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968B1 -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 - Google Patents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968B1
KR102437968B1 KR1020210037657A KR20210037657A KR102437968B1 KR 102437968 B1 KR102437968 B1 KR 102437968B1 KR 1020210037657 A KR1020210037657 A KR 1020210037657A KR 20210037657 A KR20210037657 A KR 20210037657A KR 102437968 B1 KR102437968 B1 KR 10243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cover
promotional
housing
triangular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 서현피엠에스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서현피엠에스, 이승환 filed Critical (주) 서현피엠에스
Priority to KR102021003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4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상자형 판촉물은, 복수 개의 닫힌면과 한 개의 열린면을 포함하는 다면체형 수납체; 상기 열린면을 닫거나 열도록 마련된 커버; 상기 열린면의 한 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수납체 사이의 수납 공간에 비치된 판촉용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축은 상기 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의 내부면을 덮도록 부착된 제1 연결지와 상기 커버의 외부면과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의 외부면을 덮도록 부착된 제2 연결지에 형성된 제1 접힘선 및 제2 접힘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Paper cardboard case-type promotional materials using three-dimensional shape}
본 발명은 판촉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입체 도형을 활용한 판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상자형 판촉물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판촉물이 공지되어 있다. 판촉물의 한 종류로 외부면에 상품 판촉을 위한 문구 등이 표시된 상자와 상자 내에 수납된 물품을 포함하는 상자형 판촉물이 있다. 기존 상자형 판촉물은 성냥이나 이쑤시개, 면봉 등의 판촉 물품과 그러한 판촉물품이 들어 있는 상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자의 겉면을 판촉사 제품의 광고 문구나 로고 등이 인쇄된 광고면으로 활용한다. 상자 내에는 판촉 대상인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수 있는 제품이 수납된다.
그러나, 기존 상자형 판촉물은 입구가 닫힌 상태와 입구가 열린 상태 모두 단조로운 사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전시물로서의 효과를 갖지 못한다. 또한, 기존 상자형 판촉물은, 판촉용 물품이 수납된 상태와 판촉용 물품을 꺼내기 위해 상자의 입구를 연 상태를 갖지만, 상자 밖으로 판촉용 물품을 꺼내기 전에는 판촉용 물품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상자에 수납된 판촉용 물품이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제품이라 하더라도, 그 판촉용 물품이 밖으로 보여지지 않는다면, 판촉 효과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기존 상자형 판촉물은 서랍식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상단의 입구를 개폐하는 사각형 커버의 단부에 입구에 끼워넣을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여 이용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보기에 안 좋거나 의도치 않게 쉽게 열리거나 또는 열린 상태에서 내부 판촉용 물품을 전시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판촉물의 다른 종류로는 책자형 판촉물이 있는데, 이러한 책자형 판촉물은 다향한 판촉 정보나 광고 문구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 많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10-0006430(2010년 6월 24일자 공개) 특허공개번호 10-2020-0068612(2020년 6월 15일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와 외관이 미려한 구조를 가지며 또한 내부에 수납된 판촉용 물품의 전시가 용이한, 입체 도형을 활용한 판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상자형 판촉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제공하며, 상기 상자형 판촉물은, 복수 개의 닫힌면과 한 개의 열린면을 포함하는 다면체형 수납체; 상기 열린면을 닫거나 열도록 마련된 커버; 상기 열린면의 한 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수납체 사이의 수납 공간에 비치된 판촉용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축은 상기 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의 내부면을 덮도록 부착된 제1 연결지와 상기 커버의 외부면과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의 외부면을 덮도록 부착된 제2 연결지에 형성된 제1 접힘선 및 제2 접힘선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는, 밑면이 직각삼각형이고 열린 빗면을 갖는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 밑면이 직각삼각형이고 열린 수직면을 갖는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 밑면이 정삼각형이고 열린면이 밑면 또는 옆면에 있는 면 열린 정삼각기둥 형상, 4 면이 정삼각형이고 4면 중 한 면이 열린면인 면 열린 정삼각뿔 형상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빗면과 일치되는 열린 빗면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체의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과 함께 닫힌 직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빗면과 일치되는 열린 빗면을 포함하는 삼각기둥 형상과 그 삼각기둥 형상에 추가된 우유팩 상부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체의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과 함께 우유팩 형상을 형성하는, 복합 입체 형상,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수직면과 일치되는 열린 수직면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체의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과 함께 닫힌 이등변 삼각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 상기 면 열린 정삼각뿔의 열린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면 열린 정삼각뿔의 열린면과 같은 면 형상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와 상기 커버 각각은 내부 판지와 상기 내부 판지의 외부를 덮는 피복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자석편과 상기 자석편에 붙는 금속편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편과 상기 금속편 각각은, 상기 내부 판지의 일측 모서리를 함몰되게 절단하여 형성된 리세스 내에 삽입된 채, 상기 피복지에 덮여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촉용 물품은, 하나 이상의 구 형상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체의 닫힌면은 상기 구 형상체의 돌출을 허용하는 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은 구조가 간단하고 콤팩트하면서 외관이 미려하고, 내부에 수납된 판촉용 물품의 전시가 용이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소유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열린 상태, 즉 내부가 완전히 개방된 사용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열린 상태, 즉 내부가 완전히 개방된 사용 상태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닫힌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의 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의 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9a, 도 9b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7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열린 상태, 즉 내부가 완전히 개방된 사용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열린 상태, 즉 내부가 완전히 개방된 사용 상태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을 닫힌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100)은,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상자형 구조물(142, 144)과 그 상자형 구조물 내에 수납된 판촉용 물품(162, 164)을 포함한다.
상자형 구조물은 복수 개의 닫힌면과 한 개의 열린면을 포함하는 다면체형 수납체(142)와, 상기 열린면을 닫거나 열도록 마련된 커버(1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자형 구조물(142, 144)은 상기 열린면의 한 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144)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180)과, 상기 커버(1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14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92, 194)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닫힌면'은 다면체를 형성하는 면들 중 닫혀 있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며, 용어 '열린면'은 실제로는 다면체를 구성하는 면들 중 하나의 면이 열려 있는 경우, 그 면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2차원적으로 볼 때 열려 있는 구멍 주변의 다면체 모서리들을 연결한 2차원 도형에 의해 한정되는 2차원적인 가상의 면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1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판촉용 물품(162, 164)은 상기 커버(144)와 상기 수납체(142) 사이의 수납 공간에 비치된다.
이때, 상기 판촉용 물품(162, 164)은 수납체(142)의 내부면에 부착된 제1 판촉용 물품(162, 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잇)과, 커버(144)의 내부면에 부착된 제2 판촉용 물품(164 ,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지)를 포함한다. 닫힌 상태에서 제1 판촉용 물품(162)과 제2 판촉용 물품(164)이 간섭하지 않도록 적절히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축(180)은 상기 커버(144)의 내부면과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142)의 내부면을 덮도록 부착된 제1 연결지(181)와 상기 커버(144)의 외부면과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142)의 외부면을 덮도록 부착된 제2 연결지(183)에 형성된 제1 접힘선(182) 및 제2 접힘선(184)을 포함한다.
또한,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자석편(192)과 상기 자석편(192)에 분리가능하게 붙는 금속편(19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편(192)은 수납체의 내부 판재(1421)의 일측 모서리를 함몰되게 절단하여 형성된 리세스(1422) 내에 삽입된 채, 상기 수납체의 피복지(1423; 바람직하게는, 코팅지)에 의해 덮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편(194)은 커버의 내부 판재(1441)의 일측 모서리를 함몰되게 절단하여 형성된 리세스(1442) 내에 삽입된 채, 상기 수납체의 피복지(1443; 바람직하게는, 코팅지)에 의해 덮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판재(1421)는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142)는, 밑면(142A)이 직각삼각형이고 열린 수직면 갖는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용어 '열린 수직면'은 열린면이면서 직각삼각형의 빗변 아닌 변들 중 상대적으로 더 긴 변을 포함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은 직각삼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삼각기둥이면서 수직면이 개방되어 수납 공간이 오픈된 삼각기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144)는, 수납공간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수직면과 일치되는 열린 수직면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체(142)의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과 함께 닫힌 이등변 삼각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144) 또한 밑면(144A)이 직각삼형이고, 직각삼각형의 빗변을 포함하는 빗면이 아닌 수직면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수납체(142)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밑면(142A, 142A) 사이에 닫힌 빗면(142B)이 구비되며, 상기 닫힌 빗면(142B) 상에 전술한 포스트잇을 포함하는 제1 판촉용 물품(16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커버(144)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밑면(144A, 144A) 사이에 닫힌 빗면(144B)이 구비되며, 상기 닫힌 빗면(144B) 상에 전술한 메모지 세트를 포함하는 제2 판촉용 물품(164)이 부착되어 있다.
열린 상태에서 서로 등을 지고 접해 있는 수납체(142) 및 커버(144)의 밑면들에 구비된 빗변 아닌 변(수직인 변)에 전술한 축(180)이 제공되며, 이 축(180)을 중심으로 상기 커버(144) 및/또는 수납체(142)가 회전하여,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닫힌 상태의 이등변 삼각기둥 모양의 상자형 판촉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열린 상태에서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자 상자형 판촉물을 닫힌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이하 설명되는 몇몇 구성을 제외하면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축(180)에 평행하게 인접해 있고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만나는 수납체(142)의 밑면(142A, 142A)의 변(수직변)과 커버(144)의 밑면(142A, 142A)의 변(수직변)에는 반원형 홀(149A, 149A)들이 형성되고, 축(180)과 멀리 이격되어 있고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만나는 수납체(142)의 밑면(142A)의 변(수직변)과 커버(144)의 밑면(142A)의 변에도 다른 반원형 홀(149A, 149A)들이 형성된다. 닫힌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반원형 홀들이 서로 만나 한 쌍의 원형 홀(149B, 149B)들을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100)은 펜형 방습모듈(10)을 포함하는데, 상기 펜형 방습모듈(10)은 상기 원형 홀(149B, 149B)들을 막도록 상기 원형 홀(149B, 149B)들에 삽입되어 닫힌 상태의 수납공간 내 중간에 길게 배치된다.
방습모듈(10)의 길이는 홀(149B, 149B))들 사이의 거리와 같게 정해진다. 소비자에게 제공되기 전까지, 즉, 유통과정에서는, 방습모듈(10)이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대략 원형의 기밀테이프(20, 20)가 홀(149B, 149B)을 막도록 부착되어, 방습모듈(1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테이프(200. 20)는 손으로 쉽게 떨어질 수 있는 정도의 점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에 자국을 남기지 않거나 또는 점착물질이 쉽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방습모듈(10)은 방습제가 포함된다. 방습모듈(10)이 수납공간의 거의 중앙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으므로, 판촉용 물품들 전체에 대하여 균일하게 방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캡슐 등 포함된 약제 등과 같이 습기에 의해 변질이 쉬운 물품이 수납되는 경우에 매우 우리하게 적용된다. 본 실시예는 판촉 대상자들에 전달되기 전까지 장기간 보관이 필요한 판촉물 특성상, 저장, 보관, 운반 도중 발생할 수 있는 판촉용 물품들의 변질을 막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소비자에게 전달된 후에는, 소비자가 필요에 따라, 방습모듈(10) 대신에 볼펜과 같은 필기구 등을 닫힌 상태에서의 반원형 홀들 또는 열린 상태에서 원형 홀들에 끼워 펜 꽂이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방습 모듈(10)의 직경은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펜의 직경과 거의 같게(최소한 작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 및 도 9b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열린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판자 상자형 판촉물을 닫힌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200)은,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상자형 구조물(242, 244)과 그 상자형 구조물(242, 244) 내에 수납된 판촉용 물품(262, 264)을 포함한다.
상자형 구조물(242, 244)은 복수 개의 닫힌면과 한 개의 열린면을 포함하는 다면체형 수납체(242)와, 상기 열린면을 닫거나 열도록 마련된 커버(2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자형 구조물(242, 244)은 상기 열린면의 한 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244)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280)과, 상기 커버(2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24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2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 즉,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판촉용 물품(262, 264)은 상기 커버(244)와 상기 수납체(242) 사이의 수납 공간에 비치된다. 이때, 상기 판촉용 물품(262, 264)은 수납체(242)의 내부면에 부착된 제1 판촉용 물품(262)과, 상기 커버(244)의 내부면에 부착된 제2 판촉용 물품(264)을 포함한다.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242)는, 밑면(242A)이 직각삼각형이고 열린 빗면을 갖는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용어 '열린 빗면'은 열린면이면서 직각삼각형의 빗변을 포함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빗면 열린 삼각기둥'은 직각삼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삼각기둥이면서 빗면이 개방되어 수납 공간이 오픈된 삼각기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244)는, 수납공간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빗면과 일치되는 열린 빗면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체(242)의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과 함께 닫힌 직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244) 또한 밑면(244A)이 직각삼형이고, 직각삼각형의 빗변을 포함하는 빗면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열린 상태에서 서로 등을 지고 접해 있는 수납체(242) 및 커버(244)의 밑면들에 구비된 빗변들에 전술한 축(280)이 제공되며, 이 축(280)을 중심으로 상기 커버(244) 및/또는 수납체(242)가 회전하여,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내용들, 예컨대, 축의 구조, 자석편과 금속편 고정 구조 등은 앞선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그대로 따를 수 있다. 다만, 자석편과 금속편은 수납체 및/또는 커버가 회전함으로서 선택적으로 만나게 되는 밑면의 빗변들 각각에 인접헤 위치하며, 축 또한 빗변에 위치한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방습모듈이 끼워지는 반원형 홀 또는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빗변 아닌 아닌 변들에 반원형 홀들이 각각 형성되지만,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조에 적용한다면, 닫힌 상태에서, 서로 대응하는 빗변들이 만나므로, 빗변들에 반원형 홀들이 형성된다. 서로 대응하는 밑변의 빗변들이 만나면, 서로 대응하는 반원형 홀들도 서로 만나 방습모듈 또는 펜이 끼워지는 원형 홀들을 형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열린 상태에서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닫힌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300)은,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우유팩 상자형 구조물(342, 344)과 그 우유팩 상자형 구조물 내에 수납된 판촉용 물품(362, 364)을 포함한다.
우유팩 상자형 구조물은 복수 개의 닫힌면과 한 개의 열린면을 포함하는 다면체형 수납체(342)와, 상기 열린면을 닫거나 열도록 마련된 커버(3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자형 구조물은 상기 열린면의 한 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344)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380)과, 상기 커버(3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34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3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 즉,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판촉용 물품(362, 364)은 상기 커버(344)와 상기 수납체(342) 사이의 수납 공간에 비치된다. 이때, 상기 판촉용 물품(362, 364)은 수납체(342)의 내부면에 부착된 제1 판촉용 물품(362)과, 상기 커버(344)의 내부면에 부착된 제2 판촉용 물품(364)을 포함한다.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342)는, 밑면(342A)이 직각삼각형이고 열린 빗면을 갖는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344)는, 닫힌 상태에서 수납체의 열린 빗면과 일치되는 열린 빗면을 포함하는 삼각기둥 형상과 그 삼각기둥 형상에 추가된 우유팩 상부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체의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과 함께 우유팩 형상을 형성하는, 복합 입체 형상을 포함한다. 즉, 상기 커버(344)는 밑면(344A)이 직각삼각형이고 열린 빗면을 갖는, 수납체(342)와 같은 입체 형상의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열린 상태에서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닫힌 상태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400)은,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정삼각뿔 형태의 상자 구조물(442, 444)과 상자 구조물 내에 수납된 판촉용 물품(462, 464)을 포함한다.
정삼각뿔 형태의 상자 구조물은 복수 개의 닫힌면과 한 개의 열린면을 포함하는 다면체형 수납체(442)와, 상기 열린면을 닫거나 열도록 마련된 커버(4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자형 구조물은 상기 열린면의 한 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444)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480)과, 상기 커버(4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44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4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 즉,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판촉용 물품(462, 464)은 상기 커버(444)와 상기 수납체(442) 사이의 수납 공간에 비치된다. 이때, 상기 판촉용 물품(462, 464)은 수납체(442)의 내부면에 부착된 제1 판촉용 물품(462)과, 상기 커버(444)의 내부면에 부착된 제2 판촉용 물품(464)을 포함한다.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442)는, 4 면이 정삼각형이고 4면 중 한 면이 열린면인 면 열린 정삼각뿔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444)는, 상기 면 열린 정삼각뿔의 열린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면 열린 정삼각뿔의 열린면과 같은 정삼각형을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열린 상태에서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닫힌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500)은,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정삼각기둥 형태의 상자 구조물(542, 544)과 그 상자 구조물 내에 수납된 판촉용 물품(562, 564)을 포함한다.
정삼각기둥 형태의 상자 구조물은 복수 개의 닫힌면과 적어도 한 개의 열린면을 포함하는 다면체형 수납체(542)와, 상기 열린면을 닫거나 열도록 마련된 커버(5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자형 구조물은 상기 열린면의 한 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544)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580)과, 상기 커버(5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54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5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 즉,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판촉용 물품(562, 564)은 상기 커버(544)와 상기 수납체(542) 사이의 수납 공간에 비치된다. 이때, 상기 판촉용 물품(562, 564)은 수납체(542)의 내부면에 부착된 제1 판촉용 물품(562)과, 상기 커버(544)의 내부면에 부착된 제2 판촉용 물품(564)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체(542)는 밑면이 정삼각형이고 열린면이 밑면 또는 옆면에 있는(본 실시예에서는 밑면에 있음) 면 열린 정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544)는, 상기 면 열린 정삼기둥의 열린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면 열린 정삼각기둥의 열린면과 같은 형상을 포함한다. 열린면이 옆면인 경우, 커버(544)는 직사각형이 되며, 도시된 것과 같이, 열리면이 밑면인 경우, 커버(544)는 삼각형이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열린 상태에서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닫힌 상태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600)은, 종이 판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정삼각뿔 형태의 상자 구조물(642, 644)과 상자 구조물 내에 수용되는, 구 형상체의 판촉용 물품(660)을 포함한다.
정삼각뿔 형태의 상자 구조물은 복수 개의 닫힌면과 한 개의 열린면을 포함하는 다면체형 수납체(642)와, 상기 열린면을 닫거나 열도록 마련된 커버(6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자형 구조물은 상기 열린면의 한 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644)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680)과, 상기 커버(6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64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납체(642)의 닫힌면들과 상기 커버(644)는 상기 구 형상체로 이루어진 판촉용 물품(660)의 돌출을 허용한는 홀(640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자를 열지 않고도, 구 형상체로 이루어진 판촉용 물품(660)을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해주며, 또한, 구 형상체로 이루어진 판촉용 물품(66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줄 수 있다. 구 형상체로 이루어진 판촉용 물품(660)은 다양한 운동경기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들 중 한 종류의 공일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자형 판촉물(700)은 정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수납체(742)와, 수납체(742)의 열린면을 개폐하는 커버(744)와, 상기 수납체(742)에 수용된 채 고정된 구형상체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판촉용 물품(760)을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납체(742)의 닫힌면은 상기 구 형상체로 이루어진 판촉용 물품(760)들의 돌출을 허용하는 복수 개의 홀(7402)들을 포함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상자형 판촉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자형 판촉물(800)은 상자형 구조물(842, 844)과 판촉용 물품을 포함한다. 상자형 구조물 내에는 상자형 구조물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83)를 포함한다. 상자형 구조물은 복수 개의 닫힌면과 한 개의 열린면을 포함하는 다면체형 수납체(842)와, 상기 열린면을 닫거나 열도록 마련된 커버(8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자형 구조물(842, 844)은 상기 열린면의 한 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844)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과,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84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844)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판촉용 물품(미도시는)들은 칸막이(83)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상기 커버(844)와 상기 수납체(842) 사이의 수납 공간에 비치된다.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842)는, 밑면(842A)이 직각삼각형이고 열린 수직면 갖는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844)는, 수납공간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수직면과 일치되는 열린 수직면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체(842)의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과 함께 닫힌 이등변 삼각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844) 또한 밑면(844A)이 직각삼형이고, 직각삼각형의 빗변을 포함하는 빗면이 아닌 수직면이 열린 삼각기둥 형상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것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수납체(842)는 서로 마주하는 닫힌면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밑면(842A, 842A)에 상기 칸막이(8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84)을 상하로 길게 구비한다. 상기 수납체(42)가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경우, 사출 성형시 상기 홈(84)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판지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홈을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커버(84)는 수납체(84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서, 수납체(42)와 마찬가지로 칸막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하나 이상 포함하며, 그 홈은 서로 마주하는 닫힌면에 형성된 채 서로 마주한다.
각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사항 그리고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 다른 실시예들 중 특정 실시예의 구성을 그대로 따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상자형 판촉물
142, 242, 342, 442, 542, 642, 742...................수납체
162, 262, 362, 462, 562, 662, 762...................제1 판촉용 물품
164, 264, 364, 464, 564, 664, 764...................제2 판촉용 물품
180, 280, 380, 480, 580, 680, 780...................축
10...................................................방습모듈

Claims (4)

  1. 복수 개의 닫힌면과 한 개의 열린면을 포함하는 다면체형 수납체;
    상기 열린면을 닫거나 열도록 마련된 커버;
    상기 열린면의 한 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회전을 허용하는 축;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린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수납체 사이의 수납 공간에 비치된 판촉용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축은 상기 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의 내부면을 덮도록 부착된 제1 연결지와 상기 커버의 외부면과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의 외부면을 덮도록 부착된 제2 연결지에 형성된 제1 접힘선 및 제2 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는,
    밑면이 직각삼각형이고 열린 빗면을 갖는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
    밑면이 직각삼각형이고 열린 수직면을 갖는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
    밑면이 정삼각형이고 열린면이 밑면 또는 옆면에 있는 면 열린 정삼각기둥 형상,
    4 면이 정삼각형이고 4면 중 한 면이 열린면인 면 열린 정삼각뿔 형상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빗면과 일치되는 열린 빗면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체의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과 함께 닫힌 직사각 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빗면과 일치되는 열린 빗면을 포함하는 삼각기둥 형상과 그 삼각기둥 형상에 추가된 우유팩 상부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체의 빗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과 함께 우유팩 형상을 형성하는, 복합 입체 형상,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열린 수직면과 일치되는 열린 수직면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체의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과 함께 닫힌 이등변 삼각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수직면 열린 삼각기둥 형상,
    상기 면 열린 정삼각뿔의 열린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면 열린 정삼각뿔의 열린면과 같은 면 형상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와 상기 커버 각각은 내부 판재와 상기 내부 판재의 외부를 덮는 피복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자석편과 상기 자석편에 붙는 금속편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편과 상기 금속편 각각은, 상기 내부 판재의 일측 모서리를 함몰되게 절단하여 형성된 리세스 내에 삽입된 채, 상기 피복지에 덮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촉용 물품은,
    하나 이상의 구 형상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체의 닫힌면은 상기 구 형상체의 돌출을 허용하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 내에는 하나 이상의 칸막이가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다면체형 수납체는 상기 복수개의 닫힌 면 중 서로 마주하는 닫힌면에 상기 칸막이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을 상하로 길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
KR1020210037657A 2021-03-24 2021-03-24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 KR10243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57A KR102437968B1 (ko) 2021-03-24 2021-03-24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57A KR102437968B1 (ko) 2021-03-24 2021-03-24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968B1 true KR102437968B1 (ko) 2022-08-31

Family

ID=8306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657A KR102437968B1 (ko) 2021-03-24 2021-03-24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9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571A (ko) * 1998-07-04 2000-02-07 고종택 조립식 교습구 세트
KR20100006430U (ko) 2008-12-16 2010-06-24 이관득 판촉물용 수납상자
KR20110006728U (ko) * 2009-12-29 2011-07-06 태양당인쇄(주) 음식물 포장박스
KR20190098683A (ko) * 2018-02-13 2019-08-22 주식회사 엔블리스컴즈 수납함을 포함하는 조립식 달력
KR20200021806A (ko) * 2018-08-21 2020-03-02 이건산업 주식회사 이건 마루 스마트업 키트
KR20200068612A (ko) 2020-05-12 2020-06-15 하준열 자석식 판촉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571A (ko) * 1998-07-04 2000-02-07 고종택 조립식 교습구 세트
KR20100006430U (ko) 2008-12-16 2010-06-24 이관득 판촉물용 수납상자
KR20110006728U (ko) * 2009-12-29 2011-07-06 태양당인쇄(주) 음식물 포장박스
KR20190098683A (ko) * 2018-02-13 2019-08-22 주식회사 엔블리스컴즈 수납함을 포함하는 조립식 달력
KR20200021806A (ko) * 2018-08-21 2020-03-02 이건산업 주식회사 이건 마루 스마트업 키트
KR20200068612A (ko) 2020-05-12 2020-06-15 하준열 자석식 판촉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7391A (ko) 인출식 셸형 패키지
US2778487A (en) Display container
US20070227943A1 (en) Product packaging
CN102821646B (zh) 外壳基部和相关联的外壳以及组装方法
US3648831A (en) Display package for watchbands or the like
KR102437968B1 (ko) 입체 도형을 활용한 상자형 판촉물
US3253703A (en) Packaging construction
US20120267276A1 (en) Multi-media storage and business card blank
US7503563B2 (en) Combined gift container and kinetic puzzle
USD604364S1 (en) Three-dimensional pentagonal presentation device
US3576253A (en) Package for toys
JPH06509777A (ja) 複数の箱形物品、特にフロッピーディスク等のデータキャリアの保管、展示用パッケージ
KR102209057B1 (ko) 수납함을 포함하는 조립식 달력
CN220744017U (zh) 双层包装盒
CN219566085U (zh) 一种卡牌的对开包装盒
CN109625527B (zh) 一种双面展示盒及其制作方法
US20180303212A1 (en) Expandable storage container for writing and art implements
CN202820528U (zh) 商品展示盒
CN202771765U (zh) 展示结构
JP7201303B1 (ja) 外観を変更できる収納箱
CN212654840U (zh) 一种双开式展示盒结构
USD523901S1 (en) Storage system for index cards and the like
JP3099638U (ja)
JP7300867B2 (ja) シート包装材およびそれを用いる包装体
CN209720436U (zh) 包装盒及牙胶包装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