 이격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사이드멤버(620)의 일단은 연결포스트(650, 655)들의 타측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으로 연장되어 연결포스트(660, 665)들의 타측과 결합된다.
제1 하부브라켓(630)의 일단은 내부 공간이 양측 및 상부를 향해 개방된 찬넬(Channel)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포스트(655)의 일측 하부의 전면 및 배면을 둘러싸며 연결포스트(655)의 하부에서 연결포스트(655)와 결합된다.
제1 하부브라켓(630)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타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타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며, 다시 제2 사이드멤버(620)와 인접한 위치에서 타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및 연장된다.
제1 하부브라켓(630)의 중앙부의 전방 및 후방쪽에 해당되는 측판들 각각에는 전후방을 향해 관통된 관통공(635)들이 제1 하부브라켓(630) 중앙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하부브라켓(630)의 중앙부 저면은 어퍼레일(460)의 후방에 해당되는 연결부재(467)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어퍼레일(460)의 이동에 따라 제1 하부브라켓(630) 및 시트 쿠션 프레임(600)이 이동된다.
제1 하부브라켓(63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연결포스트(655)의 타측 하부의 전면 및 배면을 둘러싸며 연결포스트(655)와 결합된다.
즉, 연결포스트(655)는 제1 하부브라켓(630)을 관통하면서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사이드멤버(610, 620)들 사이를 연결시킨다.
제2 하부브라켓(640)의 일단은 내부 공간이 양측 및 상부를 향해 개방된 찬넬(Channel)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포스트(665)의 일측 하부의 전면 및 배면을 둘러싸며 연결포스트(665)의 하부에서 연결포스트(665)와 결합된다.
제2 하부브라켓(640)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타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타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며, 다시 제2 사이드멤버(620)와 인접한 위치에서 타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및 연장된다.
제2 하부브라켓(640)의 중앙부의 전방 및 후방쪽에 해당되는 측판들 각각에는 전후방을 향해 관통된 관통공(645)들이 제2 하부브라켓(640) 중앙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 하부브라켓(640)의 중앙부 저면은 어퍼레일(460)의 연결부재(467) 제1 방향(1)쪽 상부면에 결합되고, 어퍼레일(46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제2 하부브라켓(640)이 이동된다.
제2 하부브라켓(640)의 타단은 중앙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연결포스트(665)의 타측 하부의 전면 및 배면을 둘러싸며 연결포스트(665)와 결합된다.
연결포스트(65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내부공간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사이드멤버(610)의 제2 방향(2)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2 사이드멤버(620)의 제2 방향(2)쪽에 결합된다.
연결포스트(655)의 일단은 외경이 연결포스트(650)보다 큰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포스트(650)의 전방 및 하부에서 제1 사이드멤버(610)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2 사이드멤버(620)의 후방에 결합된다.
연결포스트(660)의 일단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포스트(65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1 사이드멤버(610)의 전방 타측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2 사이드멤버(620)의 전방에 결합된다.
연결포스트(665)의 일단은 연결포스트(655)와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포스트(655)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되며, 연결포스트(660)의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제2 사이드멤버(620)의 전방에 결합된다.
보강부재(670)의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공(635)들을 관통하면서 제1 하부브라켓(630)들과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관통공(645)들에 삽입되고 제2 하부브라켓(640)과 결합된다.
보강부재(670)들은 관통공(635, 645)들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하부브라켓(630, 640)들을 연결하고, 연결포스트(650, 655, 660, 665)들과 함께 시트 쿠션 프레임(600)이 비틀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1 및 제2 하부브라켓(630, 640)들을 연결시키는 보강부재(670)들의 숫자는 시트 쿠션 프레임(600) 또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시트 쿠션 프레임(600) 또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하면 보강부재(670)들을 추가로 제1 및 제2 하부브라켓(630, 640)들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트랙 레일(400)은 로어레일(410), 제1 베어링부(420, 430)들, 제2 베어링부(440, 450)들 및 어퍼레일(460)을 포함한다.
시트 트랙 레일(400)의 일단부는 지지부(200)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 트랙 레일(400)의 타단부는 시트 트랙 레일(400)의 일단부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시트 쿠션 프레임(600)의 하부에 결합된다.
로어레일(410)은 제1 레일부재(410a), 제2 레일부재(410b) 및 하부연결부재(416)를 포함한다.
로어레일(410)은 일측 및 타측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돌출되고 상부 끝단이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갈고리 형태로 슬롯 형태의 공간들을 둘러싸는 제1 및 제2 레일부재(410a, 410b)들이 양측에 형성된다.
어퍼레일(460)의 일부분이 로어레일(410)의 슬롯 형태의 공간에 삽입되면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로어레일(410)과 결합된다.
즉, 로어레일(410)은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고 양측벽의 상단 일부분이 서로를 향해 절곡되어 "U"형 찬넬 형태로 형성된 레일부재들이 양측에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레일부재(410a)는 외측슬롯(411) 및 내측슬롯(412)을 포함하고, 제2 레일부재(410b)는 외측슬롯(413) 및 내측슬롯(414)을 포함한다.
제1 레일부재(410a)는 로어레일(410)의 일측에서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되는 수직판들의 상부 끝단이 서로를 향해 고리 형태로 절곡된 단면 구조를 가지고,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어퍼레일(460)의 일측 일부와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레일부재(410b)는 로어레일(410)의 타측에서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되는 수직판들의 상부 끝단이 서로를 향해 고리 형태로 절곡된 단면 구조를 가지고,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어퍼레일(460)의 타측 일부와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 레일부재(410a, 410b)들 각각은 제1 및 제2 레일부재(410a, 410b)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레일부재(410a, 410b)들 각각의 하부에는 상부 플레이트(250)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레일부재(410a, 410b)들 각각의 직하방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포스트(220, 230)들이 배치되어 제1 및 제2 레일부재(410a, 410b)들 각각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하부연결부재(416)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수평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은 제1 및 제2 레일부재(410a, 410b)들 각각의 하부 측면과 연결된다.
외측슬롯(411)의 일단은 제1 레일부재(410a)의 일측 하부 모서리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외측슬롯(411)의 일단 타측면 및 제1 레일부재(410a)의 바닥면 사이에는 반기둥의 볼록한 부분에 해당되는 형태로 일측 및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 하부내측면(411a)이 형성된다.
외측슬롯(411)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후 타측을 향해 수직 절곡 및 연장되며, 다시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소정의 공간 상부를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타단의 타측 상부에 해당되는 내측면에는 하부내측면(411a)과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서 서로 비스듬히 마주하는 상부내측면(411b)이 형성된다.
내측슬롯(412)의 일단은 제1 레일부재(410a)의 타측 하부 모서리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외측슬롯(411)의 타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상부로 연장된 후 소정의 공간 상부를 둘러싸는 아치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일측으로 포물선을 그리며 연장된다.
외측슬롯(413)의 일단은 제2 레일부재(410b)의 타측 하부 모서리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외측슬롯(413)의 일단 일측면 및 제2 레일부재(410b)의 바닥 사이에는 반기둥의 볼록한 부분에 해당되는 형태로 타측 및 하부를 향해 함몰된 하부내측면(413a)이 형성된다.
외측슬롯(413)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후 일측을 향해 수직 절곡 및 연장되며, 다시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소정의 공간 상부를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타단의 일측 상부에 해당되는 내측면에는 하부내측면(413a)과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부내측면(413b)이 형성된다.
내측슬롯(412)의 일단은 제2 레일부재(410b)의 일측 하부 모서리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외측슬롯(413)의 타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상부로 연장된 후 소정의 공간 상부를 둘러싸는 아치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타측을 향해 포물선을 그리며 연장된다.
외측슬롯(411) 및 내측슬롯(412) 각각은 제1 및 제2 레일부재(410a, 410b)들을 사이에 두고 외측슬롯(413) 및 내측슬롯(414)과 각각 서로 대칭되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1 베어링부(420)는 제1 리테이너(421) 및 제1 볼(422)을 포함하고, 제1 베어링부(430)는 제1 리테이너(431) 및 제1 볼(432)을 포함한다.
제1 베어링부(420)의 일단부는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볼들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총 6개의 베어링볼들이 제자리 회동 되도록 형성되며, 제1 레일부재(410a) 및 어퍼레일(46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베어링부(420)의 중앙부는 일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스틱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은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볼들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총 6개의 베어링볼들이 제자리 회동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421)의 일단은 상부 중앙의 전후방으로 연장된 일부분이 함몰되어 반기둥 형태의 홈(421a)이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 테두리의 일부분은 전후방으로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된 3개의 제1 볼(422)들 사이에서 제1 볼(422)들의 외측면 일부분과 밀착되며 경사지게 일측 및 타측으로 돌출되어 제1 볼(422)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리테이너(421)의 중앙은 일단의 전면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1 리테이너(421)의 타단은 일단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전후방으로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된 3개의 제1 볼(422)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리테이너(421)가 외측슬롯(411) 및 내측슬롯(412) 각각의 일단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볼(422)들 각각의 일측 또는 타측 저면은 하부내측면(411a, 412a)들 각각과 밀착되고, 제1 볼(422)들 각각의 상단 일부분은 제1 리테이너(421)의 일단 또는 타단에 형성된 홈(421a)을 향해 돌출되어 후술 될 어퍼레일(460)의 일부분과 밀착된다.
제1 베어링부(430)의 일단부는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볼들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총 6개의 베어링볼들이 제자리 회동 되도록 형성되며, 제2 레일부재(410b) 및 어퍼레일(46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베어링부(430)의 중앙부는 일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스틱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은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베어링볼들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총 6개의 베어링볼들이 제자리 회동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431)의 일단은 상부 중앙의 전후방으로 연장된 일부분이 함몰되어 반기둥 형태의 홈(431a)이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 테두리의 일부분은 전후방으로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된 3개의 제1 볼(432)들 사이에서 제1 볼(432)들의 외측면 일부분과 밀착되며 경사지게 돌출되어 제1 볼(432)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리테이너(431)의 중앙은 일단의 전면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제1 리테이너(431)의 타단은 일단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전후방으로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된 3개의 제1 볼(432)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리테이너(431)가 외측슬롯(413) 및 내측슬롯(414) 각각의 일단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볼(432)들 각각의 일측 또는 타측 저면은 하부내측면(413a, 414a)들 각각과 밀착되고, 제1 볼(432)들 각각의 상단 일부분은 제1 리테이너(431)의 일단 또는 타단에 형성된 홈(431a)을 향해 돌출되어 후술 될 어퍼레일(460)의 일부분과 밀착된다.
제2 베어링부(440)는 제2 리테이너(441) 및 제2 볼(442)들을 포함하고, 제2 베어링부(450)는 제2 리테이너(451) 및 제2 볼(452)들을 포함한다.
제2 베어링부(440)의 일단부는 일측 테두리가 일측 및 상부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이격 배치된 제2 볼(442)들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제2 볼(442)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베어링부(440)의 중앙부는 일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타단부는 전후방으로 이격 배치된 제2 볼(442)들의 외측면을 둘러싸며 제2 볼(442)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리테이너(441)의 일단은 상부면 및 저면이 일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볼(42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제2 볼(442)들과 결합된다.
제2 리테이너(441)의 중앙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제2 리테이너(441)의 타단은 중앙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일단과 동일한 형태로 제2 볼(442)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리테이너(441)가 제1 리테이너(421)의 상부 및 외측슬롯(411)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리테이너(441)의 일단에 결합된 제2 볼(442)들의 타측 및 상부 방향쪽 일부는 상부내측면(411b)과 밀착되고, 제2 볼(442)들의 일측 및 하부쪽 일부분은 제2 리테이너(441)의 저면에서 일측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후술될 제1 절곡부재(462)와 밀착된다.
제2 베어링부(450)의 일단부는 타측 테두리가 타측 및 상부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이격 배치된 제2 볼(452)들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며 제2 볼(452)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베어링부(450)의 중앙부는 일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타단부는 전후방으로 이격 배치된 제2 볼(452)들의 외측면 일부를 둘러싸며 제2 볼(452)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리테이너(451)의 일단은 상부면 및 저면이 타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볼(452)들과 결합되고, 중앙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2 리테이너(451)의 타단은 중앙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일단과 동일한 형태로 제2 볼(452)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리테이너(451)가 제1 리테이너(431)의 상부 및 외측슬롯(413)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리테이너(451)의 일단에 결합된 제2 볼(452)들의 일측 및 상부 방향쪽 일부분은 상부내측면(413b)과 밀착되고, 제2 볼(452)들의 타측 및 하부쪽 일부분은 제2 리테이너(451)의 저면에서 타측 하부를 향해 돌출된다.
어퍼레일(460)은 제1 슬라이딩부재(460a), 제2 슬라이딩부재(460b) 및 연결부재(467)를 포함한다.
어퍼레일(460)의 일단부는 시트 쿠션 프레임(6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로어레일(410)에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슬라이딩부재(460a)는 제1 수직부재(461), 제1 절곡부재(462) 및 제2 절곡부재(463)를 포함하고, 제2 슬라이딩부재(460b)는 제2 수직부재(464), 제1 절곡부재(465) 및 제2 절곡부재(466)를 포함한다.
연결부재(467)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지면과 수평한 수평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 쿠션 프레임(600)의 하부에 부착되며, 일부분은 구동부(500)와 연결된다.
제1 슬라이딩부재(460a)의 일단은 연결부재(467)의 일측 모서리에 해당되는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앵커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제1 레일부재(410a)의 내부에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수직부재(461)의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된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 하부에서 타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된다.
제1 절곡부재(462)의 일단은 제1 수직부재(461)의 타단 끝단의 일측 일부분이 일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측 저면은 하부내측면(411a)과 밀착된 제1 볼(422)들의 타측 상단에 밀착된다.
제1 절곡부재(462)의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 및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부내측면(411b)과 밀착된 제2 볼(442)의 일측 저면과 밀착된다.
제1 볼(422)의 크기가 제2 볼(442)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절곡부재(462)의 일단과 제1 볼(422)이 서로 밀착되는 지점은 제1 절곡부재(462)의 타단과 제2 볼(442)리 서로 밀착되는 지점보다 타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볼(422, 442)들 각각은 제1 절곡부재(46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며 제1 절곡부재(462)와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제1 절곡부재(462)가 하강하는 경우 제1 볼(422)이 안정적으로 제1 절곡부재(462)를 지지하고, 제2 볼(442)은 제1 절곡부재(462)의 타단이 타측으로 이동되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절곡부재(462) 자체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절곡부재(462)의 일단 저면은 제1 볼(422)과 경사지게 밀착되고, 제1 절곡부재(462)의 타단 상부면은 제2 볼(442)과 경사지게 밀착되므로, 시트 트랙 레일(4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 쿠션 프레임(600)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제2 절곡부재(463)의 일단은 제1 수직부재(461)의 타단 끝단의 타측 일부분이 타측 및 상부를 향해 포물선을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 저면은 제1 리테이너(421)의 타측에 결합된 제1 볼(422)들과 밀착된다.
제2 절곡부재(463)의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되고, 내측슬롯(412)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어 내측슬롯(412)의 타단 일부분과 이격된 상태로 교차된다.
따라서, 내측슬롯(412)은 제2 절곡부재(463)가 제1 레일부재(410a)의 내부에서 이탈되어 제1 레일부재(410a)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고,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시트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슬라이딩부재(460a)는 제1 베어링부(420) 및 제2 베어링부(440)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소음이 감소되고, 제1 절곡부재(462)의 파손으로 제1 슬라이딩부재(460a)가 상부로 이동되는 경우, 제2 절곡부재(463)가 내측슬롯(412)과 밀착되면서 제1 슬라이딩부재(460a) 및 제1 레일부재(410a)의 분리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절곡부재(463)의 타단은 제1 절곡부재(462)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평선상에 배치되므로, 제2 절곡부재(463)는 제1 슬라이딩부재(460a) 및 제1 레일부재(410a) 사이의 분리를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지면서 중량 감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2 슬라이딩부재(460b)의 일단은 연결부재(467)의 타측 모서리에 해당되는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후 앵커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 및 연장되어 제2 레일부재(410b)의 내부에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수직부재(464)의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된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일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된다.
제1 절곡부재(465)의 일단은 제2 수직부재(454)의 타단 끝단의 타측 테두리 일부분이 타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의 타측 저면은 하부내측면(413a)과 밀착된 제1 볼(432)들과 경사지게 밀착된다.
제1 절곡부재(465)의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 및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부내측면(413b)과 밀착된 제2 볼(452)의 타측 저면과 경사지게 밀착된다.
제1 볼(432)의 크기는 제2 볼(452)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절곡부재(465)의 일단과 밀착되는 제1 볼(432)의 지점은 제1 절곡부재(465)의 타단 및 제2 볼(452)의 밀착 지점보다 일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볼(432, 452)들 각각은 제1 절곡부재(46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며 제1 절곡부재(465)와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제1 절곡부재(465)가 하강하는 경우 제1 볼(432)이 안정적으로 제1 절곡부재(465)를 지지하고, 제2 볼(452)은 제1 절곡부재(465)의 타단이 일측으로 이동되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제2 절곡부재(466)의 일단은 제2 수직부재(464)의 타단 끝단의 일측 일부분이 일측 및 상부를 향해 포물선을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 저면은 내측슬롯(414)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어 내측슬롯(414)의 타단 일부분과 이격된 상태로 교차된다.
따라서, 내측슬롯(414)은 제2 절곡부재(466)가 제2 레일부재(410b)의 내부에서 이탈되어 제2 레일부재(410b)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고,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시트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슬라이딩부재(460b)는 제1 베어링부(430) 및 제2 베어링부(450)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소음이 감소되고, 제1 절곡부재(465)의 파손으로 제2 절곡부재(466)가 내측슬롯(414)과 밀착되면서 제2 슬라이딩부재(460b) 및 제2 레일부재(410b)의 분리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는 너트부재(510), 리드스크류(520), 축부재(530), 기어박스(540), 모터브라켓(550) 및 모터(560)를 포함하고, 너트부재(510)는 브라켓(512) 및 너트(514)를 포함한다.
구동부(500)는 모터의 구동축에 기어 연결되고 어퍼레일(460)의 내부에 제자리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리드스크류가 회동되면, 상기 리드스크류는 로어레일(410)에 결합되는 너트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구동부(500)에 형성된 모터 구동축의 회동 방향에 따라 어퍼레일(460)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되고, 시트 역시 어퍼레일(460)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너트부재(510)의 일단부는 제1 및 제2 레일부재(410a, 410b)들의 사이에서 하부연결부재(416)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리드스크류(520)와 나사 결합된다.
브라켓(512)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연결부재(416)의 상부에 결합되고, 너트(514)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너트(514)의 배면 중앙의 일부분은 전방으로 함몰되어 리드스크류(520)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리드스크류(520)의 일단은 너트(514)의 후방에서 어퍼레일(460)의 연결부재(467) 저면에 결합된 축부재(530)의 전방에 제자리 회동이 가능하게 축부재(530)와 결합된다.
리드스크류(520)의 중앙부는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너트(514)의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외측면이 너트(514)의 내측면과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기어박스(540)의 내부에서 제자리 회동이 가능하도록 기어박스(540)와 결합된다.
모터브라켓(55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어퍼레일(460)의 전방 상부면에 면결합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어퍼레일(460)의 일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일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모터(560)와 결합된다.
모터(560)는 모터브라켓(550)의 타단 상부에 결합되고, 모터(560)의 구동축은 모터브라켓(550)의 중앙부, 어퍼레일(460)의 일측에 해당되는 제1 수직부재(461) 및 기어박스(540)를 관통하여 리드스크류(520)의 타단 상부와 기어 결합된다.
기어박스(540)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460a, 460b)들의 사이에서 연결부재(467)의 저면에 결합되고, 모터(560)의 구동으로 리드스크류(520)가 회동되면 리드스크류(520)가 너트(514)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축부재(530) 및 기어박스(54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어퍼레일(460) 및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어퍼레일(460)은 제1 또는 제2 슬라이딩부재(460a, 406b) 중 단일의 어느 하나만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또는 제2 슬라이딩부재(460a, 406b) 중 단일의 어느 하나는 제1 레일부재(410a) 또는 제2 레일부재(410b)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시트 쿠션 프레임(600)은 모노 레일 형태의 지지부(200) 및 시트 트랙 레일(400)이 아닌 듀얼 트랙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트랙 레일이나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시트 쿠션 프레임(600)은 보강부재(670)의 추가 또는 분리를 통해 차량이 아닌 철도 실내의자, 비행기용 의자, 선박용 의자, 사무용 의자 또는 가정용 의자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200: 지지부
400: 시트 트랙 레일 600: 시트 쿠션 프레임

Claims (6)

  1. 일측 및 타측에 이격 배치되는 사이드멤버;
    상기 사이드멤버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포스트; 및
    상기 연결포스트의 하부 전후방에서 상기 연결포스트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브라켓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브라켓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된 찬넬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이 상부 및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연결포스트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브라켓에는 전후방을 향해 관통된 관통공들이 중앙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은,
    상기 하부브라켓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브라켓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 프레임.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48457A 2020-11-09 2020-11-09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KR10243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57A KR102437990B1 (ko) 2020-11-09 2020-11-09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57A KR102437990B1 (ko) 2020-11-09 2020-11-09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818A KR20220062818A (ko) 2022-05-17
KR102437990B1 true KR102437990B1 (ko) 2022-08-31

Family

ID=8180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457A KR102437990B1 (ko) 2020-11-09 2020-11-09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9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7626A (ja) 2007-02-23 2008-09-1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US8196887B2 (en) 2005-03-23 2012-06-12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A Unit Of Jason Incorporated Seat mount with integrated adjustment
JP6166643B2 (ja) * 2013-01-23 2017-07-19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車両用シート
JP6761170B2 (ja) * 2016-08-03 2020-09-2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446B1 (ko) * 2018-12-20 2023-12-1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6887B2 (en) 2005-03-23 2012-06-12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A Unit Of Jason Incorporated Seat mount with integrated adjustment
JP2008207626A (ja) 2007-02-23 2008-09-1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JP6166643B2 (ja) * 2013-01-23 2017-07-19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車両用シート
JP6761170B2 (ja) * 2016-08-03 2020-09-2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818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053B2 (en) Vehicle seat
US6874747B2 (en) Seat track for vehicles
EP2847029B1 (en) Longitudinal adjuster for a vehicle seat
CN103587436B (zh) 座椅导轨组件、制造其的方法及车辆座椅组件
US7506910B2 (en) Vehicle seat assembly
US7475861B2 (en) Seat rail for vehicles
US8757068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table to the side wall of a vehicle
CN104981374A (zh) 车用座椅
CN102398535A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CN115003530B (zh) 用于滑动式车门的滚子组件
CN1955039A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KR102437990B1 (ko)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CN114771380A (zh) 一种座椅腿托延伸驱动机构
KR102444747B1 (ko) 시트 트랙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프레임 어셈블리
US11285846B2 (en) Vehicle seat with scissor frame arrangement
CN113950430B (zh) 纵向调节器和车辆座椅
CN101263961A (zh) 折叠式床装置
CN100448713C (zh) 汽车座椅旋转装置
KR101856590B1 (ko) 산악철도차량의 연결통로용 발판 구조
JP2000142187A (ja) 車両のためのシ―ト軌道組立体
KR100566141B1 (ko) 자동차 좌석용 트랙 조립체 및 그 트랙 조립체가 장착된좌석
KR200406635Y1 (ko) 자동차 파워시트용 시트레일
CN114274848A (zh) 一种零重力座椅
JP6756830B2 (ja) 車両用シート
CN105253038A (zh) 一种儿童汽车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