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938B1 -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 Google Patents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938B1
KR102437938B1 KR1020200079352A KR20200079352A KR102437938B1 KR 102437938 B1 KR102437938 B1 KR 102437938B1 KR 1020200079352 A KR1020200079352 A KR 1020200079352A KR 20200079352 A KR20200079352 A KR 20200079352A KR 102437938 B1 KR102437938 B1 KR 10243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hip
service
access control
course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3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1240A (en
Inventor
배익준
주용범
하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핏투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핏투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핏투비
Priority to KR102020007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938B1/en
Publication of KR2022000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2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9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각 피트니스 센터에서 시스템적으로 멤버쉽 정책을 설정하고, 회원이 특정 멤버쉽에 등록하면, 해당 회원 멤버쉽의 멤버쉽 정책에 따라 피트니스 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회원의 접근권한을 실시간으로 인증하고 출입을 통제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제어 장치를 등록하는 센터 관리부; 멤버쉽의 유형과 등급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이용범위를 설정하는 멤버쉽 정의부; 개인 트레이닝이나 단체강좌 서비스 등 강좌 서비스를 각각 독립된 객체로 등록하는 강좌 등록부; 강좌 서비스에 대한 수강 시간표를 작성하는 수강시간 작성부; 가입 정보를 입력받아 가입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부; 가입 회원의 스마트 단말에 서비스 앱을 설치하도록 제공하고 가입 회원의 서비스 앱을 인증하는 앱 설정부; 수강 권한이 있는 강좌 서비스를 다운로드 시켜주는 강좌시간 다운로드부; 상기 출입제어 장치를 통해 회원의 멤버쉽에 따라 회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디지털 도어락 기술과 멤버쉽 관리 기술을 접목시키고 모바일 앱을 활용함으로써, 출입횟수, 출입시간, 특정 강좌에 대한 수강권한, 수강횟수 등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에 대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고, 실무 현장에서 출입 요청이 있는 시점(Point of Access)에 실시간으로 이용권한을 인증하고 접근을 보다 정밀하게 통제할 수 있다. Membership policy is systematically set in each fitness center, and when a member registers for a specific membership, the member's access right to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fitness center is authentic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membership policy of the member's membership and access is controlled in real time. ,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center management unit for registering an access control device; Membership definition unit that sets the type and grade of membership and sets the service use range accordingly; a course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course services such as individual training or group lecture services as independent objects; Class time writing unit to create a class timetable for the course service; a member register for receiving membership information and registering as a registered member; App setting unit for providing to install the service app on the smart terminal of the subscribing member and authenticating the service app of the subscribing member; a course time download unit that downloads course services with the right to take courses; Through the access control device,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ccess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ember's access according to the member's membership is provided, and the digital door lock technology and membership management technology are combined and the mobile app is used. You can establish policies for various options for accessing the service, such as the right to take courses and the number of times taken, and authenticate the right to use in real time at the point of access request in the field and improve access. can be precisely controlled.

Description

서비스 접근 권한에 따라 출입을 통제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 {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door lock that controls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

본 발명은 각 피트니스 센터에서 시스템적으로 멤버쉽 정책을 설정하고, 회원이 특정 멤버쉽에 등록하면, 해당 회원 멤버쉽의 멤버쉽 정책에 따라 피트니스 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회원의 접근권한을 실시간으로 인증하고 출입을 통제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ystematically sets a membership policy in each fitness center, and when a member registers for a specific membership, the member's access right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fitness center is authentic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membership policy of the member's membership and access It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that controls

특히, 본 발명은 회원의 스마트 단말에 멤버쉽 앱이 설치되고, 각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에 디지털 도어락이 설치되고, 멤버쉽 앱으로부터 회원의 멤버쉽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접근 권한을 인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블루투스나 NFC 등 근거리 무선통신망 또는 공중 인터넷망을 활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통제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membership app on a member's smart terminal, a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each fitness center, recognizes the member's membership from the membership app in real time to authenticate the access right, and according to the result, Bluetooth It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that controls the opening or blocking of a digital door lock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NFC or a public Internet network.

일반적으로, 학원, 피트니스 센터, 도서관, 지하철, 영화관, 호텔, 놀이공원, 나이트클럽 등 오프라인 시설물들에 대한 접근제어는 티켓과 턴게이트에 의해 이루어졌다. 즉, 고객이 박스 오피스에서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고 먼저 티켓을 구입한 후, 출입구에서 검표원에게 직접 보여 주거나 또는 티켓에 인쇄된 정보를 마그네틱 카드 리더로 읽히면, 막혀있던 턴게이트가 회전하여 고객이 시설물의 출입구를 통과한다.In general, access control to offline facilities such as academies, fitness centers, libraries, subways, movie theaters, hotels, amusement parks, and night clubs was performed by tickets and turngates. In other words, if the customer pays a predetermined fee at the box office and first purchases a ticket, then shows it directly to the ticket inspector at the entrance or reads the information printed on the ticket with a magnetic card reader, the blocked turngate rotates and the customer Go through the entrance to the facility.

그러나 최근 출입통제가 자동화 되면서, 문지기(Gateman)가 고객이 보유한 티켓을 수동으로 검표하고 출입을 선택적으로 허용해 주는 방식 대신 바코드나 NFC,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통신기술과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오프라인 영업장에 대한 출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도어락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2].However, as access control has recently been automated, the gateman manually checks the customer's ticket and selectively allows access, instead of usin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arcode, NFC, and Bluetooth and mobile apps to access offline business sites. A door lock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ntry and exit to a door is proposed [Patent Documents 1 and 2].

한편, 피트니스 센터나 학원 등도 기간이나 횟수를 기준으로 제한하는 멤버쉽이나 금액을 기준으로 하는 선불권 등 다양한 기준으로 멤버쉽에 다양한 요금정책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회원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다양한 멤버쉽의 등록 서비스를 웹이나 모바일 등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고, 온라인 상에서 등록한 회원들이 오프라인 상의 시설물에 출입하거나 이용할 때, 등록한 멤버쉽에 따라 회원들의 출입을 통제한다.On the other hand, fitness centers and private academies are also applying various fee policies to membership based on various criteria, such as membership that is limited based on the period or number of times, or prepayment vouchers based on the amount.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member management system provides such various membership registration services online, such as web or mobile, and when members registered online access or use offline facilities, the members' access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gistered membership.

그러나 기존의 회원관리 시스템은 출입구에서 게이트맨에 의해 고객별로 서비스 접근권한의 유무만 시스템적으로 판단하여, 출입을 허용하거나 금지한다. 즉, 기존의 시스템은 반 수동적인 단순한 출입통제 기능만을 지원하고 있다.However, in the existing member management system, on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service access right for each customer is systematically judged by the gateman at the entrance, and access is permitted or prohibited. That is, the existing system supports only semi-passive simple access control functions.

이하에서, 피트니스 센터의 경우를 예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se of the fitness cen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피트니스 센터는 각자 시장에서 고객 니즈에 적합한 마케팅 정책을 수립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피트니스 관련 운동 시설과 공간, 단체 강좌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회원들에게 차별화된 과금 체계를 적용해서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멤버쉽을 발급하고, 멤버쉽에 따라 이러한 차별적인 서비스와 과금을 적용하고 있다.Each fitness center establishes a marketing policy suitable for customer needs in each market and provides services such as fitness-related exercise facilities, spaces, and group courses in various ways, and in return applies a differentiated billing system to charge members. . In particular, various memberships are issued, and these differentiated services and charges are applied according to membership.

종래의 피트니스 센터에는 기간제, 횟수제, 선불제 등 크게 3가지 유형의 전형적인 멤버쉽이 존재한다. 각 멤버쉽별로 과금 기준이 되는 기간이나 횟수, 또는 선불요금의 규모에 따라, 여러가지 서비스에 대한 이용 권한을 차등화시키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fitness center, there are three types of typical memberships, such as a fixed term system, a frequency system, and a prepaid system. The right to use various services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period or number of billing standards for each membership, or the size of the prepaid fee.

먼저, 기간제 멤버쉽은 기간에 따라 운동종목별 단체 강좌, 락커, 회원권 양도, 방문횟수, 수강횟수. 출입시간 등 회원이 접근할 수 있는 각 서비스별 이용 권한을 차등화해서 요금을 부과한다. 예를 들어, 기본 1개월 멤버쉽인 경우, 요금은 5만원이고, 가입 회원은 해당 피트니스 센터에서 열리는 어떤 강좌도 수강할 권한이 없고, 혼자서 하루 1회 입장해서 셀프 트레이닝만 할 수 있다. 6개월 멤버쉽인 경우, 가입 회원은 1개월 멤버쉽의 요금에 20만원을 추가하면 획득할 수 있고, 하루에 필라테스, 요가, 스피닝, 크로스핏 등 개설된 강좌 중 하나만 선택해서 수강할 수 있다. 또한, 12개월 멤버쉽인 경우, 요금은 30만원이고, 가입 회원은 개설된 모든 강좌를 하루에 원하는 만큼 모두 수강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각 멤버십 별로 출입가능한 시간을 방문자가 가장 적은 시간대(예를 들면 오전 11시에서 오후 1시까지)로 제한하고 대신 할인된 요금으로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fixed-term membership depends on the period, group lectures by sport, lockers, membership transfer, number of visits, and number of classes. Fees are charged by differentiating the use rights for each service that members can access, such as access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asic one-month membership, the fee is 50,000 won, and the registered member does not have the right to take any courses held at the fitness center, and can only enter once a day and do self-training alone. In the case of a six-month membership, a member can acquire it by adding 200,000 won to the one-month membership fee, and can select and take only one of the open courses such as Pilates, Yoga, Spinning, and CrossFit per day.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12-month membership, the fee is 300,000 won, and a registered member can take all the opened courses as many times as they want in one day. In addition, in addition, the access time for each membership may be limited to a time zone with the least number of visitors (for example, from 11 am to 1 pm), and a discounted rate may be provided instead.

다음으로, 횟수제 멤버쉽은 1인 퍼스널 트레이닝(PT)이나 소규모 그룹 PT의 수강 횟수를 기준으로 서비스를 차등화해서 요금을 부과한다. 예를 들어, 퍼스널 트레이닝 10회를 수강할 수 있는 멤버쉽의 경우, 가입 회원은 PT를 예약한 날 외에는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이 불가능하게 통제될 수 있다. PT 20회의 멤버쉽의 경우, 가입 회원은 피트니스 센터의 무제한 출입을 보장되어, PT 예약이 없는 날에도 피트니스 센터에 마음대로 출입해서 혼자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30회의 멤버쉽의 경우, 가입 회원은 PT와 무제한 출입 권한 외에도 크로스핏, 스피닝, 필라테스 등 모든 단체강좌를 무제한적으로 수강할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Next, for the number of times membership, fees are charged by differentia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one person takes personal training (PT) or small group P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embership that can take 10 personal training sessions, access to the fitness center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registered member cannot access the fitness center except on the day on which the PT is reserved. In the case of PT 20 membership, members are guaranteed unlimited access to the fitness center, so they can freely access the fitness center and exercise on their own, even on days without PT reservations. In addition, in the case of membership for 30 sessions, members can receive unlimited access to all group classes such as CrossFit, Spinning, and Pilates in addition to PT and unlimited access rights.

마지막으로 금액이 정해진 선불 멤버쉽은 일시불로 구입된 후 피트니스 센터에 출석을 하거나 특정 강좌를 신청할 때마다 각각 정해진 요금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관리된다. 선불 멤버쉽도 50만원, 100만원 등 정해진 요금에 따라 출입횟수, 수강횟수, 락커, 양도권한 등 다양한 옵션을 차등화해서 정의될 수 있다. Lastly, a prepaid membership with a fixed amount is purchased as a lump sum and then managed in such a way that each time you attend a fitness center or apply for a specific course, the set fee is deducted. Prepaid membership can also be defined by differentiating various options such as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 number of courses, lockers, and transfer rights according to a set fee such as 500,000 won or 1 million won.

이와 같이 피트니스 센터는 어떤 유형으로 멤버쉽을 설정하더라도 그 등급(또는 수준)별로 일 출입횟수, 수강 가능한 단체강좌, 일 수강횟수, 출입시간, 락커 이용 여부, 멤버쉽 양도 가능 여부, 홀딩 횟수, 무료 PT 제공 여부 등 다양한 옵션을 추가적으로 셋팅할 수 있다.As such, no matter what type of membership is set in the fitness center, by grade (or level), the number of daily access, group lectures, daily attendance, access time, locker availability, membership transferability, number of holdings, and free PT are provided. Various options can be additionally set.

한편, 상기와 같은 멤버쉽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입된 멤버쉽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는 것이다. 즉, 각 멤버쉽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 통제, 단체 또는 개인 강좌의 수강 권한 등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적절히 통제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membership management as described above is to control access to services according to the subscribed membership. That is, access to selectively provided services such as access control of fitness center according to each membership and the right to take group or individual courses should be appropriately controlled.

종래에, 많은 피트니스 센터에서 다양한 회원관리 솔루션이 제공되고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다양한 멤버쉽 정책이 정확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각 가입 회원을 세밀하게 통제하지 못하고 있다. 즉, 다양한 멤버쉽 정책을 실무에 적용하면, 관리자나 담당자가 이러한 모든 멤버쉽 정책을 숙지하기 어렵고 권한이 없는 회원의 센터 출입이나 강좌 수강을 일일이 통제하기 어렵다.Conventionally, various member management solutions have been provided and used in many fitness centers, but it is not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each member member so that various membership policies as described above can be accurately applied. In other words, when various membership policies are applied in practice, it is difficult for administrators or managers to understand all of these membership policies,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access to the center or take courses by members without authority.

구체적으로, 기존 피트니스 센터 운영관리 솔루션은 전형적으로 터치 스크린 방식을 사용하여 회원의 피트니스 센터 출입을 관리해 왔으나, 멤버쉽 별로 디테일하게 셋팅된 일 출입횟수, 강좌별 수강권한, 수강횟수, 출입시간 등 다양한 옵션을 현장에서 파악하여 통제하기 어려웠다.Specifically, the existing fitness center operation and management solution has typically used a touch screen method to manage members' access to the fitness center, but various options such as the number of daily entry and exit details set for each membership, the right to take each course, the number of courses, and the access time was difficult to grasp and control in the field.

또한, 기존 솔루션은 회원이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해서 입구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에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면 서버에서 유효회원 여부를 인증하고 출입가능 여부에 관해 피드백을 준다. 그러나 기존 솔루션은 멤버쉽의 유효성만을 확인할 뿐 수강 가능한 단체강좌나 예약된 개인레슨, 강좌별 출입 가능 횟수에 관한 권한까지 세세하게 체크하지 못한다. 따라서 하루에 한번만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1개월 멤버쉽에 가입한 회원이 아침에 피트니스 센터에 이미 방문했음에도, 저녁에 다시 터치스크린에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면, 정상적인 유효회원으로 인증을 받고 출석할 수 있다. 즉, 피트니스 센터의 직원이 해당 회원이 아침에 이미 출입했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출입을 차단하지 않는 이상 통제할 수 없다.In addition, in the existing solution, when a member visits the fitness center and enters a mobile phone number on the touch screen installed at the entrance, the server authenticates whether the member is a valid member and gives feedback on whether access is possible. However, the existing solution only checks the validity of membership, but does not check in detail the right to take group classes, reserved private lessons, and the number of times per class can be accessed. Therefore, even if a member who signed up for a one-month membership set to allow access only once a day has already visited the fitness center in the morning, if he enters his cell phone number on the touch screen again in the evening, he can be authenticated as a normal valid member and attend. In other words, they have no control over it unless the staff at the fitness center remembers that the member has already been in and out in the morning and blocks access.

따라서 피트니스 센터의 관리자는 기존 피트니스 센터 운영관리 시스템에서 기간과 횟수에 따른 요금만을 간단히 정의해서 유효 회원인지 여부만을 확인한다. 그리고 관리자는 나머지 피트니스 센터 일 출입 횟수, 단체수업 수강 권한 및 수강 횟수, 출입 시간, 락커나 운동복 이용권한 등을 문서 상의 정책만 수립하고, 이 규칙을 회원에게 숙지시키는 방법 밖에 없었다.Therefore, the manager of the fitness center simply defines only the fee according to the period and the number of times in the existing fitness center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checks only whether the member is a valid member. And the manager had no choice but to establish a document policy on the number of daily access to the fitness center, the right to take group classes and the number of classes, the access time, and the right to use lockers or sportswear, and to make the members familiar with these rules.

따라서 멤버쉽의 옵션이 다양해질수록 이를 반영하여 오프라인 상의 시설물의 출입을 보다 세밀하게 통제할 수 있는 회원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Therefore, as membership options become more diversified, a member management system that can more precisely control access to facilities offline is needed by reflecting thi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4893호(2018.02.12.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14893 (published on February 12, 201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5709호(2017.06.14.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65709 (published on Jun. 14,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피트니스 센터에서 시스템적으로 멤버쉽 정책을 설정하고, 회원이 특정 멤버쉽에 등록하면, 해당 회원 멤버쉽의 멤버쉽 정책에 따라 피트니스 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회원의 접근권한을 실시간으로 인증하고 출입을 통제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when a membership policy is systematically set in each fitness center, and a member registers for a specific membership, the fitness center provides according to the membership policy of the member membership.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that authenticates members' access rights to services in real time and controls acces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원의 스마트 단말에 멤버쉽 앱이 설치되고, 각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에 디지털 도어락이 설치되고, 멤버쉽 앱으로부터 회원의 멤버쉽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접근 권한을 인증하고, 그 결과에 따라 블루투스나 NFC 등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활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통제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henticate the access right by recognizing the member's membership in real time from the membership app, the membership app is installed in the member's smart terminal, the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each fitness center, and the result is Accordingly, it is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that controls the opening or blocking of a digital door lock by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NFC.

특히,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기술과 멤버쉽 관리 기술을 접목시키고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출입횟수, 출입시간, 특정 강좌에 대한 수강권한, 수강횟수 등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에 대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게 하고, 실무 현장에서 출입 요청이 있는 시점(Point of Access)에 실시간으로 이용권한을 인증하고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digital door lock technology and membership management technology and utilizes a mobile app to establish policies for various options for accessing services, such as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 time of entry, right to attend a specific course, and number of courses This is to authenticate the right to use and control access in real time at the point of access request at the actual si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비스 앱이 설치된 회원의 스마트 단말,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 및, 피트니스 센터 내의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제어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제어 장치를 등록하는 센터 관리부; 멤버쉽의 유형과 등급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이용범위를 설정하는 멤버쉽 정의부; 개인 트레이닝이나 단체강좌 서비스 등 강좌 서비스를 각각 독립된 객체로 등록하는 강좌 등록부; 강좌 서비스에 대한 수강 시간표를 작성하는 수강시간 작성부; 가입 정보를 입력받아 가입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부; 가입 회원의 스마트 단말에 서비스 앱을 설치하도록 제공하고 가입 회원의 서비스 앱을 인증하는 앱 설정부; 수강 권한이 있는 강좌 서비스를 다운로드 시켜주는 강좌시간 다운로드부; 상기 출입제어 장치를 통해 회원의 멤버쉽에 따라 회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that is connected to a network with an access control device installed on a door in a fitness center, a smart terminal of a member installed with a service app, a manager terminal of an administrator, and a fitness center, a center management unit for registering an access control device; Membership definition unit that sets the type and grade of membership and sets the service use range accordingly; a course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course services such as individual training or group lecture services as independent objects; Class time writing unit to create a class timetable for the course service; a member register for receiving membership information and registering as a registered member; App setting unit for providing to install the service app on the smart terminal of the subscribing member and authenticating the service app of the subscribing member; a course time download unit that downloads course services with the right to take cours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cces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ccess of the member according to the membership of the member through the access control device.

또,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멤버쉽 유형은 기간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기간제 멤버쉽, 횟수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횟수제 멤버쉽, 선불 금액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선불제 멤버쉽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the membership type is a fixed-term membership in which the grade is determined by the period, a number-based membership in which the grad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imes, and a prepaid membership in which the grade is determined by the prepaid amount characterized as being distinct.

또,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트레이닝 서비스와 부대 서비스로 구분되고, 상기 트레이닝 서비스는 시설물을 이용하여 혼자 트레이닝을 하는 셀프 트레이닝, 헬스 장비를 이용하여 혼자 트레이닝을 하되, 개인 트레이너에 의해 지도를 받는 개인 트레이닝, 및, 다수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특정한 주제에 따라 강사의 지도 하에 트레이닝을 받는단체 강좌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the service is divided into a training service and an incidental service, and the training service is self-training for training alone using facilities, and training alone using fitness equipment. , individual training guided by a personal trainer, and a group course in which a plurality of members receive training under the guidance of an instructor according to a specific topic.

또,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대 서비스는 락커 이용, 운동복 제공, 멤버쉽의 일시 정지 서비스, 멤버쉽 권리의 양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the incidental service is at least one of locker use, sportswear provision, membership suspension service, and membership transfer.

또,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터 관리부는 상기 출입제어 장치의 식별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출입 통제부는 등록된 출입제어 장치의 식별정보를 해당 출입제어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출입제어 장치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the center management unit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registered, and the access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giste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to the corresponding access control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control device is ope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락 기술과 멤버쉽 관리 기술을 접목시키고 모바일 앱을 활용함으로써, 출입횟수, 출입시간, 특정 강좌에 대한 수강권한, 수강횟수 등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에 대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고, 실무 현장에서 출입 요청이 있는 시점(Point of Access)에 실시간으로 회원의 이용권한을 인증하고 접근을 보다 정밀하게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digital door lock technology and membership management technology and utilizing a mobile app,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 time of entry, right to attend a specific course, number of courses, etc. Effect of being able to establish policies for various options for accessing services, and to authenticate members' use rights in real time at the point of access request in the field of work and to control access more precisely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피트니스 센터의 일 출입횟수, 수강권한이 있는 강좌, 일 수강횟수, 출입시간, 락커 이용여부, 회원권 양도 여부 등 피트니스 센터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옵션을 원하는 대로 선택해서 멤버쉽을 유연하게 관리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도어락 기술을 모바일 앱과 연동시켜 멤버쉽 정책대로 현장에서 출입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daily entrances and exits of the fitness center, courses with the right to attend, the number of times a day, access time, whether to use a locker, whether to transfer membership, etc. In addition to flexibly managing membership by selecting options as desired, digital door lock technology is linked with the mobile app to control access to the site according to the membership policy.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활용하여 단순히 유효회원 여부만을 인증해서 회원의 출입을 선별적으로 허용해 주는 기존 회원관리 시스템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overcom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member management system that selectively permits member access by simply authenticating whether a member is a valid member using a touch screen.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멤버쉽 유형과 등급에 따른 서비스 이용범위를 예시한 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간제 멤버쉽을 생성하고 정의하는 예시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횟수제 멤버쉽을 생성하고 정의하는 예시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불제 멤버쉽을 생성하고 정의하는 예시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좌 서비스를 등록하는 예시 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좌 서비스의 시간표를 등록하는 예시 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원을 등록하는 예시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앱에서의 수강시간표의 예시 화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부의 출입 통제 방법을 나타낸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n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able illustrating a service use range according to membership types and gra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screen for creating and defining a fixed-term member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screen for creating and defining a number-based member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screen for creating and defining a prepaid member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screen for registering a cours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screen for registering a timetable of a cours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screen for registering a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screen of the course schedule in the service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access control method of an access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monstrating this invention, the same part is attached|subjected by the same code|symbol, and the repeti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회원이 소지하는 스마트 단말(10),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50), 회원의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되어 회원의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앱(20), 회원의 멤버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멤버쉽 관리 서버(30), 및,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출입제어 장치(60)로 구성된다. 서비스 앱(20), 및, 멤버쉽 관리 서버(30) 등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8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추가로 센터 정보, 출입제어장치 정보, 회원 정보 등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10 owned by the member, the manager terminal 50 used by the manager, and the smart terminal 10 of the member to provide the member's membership service It is composed of a service app 20 that provides a service, a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that provides a member's membership management service, and an access control device 60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fitness center. The service app 20 , and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80 such as the Interne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atabase 40 for storing related data such as center information,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member information, and the like.

먼저, 회원의 스마트 단말(10)은 회원이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스마트 단말(1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First, the member's smart terminal 10 is a mobile terminal used by the member, and is a smart terminal equipped with a normal computing function, such as a smartphone, a phablet, and a tablet PC. In particular, the smart terminal 10 is a terminal in which applications or mobile applications (or apps, applications), etc. are installed and executed.

또한, 스마트 단말(10)은 이동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소자,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소자 등을 구비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단말(10)은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파이 등을 통해 멤버쉽 관리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블루투스나 NFC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출입제어 장치(6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단말(10)은 인터넷 등에 연결된 상태에서 컴퓨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terminal 10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NFC, and the like. Through this, the smart terminal 1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Wi-Fi, o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NFC. can In particular, the smart terminal 10 may perform a computing function while connected to the Internet or the like.

다음으로, 서비스 앱(20)은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되어 수행되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으로서, 멤버쉽 관리 서버(30)과 연동하여 트레이닝 센터의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다.Next, the service app 20 is a mobile application (or app, application) that is installed and executed on the smart terminal 10, and is a program system that provides a membership service of the training center in conjunction with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구체적으로, 서비스 앱(20)은 회원 정보 및, 회원이 등록한 멤버쉽 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앱(20)은 멤버쉽 관리 서버(30)로부터 회원 및 멤버쉽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특히, 서비스 앱(20)은 회원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으면, 멤버쉽 서버(30)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한편, 이때, 서비스 앱(20)은 자신이 가입한 피트니스 센터에 대한 정보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ice app 20 stores member information and membership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member. Preferably, the service app 20 receives and stores member and membership information from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In particular, when the service app 20 receives user authentication by a member, it accesses the membership server 30 to receive and stor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at this time, the service app 20 may also receive and store information about the fitness center to which he has joined.

특히, 서비스 앱(20)은 회원 정보로서, 연령, 성별, 병력 정보 등을 보유하여, 강좌 서비스를 등록할 때 해당 강좌 서비스에 대해 수강 금지된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rvice app 20, as member information, retains age, gender, medical history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ubject is prohibited from taking the course service when registering the course service.

또는 서비스 앱(2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회원 가입 또는 회원 등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회원 가입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가입 정보를 멤버쉽 관리 서버(30)에 전송하여 회원을 등록시킨다. 그리고 등록된 회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rvice app 20 may perform a member registration or member registr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at is,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membership is input, and the corresponding subscrip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to register the member. In addition, the registered member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stored.

또한, 서비스 앱(20)은 회원이 가입한 멤버쉽에 따라 수강 권한이 있는 강좌 서비스의 수강 일정(또는 수강 시간표)을 다운로드 하고, 수강이 가능한 강좌 서비스 목록을 스마트 단말(10)의 화면에 표시한다. 회원의 선택(또는 입력)에 의해, 수강할 강좌 서비스를 등록받아 예약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app 20 downloads the course schedule (or course timetable) of the course service to which the member has the right to attend according to the membership registered by the member, and displays a list of course services that can be taken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10 . According to the member's selection (or input), the course service to be taken is registered and reserved.

또한, 서비스 앱(20)은 해당 회원이 가입한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제어장치(60)에 대한 정보(또는 출입제어장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즉, 서비스 앱(20)은 해당 회원에 의해 사용자 인증을 받은 후 출입제어장치 정보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app 20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or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of the fitness center to which the member has joined. That is, the service app 20 receives the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after receiving user authentication by the member.

한편, 서비스 앱(20)이 출입제어장치(6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문개방 명령을 전달하는 경우(이하 제1 실시예),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제어장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즉, 출입제어장치 정보는 출입제어장치(60)를 멤버십 관리 서버(30)에서 시스템적으로 유니크하게 찾아낼 수 있는 식별정보(또는 식별번호)와 제조업체에서 발급한 제품번호 등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rvice app 20 transmits a door opening comman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the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stored. That is, the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identification number) that can systematically and uniquely find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i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and a product number issued by the manufacturer.

서비스 앱(20)은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출입제어 장치(6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앱(20)은 출입제어 장치(60)와 블루투스 커넥션을 맺고 디지털 도어락에 문을 개폐를 요청할 수 있다.The service app 2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installed in the fitness center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That is, the service app 20 may establish a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nd request the digital door lock to open and close the door.

이때, 하나의 실시예(제1-1 실시예)로서, 서비스 앱(20)은 "문열기" 메뉴의 선택 입력에 따라, 해당 회원의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출입이 가능한 경우, 출입제어 장치(60)로 개방 명령을 전송한다. 이 때 서비스 앱(20)은 문열기 메뉴 접속시 회원의 출입가능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다음으로 블루투스 스캐닝을 통해 출입제어장치(60)가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블루투스 시그널에 포함된 식별정보 등 출입제어장치 정보를 인식하고 서비스 앱 접속(20)시 사용자 인증을 받은 후 멤버십 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받아 스마트 단말(10)에 이미 저장하고 있는 출입제어장치 정보와 비교해서 두가지가 일치할 경우에만 블루투스 커넥션을 설정하고 도어락 개방 명령을 전달한다. At this time, as one embodiment (Example 1-1), the service app 20 determines whether the member can enter or not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put of the "Open door" menu, and when access is possible, access control Send an open command to device 60 . At this time, the service app 20 first determines whether a member can enter or not when accessing the door opening menu, and then controls access such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luetooth signal continuously emitted by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through Bluetooth scanning. After recognizing the device information and receiving user authentication when accessing the service app (20), it is received from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and compared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already stored in the smart terminal (10), only when the two match the Bluetooth Establish a connection and transmit a door lock open command.

또한, 회원이 가입한 멤버십에 따라 요청한 시점에 출입이 불가한 상태이거나 출입제어장치(60)가 발산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한 출입제어장치 정보와 서비스 앱(20)에서 사용자 인증 후 이미 보관하고 있는 출입제어장치(60)의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출입 불가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완전히 같은 종류의 도어락 제품이라 하더라도 회원은 등록된 피트니스 센터 이외의 출입문은 통과할 수 없도록 통제된다. 특히, 전자의 출입이 불가한 상태인 경우, 출입제어 장치(60)가 발산하는 블루투스 신호의 스캐닝 자체를 시작하지 않고 - 또는 블루투스 커넥션 맺지 않고 - 바로 출입 불가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membership the member has signed up for, access is not possible at the time requested or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emitted by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nd access already stored after user authentication in the service app 20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 device 60 does not match, a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access is not allowed is output. Through this, even if it is the same type of door lock product, members are controlled so that they cannot pass through the door other than the registered fitness center. In particular, when the former is in a state in which access is not allowed,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does not start scanning the Bluetooth signal emitted by itself - or does not establish a Bluetooth connection - and immediately outputs a message indicating that access is not allowed.

다른 실시예(제1-2 실시예)로서, 서비스 앱(20)은 상기 출입이 가능한 상태에서 식별정보를 포함한 출입제어장치 정보가 일치할 경우 출입제어 장치(60)와 블루투스 커넥션을 맺고 도어락 개방명령을 바로 전달하지 않고 대신 회원 및 회원이 가입한 멤버십 정보만을 출입제어장치(60)에 제한적으로 전송하면서 문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출입제어장치(60)는 상기 회원 및 회원이 가입한 멤버쉽 정보를 멤버쉽 관리 서버(30)에 전달하면서 서비스 접근권한에 대한 인증 및 그 결과에 따른 문개방 명령을 요청한다. 그러면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상기 회원 및 회원이 가입한 멤버쉽 정보에 따라서 상기 회원의 서비스 접근 권한을 실시간으로 인증한 후 차단 또는 개방 명령을 출입제어장치(6)로 반환해 준다. 출입제어장치(60)는 멤버십 관리 서버(30)로부터 반환받은 명령에 따라 잠금장치를 해제하거나 통제한다.As another embodiment (Example 1-2), the service app 20 establishes a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nd opens the door lock when the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in the state in which the access is possible. Instead of directly transmitting the command, the door may be requested to be opened while limitedly transmitting only the member and the member's membership information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 At this time,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transmits the member and the member's membership information to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and requests authentication for the service access right and a door opening comm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returns the blocking or opening command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6 after authenticating the member's service access right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member and the member's membership informa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releases or controls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mmand returned from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또한, 서비스 앱(20)이 출입제어장치(6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문개방명령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멤버십 관리서버(30)를 통해 우회적으로 출입제어장치(60)에 개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이하 제2 실시예). 서비스 앱(2)에서 출석할 강좌를 회원으로부터 입력받고 문열기 메뉴가 실행되면 우선 회원의 멤버십 정책에 따라 요청 시점에 회원의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회원이 출입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서비스 앱(20)은 출입제어장치(60)에서 발산하는 블루투스 시그널을 감지해서 사용자 인증 시 멤버십 관리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저장하고 있는 식별정보를 비롯한 출입제어장치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두가지 출입제어장치 정보가 일치할 경우 다음 단계로 서비스 앱(20)은 멤버십 관리서버(30)에서 출입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하는 문개방 명령을 호출함으로써 멤버쉽 관리서버(30)를 통해 우회해서 도어락 개방을 요청한다. 마지막 단계로 서비스 앱(20)으로부터 문개방 명령을 수신한 멤버쉽 관리서버(30)가 제3의 통신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는 출입제어장치(60)에게 개폐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블루투스나 nfc 등 출입체어장치(60)와 서비스 앱(60)간 근거리 무선통신은 문 개방명령을 직접 전송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회원이 현재 출입구에 존재한다는 것을 인증하기 위한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출입제어장치(6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앱(20)은 언제 어디서나 - 예를 들면, 피트니스 센터가 문을 닫은 밤늦은 시간에 지하철에서도 - 문개방 명령을 호출해서 멤버십 관리서버(30)를 통해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락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 심각한 보안 침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서비스 앱(20)에서 출입제어장치(60)가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블루투스(BLE) 시그널을 감지하거나 nfc 탭핑을 하는 것은 회원이 실제로 피트니스 센터 출입구에 도착했다는 것을 시스템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service app 20 does not transmit the door opening comman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but can transmit the opening/closing command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in a detour through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Yes (hereinafter second embodiment). In the service app (2), when the course to attend is input by the member and the door open menu is executed,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ember can enter or not at the time of the request according to the member's membership polic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mber is in an accessible state, the service app 20 detects a Bluetooth signal emitted from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nd receives from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during user authentic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Compare it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If the two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matches, the service app 20 as a next step bypasses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by calling the door opening command provided to control the access control device from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Request to open the door lock. As a final step,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that has received the door opening command from the service app 20 transmits an opening/closing command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gateway. In this cas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nd the service app 60, such as Bluetooth or nfc, is not for directly transmitting a door open command, but can be used limitedly for the purpose of authenticating that the member is present at the entrance. have. If the second embodimen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rvice app 20 anytime, anywhere - for example, in the subway late at night when the fitness center is closed - door open command It is possible to open the door lock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fitness center through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by calling , in which case there is a risk of serious security breach. That is, sensing the Bluetooth (BLE) signal continuously emitted by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in the service app 20 or tapping the nfc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guarantee that the member actually arrives at the entrance to the fitness center.

한편 서비스 앱(20)에서 호출하는 문개방 명령은 멤버십 관리서버(30)에서 출입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하는 일종의 API (Application Protocol Interface)로서 기술적으로는 http나 소켓 통신 등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문개방 명령 또는 문을 열기 위한 인증키는 출입제어장치(60)를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에 설치하고 그 식별정보를 포함한 출입제어장치 정보를 멤버십 관리서버에 피트니스 센터의 프로파일로 등록해 놓으면 정해진 규약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개별적인 출입제어장치 마다 유니크한 문개방명령이 멤버십 관리서버(40)에서 제공하는 API 형태로 생성된다. 서비스 앱(20)은 멤버쉽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인증 후 문열기 메뉴에 접속했을 때 해당 회원의 출입 가능 여부만을 먼저 판단하고 이미 생성되어 있는 문개방 명령을 호출하기만 하면 된다. 서비스 앱(20)에서 호출한 문개방 명령은 멤버십 관리서버(30)에 전송되고, 다시 멤버십 관리서버(30)가 인터넷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출입제어장치(60)에 문개방 요청을 전송한다. 출입제어장치를 멤버십 관리서버(30)에 등록하면 시스템적으로 유니크하게 자동 생성되는 문개방 명령은 외부로 유출되었을 경우 해킹의 위험이 있으므로 서비스 앱에서만 인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코딩된다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opening command called by the service app 20 is a kind of API (Application Protocol Interface) provided by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to control the access control device. Technically, it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such as http or socket communication. have. More specifically, if the door opening command or the authentication key for opening the door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fitness center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as a profile of the fitness center i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It can be creat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a set protocol. That is, a unique door opening command for each individual access control device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n API provided by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40 . When accessing the door opening menu after user authentication including membership information, the service app 20 only needs to first determine whether the member can enter or not, and only calls the already created door opening command. The door opening command called by the service app 20 is transmitted to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and agai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transmits a door opening request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 When the access control device is registered i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the door opening command, which is automatically and uniquely systemically generated, may be hacked if leaked to the outside, so it is preferable if it is encoded in a way that can be recognized only by the service app.

다음으로, 관리자 단말(50)은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단말이다. 또한, 관리자 단말(50)은 피트니스 센터 내에 서버로서 구축될 수도 있다.Next, the manager terminal 50 is a terminal used by the manager, and is a terminal equipped with a normal computing function, such as a PC, a notebook computer,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50 may be built as a server in the fitness center.

관리자 단말(50)은 웹 등을 통해 멤버쉽 관리 서버(30)에 접속하여 관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관리자 단말(50)에 설치된 관리자 전용 클라이언트를 설치하고,관리자 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50 may access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web or the like to perform management tasks, or install a manager-only client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50, and perform management tasks through the manager-only client. have.

우선, 관리자 단말(50)은 관리자가 관리하는 피트니스 센터를 등록한다. 즉, 피트니스 센터의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50)을 통해 접속하여, 피트니스 센터를 멤버십 관리서버(30)에 등록한다. 이때, 피트니스 센터 관련 정보와 카드결제 정보 등을 입력하여 등록시킨다. 또한, 등록 시,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센터 계정을 발급받을 수 있다.First, the manager terminal 50 registers the fitness center managed by the manager. That is, the manager of the fitness center accesses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 and registers the fitness center with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At this tim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tness center and card payment information are input and registered. Also, upon registration, a center account of the fitness center may be issued.

또한, 관리자 단말(50)은 출입제어 장치(60)를 멤버쉽 관리서버(30)에 등록한다. 즉, 피트니스 센터의 관리자는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 GX룸이나 PT룸 등 강좌가 실행되는 장소의 출입구(출입문) 등에 출입제어 장치(60)를 설치하고, 설치된 출입제어 장치(60)를 멤버쉽 관리서버(30)에 등록한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50 registers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to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That is, the manager of the fitness center installs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t the entrance of the fitness center, the entrance (entry door) of the place where the lecture is executed, such as the GX room or PT room, and uses the installed access control device 60 as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Register at (30).

이때, 관리자 단말(50)은 출입제어장치(6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식별번호 등)를 등록한다. 이때 출입제어장치의 식별정보는 고유번호나, 출입제어 장치(60)의 블루투스 신호에 의한 고유 정보(이하 블루투스 고유정보)로 설정된다. 상기 블루투스 고유 정보는 출입제어 장치(60)의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하여 설정되며, 근접 UUID(Proximity UUID), 메이저 값(Major Value), 마이너 값(Minor Value) 등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anager terminal 50 regist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number, etc.) capable of identifying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is set as a unique number or unique information (hereinafter, Bluetooth unique information) by the Bluetooth signal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 The Bluetooth-specific information is set by detecting a Bluetooth signal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nd includes a proximity UUID (Proximity UUID), a Major Value, and a Minor Value.

한편, 출입제어장치(60)는 와이파이(WiFi) 등 통신 게이트웨이 장비를 통해 인터넷 등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멤버십 관리서버(30)와 직접 통신한다. 즉, 서비스 앱(20)과 출입제어장치(60) 사이에서, 블루투스나 NFC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직접 연결하지 않는다. 대신, 멤버십 관리 서버(30)는 서비스 앱(20)으로부터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문 개방 요청을 수신 받고,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출입제어장치(60)와 직접 통신하여 직접 도어 개방 명령을 요청한다.On the other h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is connected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rough a communication gateway device such as Wi-Fi, and communicates directly with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That is, there is no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service app 20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NFC. Instead,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a door open request from the service app 2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and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o directly request a door open command.

또한, 관리자 단말(50)은 회원을 등록시킬 수 있다. 회원의 가입 정보 등을 입력받아 가입 회원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피트니스 센터에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고객의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고객을 가입 회원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50 may register a member. You can register as a registered member by inputting the member's registration information, etc. As an example, for a customer who has visited the fitness center, by inputting the customer's subscription information, the customer may be registered as a subscription member.

또한, 관리자 단말(50)은 멤버쉽 관리 서버(30)에 접속하여, 기간제, 횟수제, 선불권 등의 멤버쉽을 생성한다. 특히, 관리자 단말(50)은 멤버쉽의 유형과, 해당 유형에서의 등급을 설정하고, 각 유형과 등급에 따른 서비스(또는 서비스 종류) 및 그 서비스 이용범위를 설정하여, 각 멤버쉽을 정의한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50 accesses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to generate membership such as a term system, a number of times system, and a prepaid ticket. In particular, the manager terminal 50 sets the type of membership and the grade in the corresponding type, sets the service (or service type) according to each type and grade, and the service use range, and defines each membership.

또한, 관리자 단말(50)은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영하는 크로스핏, 요가, 필라테스, 스피닝, 개인 트레이닝 등 개인 트레이닝이나 단체강좌 서비스(또는 강좌 서비스)를 각각 독립된 객체로 등록한다. 이때, 강좌 서비스에 대한, 종목, 수업 방법, 난이도, 인원 제한, 회당 수업시간, 수강금지 대상, 회당 차감 횟수, 강사 등의 속성들을 정의한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50 registers individual training or group lecture services (or course services) such as CrossFit, yoga, Pilates, spinning, and personal training operated by the fitness center as independent objects. At this time, for the course service, attributes such as event, class method, difficulty level, limit of number of people, class time per session, subject to be prohibited, number of deductions per session, instructor, and the like are defined.

또한, 관리자 단말(50)은 강좌 서비스에 대한 수강 시간표를 작성한다. 수강시간표 작성에는 일정기간 정해진 시간에 반복되는 단체 강좌와 회원이 가능한 시간에 예약하는 개인 트레이닝 등 두가지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관리자가 일방적으로 입력하여 설정하고, 후자의 경우 각 회원의 요청에 따라 각 트레이너가 입력하여 특정 시간에 예약이 결정된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50 creates a timetable for taking the course service. There can be two methods of creating a course schedule: a group course repeated at a set ti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ndividual training that members reserve at a time available. In the former case, the manager unilaterally inputs and sets it, and in the latter case, each trainer inputs i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each member and the reservation is determined at a specific time.

다음으로, 출입제어 장치(60)는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출입제어 장치(60)는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문 외에도, 피트니스 센터 내에 강좌가 진행되는 공간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에도 설치될 수 있다.Next,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fitness center,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r blocking of the door.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may be installed on the entrance door for entering and exiting a space in which a lecture is conducted in the fitness center, in addition to the entrance door of the fitness center.

제1-1 실시예의 경우, 출입제어 장치(60)는 스마트 단말(10) 또는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된 서비스 앱(20)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개방 명령을 수신하면, 해당 출입문을 개방시킨다.In the case of the 1-1 embodiment,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opens the corresponding door when receiving an open comman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smart terminal 10 or the service app 20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10 . .

한편, 출입제어 장치(60)는 와이파이(wifi)나 제3 통신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 등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멤버쉽 관리서버(3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출입제어 장치(60)는 멤버쉽 관리 서버(30)와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Meanwhile,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rough Wi-Fi or a third communication gateway to communicate with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That is,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이때, 제1-2 실시예의 경우, 출입제어 장치(60)는 스마트 단말(10) 또는 서비스 앱(20)으로부터 멤버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멤버쉽 정보를 멤버쉽 관리 서버(30)로 전송하고, 멤버쉽 관리 서버(30)로부터 출입문의 개방 명령 또는 차단 명령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명령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 또는 차단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1-2 embodiment,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receives membership information from the smart terminal 10 or the service app 20, and transmits the received membership information to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a door open command or a blocking command from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Then, the door is opened or block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또한, 제2 실시예의 경우, 스마트 단말(10) 또는 서비스 앱(20)에서 개방 명령이 멤버쉽 관리 서버(30)로 전송되고, 다시 출입제어 장치(60)는 멤버쉽 관리 서버(30)로부터 출입문의 개방 명령 또는 차단 명령을 직접 수신한다. 그리고 출입제어 장치(60)는 수신한 명령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 또는 차단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an open command from the smart terminal 10 or the service app 20 is transmitted to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gain receives the door from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Directly receive an open command or a block command.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opens or blocks the door according to the received command.

다음으로,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통상의 서버로서, 멤버쉽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Next,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is a normal server and provides a service for managing membership.

구체적으로,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피트니스 센터를 등록하고 센터 계정을 발급하다. 이때, 피트니스 센터의 계정을 센터 계정 또는 관리자 계정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등록할 때, 피트니스 센터명, 종목, 주소지 등의 피트니스 센터의 프로파일 정보와 신용카드 등 결제정보 입력받아 저장한다.Specifically,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registers a fitness center and issues a center account. At this time, the account of the fitness center will be referred to as a center account or an administrator account. In additio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and stores payment information such as credit card and profile information of the fitness center such as a fitness center name, event, and address when registering.

또한,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출입제어 장치(60)를 등록받는다. 즉, 센터 관리자는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나 강의실 출입문 등에 출입 제어 장치(60)를 설치하고, 출입제어 장치(60)를 멤버쉽 관리 서버(30)에 등록한다. 이때, 출입제어장치의 식별정보(identifier)를 함께 등록한다.In additio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the registr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That is, the center manager installs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t the entrance of the fitness center or the classroom door, and registers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i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er)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is registered together.

출입제어장치의 식별정보는 출입 제어 장치(60)가 저전력 블루투스 (BLE)를 사용하는 경우 BLE 통신 표준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UUID(Proximity UUID), 메이저 값(Major Value), 마이너 값(Minor Value) 등을 포함한 출입 제어 장치를 유니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식별번호(identifier)를 피트니스 센터의 프로파일 정보로 저장하고 관리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is a UUID (Proximity UUID), Major Value, Minor Value that is continuously emitted according to the BLE communication standard when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uses Bluetooth Low Energy (BLE). ), etc., which can uniquely identify access control devices, are stored and managed as profile information of the fitness center.

또한,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개인의 인적 정보(또는 가입 정보)를 입력받아 가입 회원으로 등록한다. 특히, 회원 등록을 위한 연동 인터페이스 또는 모듈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personal information (or subscription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and registers it as a subscription member. In particular, an interworking interface or module for member registration is provided.

또한,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가입 회원의 스마트 단말(10)에 서비스 앱(20)을 설치하도록 제공하고, 가입 회원의 서비스 앱(20)을 인증한다.In additio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provides to install the service app 20 on the smart terminal 10 of the subscribing member, and authenticates the service app 20 of the subscribing member.

또한,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멤버쉽의 유형과, 해당 유형에서의 등급을 설정하고, 각 유형과 등급에 따른 서비스(또는 서비스 종류) 및 그 서비스 이용범위 또는 권한을 설정하여, 각 멤버쉽을 정의한다.In additio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sets the type of membership and the grade in the type, sets the service (or service type) according to each type and grade, and the service use range or authority, and defines each membership do.

또한,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영하는 크로스핏, 요가, 필라테스, 스피닝, 개인 트레이닝(또는 퍼스널 트레이닝) 등 개인 트레이닝이나 단체강좌 서비스(또는 강좌 서비스)를 각각 독립된 객체로 등록한다.In additio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registers individual training or group lecture services (or course services) such as CrossFit, yoga, Pilates, spinning, and personal training (or personal training) operated by the fitness center as independent objects.

또한,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강좌 서비스에 대한 수강 시간표를 작성한다.In additio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creates a course timetable for the course service.

또한,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출입제어 장치(60)를 통해, 회원이 가입한 멤버쉽의 유효성을 체크하고 회원의 멤버쉽에 따라 회원의 출입을 통제한다. 즉, 접속되는 회원의 멤버쉽을 인식하고, 회원의 멤버쉽에 따라 해당 회원이 출입 가능한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출입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제어 장치(60)를 통해 출입을 개방하고, 출입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 불가한 사유를 출력하여 안내한다.In addition,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checks the validity of the membership subscribed by the member, and controls the access of the member according to the membership of the member. That is, the membership of the accessed member is recognized, and it is determined in real time whether the member can access or not according to the member's membership.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entry and exit is possible, the entrance is opened throug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entry is not possible, the reason for not being able to enter is output and guide.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40)는 피트니스 센터 및 해당 센터의 출입제어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센터DB(41), 멤버쉽 정보를 저장하는 멤버쉽DB(42), 강좌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강좌DB(43),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DB(44)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database 40 is a center DB 41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itness center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of the center, a membership DB 42 for storing membership information, and a course DB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course service. (43), a member DB 44 for storing member information.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base 40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in developing a specific device, it may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database construction theory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and efficiency of access and search.

한편, 서비스 앱(20)과 멤버쉽 관리 서버(30)는 통상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구성 방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체 시스템의 기능들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서버와 통신 량 등에 따라 분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앱(20)이 멤버쉽 상태나 강좌 서비스에 대한 정보 만을 다운로드하여 출력하고 서버(30)가 멤버쉽에 따른 허용가능한 강좌 서비스 목록이나 출입 통제 판단 등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앱(20)이 회원의 멤버쉽 내용이나 강좌 서비스의 내용을 모두 다운로드 하여, 출입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서버(30)는 데이터나 백업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서비스 앱(20)에서 서버(30)로부터 실시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출입 통제 여부를 수행하고 서버(30)에서 회원의 멤버쉽에 실행결과를 반영하여 실시간의 멤버쉽 상태를 갱신하는 것으로 분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멤버쉽 관리 시스템으로 설명하나,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ice app 20 and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 typical method of configuring a client and a server. That is, the functions of the entire system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lient or the amount of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For example, the service app 20 may download and output only information on membership status or course service, and the server 30 may perform all operations such as a list of allowable course services according to membership or access control determination. Alternatively, the service app 20 may download all the contents of the member's membership or course service, determine whether to enter or not, and the server 30 may perform only the data or backup function. Alternatively, the service app 20 can receive real-tim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server 30 to perform access control, and the server 30 reflects the execution result in the member's membership to update the real-time membership status. have. Hereinafter, the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but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erver-client configuration metho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멤버쉽 관리 시스템은 도 1의 멤버쉽 관리 서버(30)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멤버쉽 관리 시스템의 도면 부호도 멤버쉽 관리 서버(30)와 동일하게 부여한다.Next,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of FIG. 1 . Hereinafter, reference numerals of the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are given the same as those of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

도 2에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은 피트니스 센터 및 출입제어장치를 등록하는 센터 관리부(31), 멤버쉽의 유형과 등급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이용범위를 설정하는 멤버쉽 정의부(32), 개인 트레이닝이나 단체강좌 서비스 등 강좌 서비스를 각각 독립된 객체로 등록하는 강좌 등록부(33), 강좌 서비스에 대한 수강 시간표를 작성하는 수강시간 작성부(34), 가입 정보를 입력받아 가입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부(35), 가입 회원의 스마트 단말(10)에 서비스 앱(20)을 설치하도록 제공하고 가입 회원의 서비스 앱(20)을 인증하는 앱 설정부(36), 수강 권한이 있는 강좌 서비스를 다운로드 시켜주는 강좌시간 다운로드부(37), 출입제어 장치(60)를 통해 회원의 멤버쉽에 따라 회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부(3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center management unit 31 that registers a fitness center and an access control device, sets the type and grade of membership, and sets the service use range accordingly. Unit 32, a course registration unit 33 for registering course services such as individual training or group course service as an independent object, a course time writing unit 34 for creating a course timetable for the course service, receiving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signing up A member registration unit 35 for registering as a member, an app setting unit 36 for providing to install the service app 20 on the smart terminal 10 of the subscribing member and authenticating the service app 20 of the subscribing member, and the right to take It is composed of a lecture time download unit 37 for downloading a course service, and an access control unit 38 for controlling access of a member according to the member's membership through an access control device 60 .

먼저, 센터 관리부(31)는 피트니스 센터 및 해당 센터의 출입제어 장치(60)를 등록한다.First, the center management unit 31 registers the fitness center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of the corresponding center.

구체적으로 센터 관리부(31)는 관리자 단말(50)에 의해, 피트니스 센터를 등록하고, 해당 피트니스 센터의 계정(또는 센터 계정)을 생성하여 등록한다.Specifically, the center management unit 31 registers a fitness center by the manager terminal 50 , and creates and registers an account (or center account) of the fitness center.

이때, 피트니스 센터 정보를 함께 입력받아 등록될 수 있다. 피트니스 센터 정보는 피트니스 센터명, 종목, 주소지 등 피트니스 센터의 프로파일 정보, 결제에 필요한 신용카드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fitness center information may be input and registered. The fitness center information consists of the fitness center profile information, such as the fitness center name, event, and address, and credit card information required for payment.

또한, 센터 계정은 관리자가 멤버십 관리서버(30)에 접속할 피트니스 센터의 아이디(ID) 등이고, 센터 계정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등도 함께 등록된다.In addition, the center account is an ID (ID) of the fitness center to be accessed by the administrator to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0, and a password for user authentication of the center account is also registered.

또한, 센터 관리부(31)는 해당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출입문의 출입제어장치(60)에 대한 정보도 등록받는다. 이때, 센터 계정에 의한 사용자 인증이 통과된 후, 해당 계정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출입제어 장치(60)가 등록된다. 따라서 각 출입제어 장치(60)는 특정 피트니스 센터에 속한다.In addition, the center management unit 31 also receives information on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for the door installed in the fitness center. At this time, after user authentication by the center account is passed,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is register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account. Therefore, each access control device 60 belongs to a specific fitness center.

센터 관리자는 피트니스 센터의 현관이나 강의실 출입구에 출입제어장치(60)를 설치하고, 센터 관리부(31)에 그 식별번호를 등록하면, 서비스 앱(20)에서 문개방 명령을 출입제어장치(60)에 전달할 수 있는 연동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When the center manager installs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t the entrance or classroom entrance of the fitness center, and registers the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center management unit 31, the service app 20 issues a door opening command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Provides an interworking interface that can be transmitted to

즉, 센터 관리부(31)는 관리자 또는 관리자 단말(50)의 입력에 의해, 그 식별번호를 입력받아 피트니스 센터의 프로파일 정보로 등록하고 센터 DB(41)에 저장한다. 출입제어장치(60)가 BLE 4.0 이상의 표준을 지원할 경우 근접 UUID(Proximity UUID), 메이저 값(Major Value), 마이너 값(Minor Value) 등의 필드가 출입 제어 장치(60)의 식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근접 UUID(Proximity UUID)는 모든 피트니스 센터에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고, 피트니스 센터별로 메이저 값(Major Value)이나 마이너 값(Minor Value) 값을 고유하게 지정함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앱(20)에서 출입문의 개방를 요청할 때 출입제어장치(6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메이저 값(Major Value)이나 마이너 값(Minor Value)을 취득하고, 취득한 값을 이용하여 출입제어 장치(60)가 회원이 가입한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center management unit 31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by the input of the manager or the manager terminal 50 , registers it as profile information of the fitness center, and stores it in the center DB 41 . When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supports BLE 4.0 or higher standards, fields such as proximity UUID, major value, minor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have. In this case, in particular, a proximity UUID (Proximity UUID) is set to the same value in all fitness centers, and a Major Value or Minor Value is uniquely designated for each fitness center. Through this, when the service app 20 requests to open the door, a major value or a minor value is acquired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using the acquired value (60)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member is installed in the fitness center joined.

다음으로, 멤버쉽 정의부(32)는 멤버쉽의 유형과, 해당 유형에서의 등급을 설정하고, 각 유형과 등급에 따른 서비스(또는 서비스 종류) 및 그 서비스 이용범위를 설정하여, 각 멤버쉽을 정의한다.Next, the membership definition unit 32 sets the type of membership and the grade in the type, and sets the service (or service type) and the service use range according to each type and grade, and defines each membership. .

멤버쉽의 유형은 기간, 횟수, 선불권으로 구분된다. 이들 각각의 유형의 멤버쉽을 기간제 멤버쉽, 횟수제 멤버쉽, 선불제 멤버쉽으로 부르기로 한다.Membership types are divided into period, number of times, and prepayment right. Each of these types of membership will be referred to as fixed-term membership, multiple-time membership, and prepaid membership.

기간제 멤버쉽은 기간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멤버쉽이다. 도 3의 예에서, 기간제 멤버쉽의 등급을 1개월, 6개월, 12개월 등 기간에 의해 구분시킨다. 즉, 기간이 길수록 높은 등급을 부여한다. 등급이 높을수록, 요금이 높아지고, 그만큼 서비스도 다양하고 많아진다. 즉, 등급에 따라 차등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Term membership is a membership whose grade is determined by the period. In the example of FIG. 3 , the grades of the fixed-term membership are divided by periods such as 1 month, 6 months, 12 months, and the like. That is, the longer the period, the higher the rating. The higher the rating, the higher the fee, and the more diverse and diverse the service. That is, the service is provid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grade.

다음으로, 횟수제 멤버쉽은 횟수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멤버쉽이다. 특히, 수강 횟수나 출입 횟수에 의해 등급이 결정된다. 도 3의 예에서, 횟수제 멤버쉽의 등급은 10회, 20회, 30회 등 횟수에 의해 구분된다. 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등급이 부여된다.Next, the number-based membership is a membership whose grad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imes. In particular, the grad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imes of attendance or entry and exit. In the example of FIG. 3 , the grades of the number of times membership are divided by the number of times, such as 10 times, 20 times, 30 times, and the like. The higher the number of times, the higher the grade is given.

또한, 선불제 멤버쉽은 선불 금액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멤버쉽이다. 도 3의 예에서, 선불제 멤버쉽의 등급은 베이직(50만원), 프리미엄(100만원), 골드(200만원) 등 선불요금에 의해 구분된다. 선불 요금이 높을수록 높은 등급이 부여된다.In addition, the prepaid membership is a membership whose grade is determined by the prepaid amount. In the example of FIG. 3 , the grades of prepaid membership are divided by prepaid rates such as Basic (500,000 won), Premium (1 million won), and Gold (2 million won). The higher the prepaid rate, the higher the grade.

한편, 멤버쉽 정의부(32)는 멤버쉽 유형과 그 등급을 결정하여 멤버쉽을 생성한다. 즉, 하나의 유형과 등급(기간, 횟수, 선불금액 등)이 결정되면, 하나의 멤버쉽이 생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membership definition unit 32 generates membership by determining the membership type and its grade. That is, when one type and grade (period, number of times, prepayment amount, etc.) is determined, one membership is created.

또한, 멤버쉽 정의부(32)는 생성된 멤버쉽에 허용되는 서비스를 설정하여 멤버쉽을 정의한다. 즉, 멤버쉽 정의부(32)는 생성된 멤버쉽에 대해, 서비스의 이용 범위를 설정하여, 해당 멤버쉽을 정의한다. 즉, 해당 멤버쉽의 서비스 이용범위를 정의한다.In addition, the membership definition unit 32 defines the membership by setting a service allowed for the created membership. That is, the membership definition unit 32 defines a corresponding membership by setting a service use range for the created membership. That is, it defines the service use range of the corresponding membership.

먼저, 멤버십 등급에 따라 차별적인 이용권한이 부여되는 서비스는 트레이닝 서비스와 부대 서비스로 구분된다.First, the services that are granted different right to use according to the membership level are divided into training services and incidental services.

특히, 트레이닝 서비스는 셀프 트레이닝, 개인 트레이닝, 및, 단체 강좌로 구분된다.In particular, the training service is divided into self-training, individual training, and group lectures.

먼저, 셀프 트레이닝은 헬스 장비(헬스 시설)를 이용하여 혼자 트레이닝을 하는 서비스이다. 셀프 트레이닝인 경우, 회원이 원하는 시간에 트레이닝 센터를 방문하여, 트레이닝 센터에서 헬스 장비를 이용하여 트레이닝을 수행한다.First, self-training is a service that trains alone using health equipment (health facilities). In the case of self-training, the member visits the training center at a desired time, and performs training using fitness equipment in the training center.

셀프 트레이닝의 이용 범위(또는 서비스 범위, 서비스 이용범위)는 출입 시간(또는 출입가능 시간)이나 출입 횟수 등에 의해 설정된다. 특히, 개인 트레이닝을 예약한 경우 등 특정한 출입 조건이 설정될 수도 있다.The use range (or service range, service use range) of the self-training is set by the access time (or access available time) or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 In particular, specific access conditions may be set, such as when personal training is reserved.

또한, 셀프 트레이닝의 이용범위는 금액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특히, 선불제 멤버쉽인 경우에는 1회 마다의 금액으로 설정되어, 1회 시행시 해당 금액이 차감된다.In addition, the range of use of self-training may be set as an amou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repaid membership, the amount is set for each one time, and the corresponding amount is deducted at the time of implementation.

다음으로, 개인 트레이닝은 헬스 PT(personal training)로서, 헬스 장비를 이용하여 혼자 트레이닝을 하되, 전문 트레이너에 의해 지도를 받는 서비스이다. 개인 트레이닝 경우, 회원은 사전에 전문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시간을 예약하고, 예약된 시간에 방문하여, 전문 트레이너로부터 지도를 받으면서, 트레이닝 센터의 헬스 장비를 통해 트레이닝을 수행한다.Next, personal training is a health PT (personal training) service that is trained alone using fitness equipment, but is guided by a professional trainer. In the case of personal training, members reserve a training time with a professional trainer in advance, visit the scheduled time, receive guidance from the professional trainer, and perform training through the fitness equipment of the training center.

개인 트레이닝의 이용범위는 횟수에 의해 설정된다. 즉, 개인 트레이닝은 통상 수강 횟수에 따라 요금과 서비스 이용권한 또는 범위가 차등적으로 설정되는 횟수제 멤버십으로 운영된다.The use range of personal training is set by the number of times. That is, personal training is usually operated as a number-based membership in which fees and service usage rights or scopes are differentially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urses taken.

다음으로, 단체 강좌(GX, Group eXercise)는 다수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특정한 주제에 따라 강사의 지도 하에 트레이닝을 받는 서비스이다. 단체 강좌인 경우, 관리자는 강좌 이름, 강좌 종목, 수강 레벨 (또는 난이도), 담당 강사 등을 정의해서 강좌를 등록한다. 그리고 해당 강좌가 진행되는 시간과 장소, 강좌 내용 또는 운동 프로그램, 담당 강사 등을 사전에 수강시간표에 설정하여 공지한다. 해당 강좌에 대한 수강권한이 있는 멤버십에 가입한 각 회원은 서비스 앱(20)을 통해 해당 강좌를 예약하거나, 해당 강좌 시간에 해당 강좌 장소에 방문하여 출석을 처리하고, 단체 트레이닝 수업에 참여한다.Next, a group course (GX, Group eXercise) is a service that receives training under the guidance of an instructor according to a specific topic for a large number of members. In the case of a group course, the administrator registers the course by defining the course name, course item, course level (or difficulty level), and the instructor in charge. In addition, the time and place of the course, the course content or exercise program, and the instructor in charge are set and announced in the course schedule in advance. Each member who has signed up for a membership with the right to attend the course reserves the course through the service app 20 or visits the course location during the course time to process attendance and participate in group training classes.

단체 강좌는 주기적으로 여러 번 제공되는데, 1회의 강좌를 세션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단체 강좌가 제공되는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체 강좌의 세션들은 11월에서 2월까지 평일 20시, 3월에서 10월까지 주말 오전 8시 등 주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Group lectures are provided several times on a regular basis, and one course will be referred to as a session. In addition, a period in which the group lecture is provided may be set. For example, sessions of a group course may be provided periodically, such as 20:00 on weekdays from November to February, and 8 am on weekends from March to October.

멤버십 등급에 따라 수강권한이 정의되는 단체 강좌의 이용범위는 허용가능한 강좌의 종류(또는 특정한 강좌), 참여가능 횟수 등으로 설정된다. 특히, 참여 횟수는 주기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3회"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scope of use of group courses, where the right to attend is defined according to membership level, is set by the types of courses (or specific courses) that can be accepted, the number of times to participate,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may be set in units of cycles. For example, it may be set to "3 times a week" or the like.

특히, 선불제 멤버쉽인 경우, 셀프 트레이닝, 개인 트레이닝, 단체 강좌 등에 대한 이용 범위를, 1회 실행의 금액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1회 서비스를 제공할 때마다 해당 금액(개별 강좌 단위로 정해진 금액)이 선불 요금에서 차감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repaid membership, the range of use for self-training, personal training, group lectures, etc. may be set as the amount of one execution. That is, each time a service is provided, the corresponding amount (the amount set for each individual course) is deducted from the prepaid fee.

또한, 개인 트레이닝과 단체 강좌 서비스를 강좌 서비스로 부르기로 한다. 즉, 강좌 서비스는 강사나 트레이너 등 지도자에 의해 진행되는 트레이닝 서비스를 나타낸다.In addition, individual training and group course services will be referred to as course services. That is, the course service represents a training service performed by a leader, such as an instructor or trainer.

한편, 트레이닝 서비스는 피트니스 센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독립적인 오브젝트로 분리되어, 시스템에 등록된다. 등록된 오브젝트는 웹 상에서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된 여러 개의 멤버쉽 중 특정 멤버쉽과 상호 연결시킨다.Meanwhile, the training service is a service provided by the fitness center, is separated into an independent object, and is registered in the system. The registered object is interconnected with a specific membership among several registered memberships through the interface output on the web.

다음으로, 부대 서비스는 트레이닝 서비스 외에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락커 이용, 운동복 제공, 홀딩(멤버쉽 일시 정지 서비스), 타인 양도(멤버쉽 권리의 양도) 등을 포함한다.Next, the incidental service is a servic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raining service, and includes locker use, sportswear provision, holding (membership suspension service), transfer to another person (transfer of membership rights), and the like.

먼저, 락커 이용이나 트레이닝시 운동복 제공 서비스는 멤버십의 종류나 등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용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기간제 멤버십이라도 3개월인 경우 운동복은 무료로 제공하나 락커는 이용 불가하고 6개월인 경우 락커와 운동복을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First, the right to use the locker or the sportswear provision service during training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r grade of membership. For example, even with the same fixed-term membership, sportswear is provided free of charge for 3 months, but lockers are not available.

또한, 홀딩 서비스는 멤버쉽 권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일정 기간동안 정지시켜 그 사용기간을 보존하는 일시 중지 서비스이다. 홀딩 서비스는 홀딩 횟수나 홀딩 기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ing service is a temporary suspension service that preserves the period of use by suspending the membership right for a certain period when not in use. The holding service may be set by the number of holding times or holding period.

또한, 타인 양도 서비스는 멤버쉽 권리를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타인 양도 서비스는 타양 양도 가능성 여부로 설정된다.In addition, the transfer service to others refers to a service that can transfer membership rights to others. The transfer service to others is established by whether transfer is possible.

한편, 멤버쉽 정의부(32)는 관리자 또는 관리자 단말(50)이 멤버쉽을 생성하고 정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모듈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멤버쉽 정의부(32)는 웹 상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관리자 단말(50)에 설치되는 모듈을 제공한다.Meanwhile, the membership definition unit 32 provides an interface or module for the manager or the manager terminal 50 to create and define membership. Preferably, the membership definition unit 32 provides an interface on the web, or provides a module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50).

이때, 멤버쉽 정의부(32)는 기간제 멤버쉽, 횟수제 멤버쉽, 선불제 멤버쉽 등 멤버쉽의 유형을 먼저 설정한 후, 기간이나 횟수, 요금규모에 따라 멤버쉽 등급별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추가적으로 이용 범위를 세분화시켜 제공한다. 향후 어떤 회원이 출입을 요청한 시점에서 가입한 멤버쉽에서 설정된 서비스 이용범위에 따라 실시간으로 디지털 도어락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embership definition unit 32 first sets the type of membership, such as fixed-term membership, number-based membership, and prepaid membership, and then subdivides the scope of use for various services by membership level according to the period, number of times, and fee scale. do.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gital door lock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rvice use range set in the membership at the time a member requests access.

도 4,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리자는 인터페이스 또는 모듈을 이용하여, 각각 기간제 멤버쉽, 횟수제 멤버쉽, 선불제 멤버쉽에 대하여, 멤버쉽 등급별로 요금과 계약기간을 먼저 정한 후, "권한 설정"을 확장(Expand)시켜서 단체강좌 등 시스템 상에 독립된 객체로 이미 등록된 서비스의 목록을 불러와서 접근권한을 설정한다. 또한, 일 방문제한, 수강 제한, 홀딩 제한, 수강시간, 무료 PT 횟수 등 다양한 공통 옵션(또는 트레이닝 서비스 또는 부대 서비스)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4, 5, and 6, the administrator uses the interface or module to first determine the rate and contract period for each membership level for fixed-term membership, number-of-time membership, and prepaid membership, respectively. Set the access right by calling the list of services already registered as an independent object on the system, such as group lectures, by expanding In addition, you can conveniently set various common options (or training service or ancillary service) such as daily visit limit, attendance limit, holding limit, class time, number of free PT, etc.

단, 도 4와 같이, 멤버쉽 정의부(32)는 멤버쉽의 유형과 등급을 먼저 설정하여 생성하고 기본적인 서비스의 이용범위를 설정한 후, 단체 강좌 등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서비스를 등록하면서 수강 권한이 있는 멤버쉽과 연결하여 등록할 수도 있도록, 인터페이스 또는 모듈을 제공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4 , the membership definition unit 32 first sets and creates the type and grade of membership, sets the scope of use of the basic service, and then registers independent and individual services such as group courses for membership with the right to attend. Provides an interface or module so that it can be registered by connecting to it.

다음으로, 강좌 등록부(33)는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영하는 크로스핏, 요가, 필라테스, 스피닝, 개인 트레이닝(또는 퍼스널 트레이닝) 등 개인 트레이닝이나 단체강좌 서비스(또는 강좌 서비스)를 각각 독립된 객체로 등록한다.Next, the course registration unit 33 registers individual training or group lecture services (or course services) such as CrossFit, yoga, Pilates, spinning, and personal training (or personal training) operated by the fitness center as independent objects.

강좌 서비스 또는 단체 강좌 객체는 종목, 수업 방법, 난이도, 인원 제한, 회당 수업시간, 수강금지 대상, 회당 차감 횟수, 강사 등을 속성으로 가진다. 종목은 서비스 이름을 나타낸다. 수업 방법은 단체 강좌인 GX, PT(personal training, 개인 트레이닝), 개인 트레이닝을 그룹으로 진행하는 소규모 그룹 PT 등으로 구분된다. 수강금지 대상은 운동 강도가 높아서 참여시 위험한 회원 군(나이, 질환에 의한 군)을 나타낸다. 강사는 종목별 단체강좌를 담당할 트레이너나 선생님 등 책임자를 나타낸다.The course service or group course object has attributes such as event, class method, difficulty, number of people limit, class time per class, subject to be banned, number of times deducted per session, instructor, and the like. Item represents the service name. Class methods are divided into GX, which is a group course, PT (personal training, personal training), and small group PT where individual training is conducted as a group. Those who are prohibited from taking classes represent a group of members (group due to age or disease) that is dangerous when participating in high exercise intensity. The instructor represents the person in charge, such as a trainer or teacher, who will be in charge of group lectures for each event.

또한, 회당 차감 횟수는 해당 강좌를 1회 수강한 경우 횟수제 멤버쉽에서 차감되는 횟수를 나타낸다. 특히, PT과 소규모 그룹 PT와 같이 주로 횟수제 멤버쉽으로 운영되는 경우 각 세션별 운영 시간에 따라 차감횟수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회원이 개인 PT 10회 멤버쉽에 가입하고 개인 PT 한 세션당 50분으로 정의해 놓은 경우, 100분 짜리 PT을 실행했다면 수강 종료 후 2회가 차감된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 deducted per session indicates the number of times deducted from the number of times membership when the corresponding course is taken on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Ts and small group PTs that are mainly operated with a number-based membership, the number of deductions can be set separately according to the operating hours for each session. For example, if a member signs up for 10 individual PT memberships and defines 50 minutes per individual PT session, if a 100-minute PT is executed, 2 sessions will be deducted after completing the course.

특히,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좌 등록부(33)는 강좌 서비스 객체를 정의하여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또는 모듈을 제공하고,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강좌 서비스를 생성하고 해당 강좌 서비스의 속성을 등록한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7 , the course registration unit 33 defines a course service object and provides an interface or module that can be registered, creates a course service according to an administrator's input, and registers the properties of the course service. .

또한, 강좌 등록부(33)는 각 강좌 서비스 또는 서비스 객체에 대하여, 수강 권한이 있는 멤버쉽을 일괄적으로 선택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강좌 서비스에 대한 수강권한이 있는 멤버쉽을 체크박스로 지정하는 방식으로 멤버쉽 별 수강권한을 정의할 수 있다. 즉, 도 7의 예에서, 크로스핏 50분 강좌는 초보자를 대상으로 한 단체수업으로서, 헬스 6개월, 헬스 12개월, 헬스 PT 20회, 헬스 PT 30회, 모든 선불제 멤버쉽에 가입한 사람들은 수강이 가능하다. 다만, 크로스핏은 운동강도가 높기 때문에 만 60세 이상이나 고혈압 회원은 수강이 불가하다. Also, the course registration unit 33 may collectively select and register memberships with the right to take courses for each course service or service object. That is, as shown in FIG. 7 , the attendance right for each membership can be defined in such a way that membership with the right to attend the course service is designated as a check box. That is, in the example of FIG. 7 , the 50-minute CrossFit class is a group class for beginners, and those who have signed up for 6 months of fitness, 12 months of fitness, 20 times of health PT, 30 times of health PT, and all prepaid memberships take the course. This is possible. However, because CrossFit is a high-intensity exercise, people over the age of 60 or high blood pressure members cannot take the course.

다음으로, 수강시간 작성부(34)는 강좌 서비스에 대한 수강 시간표를 작성한다. 수강시간표 작성에는 일정기간 정해진 시간에 반복되는 단체 강좌와 회원이 가능한 시간에 예약하는 개인 트레이닝 등 두가지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Next, the course time creation unit 34 creates a time schedule for the course service. There can be two methods of creating a course schedule: a group course repeated at a set ti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ndividual training that members reserve at a time available.

수강시간 작성부(34)는 단체 강좌 또는 개인 트레이닝에 대한 수강 시간(또는 수강 시간표)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모듈을 제공한다. 즉, 피트니스 센터의 관리자는 회원관리 프로그램의 일정관리 메뉴에 접속하여 시스템 상에 등록된 강좌의 수강 시간표를 작성한다.The attendance time preparation unit 34 provides an interface or module for setting the attendance time (or attendance timetable) for a group lecture or individual training. That is, the manager of the fitness center accesses the schedule management menu of the member management program and writes a timetable for taking courses registered on the system.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강시간표는 DB에 저장되어 있는 있는 강좌의 목록을 불러온 후, 주 강사명, 시간과 장소, 이미 작성된 강좌 서비스를 검색해서 상호 매핑시킨다. 그리고 반복되는 일정을 캘린더에 의해 정의한다.As shown in FIG. 8 , the course schedule retrieves the list of courses stored in the DB, searches for the main instructor name, time and place, and already created course services, and maps them to each other. And the recurring schedule is defined by the calendar.

또한, 수강시간 작성부(34)는 개인 트레이닝 강좌의 경우, 강사와 회원 간 사전 예약을 통해 일정이 확정되도록 제공한다. 또한, 스케쥴링할 때 예약할 회원을 지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ersonal training course, the lecture time preparation unit 34 provides a schedule to be confirmed through advance reserva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member. Also, when scheduling, you can designate a member to make a reservation.

다음으로, 회원 등록부(35)는 개인의 인적 정보(또는 가입 정보)를 입력받아 가입 회원으로 등록한다. 특히, 회원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모듈을 제공한다.Next, the member registration unit 35 receives personal information (or subscription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and registers it as a subscription member. In particular, an interface or module for member registration is provided.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트니스 센터에서 웹이나 앱 등 관리자 단말(50)을 통해, 회원의 기본정보와, 생활습관, 병력 등을 먼저 입력하고, 회원이 가입한 멤버쉽을 선택해서 결제정보를 입력하면, 시스템 상에서 회원등록이 완료된다. 가입 회원은 시스템상에서 가입한 멤버쉽에 따른 서비스 접근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식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 such as the web or the app in the fitness center,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member, lifestyle, medical history, etc. are first entered, and payment information is entered by selecting the membership registered by the member. If you do, member registration is completed on the system. It can be identified whether the subscribing member has the service access right according to the subscribed membership on the system.

회원등록시 입력한 연령이나 성별, 병력정보 등을 활용하여 강좌별로 수강 금지된 대상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By using the age, gender, and medical history information entered during member registr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access to subjects who are prohibited from taking classes by course.

회원등록이 완료되면 이메일로 임시비밀번호가 발송되며, 회원이 앱을 다운로드 받아 로그인하면 초기화면에서 본인이 가입한 멤버쉽에 따라 수강권한이 있는 클래스의 목록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When membership registration is complete, a temporary password is sent to an e-mail, and when a member downloads the app and logs in, the list of classes to which he or she has the right to take classes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다음으로, 앱 설정부(36)는 가입 회원의 스마트 단말(10)에 서비스 앱(20)을 설치하도록 제공하고, 가입 회원의 서비스 앱(20)을 인증한다.Next, the app setting unit 36 provides to install the service app 20 on the smart terminal 10 of the subscribing member, and authenticates the service app 20 of the subscribing member.

앱 설정부(36)는 회원이 가입되어 등록되면, 서비스 앱(20)을 다운로드하여 회원의 스마트 단말(10)에 설치하도록, 다운로드 정보를 제공한다.The app setting unit 36 provides download information so that, when a member is registered and registered, the service app 20 is downloaded and installed in the member's smart terminal 10 .

구체적으로, 앱 설정부(36)는 회원등록이 완료되면, 회원 등록시 입력한 이메일로 임시비밀번호와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을 이메일로 전송한다. 그리고 회원이 이메일을 수신하고, 서비스 앱(20)을 다운로드 받은 후 임시비밀번호로 최초 로그인한다.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비밀번호로 변경하면 해당 피트니스 센터의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 계정의 생성이 완료된다. Specifically, when the membership registration is completed, the app setting unit 36 transmits the temporary password and the URL from which the app can be downloaded to the email entered during member registration by email. Then, the member receives the e-mail, downloads the service app 20, and logs in for the first time with a temporary password. And if you change the password you want, the creation of the member account you signed up for as a member of the fitness center is completed.

다음으로, 서비스 앱(20)에서 회원인증을 요청하면, 서버에서 인증이 수행되고, 회원이 가입한 멤버쉽에 따라 정의된 서비스 이용권한이 설정된다. Next, when member authentication is requested from the service app 20,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n the server, and the service use right defined according to the membership subscribed by the member is set.

다음으로, 강좌시간 다운로드부(37)는 서비스 앱(20)에서 회원이 가입한 멤버쉽에 따라 조회 시점에서 수강권한이 있는 모든 강좌들의 수강일정을 요청하면, 수강 권한이 있는 강좌 서비스를 다운로드 시켜준다.Next, the course time download unit 37 downloads the course service with the right to attend when the service app 20 requests the course schedule of all courses for which the member has the right to attend at the time of inquiry according to the membership registered by the member. .

또한, 강좌시간 다운로드부(37)는 서비스 앱(20)의 요청을 수신하고, 접속한 회원이 수강가능한 강좌의 시간표를 전송해 준다. 도 10과 같이, 수강가능한 강좌의 수강시간표를 수신하면 서비스 앱(20)에서 수강 시간표가 출력된다. In addition, the course time download unit 37 receives the request of the service app 20, and transmits the timetable of the course that the connected member can take. As shown in FIG. 10 , upon receiving the course timetable of a course that can be taken, the course timetable is output from the service app 20 .

그리고 PT와 같이 횟수제 수업 출석 종료 후, 코치 앱에서 출석체크가 완료되면 "출석"이라고 클래스의 출석 상태가 표시된다. And like PT, after the attendance of the number-based class ends, when the attendance check is completed in the coach app, the class attendance status is displayed as “attendance”.

다음으로, 출입 통제부(38)는 출입제어 장치(60)를 통해, 회원의 멤버쉽에 따라 회원의 출입을 통제한다. 즉, 접속되는 회원의 멤버쉽을 인식하고, 회원의 멤버쉽에 따라 해당 회원이 출입 가능한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출입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제어 장치(60)를 통해 출입을 개방하고, 출입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 불가한 사유를 출력하여 안내한다.Next, the access control unit 38 controls the member's access throug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ccording to the member's membership. That is, the membership of the accessed member is recognized, and it is determined in real time whether the member can access or not according to the member's membership.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entry and exit is possible, the entrance is opened throug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entry is not possible, the reason for not being able to enter is output and guide.

한편, 멤버쉽 관리 시스템은 멤버쉽 관리 서버와 서비스 앱(20)에 의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이므로, 구축 방식에 따라 출입 통제부(38)의 기능은 서비스 앱(20)에서 실행되거나, 서비스 앱(20)과 서버 사이에서 분담되어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is a server-client system by the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and the service app 20, the function of the access control unit 38 is executed in the service app 20, or the service app 20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method. It can be shared and executed between the server and the server.

구체적으로, 출입 통제부(38)는 회원이 "문열기" 메뉴에 접속하면, 접속한 회원이 현재 시점에서 피트니스 센터에 대한 출입, 특정 클래스에 대한 수강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Specifically, when the member accesses the "open door" menu, the access control unit 38 determines whether the accessed member has access to the fitness center and the right to attend a specific class at the current time.

출입 통제부(38)는 기존 솔루션과 같이 단순히 어떤 회원이 현재 피트니스 센터에 유효회원인지 해지자인지 회원상태 (member status)만 판단해서 출입을 통제하지 않는다. 대신, 출입 통제부(38)는 회원이 가입한 멤버쉽의 종류에 따라 하루 출석가능 횟수, 당일 출석이력, 당일 수강기록, 수강가능한 강좌의 목록, 강좌 예약 현황, 현재 강좌 예약정원, 병력 등의 정보를 이미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조회 시점에 회원이 피트니스 센터에 출입할 권한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unit 38 does not control access by simply judging which member is a valid member or a cancelled member of the fitness center, just like the existing solution. Instead, the access control unit 38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daily attendance, attendance history, attendance record, list of available courses, course reservation status, current course reservation capacity, medical history, etc. Since you already have the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 real time whether the member has the right to access the fitness center at the time of inquiry.

출입 통제부(38)에서 요청한 회원의 출입권한이 없다고 판단할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출입 제어 장치(60)에 개방을 명령하기 전에 서비스 앱(20)에서 "문열기"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고 대신 "지금은 출석이 불가합니다. 00-0000-0000 번호로 직원에게 직접 요청해 주세요."라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출입이 불가하다는 것은 단체 강좌에 수강권환이 없는 헬스 1개월 멤버쉽에 가입한 회원이 GX룸을 열고 출입을 요청한 경우, 또는 PT 예약일에만 피트니스 센터 출입이 허용되는 PT 10회 멤버쉽 가입자가 PT 예약을 하지 않고 피트니스 센터에 출입하려 하는 경우, 또는 하루에 한번만 피트니스 센터에 출입한 권한이 있는 PT 20회 가입자나 헬스 1개월 가입자가 오전에 이미 출입한 상태에서 저녁때 또 출입하려 하는 경우, 또는 회원이 홀딩(멤버십 권한 일시정지) 중인 경우, 또는 멤버십에서 정의되어 있는 출입가능 시간 이외의 시간에 출입하려는 경우, 또는 남성 회원이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강좌를 선택하고 출입하려는 경우 등 멤버십에 대한 서비스 이용권한 설정 또는 강좌 등록시 정의한 수강대상 설정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If the access control unit 38 determines that the requested member does not have the access right, the “open door” button is not activated in the service app 20 before commanding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to ope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stead, it prints a message saying "You can't attend now. Please ask the staff directly at 00-0000-0000." Access is not allowed when a member who has signed up for a one-month health membership without a voucher for a group course opens the GX room and requests access, or a member of the PT 10th membership, which allows access to the fitness center only on the PT reservation date, does not make a PT reservation. If you try to access the fitness center, or if a PT member who has access to the fitness center only once a day, 20 times a day or a member of the gym for 1 month, wants to access the fitness center again in the evening after already entering in the morning, or the member is holding (membership) Temporary permission suspension), when access is made outside the time defined in the membership, or when a male member selects and enters a course for women only.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course target setting defined at the time of registration.

다음으로, 출입 통제부(38)는 회원의 출입권한을 실시간으로 인증한다. 즉, 회원이 수강할 강좌를 선택하고 문열기 메뉴에서 접속하면, 서비스앱(20)에서 출입통제부(38)을 통해 현재 출석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출석 가능한 상태인 경우 "문열기 버튼"이 활성화된다. 회원이 문열기 버튼을 누르면 블루투스 기반의 출입제어 장치(60)가 발산하는(advertising) BLE 시그널을 감지한 후 사용자 인증시 저장된 출입제어장치(60)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검증한다. 일치할 때에만 스마트 단말(10)과 디지털 도어락 등 출입제어 장치(60)간 블루투스 연결(BLE Connection)이 되고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문을 열어 달라는 요청이 전송된다. 디지털 도어락 등 출입제어 장치(60)는 블루투스 커넥션을 통해 전송된 문 열기 요청을 수신하고 잠금장치를 해제한다.Next, the access control unit 38 authenticates the member's access right in real time. That is, when a member selects a course to take and accesses from the door open menu, the service app 20 determines whether current attendance is possible through the access control unit 38 . If you are currently able to attend, the "Open Door Button" is activated. When the member presses the door open button, the Bluetooth-based access control device 60 detects an advertising BLE signal and compares it with the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during user authentication to verify whether it matches. Only when they match,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smart terminal 10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such as a digital door lock, and a request to open the door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 defined protocol.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such as a digital door lock receives the door open request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connection and releases the lock.

또는 출입 통제부(38)를 통해 출입권한을 실시간으로 인증 받은 후 서비스 앱(20)에서 수강할 강좌를 선택하고 문열기 메뉴에 접속하면 연동 인터페이스를 호출한다. 그리고 출입 통제부(38)는 문열기 요청을 수신하면, 이 요청에 따라 와이파이(WiFi) 등 게이트웨이 장비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출입제어장치(60)에 직접 전달한다. 즉, 출입제어장치(60)에 직접 전달하여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도어락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문 개방명령이 우회적으로 출입제어장치(60)에 전송되기 때문에 서비스 단말(10) 또는 서비스 앱(20)과 출입제어장치(60)간 블루투스나 NFC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필요가 없다. Alternatively, after the access authority is authenticated in real time through the access control unit 38 , a course to be taken is selected in the service app 20 and an interlocking interface is called when accessing the door open menu. Then, when the access control unit 38 receives the request to open the door, it directly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gateway device such as WiFi. That is, the digital door lock may be controlled in such a way that it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to release the locking device.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NFC between the service terminal 10 or the service app 20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because the door opening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in a detour.

한편 출입제어 장치가 NFC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서비스 앱(2)에서 현재 출석 가능한 상태인 경우 “문열기 버튼”이 활성화되는 대신 텍스트나 이미지로 “NFC를 키고 스마트폰을 출입제어 장치에 태핑”하라는 메시지를 회원에게 보여준다.On the other hand, if the access control device operates based on NFC, the service app (2) prompts the user to “turn on NFC and tap the smartphone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with text or image instead of activating the “open door button” if the service app (2) is currently available for attendance. Show messages to members.

한편, 출입 통제부(38)는 회원으로부터 서비스 앱(20)을 통해 문개폐 명령을 수신받고 이 명령을 다시 출입제어장치(60)에 전달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직접 제어하는 연동 인터페이스 또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전에 설정하고, 설정된 연동 인터페이스 또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출입제어장치(60)와의 개폐 작업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access control unit 38 receive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mmand from the member through the service app 20 and transmits this command back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to direct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y using an interlocking interface or communication protocol. It is set in advance and performs opening/closing operation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60 according to the set interworking interface or communication protocol.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마트 단말 20 : 서비스 앱
30 : 멤버쉽 관리 서버 31 : 센터 관리부
32 : 멤버쉽 정의부 33 : 강좌 등록부
34 : 수강시간 작성부 35 : 회원 등록부
36 : 앱 설정부 37 : 강좌시간 다운로드부
38 : 출입 통제부
40 : 데이터베이스 50 : 관리자 단말
60 : 출입제어 장치 80 : 네트워크
10: smart terminal 20: service app
30: membership management server 31: center management unit
32: membership definition section 33: course register
34: Class time writing section 35: Member registration section
36: app setting unit 37: course time download unit
38: access control unit
40: database 50: administrator terminal
60: access control device 80: network

Claims (5)

서비스 앱이 설치된 회원의 스마트 단말,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 및, 피트니스 센터 내의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제어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제어 장치를 등록하는 센터 관리부;
멤버쉽의 유형과 등급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이용범위를 설정하는 멤버쉽 정의부;
개인 트레이닝이나 단체강좌 서비스 등 강좌 서비스를 각각 독립된 객체로 등록하는 강좌 등록부;
강좌 서비스에 대한 수강 시간표를 작성하는 수강시간 작성부;
가입 정보를 입력받아 가입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부;
가입 회원의 스마트 단말에 서비스 앱을 설치하도록 제공하고 가입 회원의 서비스 앱을 인증하는 앱 설정부;
수강 권한이 있는 강좌 서비스를 다운로드 시켜주는 강좌시간 다운로드부; 및,
상기 출입제어 장치를 통해 회원의 멤버쉽에 따라 회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멤버쉽 유형은 기간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기간제 멤버쉽, 횟수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횟수제 멤버쉽, 선불 금액에 의해 등급이 결정되는 선불제 멤버쉽으로 구분되고,
상기 출입 통제부는 회원이 유효회원인지 해지자인지 회원상태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회원이 가입한 멤버쉽의 종류에 따라 하루 출석가능 횟수, 당일 출석이력, 당일 수강기록, 수강가능한 강좌의 목록, 강좌 예약 현황, 현재 강좌 예약정원을 포함하는 정보에 따라, 조회 시점에 회원이 피트니스 센터에 출입할 권한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회원의 출입을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
In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digital door lock, which is connected to a network with an access control device installed on a door in a fitness center and a smart terminal of a member installed with a service app, a manager terminal of an administrator, and a fitness center,
a center management unit for registering an access control device;
Membership definition unit that sets the type and grade of membership and sets the service use range accordingly;
a course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course services such as individual training or group lecture services as independent objects;
Class time writing unit to create a class timetable for the course service;
a member register for receiving membership information and registering as a registered member;
App setting unit for providing to install the service app on the smart terminal of the subscribing member and authenticating the service app of the subscribing member;
a course time download unit that downloads course services with the right to take courses; and,
and an acces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ccess of a member according to the membership of the member through the access control device,
The membership type is divided into a fixed-term membership in which the grade is determined by the period, a number-based membership in which the grad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times, and a prepaid membership in which the grade is determined by the amount in advance,
The access control unit not only determines whether the member is a valid member or a canceled member, but also determines the number of daily attendance available, same-day attendance history, same-day attendance record, list of available courses, and course reservation status depending on the type of membership the member has signed up for. ,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in real time whether the member has the right to access the fitness center at the time of inquiry according to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course reservation capacity, and controls the member's acces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트레이닝 서비스와 부대 서비스로 구분되고,
상기 트레이닝 서비스는 시설물을 이용하여 혼자 트레이닝을 하는 셀프 트레이닝, 헬스 장비를 이용하여 혼자 트레이닝을 하되, 전문 트레이너에 의해 지도를 받는 개인 트레이닝, 및, 다수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특정한 주제에 따라 강사의 지도 하에 트레이닝을 받는단체 강좌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is divided into a training service and ancillary services,
The training service includes self-training that trains alone using facilities, personal training that trains alone using fitness equipment, but is guided by a professional trainer, and instructor's guidance according to a specific topic for a number of members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group courses that receive training u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 서비스는 락커 이용, 운동복 제공, 멤버쉽의 일시 정지 서비스, 멤버쉽 권리의 양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cidental service is a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locker use, sportswear provision, membership suspension service, and transfer of membership righ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관리부는 상기 출입제어 장치의 식별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출입 통제부는 등록된 출입제어 장치의 식별정보를 해당 출입제어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출입제어 장치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기반 멤버쉽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The access control unit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access control device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ital door lock-based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to open the access control device.
KR1020200079352A 2020-06-29 2020-06-29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KR1024379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52A KR102437938B1 (en) 2020-06-29 2020-06-29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52A KR102437938B1 (en) 2020-06-29 2020-06-29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40A KR20220001240A (en) 2022-01-05
KR102437938B1 true KR102437938B1 (en) 2022-08-29

Family

ID=7934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52A KR102437938B1 (en) 2020-06-29 2020-06-29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93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388B1 (en) * 2016-04-14 2018-06-27 (주)아이유웰 Method for managing fitness cen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244B1 (en) * 2015-11-10 2016-12-28 주식회사 투비크로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ym service
KR101831762B1 (en) * 2015-11-26 2018-04-13 주식회사 뮤솔버스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fitness service
KR20170065709A (en) 2015-12-03 2017-06-14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Entrance Authenticating Method of Mobile Device Connected to Door Control Apparatus, and Server for Distributing Software therefor
KR20180014893A (en) 2016-08-01 2018-02-12 (주)시솔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200008700A (en) * 2018-07-17 2020-01-29 김효남 The real time management smart health system using the intelligently crm system and smart health system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388B1 (en) * 2016-04-14 2018-06-27 (주)아이유웰 Method for managing fitness c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40A (en)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7511B (en) Authentication service for facilitating access to services
US9137389B2 (en) Master limits and filters for electronic devices
US10009480B2 (en) Policy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s
US8333321B2 (en) Online/offline event related access controlled systems with event specific closed venue wireless applications
CN1802671B (en) Reliable gaming system
JP49454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n object or service
CN105976112A (en) Class hour supervisio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est
CN107886602A (en) A kind of method for unlocking and system
KR20190106451A (en) Intermediary service system for sharing exercise space using smartphone
KR20180094394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naging Exercise Class
KR101878597B1 (en) Membership attendance and management service provide system
EP3223205A1 (en) Dynamic offline card authorization
KR102437938B1 (en) A membership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controlling access according to service access authority
KR1017723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and paying accommodations
KR102187419B1 (en) Data management system for culture art performance between participants and data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1300858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eting Marketplace
KR20020014271A (en) Method for certifying an entrance and exit/administration of students by using a fingerprint pattern
KR20140124557A (en) System and method for reserving rooms
CN106710036A (en) Interconnection access control system
JP73023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JP2018132990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2109080A (en) Driving school reservation/cancellation system capable of inquirying balance
KR2021009198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ion service of smart ticket
JP202111783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202106707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